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442B1 - 자기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442B1
KR100506442B1 KR10-2001-0026114A KR20010026114A KR100506442B1 KR 100506442 B1 KR100506442 B1 KR 100506442B1 KR 20010026114 A KR20010026114 A KR 20010026114A KR 100506442 B1 KR100506442 B1 KR 100506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magnetic head
loop
magnetic disk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0542A (ko
Inventor
도쿠야마미키오
가토유키오
시미즈죠세이
고지마야스오
니시다히로시
우에후네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글로벌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니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7229091A external-priority patent/JP3546655B6/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글로벌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니뽄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글로벌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니뽄
Publication of KR20010070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480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specially adapted for disk drive assemblies, e.g. assembly prior to operation, hard or flexible disk drives
    • G11B5/4826Mounting, aligning or attachment of the transducer head relative to the arm assembly, e.g. slider holding members, gimbals, adhes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480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specially adapted for disk drive assemblies, e.g. assembly prior to operation, hard or flexible disk drives
    • G11B5/4833Structure of the arm assembly, e.g. load beams, flexures, parts of the arm adapted for controlling vertical force on the head

Landscapes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Abstract

자기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충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자기디스크; 자기디스크의 면상을 부상하는 슬라이더; 슬라이더에 탑재되고 자기디스크상의 정보를 기록, 재생하는 자기헤드; 슬라이더를 상기 자기디스크에 압압하는 로드빔; 로드빔의 한쪽 끝측에 마련되고 슬라이더가 회전자유롭게 부착된 부착부 및; 부착부와 로드빔을 연결한 탄성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서, 내충격성능이 높은 자기 디스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자기디스크장치{MAGNETIC DISK APPARATUS}
본 발명은 자기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디스크면과 직각방향으로 큰 충격이 가해지면 슬라이더는 자기 디스크면에서 비상하고, 비상한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기울어져 슬라이더의 부상용 레일의 각부에서 자기 디스크 표면과 접촉하고, 디스크 표면에 손상을 주는 일이 보고되어 있다(IEEE TRANSACTION ON MAGNETICS Vol.31 No.6 pp.3006∼3008 : 1995년 11월). 또, 이 논문에는 상기의 충격에 의한 디스크손상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상에 “점프스톱”을 마련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8-102159호에서는 자기 디스크 장치의 커버와 베이스에 핀돌기(리미터부)를 마련하고, 자기 디스크 장치가 충격을 받아 자기헤드를 자유단에 갖는 서스펜션이 흔들린 경우에도 서스펜션의 자유단은 상기 핀돌기에 접촉하여 그 이상으로 베이스 또는 커버를 향해서 변위하지 않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기구에서는 충격을 받아 슬라이더가 디스크면에서 분리된 경우에 점프높이를 점프스톱 또는 핀돌기부에 의해 규제하여 소정 높이 이하로 억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가 디스크와 충돌할 때의 속도 또는 가속도를 작게 하고, 충돌시의 슬라이더와 디스크의 손상을 저감하여 자기 디스크 장치의 충격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편, 손상의 크기(손상의 정도)는 슬라이더가 디스크와 접촉할 때의 속도, 가속도의 크기와 함께 접촉면적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즉, 슬라이더의 부상면(디스크면과 대향하는 면으로서 부상력의 발생면)이 디스크면과 평행한 상태에서 접촉하거나, 또는 슬라이더가 회전하고 슬라이더의 부상면의 각부 또는 블리드면(디스크면과 대향하는 면으로서 부상력이 발생하지 않는 면)에서 디스크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접촉면적이 크게 다르다. 이 때문에, 동일 속도, 가속도로 슬라이더가 디스크면과 접촉한 경우에도 양자의 접촉면적 즉 슬라이더의 디스크면으로의 충돌자세에 따라 접촉면압(응력)이 크게 다르고, 그 결과 손상의 정도도 크게 다른 것으로 된다. 종래기술에서는 이 점에 대한 고려가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충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자기헤드 지지기구는 자기디스크에 데이타를 라이트하고 재생하는 자기헤드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자기디스크면상에 부상하는 부상면을 갖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를 부착하는 슬라이더 부착부; 상기 슬라이더 부착부의 한쪽끝에 연접하는 횡프레임; 상기 횡프레임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더 부착부의 양측으로 연장하는 2개의 가요성 손가락부; 상기 가요성 손가락부의 다른쪽끝에 연접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다른쪽끝에 연접하는 스프링부 및 상기 스프링부의 다른쪽끝에 연접하는 암부착부를 구비한 자기헤드 지지기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횡프레임에 연접하는 끝부와는 반대측의 끝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고리형상의 휨부를 형성한 탄성부재에 의해 연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자기헤드 