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972B1 -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972B1
KR102258972B1 KR1020190127042A KR20190127042A KR102258972B1 KR 102258972 B1 KR102258972 B1 KR 102258972B1 KR 1020190127042 A KR1020190127042 A KR 1020190127042A KR 20190127042 A KR20190127042 A KR 20190127042A KR 102258972 B1 KR102258972 B1 KR 102258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arrier
transparent adhesive
barrier film
layer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4009A (ko
Inventor
박준우
진상우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7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97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08L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5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a primer layer between the carrier and the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기재, 가스 배리어층 및 투명 접착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투명 접착층은 가스 배리어층과 결합하는 제1영역 및 유기물층과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 필름에 관한 것으로, 투명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가스 배리어층 및 투명 접착층의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우수한 가스 차단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기물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저온 공정이 가능한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GAS BARRI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우수한 가스 차단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기물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저온 공정이 가능한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용 가스 배리어 필름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무기발광체(QD), 유기발광체(OD) 등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달에 따라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디스플레이용 가스 배리어 필름은 일반적으로 높은 가스 배리어 특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가요성 필름 기재에 유기층과 무기층을 교대로 적층시켜 다층 구조 형태로 만든 것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다층 구조의 가스 배리어 필름에 있어 무기층은 가스를 차단하는 실질적인 역할을 하고 유기층은 무기층을 적층할 적층 표면의 평탄화, 기재와 무기층 간의 접착력 향상, 그리고 무기층의 크랙이나 핀홀 등의 결점을 메워 가스 배리어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다층 구조의 가스 배리어 필름은 무기층과 유기층의 수를 조절함에 따라 원하는 수준의 배리어 특성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91281호는 플라스틱 기재상에 유전체층 및 무기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통해 부착력을 높여 가스 차단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다층구조의 가스 배리어 필름은 무기층과 유기층의 수를 조절하여 원하는 수준의 가스배리어 특성을 얻을 수는 있지만, 층 수가 증가할수록 투명성이 저하되고 두께 증가에 따른 열팽창계수 차이로 내부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생산 수율의 저하로 인해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배리어 필름의 표면에 위치한 오버코팅층은 가스 배리어층 상에 코팅되어 가스 배리어 필름에 퀀텀닷(QD)과 같은 유기물층 코팅 시 유기물과 가스 배리어 필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오버코팅 공정은 고온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온의 오버코팅 공정에서 기재 필름에 열주름이 유입되어 제품의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가스 배리어 필름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층구조에서 신규한 기능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 필름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12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배리어층과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다양한 유기물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120℃ 이하의 저온에서 고속 경화가 가능한 유무기 접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대비 낮은 공정 온도에서 접착 특성을 달성할 수 있는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투명 기재, 가스 배리어층 및 투명 접착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투명 접착층은 가스 배리어층과 결합하는 제1영역 및 유기물과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접착층을 이루는 조성물은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및 산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은 멜라민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접착층을 이루는 조성물은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1 내지 300 중량부,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1 내지 300 중량부 및 산촉매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투명 