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009B1 -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009B1
KR100491009B1 KR10-2002-0071546A KR20020071546A KR100491009B1 KR 100491009 B1 KR100491009 B1 KR 100491009B1 KR 20020071546 A KR20020071546 A KR 20020071546A KR 100491009 B1 KR100491009 B1 KR 100491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steam
frame
treatment
treatmen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3315A (ko
Inventor
손영복
박석용
주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1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009B1/ko
Publication of KR2004004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7/00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 C10B57/005After-treatment of coke, e.g. calcination desulfuriz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제철소의 원료탄 수분처리공정에서 건조기를 거친 원료탄의 운송시 대기노출로 원료탄에서 발생되는 함진증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1)는, 건조된 원료탄(C)을 운송하는 상,하측 콘베이어(12)(14)사이의 슈트(10) 상부에 제공된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최상측에 제공되어 수증기에 포함된 분탄을 처리수로서 처리하는 분탄처리수단(30);과, 상기 분탄처리수단(30)의 하측으로 상기 프레임(20)내에 설치되어 분탄과 처리수를 각각 분리 처리하는 처리조(50);와, 상기 분탄처리수단(30)과 처리조(50)사이에 설치되어 처리조상의 침전분탄 의 드레인을 원활하게 하는 교반수단(70); 및, 상기 처리조(50)의 하측으로 분탄과 처리수를 각각 분리 드레인시키도록 배치되는 드레인수단(9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철공장의 고로에 투입되기 전에 석탄의 수분을 일정량 건조시키는 수분처리공정시 건조기를 거친 석탄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분진을 포함한 함진증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함진증기에 의한 대기오염 및 설비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AN APPARATUS FOR TREATING VAPOUR INCLUDING FINE COAL GENERATED FROM DRIED COAL DURING THE TRANSFER OF THE COAL}
본 발명은 고로 원료로 장입되는 원료탄의 수분처리공정(Coal Moisture Control Process, CMCP)시 건조기를 거쳐 건조된 원료탄이 운송되면서 대기노출에 의하여 발생되는 함진(含塵) 증기(Vapour)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로는 제철공장의 고로 투입전에 수분을 일정량 건조시키는 원료탄 수분처리공정시 건조기를 거친 원료탄이 운송중 대기와 접촉하여 발생되는 다량의 분진을 포함한 함진증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의 고로조업시 장입되는 코크스 즉, 원료탄은 고로에 장입되기 전에 여러 예비처리공정을 거치는데, 이중 하나의 공정은 수분을 적정하게 유지시키는 원료탄의 수분처리공정(Coal Moisture Control Process)이고, 이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내부에 원료탄을 통과시키면서 건조하는 건조기(DRYER)를 사용하는데, 도 1 및 도 2에서는 이와 같은 원료탄의 수분처리공정 및 건조기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건조기(100)는 스크류피더 (112)로서 회전 구동되는 원통상의 드럼(110)으로 구성되어 있어, 그 내부에 건조되는 원료탄(C)이 입조되고, 대략 5 - 8 kg/㎠의 압력으로 스팀(Steam)을 드럼 (110)내부에 인입시키고, 상기 드럼(110)을 회전시키면서 입조된 원료탄(C)을 건조시키게 된다.
즉, 건조기(100)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건조기 드럼(110)은 9/100의 기울기로 기울어져 있고, 대략 4.3 RPM으로 회전하고 있어 그 입구(114)로 원료탄(C)이 입조되면, 스크류 피더(112)가 구동되어 계속적으로 입조된 원료탄은 드럼(110) 내부를 따라 불출구(116)측으로 흐르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원료탄 건조시에는 통상 원료탄(C)의 수분을 1-2%정도 건조시키는데, 이때 원료탄(C)의 중량과 함유되어 있는 수분의 함유량등을 사전에 파악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시스템으로 계산하여 드럼(110)내에 공급되는 스팀의 압력을 조정하게 된다.
즉, 회전 구동되는 경사진 드럼(110)에 연결되는 스팀 인입부(120)를 통하여 미리 결정된 압력으로 드럼(110) 내부에 설치된 대략 300개 정도의 스팀배관(130)에 고압의 스팀이 공급되고, 이들을 통하여 회전되면서 불출되는 원료탄(C)은 건조되는 것이다.
