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141B1 - 내열성및부착성이우수한광경화형도막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열성및부착성이우수한광경화형도막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141B1
KR100506141B1 KR1019960081056A KR19960081056A KR100506141B1 KR 100506141 B1 KR100506141 B1 KR 100506141B1 KR 1019960081056 A KR1019960081056 A KR 1019960081056A KR 19960081056 A KR19960081056 A KR 19960081056A KR 100506141 B1 KR100506141 B1 KR 100506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iacrylate
formula
acrylate
coa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1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684A (ko
Inventor
이원상
이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19960081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141B1/ko
Publication of KR19980061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8Polyesters modified with higher fatty oils or their acids, or with natural resins or resin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로서, 구체적으로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10∼60중량%, 수산기를 함유한 다관능아크릴레이트 10∼50중량%, 비반응성수지 10∼60중량%, 반응성모노머 10∼60중량%, 광개시제 0.1∼20중량%, 산촉매 0.1∼10중량%, 레벨링제 0.1∼5중량% 및 첨가제 소량을 함유한 데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 조성물은 열 및 자외선 동시 경화를 가능케 한 멜라민아크릴레이트 사용, 경화수축율을 줄이므로서 부착성을 향상시켰으며, 열경화 과정에서 멜라민과 수산기를 함유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반응을 통해 불포화기를 도입하여 자외선 경화시의 가교밀도 증대를 통해 내열성을 향상시켰다.

Description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Paint composition of optical hardening type}
본 발명은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수산기를 함유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비반응성 수지, 반응성 모노머, 광개시제, 산촉매, 레벨링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도막 조성물로서 섬유강화플라스틱(FR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아마이드(나이론-66),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또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등의 내열성 플라스틱 성형품, 즉 자동차용품, 전기/전자용품, 기타 산업용 용품에 코팅하여 성형품의 미관, 내구성, 내열성 및 기타 물성을 향상시키는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램프류 반사경의 금속 진공증착막과 내열성이 요구되는 전자부품 및 산업용 제품의 표면은 하도 코팅을 통해 금속증착막과의 부착성을 부여하고 증착막의 광택을 향상시켜 반사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러한 코팅 재료로서 종래에는 아크릴계 열경화형 수지,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열경화형 도료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열경화형 도료는 도막을 형성하기 위해 열에 장시간 노출시켜야 하므로 생산량이 떨어지고, 높은 온도로 인해 플라스틱 성형품의 부착성, 내열성, 내수성 등의 물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며, 또한 도장시 작업상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상의 광경화형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도막(도료)조성물,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제73183호, 제74985호, KCC 출원번호 95-68614, 미국 특허 제3,782,061호, 제3,850,770호, 제3,891,523호, 제3,907,574호, 제3,932,356호 및 제4,301,209호, 일본 특허 소화 59-117,561호, 63-221,119호에 개시된 도막 조성물을 이용하였으나, 이 또한 내열성, 내수성, 내약품성 등의 물성이 미비하고 특히 내열성이 요구되는 전자부품 및 산업용 플라스틱 성형품에는 적용이 어려웠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성 플라스틱 성형품, 즉 자동차용품, 전기/전자용품, 기타 산업용 용품에 코팅하여 성형품의 미관, 내구성, 내열성 및 기타 물성을 향상시키는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은,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수산기를 함유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반응성모노머, 비반응성수지, 광개시제 등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특히 멜라민 아크릴레이트는 열 및 자외선 동시 경화를 가능케하여 경화수축율이 줄어들게 되므로 부착성이 향상되고 열경화 과정에서 멜라민과 수산기를 함유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반응을 통해 불포화기를 도입하여 자외선 경화시 가교밀도 증대되므로 내열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는 멜라민 아크릴레이트로 하기 화학식1 또는 화학식3으로 표시된 것을 사용한다.
[화학식1]
상기 화학식1에서, R1은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n은 0∼6 사이의 수이며, R2는 하기 화학식2로 표현된다.
[화학식2]
상기 화학식2에서, R3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m은 1∼6 사이의 수이다.
[화학식3]
상기 화학식3에서, R1은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n은 0∼6 사이의 수이며, R4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다.
