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188B1 - 데이타송신장치및방법,데이타수신장치및방법,데이타송수신시스템및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타송신장치및방법,데이타수신장치및방법,데이타송수신시스템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188B1
KR100495188B1 KR10-1998-0014433A KR19980014433A KR100495188B1 KR 100495188 B1 KR100495188 B1 KR 100495188B1 KR 19980014433 A KR19980014433 A KR 19980014433A KR 100495188 B1 KR100495188 B1 KR 100495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de
key
packet
isochro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1633A (ko
Inventor
요시오 오사카베
마코토 사토
요시토모 오사와
도모유키 아사노
류지 이시구로
히사토 시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81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58Isochrono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71Packet processing; Packet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04Security; Encryption; Cont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using time-dependent keys, e.g. periodically changing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7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and a peripheral device or smart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타의 부정한 이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1394 버스(5)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타를 암호화 복호화 회로(24)로 암호화하고, 헤더 싱크 검출 생성 회로(23)에서 헤더를 부가한다. CRC 검출 생성 회로(33)에서 CRC를 부가한 후, 송수신 전환 회로(21)에서 등시 모드의 등시 패킷으로 패킷화한다. 암호키 중에서 섹션키는 비동기 모드의 패킷으로 전송하고, 시변키는 등시 모드의 패킷으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데이타 송신 장치 및 방법, 데이타 수신 장치 및 방법,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데이타 송신 장치 및 방법, 데이타 수신 장치 및 방법,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1394 직렬 버스를 이용해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데이타의 부정한 이용을 방지하도록 한 데이타 송신 장치 및 방법, 데이타 수신 장치 및 방법,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최근에는, IEEE에서 규정하고 있는 IEEE 1394 고성능 직렬 버스(이하, 단순히 1394 버스라고 함)가 보급되어 있다. 이 1394 버스에서는, 이 버스에 이른바 AV 기기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를 접속함으로써 고속으로 디지탈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제어 명령과 더불어 실시간으로 1개의 케이블로 전송할 수 있다.
1394 버스에서, 데이타를 전송할 때에, 비동기 모드(비동기 데이타 전송 모드)와 1394 버스의 사이클 마스터가 발생하는 8kHz(125㎲)의 등시 사이클에 동기되는 등시 모드(동기 데이타 전송 모드)가 있다. 명령은 비동기 모드로 전송되는 경우가 많지만,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는 실시간으로 재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등시 모드로 전송된다.
하지만, 이 등시 모드에서의 전송은 데이타의 송신처를 지정하지 않고, 이른바 동보(同報) 통신으로 행해진다. 이 때문에 저작권의 보호를 받아야 할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가 1394 버스로 전송되면, 저작권자로부터 허락받지 않은 유저가 부당하게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복사하거나 이를 이용해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부정한 이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디지탈 비디오카세트 레코더(1), 텔레비젼 수상기(2), 퍼스널 컴퓨터(3), 및 DVD 플레이어(4)가 1394 버스(5)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도 2에는 디지탈 비디오카세트 레코더(1)의 내부의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PHY부(11)는 1394 버스(5)로부터 전송되어 온 데이타를 수신하고 복조해서 링크부(12)의 송수신 절환 회로(21)에 출력하는 동시에, 송수신 절환 회로(21)로부터 공급된 송신해야 할 데이타를 변조하고 1394 버스(5)에 출력한다.
링크부(12)의 송수신 전환 회로(21)는 PHY부(1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비동기 모드의 패킷과 등시 모드의 패킷으로 분리하고, 비동기 모드의 패킷을 디패킷화하며 CPU(41)에 출력하는 동시에, 등시 모드의 패킷을 디패킷화하여 타이밍 회로(22)에 출력한다. 또한, CPU(41)로부터 공급된 비동기 모드의 신호를 패킷화하는 동시에, 타이밍 회로(22)에서 공급된 데이타를 등시 모드의 패킷으로 패킷화하고 PHY부(11)에 출력한다.