이때, 예를 들어 2~4 kg/㎠의 압력으로 스팀이 드럼(110) 내부의 스팀배관 (130)에 공급되면, 건조기 드럼(110)의 내부온도가 80 - 100℃ 의 온도로 상승 유지되면서, 드럼(110)에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원료탄(C)은 건조되고, 도 2에서 도시한 원료탄 피더(140)를 통하여 불출구(116)에서 불출되면,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단의 벨트 콘베이어(150)(160)를 통하여 후 공정으로 운송되는 것이다.
이때, 건조기(100)를 통하여 건조된 원료탄(C)은 콘베이어(150)(160)를 통하여 후 공정으로 운송되는 도중에, 원료탄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분진이 함유된 증기, 즉 함진증기(V)가 설비에 끼이거나 대기중으로 비산되는 문제가 발생되는데, 이와 같은 함진증기(V)는 건조과정에서 온도가 상승된 원료탄(C)이 건조기 드럼 (110)을 거쳐 콘베이어(150)(160)상에서 대기에 노출되면서 발생되는 증기에 원료탄의 미세분진이 포함되어 발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운송중에 대기에 노출되면서 원료탄(C)에서 부터 발생되는 함진증기(V)는 주변설비에 부착되면서 설비의 부식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는 것은 물론, 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각종 센서(Sensor)들에 쌓이면서 이들 센서의 오작동 원인이 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특히 비가 자주오는 우기철에는 상대적으로 원료탄(C)의 습도가 높아 건조기(100)에서 보다 높은 압력의 스팀으로 건조시켜야 하기 때문에, 원료탄 건조과정에서 그 민큼 많은 양의 수증기가 발생되기 때문에, 운송중인 원료탄에서 발생되는 함진증기(V)의 양이 증대되고, 이 경우 보다 심각한 대기오염과 설비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이와 같이 건조되는 원료탄의 운송중에 발생되는 함진증기(V)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가 없기 때문에, 함진증기에 의한 대기오염 및 설비손상등의 문제가 계속 발생되고, 이외에도 설비 가동율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3에서는 이와 같은 함진증기(V)를 발생시키는 원료탄(C)을 운송하는 콘베이어(150)(160)들사이에 설치되는 슈트(17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경우 상측 콘베이어(150)를 통하여 이송되는 원료탄(C)이 하부 콘베이어(160)상에 슈트(170)를 통하여 낙하하기 때문에, 함진증기(V) 뿐만 아니라 분진의 발생량이 가장 크고, 따라서 상기 슈트(170)상에 함진증기(V)를 포함하는 분진등을 처리하는 장치를 설치한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건조기를 통하여 건조된 원료탄이 건조기에서 불출되어 콘베이어를 통하여 운송될 때 대기에 노출되면서 발생되는 함진증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도록 한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된 원료탄에서 발생되는 함진증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함으로서, 함진증기가 설비에 끼이면서 발생되는 설비손상 및 센서등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한편, 대기중으로의 비산을 최소화하여 대기오염을 예방하도록 한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건조된 원료탄을 운송하는 상,하측 콘베이어사이의 슈트 상부에 제공된 프레임; 과,
상기 프레임의 최상측에 제공되어 수증기에 포함된 분탄을 처리수로서 처리하는 분탄처리수단; 과,
상기 분탄처리수단의 하측으로 상기 프레임내에 설치되어 분탄과 처리수를 각각 분리 처리하는 처리조; 와,
상기 분탄처리수단과 처리조사이에 설치되어 처리조상의 침전분탄의 드레인을 원활하게 하는 교반수단; 및,
상기 처리조의 하측으로 분탄과 처리수를 각각 분리 드레인시키도록 배치되는 드레인수단;으로 구성된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가 도 3의 슈트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 (1)의 설치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함진증기 처리장치(1)는 크게 프레임(20)과 분탄처리수단(30)과 처리조(50)와 교반수단(70) 및 드레인수단 (90)으로 나누어 질 수 있고, 이들 구성수단(20)(30)(50)(70)(90)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함진증기 처리장치(1)는 실제로는 건조된 원료탄(C)이 운송중에 대기 노출시 발생되는 수증기에 다량의 분진 즉, 분탄을 함유하는 증기를 처리하는 장치이므로, 함진증기 처리장치(1)라 하였으나 실제로는 증기에 포함된 분진 즉, 분탄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1)는 건조된 원료탄(C)을 운송하는 상,하측 콘베이어 (12)(14)사이의 슈트(10)상부에 제공되는데, 그이유는 앞에서 설명한바 있다.