상기 화학식1 및 3에서 사용가능한 멜라민은 헥사메틸올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올멜라민, 헥사부톡시메틸올멜라민, 모노메톡시메틸올멜라민, 모노부톡시메틸펜타메틸올멜라민, 디메톡시메틸테트라메틸올멜라민, 디부톡시메틸테트라메틸올멜라민, 트리메톡시메틸프로판메틸올멜라민, 트리부톡시메틸프로판메틸올멜라민, 테트라메톡시메틸디메틸올멜라민, 테트라부톡시메틸디메틸올멜라민, 펜타메톡시메틸모노메틸올멜라민, 펜타부톡시메틸모노메틸올멜라민 등이 있다.
화학식2로 표현되는 수산기를 함유한 단관능 아크릴레이트로는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펜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펜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헥실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또한 화학식3에 있어서 멜라민과 반응하는 아마이드로는 아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아마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1 또는 화학식3의 멜라민 아크릴레이트는 멜라민과 수산기를 함유한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마이드를 1 : 0∼6 의 몰비를 적용하여 산촉매와 중합금지제를 넣고 90∼100℃ 온도에서 반응시켜 불포화 이중결합을 도입하고 반응완료시점에서 진공조건하에서 부산물을 제거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합성한 멜라민 아크릴레이트의 적정반응비는 멜라민 :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마이드의 몰비가 1:2∼1:4인 것이 좋다.
만일 1:2 미만으로 적용할 경우에는 자외선경화시의 경화성이 불량하고, 1:4 이상으로 적용하면 부착성이 불량하다. 이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도료조성물의 10∼60중량%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도료에 적용시 자외선 경화반응에 앞서 블로킹된 산촉매와 100∼150℃에서 5∼20분 동안 수산기를 함유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와 반응시킨다. 이때 수산기를 함유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디알릴에테르,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알릴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올프로판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올프로판 디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디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크릴레이트 등이 도막 조성물의 10∼50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만약 10중량% 이하로 사용하면 경시변화에 따라 부착성 및 내열성이 불량해지고 50중량% 이상 사용하면 도료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소지 및 금속막과의 부착성 증진을 위해 비반응성수지를 도막 조성물의 10∼60중량%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화합물들과의 상용성이 양호한 알키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비닐부틸알 수지, 폴리비닐크로라이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중 특히 알키드 수지를 사용할 경우 부착성이 매우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 알키드 수지로는 일반적으로 지방산과 다관능 알코올을 190∼250℃ 온도하에서 적정촉매를 사용하여 축합반응으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이때 알키드 수지 제조에 사용되는 지방산으로는 아비에틱산, 벤조익산, p-부틸벤조익산, 카프로익산, 카프릴릭산, 카프릭산, 카스토르 패트산, 코코넛 패트산, 2-에틸헥소익산, 라우릭산, 리오레익산, 리놀에익산, 올레익산, 페라고닉산, 소야빈 패트산, 톨오일 패트산, 아디픽산, 크로렌딕산, 푸말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프탈릭언하이드라이드 등이 있으며, 다관능 알콜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펜탄다이올, 네오펜틸다이올, 헥실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에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톨, 디펜타에리스톨, 소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열경화 과정후 화학식1 또는 화학식3의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및 반응성모노머와 함께 통상의 광개시제에 의하여 자외선 경화된다.
이때 사용가능한 반응성모노머로는 밑단에 이중결합을 2 내지 6개 갖는 반응성 아크릴 모노머를 사용하는 바, 구체적으로는 1,6-헥산다이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페닐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메톡시레이티드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 모노머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레이티드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프로필레이티드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 모노머와,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알콕시레이티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모노머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경화물성을 고려하여 도막 조성물의 10∼60중량%인 것이 좋다.