타이밍 회로(21)에는 사이클 타이머(31), 사이클 모니터(32), 및 CRC 검출 생성 회로(33)가 내장되어 있다. 사이클 타이머(31)에는 카운터(34)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 카운터(34)는 소정의 클록을 카운트하고 125㎲의 등시 사이클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카운트 값을 생성한다. 사이클 모니터(32)에는 레지스터(35, 36)가 내장되어 있다. 레지스터(35)에는, 1394 버스(5)를 통해 전송되어 온 사이클 시작(스타트) 패킷에 기록되어 있는 목적지 오프세트(destination_offset)의 값이 유지되어 있다. 또한, 레지스터(36)에는 사이클 시작 패킷의 사이클 시간 데이타(cycle_time_data) 값이 유지되어 있다.
CRC 검출 생성 회로(33)는 데이타를 수신하였 때 오류 검출 정정을 위한 CRC 데이타를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오류 검출 정정 처리를 행한다. 또한, 데이타를 송신하는 경우에, CRC 검출 생성 회로(33)는 CRC 데이타를 전송해야 할 데이타에 부가하는 처리를 행한다.
헤더 싱크 검출 생성 회로(23)는 데이타 수신시, 타이밍 회로(22)로부터 공급된 데이타로부터 헤더와 싱크를 검출하고 이를 분리하고 실제 데이타 부분을 암호화 복호화 회로(24)에 출력한다. 또한, 데이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암호화 복호화 회로(24)에 공급된 송신해야 할 데이타에 헤더와 싱크를 부가하고 타이밍 회로(22)에 출력한다.
암호화 복호화 회로(24)는 데이타 수신시 헤더 싱크 검출 생성 회로(28)로부터 공급된 데이타를 암호 복호 제어 회로(25)로부터의 제어에 대응해서 복호하고 복호 결과를 기록 재생 회로(42)에 출력한다. 또한, 데이타 송신시에는, 기록 재생 회로(42)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암호 복호 제어 회로(25)로부터의 제어에 대응해서 암호화하고, 헤더 싱크 검출 생성 회로(23)에 출력한다. 암호 부호 제어 회로(25)는 헤더 싱크 검출 생성회로(23)를 제어하고 헤더나 데이타에 소정의 식별 데이타를 부가 또는 추출한다. 또한, 암호 복호 제어 회로(25)는 암호화 복호화 회로(24)의 암호화 또는 복호화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록 재생 회로(42)는 데이타 수신시, 암호화 복호화 회로(24)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변조하고 비디오카세트(43)에 기록한다. 또한, 재생시, 비디오카세트(43)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생성하고 복조하여 암호화 복호화 회로(24)에 출력한다.
도 3에는 1394 버스(5)에 전송되는 데이타의 타이밍이 도시되어 있다. 이제, 예컨대, 디지탈 비디오카세트 레코더(1)가 비디오카세트(43)를 재생하고 그 재생 데이타를 텔레비젼 수상기(2)에 전송한다고 하자. 또한, DVD 플레이어(4)가 내장된 DVD(디스크)로부터 재생한 데이타를 1394 버스(5)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3)에 전송한다고 하자. 디지탈 비디오카세트 레코더(1)가 비디오카세트(43)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스트림을 신호 스트림(A)이라 하고, DVD 플레이어(4)가 DVD를 재생해서 출력하는 스트림을 신호 스트림(B)이라 한다.
이제, 예컨대, 1394 버스(5)의 사이클 마스터가 디지탈 비디오카세트 레코더(1)라고 하면, CPU(41)는 송수신 전환 회로(21)를 제어하고, 1394 버스(5)의 125㎲의 등시 사이클을 규정하기 위해서 사이클 시작 패킷을 발생한다. 이 사이클 시작 패킷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시 사이클의 선두에 S1, S2,…와 같이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 사이클 시작 패킷에는 사이클 시간 데이타(cycle_time_data)가 배치되어 있다. 이 사이클 시간 데이타에는 사이클 타이머(31)의 카운터(34)에 의해 카운트되고 있는 카운트 값이 기록된다. 1394 버스(5)에 접속되어 있는 사이클 마스터 이외의 전자 기기는 이 사이클 시간 데이타를 판독하고 이를 내장된 사이클 모니터의 레지스터에 유지시킨다.
