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033B1 - 피부주름 형성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주름 형성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033B1
KR100478033B1 KR10-2003-0002489A KR20030002489A KR100478033B1 KR 100478033 B1 KR100478033 B1 KR 100478033B1 KR 20030002489 A KR20030002489 A KR 20030002489A KR 100478033 B1 KR100478033 B1 KR 100478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odium
skin
weight
wrink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583A (ko
Inventor
김문무
김상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02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033B1/ko
Publication of KR2004006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라겐의 유전자 발현 및 합성을 촉진하여 결합조직의 재생 효과가 탁월한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Sodium Phenylbutyrate) 및/또는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Sodium Phenylacet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형성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연고, 크림, 로션, 화장수, 팩,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첩포제와 같은 통상적인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주름 형성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Composition having inhibitory effect on formation of skin wrinkle}
본 발명은 콜라겐의 유전자 발현 및 합성을 촉진하여 결합조직의 재생 효과가 탁월한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및/또는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형성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의 원인은 크게 노령화 등의 내적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피부의 주름에는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목주름, 이마주름, 미간주름, 눈꼬리 잔주름, 눈밑 잔주름, 코밑 팔자주름, 입술주위 잔주름, 얼굴 전체에 생기는 미세한 주름 등이 있다. 노령화에 따른 주름의 발생은 개인차가 있지만 대개 20대 초반을 전후해서 나이가 많아지면서 피부의 진피층에 있는 콜라겐의 양이 감소하고 탄력섬유에도 변화가 오게 되어 결과적으로 피부의 이완으로 인한 미세한 주름이 나타난다.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외 간질에 존재하고, 생체 단백질 총중량의 30%를 차지하는 중요한 단백질로 견고한 3중 나선구조를 가지고 있다.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피부노화의 외적인 원인이 되는 자외선 노출에 의해서도 파괴되며, 자외선에 의한 변화는 자외선에 노출된 시간의 축적에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은 피부 진피층에서 탄력섬유성 물질을 축적시키고 교원섬유를 변성시켜 피부에 주름이 생기게 만들고 탄력성을 저하시킨다. 그 밖의 환경적 요인으로는 바람, 열, 그리고 담배 등이 피부의 노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듯 피부 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콜라겐은 고령화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일반적으로 80세에서는 20세에 비해 65%정도 감소하여 피부의 두께가 얇아지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피부의 주름 형성에 밀접하게 연관된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MMP(matrix metalloproteinase)는 다형핵성호중구(Polymorphonuclear neutrophil), 대식세포(Macrophage), 치은섬유아세포(Fibroblast), 골세포(Bone cell) 등과 같은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칼슘 및 아연 의존성 엔도펩티다제 (Endopeptidase)로 중성 pH에서 작용하며, 기질로서 여러가지 세포외기질을 이용한다. 이러한 단백질분해효소는 배발생, 조직의 형성, 암전이, 치주질환, 류마토이드 관절염, 염증, 당뇨병, 각막궤양, 골다공증, 위궤양, 외상, 피부노화 및 주름, 화상 및 상처 치료와 같은 병리학적 과정과 각종 질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광범위한 연구가 발전되면서 피부에서 콜라겐의 중요한 기능들이 밝혀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들로부터 피부내 콜라겐의 합성 촉진에 의해 콜라겐대사가 활발해지면 진피 메트릭스의 성분이 증가되어 주름개선, 탄력증진, 피부강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에 콜라겐의 피부보습효과로부터 화장품에 콜라겐을 배합하는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으나, 이들 화장품은 콜라겐을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 고분자인 콜라겐의 경피흡수가 어려워 보습작용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본질적인 피부기능 개선이라고 말할 수 없다.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기 위해 종래에 사용한 물질로서, 레티노이드 (RE36068),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 동물태반유래의 단백질(JP8-231370), 베툴린산(JP8-208424), 클로렐라 추출물(JP9-40523, JP10-36283) 등이 알려져 있으나, 레티노인산의 경우 불안정하고 피부적용시 자극, 발적 등의 안정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으며,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 촉진으로 인한 피부기능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최근 새롭게 등장한 주름치료법으로 초음파 치료 및 피부 스케일링, 레이저 박피술, 보툴리눔톡신 주사, 레스틸렌 주사 등이 있으나 시술 비용 및 지속성 면에서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생체에서 콜라겐 합성 촉진효과가 매우 우수한 촉진제의 개발 및 발굴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노화 및 광노화에 의한 피부 노화, 주름 형성에도 MMP가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에 착안하여(Br. J. Dermatol., 2000, 142, 267-73; Arch. Dermatol. Res., 2000, 292, 27-31; Free Radical Biol. Med., 1999, 27, 729-37) 콜라겐에이즈(Collagenase) 활성 억제효과를 가진 화합물을 발굴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콜라겐에이즈 유전자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Histone deacetylase)의 억제제로 알려진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혹은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를 마우스의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주름 생성억제 및 치료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약효제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주름 생성과 같은 피부노화의 억제 및 치료에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콜라겐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하는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및/또는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형성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Sodium Phenylbutyrate)는 생체내에서 베타산화에 의하여 페닐아세테이트(Sodium Phenylacetate)로 전환되며, 요소회로장애증 (Hyperammonemia)을 앓고 있는 어린이와 성인의 치료약으로 미국 식약청(FDA)에서 승인한 약품이다. 