KR100506955B1 - 참깨 추출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참깨 추출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955B1
KR100506955B1 KR10-2002-0028626A KR20020028626A KR100506955B1 KR 100506955 B1 KR100506955 B1 KR 100506955B1 KR 20020028626 A KR20020028626 A KR 20020028626A KR 100506955 B1 KR100506955 B1 KR 100506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sesame
extract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0354A (ko
Inventor
송도원
Original Assignee
송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도원 filed Critical 송도원
Priority to KR10-2002-0028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955B1/ko
Publication of KR20030090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9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깨를 차조기 추출액과 함께 분쇄하여 참깨 추출액을 수득토록 함으로써 참깨를 가열하였을 때 유효성분이 손실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고, 복용이 용이하며, 베타-카로틴을 다량 함유하는 참깨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세척, 건조 및 분쇄와 같이 전처리된 차조기 분쇄물 900 내지 1,100중량부에 계피 50 내지 60중량부 및 당귀 50 내지 60중량부를 혼합하고, 물 20ℓ를 가하여 중탕에서 열수추출하는 열수추출단계와,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수득된 열수추출액에 참깨 1,600 내지 2,400중량부를 가하여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수득된 열수추출액을 냉각, 여과 및 포장하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참깨 추출액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sesame extracted composition}
본 발명은 참깨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참깨를 차조기 추출액과 함께 분쇄하여 참깨 추출액을 수득토록 함으로써 참깨를 가열하였을 때 유효성분이 손실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고, 복용이 용이하며, 베타-카로틴을 다량 함유하는 참깨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총 20종류의 아미노산 중 참깨가 함유하고 있는 아미노산은 18종에 다다르고 있으며, 그중 항산화물질인 세사민, 세사몰, 세사미놀, 세린, 베타-카로틴, 비타민 E등을 함유하고 있고, 혈관의 노화를 촉진시키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동맥경화를 방지하는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고, 불포화지방산 중 체내에서는 생성되지 않아 외부로부터 식품을 통하여 섭취를 요하는 리놀산을 함유하고 있고, 간장의 기능을 높여주고,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갖는 메치오닌을 포함하고 있다. 트립토판은 비타민 B군과 같은 물질로서 부족한 경우, 위장염, 구강염, 신경병을 초래하게 된다. 알기닌은 성장기의 세포분열이 활발한 어린이들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아미노산이다. 비타민류는 비타민 E 이외에 비타민 A 및 비타민 B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비타민 B군에 속하며 당의 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티아민(B1), 아미노산 또는 지질의 대사에 관련되는 비타민인 리보플라빈(B2)이라고 칭하여지는 성분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그 외에도 참깨에는 인(P), 철분(Fe), 칼륨(K), 마그네슘(Mg), 아연(Zn), 동(Cu) 등 미네랄이 균형있게 함유되어 있다. 인산은 생명의 근원인 핵산(DNA)의 생성에 필요한 성분이고, 또한 참깨는 콩보다 고품위, 고품질인 것이다.