접착층을 이루는 조성물은 용매로 희석되며, 전체 용매 100 중량부 중에서 알코올계 용매를 5 내지 7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기물과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제2영역은 투명 접착층에 인접하는 유기물층과 라디칼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촉매는 p-톨루엔설폰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영역은 산촉매에 의해서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 또는 실란화합물의 알콕시기가 카보늄이온 또는 이모늄이온으로 치환되어 가스 배리어층의 반응성기와 낮은 반응에너지에서 결합하여 접착특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영역은 가스 배리어층과 70 내지 120℃의 온도 범위에서 열경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스 배리어층 및 투명 접착층 사이에 위치하여 가스 배리어층을 화학물질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며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형성된 가스 배리어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접착층 상에 습식 공정을 통해 디바이스의 유기물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습식 공정은 그라비아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와이어 바 코트법, 리버스 롤 코트법, 리버스 롤 코트법, 압출 코트법, 슬라이드 코트법, 딥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콤마 코트법, 립 코트법, 다이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나이프 코트법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스 배리어 필름의 수증기 투과율은 0.1 g/m2/day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투명 기재에 가스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투명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가스 배리어층의 일면에 투명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도포된 투명 접착 조성물을 열경화하여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7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되며, 투명 접착층 상에 습식공정으로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1 내지 300 중량부,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1 내지 300 중량부 및 산촉매 1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투명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용매를 더 혼합하되, 용매는 전체 용매 100 중량부 중에서 알코올계 용매 5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 접착층에 함유된 멜라민 수지와 산촉매 기반의 반응 메커니즘에서는 별도의 가수분해 반응이 필요 없기 때문에 조액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기존 대비 저온 공정에서도 접착특성 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관의 저하 없이 제품 구성이 가능한 등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재 상에 표면처리 없이 가스 배리어층과 투명 접착층의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며, 투명 접착층이 가스 배리어 필름의 가스 배리어층과 디바이스의 구성 유기물과의 접착을 향상시켜 저온 공정에서도 우수한 접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리어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스 배리어 필름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리어 필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포함하다(comprise)", "포함하는(comprising)", "구비하다(include)", "구비하는(including) ", "함유하는(containing)", "~을 특징으로 하는(characterized by)", "갖는다(has)", "갖는(having)"이라는 용어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기타 변형은 배타적이지 않은 포함을 커버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요소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공정, 방법, 용품, 또는 기구는 반드시 그러한 요소만으로 제한되지는 않고, 명확하게 열거되지 않거나 그러한 공정, 방법, 용품, 또는 기구에 내재적인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명백히 반대로 기술되지 않는다면, "또는"은 포괄적인 '또는'을 말하며 배타적인 '또는'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리어 필름의 단면도인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가스 배리어 필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리어 필름(100)은 투명 기재(11) 상에 가스 배리어층(12) 및 투명 접착층(1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리어 필름(100)은 가스 배리어층(12) 상에 투명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된 투명 접착층(14)을 가지며, 투명 접착층(14)의 일면에 적층된 가스 배리어층(12)을 갖고, 상기 가스 배리어층(12)의 일면에 적층된 투명 기재(11)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기재(11)는 투명 가요성 고분자 필름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벤족사졸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를 필름일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투명 기재(11)는 상술한 고분자 물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고분자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투명 기재(11)는 하나의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투명 기재(11)가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형성될 경우, 각 층을 구성하는 고분자 물질은 모두 동일한 물질이거나 각 층이 서로 다른 고분자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접착층(14)은 가스 배리어층(12) 상에 투명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되며, 형성된 투명 접착층(14)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한다. 