다음, 도 5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1)의 상기 프레임(2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프레임(20)은, 건조된 원료탄(C)을 운송하는 상,하측 콘베이어(12)(14)사이의 슈트 (10) 상부에 제공된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슈트(10)의 프레임 (10a) 상단에 수직 고정되는 상협하광의 원통체로 구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프레임(20)이 상부에 볼트(B6)로서 고정되는 상기 슈트 프레임(10a)에는 함진증기(V)를 상기 프레임측으로의 상승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10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의 최상단부에는 수평대(42a)가 고정되어 그 중앙측에 구동모터(42)가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42)의 구동축에는 팬(40)이 고정되고, 따라서 상기 팬(40)의 회전 구동시 상기 슈트 프레임(10a)의 개구(10a')를 통과하여 상승 유입되는 분탄이 포함된 증기 즉, 함진증기(V)는 본 발명의 원통체 프레임(20)의 상부까지 원활하게 흡입된다.
다음, 도 5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1)의 상기 분탄처리수단(3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분탄처리수단(30)은, 상기 프레임(20)의 상측에 제공되어 수증기에 포함된 분탄을 처리수로서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탄처리수단(30)은, 상기 프레임(20)의 황방향으로 긴밀하게 고정되어 수증기를 제외한 분탄이 걸려지는 격자망(32) 및, 상기 격자망(32)의 상측으로 처리수를 격자망(32)에 분사토록 설치되는 노즐헤드(34)를 구비하고, 이때 상기 노즐헤드(34)에 연결되는 처리수 공급관(36)에는 처리수의 공급을 조정하기 위한 전자작동식 밸브(38)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노즐헤드(34)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측의 격자망(32)상에 처리수를 균일하게 분사시키는데, 상기 노즐헤드(34)는 프레임(20)의 측벽을 통하여 체결되는 제 1 고정볼트(B1)로 체결 고정되는 제 1 고정대(34a)상에 지지되고, 상기 원형 노즐헤드(34)에는 도면에서는 별도의 부호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노즐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격자망(32)은 분탄을 걸려낼 수 있도록 미세한 매쉬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격자망(32)의 그 양측 고정편(32a)이 프레임(20)의 측벽을 통하여 체결되는 제 2 고정볼트(B2)로서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탄처리수단(30)에 의하면 프레임(20)상측으로 상승되는 함진증기(V)에 포함된 분탄(C')은 격자망(32)에서 걸려지면서 그 상부의 노즐헤드 (34)에서 분사되는 처리수에 의하여 하측의 처리조(50)측에 낙하되어 분탄을 처리하게 된다.