지지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자기헤드로 또는 상기 자기헤드로부터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전기배선부재(FP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른 자기헤드 지지기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착부, 상기 횡프레임, 상기 가요성 손가락부,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스프링부가 1매의 금속판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른 자기 디스크장치는 자기디스크 및, 자기디스크에 데이타를 라이트하고 재생하는 자기헤드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자기디스크면상에 부상하는 부상면을 갖는 슬라이더를 상기 자기디스크상에서 유지하는 자기헤드 지지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헤드 지지기구에 상기 슬라이더를 부착하는 슬라이더 부착부; 상기 슬라이더 부착부의 한쪽끝에 연접하는 횡프레임; 상기 횡프레임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더 부착부의 양측으로 연장하는 2개의 가요성 손가락부; 상기 가요성 손가락부의 다른쪽끝에 연접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다른쪽끝에 연접하는 스프링부 및; 상기 스프링부의 다른쪽끝에 연접하는 암부착부를 구비한 자기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횡프레임에 연접하는 끝부와는 반대측의 끝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고리형상의 휨부를 형성한 탄성부재에 의해 연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른 자기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자기헤드로 또는 상기 자기헤드로부터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전기배선부재(FP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른 자기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착부, 상기 횡프레임, 상기 가요성 손가락부,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스프링부가 1매의 금속판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1∼도 9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자기헤드 지지기구를 탑재한 자기 디스크 장치의 전체도를 도시한다.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자기 디스크(1)은 스핀들(2)에 적층되어 있다. 정보를 자기 디스크에 기록/재생하기 위한 자기헤드(도시하지 않음)는 자기헤드 지지기구(5)의 슬라이더(4)에 탑재되어 있다. 자기헤드 지지기구(5)는 암(6)에 연결되어 있다. 자기헤드는 피벗베어링(7), 보이스코일모터(8)로 이루어지는 캐리지(9)에 의해 소정 반경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이들 기구는 런치박스형의 베이스에 탑재되고, 커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 지지기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휴대형의 자기 디스크 장치구성으로 해도 내충격성이 향상하고 고밀도의 기록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도 2에 제1 실시예의 자기헤드 지지기구(5)의 전체를 도시한다. 암부착부(10)은 스프링부(11)에 연접하고, 스프링부(11)은 플랜지부(12)에 연접하고 있다. 플랜지부(12)의 선단에는 잘록부(necking)(100)이 마련되고, 잘록부(100)의 끝에 피벗(13)과 루프(roof)(1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암부착부(10), 스프링부(11), 플랜지부(12), 잘록부(100), 피벗(13), 루프(14)는 1개의 부재로 구성되고, 이들 전체를 이하 로드빔이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피벗부 등은 편의상 플랜지부(12)의 평탄부(12a)의 선단부에 마련한 것으로 해서 설명한다. 슬라이더의 누름하중은 스프링부(11)을 장치에 장착하기 전에 소정 각도로 구부려 두고, 장착시에 디스크면과 대략 평행하게 부착하는 것에 의해서 그 휨에 의해 발생시킨다. 상기 누름하중은 플랜지부(12)를 통해서 피벗(13)을 거쳐 슬라이더로 전달된다. 또한, 잘록부를 마련하지 않고 평탄부(12a)의 선단측을 연속해서 가늘게 하고, 그곳에 피벗과 루프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 루프의 구성이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에 자기헤드 지지기구의 선단부의 상세를 도시한다. 플랜지부(12)의 평탄부(12a)의 선단에 잘록부(100)을 마련하고, 그 선단측에 피벗(13)과 루프(14)가 마련되어 있다. 또, 루프(14)에는 자외선 입사용과 슬라이더부착상태 관측용을 겸한 창(16)이 마련되어 있다. 루프(14)의 아래에 짐벌(20)이 마련되고, 짐벌(20)의 선단측에 슬라이더(4)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루프(14)의 폭은 짐벌(20)의 폭과 대략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크고, 또 그 선단은 짐벌(20)의 선단과 대략 동일 개소까지 연장하고 있다.
또, 창(16)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4)의 배면을 직접 관측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창(16)의 폭방향의 중앙에 긴쪽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더(4)의 좌우의 측면(측가장자리)를 관측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루프(14)를 짐벌(20)상에 마련해도 슬라이더(4)가 소정 각도로 짐벌(20)에 부착되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로서 자외선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고, 창(16)에서 슬라이더와 짐벌의 부착부에 자외선(UV)을 직접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킬 수 있으므로, 접착시간의 단축과 소정의 접착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광은 비스듬히 입사할 수 있으므로 창(16)의 피벗(13)측의 가장자리의 바로 아래가(슬라이더측이) 짐벌(20)과 슬라이더(4)로의 부착면의 가장자리와 대략 일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 부착부, 창의 형상치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에 제1 실시예의 자기헤드 지지기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플랜지부(12)의 평탄부(12a)의 선단측 잘록부(100)의 끝에 피벗(13)을 마련하였다. 또, 평탄부의 아래에 짐벌(20)이 부착되어 있다. 짐벌(20)의 플랜지측의 끝면은 평탄부(12a)에 용접되어 있고, 다른쪽 끝은 단차부(23)에 의해 슬라이더측으로 내려가고, 단차부에 연접해서 마련된 부착부(24)에 슬라이더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피벗(13)의 정상부는 부착부(24)를 거쳐서 하중을 슬라이더에 인가하고 있다.
