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277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277B1
KR100496277B1 KR10-1998-0039947A KR19980039947A KR100496277B1 KR 100496277 B1 KR100496277 B1 KR 100496277B1 KR 19980039947 A KR19980039947 A KR 19980039947A KR 100496277 B1 KR100496277 B1 KR 100496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ase frame
panels
support
plasm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035A (ko
Inventor
전병윤
현인걸
장찬영
도우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39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277B1/ko
Publication of KR20000021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02Details
    • H01J17/16Vessels;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조립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정의 제1패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흡착하고, 상기 제1패널과 결합되는 제2패널을 이어서 공급받는 패널공급장치; 상기 패널공급장치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패널공급장치상의 상기 제2패널을 진공흡착하도록, 상기 제2패널을 상기 패널공급장치로부터 직접 진공흡착하는 진공패드장치와, 상기 진공패드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진공패드장치를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볼 스크류 및 상기 볼 스크류가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볼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패널결합장치; 상기 패널공급장치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수단;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2패널의 위치를 각각 정렬하는 얼라인먼트수단; 상기 제1, 2패널의 흡착, 정렬, 및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기판의 조립이 가능하고 제품의 신뢰성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Apparatus for assembling 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 하부패널을 조립하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형광 물질이나 특수 가스를 여기시킴으로써 빛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즉, 밀폐된 공간에 설치된 두 전극 사이에 가스가 충전된 상태에서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글로우방전이 일어나도록 하고, 이 글로우방전시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형광체층을 여기시켜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가스 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전 메커니즘에 의하여 AC형과 DC형으로 양분될 수 있다. 상기 DC형이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각 전극들이 방전셀에 봉입되는 가스층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그에 인가되는 전압이 그대로 방전가스층에 인가되는 것이고, 상기 AC형이란 각 전극들이 방전가스층과 유전체층에 의하여 분리되어 방전현상시 발생되는 하전입자들을 상기 전극들이 흡수하지 않고 벽전하를 형성하게 되며 이 벽전하를 이용하여 다음 방전을 일으키는 것이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 형성되는 전극의 수에 따라 2전극형, 3전극형, 4전극형 등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2전극형은 2개의 전극으로 어드레싱(Addressing) 및 유지(Sustain)를 위한 전압이 함께 인가되는 것이고 3전극형은 면방전형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방전셀의 측면에 위치하는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에 의하여 스위칭되거나 또는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소정의 전면기판(11)에 소정패턴의 투명전극(12)이 형성되고, 이 투명전극(12)의 상면에 이와 나란한 방향으로 버스전극(13)이 형성된다. 상기 투명전극(12)의 상면에 형성된 버스전극(13)은 상기 투명전극(12)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투명전극(12)과 버스전극(13)이 형성된 전면기판(15)의 상면에는 투명유전층(14)이 형성된다. 상기 투명유전층(14)의 상부에는 MgO으로 이루어진 보호층(15)이 차례로 적층된다. 상기 보호층(15)은 일반적으로 MgO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셀과 셀 사이에는 즉, 상기 투명전극(12) 사이에는 각각의 화소로부터 형성되는 빛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고, 패널의 대형화에 따라 높은 콘트라스트의 확보를 위하여 블랙 매트릭스(1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전면기판(11)은 어드레스 전극(17)과 격벽(18)이 형성된 기판(19)과 결합되어 방전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17)과 상기 격벽 사이에는 절연부재(20)가 개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판과 전면기판의 종래의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소정의 테이블에 두 개의 기판을 겹쳐 얹고 현미경으로 얼라인먼트 마스크를 관찰하면서 상기 두 개의 기판중 상부에 얹어진 기판을 손으로 들어 두 개의 기준 마크의 중심이 일치된다고 판단될 때까지 움직인 후 가만히 제자리에 놓는다. 그런 후 소정의 클립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수작업에 의하여 소형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판조립이 어느 정도 가능하였으나, 대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이러한 수작업으는 조립이 어렵다.