다음, 도 5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1)의 상기 처리조(5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처리조(50)는 상기 분탄처리수단(30)의 격자망(32) 하측으로 상기 프레임(20)내에 설치되어 분탄과 처리수를 각각 분리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처리조(50)는, 분탄이 포함된 처리수를 수용하여 분탄을 침전시키는 처리조몸체(52)와, 상기 처리조몸체(52)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처리수만을 분리 드레인시키는 처리수 배출구 (54) 및, 상기 몸체(52)의 바닥(52a)에 형성되어 침전된 분탄(C)만을 드레인 시키는 분탄배출구(56)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처리조(50)의 처리조몸체(52)는 그 상부 모서리부분에 일체로 고정된 고정편(52b)이 프레임(20)의 측벽을 통하여 체결되는 제 3 고정볼트(B3)로서 고정되고, 상기 처리조몸체(52)는 상광하협의 원통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수 배출구(54)는 몸체 바닥(52a)의 중앙에서 돌출되는 부분에 여러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구(54)는 높이를 갖고 있는데, 이는 처리조 몸체(52)에 낙하된 처리수에 함유된 분탄(C')이 몸체 바닥(52a)측에 침전되면서 분탄상층의 처리수만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도 5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1)의 상기 교반수단(7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교반수단(70)은, 상기 분탄처리수단(30)과 처리조(50)사이에 설치되어 처리조상의 침전분탄(C')의 드레인작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교반수단(70)은, 상기 처리조(50)의 상측으로 상기 프레임(20)내의 중앙측에 배치된 구동모터(72)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74) 및, 상기 회전축(74)에 연결되고 하방으로 처리조(50)의 바닥(52a)까지 신장되며, 상기 처리조(50)의 분탄 배출구(56)를 개폐시키는 마개(76)가 설치된 교반날개(78)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72)는 상기 프레임(20)의 측벽을 통하여 체결되는 제 4 볼트(B4)로서 프레임(20)의 중앙 내부에 황방향으로 고정되는 제 2 고정대(74a)상으로 그 중앙에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모터 구동되는 회전축(74)과 교반날개 (78)가 수직선상으로 고정된 연결아암(78a)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날개(78)의 하단부에 상기 마개(76)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마개(76)는 상기 처리조(50)의 바닥(52a)상에 형성된 분탄배출구(56)를 긴밀하게 막을 수 있도록 그 크기가 조정 형성되어야 하고, 물론 상기 마개(76)는 러버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교반수단(70)의 모터(72) 가동시 일체로 회전하는 교반날개 (78) 하측의 마개(76)는 자동적으로 처리조 분탄배출구(56)를 개방시키어 처리조 바닥(52a)상에 침전된 분탄(C')들을 드레인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처리조(50)의 몸체(52a) 일측에는 상,하 레벨감지센서(80a)(80b)가 설치되는데, 이는 처리조(50)의 몸체(52) 바닥측에 침전되는 분탄(C')의 양에 따라 그 배출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인데, 상측 레벨감지센서(80a)가 분탄을 감지하면 교반수단(70)을 작동시키고, 하측 레벨감지센서 (80b)가 분탄을 감지하면 교반수단(70)의 작동을 중단시키므로, 상기 레벨센서(80)들은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교반수단 (70)의 구동모터(7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침전분탄(C')의 드레인을 수행하는 교반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레벨센서(80)의 반대측으로 상기 처리조 몸체(52)에는 회전 작동되는 교반날개(78)를 감지하여 상기 마개(76)가 처리조 분탄배출구(56)를 필요시 긴밀하게 밀폐시키도록 하는 근접센서(82)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근접센서(82)도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구동모터(7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82)가 교반말개 (78)를 감지하는 순간 구동모터(72)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다음, 도 5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1)의 상기 드레인수단(9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드레인수단(90)은, 상기 처리조(50)의 하측으로 분탄과 처리수를 각각 분리 드레인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수단(90)은, 상기 처리조 몸체(52)의 중앙측 처리수 배출구(54)를 통하여 낙하하는 처리수를 수용하는 수용단 (92a)이 갖추어지고, 프레임(20)의 외부로 연결되는 처리수 드레인관(92) 및, 상기 처리조몸체(52)의 바닥 배출구(54)와 연결되어 프레임(20)의 외곽으로 연결되는 분탄 드레인관(94)으로 나누어 진다.
한편, 상기 처리수 드레인관(92)은 프레임(20)의 측벽을 통하여 체결되는 제 5 볼트(B5)에 고정되는 제 3 고정대(92b)상에 그 중앙으로 상기 처리조(50)의 처리수 배출구(54) 하측으로 직하부에 상기 수용단(92a)이 위치되도록 고정되는데, 상기 수용단(92a)은 상기 배출구(54) 보다는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철공장의 고로 투입전에 수분을 일정량 건조시키는 원료탄 수분처리공정시 건조기를 거친 원료탄이 운송중 대기와 접촉하여 발생되는 다량의 분진을 포함한 함진증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간이, 건조기(100)의 원료탄 불출피더(140)가 가동되는 순간 그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본 발명인 장치(1)의 상부 구동모터(42)를 회전시키어 팬(40)을 가동시키면서, 분탄처리수단(30)의 처리수 공급관(36)에 설치된 전자작동식 밸브(38)를 작동시키어 처리수가 노즐헤드(34)를 통하여 격자망(32)에 분사되도록 한다.