최근에는 백혈병과 낭포성섬유증(Cystic fibrosis)에도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닐부틸레이트 또는 페닐아세테이트는 물에 녹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소디움을 결합시킨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또는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및/또는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주름형성 억제에 대한 효능을 기대할 수 없고, 너무 많으면 제품의 안전성의 저하로 부적합하기 때문에, 적절한 함유량은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의 주름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개선할 목적으로, 쾨르세틴(Quercetin), 루틴(Rutin), 탁시폴린(Taxifolin), 캠프페롤(Kaempferol), 미리세틴(Myricetin), 큐르큐민(Curcumin),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아레콜린 (Arecoline), 아피제닌(Apigenin), 우고닌(Wogonin), 루테오린(Luteolin) 및 텍토리제닌(Tectorigeni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활성산소 생성억제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미 정제되어 있는 시그마(Sigma)사 제품을 구입하여 그 중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활성산소 생성억제제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효능을 기대할 수 없고, 너무 많으면 제품의 안전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적절한 함유량은 0.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의 주름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상승시킬 목적으로, 다음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3-트랜스-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유도체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또는 C1-6의 알킬기이며, n은 2 내지 100이다.
상기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유도체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주름억제 효능이 나타나지 않고, 너무 많으면 제품의 안전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적절한 함유량은 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 중량%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유도체는 계면활성 특성을 가지고 있어 물, 오일 및 물과 오일의 계면에 배향하며 배향위치에 따라 보존 안정성에 차이를 보인다. 특히, 물속에서보다는 계면 또는 오일쪽에 배향할 때 보존 안정성이 높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연고, 크림, 로션, 화장수, 팩,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첩포제와 같은 통상의 모든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형의 에러로졸 타입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유액, 영양크림, 에센스 또는 팩으로 제조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주름의 감소율을 평가한 결과 주름의 밀도를 상당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실시예 1: 피부외용연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하기 조성을 갖는 피부외용연고를 제조하였다.
중량%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5
쾨르세틴(Sigma사) 1.0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유도체(n=10.7) 1.0
디에틸세바케이트 8.0
경납 5.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EO 4) 6.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바세린 잔량
계 100
실시예 2: 유연화장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하기 조성을 갖는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중량%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1
쾨르세틴 1.0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유도체(n=10.7) 1.0
글리세린 2.0
히알루론산 1.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EO20) 0.1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EO40) 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계 100
실시예 3: 영양유액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하기 조성을 갖는 영양유액을 제조하였다.
중량%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 0.1
쾨르세틴 0.01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유도체(n=10.7) 1.0
세탄올 1.0
밀납 0.5
바세린 2.0
스쿠알란 6.0
에탄올 3.0
1,3-부틸렌글리콜 4.0
폴리솔베이트 60 1.0
솔비탄 세스퀴 올레이트 0.3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3
트리에탄올아민 0.3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계 100
실시예 4: 영양크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하기 조성을 갖는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중량%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 0.1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1
스테아릴알콜 6.0
스테아린산 2.0
농글리세린 1.0
스쿠알란 9.0
1,3-부틸렌글리콜 6.0
폴리솔베이트 60 1.5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 4.0
경화 라놀린 4.0
옥틸 도데카놀 10.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8
트리에탄올아민 0.5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계 100
실시예 5: 에센스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들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비교예 1 실시예 5-1 실시예 5-2 실시예 5-3
사이클로메티콘 15.0 15.0 15.0 1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 3.0 3.0 3.0
미네랄오일 3.0 3.0 3.0 3.0
밀납 1.0 1.0 1.0 1.0
토코페롤 - 1.0 1.0 1.0
세틸디메티콘코폴리올 3.0 3.0 3.0 3.0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 0.1 0.1 0.1
쾨르세틴 - - 0.01 0.01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유도체(n=10.7) - - - 1.0
글리세린 5.0 5.0 5.0 5.0
황산마그네슘 3.0 3.0 3.0 3.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단위: 중량%
실시예 6: 팩
하기 표 2에 기재된 성분들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6-1 실시예 6-2 실시예 6-3 비교예 2
글리세린 5.0 5.0 5.0 5.0
프로필렌글리콜 4.0 4.0 4.0 4.0
폴리비닐알콜 15.0 15.0 15.0 15.0
에탄올 8.0 8.0 8.0 8.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칠 1.0 1.0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0.2 0.2 0.2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 0.1 0.1 0.1 -
쾨르세틴 - 0.01 0.01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유도체(n=10.7) - - 0.1 -
계(잔량은 정제수) 100 100 100 100
단위: 중량%
시험예 1: 헤어리스 마우스에 대한 주름형성 억제효과 평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 활성산소 생성억제제 및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유도체의 주름형성 억제효과를 헤어리스 마우스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6주령의 헤어리스 마우스를 10마리씩 8개의 시험군과 1개의 대조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화합물에 의한 주름형성을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각각의 화합물을 시료에 0.001 내지 10 중량%가 되도록 적용하였으며,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고 용매를 처리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상세한 시험법은 다음과 같다.