도 2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는 일본 오사끼(OSAKI) 엔지니어링 주식회사의 제품을 일 실시예로 개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는, 지면에 대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 프레임(2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부에 설치되고 X, Y, 및 θ축을 갖는 정렬 스테이지(22)와, 상기 정렬 스테이지(22)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부기판(31)을 지지하는 하부패널 테이블(23)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기판(31)과 조립되는 상부기판(41)을 지지하고 소정 각도로 회전하는 상부패널 테이블(24)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패널 테이블의 일측에는 4대의 얼라인먼트 카메라(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 하부패널 테이블(23, 24)에는 상, 하부기판(31, 41)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지지대(23a, 24a)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지지대(23a, 24a)는 고정지지대와 움직임이 가능한 가변지지대로 대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우선, 수동에 의해 상기 상, 하부기판(41, 31)을 세팅하고, 스위치를 온(on)하여 상기 상, 하부기판(41, 31)을 흡착한다. 이어서, 상기 상부패널 테이블(24) 반전시킨다. 즉 상, 하부기판(41, 31)을 작업자가 상, 하부패널 테이블(24, 23)에 로딩(loading)하면 상부패널 테이블(24)은 큰 반경을 그리며 180도 반전하여 하부기판(31) 위에 상부기판(41)이 놓인다. 그리고 상, 하부기판(41, 31)의 얼라인먼트 마크의 위치를 확인한 후, 위치를 보정하고 얼라인먼트를 종료한다. 이어서 상, 하부기판(41, 31)의 장변쪽을 수동으로 클립(clip)으로 고정하고 완료 스위치를 온(on)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패널 테이블(24)을 원위치로 반전시키고 작업을 종료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작동을 하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는 장치의 견고함이 떨어지고, 작업자의 안전에 부적당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수작업에 의한 기판의 조립시 패널의 패턴막이 긁힘이 발생하여 제품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대형기판의 조립작업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장치가 견고하며,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이 고려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정의 제1패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흡착하고, 상기 제1패널과 결합되는 제2패널을 이어서 공급받는 패널공급장치; 상기 패널공급장치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패널공급장치상의 상기 제2패널을 진공흡착하도록, 상기 제2패널을 상기 패널공급장치로부터 직접 진공흡착하는 진공패드장치와, 상기 진공패드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진공패드장치를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볼 스크류 및 상기 볼 스크류가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볼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패널결합장치; 상기 패널공급장치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수단;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2패널의 위치를 각각 정렬하는 얼라인먼트수단; 상기 제1, 2패널의 흡착, 정렬, 및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제1, 2패널을 외부로부터 상기 패널공급장치에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부재가 설치된 제1프레임; 상기 패널공급장치와 상기 패널결합장치에 의해 상기 제1, 2패널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결합장치가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부재가 설치된 제2프레임;을 포함하여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널공급장치는 상기 제1, 2패널을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챔버; 상기 제1, 2패널의 1차정렬과 상기 제1, 2패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챔버의 가장자리에 다수개 설치된 서포트 블록; 상기 서포트 블록들이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 블록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를 포함하여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공패드장치는 상기 제2패널을 직접 진공흡착하는 다수의 진공패드; 상기 진공패드를 지지하고, 상기 승강수단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볼 스크류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벨트풀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스탭핑모터; 상기 스탭핑모터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벨트풀리; 상기 제1벨트풀리와 상기 제2벨트풀리를 연결하는 전동벨트;를 포함하여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먼트수단은 상기 제1, 2패널상에 구비된 정렬마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2패널의 상쪽부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시시디 카메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마크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모니터; 상기 슬라이딩수단 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2패널을 정렬할 수 있도록 X, Y, 및 θ스테이지가 각각 적층되어 구비된 정렬테이블;를 포함하여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이송부는 볼스크루와, 상기 볼스크루의 일측에 설치된 엘엠 가이드를 포함하여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는, 소정의 지지프레임 또는 지지플레이트인 각관이 용접되어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1차적으로 소정의 하부패널(110)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흡착하고, 상기 하부패널(110)과 결합되는 상부패널(120)을 계속해서 공급받아 상기 하부패널(110) 위에 놓이도록 하는 패널공급장치(200)와, 상기 패널공급장치(20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패널공급장치(200) 위에 놓인 상기 상부패널(120)을 진공 흡착하여 상기 하부패널(110)과 결합시키도록 하는 패널결합장치(300)와, 상기 패널공급장치(200)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수단으로서의 테이블 이송부(50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 하부패널(120, 110)의 정렬마크를 인식하여 상, 하부패널(120, 110)의 위치를 각각 정렬하는 얼라인먼트수단과, 상, 하부패널(120, 110)의 흡착, 정렬, 및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의 각각의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상기 상, 하부패널(120, 110)을 외부로부터 상기 패널공급장치(2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각관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지지부재가 설치된 제1프레임(101)과, 상기 패널공급장치(200)와 상기 패널결합장치(300)에 의해 상기 상, 하부패널(120, 110)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결합장치(3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부재가 설치된 제2프레임(102)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프레임(102)의 상부를 폐쇄되도록 제2프레임(102)의 상부에는 커버(103)가 설치된다.
