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060B1 - 배식 카트 - Google Patents

배식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060B1
KR100500060B1 KR10-2003-0001518A KR20030001518A KR100500060B1 KR 100500060 B1 KR100500060 B1 KR 100500060B1 KR 20030001518 A KR20030001518 A KR 20030001518A KR 100500060 B1 KR100500060 B1 KR 100500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artition plate
tray
tableware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1339A (ko
Inventor
미즈노후미오
마세도꾸따로오
오까모또시게미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05345A external-priority patent/JP38637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05346A external-priority patent/JP3913551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1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30Lifting, transporting, or removing the web roll; Inserting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하나의 트레이에 가열 요리와 비가열 요리를 실어 배식 카트의 구획실에 넣어도 비가열 요리의 냉각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열 요리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각 구획실(6)에는 바닥부에 도전층이 설치되고, 가열용 식재가 가득 담겨진 식기와, 비가열용 식재가 가득 담겨진 식기가 좌우로 나뉘어 실린 트레이(16)가 수납된다. 그리고, 가열용 식기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각 구획실의 바닥부에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이 매설되어 있어 가열을 행한다. 그와 같은 구획실(6) 내에 가열용 식기와 비가열용 식기 사이를 좌우로 구획하는 비금속 부재만으로 구성한 단열성 구획판(7)을 설치한다. 구획판(7)의 하부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하고, 통상은 하방에 있어 대략 간극 없이 구획하지만, 트레이(16)를 통과시킬 때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트레이를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배식 카트{FOOD SERVICE CART}
본 발명은 병원이나 실버타운 등에 있어서 급식의 가열 및 배식을 행하기 위한 배식 카트에 관한 것이다.
병원의 입원 환자용 식사는 각각의 환자의 병상에 맞추어 다채로운 메뉴를 준비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는 각각의 병원 내에 주방을 설치하여, 병원 자체 내에서 조리하여 제공하거나, 혹은 조리를 외부의 조리 회사에 의뢰하여 제공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와 같이 각각의 병원마다 조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설비적 및 인적으로 낭비가 커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그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 제2644187호 공보(A47B 31/02)에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급식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조리 센터(31)에서는 복수의 병원으로부터의 주문에 따라서 다양한 요리가 조리되어 쿡칠 처리가 실시된 후, 식기와 함께 팩된다. 그들 팩된 요리는 쿨 왜건(34)에 수납된 상태에서 배송용 냉장 냉동차(33)에 실려 각각의 병원(32)으로 배송된다.
쿨 왜건(34)이 납품되면, 병원(32)에서는 쿨 왜건(34)을 계속해서 냉장 상태로 보유 지지하면서 급식 시각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급식 시각이 가까워지면 각 환자에 대응하는 메뉴에 따라서 쿨 왜건(34)으로부터 요리를 꺼내어, 각각의 환자마다 트레이(37) 상에 배치하여 각각 배식 카트(35)의 소정의 구획실(36)에 수납한다.
배식 카트(35)에서는 각각의 구획실(36) 안에, 트레이(37) 상의 각 요리(38)에 대응한 위치에 원적외선 히터(39)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히터가 타이머에 의해 소정 시간 통전되어, 각각의 요리(38)가 가장 적절한 상태로 가열된다. 그 상태에서 각 병실로 운반되어, 각각의 환자에게 제공된다.