종래의 참께 가공방법은, 수확된 참깨에 포함되는 검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작업을 통한 키질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하고, 불순물이 제거된 참깨를 일정량의 물에 투입시켜 조리질 등을 이용한 걸름작업에 의해 잡석을 분리하고, 불순물이 제거된 참깨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가열장치(통상 '볶음기'라고 한다) 내로 이동되어져 소정온도의 가열에 의해 볶아져서 식용용 참깨를 가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참깨의 가공방법에서, 참깨를 양념, 깨엿, 깨떡, 깨과자, 깨강정, 패스트푸드에 발라서 식용하거나, 기름을 짜내어 조리에 사용하거나, 나물무침에 넣거나 또는 떡 등에 발라서 식용하게 됨에 따라, 생참깨를 볶아도 입에서 깨물어 섭취하게 되므로 위에서 소화시키지 못하는 것이 30 내지 40%의 양에 해당되어 많은 양의 참깨가 손실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참깨를 차조기 추출액과 함께 분쇄하여 참깨 추출액을 수득토록 함으로써 참깨를 가열하였을 때 유효성분이 손실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고, 복용이 용이하며, 베타-카로틴을 다량 함유하는 참깨 추출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본 발명에 따른 참깨 추출액의 제조방법은, 세척, 건조 및 분쇄와 같이 전처리된 차조기 분쇄물 900 내지 1,100중량부에 계피 50 내지 60중량부 및 당귀 50 내지 60중량부를 혼합하고, 물 20ℓ를 가하여 중탕에서 열수추출하는 열수추출단계와,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수득된 열수추출액에 참깨 1,600 내지 2,400중량부를 가하여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수득된 열수추출액을 냉각, 여과 및 포장하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베타-카로틴을 7620 마이크로 그램 함유하고 있는 참깨는 동의보감에는 참깨를 흑지마 또는 흑임자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참깨에는 리놀산이라는 불포화지방산이 있고 단백질에는 메티오닌 등의 필수아미노산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동맥경화증을 예방하고 간기능을 강하게 하며 전신의 건강을 증진시켜 주는 효능이 있다. 또 항암작용과 고혈압예방에 효과가 큰 오메가-3 지방산이 있으며, 또, 노화억제와 천연항생물질로 주목받고 있는 리그난이 함유되어 있다. 그래서 동의보감에서 밝힌 바 그대로 몸이 거뜬해지고 늙지 않고 굶어도 배고프지 않고 무병장수 할 수 있는 환상의 기능서 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참깨는 수험생의 기운을 돕고 허한 것을 보하며 몸을 튼튼하게 하고 귀와 눈을 밝게 한다. 간장, 신장기능을 강화하여 노폐물을 잘 배설시키고 피로 독소를 해독하여 수험생의 심신을 가뿐하게 해준다. 또 골수를 보하여 조혈기능을 돕고 빈혈, 어지러움증, 두통을 없애고 키가 크도록 도와 준다. 더위와 추위를 잘 견디게 하는 효능이 있다.
상기에서 베타-카로틴을 13,20 마이크로 그램 함유하고 있는 차조기는 종래 약용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던 1년생 식물이다. 차조기는 꿀풀과 식물로서 1년생 식물이다. 자소(紫蘇)라고도 불리우는 약초로 전국 각지에서 자생하거나 재배한다. 꿀풀과의 한해살이풀이며 중국이 원산지이다. 차조기잎에는 비타민 A가 특히 풍부하며 이외에 비타민 C, 칼슘, 인, 철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 제거에 유효한 리놀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정유성분으로 페릴알데하이드, 알파리모넨, 베타피넨, 등이 들어 있어 차조기 특유의 향기를 이룬다. 줄기는 네모가 나 갈라지고, 크기는 30 내지 80㎝로 자란다. 자색 또는 자록색을 띠고, 난형 또는 둥근 난형의 잎으로 주름져서 서로 어긋나 있고, 그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나 있다. 꽃은 총상화서인데 약간 한쪽으로 기울어져 가지 끝쪽 또는 잎 겨드랑이에서 7월 내지 8월에 자색 또는 연한 자주색의 꽃이 피고, 열매는 분과로 갈색에 난형이며, 8월 내지 9월에 결실되는 식물이다. 이 식물은 예부터 전초를 약으로 사용한다. 식용으로도 사용되어 왔으며, 그 효험 역시 뛰어나다고 기록되어 있다.