그리고 형성된 제1 영역은 가스 배리어층(12)과 결합하며, 제2 영역은 유기물과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짐으로써 가스 배리어 필름(100)이 디스플레이 장치(디바이스)에 적용될 때 디바이스에 구성된 유기물층의 유기물과 결합한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접착층(14)을 이루는 투명 접착 조성물은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및 산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은 멜라민 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아크릴레이트는 유기물과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제2영역에서 유기물층과 라디칼 결합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아크릴기를 하나 이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멜라민 아크릴레이트는 다관능성 멜라민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일 수 있으며, 분자 내 알콕시기(alkoxy group)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함유하는 올리고머로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달리, 조성물의 경화성을 향상시키면서, 도막의 부착성, 내열성, 외관 특성 및 내습성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다관능성 멜라민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3개 이상(예컨대, 3개 내지 6개)의 관능기를 갖는 멜라민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관능성 멜라민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에 따라 올리고머의 점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1,000 내지 2,000 g/㏖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다관능성 멜라민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점도(25℃)는 약 2,000 내지 4,000 cPS 범위, 예를 들어 2,500 내지 3,500 cPs 범위일 수 있다. 또한, 다관능성 멜라민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내 알콕시기와 아크릴레이트기의 함유 비율은 1 : 3-6 몰비일 수 있다.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은,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C1-C10의 알콕시 실란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메틸디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이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은 모노머 형태일 수 있고, 올리고머 또는 고분자 형태일 수도 있다.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의 함량은 용매를 제외하고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비 1 내지 3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고온고습 환경에서 유기물층과 라디칼 결합 형성이 가능한 비닐기가 충분하지 못하여 유기물층과의 접착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3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열경화 반응이 충분하지 않아 코팅층에 스크레치 등의 손상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은 가스 배리어층(12)의 히드록시기와 에폭시 반응을 통해 상호 화학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에폭시기는 글리시딜기, 글리시독시기, 또는 에폭시화된 C4-C2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이들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에폭시기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에폭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은 2-(3,4 에폭시사이클로핵실) 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다이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다이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등이며, 또는 이들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폭시기를 갖는 C1-C10의 알콕시 실란화합물은 모노머 형태일 수 있고, 올리고머 또는 고분자 형태일 수도 있다.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의 함량은 용매를 제외하고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비 1 내지 3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고온고습 환경에서 가스배리어층과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접착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3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열경화 반응이 충분하지 않아 코팅층이 스크레치 등의 손상이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산촉매는 p-톨루엔설폰산, 디노닐 나프탈렌 디설폰산, 디노닐 나프탈렌 설폰산, 도데실벤젠설폰산, 알킬 산 포스페이트, 페닐 산 포스페이트, 옥살산, 말레산, 석탄산, 아스코르브산, 말론산, 석신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산촉매는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 또는 실란화합물의 알콕시기가 카보늄이온 또는 이모늄이온으로 치환되어 가스배리어층의 반응성기와 낮은 반응에너지에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p-톨루엔설폰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촉매의 