예컨대, 사이클 마스터가 디지탈 비디오카세트 레코더(1)가 아니고 퍼스널 컴퓨터(3)인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3)가 사이클 시작 패킷을 송신하게 된다. 이 경우에, 디지탈 비디오카세트 레코더(1)는 1394 버스(5)를 통해 전송되어 오는 사이클 시작 패킷을 PHY부(11)에서 수신하고, 송수신 전환 회로(21)에서 이를 디패킷화한다. 디패킷화된 데이타는 타이밍 회로(22)에 입력된다. 타이밍 회로(22)에서는 사이클 모니터(32)로 이 사이클 시작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사이클 시간 데이타를 판독하고, 이 판독한 값을 레지스터(36)에서 유지한다. 그리고, 이후, 이 레지스터(36)에 유지된 값을 기준으로 해서 1394 버스(5)상의 등시 사이클의 시간 관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1394 버스(5)에 접속되어 있는 각 전자 기기의 등시 사이클의 시간축은 공통의 시간축이 된다.
이제, 디지탈 비디오카세트 레코더(1)와 DVD 플래이어(4)가 1394 버스(5)를 통해 데이타를 전송하고 있으므로, 각각은 등시 사이클의 소정의 타이밍에서 등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도록 시간 슬롯을 할당받는다. 디지탈 비디오카세트 레코더(1)와 DVD 플레이어(4)는 신호 스트림(A) 또는 신호 스트림(B)를 각각 압축하고 패킷화하며 패킷화한 데이타를 각각 할당받은 시간 슬롯의 타이밍에서 전송한다.
예컨대, 디지탈 비디오카세트 레코더(1)는 기록 재생 회로(42)로 비디오카세트(43)를 재생하고 그 재생 데이타를 암호화 복호화 회로(24)에 공급하고 섹션키(S)와 시변(時變)키(i)로 구성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 암호화된 데이타는 헤더 싱크 검출 생성 회로(23)에 공급되어 압축되고 헤더가 부가된다. 헤더가 부가된 데이타는 다시 타이밍 회로(22)에 입력되고 CRC가 부가된다. 이 CRC는 헤더와 데이타부 각각에 부가된다.
타이밍 회로(22)에서 출력된 데이타는 송수신 전환 회로(21)에 공급되고 등시 모드의 패킷으로 패킷화된다. 그리고 이 패킷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할당받은 시간 슬롯의 타이밍에서 PHY부(11)로부터 1394 버스(5)에 전송된다.
이와 같은 처리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등시 사이클마다 행해지고 신호 스트림(A)의 신호(A1, A2, A3, …)는 각 등시 사이클의 소정의 시간 슬롯의 타이밍으로 동일 부호로 도시된 패킷으로서 송신된다. 또한, 전송하는 데이타가 존재하지 않는 등시 사이클에서는 공패킷(a1, a2)이 전송된다. 이 빈 패킷에는 실제 데이타부가 존재하지 않고 헤더부만이 존재한다.
마찬가지의 작업이 DVD 플레이어(4)에서도 행해지며 신호 스트림(B)의 신호(B1, B2 …)가 상이한 타이밍으로 동일 부호로 나타낸 패킷으로서 전송된다.
예컨대, CPU(41)가 명령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이 명령이 송수신 절환 회로(21)에 입력된다. 송수신 절환 회로(21)는 이 명령을 비동기 모드의 패킷으로 패킷화하고, 예컨대, 도 3의 C1, C2와 같이 전송한다.