도 4에는 도 3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에서 패널공급장치(200)만을 도시한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공급장치(200)는, 상기 상, 하부패널(120, 110)을 흡착하고 소정의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져 소정의 지지플레이트(30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챔버(201)와, 상기 상, 하부패널(120, 110)의 1차적인 정렬과 상, 하부패널(120, 1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챔버(201)의 가장자리에 다수개 설치된 서포트 블록(202)과, 상기 서포트 블록(202)들이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 블록(202) 일측에 실린더가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도 5에는 도 4의 패널공급장치(20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챔버(201)는 상하 및 좌우 대칭 및 대향되게 4개가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 블록(202)은 상기 진공챔버(201)와 마찬가지로 상하 및 좌우 대칭 및 대향되게 6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블록(202)은 상기 실린더와 결합된 형태로 서포트 블록(202)이 구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6에는 도 3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에서 패널결합장치(300)만을 도시한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결합장치(300)는 상기 상부패널(120)을 상기 패널공급장치(200)로부터 진공흡착하는 진공패드(301)장치와, 상기 진공패드(301)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진공패드(301)장치를 승강 가능하게 하는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진공패드(301)장치는 상부패널(120)을 직접 진공흡착하여, 상기 상부패널(120) 흡착시 발생하는 미세한 충격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상부패널(120)의 손상을 방지하는 다수의 진공패드(301)와, 상기 진공패드(301)를 지지하고 상기 승강수단과 연결되는 설치된 다수의 지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306)과, 상기 지지 프레임(306)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볼 스크류(307)와, 상기 볼 스크류(307)가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볼 스크류(307)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패널(120)을 진공흡착하는 진공패드(301)는 5개가 설치되고, 상기 볼스크루(307)는 지지 프레임(306)을 중심으로 두 개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볼 스크류(307)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벨트풀리(308)와, 상기 지지 프레임(306)의 중심부에 즉 상기 볼스크루(307)의 중심부에 설치된 스탭핑모터(309)와, 상기 스탭핑모터(309)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벨트풀리(310)와, 상기 제1, 2벨트풀리(309, 310)를 연결하여 볼스크루(307)에 의해 패널결합장치(300)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전동벨트(311)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과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얼라인먼트수단은 상기 상, 하부패널(120, 110)상에 구비된 정렬마크(미도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 하부패널(120, 110)의 상부쪽의 베이스 프레임(100)에 설치된 다수개의 시시디 카메라(401)와, 조작 가능한 위치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상부에 설치되어 상, 하부패널(120, 110)의 정렬마크가 디스플레이 또는 모니터링되도록 하는 모니터(403)와, 상기 테이블 이송부(500) 위에 설치되어 상기 상, 하부패널(120, 110)을 정렬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가 설치된 X, Y, 및 θ스테이지가 각각 적층되어 구비된 정렬 테이블(402)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시시디 카메라(401)는 보통 4대가 베이스 프레임(100) 특히 제2프레임(102)에 설치되고, 상기 모니터(403)는 시시디 카메라(401)에 감지된 상, 하부 패널의 정렬마크를 4분할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 테이블 