cox-II 저해제는 관절염의 항염증제로 사용됨은 물론 발암억제기능을 가져 항발암제로도 사용되며, 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을 안드로겐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 androgen dihydrotestosterone)으로 변환시키는 5-알파-환원효소(5-α-reductase)는 DHT의 생성을 막아 전립선에서 발암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여러 생약들 중에서 5-알파-환원효소 억제활성을 검색한 결과, 차조기잎이 강력한 저해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탁월한 항암제로 사용이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크산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 억제활성은 항고뇨산 혈증 및 항산화제로 이용될 수 있는 2종의 크산틴 억제물질이 차조기의 잎으로부터 분리되어 그 구조가 밝혀졌다. 그 구조는 각각 3-(3,4-디하이드록시페닐)-2-프로페노익 애시드(3-(3,4-dihydroxyphenyl)-2-propenoic acid)의 (Z,E)-2-(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티에닐에스테르((Z,E)-2-(3,4-dihydroxyphenyl)ethyenylester) 및 (Z,E)-2-(3,5-디하이드록시페닐)에티에닐에스테르((Z,E)-2-(3,5-dihydroxyphenyl)ethyenylester)로 밝혀졌다. 이상의 성분내용과 약리작용의 연구결과로 새로운 중요 약효내용은 통풍이나 관절염, 항염증효과에 탁월하며, 발암의 억제로 각종 항암효과, 노화방지, 고혈압, 당뇨병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면역강화작용, 혈액순환촉진작용 등 성인병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주성분이 베타-카로틴임이 밝혀졌다. 그리고, 일본에서의 함량조사에서 35종 중 베타-카로틴이 최다량으로 밝혀졌다. 또한, 상기한 점들 이외에도 다음의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즉, ① 발한(發汗)작용 : 차조기즙은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며 땀의 분비를 촉진시키므로 감기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다. ② 진해(鎭咳)작용 : 차조기즙은 기침을 그치게 하고 가래를 삭혀준다. 따라서 기관지염, 천식, 기침 등의 호흡기질환에 특효다. ③ 조혈작용 : 철분성분과 비타민 A·C함량이 풍부하여 조혈작용을 하므로 빈혈에 좋고 기미·주근깨 등을 없애주는 등 피부미용에 효과적이다. ④ 기타 : 어육중독에 걸렸을 때 차조기즙을 마시게 되면 독성분을 말끔히 해독될 수 있다. 「식료초본」에서는 '차조기즙은 한기(寒氣)를 없애고 모든 냉기(冷氣)를 다스린다.'고 하고 있고, 「본초강목」에서는 '차조기즙은 풍(風)과 한기를 해소하고 담(痰)을 제거하여 폐를 이롭게 한다.'고 하고 있고, 「약성본초」에서는 '차조기잎은 생선과 고기에 의한 식중독을 풀어준다.'고 하고 있고, 「다산방」에서는 '토사곽란 즉, 음식이 체하여 토하고 설사하는 급성위장병에 차조기즙과 생마늘을 함께 섭취하면 유효하다.' 고 하고 있다.
베타-카로틴을 13,200 마이크로 그램 함유하는 상기 차조기와 함께 열수추출되는 계피 역시 종래부터 한약재의 일종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던 것으로서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다. 상기 차조기의 열수추출에 의하여 수득되는 차조기 추출액에 참깨 1,600 내지 2,400중량부를 가하여 분쇄해서 물ℓ에 대하여 베타-카로틴을 11,00 내지 13,000 마이크로 그램 함유하는 추출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참깨 추출액은 차조기 추출액과 함께 분쇄하므로, 참깨 자체로는 가열(볶음) 등의 열처리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참깨 중에 포함되는 여러 유효성분들이 파괴되지 않고, 그대로 분쇄되어 차조기 추출액과 함께 복용이 편리한 추출액을 수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물 20ℓ를 가하여 중탕에서 차조기를 열수추출하여서 수득된 열수추출액에 감미제로서 감초추출액, 설탕, 포도당, 과당, 물엿, 꿀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가할 수 있다. 감미제에 의한 가당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참깨 추출액은 복용이 특히 편리하다. 상기에서 감미제의 혼합량은 복용자의 미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서, 당도를 적의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극히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반복실험을 통해 감미제의 혼합량을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참깨 추출액 중의 참깨 및 차조기는 다량 복용하여도 부작용이 없으며, 계피는 계수나무의 뿌리 ·줄기 ·가지 등의 껍질을 벗겨서 말리거나, 껍질을 벗기지 않고 건조시킨 가느다란 가지[桂枝]를 말한다. 계피는 방향성(芳香性)의 건위제(健胃劑)로서 사용되어 왔던 것으로서 역시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다. 감초는 감미 및 해독 작용을 하는 한약제의 일종으로서,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중국 동북부, 시베리아·몽골 등지에서 분포한다. 뿌리는 적갈색으로 땅속 깊이 들어가고 줄기는 모가 지며 1m 정도 곧게 자란다. 또한 흰털이 밀생하여 회백색으로 보이며 선점(腺點)이 흩어져 있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 내지 17개씩이고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작은잎의 길이는 2 내지 5cm, 나비 l 내지 3cm로 양면에 흰털과 선점이 있으며 톱니는 없다. 꽃은 7 내지 8월에 피는데 길이 1.4 내지 2.5cm로 보라색이며, 총상꽃차례로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꼬투리는 선처럼 가늘고 긴 모양으로 활처럼 굽으며 신장형의 종자가 6 내지 8개씩 들어 있다. 뿌리는 단맛이 나서 감미료, 한약재로 사용한다. 