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454B1 - 가속도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가속도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454B1
KR100502454B1 KR10-2002-0023064A KR20020023064A KR100502454B1 KR 100502454 B1 KR100502454 B1 KR 100502454B1 KR 20020023064 A KR20020023064 A KR 20020023064A KR 100502454 B1 KR100502454 B1 KR 100502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shaft
mass
mass body
hol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5162A (ko
Inventor
야마시타토시유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5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4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1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cceleration, e.g. by shock or vibration, inertia swit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이 물체에 비스듬하게 충돌한 경우, 마찰력에 의한 회전모멘트가 생기고, 질량체가 슬라이드축상을 이동할 때에 회전해서 덜컹거리게 되기 때문에 승차자 보호장치가 작동하는 시간이 늦어지는 염려가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관통공(1a)을 갖는 질량체(1)와 관통공(1a)을 관통하고, 질량체(1)를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축(2)을 구비하고, 관통공(1a)과 슬라이드축(2)이 2점의 접점(3a) 및 (3b)을 가지고, 질량체(1)를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관통공(1a)의 단면형상이 원형일때, 슬라이드축(2)의 단면형상은 가로가 긴 타원형이 되도록 한다. 또는, 슬라이드축(2)의 단면형상은 가로가 긴 장원형이 되도록 한다.

Description

가속도 검출장치{ACCELERATION DETECT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승차자 보호장치를 구동제어하는 승차자 보호시스템의 가속도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시스템의 차량의 승차자 보호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승차자 보호시스템)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가속도 검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종래의 가속도 검출장치를 포함한 컨트롤유닛 및 승차자 보호장치가 차량에 설치되는 위치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차량을 위쪽에서 보아서 표시하고 있다. 도 11에서 110은 가속도 검출장치를 내부에 갖는 컨트롤러 유닛이고, 차체의 센터터널(도시 않음) 내부에 설치되어있다. 111은 승차자 보호장치이고, 스티어링 휠(도시 않음)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12는 종래의 가속도 검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에서 100은 가속도 검출장치이다. 101은 소정의 질량을 갖는 질량체, 102는 질량체(101)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축이다. 103은 탄성체이고 슬라이드축(102)의 주위를 감도록 설치되어있다. 탄성체(103)의 탄성력에 의해 가속도 검출장치(100)가 동작하고 있지 않을 때는 질량체 101은 한방향으로 눌려져 있다. 104는 가동접점이고, 질량체(101)의 상부와 하부에 스프링 상태로 부착되어있다. 105는 고정접점이고, 가속도 검출장치(100)의 내부이고, 질량체(101)가 슬라이드축(102)상을 슬라이드할 때에 들어가는 터널상태의 구멍의 천정부분과 바닥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도 13(a) 및 (b)는 종래의 가속도 검출장치(100)의 일부를 구성하는 질량체(101) 및 슬라이드축(102)의 설명도이고, 도 13(a)은 가속도 검출장치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통상상태에서의 질량체 및 슬라이드축의 사시도, 도 13(b)은 단면도이다.
도 13에서 101은 질량체이다. 질량체(101)는 예를 들면 황동으로 되고, 소정의 질량을 갖는다. 101a는 질량체(101)를 관통하는 관통공이다.
102는 슬라이드축이며, 관통공(101a)을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축(102)은 예를 들면 PBT(폴리브틸렌 텔레프탈레이트) 수지로 되고, 단면형상은 원형이다. 관통공(101a) 및 슬라이드축(102)은 예를 들면 금형성형 등으로 형성된다. 질량체(101)의 단면의 원은 슬라이드축(102)의 질량체(101)의 단면의 원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질량체(101)가 슬라이드축(102)상을 슬라이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Gz는 질량체(101)에 작용하는 중력성분 이다.
질량체(101) 및 슬라이드축(102)을 포함하는 가속도 검출장치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하, 통상상태라고도 한다.)에서는 질량체에 대해 중력 Gz만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질량체(101)의 상부와 슬라이드축(102)의 상부가 한점에서 접하고 있다.
다음 가속도 검출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이 전방의 물체와 충돌함으로써 충격(감속도)을 받은 경우, 이 충격에 의해 질량체(101)가 관성력을 받는다.