광개시제로는 자외선에 의해 활성을 띠는 통상의 중합개시제가 사용되며, 특히 벤조페논계, 벤질디메틸케탈계, 아세토페논계, 아드라쿠논계, 티옥산톤계,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아미노알킬페논계, 하이드록시알킬페논계, 디알콕시아세토페논계, 벤질케탈계 등의 2-하이드록시 1,2-디페닐에타논, 2-에톡시 1,2-디페닐에타논, 2-이소프로필 1,2-페닐에타논, 2-부톡시 1,2-디페닐에타논, 2-이소부톡시 1,2-디페닐에타논, 2,2-디메톡시 1,2-디페닐에타논, 2,2-디부톡시 1-페닐 에타논,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디메톡시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 2-메틸프로파논, 2-메틸 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파논, 2-벤질 2-디메틸아미노 1-(4-모르폴리노페닐) 부타논 또는 3,6 비스[2-메틸]-2-모르폴리노(프로파노닐)-부틸카바졸 등을 사용하며, 그 사용량은 도막 조성물 0.1∼20중량%인 것이 좋다.
상기의 열경화 반응시 사용되는 산촉매는 도료저장성을 고려하여 블록킹된 타입을 사용한다. 그 종류로는 디노닐나프탈렌술포닉산, 디노닐나프탈렌디술포닉산, 도데실벤젠술포닉산, 파라톨루엔술포닉산 등이 사용되는데, 반응속도를 고려할 때 도막 조성물의 0.1∼10중량%로 사용한다.
레벨링제로는 실리콘 디아크릴레이트계나 실리콘 폴리아크릴레이트계의 화합물을 도막 조성물의 0∼10중량%로 사용한다.
또한 도막 조성물에 반광이나 무광이 요구될 때에는 요구되는 광택에 따라 소광제를 전제 조성물의 1∼10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성형품에 대한 도장 작업은 스프레이, 디핑 또는 코팅의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플라스틱의 재질, 성형품의 형상 및 도막 두께에 따라 유리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도장 방법에 따라 각각 다른 점도가 요구되며, 이는 휘발성 용제를 적당량 첨가하여 점도를 조절함으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휘발성 용제는 도장 작업시 경화전에 플라스틱 소지에 화학적인 충격을 주어 도막의 부착성을 증대시킨다. 이때 용제로는 케톤류, 아세테이트류, 방향족 화합물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사용량은 바니쉬/용제 중량비를 4/1∼1/4로하여 사용한다.
아울러, 기타 첨가제로는 소포제 등을 공지 화합물의 특성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도막 조성물은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10∼60중량%, 수산기를 함유한 다관능아크릴레이트 10∼50중량%, 비반응성수지 10∼60중량%, 반응성모노머 10∼60%, 광개시제 0.1∼20중량%, 산촉매 0.1∼10중량%, 레벨링제 0.1∼5중량% 및 첨가제 소량을 함유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내열성, 부착성, 내수성 등의 물성을 고려할 때, 멜라민아크릴레이트 20∼30중량%, 수산기를 함유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15∼25중량%, 비반응성수지 20∼40중량%, 반응성모노머 25∼35중량%, 광개시제 4∼10중량%, 산촉매 2∼8중량%, 레벨링제 0.5∼1중량% 및 첨가제 소량을 함유한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멜라민 아크릴레이트와 수산기를 함유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반응성모노머를 사용하는데 이중 멜라민 아크릴레이트와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도막의 가교밀도가 증가되어 내열성, 내수성 등의 물성이 양호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 실시예에서는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합성 및 합성한 멜라민아크릴레이트 수지, 수산기를 함유한 다관능아크릴레이트, 비반응성수지, 반응성모노머를 이용한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의 물성을 비교예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멜라민 아크릴레이트의 제조
제조예1
온도계가 장착된 4구 플라스크안에 헥사메톡시메틸올멜라민(MONSANTO사, 제품명: RESIMENE 747) 736중량부와 하이드록시 에틸아크릴레이트 258중량부, 반응촉매인 파라톨루엔술포닉산 1중량부, 중합금지제인 모노메틸하이드로퀴논 5중량부를 넣고 90℃로 유지반응시킨다. 반응완료시점에서 온도를 110℃로 승온하여 진공장치를 통해 부산물인 메틸알코올을 제거하여 멜라민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한다.
제조예2
온도계가 장착된 4구 둥근플라스크안에 하이드로부톡시메틸올멜라민 (MONSANTO사, 제품명: RESIMENE 757) 770중량부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24 중량부, 반응촉매인 파라돌루엔술포닉산 1중량부, 중합금지제인 모노메틸하이드로퀴논 5중량부를 넣고 90℃로 유지반응시킨다. 반응완료시점에서 온도를 110℃로 승온하여 진공장치를 통해 부산물인 부틸알코올을 제거하여 멜라민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한다.
