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172B1 - 사람 표피성장인자 및 락토카인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람 표피성장인자 및 락토카인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172B1
KR100500172B1 KR10-2002-0060151A KR20020060151A KR100500172B1 KR 100500172 B1 KR100500172 B1 KR 100500172B1 KR 20020060151 A KR20020060151 A KR 20020060151A KR 100500172 B1 KR100500172 B1 KR 100500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hegf
lactocaine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1815A (ko
Inventor
유영경
이강태
조병기
김성우
박승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웅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웅,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웅
Priority to KR10-2002-0060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172B1/ko
Publication of KR20040031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1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 표피성장인자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hEGF) 및 락토카인 (Lactokine)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락토카인 유동액 및 hEGF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hEGF가 포함된 조성물로서 갖는 우수한 피부 보호 효과, 즉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락토카인 유동액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종래의 hEGF를 포함한 화장료에서 나타나는 세포 이상 증식으로 인한 피부 이상 증상 유발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람 표피성장인자 및 락토카인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Protection Comprising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and Lactokine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 표피성장인자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hEGF) 및 락토카인 (Lactokine)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피부 보호용 화장료의 목표는 건강하고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시키고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피부 노화를 방지 및 지연하는데 있다. 피부는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체온 조절, 호흡 및 배설 작용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신체 기관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이러한 기능들이 점차 약화되고 피부의 노화가 진행된다. 특히, 피부 장벽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질층의 지질 조성과 함량이 변화하면서 그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피부 수분 함량이 감소하게 되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기미, 주근깨, 색소 침착 및 다양한 피부 병변이 유발된다.
또한, 자외선의 영향으로 생성되는 반응성이 높은 활성 산소와 자유 라디칼은 피부를 구성하는 성분들을 산화시켜서 과산화물을 생성하고, 그 결과로 피부가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손상되어 노화가 촉진된다. 특히, 피부 결합 조직을 이루고 있는 콜라겐, 엘라스틴, 프로테오글리칸,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 라미닌 등이 산화되어 그 기능이 손상됨으로써 피부는 탄력을 잃고 피부의 주름이 과도하게 형성되면서 노화가 일어나게 된다.
피부 주름 형성에 관련이 있는 결합 조직은 주로 아교 섬유 (collagen fiber), 세망 섬유 (reticular fiber), 탄력 섬유 (elastic fiber) 등의 섬유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피부 결합 조직의 70% 정도를 차지하는 아교 섬유는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대부분 형성된다.
아교 섬유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은 섬유아세포의 과립형질세망 내에서 양 끝에 확장펩타이드 (telopeptide)를 가지고 있는 상태로 합성된 뒤, 3중 나선 구조로 조합된 프로콜라겐 형태로 세포 외로 분비된다. 이렇게 분비된 프로콜라겐은 특정 효소에 의해서 확장펩타이드가 절단되어 트로포콜라겐이 생성되고 이들은 세포외 기질에서 서로 조합되어 아교 섬유가 합성된다. 이러한 아교 섬유의 합성은 피부 노화가 진행되면서 급격히 감소하며, 또한 외부 환경에 의해 아교 섬유가 변형되면서 피부에 주름이 많이 생성되고 깊어지게 된다.
즉, 피부 탄력 감소, 피부 주름 형성 등의 피부 노화 현상은 콜라겐의 파괴, 콜라겐 합성의 감소, 엘라스틴의 소실 등에 의해서 나타나는 것으로서, 피부 표피에서도 일어나지만 이보다는 진피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 피부의 주름 생성 원인 및 개선 방법에 대한 피부 생리학적 연구가 많이 행해지고 있으며, 실제로 화장료에 있어서 피부 주름 방지를 위해 자외선 차단제, 항산화제, 세포 활성 촉진제 등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콜라겐 합성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예컨대, 피부가 노화되면서 콜라겐을 분해하여 콜라겐 대사를 촉진시키는 효소인 콜라게나아제 (collagenase)의 활성이 저하되면서 가교형 콜라겐의 생성이 증가되어 피부 조직에 주름 형성이 증가되는데, 이러한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물질로서 초산 암모늄, 주석산 암모늄 및 질산 암모늄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이용하여 콜라겐 대사를 촉진시켜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피부 주름 및 색소 침착 개선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레티놀은 이미 화장료 조성물로 상업화하여 피부 주름 개선에 사용되고 있고, 콜라겐 합성에 필수적인 L-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주름 개선, 자외선 차단 및 피부 색소 침착 등에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다 (미국특허 제 4,938,969호, 미국특허 제 4,772,591호 및 유럽특허 제 0533667호 등). 각질 제거에 효과가 있는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도 세포의 활성을 촉진하여 피부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피부 주름 개선의 유효 성분들은 대부분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었을 때 안전성과 안정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레티놀은 빛, 수분, 공기 및 열 등에 쉽게 산화하여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비타민 C의 경우도 안정성이 취약하여 제품에 변색 및 변취를 나타내고, 알파히드록시산은 낮은 산도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지만 피부 자극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 상기한 성분들의 문제점들을 보완하면서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위한 성분으로 사람 표피성장인자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hEGF)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종래 피부 보호 화장료의 성분, 예컨대, 비타민 C 및 알파히드록시산의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성분으로서 hEGF를 각각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특허출원을 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1-56327호 및 제 2001-56177호).
