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656A - 슬러지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건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65656A KR20100065656A KR1020080124090A KR20080124090A KR20100065656A KR 20100065656 A KR20100065656 A KR 20100065656A KR 1020080124090 A KR1020080124090 A KR 1020080124090A KR 20080124090 A KR20080124090 A KR 20080124090A KR 20100065656 A KR20100065656 A KR 201000656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dge
- air
- pipe
- screw
- convey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02F11/13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using electromagnetic or ultrasonic wa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축 스크류를 사용하여 무주축 스크류의 양단을 축고정함과 아울러 지지축을 사용하여 무주축 스크류에서 발생하는 처짐을 보완함으로써, 무주축 스크류와 슬러지 이송관 사이의 마찰면에서 발생하는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무주축 스크류를 복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슬러지의 이송 및 건조 능력을 향상시키며, 슬러지 이송관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공기 이송관 내부에 공기 가열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슬러지 건조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킴과 아울러 재순환 공기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키고, 진공 건조부에서 슬러지 투입구와 슬러지 토출구를 차폐시킴과 아울러 슬러지 이송관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량 보다 더 많은 공기량을 인출하여 슬러지 이송관 내부가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슬러지 이송관 내부의 수분 증발압을 낮추어 슬러지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슬러지 건조 장치, 다축 스크류, 진공 건조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다축 스크류를 이용해 슬러지의 이송 효율을 높이고, 이송중인 슬러지를 가열 수단 및 가열 공기를 적용해 건조시킴과 아울러 슬러지 이송관 내부의 수분 증발압을 낮추어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 하수처리장, 또는 축산 농가에서 발생되어 폐수 처리된 폐수와 분뇨 등의 유·무기성 슬러지는 함수율이 약 75~95% 정도인 다습성 물질이다.
여기서, 슬러지(sludge)란 진흙상태의 산업폐기물 또는 하수처리, 폐수처리 침전물 등을 일컫는 말로서 오니(汚泥)라고도 하며, 이때의 주성분은 유기물과 무기물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금속표면을 산(酸) 처리하는 공정에서나, 물과 접하는 보일러·선박·탱크류 등의 금속표면이 박리·퇴적하여 진흙상태로 된 것을 말하는데, 이때 슬러지의 주성분은 금속 또는 그 화합물이다.
특히, 유기물이 포함된 슬러지의 경우는 탈수를 하여도 무기물의 슬러지보다 함수율이 높으며, 이러한 다습성 슬러지를 그대로 매립할 경우 대량으로 발생되는 침출수에 의해 토질 및 지하수 오염은 물론 환경공해를 유발하게 되므로, 대부분의 슬러지는 일정 함수율 이하로 탈수 또는 건조시킨 후 소각하거나, 재활용, 지중 매립 및 해양투기 등의 방법으로 처리한다.
상기 슬러지는 함유된 수분을 대략 30∼40% 이하로 탈수, 건조시키면 연소가 가능하여 에너지 자원으로 재활용 가치가 충분하고, 또한 매립물로서의 기준치에 적합하여 매립처리도 가능하기 때문에 그동안 국내외에서 다양한 탈수장치 및 건조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탈수장치를 통해 슬러지 함수율을 대략 30∼40% 이하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고가의 설비가 요구되며, 건조장치를 통해 슬러지 함수율을 60% 이하로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치나 설비비 및 처리비가 요구된다.
즉, 상기 슬러지는 소각이나 매립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탈수장치를 통해 탈수하더라도 함수율이 높아 소요비용이 많이 들고, 2차 공해가 발생하게 된다.
오폐수처리장, 상수도시설, 음식물 처리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는 탈수기를 거쳐 컨베이어를 통해 반출하게 된다. 이때, 슬러지의 함수율은 평균 75% 이상이며, 고압의 압력으로 압축하여도 함수율이 73% 정도이기 때문에 소각이나 매립에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일반적인 탈수기 설비로도 함수율을 낮추는데 과도한 비용이 증가될 수 밖에 없다.