도 5에 제1 실시예의 로드빔의 루프부의 상세를 도시한다. 박판에서 에칭에 의해 전체형상 및 창을 형성하고, 플랜지의 U구부림부(12b)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성형하였다. 또, 평탄부(12a)의 선단에는 프레스에 의해 성형한 피벗(13)이 있고, 그 둘레에 2개의 창(16)을 갖는 루프(14)가 형성되어 있다. 루프(14) 및 피벗(13)은 평탄부(12a)와 동일한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짐벌형상을 도시한다. 짐벌은 로드빔과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21), 2개의 가요성 손가락부(22), 단차부(23) 및 슬라이더(4)의 부착부(24)로 구성하고 있다. 가요성 손가락부(22)는 슬라이더 부상면과 직각방향(면외방향)의 슬라이더(4)의 동작을 구속하는 일 없이 슬라이더(4)를 지지한다. 단차부(23)은 부착부(24)에 부착되는 슬라이더(4)와 가요성 손가락부(22)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 피벗지지를 가능하게 하고, 슬라이더(4)가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4)는 부착부(24)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지만, 이 부착부(24)가 가요성 손가락부(22)에 의해 유연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결과로서 슬라이더는 회전자유롭게 지지되게 된다. 도 6의 (b), 도 6의 (c)에 측면도와 D-D면으로부터의 투영도를 도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 도 7, 도 8, 도 9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7의 (a)에 도 3의 A-A단면, 도 7의 (b)에 슬라이더의 감기방향의 최대회전각Θr을 도시한다. 짐벌의 두께는 슬라이더의 크기(엄밀하게는 공기막강성)에 의해, 피벗높이는 박판의 프레스가공의 안정성에 의해, 로드빔두께는 스프링부의 탄성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충격 등에 의해 슬라이더가 회전해도 가요성 손가락부(22)의 선단이 루프(14)와 접촉하기 때문에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슬라이더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의 크기는 가요성 손가락부의 크기와 대략 동일하거나 다소 큰 것으로 하면 좋고, 회전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루프(14)와 가요성 손가락부(22) 사이의 간극으로서, 회전각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이 간극을 작게 하면 좋다. 또한, 가요성 손가락부(22)에 비해 루프(14)를 작게 해도, 상기 간극을 작게 설정하면 소정 각도로 억제할 수도 있다.
이때의 감기방향의 최대회전각ΘrMax는 예를 들면 루프폭이 1.6mm이고, 루프(14)와 가요성 손가락부(22)의 간극이 0.045mm인 경우, 3.2°(arctan(0.045/0.8))이다.
한편, 도 13에 도시한 종래형 자기헤드 지지기구에서는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의 선단부에는 피벗(13)만 있고 루프가 없다. 이 때문에, 짐벌의 가요성 손가락부(22)의 상면을 피복하는 것은 없다.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13의 (b)에 종래의 로드빔만을 도시한다. 이 도 13의 (b)와 제1 실시예의 도 5와의 비교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기헤드 지지기구에는 본 발명의 루프부가 없다. 또, 종래의 피벗(13)과 부착부의 폭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루프를 제외한 폭으로 되어 있다.
도 13의 B-B단면을 도 14에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 손가락부(22)의 상면(슬라이더와 반대측)에는 그 동작을 차단하는 것은 없다. 이 때문에, 충격 등에 의해 슬라이더가 회전한 경우, 짐벌의 부착부(24)가 피벗(13)의 측가장자리에 닿을 때까지 회전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부착부(24)와 피벗측 가장자리까지의 간극이 0.089mm이고 피벗측 가장자리의 폭이 0.72mm인 경우, 슬라이더의 최대회전각은 14°(arctan (0.089/0.36))에 달한다. 이것은 루프를 갖는 자기헤드 지지기구에 비해 약 4배(=14°/3.2°)의 크기로 된다.
이와 같이 큰 각도로 슬라이더가 회전하면서 디스크면에 접촉한 경우의 각도와 접촉면적의 관계를 도 9에 도시한다. 횡축에는 슬라이더의 회전각을, 종축에는 접촉면적의 역수를 나타내고 있다. 즉, 값이 클 수록 접촉면적은 작고 즉 접촉면압이 크고, 디스크면에서의 손상이 큰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여기서는 계산의 조건으로서 슬라이더의 블리드부가 직각(90°)인 경우와 45°로 모깍기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회전각도가 14°인 경우와 3°인 경우의 접촉면적비를 비교하면, 3°인 경우는 그 값을 현저하게 저하(10% 이하)시킬 수 있다. 이 효과는 슬라이더의 유출단을 45°의 모깍기(챔퍼가공)한 경우에도 변함없다.