제조예3
온도계가 장착된 4구 둥근플라스크안에 하이드로메톡시메틸올멜라민 (MONSANTO사, 제품명: RESIMENE 757〕730중량부와 아크릴아마이드 264중량부, 반응촉매인 파라톨루엔술포닉산 1중량부, 중합금지제인 모노메틸하이드로퀴논 5중량부를 넣고 90℃로 유지반응시킨다. 반응완료시점에서 온도를 110℃로 승온하여 진공장치를 통해 부산물인 메틸알코올을 제거하여 멜라민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한다.
실시예1
제조예1에서 합성한 멜라민 아트릴레이트 350중량부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UCB사, 제품명: TMPTA) 210중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아크릴레이트 120중량부, 유변성알키드 수지(고려화학, 제품명: SOYABIN OIL을 사용한 R1466) 160중량부를 50℃에서 교반한 후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스위스 CIBA-GEIGY사, 제품명: IRGACURE 184) 45중량부, 파라톨루엔술포닉산(KING사, 제품명: NACURE 2530〕35중량부, 실리콘 폴리아크릴레이트(벨기에 UCB사, 제품명: EBECRYL 350) 5중량부,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초산부틸의 혼합용제 75중량부를 완전히 교반하여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제조예 2에서 합성한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310중량부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UCB사, 제품명: TMPTA) 210중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아크릴레이트) 120중량부, 유변성알키드 수지(고려화학, 제품명: SOYABIN OIL을 사용한 R1466) 160중량부를 50℃에서 교반한 후 1-하이드록시싸이크로헥실페닐케톤(스위스 CIBA-GEIGY사, 제품명: IRGACURE 184) 45중량부, 파라톨루엔술포닉산(KING사, 제품명: NACURE 2530) 35중량부, 실리콘 폴리아크릴레이트(벨기에 UCB사, 제품명: EBECRYL 350) 5중량부,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초산부틸의 혼합용제 115중량부를 완전히 교반하여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3
제조예3에서 합성한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350중량부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UCB사, 제품명: TMPTA) 210중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아크릴레이트 120중량부, 유변성알키드 수지(고려화학, 제품명: SOYABIN OIL을 사용한 R1466) 160중량부를 50℃에서 교반한 후 1-하이드록시싸이크로헥실페닐케톤(스위스 CIBA- GEIGY사, 제품명: IRGACURE 184) 45중량부, 파라톨루엔술포닉산(KING사, 제품명: NACURE 2530〕35중량부, 실리콘폴리아크릴레이트(벨기에 UCB사, 제품명: EBECRYL 350) 5중량부,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초산부틸의 혼합용제 75중량부를 완전히 교반한 후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4
제조예1에서 합성한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350중량부와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신증촌화학공업사, 제품명: DPHA〕210중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아크릴레이트 120중량부, 유변성알키드 수지(고려화학, 제품명: SOYABIN OIL을 사용한 R1466) 160중량부를 50℃에서 교반한 후 1-하이드록시싸이크로헥실 페닐케톤(스위스 CIBA-GEIGY사, 제품명: IRGACURE 184) 45중량부, 파라톨루엔술포닉산(KING사, 제품명: NACURE 2530) 35중량부, 실리콘 폴리아크릴레이트(벨기에 UCB사, 제품명: EBECRYL 350) 5중량부,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초산부틸의 혼합용제 75중량부를 완전히 교반한 후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5
제조예1에서 합성한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350 중량부와 1,6-헥산다이올 아크릴레이트(미원, 제품명: HDDA) 210중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아크릴레이트 120중량부, 유변성알키드 수지(고려화학, 제품명: SOYABIN OIL을 사용한 R1466) 160중량부를 50℃에서 교반한 후 1-하이드록시싸이크로헥실페닐케톤(스위스 CIBA-GEIGY사, 제품명: IRGACURE 184) 45중량부, 파라톨루엔술포닉산(KING사, 제품명: NACURE 2530) 35중량부, 실리콘 폴리아크릴레이트(벨기에 UCB사, 제품명: EBECRYL 350) 5중량부,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초산부틸의 혼합용제 75중량부를 완전히 교반한 후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1
멜라민 아크릴레이트를 우레탄 수지(UCB사, 제품명: EB284)로 대체하여 350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과 조성, 함량 및 방법으로 광경화형 도막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2
유변성알키드 수지를 아크릴 수지(ICI사, 제품명: B728) 160중량부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한 조성, 함량 및 방법으로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을 자동차 헤드렘프 반사경의 금속 진공증착용 하도로 적용하여 물성 비교 시험을 하였다.