함량은 용매를 제외하고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비 1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멜라민 화합물 또는 실란화합물의 알콕시시가 카보늄 이온 또는 이모늄 이온으로의 치환이 충분하지 못하여 가스 배리어층(12)과의 반응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고온고습 환경에서 가스 배리어층(12)과 투명 접착층간 결합에 부반응을 야기시켜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 접착층(14)을 이루는 투명 접착 조성물은 용매를 제외하고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1 내지 300 중량부,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1 내지 300 중량부 및 산촉매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접착층(14)을 이루는 투명 접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아미드기, 우레아기, 또는 티올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고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 접착 조성물은 저온 고속 경화가 필요하므로 필요에 따라 UV 경화공정을 추가하여 저온에서 투명 접착 조성물의 용매를 증발시킨 후 UV 경화를 통해 경화시켜 가스 배리어 필름에 가해지는 열충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투명 접착층(14)을 이루는 투명 접착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라디칼 결합성 화합물 및 광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라디칼 결합성 화합물의 예로는, 분자 내에 하나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말레이미드,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메타)아크릴알데히드, (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비닐-2-피롤리돈 또는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 개시제의 예로는 아세토페논계 광 개시제, 벤조인 에테르계 광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 개시제, 또는 티오크산톤계 광 개시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투명 접착층(14)을 이루는 투명 접착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용매로는 알코올, 케톤, 톨루엔, 헥산 및 벤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접착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매는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알코올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이소부틸알코올, 메틸글리콜, 메틸글리콜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1-메톡시-2-프로판올) 등이며, 또는 이들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투명 접착층(14)을 이루는 투명 접착 조성물은 알코올과 비알코올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고, 이때 알코올 용매는 전체 용매 100 중량부 중에서 5중량부 내지 7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알코올 용매가 5중량부 미만인 경우 투명 접착 조성물에서 촉매의 결정화로 인하여 활성도가 저하되어 열경화 반응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7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멜라민화합물 및 실란화합물의 용해성이 저하되어 투명 접착 조성물에 백탁이 발생되며 코팅 후에도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투명 접착층(14)은 상술한 투명 접착 조성물을 가스 배리어층(12) 상에 인쇄 또는 도포한 후 열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투명 접착 조성물은 70 내지 120℃의 온도 범위에서 열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열경화 온도가 70℃ 미만인 경우 경화가 충분하지 못하여 가스 배리어층(12)과의 접착특성을 달성하기 어렵고, 120℃ 초과인 경우 투명 기재(11)의 열변형으로 인하여 필름이 수축되거나 주름이 유입되어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본원발명은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및 산촉매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120℃ 이하에서 열경화가 가능하므로 투명 기재(11)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투명 접착층(14)은 접착기능 이외에 가스 배리어층(12)을 보호하는 보호층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접착 조성물을 가스 배리어층(12) 상에 도포하여 투명 접착층(14)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투명 접착 조성물이 가스 배리어층(12)의 핀홀 혹은 크랙 등의 결함 부분을 채워줄 수 있어 경화 후 형성된 투명 접착층(14)은 가스 배리어 필름(100)의 가스 배리어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리어 필름(100)에 있어서, 투명 접착층(14)의 일면에 적층된 가스 배리어층(12)은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탄화물 및 금속 산화질화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가스 배리어층(12)은 Si, Al, Ti, Zr, Ta로 이루어진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및 금속 산화질화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으며, 이 중 산화규소 또는 산화알루미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탄화물 및 금속 산화질화물이 포함될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12)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퍼터링, 전자빔 증발, 화학 기상 증착(CVD), 플라즈마 강화 화학 증착 또는 도금 등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스퍼터링, 전자빔 증발 또는 화학 기상 