이 비동기 패킷은 필요에 따라 전송되는 것이므로 각 비동기 사이클에서 항상 발생되는 것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CPU(41)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암호키 중 섹션키(S)를 비동기 패킷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1394 버스(5)를 통해 전송된 신호 스트림(A)는 텔레비젼 수상기(2)로 수신되고 신호 스트림(B)는 퍼스널 컴퓨터(3)로 수신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금 신호 스트림(A)이 도 2에 도시된 디지탈 비디오카세트 레코더(1)에서 수신된다고 하면 이때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PHY부(11)는 1394 버스(5)를 통해 전송되어 온 패킷을 수신하여 송수신 전환 회로(21)에 공급한다. 송수신 전환 회로(21)는 입력된 패킷을 등시 패킷과 비동기 패킷으로 분리하고 등시 패킷을 디패킷화하고 타이밍 회로(22)에 출력하고 비동기패킷을 디패킷화하고 그 데이타를 CPU(41)에 출력한다. 그 결과, 예컨대, 타이밍 회로(22)에 신호 스트림(A)이 공급되며 CPU(41)에 명령이나 섹션키(S)가 공급된다.
타이밍 회로(22)의 CRC 검출 생성 회로(33)는 입력된 데이타를 헤더 싱크 검출 생성 회로(23)에 공급한다. 그리고, CRC 검출 생성 회로(33)는 헤더 싱크 검출 생성 회로(23)에 공급된 데이타로부터 CRC를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오류 검출 정정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오류가 정정된 데이타를 헤더 싱크 검출 생성 회로(23)에 제공한다.
헤더 싱크 검출 생성 회로(23)는 입력된 데이타에서 헤더를 분리하고 헤더 정보를 암호 복호 제어 회로(25)에 공급하고 실제 데이타부를 암호화 복호화 회로(24)에 공급한다. 암호 부호 제어 회로(25)는 헤더 싱크 검출 생성 회로(23)가 검출한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암호화의 식별 데이타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에 대해서 암호화 복호화 회로(24)를 제어한다. 즉, 이 식별 데이타가, 데이타가 암호화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암호화 복호화 회로(24)를 제어하고 암호키를 이용하여 복호 처리를 실행한다. 식별 데이타가, 데이타가 암호화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암호화 처리를 생략한다.
암호화 복호화 회로(20)에서 출력된 데이타는 기록 재생 회로(42)에 의해 소정의 방식으로 변조되고 비디오카세트(43)에 공급되고 기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암호화 복호화 회로(24)에서의 암호화와 복호화에 사용되는 암호키가 섹션키(S)와 식별키(i)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섹션키(S)는 섹션마다(예컨대, 1개의 영화 정보마다, 또는 1회의 재생마다), 적절히 갱신된다. 바꾸어 말하면, 동일 섹션내에서는 불변의 값으로 된다. 이에 대해 시변키(i)는 1개의 섹션내에서 빈번하게 갱신된다. 이와 같이, 섹션키(S)와 시변키(i)를 암호키로 함으로써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예컨대, 섹션키(S)가 도난되더라도 시변키(i)가 불분명하면, 결국 암호화되어 있는 데이타를 복호할 수 없다. 또한, 시변키(i)도 도난되더라도, 시변키(i)는 시시각각으로 갱신되므로 매우 짧은 시간 동안에만 데이타를 복호할 수 있고 그 후에는 데이타를 복호할 수 없다.
섹션키(S)는 도 3에 K1, K2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타이밍으로 비동기 패킷으로서 전송된다. 물론, 후술되는 바와 같이, 시변키(i)와 마찬가지로 등시 패킷으로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등시 패킷의 포맷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두에는 데이타 길이(data_length)가 기록되고, 그 다음에는 데이타 필드(data_field)에 CIP 헤더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tag가 기록되어 있다. tag 다음에는 channel이 배치되어 있다. 이 channel은 예컨대 도 3에서의 스트림(A)이나 스트림(B)의 식별을 행하는 것이다.
tcode는 패킷 포맷을 규정하는 것이며, 등시 시작 패킷의 경우에 1010(=A)으로 된다. 다음의 sy는 동기화 코드로 되고 애플리케이션마다 규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이 sy의 하위 2비트에 32비트 내지 40비트로 구성된 시변키(i)의 2비트분이 배치된다. 예컨대, 시변키(i)가 32비트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16 패킷이 모여 시변키(i)가 완성된다. sy의 밑에서 3비트째에는 이 패킷이 시변키(i)의 선두 패킷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가할 수 있다. 예컨대, 시변키(i)의 선두인 경우, 이 3번째의 비트가 1로 되고 선두가 아닌 경우 0으로 된다.