다음, 건조기(100) 피더(140)로서 불출된 건조된 원료탄(C)은 상측 콘베이어 (12)를 따라 운송되다가 슈트(10)를 통하여 하측의 콘베이어(14)에 낙하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함진증기(V)는 상기 슈트 프레임(10a)의 개구(10a')를 통하여 상기 장치프레임(20)의 상측 팬(40)까지 상승 흡입된다.
따라서, 분탄처리수단(30)의 격자망(32)에 증기에 포함된 분진의 대부분을 이루는 분탄(C')은 걸러지고, 이때 노즐헤드(34)를 통하여 분사되는 처리수에 의하여 분탄(C')은 하측의 처리조(50)의 몸체(52)바닥으로 낙하한다.
이때, 상기 노즐헤드(34)를 통하여 분사되는 처리수의 양은 도 7에서 그래프로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기(100)(도1)에서 스팀배관(130)에 가해지는 스팀의 압력과 비례하는데, 압력이 높을 수록 건조기 드럼(110)내의 온도가 상승되고, 온도가 상승될 수록 대기중에 노출되는 건조된 원료탄(C)에서는 보다 많은 수증기가 발생되고, 결국 함진증기(V)의 발생량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전자작동식 밸브(38)를 통하여 처리수 공급관(36)을 통하여 노즐헤드(34)에 공급되는 처리수의 양을 조정하는데, 예를 들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팀압력이 3.0 kg/㎠ 이면, 처리수의 양은 1.8 ㎥/min 이 적당할 것이다.
다음, 분탄을 포함하여 처리조(50)의 몸체(52)내에 낙하된 처리수중 분탄 (C')은 처리조 바닥(52a)에 침전되고, 이때 처리조(50)에 설치된 상부측 레벨감지센서(80a)가 작동하면, 교반수단(70)의 구동모터(72)가 가동되어 교반날개(78)와 일체로 마개(76)를 이동시킨다.
결국, 상기 처리조(50)상에 침전되어 있던 분탄(C')은 상기 처리조(50)의 분탄배출구(56)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된 드레인수단(90)의 분탄 드레인관(94)을 통하여 외부 처리공정으로 보내지고, 이와 같은 교반작동을 하여 분탄의 드레인량이 증가하면, 처리조(50)의 외곽으로 하측의 레벨감지센서(80b)가 분탄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교반수단(70)의 구동모터(72)는 작동이 중단되는데, 이때 중요한 것은 상기 처리조(50)의 타측에 설치된 근접센서(82)가 교반날개(78)를 감지하는 순간 구동모터(72)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이때 마개(76)는 다시 처리조의 분탄배출구 (56)를 막게된다.
따라서,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구동모터(72)는 근접센서 (82)의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미도시)에서 전원을 차단하여 작동을 중단시키므로 그 구동축의 잔여회전을 방지토록 브레이크가 구비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마개(76)의 분탄배출구(56) 밀폐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처리조(50)내의 처리수 배출구(54)를 통하여는 낙하하는 처리수의 양이 상기 배출구(54)에 도달하게 되는 순간부터 처리수가 배출되고, 배출된 처리수는 그 하측의 처리수 드레인관(92)의 수용단(92a)에 수용되면서 외부 드레인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인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 (1)에 의하면, 건조후 운송시 대기에 노출되면서 발생되는 수증기에 포함된 분탄의 함진증기를 프레임(20)내에 수집하여 분탄을 처리수로서 처리함으로서, 증기에 포함된 분탄에 의한 대기오염과 분탄들이 설비 및 각종 센서에 부착되면서 발생되는 설비부식등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는 것이다.