증착(CVD)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배리어층(12)의 두께는 5 내지 2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배리어층(12)의 두께가 5nm 미만인 경우 가스 배리어성이 떨어지게 되며, 200nm 초과인 경우 가스 배리어성은 향상되지만 광학특성이 저하되고 가요성이 낮아져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리어 필름(100)의 수증기 투과율은 0.1 g/m2/day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배리어 필름(100)의 수증기 투과율이 0.1g/m2/day을 초과하는 경우 배리어성이 부족하여 디스플레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가스 배리어 필름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인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리어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가스 배리어 필름의 제조방법은 투명 기재에 가스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S201), 투명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202), 가스 배리어층의 일면에 투명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S203) 및 도포된 투명 접착 조성물을 열 경화하여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204)를 포함한다.
투명 기재에 가스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S201)는 준비된 투명 기재의 일면 상에 Si, Al, Ti, Zr, Ta로 이루어진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및 금속 산화질화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증착하거나 도금하는 방법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서, S201 단계에서는 스퍼터링, 전자빔 증발, 화학 기상 증착(CVD), 플라즈마 강화 화학 증착 또는 도금 등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가스 배리어층을 투명 기재에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투명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202)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및 산촉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스 배리어층의 일면에 투명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S203)를 수행한 후, 도포된 투명 접착 조성물을 열 경화하여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204)를 수행하여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한다. 이 때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204)는 70 내지 120℃의 온도에서 가스 배리어층 상에 도포된 투명 접착 조성물을 열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도포된 투명 접착 조성물을 열 경화하여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204)에서 열 경화 과정에서 투명 접착 조성물의 멜라민 화합물 또는 실란화합물의 알콕시기가 카보늄이온 또는 이모늄이온으로 치환되어 낮은 반응에너지에서 결합하여 제1 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가스 배리어 필름이 퀀텀닷(QD)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바이스의 유기물층에 적용될 때, 투명 접착층(14)의 멜라민 아크릴레이트가 갖는 아크릴기가 인접한 유기물층의 유기물과 라디칼 결합을 하여 제2 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도포된 투명 접착 조성물을 열 경화하여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204) 이후에 투명 접착층 상에 습식공정으로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가스 배리어 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제조된 가스 배리어 필름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용하기 위해 투명 접착층에 디바이스의 유기물층을 형성시킬 경우 습식 공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습식 공정은 그라비아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와이어 바 코트법, 리버스 롤 코트법, 리버스 롤 코트법, 압출 코트법, 슬라이드 코트법, 딥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콤마 코트법, 립 코트법, 다이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및 에어나이프 코트법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리어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도 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리어 필름(300)은 투명 기재(11), 가스 배리어층(12), 가스 배리어 보호층(13) 및 투명 접착층(14)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가스 배리어 필름(300)은 가스 배리어층(12) 및 투명 접착층(14) 사이에 별도의 가스 배리어 보호층(13)을 더 포함한다. 가스 배리어 보호층(13)은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스 배리어층(12)을 다른 화학물질이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가스 배리어층(12)의 가스 배리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톨루엔(메틸벤젠) 4.5g, 에틸알코올(대정화금) 1g, 메틸에틸케톤(대정화금) 4.5g, 멜라민 아크릴레이트(미원스페셜티케미칼, MIRAMER SC9610, 100wt% 고형분) 0.3g, p-톨루엔설폰산(Allnex, CYCAT4040, 40wt% 고형분) 0.03g,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 KBM-403, 100wt% 고형분) 0.03g,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 KBM-503, 100wt% 고형분) 0.03g이 포함된 투명 접착 조성물을 300rpm으로 10분 동안 교반을 진행하여 투명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투명 기재인 PET필름(Toray, U48, 100㎛ 두께)에 