물성시험에서는 스프레이 도장을 위해 도막 조성물에 혼합 용제인 메틸에틸케톤(MEK)과 톨루엔을 1/1 중량비로 하여 50중량%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헤드램프 소재인 섬유강화플라스틱 시험편에 스프레이 도장에 의해 20㎛ 두께로 도포하고, 120℃에서 10분간 열풍건조한 다음 경화에너지 800mJ/㎠로 UV경화(UV조사장치: 미국 아메리칸 올트라바이올렛사 제품)한 후 진공도 10∼40Torr에서 알루미늄을 진공증착(진공증착기: 한일진공사 제품)한다. 물성시험 결과는 표1과 같다.
[표1]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물성 비교표
상기 표1에서 시험후 도막외관이 양호한 것은 ○, 시험후 도막에서 잔 크랙이 현상 발생한 것은 △, 시험후 도막에서 크렉현상 및 백화현상 발생한 것은 ×로 표시하였다.
물성 시험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내열성은 180℃ 오븐내에서 96시간이 경과한 후 측정하였고, 부착성은 제이아이에스 디 0202(JIS D 0202)시험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내온수성은 40℃ 온수에서 240시간이 경과한 후 부착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내약품성 중 내산성은 상온에서 1% 황산용액에 10분간 침적후, 내알카리성은 상온에서 1% 수산화나트륨용액에 10분간 침적후, 내염수성은 상온에서 3% 염화나트륨용액에 10분간 침적후 각각 측정하였다.
상기 표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사용할 때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에 비해 내열성, 내수성이 양호하였고, 알키드수지사용시의 부착성이 아크릴수지 사용시의 부착성에 비해 양호하였다. 또한 반응성모노머에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사용할 때 2관능 아크릴레이트 사용할 때보다 내열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나 경화수축율이 커서 부착성이 불량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막 조성물은 전기부품 및 각종 산업용품과 기타 내열성이 요구되는 소지에 이용시 부착성, 내열성, 내수성, 내약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10∼60중량%,
    트리메틸올프로판디알릴에테르, 펜타에리스리톨알릴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올 디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디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수산기를 함유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10~50중량%;
    알키드 수지 10∼60중량%;
    말단에 이중결합을 2 내지 6개 갖는 반응성 아크릴 모노머 10∼60중량%;
    광개시제 0.1∼20중량%;
    산촉매 0.1∼10중량%;
    레벨링제 0.1∼5중량%; 및
    첨가제 소량을 함유하는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멜라민아크릴레이트는 화학식1 또는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
    [화학식1]
    (상기 화학식1에서, R1은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n은 0∼6 사이의 수이며, R2는 하기 화학식2로 표현된다.)
    [화학식2]
    (상기 화학식2에서, R3 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m은 1∼6 상이의 수이다.)
    [화학식3]
    (상기 화학식3에서, R1 은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n은 0∼6 사이의 수이며, R4 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다.)
  3. 제 1 항에 있어서, 말단에 이중결합을 2 내지 6개 갖는 반응성 아크릴 모노머는 1,6-헥산다이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페닐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에톡시레이티드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2관능 모노머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레이티드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프로필레이티드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3관능 모노머와,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알콕시레이티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다관능모노머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도막 조성물에 반광이나 무광이 요구될 때에는 요구되는 광택에 따라 소광제를 더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2 항, 제 9 항 및 제 12 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을 코팅한 내열성 플라스틱 성형품.