또한, 이와 같이 sy에 시변키(i)를 기록하는 경우, tcode에, 값 1100(= C)을설정하고 시변키(i)의 식별 코드로 할 수 있다.
암호 복호 제어 회로(25)는 헤더 싱크 검출 생성 회로(23)의 출력된 헤더 정보로부터 이 시변키(i)를 2비트씩 모아 16 패킷분을 모았을 때 완성된 시변키(i)를 암호화 복호화 회로(24)에 전송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시 헤더의 2번째의 쿼드렛은 헤더 CRC로 되어 있다. 그리고 등시 헤더의 다음의 데이타 필드에는 2 쿼드렛 분의 CIP 헤더가 배치되며 그 다음에 내용이 배치된다. 이 내용이 상술한 바와 같이, 암호화된 데이타가 된다.
또한, MPEG의 경우, 이 내용의 영역에 소스 헤더가 배치되지만, 이 시간 스탬프 등이 기록되어 있는 소스 헤더는 암호화되지 않는다.
데이타 필드의 다음에는 데이타 CRC가 배치되어 있다.
도 5에는 CIP 헤더의 상세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쿼드렛의 CIP 헤더 중, 최초의 CIP 헤더(1)에서는 그 선두에 헤더의 선두임을 나타내는 비트(= 0)가 배치되고, CIP 헤더(2)에서는 여기에 비트 1이 배치된다. 즉, 최초의 비트는 EOH_n(End of CIP header)으로 되며, 이는 CIP 헤더의 최후의 쿼드렛인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이 값은 다른 쿼드렛이 계속되는 경우에 0으로 되며 CIP 헤더의 최후의 쿼드렛인 경우에 1로 된다.
2번째의 비트는 Form_n으로 되며, 이는 EOH와 조합함으로써 CIP 헤더 필드의 쿼드렛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데이타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여기에 1이 설정되며 암호화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0이 기록된다.
CIP 헤더 1의 3번째 내지 8번째의 비트는 SID(Source node ID)로 된다. SID의 다음에는 DBS(Data block size in quadlets)가 배치된다. 이 DBS는 데이타의 블록 크기를 나타낸다. 그 다음에는 FN(Fraction nunber)이 배치되어 있다. 이는 1개의 소스 패킷이 분할되어 있는 블록의 수를 나타낸다. 다음의 QPC(Quadlet Padding Count)는 부가된 더미 쿼드렛의 수를 나타낸다. 다음의 SPH(Source packet header)는 소스 패킷이 소스 패킷 헤더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Rsv은 장래를 위해 보류되어 있다. DBC는 데이타 블록의 손실을 검지하기 위한 연속하는 데이터 블록의 카운터 값을 나타낸다.
FMT를 Format ID를 나타낸다. FDF는 Format dependent field를 나타낸다.
도 6에는 사이클 시작 패킷의 포맷이 도시되어 있다. 그 선두에는 destination_ID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는 데이타 전송처의 ID를 나타낸다. 다음의 tl(transaction label)은 통상적으로 모두 0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컨대, 여기에 시변키(i)의 값을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rt(retry code)는 통상 0으로 되어 있다. 다음의 tcode(transaction code)에는 패킷 시간의 transaction code가 배치된다.
pri는 priority이며, 1394 버스(5)에 접속되는 기기 사이에서 사용될 때, 모두 1로 된다. 이 pri에도 시변키(i)를 할당할 수 있다.