이와 같이 하면, 설비적 및 인적 낭비 없이 각각의 환자에게 적절한 요리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요리의 가열을 원적외선 히터(39)로 행하는 것에서는, 요리를 어느 정도 따뜻하게 하는 것은 가능해도, 조리를 행하는 것은 불가능해 갓 만들어진 상태의 요리를 제공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먼저, 일본 특허 출원 2001-18228로서 유도 가열을 이용한 배식 카트를 제안하였다. 그 배식 카트는 각 피급식자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구획실을 설치하여 각 구획실의 바닥면에 유도 가열 코일을 매설한다. 또한, 여기에 사용되는 식기는 도11에 단면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40)의 밑면에 은페이스트로 이루어지는 도전층(41)을 설치하고, 그 식기에 각각 주채(主菜), 부채(副菜), 밥, 국물 등의 식재를 가득 담고, 그들을 트레이에 실어 상기 구획실에 수납한다. 그 때, 트레이를 구획실 내의 소정의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트레이의 상면에 위치 결정 부재를 설치하여 항상 유도 가열 코일에 대향하는 위치에 식기가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소정의 시각이 되면 그들의 유도 가열 코일을 일제히 온으로 하여 상기 도전층(41)의 내부에 와전류를 흘리고, 도전층(41)을 발열시켜 식기(40)를 가열하고, 식재의 조리를 행하여 각각의 요리가 동시에 완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식사의 메뉴에는 가열하여 따뜻하게 하는 가열 요리 이외에, 샐러드, 생선회 등의 가열해서는 안되는 비가열 요리도 있다. 병원이나 실버타운 등에 있어서의 요리라도 가열 요리뿐만 아니라, 비가열 요리도 포함하는 다양성이 풍부한 메뉴를 원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배식 카트에서는 하나의 트레이에 가열 요리와 비가열 요리가 혼재하는 경우, 비가열 요리의 식기 밑의 유도 가열 코일을 오프로 해도 인접하는 가열 요리로부터 열을 받아 비가열 요리가 따뜻해져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그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 즉 하나의 트레이에 가열 요리와 비가열 요리를 실어 배식 카트의 구획실에 넣어도 비가열 요리의 냉각 상태를 보유 지지하면서 가열 요리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배식 카트는 바닥부에 도전층이 설치되고, 가열용 식재가 가득 담겨진 식기와 비가열용 식재가 가득 담겨진 식기가 좌우로 나뉘어 실린 트레이를 수납하는 복수의 구획실과, 상기 구획실 내를 상기 가열용 식재가 가득 담겨진 식기와 비가열용 식재가 가득 담겨진 식기 사이를 좌우로 구획하기 위해 트레이의 상면에만 접촉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한 단열성의 구획판과, 상기 가열용 식재가 가득 담겨진 식기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각 구획실의 바닥부에 매설한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하나의 트레이에 가열 요리와 비가열 요리를 실어 배식 카트의 구획실에 넣어도, 비가열 요리의 냉각 상태를 보유 지지하면서 가열 요리의 가열이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배식 카트는 상기 구획실의 천정부 횡방향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상기 구획판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비가열용 식재가 가득 담겨진 식기로서 다른 크기의 식기가 이용된 경우에도 대응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배식 카트는 상기 구획판의 가이드 레일 접촉부에 좌우로 연신하는 스프링판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판과 가이드 레일의 한 쪽에 돌기를 설치하고, 다른 쪽에 상기 돌기와 결합하는 결합 구멍을 마련하여, 상기 돌기와 결합 구멍에 의해 구획판의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구획판을 간단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배식 카트는 상기 구획판의 하부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하고, 통상은 하방에 위치하지만 상기 트레이를 통과시킬 때는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구획실에 트레이를 수납할 때에 구획판의 하부를 간단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배식 카트는 상기 가이드 레일 및 구획판을 비금속 부재만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유도 가열 코일이 온이 되어도 가이드 레일 및 구획판이 가열되는 일이 없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배식 카트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그 수평 단면도이다. 도1, 도2에 있어서, 부호 1은 제어 유닛 수납부, 부호 2는 제어 패널, 부호 3, 4는 도어, 부호 5는 가열 플레이트, 부호 6은 구획실, 부호 7은 구획판, 부호 8은 냉각 시스템, 부호 9는 증발기, 부호 10은 냉각 팬, 부호 11은 냉기 공급 덕트, 부호 12는 흡기 덕트, 부호 13은 파워 어시스트 차륜, 부호 14는 캐스터, 부호 15는 핸들, 부호 16은 트레이, 부호 17은 가열용 식기, 부호 18은 비가열용 식기, 부호 19는 냉기 회수 덕트이다.