50nm 두께의 산화규소(SiOx)막의 가스 배리어층을 진공증착(스퍼터링) 방식으로 형성시키고, 제조된 투명 접착 조성물을 가스 배리어층의 상면에 바코팅한 후 110℃에서 1분 동안 열경화를 진행하여 0.2㎛ 두께의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여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투명 기재로 50nm 두께의 산화규소(SiOx)막의 가스배리어층이 진공증착 방식으로 형성된 PET필름을 사용하는 것 대신에 무기물 가스 배리어층과 가스 배리어 보호층이 포함된 PET필름(Toppan, GX-P)을 사용하고 투명 접착 조성물을 가스 배리어 보호층에 바코팅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톨루엔(메틸벤젠) 4g, 에틸알코올 2g, 메틸에틸케톤 4g, p-톨루엔설폰산 0.024g 이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톨루엔(메틸벤젠) 1.5g, 에틸알코올(대정화금) 7g, 메틸에틸케톤(대정화금) 1.5g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톨루엔(메틸벤젠) 4.75g, 에틸알코올(대정화금) 0.5g, 메틸에틸케톤(대정화금) 4.75g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이 0.003g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이 0.9g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이 0.003g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이 0.9g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서 p-톨루엔설폰산이 0.0075g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서 p-톨루엔설폰산이 0.225g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멜라민 아크릴레이트를 포함시키지 않고 p-톨루엔설폰산 0.15g,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0.15g,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0.15g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대신에 아크릴레이크 관능기가 없는 멜라민 수지 (Allnex, CYMEL303) 0.3g 이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p-톨루엔설폰산 0.005g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p-톨루엔설폰산 0.25g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서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0.002g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에서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1g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실시예 1에서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0.002g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실시예 1에서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1g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실시예 1에서 톨루엔(메틸벤젠) 4.8g, 에틸알코올(대정화금) 0.4g, 메틸에틸케톤(대정화금) 4.8g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실시예 1에서 톨루엔(메틸벤젠) 1.25g, 에틸알코올(대정화금) 7.5g, 메틸에틸케톤(대정화금) 1.25g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실시예 1에서 접착 조성물을 바코팅한 후 68℃에서 1분 동안 열경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실시예 1에서 접착 조성물을 바코팅한 후 150℃에서 1분 동안 열경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가스 배리어 필름과 유기물의 초기 접착성 측정
제조된 가스 배리어 필름에 유기물이 코팅되었을 경우의 접착성을 측정하였다. 가스 배리어 필름의 투명 접착층 상면에 UV 경화성 아크릴 용액 (ARAKAWA, Beamset-381)을 바코팅하여 80℃에서 1분 건조 후 300mJ/cm2의 에너지로 UV 경화하여 5㎛ 두께의 유기층을 형성시킨 후 ASTM D3359-02에 따라 코팅 표면을 X-cut한 후 테이프를 부착시킨 후 수직으로 때어낼 때 떨어지는 정도에 따라 상대적인 값으로 접착성을 평가하였다. (5B: 0%, 4B: 5% 미만, 3B: 15% 미만, 2B: 35% 미만, 1B: 65% 미만, 0B: 65% 이상)
(2) 고온고습 환경 거치 후 접착성 측정
가스 배리어 필름의 투명 접착층이 고온고습 환경에서 접착성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제조된 가스 배리어 필름을 60℃, 90% 습도 환경에서 96hr 거치시킨 후, 가스 배리어 필름의 투명 접착층 상면에 UV 경화성 아크릴 용액(ARAKAWA, Beamset-381)을 바코팅하여 80℃에서 1분 건조 후 300mJ/cm2의 에너지로 UV 경화하여 5㎛ 두께의 유기층을 형성시킨 후 ASTM D3359-02에 따라 코팅 표면을 X-cut한 후 테이프를 부착시킨 후 수직으로 때어낼 때 떨어지는 정도에 따라 상대적인 값으로 접착성을 평가하였다. (5B: 0%, 4B: 5% 미만, 3B: 15% 미만, 2B: 35% 미만, 1B: 65% 미만, 0B: 65% 이상)
(3) 내용제성 평가
가스 배리어 필름의 투명 접착층의 경화가 충분한지 확인하기 위해 투명 접착층 상에 메틸에틸케톤(대정화금) 0.2g을 떨어뜨리고 10초 후 헝겊으로 닦아내어 코팅층의 손상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 코팅층 손상이 없을 경우
X: 용매 자국이 남아 있거나 코팅층 손상이 있을 경우
(4) 열주름, 컬(Curl) 평가
제조된 가스 배리어 필름을 250mm * 250mm의 크기로 컷팅(cutting) 하여 석정반 상에 필름을 위치시켜 석정반에서 필름 중앙(center)부 또는 모서리(Edge)부에 열주름 또는 컬(Curl) 현상으로 들뜬 부분의 높이를 스틸자로 측정하여 필름의 외관 저하 수준을 평가하였다.
○: 5mm 미만
△: 5mm 이상 10mm 이하
X: 10mm 초과
(5) 외관 평가
제작된 가스 배리어 필름의 외관에 얼룩, 백탁, 줄무늬, 기포 등의 외관 불량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 외관이 양호한 경우
X : 외관이 불량한 경우
(6) 수증기 투과율(WVTR) 측정
제조된 가스 배리어 필름에 대한 투명 접착층 형성에 따른 수증기 투과율 (WVTR: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을 측정하였다. 수증기 투과율은 MOCON사 장비를 사용하여 38℃, 100% 상대 습도 조건 하에서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측정하였다.