감초추출액은 별도로 감초를 열수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으로 수득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차조기의 열수추출시 함께 열수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차조기의 양이 900중량부 미만으로 되는 경우, 차조기의 양이 적어져서 수득되는 차조기 추출액 중의 베타-카로틴의 함량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1,1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계피 50 내지 60중량부의 혼합량 역시 차조기에 대한 상대적인 혼합비율로서, 본 발명자들이 반복 실험한 결과, 복용 등이 용이하면서도 베타-카로틴을 다량 함유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로 선택한 것이다. 또한, 참깨가 1,60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참깨의 양이 상대적으로 너무 적어져서 참깨의 유효성분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2,4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에서 차조기의 양이 900중량부 미만으로 되는 경우, 차조기의 양이 적어져서 수득되는 차조기 추출액 중의 베타-카로틴의 함량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1,1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계피 50 내지 60중량부 및 당귀 50 내지 60중량부의 혼합량 역시 차조기에 대한 상대적인 혼합비율로서, 본 발명자가 반복 실험한 결과, 복용 등이 용이하면서도 베타-카로틴을 다량 함유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로 선택한 것이다. 상기에서 차조기, 계피 또는 당귀의 함량은 차조기의 풋내음 등을 줄이고, 식미나 향을 좋게 하여 섭취가 용이하도록 하기에 적절한 조건을 조절하기 위하여 선정된 것으로서 당업자라면 반복실험 및 복용자의 기호 등에 따라 적의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열수추출단계는 전처리된 차조기 분쇄물 900 내지 1,100중량부에 계피 50 내지 60중량부를 혼합하고, 물 20ℓ를 가하여 중탕에서 열수추출하는 단계로서, 실질적으로 베타-카로틴을 물 1ℓ에 대하여 11,000 내지 13,000 마이크로 그램 함유하는 차조기의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중탕에 의한 열수추출 자체는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차조기를 계피 등과 함께 적량 혼합하여 열수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처리단계는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정도로 통상적인 가공단계들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후처리단계는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수득된 열수추출액을 냉각, 여과 및 포장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전처리된 차조기 분쇄물을 100 내지 110℃로 40 내지 50초 동안 저어주면서 가열하여 볶아주는 열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열처리단계는 차조기 특유의 풋내음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으로 이 열처리단계를 거쳐 수득된 차조기 추출액은 특유의 풋내음이 없어 복용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분쇄단계는 상기 차조기 추출액과 참깨를 혼합한 혼합물을 스크류를 사용하는 분쇄기와 같은 통상의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참깨 중에 포함된 오일과 함께 유효성분들이 참깨의 조직의 파괴와 함께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분쇄단계와 상기 후처리단계 사이에 상기 분쇄단계에서 수득되는 열수추출액에 감미제로서 감초추출액, 설탕, 포도당, 과당, 물엿, 꿀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가하는 가당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가당단계에 의해 특히 참깨 추출액의 기호도를 증대시켜 복용이 특히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감초 60 내지 80g을 더 가하고, 열수추출할 수 있다. 이는 차조기 등의 열수추출과 감초의 열수추출을 동시에 하여 각각을 별개로 추출하는 것에 비해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참깨와 차조기를 순식물성으로 중탕시켜 참깨 추출액으로 제조하고, 또한 이를 포함하는 차, 음료 등 2차 가공식품으로의 생산이 용이하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는 차조기에 당귀, 감초 및 계피 등을 혼합하고, 함께 중탕시킨 후, 이를 참깨와 함께 혼합, 분쇄시켜서 베타-카로틴을 물 1ℓ에 대하여 11,000 내지 13,000 마이크로 그램 함유하는 참깨 추출액으로 제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참깨 추출액에 가당하여 차나 음료 등 일상적으로 음용할 수 있는 음료수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참깨 추출액에 식혜 등을 가하여 역시 전통음료로 가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계피 대신 생강 또는 당귀를 60 내지 80중량부로 포함시켜 참깨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생강이나 당귀 역시 약용 또는 식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것으로 당업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참깨 추출액은 식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중심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또한 적절한 형태로 가공하여 미용용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수확된 차조기를 세척, 건조 및 분쇄하여 얻어진 차조기 분쇄물 1,100중량부에 계피 55중량부를 혼합하고, 물 20ℓ를 가하여 중탕에서 열수추출하여 추출한 차조기 추출액 7,500㎖과 세척된 참깨 2,000g을 용기에 담아 혼합한 후, 통상의 분쇄기에 투입하고, 55초 동안 분쇄시켰다. 분쇄는 참깨가 완전히 분쇄되도록 하기 위하여 육안으로 참깨가 그대로 보이지 않을 때까지 3회에 걸쳐 분쇄시켰으며, 분쇄에 의해 수득되는 추출액은 100메쉬의 자루형태의 걸름망을 통해 고형 불순물을 걸러내고, 추출액만 수거토록 하였다.