본 발명은 슬라이더의 회전각도를 종래의 14°에서 3°로 저하시킬 수 있고, 디스크면의 손상을 1/10 이하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제1 실시예의 짐벌선단부의 최대피치각과 종래형의 최대피치각의 비교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루프(14)가 있으므로 슬라이더가 피치방향(앞쪽 경사)으로 회전해도 가요성 손가락부(22)의 선단이 루프(14)와 접촉하여 회전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회전했을 때의 접촉각은 예를 들면 피벗에서 선단까지의 길이가 0.5mm이고, 가요성 손가락부(23)과의 간극이 0.06mm인 경우, 7°(=arctan (0.06/0.5))로 된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는 7°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루프선단은 가요성 손가락부(23)의 선단과 대략 동일한 길이(위치)까지 연장하고 있다. 루프선단을 가요성 손가락부의 선단을 초과해서 예를 들면 슬라이더의 자기헤드의 더욱 후방까지 연장해도 최대피치각을 작게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로드빔자체의 하중이 증가하는 것에 의해 자기헤드 지지기구의 고유진동수가 저하하거나 액세스속도가 지연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슬라이더의 후단에 마련된 자기헤드로부터의 신호선을 부상면과 직각방향으로 즉 로드빔의 방향으로 인출하는 경우에는 만일 루프를 슬라이더의 자기헤드보다 후방으로 연장시키면 루프가 상기 신호선의 연장의 장해로 된다. 이 때문에, 루프(14)의 선단길이(위치)는 짐벌의 가요성 손가락부의 길이(위치)와 대략 동일한 길이가 가장 좋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형에서는 루프가 없기 때문에 피벗정상부에서 로드빔선단까지는 짧고, 또 루프가 없기 때문에 부착부(24)가 로드빔선단과 접촉할 때까지 회전한다. 회전했을 때의 접촉각도는 예를 들면 피벗에서 선단까지의 길이가 0.38mm이고, 부착부(24)와의 간극이 0.1mm인 경우 그 회전각도는 15°로 된다. 이상의 점에서 루프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피치의 최대회전각을 종래의 46%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계산각도는 피벗높이, 짐벌, 로드빔형상에 의해 변화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루프의 효과는 변화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자기헤드 지지기구에 슬라이더의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루프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디스크장치에 큰 충격이 가해져 슬라이더가 점프한 후 디스크면과 접촉할 때의 슬라이더의 접촉자세를 제어해서 슬라이더와 디스크의 접촉면압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내충격성능이 우수한 자기헤드 지지기구를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기헤드 지지기구를 탑재하는 자기 디스크 장치의 내충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루프에 접착제경화용 자외선도입창과 슬라이더의 부착상태관찰용 창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자기헤드 지지기구의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10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0에는 본 실시예의 루프부만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다른 부위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차이점은 본 실시예에서는 루프부에 회전각도조정홈(40)을 마련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홈은 짐벌의 가요성 손가락부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고, 가요성 손가락부와 루프의 간극을 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예에서는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손가락부(22)와 루프(14)의 간극은 0.045mm이고 최대회전각도는 3.2°였다. 이 간극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접촉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피벗높이에 의해 간극을 제어하고 있다. 한편, 피벗은 프레스에 의해 성형되므로 높이, 정밀도에 제약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의 루프의 짐벌대향면에 회전각도조정홈(40)을 마련한 단차를 갖는 루프(17)을 구비하고 있다.
이 회전각도조정홈(40)의 깊이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간극을 제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벗높이만으로 상기 간극(회전각)을 제어할 필요가 없어지고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 회전각도조정홈의 깊이를 기계가공, 에칭 등에 의해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에 의해 최대회전각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내충격용 자기헤드 지지기구로서는 안정부상을 실현하기 위해 충격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피벗 등의 제작시의 가공편차를 고려해도 짐벌과 루프가 접촉하는 것은 피할 필요가 있고, 한편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가능한 한 작은 각도로 슬라이더의 회전을 중지시킬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차를 갖는 루프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짐벌과 루프의 간극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이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상의 점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내충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자외선의 입사용 창, 접착상태관찰용 창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 11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차이점은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각도조정홈(40)을 프레스가공에 의해 단형상으로 한 점이다. 이 때문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를 갖는 루프는 창부의 높이와 다르다. 한편, 회전각도조정홈(40)은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짐벌의 가요성 손가락부의 상면에 소정 간극을 거쳐서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각도조정홈(40)을 구비한 단차를 갖는 루프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피벗높이를 포함하고, 짐벌두께, 로드빔두께, 길이 등의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킨다. 또, 피벗(13)과 동시에 프레스가공할 수 있으므로, 제2 실시예에 비해 생산성(양산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충격성능과 양산성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 12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은 도면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루프를 4점 누름(압압) 루프(19)로 한 점이다.
루프(19)는 4개의 차양(돌기)를 갖고, 각각의 차양의 선단은 제1 실시예의 루프(14)의 4개의 코너의 크기(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4개의 차양의 폭(19a)는 짐벌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또, 차양의 선단은 짐벌의 선단과 대략 일치할 때까지 연장하고 있다. 짐벌의 4점만을 누르는 구조로 하였으므로, 제1 실시예에서 필요했던 자외선 입사창, 접착상태 관측용 창이 불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루프부의 자중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충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루프부의 경량화에 의해 자기헤드 지지기구의 고유진동수가 저하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 자기헤드의 고속, 고정밀도의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 15, 도 16, 도 17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제5 실시예의 로드빔의 루프부의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과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은 플랜지부(12)의 평탄부(12a)의 선단에 링형의 루프(30)을 마련한 점이다.
이 링형 루프(30)은 중앙에 창을 갖는 도우넛형상으로 되어 있다. 피벗(13)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평탄부(12a)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고, 링형 루프(30)은 피벗(13)의 평탄부(12a)측의 양측에서 연장하여 링형상의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로드빔의 중심선을 따른 C-C단면도 동일 도면의 (b)에 도시한다. 이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벗(13)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부착측이 볼록구조로 되어 있다. 또, 루프선단부(30a)는 창(16)에 의해 피벗(13)과 분리되어 있다.