source_ID에는 데이타의 전송원의 ID가 기록된다. destination-offset에는 사이클 시작 패킷으로부터의 타이밍의 어긋남에 대응하는 클록 값이 세트된다. cycle_time_data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클 마스터의 기준이 되는 레지스터의 값이 설정된다. 이 값을 기준으로 하여 1394 버스(5)에 접속되어 있는 각 전자 기기의 등시 사이클의 시간축의 기준이 설정된다. 최후에는, 헤더의 CRC가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시변키(i)를 패킷의 데이타부 또는 헤더부에 기록하여 전송하였지만, 예컨대, 사이클 시작 패킷의 destination-offset, cycle_time_data 또는 header_CRC중 어느 하나의 값을 그대로 시변키(i)로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전자 기기는, 이들의 값을 판독하고 그 사이클 모니터(32)의 레지스터(35, 36)에서 이들의 값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값으로부터 시변키(i)를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CIP 헤더의 DBC, 도 4에 도시된 data_CRC의 값을 그대로 시변키(i)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데이타 송신 장치 및 청구항 10에 기재된 데이타 송신 방법에 의하면, 암호화된 데이타를 등시 모드의 패킷으로 패킷화하여 직렬 버스에 송신하도록 하였으므로, 보다 안전하게 데이타가 송신될 수 있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데이타 수신 장치 및 청구항 28에 기재된 데이타 수신 방법에 의하면, 등시 모드의 패킷으로 패킷화하여 얻은 데이타로서, 암호화되어 있는 데이타를 복호화하도록 하였으므로, 안전하게 전송되어 온 데이타가 확실하게 복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및 데이타 송신 방법에 의하면, 데이타 송신 장치로 암호화된 데이타를 등시 모드의 패킷으로 패킷화해서 송신하고, 데이타 수신 장치에서 이를 수신하도록 하였으므로, 안전한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이 실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디지탈 비디오카세트 레코더(1)의 내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1394 버스의 전송의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등시 패킷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CIP 헤더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사이클 시작 패킷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디지탈 비디오카세트 레코더 2 : 텔레비젼 수상기
3 : 퍼스널 컴퓨터 4 : DVD 플레이어
5 : 1394 버스 11 : PHY부
12 : 링크부 21 : 송수신 전환 회로
22 : 타이밍 회로 23 : 헤더 싱크 검출 생성 회로
24 : 암호화 복호화 회로 25 : 암호 복호 제어 회로
31 : 사이클 타이머 32 : 사이클 모니터
33 : CRC 검출 생성 회로 34 : 카운터
35, 36 : 레지스터 41 : CPU

Claims (36)

  1. 제 1 모드와 제 2 모드로 데이타를 송신하는 데이타 송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되는 데이타를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암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타를 상기 제 2 모드의 패킷으로 패킷화하는 패킷화 수단과,
    상기 패킷화 수단 출력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이타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의 전송은 1EEE 1394 프로토콜에 준거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타 송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비동기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등시 모드인, 데이타 송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화 수단은 상기 암호화된 데이타의 헤더에 상기 암호화에 관한 식별 코드를 부가하는, 데이타 송신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키는 송신되는 데이타의 각 섹션내에서는 불변의 섹션키와 상기 섹션내에서 갱신되는 시변키로 구성되어 있는, 데이타 송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키에 관한 정보는 상기 등시 모드의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송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키에 관한 정보는 상기 등시 모드의 시작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송신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키에 관한 정보는 상기 등시 모드의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송신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키에 관한 정보는 상기 등시 모드의 시작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송신 장치.
  10. 제 1 모드와 제 2 모드로 데이타를 송신하는 데이타 송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되는 데이타를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타를 상기 제 2 모드의 패킷으로 패킷화하며,
    상기 패킷화된 출력을 송신하는 데이타 송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의 전송은 IEEE 1394 프로토콜에 준거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타 송신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비동기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등시 모드인, 데이타 송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화에서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타의 헤더에 상기 암호화에 관한 식별코드를 부가하는, 데이타 송신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키는 송신되는 데이타의 각 섹션내에서는 불변의 섹션키와, 상기 섹션내에서 갱신되는 시변키로 구성되어 있는, 데이타 송신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키에 관한 정보는 상기 등시 모드의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송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키에 관한 정보는 상기 등시 모드의 시작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송신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키에 관한 정보는 상기 등시 모드의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송신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키에 관한 정보는 상기 등시 모드의 시작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송신 방법.