한편, 우기철에는 원료탄의 습도가 높기 때문에, 그만큼 건조강도도 높고, 이에 비례하여 수증기의 발생도 증가하는데, 분탄을 포함하지 않는 수증기의 양이 증대되면, 설비 조작 및 점검등을 어렵게 하지만, 본 발명의 장치(1)에서는 이와 같은 수증기도 분사되는 처리수로서 처리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치(1)는 과다한 수증기에 의한 설비 운용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건조기를 통하여 건조된 원료탄이 건조기에서 불출되어 콘베이어를 통하여 운송될 때 대기에 노출되면서 발생되는 함진증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건조된 원료탄에서 발생되는 함진증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함으로서, 함진증기가 설비에 끼이면서 발생되는 설비손상 및 센서등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한편, 대기중으로의 비산을 최소화하여 대기오염을 예방하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기철에 건조된 원료탄의 대기노출시 발생되는 다량의 수증기등도 부가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상기 다량의 수증기에 의한 작업자의 작업방해를 방지시키는 부가적인 잇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원료탄의 수분처리공정 및 함진증기 발생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공정도
도 2는 원료탄 건조기의 내부구조 및 이를 통한 원료탄의 흐름을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종래 원료탄의 이송을 위한 벨트 콘베이어들사이에 설치되는 슈트를 도시한 개략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가 도 3의 슈트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인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에서 분사되는 처리수의 양과 건조기 에서 사용되는 스팀의 압력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함진증기 처리장치 10.... 슈트
20.... 프레임 30.... 분탄처리수단
32.... 격자망 34.... 노즐헤드
36.... 처리수 공급관 40.... 팬
50.... 처리조 52.... 처리조몸체
54.... 처리수 배출구 56.... 분탄배출구
70.... 교반수단 72.... 구동모터
74.... 회전축 76.... 배출구마개
78.... 교반날개 80,82.... 센서
90.... 드레인수단 92.... 처리수 드레인관
94.... 분탄 드레인관

Claims (6)

  1. 건조된 원료탄(C)을 운송하는 상,하측 콘베이어(12)(14)사이의 슈트(10) 상부에 제공된 프레임(20); 과,
    상기 프레임(20)의 상측에 제공되어 수증기에 포함된 분탄을 처리수로서 처리하는 분탄처리수단(30); 과,
    상기 분탄처리수단(30)의 하측으로 상기 프레임(20)내에 설치되어 분탄과 처리수를 각각 분리 처리하는 처리조(50); 와,
    상기 분탄처리수단(30)과 처리조(50)사이에 설치되어 처리조상의 침전분탄 의 드레인을 원활하게 하는 교반수단(70); 및,
    상기 처리조(50)의 하측으로 분탄과 처리수를 각각 분리 드레인시키도록 배치되는 드레인수단(90);으로 구성된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슈트 프레임(10a)의 상단에 수직 고정되는 상협하광의 원통체로 구성되고, 상기 슈트 프레임(10a)에는 함진증기(V)를 상기 프레임측으로의 상승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10a')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20)의 상단부에는 모터(42) 구동되어 증기의 프레임내 흡입을 원활하게 하는 팬(40)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탄처리수단(30)은,
    상기 프레임(20)의 황방향으로 긴밀하게 고정되어 수증기를 제외한 분탄이 걸려지는 격자망(32); 및,
    상기 격자망(32)의 상측으로 처리수를 격자망(32)에 분사토록 설치되는 원형의 노즐헤드(34);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헤드(34)에 연결되는 처리수 공급관(36)에는 처리수의 공급량을 조정하기 위한 전자작동식 밸브(38)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50)는,
    분탄이 포함된 처리수를 수용하여 분탄을 침전시키는 처리조몸체(52);와,
    상기 처리조몸체(52)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처리수만을 분리 드레인시키는 처리수 배출구(54); 및,
    상기 몸체(52)의 바닥(52a)에 형성되어 침전된 분탄(C)만을 드레인 시키는 분탄배출구(56);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70)은,
    상기 처리조(50)의 상측으로 상기 프레임(20)내의 중앙측에 배치된 구동모터 (72)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74); 및,
    상기 회전축(74)에 연결되고 하방으로 처리조(50)의 바닥(52a)까지 신장되며, 상기 처리조(50)의 분탄 배출구(56)를 개폐시키는 마개(76)가 설치된 교반날개 (78);로 구성되고,
    상기 처리조(50)에는 분탄의 레벨을 감지하는 레벨감지센서(80a)(80b) 및, 상기 마개(76)의 배출구(56) 위치를 제어하는 근접센서(82)가 각각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수단(90)은,