또, 창(16)은 제1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의 측면을 따라 2개 마련하고 있었지만, 창(16)의 사이즈를 슬라이더의 폭 이상으로 크게 하는 것에 의해 1개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창(16)에서 UV광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4)와 짐벌의 부착부(24)를 접착제로 부착하고, 그 접착제를 단시간에 경화시킬 수 있다. 또, 슬라이더(4)를 부착부(24)에 부착할 때 창(16)을 통해서 로드빔측에서 슬라이더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의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도 16에 제5 실시예의 짐벌부를 도시한다. 기본적인 구조는 제1 실시예의 짐벌형상(도 6)과 동일하고, 가요성 손가락부(22), 단차부(23), 부착부(24)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의 짐벌과의 차이점은 가요성 손가락부를 곡률을 갖게 한 링형상으로 하고 있고, 또 슬라이더의 부착부(24)에 잘록부(24a)를 마련하고 있다는 점이다. 가요성 손가락부를 링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의 부상면과 직교하는 면외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것의 영향을 더욱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슬라이더는 잘록부(24a)에 걸리지 않도록 부착부(24)에 부착된다. 이 때문에, 잘록부(24a) 자체도 가요성 손가락부(22)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하고, 슬라이더의 부상면과 직교하는 슬라이더의 움직임(피칭, 롤링, 상하운동)을 구속하는 일 없이 슬라이더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환언하면, 슬라이더의 소형화에 따라 슬라이더의 공기막강성이 저하하고 있고, 그 때문에 슬라이더의 면외방향(부상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일 없이 지지하는 것이 짐벌에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짐벌에서는 잘록부(24a)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짐벌의 피칭과 롤링강성을 저하시켜서 슬라이더의 운동을 구속하는 것을 보다 적게 하고, 슬라이더를 지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도 17에 제5 실시예의 전체도를 도시한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형 루프(30)은 짐벌의 가요성 손가락부(22)의 상면에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루프선단(30a)는 짐벌의 선단에 마련된 2개의 단차부(23)에 대략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루프선단(30a)는 짐벌의 선단을 초과하고 있지 않다.
또, 도면중의 D-D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형 루프(30)은 가요성 손가락부(22)와 대략 동일 폭을 갖고, 가요성 손가락부(22)의 상면을 피복하고 있다. 링형 루프(30)의 창(16)내에 슬라이더부착면(24)를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창(16)에서 슬라이더부착면(24)를 향해서 UV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와 부착면 사이의 접착제를 단시간에 경화시킬 수 있게 된다. 슬라이더는 부착부(24)의 대략 바로 아래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도시하고 있지 않다. UV광은 직접적으로 접착제에 닿아도 또 반사(산란)광으로서 비스듬히 입사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도 17의 (b)의 기능설명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충격에 의해 슬라이더가 롤링운동(좌우의 회전운동)을 실행한 경우에 있어서도 가요성 손가락부(22)의 상부에 마련한 링형 루프(30)이 그 운동을 구속하므로 슬라이더가 크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 9에 도시한 접촉면적비를 작게 할 수 있어 디스크와의 접촉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충격에 의한 슬라이더의 피칭운동(전후의 회전운동)에 관해서는 루프선단(30a)가 짐벌의 선단을 피복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더와 함께 회전하는 짐벌이 루프에 접촉하고, 슬라이더가 피칭방향으로 크게 회전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접촉면적비를 작게 할 수 있게 되어 접촉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루프의 기계적인 강성은 짐벌의 그것에 비해 높으므로, 슬라이더의 운동에 따라 운동하는 짐벌의 변형을 중지시킬 수 있게 되어 있는 점은 물론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중요한 것은 루프의 선단이 짐벌의 선단을 초과하지 않고 대략 짐벌의 형상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는 점이다. 이것에 의해, 루프를 마련하는 것에 의한 로드빔의 질량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슬라이드의 충격에 의한 회전을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만일, 짐벌의 크기를 초과해서 루프를 마련하면 로드빔의 질량이 증가하고, 이것에 의해 특히 캐리지 회전중심으로부터의 헤드환산질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데이타의 액세스속도의 저하를 야기한다.
또, 고유진동을 저하시키고 자기헤드의 위치결정정밀도를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짐벌의 크기를 초과한 루프를 마련해도 그 루프의 효과는 짐벌과 동등한 크기의 루프의 효과와 마찬가지이다. 이것은 루프에 의해 구속되는 회전각이 루프의 폭을 짐벌의 폭으로 해도 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공기막강성이 작은 슬라이더에 대해서 최적의 내충격 자기헤드 지지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 18에 도시한다. 본 실시예와 제5 실시예의 차이점은 루프(30)에 창(31)을 마련하고 있다는 점이다. 창(31)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루프를 경량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캐리지(9)의 피벗베어링(7)을 회전중심으로 한 자기헤드 지지기구의 관성모멘트를 작게 할 수 있고 고속의 시크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 외부충격의 값이 커지면 루프(30) 자체가 변형하여 슬라이더 자세를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루프(30)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루프의 폭을 넓게 하거나 두께를 증가시켜서 루프의 정적인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자중이 증가해서 충격에 의해 루프 자체가 쉽게 휘어진다(동(動)강성의 저하). 또, 피벗베어링(7)을 회전중심으로 한 관성모멘트가 증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루프(30)에 창을 마련해서 루프(30)의 질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 결과로서, 자기헤드 지지기구의 내충격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도 19, 도 20에 도시한다. 본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은 본 실시예에서는 짐벌과 로드빔이 일체로 형성되고 피벗이 없다는 점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2, 4와 동일 기능의 부재는 동일 부호를 붙였다.