배식 카트의 수납고실은 전후 좌우로 각각 이분되어 있고, 또한 종방향은 가열 플레이트(5)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다수의 구획실(6)이 형성되어 있다. 각 구획실(6)에는 각각에 식재를 가득 담은 식기를 실은 트레이(16)가 수납되도록 하고 있다. 트레이(16) 상의 식기는 가열용 식기(17)와 비가열용 식기(18)가 좌우로 나뉘어져 있고, 비가열용 식기(18)가 내측이 되도록 하고 있다. 좌우 여닫이식 도어(3, 4)는 카트의 전방면과 후방면에 설치되어 있어 전후로부터 트레이(16)를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각 구획실(6)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가열 플레이트(5)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5a 내지 5d)이 매립되어 있다. 그리고, 각 구획실(6)에 수납되는 트레이(16)는 가열 플레이트(5)의 후단부 모서리의 주위벽과 도어(3, 4)에 의해 전후 방향의 위치가 결정되고, 가열 플레이트(5)의 좌우 양측 모서리의 주위벽에 의해 좌우 방향의 위치가 결정되어, 가열 플레이트(5)의 유도 가열 코일(5a 내지 5d)에 대해 항상 일정한 위치에 적재된다. 또한, 트레이(16) 상의 각 가열용 식기(17)는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항상 소정의 위치가 되도록 적재되어 있고, 결국 각각의 가열용 식기(17)는 항상 각 유도 가열 코일(5a 내지 5d)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각 구획실(6) 내에는 구획실(6)을 좌우로 이분하여 외측 부분의 가열실(6a)과 내측 부분의 냉장실(6b)로 나뉘어지도록 구획판(7)이 설치되어 있고, 그 가열실(6a)에 가열용 식기(17)가 놓여지고, 냉각실(6b)에 비가열용 식기(18)가 놓여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가열실(6a) 내에서 각 유도 가열 코일(5a 내지 5d)에 의해 가열용 식기(17)가 가열되는 동안, 냉장실(6b)에는 배식 카트의 바닥부에 설치된 냉각 시스템(8)의 증발기(9)에서 냉각된 냉기가 냉각 팬(10)에 의해 냉기 공급 덕트(11)를 거쳐서 공급된다. 냉기 공급 덕트(11)로부터 냉장실(6b)에 공급된 냉기는 냉기 회수 덕트(19)를 거쳐서 흡기 덕트(12)로 복귀하고, 다시 증발기(9)에 의해 냉각되어 냉기 공급 덕트(11)로 이송된다. 그와 같이 냉기가 순환되어 비가열용 식기(18)가 냉각된다. 그 결과, 구획실(6) 안에서는 비가열용 식기(18)의 식재를 냉장하면서 가열용 식기(17)의 식재 가열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배식 카트는 핸들(15)을 당기면, 전동 파워 어시스트 차륜(13)이 주행을 어시스트하므로, 작은 힘으로 배식 카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비가열 요리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고, 그것을 넣는 비가열용 식기(18)의 크기는 식사에 맞추어 복수 종류 준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어떠한 크기의 비가열용 식기(18)가 이용된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배식 카트에서는 구획판(7)을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부착하여 필요에 따라서 구획판(7)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냉각실(6b)의 폭을 가변으로 하고 있다.
도4는 가이드 레일과 구획판의 구조도이다. 가이드 레일(20)은 가열 플레이트(5)를 지지하여 보강하는 기능을 겸하고 있고, 상면에 설치한 돌조(20a)를 협지하여 전후 양측에 가열 플레이트(5)를 실어 보유 지지한다. 구획판(7)은 플라스틱 등 비금속 부재로 형성된 상부 부재(7a)와 하부 부재(7b) 및 스프링판(7c)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부재(7b)는 상부 부재(7a)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 넣어져 있다. 스프링판(7c)은 상부 부재(7a)의 중앙부에서 가이드 레일(20)을 협지하도록 상부 부재(7a)의 좌우 양측으로 도출시켜 설치하고 있다. 가이드 레일(20)도 구획판(7)과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등 비금속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 내부가 공동이고, 그 중앙부는 도5에 A-A 단면을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모서리부(20c)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그 부분이 구획판(7)측의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20)의 측면에는 결합 구멍(20b)이 마련되어 있고, 구획판(7)의 스프링판(7c)의 선단부 내측에는 결합 구멍(20b)과 결합하는 돌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 구멍(20b)과 돌기가 결합한 위치에서 구획판(7)을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와 같은 결합 구멍(20b)을 복수 부위에 마련함으로써, 구획판(7)을 복수 부위에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도6은 구획판의 위치를 변화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의 (가)는 트레이(16) 상에 작은 사이즈의 비가열용 식기(18)를 실은 경우를 나타내고, 도6의 (나)는 큰 사이즈의 비가열용 식기(18)를 실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비가열용 식기(18)가 작은 사이즈인 경우는 도6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 근방의 결합 구멍(20b)에 돌기(7d)를 결합시키고, 비가열용 식기(18)가 큰 사이즈인 경우는 도6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측 결합 구멍(20b)에 돌기(7d)를 결합시킨다.