헤어리스 마우스에 태양광 자극기를 이용하여 2MED로 1주일에 3일 12주간 조사하여 주름을 형성시켰으며, 각각의 화합물 적용은 1일 2회 즉, 자외선 조사전 30분과 조사후 30분에 100 ㎕씩 10주간 처리하면서 주름형성 억제정도를 판단하였다.
주름 형성억제 정도의 판단은 먼저 시료 처리부위를 육안과 사진촬영을 통해 육안판정하였고, 판정기준은 각각의 화합물의 처리군을 시료 미처리군 (0점)과 비교하여 억제없음(0점), 약간의 억제(1점), 중등도의 억제(2점), 상당한 억제(3점)의 4단계로 동물수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시험군 조성물 주름생성억제(마리)
0점 1점 2점 3점
시험군 1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1 중량% 0 2 3 5
시험군 2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 0.1 중량% 0 2 3 5
시험군 3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1 중량%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 0.1 중량% 0 2 3 5
시험군 4 쾨르세틴 0.1 중량% 4 2 2 2
시험군 5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유도체(n=10.7) 0.1 중량% 1 4 3 2
시험군 6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1 중량% +쾨르세틴 0.1 중량% 0 2 4 4
시험군 7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1 중량%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유도체(n=10.7) 0.1 중량% 0 0 4 6
시험군 8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1 중량% +쾨르세틴 0.1 중량% +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유도체(n=10.7) 0.1 중량% 0 0 3 7
대조군 1 - 10 0 0 0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또는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는 광에 의해 생성된 헤어리스 마우스의 주름에 대해 우수한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쾨르세틴 또는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유도체를 병용하여 처리시 단독사용시보다 주름개선에 대한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쾨르세틴,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유도체 3가지 약효제를 동시에 처리시 주름개선효과가 가장 탁월하였다.
시험예 2: 인체피부에 대한 주름 억제 및 치료효과 평가시험
상기 실시예 1-6과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각 제형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35-6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주름개선 효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35-60세의 여성 300명을 20명씩 15개의 군으로 나누고 각각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안면부에 1일 2회 3개월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3개월후 주름의 개선정도를 피험자의 설문 및 주름의 영상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설문은 주름개선 및 탄력증진에 관하여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4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주름의 영상분석에 의한 평가는 시험이 시작되기 전에 Xantopren(Bayer)을 이용하여 눈밑의 레플리카(replica)를 채취하고 시험이 종료된 직후 동일 부위에서 레플리카를 채취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주름의 2차원적 분석으로 주름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영상분석에 의한 주름밀도의 측정은 사용전을 기준으로 주름 밀도에 대한 감소율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
피부외용연고 종래제품 20 0 0 0
실시예 1 0 3 3 14
유연화장수 종래제품 20 0 0 0
실시예 2 0 4 4 12
영양유액 종래제품 20 0 0 0
실시예 3 0 5 5 10
영양크림 종래제품 20 0 0 0
실시예 4 0 3 4 13
에센스 비교예 1 20 0 0 0
실시예 5-1 5 5 8 2
실시예 5-2 0 3 7 10
실시예 5-3 0 2 5 13
비교예 2 20 0 0 0
실시예 6-1 0 10 5 5
실시예 6-2 0 4 6 10
실시예 6-3 0 3 3 14
단위: 명
비교예 1 98%
비교예 2 98%
실시예 5-1 50%
실시예 5-2 40%
실시예 5-3 35%
실시예 6-1 40%
실시예 6-2 30%
실시예 6-3 25%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주름개선 및 피부의 탄력증진의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피험자의 80% 이상에서 인지가 가능한 중등도 이상의 주름개선 및 탄력개선의 효과가 있었다.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 주름의 밀도가 사용전보다 50-25% 정도로 크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시험결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유액, 영양크림, 에센스 또는 팩 등의 피부외용제로 사용되었을 때,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또는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가 내적 또는 외적 요인에 의해 발생된 주름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발생하는 주름을 억제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콜라겐 단백질합성을 촉진하는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Sodium Phenylbutyrate),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Sodium Phenylacetate)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형성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의 함유량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쾨르세틴(Quercetin), 루틴(Rutin), 탁시폴린 (Taxifolin), 캠프페롤(Kaempferol), 미리세틴(Myricetin), 큐르큐민(Curcumin),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아레콜린(Arecoline), 아피제닌(Apigenin), 우고닌 (Wogonin), 루테오린(Luteolin) 및 텍토리제닌(Tectorigeni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활성산소 생성억제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산소 생성억제제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다음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유도체 