슬라이더(4)는 부착부(24)에 부착되고, 부착부(24)는 횡프레임(25)에 연접하고, 횡프레임의 양측에서 2개의 가요성 손가락부(22)가 플랜지(12)에 연접하고 있다. 또, 플랜지의 평탄부(12a)의 슬라이더측의 끝부에는 슬라이더의 배면(4a)의 상면에 루프(40)이 마련되어 있다. 이 루프(40)은 플랜지부(12)의 L형 구부림부(12c)를 프레스성형할 때 동시에 성형된다. 도 20에서 슬라이더의 배면(4a)의 상부에 루프(40)이 마련되어 있다. 이 루프(40)의 효과는 제1 실시예의 효과와 동일하고 슬라이더(4)가 충격에 의해 크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루프(40)이 있으면 슬라이더의 회전이 구속되어 디스크와의 접촉각은 작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내충격성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도 21, 도 22, 도 23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와 제7 실시예의 차이점은 본 실시예에서는 루프 대신에 부착부(24)와 플랜지(12)를 FPC(50)에 의해 접합한 점에 있다. 접합은 접착제로 실행하지만, 양면 접착테이프와 같은 것이어도 좋다. FPC(50)은 플렉시블 프린티드 서킷(Flexible Printed Circuit)의 약어로서,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 상에 헤드로부터의 신호를 송수신(수수)하기 위한 동(銅)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선이 마련되어 있다. FPC(50)의 한쪽끝(50b)는 슬라이더(4)에 부착되어 자기헤드에 연결되고, 다른쪽끝(50c)는 자기디스크장치의 신호회로와 연결되어 있다. FPC(50)은 가요성으로서, 면외방향으로는 휘기 쉽고, 면내방향(인장방향)으로는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FPC(50)은 슬라이더의 부상특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고리(loop)형상의 휨(50a) 즉 인장시의 여유를 마련하고 있다.
한편, 충격이 입력된 경우에는 슬라이더가 피칭방향으로 크게 움직이고(기울어지고), 그 움직이는 양이 고리형상의 휨(50a)가 신장하는 것에 의해 허용가능한 범위를 초과한다. 즉,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면 신장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FPC(50)의 휨(50a)는 슬라이더(4)의 움직임을 도 23과 같이 구속한다. 이 때문에, 충격에 의해 슬라이더(4)가 크게 회전하는 일은 없다. 여기서, FPC(50)의 형상을 고리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휨 즉 인장방향의 여유를 마련했지만, 형상을 직선형상으로 해서 산형 즉 볼록형으로 면외방향으로 휘게 해도 좋다. 단, 볼록형으로 휘게 하는 경우에는 디스크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고리형상은 디스크방향으로 접근하는 일은 없으므로, 이 점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제7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제7 실시예와 같이 루프를 마련하면, 확실하게 충격에 의한 슬라이더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부(24)와 플랜지(12)를 FPC로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FPC에 한정되지 않고 면외방향으로 저강성으로서 휘기 쉽고, 반면에 면내방향으로는 고강성으로서 인장에 강한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구체적인 1예로서는 필름형상(박판의) 금속 또는 와이어와 같은 것이어도 좋다. 또, 이 와이어는 자기헤드의 신호로서 겸용해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FPC의 형상을 고리형상으로 해서 인장방향에 휨(인장시의 여유)을 마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와이어의 부착대(24)와 플랜지 사이에 핀을 끼워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더 부상 특성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휘게 하여(인장시에 여유를 남겨) 부착한다. 또, 이 와이어의 한쪽끝을 자기헤드와 연결하고, 다른쪽끝을 자기디스크장치의 회로와 연결해서 신호선으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도 23에 도시한 고리형상의 휨(50a), 부착부(24), 횡프레임(25)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프렉쳐라고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충격성능이 높은 자기 디스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기 디스크 장치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기헤드 지지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자기헤드 지지기구 선단부의 상세도,
도 3의 (b)는 도 3의 (a)의 R-R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기헤드 지지기구의 측면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로드빔의 루프부의 평면도,
도 5의 (b)는 본 발명의 로드빔의 루프부의 측면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짐벌형상의 평면도,
도 6의 (b)는 도 6의 (a)의 C부 확대도,
도 6의 (c)는 도 6의 (a)의 D-D방향에서 본 도면,
도 7의 (a)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7의 (b)는 도 7의 (a)의 최대회전시의 상태도,
도 8의 (a)는 제1 실시예의 최대피치각의 도면,
도 8의 (b)는 종래형 자기헤드 지지기구의 최대피치각의 도면,
도 9의 (a)는 블리드부의 각도가 90°와 45°인 경우의 접촉면적의 비교도,
도 9의 (b)는 블리드부의 각도가 90°일 때와 45°일 때의 상태도,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로드빔의 상면도,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로드빔의 하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로드빔의 상면도,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로드빔의 상면도,
도 12의 (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로드빔의 측면도,
도 13의 (a)는 종래의 자기헤드 지지기구의 구성도,
도 13의 (b)는 도 13의 (a)의 로드빔의 도면,
도 14의 (a)는 도 13의 (a)의 B-B 단면도,
도 14의 (b)는 도 14의 최대회전각도의 도면,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로드빔의 상면도,
도 15의 (b)는 도 15의 (a)의 C-C 단면도,
도 16의 (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짐벌부의 상면도,
도 16의 (b)는 도 16의 (a)의 측면도,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전체구성도,
도 17의 (b)는 도 17의 (a)가 최대회전시의 D-D 단면부의 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로드빔의 상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A-A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2는 도 21의 상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

Claims (8)

  1. 자기디스크에 데이타를 라이트하고 재생하는 자기헤드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자기디스크면상에 부상하는 부상면을 갖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를 부착하는 슬라이더 부착부;
    상기 슬라이더 부착부의 한쪽끝에 연접하는 횡프레임;
    상기 횡프레임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더 부착부의 양측으로 연장하는 2개의 가요성 손가락부;
    상기 가요성 손가락부의 다른쪽끝에 연접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다른쪽끝에 연접하는 스프링부 및;
    상기 스프링부의 다른쪽끝에 연접하는 암부착부를 구비한 자기헤드 지지기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횡프레임에 연접하는 끝부와는 반대측의 끝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고리형상의 휨부를 형성한 탄성부재에 의해 연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헤드 지지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자기헤드로 또는 상기 자기헤드로부터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전기배선부재(F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헤드 지지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착부, 상기 횡프레임, 상기 가요성 손가락부,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스프링부가 1매의 금속판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헤드 지지기구.