  19. 제 1 모드와 제 2 모드를 갖는 데이타를 수신하는 데이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된 데이타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 출력의 패킷을 패킷화하는 디패킷 수단과,
    상기 디패킷 수단 출력의 암호화된 데이타를 복호화하는 복호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이타 수신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의 전송은 IEEE 1394 프로토콜에 준거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타 수신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비동기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등시 모드인, 데이타 수신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패킷화 수단은 수신된 데이타로부터 상기 암호화에 관한 식별 코드를 분리하는, 데이타 수신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키는 데이타의 각 섹션내에서는 불변의 섹션키와, 상기 섹션내에서 갱신되는 시변키로 구성되어 있는, 데이타 수신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키에 관한 정보는 상기 등시 모드의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수신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키에 관한 정보는 상기 등시 모드의 시작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수신 장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키에 관한 정보는 상기 등시 모드의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수신 장치.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키에 관한 정보는 상기 등시 모드의 시작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수신 장치.
  28. 제 1 모드와 제 2 모드를 갖는 데이타를 수신하는 데이타 수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된 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출력의 패킷을 디패킷화하며,
    상기 디패킷 출력의 암호화된 데이타를 복호화하는 데이타 수신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의 전송은 IEEE 1394 프로토콜에 준거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타 수신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비동기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등시 모드인, 데이타 수신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디패킷화는 수신된 데이타로부터 상기 암호화에 관한 식별 코드를 분리하는, 데이타 수신 방법.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키는 데이타의 각 섹션내에서는 불변의 섹션키와, 상기 섹션내에서 갱신되는 시변키로 구성되어 있는, 데이타 수신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키에 관한 정보는 상기 등시 모드의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수신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키에 관한 정보는 상기 등시 모드의 시작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수신 방법.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키에 관한 정보는 상기 등시 모드의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수신 방법.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키에 관한 정보는 상기 등시 모드의 시작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수신 방법.
KR10-1998-0014433A 1997-04-23 1998-04-23 데이타송신장치및방법,데이타수신장치및방법,데이타송수신시스템및방법 KR100495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610597A JP3760460B2 (ja) 1997-04-23 1997-04-23 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97-106105 1997-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633A KR19980081633A (ko) 1998-11-25
KR100495188B1 true KR100495188B1 (ko) 2005-10-07

Family

ID=14425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433A KR100495188B1 (ko) 1997-04-23 1998-04-23 데이타송신장치및방법,데이타수신장치및방법,데이타송수신시스템및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39094B1 (ko)
EP (1) EP0874503B1 (ko)
JP (1) JP3760460B2 (ko)
KR (1) KR100495188B1 (ko)
DE (1) DE6983232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1492A (ja) 1997-04-23 1998-11-13 Sony Corp 暗号化装置および方法、復号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CN1130054C (zh) * 1997-04-24 2003-12-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数据传送方法
KR100513907B1 (ko) * 1997-06-13 2005-09-1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복수의 상호 관련된 오브젝트들의 주기적 전송방법
KR100359092B1 (ko) * 1998-11-18 2003-0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변 등시성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 장치
JP2000156678A (ja) * 1998-11-19 2000-06-06 Sony Corp 信号処理回路
JP3581601B2 (ja) 1998-12-18 2004-10-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転送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DE19906449C1 (de) * 1999-02-16 2000-08-10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s verschlüsselten Nutzdatenstroms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spielen eines verschlüsselten Nutzdatenstroms
DE19906432C1 (de) * 1999-02-16 2000-06-21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s Datenstroms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spielen eines Datenstroms
JP3816689B2 (ja) * 1999-03-31 2006-08-30 株式会社東芝 情報配信装置、情報受信装置及び通信方法
DE19914838A1 (de) 1999-04-01 2000-10-05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m Zusammenstellen von Buspaketen für die Isochrondatenübertragung über einen Datenbus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4238410B2 (ja) * 1999-04-09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