충격이 큰 경우에는 관성력이 탄성체(103)의 탄성력을 이겨서 질량체(101)가 슬라이드축(102)상을 슬라이드하고, 터널상의 구멍부분으로 들어간다. 질량체(101)가 어느 일정 이상의 거리를 이동한 경우 가동접점(104)과 고정접점(105)이 접촉되고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가속도 검출장치(100)는 기계식이고 컨트롤유닛(110)은 가속도 검출장치 (100) 및 전기식의 가속도 검출장치(반도체 가속도센서)의 2중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쌍방의 회로가 승차자 보호장치(111)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내고 비로써 승차자 보호장치(111)가 동작한다. 이하, 승차자 보호장치(111)를 동작시키는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종래의 가속도 검출장치(100)를 구비한 컨트롤유닛(110) 및 승차자 보호장치(111)의 전기적인 구성을 표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4에서 112는 전원이다. 113은 반도체식 가속도센서이고, 차량이 받은 충격가속도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114는 마이크로컴퓨터이고, 반도체식 가속도센서(113)로 부터 받은 신호의 처리를 하는 기능을 갖는다. 115는 반도체스위치이고, 승차자 보호장치(111)의 구동회로를 개폐한다.
이들 전원(112), 반도체식 가속도센서(113), 마이크로컴퓨터(114), 반도체스위치(115) 및 기계식의 가속도 검출장치(100)에 의해 컨트롤유닛(110)이 구성되어있다. 또, 반도체 스위치(115)에 의해 개폐되는 구동회로 및 보호장치 본체에 의해 승차자 보호장치(111)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 컨트롤유닛(110) 및 승차자 보호장치(111)의 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차량이 물체에 정면 충돌한 경우 컨트롤유닛(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반도체식 가속도센서(113)가 그 충격가속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가속도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114)에 출력한다. 마이크로컴퓨터(114)는 반도체식 가속도센서(113)로 부터의 신호를 내부의 A/D 컴버터로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해서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하고, 어느정도 이상의 충격이 있었던 경우 반도체스위치(115)를 닫는다.
또, 마찬가지로 컨트롤유닛(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기계식의 가속도 검출장치(100)는 차량에 어느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내부접점이 도통되고 회로가 폐쇄된다.
이와 같이, 차량이 어느정도 이상의 충격을 받으면, 반도체스위치(115) 및 기계식의 가속도 검출장치(100)의 양쪽의 회로가 닫힘으로써 승차자 보호장치(111)의 구동회로에 전류가 흐르고, 승차자 보호장치(111)가 동작한다.
종래의 차량의 승차자 보호시스템에서의 가속도 검출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소정의 동작을 하는 것이나, 질량체(101) 및 슬라이드축(102)의 단면형상이 모두 원형이였으므로, 차량이 충돌하는 방향에 따라서는 질량체(101)의 움직임이 불안정하게 되고 질량체(101)가 슬라이드축(102)상을 이동할때 흔들림이 생긴다.
이 경우 승차자 보호장치가 작동하는 타이밍이 지연될 염려가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하, 이 과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량이 물체에 정면 충돌한 경우 질량체(101)가 받는 충격의 방향은 가속도 검출방향 즉, 슬라이드축(102)의 축방향과 일치한다. 이 때문에 질량체(101)는 슬라이드축(102)상을 안정해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가 있다.
다음에, 비스듬히 충돌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a)에서 (c)는 차량이 물체에 비스듬히 충돌한 경우의 질량체(101)와 슬라이드축(102)과의 접촉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15(a)는 사시도, 도 15(b) 및 도 15(c)는 단면도이다. 도 15(a)에서 Gz는 질량체(101)에 작용하는 중력성분, Gx는 슬라이드축(102)방향의 충격가속도 성분이다. Gy는 슬라이드축(102)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한 경우에 좌우방향에 생기는 충격가속도 성분이다. 차량이 물체에 비스듬하게 충돌했을 때에 질량체(101)가 받은 충격을 슬라이드축(102)방향의 충격가속도 성분 Gx에 더해 이 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90°이동한 방향에도 충격가속도 성분 Gy가 생긴다. 가속도 검출장치(100)가 동작하고 있지 않는 통상상태의 경우 질량체(101)에는 중력 Gz만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질량체(101)와 슬라이드축(102)과는 상부의 한점에서 접촉하고 있다(도 13(b)).
그러나, 비스듬하게 충돌이 발생되면 수직방향의 중력성분 Gz보다도 수평방향의 충격가속도 성분 Gx, Gy 쪽이 커지므로 질량체(101)는 슬라이드축(102)에 대해 90°의 각도를 갖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좌우방향의 일점에서 슬라이드축(102)과 접촉한다. 이때 발생하는 질량체(101)와 슬라이드축(102)과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모멘트가 발생하고 질량체(101)가 회전해 버리므로 질량체(101)의 슬라이드시에 흔들림이 생긴다.