  4. 자기디스크 및,
    자기디스크에 데이타를 라이트하고 재생하는 자기헤드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자기디스크면상에 부상하는 부상면을 갖는 슬라이더를 상기 자기디스크상에서 유지하는 자기헤드 지지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헤드 지지기구에
    상기 슬라이더를 부착하는 슬라이더 부착부;
    상기 슬라이더 부착부의 한쪽끝에 연접하는 횡프레임;
    상기 횡프레임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더 부착부의 양측으로 연장하는 2개의 가요성 손가락부;
    상기 가요성 손가락부의 다른쪽끝에 연접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다른쪽끝에 연접하는 스프링부 및;
    상기 스프링부의 다른쪽끝에 연접하는 암부착부를 구비한 자기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횡프레임에 연접하는 끝부와는 반대측의 끝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고리형상의 휨부를 형성한 탄성부재에 의해 연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자기헤드로 또는 상기 자기헤드로부터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전기배선부재(F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착부, 상기 횡프레임, 상기 가요성 손가락부,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스프링부가 1매의 금속판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01-0026114A 1997-08-26 2001-05-14 자기디스크 장치 KR100506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229091 1997-08-26
JP1997229091A JP3546655B6 (ja) 1997-08-26 磁気ヘッド支持機構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922A Division KR100307605B1 (ko) 1997-08-26 1998-08-21 자기헤드지지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868A Division KR100393843B1 (ko) 1997-08-26 2002-04-22 자기 디스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542A KR20010070542A (ko) 2001-07-25
KR100506442B1 true KR100506442B1 (ko) 2005-08-05

Family

ID=1688661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922A KR100307605B1 (ko) 1997-08-26 1998-08-21 자기헤드지지기구
KR10-2001-0026114A KR100506442B1 (ko) 1997-08-26 2001-05-14 자기디스크 장치
KR10-2002-0021868A KR100393843B1 (ko) 1997-08-26 2002-04-22 자기 디스크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922A KR100307605B1 (ko) 1997-08-26 1998-08-21 자기헤드지지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868A KR100393843B1 (ko) 1997-08-26 2002-04-22 자기 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7) US6226153B1 (ko)
KR (3) KR100307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605B1 (ko) * 1997-08-26 2001-10-19 가나이 쓰도무 자기헤드지지기구
US6950282B2 (en) * 1998-10-07 2005-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reducing damage due to head slap within a hard disk drive
US7002780B2 (en) * 2000-11-01 2006-02-21 Seagate Technology Llc Suspension design for elevated slider attachment
JP3762694B2 (ja) * 2001-12-07 2006-04-05 日本発条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用サスペンション
US6757137B1 (en) * 2001-09-30 2004-06-29 Magnecomp Corporation Stiffness controlled disk drive suspension with limiter feature
JP2003151232A (ja) * 2001-11-08 2003-05-23 Nhk Spring Co Ltd ディスクドライブ用サスペンション
JP2003173643A (ja) * 2001-12-07 2003-06-20 Nhk Spring Co Ltd ディスクドライブ用サスペンション
US8254346B2 (en) * 2002-09-17 2012-08-28 Broadcom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ing end-points that utilize a link layer connection in a wired/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4215658B2 (ja) * 2004-02-18 2009-01-28 ヒタチグローバルストレージテクノロジーズネザーランドビーブイ サスペンション及びデータ記憶装置
US8811456B2 (en) * 2006-04-19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low latency multi-hop communication
US20080084638A1 (en) * 2006-10-09 2008-04-10 Seagate Technology Llc Material Selection for a Suspension Assembly
JP4854043B2 (ja) * 2008-10-01 2012-01-11 東芝ストレージデバイス株式会社 磁気ヘッドアセンブリおよび磁気ディスク装置
US8446695B1 (en) 2010-09-13 2013-05-21 Magnecomp Corporation Suspension ring gimbal having forwardly extending torsion arms
US8760814B1 (en) * 2013-02-26 2014-06-24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head suspension assembly having a DLC coating between dimple and tongue
US8976491B1 (en) * 2013-05-09 2015-03-1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head suspension distal non-op shock limiter with branched arms
US11501796B1 (en) * 2022-06-10 2022-11-15 Magnecomp Corporation Gimbal assembly geometry for hard disk driv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5A (en) * 1839-12-07 Spark-catchee
US5245488A (en) * 1986-08-13 1993-09-14 Seiko Epson Corporation Low-noise composite magnetic head for recording and producing
US4724500A (en) * 1986-08-14 1988-02-09 Tandon Corporation Mechanism for preventing shock damage to head slider assemblies and disks in rigid disk drive
JPH077563B2 (ja) 1986-09-30 1995-01-30 株式会社東芝 磁気デイスク装置
JPH03154273A (ja) 1989-11-13 1991-07-02 Nec Ibaraki Ltd 磁気ヘッド位置決め機構
JP3154273B2 (ja) 1990-04-09 2001-04-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音楽情報表示装置