도7은 트레이를 삽입할 때의 구획판 하부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통상은 도7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7)의 하부 부재(7b)는 아래로 하강하고 있다. 그리고, 트레이(16)를 구획실(6)에 수납할 때는 하부 부재(7b)가 상부 부재(7a)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 넣어져 있으므로, 도7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부재(7b)가 상승하여 트레이(16)의 모서리를 간단히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납한 후에는 도7의 (다)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부재(7b)를 아래로 하강하여 하부 부재(7b)의 하면 형상을 트레이(16)의 상면 형상과 서로 끼워 맞추는 형으로 하였으므로, 구획실 내를 확실하게 구획할 수 있다.
도8은 구획판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구획판은 하부 부재(7b)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는 타입인 것으로, 상부 부재(7a)의 하반부 내에 하부 부재(7b)가 관통 삽입되어 있고, 하부 부재(7b)의 상단부 돌출 모서리(7e)가 상부 부재(7a)의 하단부 모서리에 계지됨으로써, 하부 부재(7b)가 상부 부재(7a)로부터 빠져 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부 부재(7a)의 상반부 내에는 발포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열재(7f)가 충전되어 구획판(7)의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9는 구획판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구획판은 하부 부재(7b)가 판스프링(7h)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도록 한 타입인 것으로, 트레이(16) 수납시에 트레이(16)의 모서리부가 통과한 후, 하부 부재(7b)가 판스프링(7h)에 의해 압박되어 확실하게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에 기재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배식 카트는 구획실 내에 가열용 식재가 가득 담겨진 식기와 비가열용 식재가 가득 담겨진 식기와의 사이를 좌우로 구획하는 단열성 구획판을 설치하였으므로, 하나의 트레이에 가열 요리와 비가열 요리를 실어 배식 카트의 구획실에 넣어도 비가열 요리의 냉각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열 요리를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배식 카트는 상기 구획실의 천정부 횡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상기 구획판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하였으므로, 비가열용 식재가 가득 담겨진 식기로서 다른 크기의 식기가 이용된 경우에도 대응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배식 카트는 상기 구획판의 가이드 레일 접촉부에 좌우로 연신되는 스프링판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판과 가이드 레일의 한 쪽에 돌기를 설치하고, 다른 쪽에 상기 돌기와 결합하는 결합 구멍을 마련하여 상기 돌기와 결합 구멍에 의해 구획판의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구획판을 간단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배식 카트는 상기 구획판의 하부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하고, 통상은 하방에 위치하지만 상기 트레이를 통과시킬 때는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하였으므로, 구획실에 트레이를 수납할 때에 구획판의 하부를 간단히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배식 카트는 상기 가이드 레일 및 구획판을 비금속 부재만으로 구성하였으므로, 유도 가열 코일이 온이 되어도 가이드 레일 및 구획판이 가열되는 일이 없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배식 카트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도1의 배식 카트의 수평 단면도.
도3은 가열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4는 가이드 레일과 구획판의 구조도.
도5는 도4의 가이드 레일과 구획판의 A-A 단면도.