도 15(c)는 질량체(101)가 슬라이드축(102)의 주위를 회전하는 모습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회전모멘트가 발생하고 질량체(101)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모멘트는 마찰력에 의존하며, 질량체(101)의 관통공(101a) 및 슬라이드축(102)의 표면상태가 균일하지 못한 경우는 질량체(101)의 움직임이 불안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승차자 보호장치가 작동하는 타이밍이 늦어질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충돌의 방향에 관계 없이 질량체가 안정되게 슬라이드축상을 슬라이드하는 것이 가능한 가속도 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관한 가속도 검출장치는 소정의 질량을 갖고, 그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는 질량체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질량체를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축을 구비한 가속도 검출기에서 상기 슬라이드축이 상기 관통공과 2점이상에서 접촉하고 상기 질량체를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본 발명에 관한 가속도 검출장치는 통상시 슬라이드축은 관통공과 2점 이상에서 접촉하여 질량체를 지지하고, 차량충돌시 관통공과 1점에서 접촉하여 질량체를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본 발명에 관한 가속도 검출장치는 슬라이드축을 단면형상을 가로로 긴 장원형으로 한 것이다.본 발명에 관한 가속도 검출장치는 슬라이드축을 질량체의 회전규제가 되는 면을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본 발명에 관한 가속도 검출장치는 슬라이드축의 단면형상이 원형일 때 관통공을 슬라이드축이 관통공과 2점 이상에서 접촉해서 질량체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된 것이다.본 발명에 관한 가속도 검출장치는 관통공을 질량체의 회전규제가 되는 면을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를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가속도 검출장치를 구성하는 질량체 및 슬라이드축의 설명도이고, 도 1(a)는 가속도 검출장치가 동작하고 있지않은 통상상태에서의 질량체 및 슬라이드축의 사시도, 도 1(b)는 단면도이다.
도 1(a)에서 1은 질량체이고, 소정의 질량을 갖는다. 질량체(1)는 예를 들면 황동으로 되어있다. 1a는 질량체(1)를 관통하는 관통공이다. 관통공(1a)의 단면형상은 원형이고, 예를 들면, 금형성형등으로 쉽게 형성할 수가 있다. 2는 슬라이드축이고, 예를 들면 PBT수지로 되어있다. 슬라이드축(2)의 단면형상은 가로가 긴 타원형이고, 예를 들면, 금형성형등으로 형성된다. Gz는 질량체(1)에 작용하는 중력성분이다. 이 타원형의 길이 방향의 직경은 관통공(1a)의 직경과 비교해서 약간 짧게 되어있다. 도 1(b)에서 3a 및 3b는 관통공(1a)(질량체(1))과 슬라이드축(2)과의 접점이다. 접점(3a)은 관통공(1a)의 우상부, 접점(3b)은 좌상부로 한다.
통상상태에서는 질량체(1)에는 중력 Gz만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드축(2)은 관통공(1a)의 접점(3a) 및 (3b)의 2점에서 접촉하고 질량체(1)를 지지하고 있다.
다음, 이 가속도 검출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이 정면충돌한 경우는 질량체(1)가 받는 충격의 방향은 가속도 검출방향 즉, 슬라이드축(2)의 축방향과 일치한다.
이 때문에 질량체(1)는 슬라이드축(2)상을 안정해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가 있다.
다음 차량이 비스듬하게 충돌을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및 (b)는 차량이 비스듬하게 충돌을 일으켰을때의 질량체(1) 및 슬라이드축(2)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a)에서, Gz는 질량체(1)에 작용하는 중력성분, Gx는 슬라이드축(2) 방향의 충격가속도 성분이다. Gy는 슬라이드축(2)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한 경우 좌우방향으로 생기는 충격가속도 성분이다.
곡선의 굵은 화살표는 회전모멘트를 표시한다.
비스듬한 충돌이 발생한 경우 중력성분 Gz보다도 수평방향의 가속도성분 Gx 및 Gy쪽이 커지므로 질량체(1)는 슬라이드축(2)에 대해 90°의 각도를 갖는 수평방향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좌우방향의 한점에서 슬라이드축(2)과 접촉한다.
그러나, 슬라이드축(2)은 단면형상이 가로가 긴 타원형이고, 통상상태에서 접점(3a) 및 3(b)의 2점에서 질량체(1)와 접촉하고, 이 질량체(1)를 지지하는 형상이므로 질량체(1)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량이 적다. 이 때문에 질량체(1)와 슬라이드축(2)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이 억제되고, 회전모멘트가 억제되므로 질량체(1)의 회전도 억제된다. 도 2(b)는 질량체(1)의 회전이 억제되는 모양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회전모멘트는 마찰력에 의존하므로 마찰력을 작게 억제함으로써 질량체(1)의 회전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관통공(1a)의 단면형상이 원형일 때, 슬라이드축(2)의 단면형상은 가로가 긴 타원형이고, 슬라이드축(2)이 관통공(1a)과 2점의 3(a) 및 (3b)로 접촉해서 질량체 1을 지지하는 형상이다.