이송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패널공급장치(200)가 왕복 이송운동되도록 하는 테이블 이송부(500)와, 상기 테이블 이송부(500)를 구동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테이블 이송부(500)는 볼스크루(501)와, 상기 정렬 테이블(402)을 지지하며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볼스크루(501)의 일측에 설치된 엘엠 가이드(502)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는 서보모터(50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공급장치(200)의 가장자리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패널결합장치(300)의 진동 또는 흔들림을 방지하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승강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지지 승강장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303, 304, 305)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패널결합장치(300)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되도록 하는 지지축(312)과, 상기 지지축(312)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축(312)이 슬라이딩 되도록 지지하는 볼부시(313)를 포함하여 된다. 상기 지지축(312)은 스탭핑모터(309)를 중심으로 좌우 및 상하 대칭되게 상기 지지 플레이트(303, 304, 305)에 4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특히 상기 제2프레임(102)의 상부에는 상, 하부패널(120, 110)의 흡착, 정렬 및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다수의 기능키가 설치된 터치 패널부(104)가 설치되고, 상기 상, 하부패널(120, 110)의 정전기 제거를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된 이온화장치(ionizer)(미도시)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7a내지 7c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시시디 카메라(401) 및 조명장치(미도시) 등을 작동 가능상태로 하여 작업 개시한다.(단계 601) 이어서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원 및 각종 램프, 위치, 모터원점, 각종 치구, 및 실린더의 원래 위치 등을 확인하는 초기화 확인 및 설정을 한다.(단계 602) 그리고 상기 패널공급장치(200)를 테이블 이송부(500)를 이용하여 제1프레임(101)쪽으로 이송시킨다.(단계 603) 이어서, 상기 하부패널(110)을 패널공급장치(200)의 진공챔버(201) 및 서포트 블록(202)에 수작업으로 공급하고(단계 604), 하부패널(110)을 정렬 테이블(402) 위에서 센터링을 하며(단계 605), 상기 하부패널(110)을 압력센서(미도시) 작동에 의해 진공흡착한다.(단계 606)
그리고 상기 하부패널(110)의 서포트 블록(202) 상부에 상부패널(120)을 수작업으로 상부패널(120)을 공급한 후(단계 607), 패널공급장치(200)를 패널결합장치가 설치된 제2프레임(102)쪽으로 이송시킨다. 즉 기능키를 작동시켜 얼라인먼트 위치인 패널공급장치(200)로 이송시키는 것이다.(단계 608) 이어서 상기 하부패널(110)의 상부에 놓인 상부패널(120)을 상기 패널결합장치(300)의 진공패드(301)가 흡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결합장치(300)가 수직 하강한다. 이러한 패널결합장치(300)의 하강은 설정된 데이터량에 따라 자동 하강되는 것이다.(단계 609) 그리고 상기 진공패드(301)가 일정거리 하강하고 정지한다.(단계 610) 이어서 상기 진공패드(301)에 의해 상부패널(120)을 흡착한다. 이때 상기 진공패드(301)가 작동될 수 있도록 전원이 온(on)된 상태이다.(단계 611) 그리고 상기 진공패드(301)가 진공도달 압력이 적당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612)
상기의 단계 612의 판단에 따라 옳지 않으면, 에러(error)신호를 발생시키며(단계 613), 그 반대로 상기의 단계 612의 판단에 따라 옳으면, 상기 상부패널(120)이 진공패드(301)에 의해 흡착된다.(단계 614) 이어서 상기 상, 하부패널(120, 110)을 흡착한 후 서포트 블록(202)이 자동적으로 후진한다.(단계 615) 그리고 얼라인먼트를 위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Z축을 하강시킨다.(단계 616)
이어서 상기 정렬 테이블(402)을 이용 상, 하부패널(120, 110)의 X, Y, 및 θ를 각각 정렬한다. 이때 4분할된 상기 모니터(403)를 보면서 수동에 의해 조작한다.(단계 617) 그리고 상기 단계 617의 정렬을 판단한다.(단계 618) 상기의 단계 618이 옳으면, 상기 진공패드(301)를 하강시켜 상, 하부패널(120, 110)을 결합 내지 접합시킨다.(단계 619) 한편 상기의 단계 618이 옳지 않으면, 상기 단계 617을 다시 수행한다.