비교예
수확된 참깨를 약 90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볶음처리를 한 후, 통상의 착유기에 투입하여 참깨 기름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관능시험
성인 남녀 각 50명들을 대상으로 관능시험을 하였다. 우선, 대상자들 모두 최종 식사 후, 5시간 동안은 아무것도 먹지 못하게 하여 공복상태를 유지토록 한 후, 대상자들에게 상기 실시예들에서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차조기 성분이 함유된 참깨 추출액을 100㎖씩 복용시켰으며, 복용 후, 복용시의 미감을 구두표현토록 하였다. 또한 복용 후, 그대로 대상자들을 자유로이 방치하여 다른 음식을 먹거나, 잠을 자거나 또는 운동 등을 하도록 하여 24시간 동안 신체의 변화 등을 육안 관찰하였다.
또한, 상기 실험일 2일 후 동일한 대상자들에게 상기 비교예의 참깨 기름을 동일한 방법으로 복용토록 하였다.
복용시의 미감 표현에 있어서는 모두 본 발명에 따른 참깨 추출액은 복용이 용이하다고 하였으며, 24시간 동안의 육안관찰에서도 별다른 이상징후를 나타내지 않았음에 비하여, 비교예의 참깨 기름 역시 복용은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깨 기름 복용 후, 24시간 동안의 육안관찰에서는 별다른 이상징후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용이 용이하며, 베타-카로틴을 물 1ℓ에 대하여 11,000 내지 13,000 마이크로 그램 함유하며, 참깨의 유효성분을 다량 포함하는 참깨 추출액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참깨 추출액은 차, 음료 등으로의 가공이 용이하며, 기타 2차상품으로 국수, 냉면, 빵, 어묵, 라면, 과자 등의 생산에도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세척, 건조 및 분쇄와 같이 전처리된 차조기 분쇄물 900 내지 1,100중량부에 계피 50 내지 60중량부 및 당귀 50 내지 60중량부를 혼합하고, 물 20ℓ를 가하여 중탕에서 열수추출하는 열수추출단계와,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수득된 열수추출액에 참깨 1,600 내지 2,400중량부를 가하여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수득된 열수추출액을 냉각, 여과 및 포장하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깨 추출액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단계와 상기 열수추출단계 사이에 전처리된 차조기 분쇄물을 100 내지 110℃로 40 내지 50초 동안 저어주면서 가열하여 볶아주는 열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깨 추출액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단계와 상기 후처리단계 사이에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수득되는 열수추출액에 감미제로서 감초추출액, 설탕, 포도당, 과당, 물엿, 꿀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가하는 가당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참깨 추출액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감초 60 내지 80g을 더 가하고, 열수추출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참깨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2002-0028626A 2002-05-23 2002-05-23 참깨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0506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626A KR100506955B1 (ko) 2002-05-23 2002-05-23 참깨 추출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626A KR100506955B1 (ko) 2002-05-23 2002-05-23 참깨 추출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354A KR20030090354A (ko) 2003-11-28
KR100506955B1 true KR100506955B1 (ko) 2005-08-11

Family

ID=32384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626A KR100506955B1 (ko) 2002-05-23 2002-05-23 참깨 추출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9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882B1 (ko) 2011-03-17 2013-04-23 주식회사 에스제이테라푸드 천연물 수액의 제조방법
KR101348288B1 (ko) 2011-03-17 2014-01-08 (주)메디푸드 천연물 타블렛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403B1 (ko) * 2002-05-23 2005-09-07 송도원 차조기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1143012B1 (ko) * 2009-08-31 2012-05-08 정지원 곡물 추출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곡물 추출액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5660A (ja) * 1985-09-18 1987-03-24 Ehime Pref Gov Seika Nogyo Kyodo Kumiai Rengokai 赤シソ抽出液の製造法