이 때문에 차량이 비스듬하게 충돌을 일으켰을 때에 슬라이드축에 대해 90°방향(좌우방향)으로의 질량체(1)의 이동량이 적고, 질량체(1)와 슬라이드축(2)과의 마찰력에 의한 회전모멘트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질량체가 슬라이드할 때에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한 이동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관통공의 형성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상술한 효과를 갖는 가속도 검출장치가 얻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다음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의 가속도 검출장치에서의 슬라이드축(20)의 선단부근의 사시도이다.
슬라이드축(20)의 단면형상을 가로가 긴 장원형이다.
이 때문에 통상상태에서 슬라이드축(20)은 장원의 우상단 및 좌상단 부분이 질량체(1)의 관통공(1a)의 우상부 및 좌상부와 접촉하고, 질량체(1)를 지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슬라이드축(20)은 단면형상이 장원형이므로 금형성형등의 가공에 의해 쉽게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기타의 부분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 2.
도 4(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가속도 검출장치를 구성하는 질량체 및 슬라이드축의 설명도이고, 도 4(a)는 통상상태에서의 슬라이드축의 사시도, 도 4(b)는 단면도이다.
도 4(a)에서 1은 질량체, 1a는 관통공이고,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12는 슬라이드축이고, 예를 들면, PBT수지로 되어있다. 슬라이드축(12)의 형상은 정삼각주이고, 따라서, 그 단면형상은 정삼각형이다. 12a,12b,12c는 슬라이드축(12)의 단면의 삼각형의 각 정점이다. 슬라이드축(12)은 정점(12a) 및 (12b)이 상부, 정점(12c)이 하부에 위치하고, 단면형상이 역삼각형이 되도록 설치되어있다. Gz는 질량체(1)에 작용하는 중력성분이다. 도 4(b)에서 13a 및 13b는 관통공(1a)와 슬라이드축(12)과의 접점이 다. 접점(13a)은 관통공(1a)의 우상부, 접점(13b)은 좌상부로 한다.
통상상태에서는 질량체(1)에는 중력 Gz만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드축(12)은 관통공의 접점(13a) 및 (13b)의 2점에서 슬라이드축(12)의 정점(12a) 및 (12b)와 접촉하고 질량체(1)을 지지하고 있다. 정점(12c)은 통상상태에서는 수직하향하고, 차량이 물체에 충돌했을 때에 질량체(1)의 회전규제를 하는 돌기부로서 작용한다.
다음에, 이 가속도 검출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이 정면충돌을 일으킨 경우는 질량체(1)가 받는 충격의 방향은 가속도 검출방향 즉, 슬라이드축(12)의 축방향과 일치한다.
이 때문에 질량체(1)는 슬라이드축(12)상을 안정하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가 있다.
다음 차량이 비스듬히 충돌을 했을 때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및 (b)는 차량이 비스듬하게 충돌을 했을때의 질량체(1) 및 슬라이드축(12)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에서 Gz는 질량체(1)에 작용하는 중력성분, Gx는 슬라이드축(12)방향의 충격가속도 성분이다. Gy는 슬라이드축(12)의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한 경우, 좌우방향으로 생기는 충격가속도 성분이다
곡선의 굵은 화살표는 회전모멘트를 표시한다.
비스듬히 충돌이 발생한 경우 중력성분 Gz보다도 수평방향의 가속도성분 Gx 및 Gy쪽이 커지므로 질량체(1)는 슬라이드축(12)에 대해 90°의 각도를 갖는 수평방향(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드축(12)의 정점(12a) 또는 (12b)(여기서는 12a)와 이 좌우방향의 1점에서 접촉한다.
그러나, 슬라이드축(12)은 단면형상이 역삼각형이고, 통상상태에서 접점(13a) 및 (13b)에서 슬라이드축(12)의 정점(12a) 및 (12b)가 질량체(1)와 접촉하고, 이를 지지하는 형상이므로 질량체(1)의 좌우방향의 이동량이 적다. 이 때문에 질량체(1)와 슬라이드축(12)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이 억제되고, 회전모멘트가 억제되므로 질량체(1)의 회전도 억제된다.
도 5(b)는 질량체(1)의 회전이 억제되는 모양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회전모멘트는 마찰력에 의존하므로, 마찰력을 작게 억제함으로써, 질량체(1)의 회전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돌기부(정점)(12c)가 회전하려고 하는 질량체 (1)(관통공 1a)에 접촉하고, 질량체(1)의 회전규제를 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관통공의 단면형상이 원형일때, 슬라이드축(12)의 단면형상은 역삼각형이고, 슬라이드축(12)이 관통공(1a)과 2점의 (13a) 및 (13b)에서 접촉해서 질량체(1)를 지지하는 형상이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 2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이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슬라이드축(12)은 돌기부(정점)(12c)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비스듬히 충돌한 때의 질량체(1)의 회전을 더욱 억제한다. 이 때문에 질량체(1)의 보다 안정된 슬라이드를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실시의 형태 2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2의 변형예의 가속도 검출장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축(200)의 선단부근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200은 슬라이드축이고, 단면형상은 가로가 긴 사각형이다. 200a,200b,200c,200d는 단면의 사각형의 각각의 내각을 우상, 좌상, 우하, 좌하 순으로 표시한 것이다.