상기 단계 619가 수행된 후, 수동에 의해 클립(clip)(미도시)을 이용 상기 상, 하부패널(120, 110)에 대해 클립핑작업을 실시한다.(단계 620) 이어서 정렬을 다시 수행하고(단계 621), 수행한 단계 620이 옳지 않다고 판단되면, 클립을 제거하고 전술한 단계 617로 돌아간다.(단계 622) 이와 반대로 상기의 단계 621이 옳다고 판단되면 상기 진공패드(301)의 상부패널(120) 진공흡착을 해제한다. 한편 전술한 동작들은 다수의 기능키가 구비된 터치 패널부(104)에 의해 조작된다.(단계 623) 그리고 상기 패널결합장치(300)를 상승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단계 624), 복귀완료 신호에 의해 상기 패널공급장치(200)를 패널을 취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1프레임(101)쪽으로 이송시키다.(단계625)
이어서 상기 패널공급장치(200)의 진공흡착상태를 해제시키고(단계 626), 상기 상, 하부패널(120, 110)을 수작업에 의해 취출시킨 후(단계 627), 모든 작업을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장치에 의해 대형패널 예컨대 42인치의 대형패널의 조립이 가능해졌다.
둘째,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의 장치들이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음으로서 내구성을 유지하고,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이 고려되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셋째, 패널의 조립이 각각의 장치에 의해 거의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서 작업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넷째, 패널의 조립이 거의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경제적이다.
그리고 상, 하부패널의 로딩시 이온화장치에 의해 정전기 발생에 따른 불량을 제거할 수 있으며, 버퍼형태의 진공패드가 패드 흡착에 사용되므로서 각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4는 도 3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의 패널공급장치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패널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의 패널결합장치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7a내지 7c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베이스 프레임 101. 제1프레임
102. 제2프레임 103. 커버
104. 터치 패널부 110. 하부패널
120. 상부패널 200. 패널공급장치
201. 진공챔버 202. 서포트 블록
300. 패널결합장치 301. 진공패드
302, 303, 304, 305. 지지플레이트
306. 지지프레임 307, 501. 볼스크루
308. 제1벨트풀리 309. 스탭핑모터
310. 제2벨트풀리 311. 전동벨트
312. 지지축 313. 볼부시
401. 시시디 카메라 402. 정렬 테이블
403. 모니터 500. 테이블 이송부
502. 엘엠 가이드 503. 서보모터

Claims (14)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정의 제1패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흡착하고, 상기 제1패널과 결합되는 제2패널을 이어서 공급받는 패널공급장치;
    상기 패널공급장치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패널공급장치상의 상기 제2패널을 진공흡착하도록, 상기 제2패널을 상기 패널공급장치로부터 직접 진공흡착하는 진공패드장치와, 상기 진공패드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진공패드장치를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볼 스크류 및 상기 볼 스크류가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볼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패널결합장치;
    상기 패널공급장치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수단;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2패널의 위치를 각각 정렬하는 얼라인먼트수단;
    상기 제1, 2패널의 흡착, 정렬, 및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제1, 2패널을 외부로부터 상기 패널공급장치에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부재가 설치된 제1프레임;
    상기 패널공급장치와 상기 패널결합장치에 의해 상기 제1, 2패널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결합장치가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부재가 설치된 제2프레임;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커버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공급장치는,
    상기 제1, 2패널을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챔버;
    상기 제1, 2패널의 1차정렬과 상기 제1, 2패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챔버의 가장자리에 다수개 설치된 서포트 블록;
    상기 서포트 블록들이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 블록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패드장치는,
    상기 제2패널을 직접 진공흡착하는 다수의 진공패드;
    상기 진공패드를 지지하고, 상기 승강수단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볼 스크류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벨트풀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스탭핑모터;
    상기 스탭핑모터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벨트풀리;
    상기 제1벨트풀리와 상기 제2벨트풀리를 연결하는 전동벨트;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먼트수단은,
    상기 제1, 2패널상에 구비된 정렬마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2패널의 상쪽부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시시디 카메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마크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모니터;
    상기 슬라이딩수단 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2패널을 정렬할 수 있도록 X, Y, 및 θ스테이지가 각각 적층되어 구비된 정렬테이블;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패널의 정전기 제거를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이온화장치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공급장치가 왕복 이송운동되도록 하는 테이블 이송부;