(7) 조액 안정성 평가
투명 접착층 조성물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제조된 투명 접착층 조성물을 상온에서 24hr 거치 시킨 후 가스 배리어 필름의 투명 접착층을 형성시켜 투명 접착층의 경화 정도가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투명 접착층 상에 메틸에틸케톤(대정화금) 0.2g을 떨어뜨리고 10초 후 헝겊으로 닦아내어 코팅층의 손상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 코팅층 손상이 없을 경우
X : 용매 자국이 남아 있거나 코팅층 손상이 있을 경우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초기접착성 5B 5B 5B 5B 5B
고온고습 접착성 5B 5B 5B 5B 5B
내용제성
열주름, Curl
외관특성
WVTR (g/m2/day) 0.006 0.05 0.005 0.006 0.005
조액안정성
항목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초기접착성 5B 5B 5B 5B 5B
고온고습 접착성 5B 5B 5B 5B 5B
내용제성
열주름, Curl
외관특성
WVTR (g/m2/day) 0.007 0.006 0.006 0.005 0.006
조액안정성
항목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초기접착성 0B 2B 5B 5B 5B 5B
고온고습 접착성 0B 0B 5B 0B 0B 5B
내용제성 X X
열주름, Curl
외관특성
WVTR (g/m2/day) 0.006 0.006 0.007 0.005 0.006 0.006
조액안정성 X X
항목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2
초기접착성 5B 5B 5B 5B 0B 5B
고온고습 접착성 0B 5B 5B 5B 0B 5B
내용제성 X X
열주름, Curl X
외관특성 X
WVTR (g/m2/day) 0.007 0.007 0.006 0.006 0.006 0.005
조액안정성 X X
표 1 내지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원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0에 따른 가스 배리어 필름은 초기접착성, 고온고습 접착성, 내용제성, 열주름, 외관특성 및 조액안정성 측면에서 모두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수증기 투과율(WVTR)이 0.1 g/m2/day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스퍼터링 방식으로 가스배리어층을 형성한 다른 실시예들과 달리 무기물 가스 배리어층과 가스 배리어 보호층이 포함된 PET필름(Toppan, GX-P)을 사용한 실시예 2는 가스배리어층 상에 가스 배리어 보호층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투명접착층을 형성시켰을 경우 나머지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요구되는 필름의 물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멜라민 아크릴레이트가 제외된 비교예 1과 비닐기를 가지지 않는 멜라민 화합물이 포함된 비교예 2는 유기물과의 접착성이 확보되지 않거나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산촉매의 함량이 낮은 비교예 3은 경화가 충분하지 못하여 내용제성이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산촉매의 함량이 높은 비교예 4는 촉매가 과량 포함되어 초기접착성은 양호하지만 고온고습환경에서 가스배리어층과 투명 접착층간 결합에 부반응을 야기시켜 고온고습접착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의 함량이 낮은 비교예 5는 고온고습 신뢰성에서 가스배리어층과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접착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의 함량이 높은 비교예 6은 열경화 반응이 저하되어 내용제성 특성이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의 함량이 낮은 비교예 7은 고온고습 환경에서 유기물층과 라디칼 결합 형성이 가능한 비닐기가 충분하지 못하여 유기물층과의 접착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의 함량이 높은 비교예 8은 열경화 반응이 저하되어 내용제성 특성이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알코올 용매의 함량이 낮은 비교예 9는 조성물에서 촉매의 결정화로 인하여 활성도가 저하되고, 열경화 반응이 충분하지 못하여 조액 안정성이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알코올 함량이 높은 비교예 10은 코팅 후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열경화의 온도 범위 조건인 70 내지 120℃보다 낮은 온도(68℃)에서 열경화를 실시한 비교예 11은 접착성이 확보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고, 더 높은 고온(150℃)에서 열경화를 실시한 비교예 12는 접착성은 확보되지만 열주름과 컬(Curl) 특성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300: 가스 배리어 필름
11: 투명 기재 12: 가스 배리어층
13: 가스 배리어 보호층 14: 투명 접착층

Claims (18)

  1. 투명 기재, 가스 배리어층 및 투명 접착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투명 접착층은 상기 가스 배리어층과 결합하는 제1영역 및 유기물과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접착층을 이루는 조성물은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및 산촉매를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 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은 멜라민 아크릴레이트인, 가스 배리어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접착층을 이루는 조성물은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1 내지 300 중량부,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1 내지 300 중량부 및 산촉매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접착층을 이루는 조성물은 용매로 희석되며, 전체 용매 100 중량부 중 알코올계 용매를 5 내지 70 중량부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과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제2영역은 상기 투명 접착층에 인접하는 유기물층과 라디칼 결합을 형성하는, 가스 배리어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촉매는 p-톨루엔설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배리어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산촉매에 의해서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 또는 실란화합물의 알콕시기가 카보늄이온 또는 이모늄이온으로 치환되어 상기 가스 배리어층의 반응성기와 낮은 반응에너지에서 결합하여 접착특성을 갖는, 가스 배리어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가스 배리어층과 70 내지 120℃의 온도 범위에서 열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배리어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리어층 및 상기 투명 접착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가스 배리어층을 화학물질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며,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형성된 가스 배리어 보호층;
    을 더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접착층 상에 습식 공정을 통해 디바이스의 유기물층을 형성한, 가스 배리어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공정은 그라비아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와이어 바 코트법, 리버스 롤 코트법, 리버스 롤 코트법, 압출 코트법, 슬라이드 코트법, 딥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콤마 코트법, 립 코트법, 다이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나이프 코트법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가스 배리어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리어 필름의 수증기 투과율은 0.1 g/m2/day 이하인, 가스 배리어 필름.