내각(200a) 및 (200b)는 통상상태에서 관통공(1a)의 우상부 및 좌상부와 접촉하고, 질량체(1)를 지지한다. 또, 내각(200c) 및 (200d)는 차량이 비스듬하게 충돌한 경우에 질량체(1)의 회전규제를 하는 돌기부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본 변형예는 실시의 형태 2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기타의 부분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2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 3.
도 7(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가속도 검출장치를 구성하는 질량체 및 슬라이드축의 설명도이고, 도 7(a)는 통상상태에서의 슬라이드축의 사시도, 도 7(b)는 단면도이다.
도 7(a)에서 21은 질량체이고, 소정의 질량을 갖는다.
질량체(21)은 예를 들면 황동으로 되어있다. 21a는 질량체(21)를 관통하는 관통공이다. 관통공(21a)의 단면형상은 세로가 긴 타원형이고, 예를 들면, 금형성형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22는 슬라이드축이고, 예를 들면, 슬라이드축(22)의 단면형상은 원형이고, 예를 들면, 금형성형등으로 쉽게 형성할 수가 있다.
관통공(21a)의 중심부의 수평방향의 직경은 슬라이드축(22)의 직경보다도 크나, 세로가 긴 타원의 상부와 하부는 슬라이드축(22)이 끼워지지 않을 정도로 좁혀있다. Gz는 질량체(21)에 작용하는 중력성분이다. 도 7(b)에서, 23a 및 23b는 관통공 (21a)(질량체 21)과 슬라이드축(22)과의 접점이다.
접점(23a)은 관통공(21a)의 우상부, 접점(23b)은 좌상부로 한다.
통상상태에서는 질량체(21)에는 중력 Gz만이 작용하고, 슬라이드축(22)은 관통공(21a)의 상부에 끼워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므로 접점(23a) 및 (23b)의 2점에서 질량체(21)와 접촉하고 질량체(21)를 지지하고 있다.
다음, 이 가속도 검출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이 정면충돌을 일으킨 경우는 질량체(21)가 받는 충격의 방향은 가속도검출방향, 즉 슬라이드축(22)의 축방향과 일치한다. 이 때문에, 질량체(21)는 슬라이드축(22)상을 안정되게 슬라이드이동할 수가 있다. 다음에 차량이 비스듬히 충돌을 일으킨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 및 (b)는 차량이 비스듬히 충돌을 했을때의 질량체(21) 및 슬라이드축(22)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a)에서, Gz는 질량체(21)에 작용하는 중력성분, Gx는 슬라이드축(22) 방향의 충격가속도 성분이다. Gy는 슬라이드축(22)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한 경우, 좌우방향으로 생기는 충격가속도 성분이다. 곡선의 굵은 화살표는 회전모멘트를 표시한다.
비스듬히 충돌했을때의 중력성분 Gz보다도 수평방향의 가속도 성분 Gx 및 Gy쪽이 커지므로, 질량체(21)는 슬라이드축(22)에 대해 90°의 각도를 갖는 수평방향(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좌우방향의 한점에서 슬라이드축(22)과 접촉한다.
그러나, 질량체(21)는 단면형상이 세로가 긴 타원형이고, 통상상태에서 23a 및 23b의 2점에서 슬라이드축(22)이 질량체(21)와 접촉하고 질량체(21)를 지지하는 형상이므로 질량체의 좌우방향의 이동량이 적다. 이 때문에 질량체(21)와 슬라이드축(22)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이 억제되고, 회전모멘트가 억제되므로, 질량체(21)의 회전도 억제된다. 도 8(b)는 질량체(21)의 회전이 억제되는 모양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회전모멘트는 마찰력에 의존하므로 마찰력을 작게 억제함으로써 질량체(21)의 회전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의 형태 3에 의하면 슬라이드축(22)의 단면형상이 원형일때, 질량체(21)의 단면형상을 세로가 긴 타원형이고, 슬라이드축(22)이 관통공(21a)과 2점의 (23a) 및 (23b)에서 접촉해서 질량체(21)를 지지하는 형상이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 3은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슬라이드축의 형성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상술한 효과를 갖는 가속도 검출장치가 얻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의 형태 4.