도6은 구획판의 위치를 변화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트레이를 삽입할 때의 구획판 하부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8은 구획판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9는 구획판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10은 종래의 급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종래의 배식 카트용 식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가열 플레이트
6 : 구획실
7 : 구획판
8 : 냉각 시스템
9 : 증발기
10 : 냉각 팬
11 : 냉기 공급 덕트
16 : 트레이
17 : 가열용 식기
18 : 비가열용 식기
20 : 가이드 레일

Claims (5)

  1. 바닥부에 도전층이 설치되고, 가열용 식재가 가득 담겨진 식기와 비가열용 식재가 가득 담겨진 식기가 좌우로 나뉘어 실린 트레이를 수납하는 복수의 구획실과, 상기 구획실 내를 상기 가열용 식재가 가득 담겨진 식기와 비가열용 식재가 가득 담겨진 식기와의 사이를 좌우로 구획하기 위해 트레이의 상면에만 접촉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한 단열성 구획판과, 상기 가열용 식재가 가득 담겨진 식기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각 구획실의 바닥부에 매설한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식 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실의 천정부 횡방향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상기 구획판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식 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의 가이드 레일 접촉부에 좌우로 연신되는 스프링판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판과 가이드 레일의 한 쪽에 돌기를 설치하고, 다른 쪽에 상기 돌기와 결합하는 결합 구멍을 마련하여, 상기 돌기와 결합 구멍에 의해 구획판의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식 카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의 하부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하고, 통상은 하방에 위치하지만 상기 트레이를 통과시킬 때는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식 카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 및 구획판을 비금속 부재만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식 카트.
KR10-2003-0001518A 2002-01-11 2003-01-10 배식 카트 KR100500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05345 2002-01-11
JP2002005345A JP3863783B2 (ja) 2002-01-11 2002-01-11 配膳カート
JP2002005346A JP3913551B2 (ja) 2002-01-11 2002-01-11 誘導加熱用トレー
JPJP-P-2002-00005346 2002-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339A KR20030061339A (ko) 2003-07-18
KR100500060B1 true KR100500060B1 (ko) 2005-07-12

Family

ID=493229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518A KR100500060B1 (ko) 2002-01-11 2003-01-10 배식 카트
KR10-2003-0001517A KR100465475B1 (ko) 2002-01-11 2003-01-10 유도 가열용 트레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517A KR100465475B1 (ko) 2002-01-11 2003-01-10 유도 가열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500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33670A (zh) * 2014-11-21 2015-03-25 周正英 一种成套茶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2534U (ja) * 1984-04-26 1985-11-15 新日本航空整備株式会社 配膳車
JPS60172535U (ja) * 1984-04-26 1985-11-15 新日本航空整備株式会社 配膳車
JPS6474838A (en) * 1987-09-17 1989-03-20 Est Kk Broadcast receiver for specific object group
JPH0330372A (ja) * 1989-06-27 1991-02-08 Fuji Electric Co Ltd 自己消弧型パワースイッチングデバイス
JP2000300354A (ja) * 1999-04-21 2000-10-31 Hitachi Hometec Ltd 給食配膳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338A (ko) 2003-07-18
KR100465475B1 (ko) 2005-01-13
KR20030061339A (ko) 200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1264B1 (en) Multi-zone food holding bin
US10841981B1 (en) Multi-zone food holding bin
US6073547A (en) Food temperature maintenance apparatus
US4020310A (en) Container for inductively heating food
US41105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food
US6315039B1 (en) Bedside rethermalization unit
CA1052851A (en) Heated food services system
JP2002517265A (ja) 食事配達器具
EA012924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нагревания нескольких готовых блюд
JP3863783B2 (ja) 配膳カート
JP2644187B2 (ja) 給食システム
KR100500060B1 (ko) 배식 카트
JP2006094902A (ja) 食事提供システム
JP2009213591A (ja) 配膳車
JP3825697B2 (ja) 配膳カート
KR200169865Y1 (ko) 단체 급식용 식판 냉온 배선카
JP3913551B2 (ja) 誘導加熱用トレー
JP4152143B2 (ja) 調理装置及び配膳カート
JP4417141B2 (ja) 配膳車
JP4458717B2 (ja) 配膳カート
JP2004159790A (ja) 配膳車
JP4471786B2 (ja) 配膳装置
JP4471518B2 (ja) 配膳カートの加熱制御装置
JP4471517B2 (ja) 配膳カートの加熱制御装置
JP4573473B2 (ja) 誘導加熱用ト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