  14. 투명 기재에 가스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투명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가스 배리어층의 일면에 상기 투명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투명 접착 조성물을 열경화하여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접착 조성물은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및 산촉매를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 필름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7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가스 배리어 필름의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되며, 투명 접착층 상에 습식공정으로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 필름의 제조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비닐기를 갖는 멜라민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1 내지 300 중량부,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화합물 1 내지 300 중량부 및 산촉매 1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인, 가스 배리어 필름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용매를 더 혼합하되,
    상기 용매는 전체 용매 100 중량부 중에서 알코올계 용매 5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90127042A 2019-10-14 2019-10-14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58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42A KR102258972B1 (ko) 2019-10-14 2019-10-14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42A KR102258972B1 (ko) 2019-10-14 2019-10-14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009A KR20210044009A (ko) 2021-04-22
KR102258972B1 true KR102258972B1 (ko) 2021-05-31

Family

ID=7573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042A KR102258972B1 (ko) 2019-10-14 2019-10-14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9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172B1 (ko) * 2021-07-12 2024-03-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광제어 배리어 필름, 이를 포함하는 파장변환필름, 및 디스플레이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141B1 (ko) * 1996-12-31 2005-11-03 주식회사 케이씨씨 내열성및부착성이우수한광경화형도막조성물
KR101362877B1 (ko) * 2010-12-30 2014-02-14 제일모직주식회사 가스 배리어 필름
KR101557187B1 (ko) 2012-02-07 2015-10-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 차단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829968B1 (ko) * 2016-01-08 2018-02-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유-무기 접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91396A (ko) * 2016-02-01 2017-08-0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투명 배리어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009A (ko)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5383B1 (en) Resin composite for forming hard coat layer
KR20160013402A (ko)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JP4292634B2 (ja) 反射防止積層体の製造方法
TWI587554B (zh) 機能性膜
CN110121418B (zh) 透明树脂基板
JP2016143562A (ja) 波長変換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波長変換部材の製造方法
EP1590502A1 (en) Composite barrier films and method
CN106103084A (zh) 功能性层叠膜、功能性层叠膜的制造方法、及包含功能性层叠膜的有机电致发光装置
KR102258972B1 (ko)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6108136B2 (ja) 無機粒子を含む保護コーティング層が積層されたガスバリヤ性フィルム
CN106105390A (zh) 有机电场发光装置
KR20170113451A (ko) 배리어 필름
JP2019506483A (ja) 有−無機接着組成物、これを含む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13914A (ko) 유기 전자 장치용 밀봉 부재
US20170313900A1 (en) Hard coating composition, and hard coating film, window fil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200012811A (ko) 적외선 반사 필름
JP2009244756A (ja) 透明基板
KR102141297B1 (ko) 다종 기재의 다층막 코팅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유리 코팅체
KR101967146B1 (ko) 하드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코팅층으로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
KR102192687B1 (ko)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0116234A1 (ja) ハードコート層付モールド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11801B1 (ko) 유무기 접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배리어 필름
KR100475418B1 (ko) 투명전극기판을갖는액정표시소자및투명전극기판
KR20210043697A (ko) 전자 디바이스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적층체
TWI820779B (zh) 光控屏障膜、波長轉換膜以及包括其之顯示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