도 9(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가속도 검출장치를 구성하는 질량체 및 슬라이드축의 설명도이고, 도 9(a)는 통상상태에서의 슬라이드축의 사시도, 도 9(b)는 단면도이다.
도 9(a)에서 31은 질량체이고, 소정의 질량을 갖는다. 질량체(31)는 예를 들면, 황동으로 되어있다. 31a는 질량체(31)를 관통하는 관통공이다. 관통공(31a)의 단면형상은 정삼각형이고, 예를 들면, 금형성형등으로 형성되어있다.
31b는 질량체(31)의 관통공(31a)의 저면이고, 질량체(31)의 단면의 삼각형의 저면의 집합이다. 저면(31b)은 질량체(31)의 회전규제를 하는 면으로서 작용한다. 31c는 질량체(31)의 관통공(31a)의 단면의 삼각형의 정각이다. 22는 슬라이드축이고, 실시의 형태 3과 같다.
관통공(31a)의 단면의 삼각형에 저변은 슬라이드축(22)의 직경보다 크다. 또, 정각(31c)은 슬라이드축(22)이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좁게 되어있다. Gz는 질량체(31)에 작용하는 중력성분이다.
도 9(b)에서 33a 및 33b는 관통공(31a)과 슬라이드축(22)과의 접점이다. 접점(33a)은 관통공(31a)의 우상부, 접점(33b)은 좌상부로 한다.
통상상태에서는 질량체(31a)에는 중력 Gz만이 작용하고, 슬라이드축(22)은 관통공(31a)의 상부에 끼워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므로 접점(33a) 및 (33b)의 2점에서 질량체(31)와 접촉하고, 질량체(31)를 지지하고 있다.
다음, 이 가속도 검출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이 정면충돌을 일으킨 경우에는 질량체(31)가 받는 충격의 방향은 가속도 검출방향, 즉, 슬라이드축(22)의 축방향과 일치한다. 이 때문에 질량체(31)는 슬라이드축(22)상을 안정되게 슬라이드이동할 수가 있다. 다음, 차량이 비스듬히 충돌했을 때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a) 및 (b)는 차량이 비스듬히 충돌을 일으켰을 때의 질량체(31) 및 슬라이드축(22)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a)에서 Gz는 질량체(1)에 작용하는 중력성분, Gx는 슬라이드축(22) 방향의 충격가속도 성분이다. Gy는 슬라이드축(22)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한 경우, 좌우방향으로 생기는 충격가속도 성분이다. 곡선의 굵은 화살표는 회전모멘트를 표시한다.
비스듬히 충돌했을때 중력성분 Gz보다도 수평방향의 가속도 성분 Gx 및 Gy쪽이 커지므로 질량체(31)는 슬라이드축(22)에 대해 90°의 각도를 갖는 수평방향(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좌우방향의 한점에서 슬라이드축(22)과 접촉한다.
그러나, 질량체(31)는 단면형상이 삼각형이고, 통상상태에서 (33a) 및 (33b)의 2점에서 슬라이드축(22)이 질량체(31)와 접촉하고, 질량체(31)를 지지하는 형상이므로 질량체(31)의 좌우방향의 이동량이 적다. 이 때문에 질량체(31)와 슬라이드축(22)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이 억제되고, 회전모멘트가 억제되므로 질량체(31)의 회전도 억제된다.
도 10(b)는 질량체(31)의 회전이 억제되는 모양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회전모멘트는 마찰력에 의존하므로 마찰력을 작게 억제함으로써 질량체(31)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질량체(31)의 회전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회전하고자 하는 질량체(31)의 저면(31b)이 슬라이드축(22)과 접촉하고, 질량체(31)의 회전규제를 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의 형태 4에 의하면 슬라이드축(22)의 단면형상이 원형일때 질량체(31)의 단면형상은 삼각형이고, 슬라이드축(22)이 관통공(31a)과 2점의 (33a) 및 (33b)에서 접촉해서 질량체(31)를 지지하는 형상이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 4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이 실시의 형태 4에 의하면 질량체(31)는 관통공(31a)의 저면(31b)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비스듬히 충돌했을때의 질량체(31)의 회전을 더욱 억제한다. 이 때문에, 질량체(31)의 보다 안정된 슬라이드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1에서 4까지에서, 가속도 검출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 및 이를 포함하는 컨트롤유닛의 회로의 동작등에 대해서는 종래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 1에서 4까지는, 어느 것도 질량체를 황동으로 한 것으로 하였으나, 동이나 아연으로 된 것도 무방하다. 또, 자석으로 되는 질량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슬라이드축 내부에 어느 일정 이상의 충격을 받은 경우에 ON 또는 OFF가 되도록 한 리드스위치를 조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질량체의 위치를 식별하고, 승차자 보호장치의 구용을 제어하면 차량의 통상 주행시에 약간의 충격으로 승차자 보호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1에서 4까지는 모두 슬라이드축이 관통공과 2점에서 접촉해서 질량체를 지지하도록 가속도 검출장치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비스듬히 충돌했을 때에 슬라이드축에 대해 90°방향(좌우방향)에서의 질량체의 이동량을 적게하는 것이 가능하면 접점은 2개가 아니라도 된다. 