hEGF는 인체의 체액과 뇨 속에 존재하는 성분으로 안전성과 안정성이 매우 뛰어나며, 레티놀, 비타민 C 및 알파히드록시산 등과 함께 사용할 때 피부 주름 개선, 색소 침착 완화 등 유효 성분의 효과를 향상시키고 문제점을 완화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hEGF의 주요 작용은 표피 세포 내에 들어가서 세포핵에 작용하여 표피 세포의 분열과 증식 속도를 촉진시키는 것이다. hEGF는 표피 세포의 증식 뿐만 아니라 진피 세포의 재생 속도까지 조절하며, 또한 피부 재생 촉진인자 (인터루킨-1 등)를 합성하여 분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진피를 채우는 콜라겐을 만들어내는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촉진되며, 피부 조직이 질서 있게 방향성을 가지며 망을 형성하게 하는 물질의 합성도 촉진한다. 즉 hEGF는 표피 세포의 증식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피부 재생 전 과정의 속도와 방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hEGF는 상기한 피부 개선 효과가 있는 반면에, 표피 세포에 대해서 세포과형성 (hyperplasia) 및 이상비대현상 (hypertrophy)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Stoscheck CM, et al. J. Cell Biochem. 31:135-152(1986)), 적절한 상태로 조절되지 않을 경우 이러한 세포의 과도한 증식으로 인해 건선 등의 피부 이상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 문헌 및 논문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 문헌 및 논문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hEGF의 우수한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그 작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성분을 찾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hEGF와 락토카인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며 동시에 피부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hEGF의 기능을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성분으로서 락토카인을 함께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람 표피성장인자 및 락토카인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사람 표피성장인자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hEGF)는 1962년 미국의 스탠리 코헨이 최초로 쥐의 하악선에서 EGF를 발견한 이후, 1975년에 그레고리에 의하여 사람의 뇨 중에서 발견되고 분리 및 정제되었다.
hEGF는 53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가진 단일 폴리펩타이드로서 분자량은 6,200 Da이다. hEGF는 외배엽 및 중배엽에서 유래하는 상피 세포 분열 촉진 인자로서 사람의 여러 체액과 조직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침, 젖샘 및 젖, 전립선액과 정액, 그리고 뇨에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로 존재한다.
hEGF의 생리 작용이 나타나는 메커니즘은 아직 명백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를 통하여 신호가 전달되는 것은 이미 밝혀져 있다 (Capenter, G and Cohen, S. J. Biol. Chem. 256:7709-7712(1990)).
hEGF는 신호 전달 과정을 통해서 세포핵에 작용하여 표피 세포의 분열과 증식 속도를 촉진시킨다. 표피 세포의 분열 증식 속도는 진피의 재생 속도까지 조절할 뿐만 아니라 기타 재생 촉진 인자가 분비되도록 도와주고 진피의 구성성분인 콜라겐을 만들어 내는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한다. 즉, hEGF는 인체의 표피 조직에 작용하여 재생 및 성숙을 촉진하게 때문에 우수한 피부 주름 제거 및 피부 탄력 증대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가 손상되었을 때 상피 세포의 이동과 증식을 촉진시켜 상처 치유가 우수함이 밝혀져 있다.