  6. 제 1 항 내지 제 2 항, 제 9 항 및 제 12 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도막 조성물을 코팅한 전기부품 및 자동차 램프 반사경의 금속 진공증착 성형품.
KR1019960081056A 1996-12-31 1996-12-31 내열성및부착성이우수한광경화형도막조성물 KR100506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056A KR100506141B1 (ko) 1996-12-31 1996-12-31 내열성및부착성이우수한광경화형도막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056A KR100506141B1 (ko) 1996-12-31 1996-12-31 내열성및부착성이우수한광경화형도막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684A KR19980061684A (ko) 1998-10-07
KR100506141B1 true KR100506141B1 (ko) 2005-11-03

Family

ID=3730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1056A KR100506141B1 (ko) 1996-12-31 1996-12-31 내열성및부착성이우수한광경화형도막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1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120B1 (ko) 2007-04-19 2014-05-26 주식회사 케이씨씨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KR20190033958A (ko) *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081B1 (ko) * 1999-08-03 2002-07-22 주식회사 유레이 내열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pvc 바닥재용 광경화 코팅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KR100545735B1 (ko) * 2004-06-21 2006-01-26 동주산업 주식회사 방화도료용 결합제 제조용 조성물
KR102258972B1 (ko) * 2019-10-14 2021-05-3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9959A (en) * 1981-01-16 1982-07-26 Sumitomo Chem Co Ltd Curable coat composition
JPS6323909A (ja) * 1986-07-16 1988-02-01 Mitsubishi Petrochem Co Ltd 光硬化性樹脂組成物
JPH05132649A (ja) * 1991-11-12 1993-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ハードコート用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17840A (ja) * 1995-02-15 1996-08-27 Hitachi Chem Co Ltd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塗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9959A (en) * 1981-01-16 1982-07-26 Sumitomo Chem Co Ltd Curable coat composition
JPS6323909A (ja) * 1986-07-16 1988-02-01 Mitsubishi Petrochem Co Ltd 光硬化性樹脂組成物
JPH05132649A (ja) * 1991-11-12 1993-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ハードコート用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17840A (ja) * 1995-02-15 1996-08-27 Hitachi Chem Co Ltd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塗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120B1 (ko) 2007-04-19 2014-05-26 주식회사 케이씨씨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KR20190033958A (ko) *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KR102015175B1 (ko) * 2017-09-22 2019-08-27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684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07747B1 (en) Radiation-curable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 of coating metal substrates therewith
KR100649074B1 (ko) 도료 조성물
US6087413A (en) UV curable clearcoat compositions and process
US5859084A (en) Radiation-curable compositions containing photoinitiators linked by a covalent bond
JPS5877890A (ja) アシルホスフィンオキシド、該化合物を光重合開始剤として含有する光重合可能体
JP2001506693A (ja) 放射線架橋性高分子アクリラートまたはメタクリラートの製造法
IE83277B1 (en) UV curable clearcoat compositions and process
JPH08301957A (ja) 末端メタアクリリル基含有結晶形ポリエステルの粉末組成物
JP4127104B2 (ja) 光重合開始剤、新規化合物および光硬化性組成物
US6384102B1 (en) Powder compositions with semi-crystalline polyester and acrylic copolymer base containing ethylenically unsaturated groups
US5977200A (en) UV curable clearcoat compositions and process
CA2180673A1 (en) Radiation-curable acrylates with built-in photoinitiators
KR100506141B1 (ko) 내열성및부착성이우수한광경화형도막조성물
KR20080097319A (ko)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JPH07330835A (ja) 低粘度速硬化性(メタ)アクリレート組成物
JP2008510867A (ja) 放射線感応性材料
JP2018178071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EP2282890A1 (en) Uv curable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aliphatic urethane acrylate resins
KR101400120B1 (ko)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JPH04505168A (ja) 改良された硬化速度を有する光硬化性ポリアミン―エン組成物
KR100202091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이관능성 반응형 4급 암모늄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KR100403667B1 (ko) 우레탄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를이용한광경화형도막조성물
KR19990061308A (ko)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제조방법
JP3019424B2 (ja) 新規なエナルギー線硬化型樹脂の製造方法
JPS58176209A (ja) 紫外線硬化性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