또, 슬라이드축이 관통공과 2점에서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면 관통공 및 슬라이드축의 크기 형상등은 실시의 형태 1에서 4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질량을 갖는 질량체로서 질량체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는 질량체와 관통공을 관통하고, 질량체를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축을 구비하고, 슬라이드축이 관통공과 2점 이상에서 접촉해서 질량체를 지지하도록 가속도 검출장치를 구성하였으므로 차량이 비스듬히 충돌했을 때에 슬라이드축에 대해 90°의 각도를 갖는 수평방향으로의 질량체의 이동량이 적고, 질량체와 슬라이드축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한 회전모멘트의 발생을 억제한다. 따라서, 질량체의 슬라이드할 때에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된 이동이 가능한 가속도 검출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통공의 단면형상이 원형일때 슬라이드축은 관통공과 2점이상의 접점을 가지고, 질량체를 지지하도록 한 형상으로 해서 가속도 검출장치를 구성하였으므로 차량이 비스듬히 충돌했을 때에 슬라이드축에 대해 90°의 각도를 갖는 수평방향으로의 이동량이 적고 질량체와 슬라이드축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한 회전모멘트의 발생을 억제한다. 따라서, 질량체의 슬라이드할 때에 흔들림이 생기지 않고, 안정된 이동이 가능한 가속도 검출장치가 얻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 관통공의 형성을 복잡하게 하는 일 없이 안정된 이동이 가능한 가속도 검출장치가 얻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축은 단면형상이 가로가 긴 장원형으로 해서 가속도 검출장치를 구성하였으므로 이 슬라이드축은 금형성형등의 쉬운 가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축은 질량체의 회전규칙이 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도록 가속도 검출장치를 구성하였으므로 비스듬하게 충돌했을 때에 일어나는 질량체의 회전을 더욱 억제한다. 이 때문에 질량체의 보다 안정된 슬라이드을 가능하게 하는 가속도 검출장치가 얻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축의 단면형상이 원형일때 관통공을 슬라이드축이 관통공과 2점 이상에서 접촉해서 질량체를 지지하고 있는 형상으로 해서 가속도 검출장치를 구성하였으므로 차량이 비스듬하게 충돌을 일으켰을 때에 슬라이드축에 대해 90°의 각도를 갖는 수평방향으로의 질량체의 이동량이 적고, 질량체와 슬라이드축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한 회전모멘트의 발생을 억제한다. 따라서, 질량체의 슬라이드할 때에 흔들림이 생기지 않고, 안정된 이동이 가능한 가속도 검출장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슬라이드축의 형성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안정된 이동이 가능한 가속도 검출장치가 얻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통공이 질량체의 회전규제가 되는 면을 구비하도록 가속도 검출장치를 구성하였으므로 비스듬하게 충돌했을 때에 일어나는 질량체의 회전을 더욱더 억제한다. 이 때문에, 질량체의 보다 안정된 슬라이드을 가능하게 하는 가속도 검출장치가 얻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가속도 검출장치를 구성하는 질량체 및 슬라이드축의 설명도.
도 2는 차량이 비스듬히 충돌했을때의 질량체 및 슬라이드축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의 가속도 검출장치에서의 슬라이드축의 선단부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가속도 검출장치를 구성하는 질량체 및 슬라이드축의 설명도.
도 5는 차량이 비스듬히 충돌을 했을때의 질량체 및 슬라이드축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실시의 형태 2의 변형예의 가속도 검출장치에서의 슬라이드축의 선단부근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가속도 검출장치를 구성하는 질량체 및 슬라이드축의 설명도.
도 8은 차량이 비스듬히 충돌했을때의 질량체 및 슬라이드축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가속도 검출장치를 구성하는 질량체 및 슬라이드축의 설명도.
도 10은 차량이 비스듬히 충돌했을때의 질량체 및 슬라이드축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가속도 검출장치를 포함하는 컨트롤유닛 및 승차자 보호장치가 차량에 설치되는 위치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12는 종래의 가속도 검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종래의 가속도 검출장치를 구성하는 질량체 및 슬라이드축의 설명도.
도 14는 종래의 가속도 검출장치를 포함하는 컨트롤유닛 및 승차자 보호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표시하는 회로도.