그러나, hEGF는 피부가 손상되었을 때 피부 회복 과정에 참여하는 인자로서 인체 내에서 필요할 때 만들어지고 작용 장소와 농도에 따라서 전혀 다른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적절하게 투여되지 않을 경우 피부의 생리 상태가 손상될 수 있다. 즉, 피부 재생 속도가 너무 빨라지면 덜 성숙된 세포가 각질층까지 밀려 올라와서 건선을 일으키고 표피가 생기기도 전에 진피가 생기면 진피가 피부 밖으로 올라와 흉터가 남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hEGF가 우수한 피부 주름 제거 및 피부 탄력 증대 효과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문제점 때문에 사용에 제한을 받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후보 물질들을 스크리닝한 결과, 우유 단백질에서 유래한 혼합물인 락토카인이 상기 hEGF의 우수한 효과를 유지시키면서도 hEGF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피부 세포 과다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hEGF는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으며, 또한 공지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유전공학적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참조: 미국특허 제 5,652,120호; 일본특허 제 2609515호; 유럽특허 제 652954호; 대한민국특허 제 102993호; 대한민국특허 제 107023호; 대한민국특허 제 110123호; 및 대한민국특허 제 114856호 등).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락토카인 (Lactokine)은 CLR (Chemisches Laboratorium Dr. Kurt Richter GmbH, 독일국)에서 상품명 "락토카인 유동액 (Lactokine Fluid)"으로 시판하고 있다.
락토카인 유동액은 우유 단백질에서 유래한 혼합물로서 여러 종류의 신호 전달 물질 (cytokine)을 함유하고 있어서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변화에 매우 빠르고 효과적으로 반응하게 하며, 이로 인하여 피부의 방어 시스템이 활성화되고 피부를 적절한 상태로 유지하게 해 준다.
더욱 상세하게는, 락토카인 유동액은 염증 반응을 유도하는 프로스타글란딘 E2의 분비를 감소시켜 이에 의한 피부 자극을 감소시키고 세포 생존율을 높임으로써 염증 반응이 일어나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피부를 원래 상태로 빨리 회복하게 한다. 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티미딘 이합체가 생성되고, 핵산 분자에 단일 혹인 이중 절단이 일어나는데, 단일 절단의 경우에는 다른 온전한 핵산에 의해서 수정되지만 이중 절단은 수정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핵산의 절편은 막으로 둘러싸이게 되고 마이크로핵산을 형성하게 된다. 락토카인 유동액의 존재 하에서 세포를 배양한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자외선 조사시에 마이크로핵산의 비율이 현저히 낮고, 세포의 치사율도 낮아지는 효과를 보인다.
이러한 락토카인 유동액의 효능에 대하여는 Dr. Rolf-Dieter Petersen et al. OLAJ, SZAPPAN, KOZMETIKA, "A kozmetikai aktiv anyagok altal kivaltott sejtserkentes jelentosege" 136-142(2001))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락토카인"은 시판되는 "락토카인 유동액" 및 상기 락토카인 유동액과 동일한 성분 및 효능을 가지는 우유 단백질 유래 신호 전달 물질들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락토카인은 hEGF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피부 세포 과다 증식을 억제하는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되는 피부 보호 효과는 피부 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 탄력 개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hEGF 및 락토카인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001-1 중량% 및 0.1-30 중량%이며, 상기 함량 미만일 경우에는 실질적인 피부 보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상기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상 및 제품의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hEGF 및 락토카인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각각 0.0001-0.1 중량% 및 2-5 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hEGF 및 락토카인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재료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 성분으로 포함되는 hEGF는 (주)대웅제약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 성분으로 포함되는 락토카인은 CLR (Chemisches Laboratorium Dr. Kurt Richter GmbH, 독일국)에서 상품명 락토카인 유동액 (Lactokine Fluid)으로 시판하고 있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hEGF의 섬유아세포와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증식 촉진 효과 및 락토카인의 증식 조절 효과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 (human normal fibroblast, 한국세포주은행)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HaCat cell, 한국세포주은행)를 각각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여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한 후, hEGF를 50 ㎍/㎖에서 10 ㎎/㎖ 까지의 농도 범위로 세포에 처리한 군과, 상기 농도 범위의 hEGF를 처리한 군에 락토카인 유동액을 50 ㎎/㎖ 농도로 동시에 처리한 군을 각각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MTT 용액[3-(4,5-디메틸-티아졸-2-일) 2,5-디페닐 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 5 ㎎/㎖]을 10 ㎕씩 첨가하고 4시간 방치 후, 배지를 버렸다. 각 웰 당 100 ㎕의 디메틸 설폭사이드 (Dimethyl sulfoxide: DMSO) 용액을 가하여 20분간 교반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microplate reader)로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hEGF 및 락토카인 유동액을 어느 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이다.