US7260719B1 (en) 1999-04-13 2007-08-2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4543555B2 (ja) 1999-04-13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伝送システム、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ータ受信装置
JP4201430B2 (ja) 1999-04-16 2008-12-24 富士通株式会社 光加入者線終端装置
KR100633965B1 (ko) 1999-05-24 2006-10-1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전환 장치 및 영상 출력 장치
JP2001066986A (ja) * 1999-08-26 2001-03-16 Sony Corp 送信装置および方法、受信装置および方法、通信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6980658B1 (en) * 1999-09-30 2005-12-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ing transmis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711181B1 (en) * 1999-11-17 2004-03-2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acket parsing and data reconstruction in an IEEE 1394-1995 serial bus network
FR2801751B1 (fr) * 1999-11-30 2002-01-18 St Microelectronics Sa Composant electronique de securite
KR100348611B1 (ko) * 2000-02-01 2002-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탈 콘텐츠의 암호화장치 및 암호화방법
JP4457474B2 (ja) 2000-04-04 2010-04-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提供媒体
GB2365719B (en) * 2000-08-04 2003-09-03 Cce Ltd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ing and decrypting data
JP4595182B2 (ja) 2000-09-07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提供媒体
US6931581B1 (en) 2000-10-25 2005-08-16 Sun Microsystems, Inc. Method for superimposing a sequence number in an error detection code in a data network
FI111423B (fi) * 2000-11-28 2003-07-15 Nokia Corp Järjestelmä kanavanvaihdon jälkeen tapahtuvan tietoliikenteen salauksen varmistamiseksi
US7586914B2 (en) 2001-09-27 2009-09-08 Broadcom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dware creation of a DOCSIS header
US7570766B2 (en) * 2002-03-01 2009-08-04 Intel Corporation Transparently embedding non-compliant data in a data stream
US7054306B2 (en) * 2002-08-16 2006-05-30 Asustek Computer Inc. Method for handling ciphering status in a wireless network
US8734341B2 (en) * 2004-12-20 2014-05-27 Ipventure, Inc. Method and apparatus to sense hydration level of a person
JP4154444B2 (ja) * 2006-10-16 2008-09-24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815781B2 (ja) * 2014-03-24 2015-11-17 スパンション エルエルシー 送信装置及びパケット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3166A (en) * 1977-12-05 1980-05-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ryptographic file security for multiple domain networks
EP0756276B1 (en) 1995-07-28 2001-09-19 Sony Corporation Consumer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5787483A (en) 1995-09-22 1998-07-28 Hewlett-Packard Company High-speed data communications modem
US6105012A (en) * 1997-04-22 2000-08-15 Sun Microsystems, Inc.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and client web brow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03945A (ja) 1998-11-13
EP0874503A2 (en) 1998-10-28
DE69832321D1 (de) 2005-12-22
KR19980081633A (ko) 1998-11-25
US6539094B1 (en) 2003-03-25
DE69832321T2 (de) 2006-07-27
JP3760460B2 (ja) 2006-03-29
EP0874503B1 (en) 2005-11-16
EP0874503A3 (en) 199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5188B1 (ko) 데이타송신장치및방법,데이타수신장치및방법,데이타송수신시스템및방법
KR100533225B1 (ko) 암호화 모드 표시기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방법 및 시스템
KR100841411B1 (ko) 전송장치, 수신장치, 전송방법, 수신방법과 기록매체
JP200004029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1218185A (ja) 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転送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EP0913975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KR100469591B1 (ko) 정보 송신 장치와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장치와 정보수신 방법, 정보 전송 시스템과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기록 매체
JP2000231758A (ja) データ記憶装置、暗号化データの記録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4406971B2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100868610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JP3742518B2 (ja) バスブリッジおよび記録媒体
KR100873762B1 (ko) 정보 처리 장치
JP4140101B2 (ja) 信号処理回路
JPH11306092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同装置に適用されるコピープロテクト方法
EP1024641B1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JP2000228059A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H11205310A (ja) 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078740B2 (ja) 信号処理回路
JP3997634B2 (ja) 信号処理回路
JP2000217067A (ja) 送信装置、記録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120070B2 (ja) 信号処理回路
JP4552996B2 (ja) 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1331102A (ja) データ送出装置、データ復号装置、データ送出方法、データ復号方法、伝送システム
JP2004193805A (ja) 半導体集積回路、av受信装置、av送信装置、av通信システム、av通信方法及びav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2002074905A (ja) データ送出装置、データ復号装置、データ送出方法、データ復号方法、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