JPH06133744A (ja) * 1992-10-27 1994-05-17 Sumiko Sawabe はとむぎ健康茶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0672A (ja) * 1995-07-04 1997-01-21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抗アレルギー物質、その製造方法、抗アレルギー剤及び機能性食品
KR970061077A (ko) * 1996-02-26 1997-09-12 임광자 소화불량과 피로회복 및 각종 성인병에 특효가 있는 산야채 (山野菜) 차를 만드는 방법
KR19990073279A (ko) * 1999-06-24 1999-10-05 송도원 참깨가공방법및그음료제품
JP2001270835A (ja) * 2000-03-15 2001-10-02 Korea Yakult Co Ltd 胃潰瘍の予防及び治療に効果的な蘇葉抽出物とその用途及びその抽出物からベルベリンを得る工程
KR20020061964A (ko) * 2001-01-19 2002-07-25 학교법인 호서학원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기능성 식품
KR20030090355A (ko) * 2002-05-23 2003-11-28 송도원 차조기 추출액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5660A (ja) * 1985-09-18 1987-03-24 Ehime Pref Gov Seika Nogyo Kyodo Kumiai Rengokai 赤シソ抽出液の製造法
JPH06133744A (ja) * 1992-10-27 1994-05-17 Sumiko Sawabe はとむぎ健康茶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0672A (ja) * 1995-07-04 1997-01-21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抗アレルギー物質、その製造方法、抗アレルギー剤及び機能性食品
KR970061077A (ko) * 1996-02-26 1997-09-12 임광자 소화불량과 피로회복 및 각종 성인병에 특효가 있는 산야채 (山野菜) 차를 만드는 방법
KR19990073279A (ko) * 1999-06-24 1999-10-05 송도원 참깨가공방법및그음료제품
JP2001270835A (ja) * 2000-03-15 2001-10-02 Korea Yakult Co Ltd 胃潰瘍の予防及び治療に効果的な蘇葉抽出物とその用途及びその抽出物からベルベリンを得る工程
KR20020061964A (ko) * 2001-01-19 2002-07-25 학교법인 호서학원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기능성 식품
KR20030090355A (ko) * 2002-05-23 2003-11-28 송도원 차조기 추출액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882B1 (ko) 2011-03-17 2013-04-23 주식회사 에스제이테라푸드 천연물 수액의 제조방법
KR101348288B1 (ko) 2011-03-17 2014-01-08 (주)메디푸드 천연물 타블렛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354A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94914A (zh) 一种玫瑰花生酥及其制备方法
CN102894272A (zh) 茉莉茶香面条
KR101140322B1 (ko) 홍삼, 당귀, 천궁, 황기, 대추, 백출, 작약, 감초, 계피 및 숙지황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40831B1 (ko) 마를 함유한 칡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KR20200082556A (ko) 배 및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대추차의 제조방법
KR20100082689A (ko)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506955B1 (ko) 참깨 추출액의 제조방법
CN107384680B (zh) 一种百香果龙眼果酒及其酿造方法
CN103947716A (zh) 一种葡萄籽蛋白米糕及其加工方法
KR102215936B1 (ko) 밤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쌍화탕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851312A (zh) 一种海芙蓉饮品及其加工工艺
CN110876476A (zh) 一种安神健脑清热养颜桂花藕粉冲调羹及其制备方法
KR100512403B1 (ko) 차조기 추출액의 제조방법
KR20100082688A (ko) 월드 홍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10881543A (zh) 一种花果茶饮料
KR20100072143A (ko)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90014254A (ko) 달콤한 미나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15333B1 (ko)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871452B1 (ko) 연 성분이 함유된 천년초 음료 제조방법
KR102340850B1 (ko) 석류를 함유한 칡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Selvamuthukumaran Amla (Indian Gooseberry): Characteristics, Therapeutic Potential, and Its Value Addition
KR102485019B1 (ko)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72144A (ko) 월드 홍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84846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복분자 비타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036607A (zh) 一种保健莴笋粒的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