세포 증식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hEGF의 농도 락토카인 유동액의 농도 섬유아세포세포 증식 효과(%) 각질형성세포세포 증식 효과(%)
0 0 0 0
0 50 ㎎/㎖ 1.3 ±0.2 0.7 ±2.8
50 ㎍/㎖ 0 77.5 ±2.4 46.5 ±1.7
100 ㎍/㎖ 146.2 ±1.3 88.2 ±1.4
500 ㎍/㎖ 250.1 ±1.8 128.9 ±2.0
1 ㎎/㎖ 472.7 ±2.4 193.4 ±0.5
10 ㎎/㎖ 528.9 ±2.4 287.2 ±2.1
50 ㎍/㎖ 50 ㎎/㎖ 79.5 ±1.5 49.5 ±0.5
100 ㎍/㎖ 93.4 ±2.2 89.4 ±1.3
500 ㎍/㎖ 147.5 ±0.4 117.1 ±1.2
1 ㎎/㎖ 148.9 ±1.1 118.9 ±2.1
10 ㎎/㎖ 152.5 ±1.6 121.5 ±1.5
* 상기 값은 3회 실시 평균값임.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hEGF는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섬유아세포 및 각질형성세포 모두에 대하여 우수한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보였으나 1 ㎎/㎖ 이상의 농도에서는 비정상적으로 세포가 과다하게 증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hEGf와 락토카인 유동액을 함께 처리한 경우에는, 높은 hEGF 농도에서도 세포가 과다하게 증식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카인 유동액은 hEGF의 세포 과다 증식을 막아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적절하게 조절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hEGF 및 락토카인 유동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비교예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본 발명의 hEGF 및 락토카인 유동액을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 (실시예), hEGF 및 락토카인 유동액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 (비교예 1), hEGF 만을 포함하는 조성물 (비교예 2) 및 락토카인 유동액만을 포함하는 조성물 (비교예3)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락토카인 유동액 5.0 - - 5.0
hEGF 0.005 - 0.005 -
글리세린 6.0 6.0 6.0 6.0
1,3-부틸렌글리콜 3.0 3.0 3.0 3.0
PEG 1500 1.0 1.0 1.0 1.0
알란토인 0.1 0.1 0.1 0.1
DL-판테놀 0.3 0.3 0.3 0.3
EDTA-2Na 0.02 0.02 0.02 0.02
벤조페논-9 0.04 0.04 0.04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0 5.0 5.0 5.0
에탄올 10.0 10.0 10.0 10.0
옥틱도데세스-16 0.2 0.2 0.2 0.2
폴리솔베이트 20 0.2 0.2 0.2 0.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증류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실험예 2 :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건강한 30-40세 한국 여성 실험 대상자 15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팔의 상박에 2 ×2 ㎠의 면적에 매일 2회씩 매회 0.2 g씩 8주간 도포하고, 실리콘 재질의 용액을 이용하여 레플리카를 떠서 Skin visiometer SV400 (C+K Electronics GmbH, 독일국)을 사용하여 피부 주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레플리카의 상을 CCD 카메라로 3차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피부 주름 개선 효과의 분석은 각각의 주름의 거칠기 (Rm: m은 1이상의 정수)의 합을 주름의 개수로 나눈 값인 하기 수학식 2의 평균주름거칠기 (Rz)로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다.