US5333085A (en) * 1990-11-06 1994-07-26 Seagate Technology, Inc. Read/write gimbal with limited range of motion
US5282103A (en) * 1992-10-07 1994-01-25 Read-Rite Corporation Magnetic head suspension assembly fabricated with integral load beam and flexure
JP2881188B2 (ja) * 1993-07-12 1999-04-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円板記憶装置及びそのヘッドサスペンション
JPH0778436A (ja) 1993-09-09 1995-03-20 Sony Corp ヘッド浮上装置
USH1425H (en) * 1993-09-22 1995-04-04 Wolter; Raymond R. Head suspension assembly having improved frequency response, accurate head positioning and minimized flying variation
US5634259A (en) * 1994-03-17 1997-06-03 Fujitsu Limited Method of manufacturing a magnetic head
US5473488A (en) * 1994-08-03 1995-12-05 Hutchinson Technology Incorporated Static attitude adjustment via a solidified drop for a magnetic head suspension
US5526205A (en) * 1994-08-29 1996-06-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ducer suspension system
JP2888761B2 (ja) 1994-09-01 1999-05-10 サンコール株式会社 浮上型磁気ヘッド支持装置
JP2667372B2 (ja) 1994-09-27 1997-10-2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磁気ディスク装置の耐衝撃構造
JPH08339644A (ja) * 1995-06-06 1996-12-24 Hewlett Packard Co <Hp> 剛性アクチュエータアーム構造を有するディスク装置
US5666241A (en) * 1995-07-10 1997-09-09 Magnecomp Corp. Double dimple disk drive suspension
US5815349A (en) * 1995-09-21 1998-09-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uspension with wire protection which does not impact slider movements
JPH09147510A (ja) 1995-11-27 1997-06-06 Fujitsu Ltd ヘッドアセンブリ及びこれが使用される記憶装置
US5838517A (en) * 1995-12-01 1998-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ock protected high stack density suspension system
US5959807A (en) * 1996-06-24 1999-09-28 Hutchinson Technology, Inc. Head suspension with motion restraining tethers
US5877920A (en) * 1996-07-10 1999-03-02 Seagate Technology, Inc. Head suspension assembly with displacement limiter
US6046883A (en) * 1996-12-31 2000-04-04 Hutchinson Technology Incorporated Head suspension having a flexure motion limiter
GB2321832B (en) * 1997-01-30 1999-01-06 Motorola Israel Ltd Method to train a radio
KR100307605B1 (ko) * 1997-08-26 2001-10-19 가나이 쓰도무 자기헤드지지기구
US6226773B1 (en) * 1999-10-20 2001-05-01 At&T Corp. Memory-minimized architecture for implementing map decoding
US6757137B1 (en) * 2001-09-30 2004-06-29 Magnecomp Corporation Stiffness controlled disk drive suspension with limiter feature
US7087465B2 (en) * 2003-12-15 2006-08-08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Method of packaging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30057A1 (en) 2007-10-04
US20020196586A1 (en) 2002-12-26
US7885039B2 (en) 2011-02-08
US20040027884A1 (en) 2004-02-12
US6621663B2 (en) 2003-09-16
JPH1166781A (ja) 1999-03-09
US6954337B2 (en) 2005-10-11
KR20010070542A (ko) 2001-07-25
US20090073613A1 (en) 2009-03-19
KR100307605B1 (ko) 2001-10-19
KR100393843B1 (ko) 2003-08-06
US20060023361A1 (en) 2006-02-02
US7450345B2 (en) 2008-11-11
US6552877B2 (en) 2003-04-22
US7248439B2 (en) 2007-07-24
US20010009489A1 (en) 2001-07-26
KR19990023761A (ko) 1999-03-25
US6226153B1 (en) 2001-05-01
KR20020040715A (ko) 2002-05-30
JP3546655B2 (ja) 200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6442B1 (ko) 자기디스크 장치
EP0442225B1 (en) Head/gimbal assembly having low stiffness cross band flexure
JP2752314B2 (ja) 可撓体、組立体および可撓体を作る方法
US7076859B2 (en) Method of limiting movement of a head suspension away from disk surface
JP3057037B2 (ja) 超音波接着実行方法、サスペンション・アセンブリを変形させ維持させ解除する方法
JPH0536035A (ja) 磁気デイスク装置の磁気ヘツド支持装置
US6747849B1 (en) High performance suspension with reduced flow-induced vibration
US5455727A (en) Transducer suspension assembly with a first pair of flanges for raising the resonant frequency and a second pair of flanges for increasing stiffness
EP1376544A1 (en) Magnetic head apparatus, magnetic head supporting mechanism and magnetic recording apparatus
JPH11162086A (ja) 磁気ヘッド支持装置
JP2010086630A (ja) 磁気ヘッドアセンブリおよび磁気ディスク装置
US10127936B2 (en) Dynamic vibration absorber, flexure, and head support mechanism
JP3047084B2 (ja) ディスク記憶装置のヘッド支持機構
JP3546655B6 (ja) 磁気ヘッド支持機構
JP2000076812A (ja) 磁気ヘッド支持機構
JP2000076810A (ja) 磁気ヘッド支持機構
JP3200893B2 (ja) 浮動型磁気ヘッド装置
JPH05242621A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2004178809A (ja) 磁気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1114

Effective date: 200503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10100430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1114

Effective date: 200503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