도 15는 차량이 물체에 비스듬히 충돌했을때의 질량체와 슬라이드축과의 접촉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31 : 질량체, 1a, 21a, 31a : 관통공,
2, 12, 20, 22, 200 : 슬라이드축,
3a, 3b, 13a, 13b,23a, 23b, 33a, 33b : 접점,
12a, 12b : 정점, 12c : 돌기부(정점),
31b : 저면, 31c : 정각,
20a, 200b : 내각, 200c, 200d : 돌기부(내각).

Claims (3)

  1. 삭제
  2. 소정의 질량을 갖고 그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는 질량체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질량체를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축을 구비한 가속도 검출장치에서, 통상시에는 상기 슬라이드축이 상기 관통공과 2점 이상에서 접촉하여 질량체를 지지하고, 차량충돌시에는 상기 관통공과 1점에서 접촉하여 질량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검출장치.
  3. 소정의 질량을 갖고 그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는 질량체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질량체를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축을 구비한 가속도 검출장치에서, 상기 슬라이드축이 상기 관통공과 2점 이상에서 접촉하여 상기 질량체를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드축과 상기 관통공은 질량체의 회전규제가 되는 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검출장치.
KR10-2002-0023064A 2001-09-19 2002-04-26 가속도 검출장치 KR100502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85535 2001-09-19
JP2001285535A JP2003090846A (ja) 2001-09-19 2001-09-19 加速度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162A KR20030025162A (ko) 2003-03-28
KR100502454B1 true KR100502454B1 (ko) 2005-07-20

Family

ID=19108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064A KR100502454B1 (ko) 2001-09-19 2002-04-26 가속도 검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35835B2 (ko)
JP (1) JP2003090846A (ko)
KR (1) KR100502454B1 (ko)
DE (1) DE1021552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9873B1 (en) * 1999-03-19 2002-07-16 Q2100, Inc. Plastic lens systems, compositions, and methods
JP5448568B2 (ja) 2009-05-21 2014-03-19 株式会社やまびこ 安全装置付き作業機
JP5448569B2 (ja) 2009-05-21 2014-03-19 株式会社やまびこ 安全装置付き刈払機
DE102020007582B4 (de) * 2019-12-19 2021-12-23 Timo Martocchia Messvorrichtungs-/Sensorsystem zur Messung,Übertragung und Verarbeitung von relevanten Leistungsdaten des Trainings und des Wettkampfs von Kontaktsportarten, insbesondere des physischen Kontakts und dessen Krafteinwirk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2220A (en) * 1961-11-10 1964-05-05 Cleudeuin Preisz Acceleration switch
US4039790A (en) * 1976-03-29 1977-08-02 Frank Treckman Inertia switch having reciprocating mass
US5675134A (en) * 1992-05-25 1997-10-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Traffic accident detecting sensor for a passenger protection system in a vehicle
JPH06222069A (ja) 1993-01-28 1994-08-12 Tokai Rika Co Ltd 機械着火式センサ
JP3351218B2 (ja) * 1996-01-31 2002-11-25 三菱電機株式会社 加速度検知装置
WO2001046702A1 (fr) * 1999-12-21 2001-06-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detection d'acceleration et procede de reglage de la sensibilite de ce dispositi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15524B4 (de) 2006-01-12
DE10215524A1 (de) 2003-04-10
KR20030025162A (ko) 2003-03-28
US20030051984A1 (en) 2003-03-20
US6635835B2 (en) 2003-10-21
JP2003090846A (ja) 200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1931A (en) Velocity change sensor with spring bias
KR100502454B1 (ko) 가속도 검출장치
US6018130A (en) Roll-over sensor with pendulum mounted magnet
EP0650061B1 (en) Multi-directional shock sensor
JP3160026B2 (ja) 加速度センサ
US5389751A (en) Long dwell crash sensor
EP1086478B1 (en) Roll-over shunt sensor
US6142007A (en) Shock sensor
US4104493A (en) Switch for detecting collision of vehicle
JPS5912495B2 (ja) 衝突検知装置
SE513091C2 (sv) Accelerometer för avkänning av hastighetsförändringar hos ett fordon
JP2001289873A (ja) 衝撃センサ
KR200141635Y1 (ko) 차량용 급감가속 감지센서
JPS5937950Y2 (ja) 衝撃スイツチ
JP2004212280A (ja) 2方向検出型衝撃センサ
JPH07103812A (ja) 加速度応動スイッチ
JPH0972931A (ja) 減速度検出装置
JP2692221B2 (ja) 感震器
KR100202905B1 (ko) 다방향 감지 충격센서
JP2001023487A (ja) 傾斜スイッチ
JP2000121663A (ja) 衝突センサ
JP2003232804A (ja) 衝突検知装置
JPH0795078B2 (ja) 安全速度変化センサ
JP2000353462A (ja) 衝撃センサ
JPH09156460A (ja) 衝撃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