    상기 처리조 몸체(52)의 중앙측 처리수 배출구(54)를 통하여 낙하하는 처리수를 수용하는 수용단(92a)이 갖추어지고, 프레임(20)의 외부로 연결되는 처리수 드레인관(92); 및,
    상기 처리조몸체(52)의 바닥 배출구(54)와 연결되어 프레임(20)의 외곽으로 연결되는 침전분탄 드레인관(9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
KR10-2002-0071546A 2002-11-18 2002-11-18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 KR100491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546A KR100491009B1 (ko) 2002-11-18 2002-11-18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546A KR100491009B1 (ko) 2002-11-18 2002-11-18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315A KR20040043315A (ko) 2004-05-24
KR100491009B1 true KR100491009B1 (ko) 2005-05-24

Family

ID=3733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546A KR100491009B1 (ko) 2002-11-18 2002-11-18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0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3569A (en) * 1975-11-28 1978-09-12 Donner-Hanna Coke Corporation Coke air pollu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S56163188A (en) * 1980-05-21 1981-12-15 Sumitomo Heavy Ind Ltd Apparatus for extinguishing and steam-recovery of redhot coke
JPS591596A (ja) * 1982-06-29 1984-01-06 Nippon Steel Corp 成型炭の冷却乾燥方法
JPS62158783A (ja) * 1986-01-07 1987-07-14 Nippon Kokan Kk <Nkk> コ−クス原料炭の乾燥方法
US4925532A (en) * 1989-04-24 1990-05-15 Pto, Inc. Apparatus for thermal conversion of organic mat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3569A (en) * 1975-11-28 1978-09-12 Donner-Hanna Coke Corporation Coke air pollu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S56163188A (en) * 1980-05-21 1981-12-15 Sumitomo Heavy Ind Ltd Apparatus for extinguishing and steam-recovery of redhot coke
JPS591596A (ja) * 1982-06-29 1984-01-06 Nippon Steel Corp 成型炭の冷却乾燥方法
JPS62158783A (ja) * 1986-01-07 1987-07-14 Nippon Kokan Kk <Nkk> コ−クス原料炭の乾燥方法
US4925532A (en) * 1989-04-24 1990-05-15 Pto, Inc. Apparatus for thermal conversion of organic ma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315A (ko) 200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1405A (en) Gas pollu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wood drying system employing same
US95925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rying grit used for abrasive blasting
KR101804226B1 (ko) 슬러지 처리용 탈수 및 건조 장치
CN108636590A (zh) 一种大米多功能加工设备
EA013334B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урового шлама
CN209166033U (zh) 一种干燥铜精矿用的循环干燥烘干机
KR100942544B1 (ko) 복합형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KR100491009B1 (ko) 건조된 원료탄의 운송시 발생되는 함진증기 처리장치
KR100996951B1 (ko) 슬러지 건조장치
CN110686483B (zh) 一种用于煤化工的防空气污染的煤粉烘干机
KR20170142049A (ko) 입자형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건조장치
JPH07218132A (ja) 花卉球根乾燥装置
CN212550381U (zh) 一种分筛正压输送粒状棉系统
RU87318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KR101748572B1 (ko) 진공력을 이용한 폐슬러지 밀폐 이송 정량 공급 시스템
CN104132522B (zh) 一种低温蒸汽间接干燥褐煤的工艺及其系统装置
CN114234615A (zh) 一种乳清蛋白大豆蛋白枸杞子颗粒烘干装置及其烘干方法
CN106429454B (zh) 颗粒性粮食农作物长距离螺旋式气力输送系统
CN207665970U (zh) 一种烟梗回潮设备
CN107999515B (zh) 一种多功能厨余垃圾箱
CN216234088U (zh) 一种防堵型潮湿石膏输送装置
KR100896603B1 (ko) 집진기 수분혼합 장치
CN1834560A (zh) 半沸腾流化床风动分离干燥机
SU554288A1 (ru) Гранул ционна установка
CN109466946A (zh) 一种应用于装卸料过程的除尘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