구분 ΔRz*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피검자 1 0.107 0.018 0.104 0.021
피검자 2 0.098 0.010 0.102 0.035
피검자 3 0.114 0.019 0.119 0.018
피검자 4 0.125 0.001 0.116 0.012
피검자 5 0.110 0.003 0.105 0.004
피검자 6 0.099 0.011 0.097 0.004
피검자 7 0.126 0.001 0.113 0.003
피검자 8 0.117 0.009 0.111 0.010
피검자 9 0.125 0.014 0.115 0.017
피검자 10 0.114 0.012 0.095 0.008
피검자 11 0.118 0.018 0.109 0.018
피검자 12 0.206 0.012 0.137 0.019
피검자 13 0.090 0.019 0.098 0.021
피검자 14 0.126 0.008 0.119 0.012
피검자 15 0.109 0.011 0.104 0.024
평균 0.119 0.011 0.110 0.015
*ΔRz = 사용전의 Rz - 사용후의 Rz 값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락토카인 유동액 및 hEGF 중 어느 것도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과 락토카인 유동액만을 포함한 비교예 3에서는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락토카인 유동액 및 hEGF를 동시에 포함한 본원발명의 실시예와 hEGF만을 함유한 비교예 2에서는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hEGF는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락토카인 유동액은 그 자체로는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보이지 않으나 hEGF와 함께 사용시 hEGF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을 뿐 아니라 약간의 상승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피부 안전성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부 안전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피검자 40명 (평균 연령 23세, 연령 분포 19-35세)을 대상으로 Hayes Test Chamber를 이용하여 상박에 피부 첩포 시험 (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단, 건선, 습진, 기타 피부 병변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시험 부위인 상박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은 후 건조하고 상기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조성물을 각각 15 ㎕를 챔버에 적하시킨 후 상박 부위에 얹어 고정시켰다. 첩포는 24시간 동안 도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펜으로 시험 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30분, 24시간 및 48시간 후에 시험 부위를 관찰하였다.
판정은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 및 48시간 후에 수행하였으며 피부 반응은 하기 표 4의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판정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다.
기호 판정 기준 평가 평균 자극 정도
±++++++- 의심스럽거나 약한 반응 및 홍반홍반 + 경화홍반 + 경화 + 소포홍반 + 경화 + 수포음성 미소자극경자극중자극강자극무자극 0-0.91.0-2.93.0-4.95.0 이상0
상기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나 있다.
경과 시간 평균 자극 정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30분 0 0 0.5 0
24시간 0 0 0 0
48시간 0 0 0 0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조성물은 평균 자극 정도가 0으로 나타나 피부 자극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hEGF만을 함유한 비교예 2에서도 피부에 큰 자극은 없으나 30분 경과 후에서 약간의 자극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카인 유동액 및 hEGF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이 없는 제형임을 알 수 있다.
이하, 발명의 제형예로서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을 예시하고 있으나,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 화장수
성분 함량 (중량%)
락토카인 유동액 5.0
hEGF 0.005
글리세린 6.0
1,3-부틸렌글리콜 3.0
PEG 1500 1.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0
에탄올 10.0
옥틱도데세스-16 0.2
폴리솔베이트 20 0.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수렴 화장수
성분 함량 (중량%)
락토카인 유동액 5.0
hEGF 0.005
글리세린 2.0
1,3-부틸렌글리콜 2.0
알란토인 0.2
DL-판테놀 0.2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3.0
에탄올 15.0
폴리솔베이트 20 0.3
위치하젤 추출물 2.0
구연산 미량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 화장수
성분 함량 (중량%)
락토카인 유동액 5.0
hEGF 0.00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스테아릴 알코올 1.5
라놀린 1.5
폴리솔베이트 1.3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0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트리옥타노인 2.0
디메치콘 0.8
초산 토코페롤 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0
트리에탄올아민 0.1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영양 크림
성분 함량 (중량%)
락토카인 유동액 5.0
hEGF 0.005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세테아릴 알코올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경화식물유 1.0
스쿠알란 3.0
광물유 5.0
트리옥타노인 5.0
디메치콘 1.0
글리세린 5.0
베타인 3.0
트리에탄올아민 1.0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4.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마사지 크림
성분 함량 (중량%)
락토카인 유동액 5.0
hEGF 0.005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스테아릴 알코올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0.5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아민 0.7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에센스
성분 함량 (중량%)
락토카인 유동액 5.0
hEGF 0.005
글리세린 10.0
베타인 5.0
PEG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칸올 0.3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7: 팩
성분 함량 (중량%)
락토카인 유동액 5.0
hEGF 0.005
폴리비닐 알코올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PEG 1500 2.0
시이크데스트린 0.15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0.3
니코틴아미드 0.5
에탄올 6.0