0.001 내지 50 중량%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또는 C1-6의 알킬기이며, n은 2 내지 100이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연고, 크림, 로션, 화장수, 팩,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첩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3-0002489A 2003-01-14 2003-01-14 피부주름 형성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0478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489A KR100478033B1 (ko) 2003-01-14 2003-01-14 피부주름 형성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489A KR100478033B1 (ko) 2003-01-14 2003-01-14 피부주름 형성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583A KR20040065583A (ko) 2004-07-23
KR100478033B1 true KR100478033B1 (ko) 2005-03-22

Family

ID=3735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489A KR100478033B1 (ko) 2003-01-14 2003-01-14 피부주름 형성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0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821B1 (ko) * 2005-09-23 2007-08-02 에스케이 주식회사 소디움 페닐부티레이트를 이용한 약물 또는 알코올 중독,또는 조울증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101832415B1 (ko) 2011-10-26 2018-02-27 코웨이 주식회사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616B1 (ko) * 2004-12-31 2012-06-08 (주)아모레퍼시픽 캄페롤 및 퀘르세틴을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조성물
KR100727743B1 (ko) * 2005-08-20 2007-06-13 (주)아모레퍼시픽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및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유도용 피부 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0657B1 (ko) * 2005-11-24 2007-04-24 코스맥스 주식회사 디하이드로퀘세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230932B1 (ko) * 2006-12-07 2013-02-07 (주)아모레퍼시픽 고분자 구형복합체에 항염증 효과가 있는 플라본을담지시킨 화장료 조성물
KR101125225B1 (ko) * 2009-11-18 2012-03-21 한국원자력연구원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WO2020045689A1 (ko) * 2018-08-27 2020-03-05 (주) 마샬 코퍼레이션 항산화용 복합체 및 이를 형성하는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821B1 (ko) * 2005-09-23 2007-08-02 에스케이 주식회사 소디움 페닐부티레이트를 이용한 약물 또는 알코올 중독,또는 조울증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101832415B1 (ko) 2011-10-26 2018-02-27 코웨이 주식회사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583A (ko) 200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2779B2 (ja) 皮膚外用剤
US20070092469A1 (en) Topically applied Glucosamine Sulfate and all its related, precursor, and derivative compounds significantly increases the skin's natural produciton of hyaluronic acid for the rejuvenation of healthier younger-looking skin; while PhosphatidylCholine is required to replace its deficiency caused by topical Dimethylaminoethanol (DMAE)
KR101081914B1 (ko) 생약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U2020273346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opical delivery for skin care
CA2749750A1 (en) Skin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10155833A (ja) 単糖類及びその組成物の使用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439627B1 (ko) 피부주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3063985A (ja) N−アシルアミノアミドファミリーのエラスターゼ阻害剤化合物と少なくとも1種の抗炎症剤化合物の組み合わせを含む化粧品用又は皮膚用組成物
US6589540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care containing retinol and epidermal growth factor
KR100478033B1 (ko) 피부주름 형성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863297B1 (ko) 클로로겐산 및 루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07084448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CN115209887A (zh) Ppar激动剂复合物及其使用方法
KR20070096279A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5550A (ko) 동물성 알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3729A (ko)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비타민 c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15430B1 (ko) 안정화시킨 l-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313524B2 (ja) 抗炎症剤及び抗炎症用皮膚外用剤
KR20000042127A (ko) 안정화시킨 비타민 c와 파이토스핑고신을 함유하는 피부보호화장료 조성물
KR20160067428A (ko) (2S)-1-O-리놀레노일-2-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20230095381A (ko) 다래열매추출물, 다래꽃추출물 및 다래줄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82652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8195A (ko) 파나세노시드를 함유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
KR20000050304A (ko) 안정화시킨 비타민 c와 알파-히드록시 액시드(aha)를 함유하는 피부보호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