    상기 테이블 이송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이송부는 볼스크루와, 상기 볼스크루의 일측에 설치된 엘엠 가이드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서보모터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공급장치의 가장자리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패널결합장치의 진동을 방지하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승강장치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승강장치는,
    상기 패널결합장치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패널결합장치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되도록 상기 패널결합장치의 일측에 설치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축이 슬라이딩 되도록 지지하는 볼부시;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제1, 2패널의 흡착, 정렬 및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다스의 기능키가 설치된 터치 패널부가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KR10-1998-0039947A 1998-09-25 1998-09-2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KR100496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947A KR100496277B1 (ko) 1998-09-25 1998-09-2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947A KR100496277B1 (ko) 1998-09-25 1998-09-2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035A KR20000021035A (ko) 2000-04-15
KR100496277B1 true KR100496277B1 (ko) 2005-09-09

Family

ID=19551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947A KR100496277B1 (ko) 1998-09-25 1998-09-2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956B1 (ko) * 1998-12-19 2006-02-1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렉시블 기판의 연결장치
KR100404191B1 (ko) * 2001-04-04 2003-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제조설비 및 제조공정
KR100815909B1 (ko) * 2002-03-19 2008-03-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용 진공 합착 장치
KR100455449B1 (ko) * 2002-06-18 2004-11-06 (주)넥스트인스트루먼트 스테이지 방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 이송장치를 갖는인라인 검사장비
KR100490952B1 (ko) * 2002-11-29 2005-05-19 (주)넥스트인스트루먼트 스테이지 방식을 갖는 다목적 광학 검사용 디스플레이패널 이송장치
KR100677867B1 (ko) * 2006-03-20 2007-02-02 장동복 메모리 보드 개별 착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77A (ja) * 1991-06-26 1993-01-08 Osaki Eng Kk 液晶モジユール製造装置
JPH0557544A (ja) * 1991-08-26 1993-03-09 Komatsu Flash:Kk 組合せパネルの自動組立装置
JPH0831321A (ja) * 1994-07-15 1996-02-02 Sony Corp 平板状表示パネルの製造装置
JPH1092306A (ja) * 1996-09-20 1998-04-10 Sony Corp プラズマ表示パネル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77A (ja) * 1991-06-26 1993-01-08 Osaki Eng Kk 液晶モジユール製造装置
JPH0557544A (ja) * 1991-08-26 1993-03-09 Komatsu Flash:Kk 組合せパネルの自動組立装置
JPH0831321A (ja) * 1994-07-15 1996-02-02 Sony Corp 平板状表示パネルの製造装置
JPH1092306A (ja) * 1996-09-20 1998-04-10 Sony Corp プラズマ表示パネル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035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1023B2 (ja) 基板の組立装置
JP3410983B2 (ja) 基板の組立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685923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JP2001282126A (ja) 基板組立装置
KR101025735B1 (ko) 백라이트 유닛용 도광판에 fpcb를 부착하는 자동 부착유니트와 도광판 반전유니트, 도광판을 몰드 프레임에 자동삽입하는 자동조립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 자동 조립방법
KR10049627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장치
US7578900B2 (en) Bon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40004082A (ko) 기판조립장치와 기판조립방법
KR20020066194A (ko) 기판조립방법 및 장치
KR100589234B1 (ko) 평판표시소자 제조를 위한 기판 처리 장치
JP2002357838A (ja) 基板貼り合わせ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637459B1 (ko) 기판 고정용 클램핑 테이블
JP4343500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325981C (zh) 粘合机中的工作台结构及其控制方法
KR100819540B1 (ko)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물류이송장치
KR102431793B1 (ko) 초박형 유리용 합착시트 정렬장치
JPH10269935A (ja) パネルディスプレイ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50111448A (ko) 티에프티-엘시디 모듈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이조립장치를 이용한 티에프티-엘시디 모듈 어셈블리 조립방법
KR100720418B1 (ko) 합착기
JP2004087635A (ja) 基板貼り合わせ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313888A (ja) 板状部材の搬送方法
JPH09183627A (ja) ガラス切断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815909B1 (ko) 액정표시소자용 진공 합착 장치
KR102612030B1 (ko) 백라이트 진공흡착 모듈용 부품 자동검사장치과 이의 자동검사방법
JP4470922B2 (ja) 基板の搬出入方法とロボ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