PEG 40 경화피마자유 0.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락토카인 유동액 및 hEGF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hEGF가 포함된 조성물로서 갖는 우수한 피부 보호 효과, 즉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락토카인 유동액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종래의 hEGF를 포함한 화장료에서 나타나는 세포 이상 증식으로 인한 피부 이상 증상 유발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a) 사람 표피성장인자; 및 (b) 사람 표피성장인자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세포 과다 증식을 억제한 유효성분으로서의 락토카인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람 표피성장인자의 함량은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1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카인의 함량은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하여 0.1-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2-0060151A 2002-10-02 2002-10-02 사람 표피성장인자 및 락토카인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KR100500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151A KR100500172B1 (ko) 2002-10-02 2002-10-02 사람 표피성장인자 및 락토카인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151A KR100500172B1 (ko) 2002-10-02 2002-10-02 사람 표피성장인자 및 락토카인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815A KR20040031815A (ko) 2004-04-14
KR100500172B1 true KR100500172B1 (ko) 2005-07-07

Family

ID=37331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151A KR100500172B1 (ko) 2002-10-02 2002-10-02 사람 표피성장인자 및 락토카인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1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304041D0 (en) 2013-03-06 2013-04-17 Water Jel Europ Llp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radiation dermatitis
KR102013788B1 (ko) * 2016-11-04 2019-08-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간상피세포 성장인자 또는 피부침투성 인간상피세포 성장인자 발현용 벡터 및 상기 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세조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06A (ja) * 1984-06-19 1986-01-10 Sanki Shoji Kk 皮膚用剤
JPS6219511A (ja) * 1985-07-19 1987-01-28 Kanebo Ltd 皮膚老化防止化粧料
JPH07196529A (ja) * 1993-12-29 1995-08-01 Morinaga Milk Ind Co Ltd 創傷治癒剤、化粧料および養毛剤
KR20000050303A (ko) * 1999-01-05 2000-08-05 유상옥 사람의 표피성장인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20061199A (ko) * 2001-01-15 2002-07-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추출물과 락토카인을 함유하는 피부 항상성 유지용화장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06A (ja) * 1984-06-19 1986-01-10 Sanki Shoji Kk 皮膚用剤
JPS6219511A (ja) * 1985-07-19 1987-01-28 Kanebo Ltd 皮膚老化防止化粧料
JPH07196529A (ja) * 1993-12-29 1995-08-01 Morinaga Milk Ind Co Ltd 創傷治癒剤、化粧料および養毛剤
KR20000050303A (ko) * 1999-01-05 2000-08-05 유상옥 사람의 표피성장인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20061199A (ko) * 2001-01-15 2002-07-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추출물과 락토카인을 함유하는 피부 항상성 유지용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815A (ko) 200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1963B2 (ja) シリマリンおよびスルホアルキルエーテルシクロデキストリンを含有する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使用する方法
JP7061802B2 (ja) 抗老化用組成物
KR20190011054A (ko) 갈색거저리 유충 오일을 함유하는 상처 치유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080020077A1 (en) Association Of Vegetal Extracts Based On Gooseberries, Black Orchids And Black Tulips And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Association Of Said Vegetal Extracts
KR100377397B1 (ko) 레티놀 및 표피성장인자를 함유하는 피부보호 화장료 조성물
DE19638534A1 (de) Verwendung von Tocopherylferulat zur Hautaufhellung oder zur Verhinderung der Hautbräunung, insbesondere der durch UV-Strahlung hervorgerufenen Hautbräunung
KR101503158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1998B1 (ko) 프로테아제활성화수용체(par2)의 작용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00172B1 (ko) 사람 표피성장인자 및 락토카인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KR100478033B1 (ko) 피부주름 형성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0467081B1 (ko)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68434B1 (ko) 비타민 c 또는 그 유도체 및 빈랑자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5579B1 (ko)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2297B1 (ko) 식물성 단백질 유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1025A (ko) 녹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100132206A (ko) 진세노사이드 Rh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39636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24726B1 (ko) 안정화시킨 비타민 c와 파이토스핑고신을 함유하는 피부보호화장료 조성물
KR102048713B1 (ko) 보스웰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4538A (ko) 풀루란-레티노이드 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조성물
KR100433373B1 (ko) 사람의 표피성장인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6094A (ko)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415430B1 (ko) 안정화시킨 l-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4415B1 (ko) 에피피노레시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8255A (ko) 파리신 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