특히,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장치로는, 슬러지를 이송장치로 이송시키면서 공기에 의하여 직접 건조시키는 방법과, 슬러지를 히터나 스팀 등에 의하여 가열된 원통의 내부 또는 외면의 전열면에 접촉시키면서 간접 건조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슬러지의 직·간접 건조방법에 사용되는 것으로, 지금까지 제공되어 있는 건조장치들은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의 점성 때문에 건조기 벽면이나 이송장치에 슬러지가 부착되고 이송 속도가 느려서 건조 효율이 매우 낮은 등 운전상의 문제점이 많았으며, 이송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기계구동부가 많기 때문에 기기고장의 빈도가 높으며, 기기의 수명이 짧아 유지보수의 어려움도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건조장치들 중에서 슬러지 이송수단으로 스크류를 사용하는 방식에서는 대부분 굵은 직경의 주축 둘레에 나선형 날개를 갖는 주축형 스크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주축형 스크류를 사용할 경우, 점성이 높은 슬러지는 이송 중에 주축과 스크류 날개에 쉽게 들러붙으며, 굵은 직경의 주축에 의해 교반 작업이 어려움에 따라 이송상에 장애가 발생되어 구동부의 부하가 높아지거나 이송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주축형 스크류를 사용하는 직접 건조식에서는 이송되는 슬러지들이 열원에의 접촉이 고르지 못하게 되어 건조효율이 매우 낮으며, 간접 건조식에서는 열전달면에 슬러지가 부착되어 열전달율을 저하시킴으로서 가해진 열량에 비해 건조효율이 낮아져 주축 스크류나 열전달면에 달라 붙은 슬러지를 수시로 청소하여야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주축형 스크류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무주축형 스크류는 분체를 이송하거나 물속에 있는 슬러지 부유물만을 이송할 때 좋으며 주축이 없으므로 반부하측에 베이링을 넣지 않고 한쪽만 지지하여도 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무주축형 스크류는 스크류 날개와 케이싱의 접촉 면적이 커 날개와 이들 사이에 마모가 발생하게 되어 이들 사이에 폴리 우레탄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스크류 날개를 받쳐 주어야 한다.
또한 무주축형 스크류를 사용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경우 건조용 공기나 마이크로 웨이브 조사시 주축이 없으면 그만큼 방해를 적게 받아 슬러지 건조시 유리하나, 무주축형 스크류는 날개 직경을 300cm이상 제작하기 어려움에 따라 이송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케이싱 내에 스크류를 복렬로 설치할 경우 한쪽만 지지가 되는 무주축형 스크류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 때문에 작동이 불가능해지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축 스크류를 사용하여무주축 스크류와 슬러지 이송관 사이에 발생하는 마모를 방지함과 아울러 무주축 스크류를 복렬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러지 건조 장치의 공기 순환부의 구성을 단순화시킴과 아울러 슬러지 이송관 내부에 공급되는 순환 공기를 가열하거나 또는 공기 순환시 열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러지 이송관 내부의 수분 증발압을 낮추어 좀더 쉽게 수분의 증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러지 건조 장치는, 슬러지 이송관 외측을 감싸며 공기 이송관이 형성되는 이중 이송관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슬러지 이송관의 내에 슬러지를 상향 이송시키기 위한 다축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양단이 축고정되는 슬러지 이송부; 슬러지 이송관의 하단부에 개방 형성된 슬러지 투입구 상측에 연장 설치되어, 슬러지 투입구로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 투입부; 슬러지 이송관 상측에 설치되어 다축 스크류에 의해 상향 이송되는 슬러지를 건조시키도록 가열하는 슬러지 가열 수단; 이중 이송관의 공기 이송관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이송관 내부로 이송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 가열 수단; 및 슬러지 이송관의 일측 단부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슬러지 이송관의 타일측 단부에 연결된 제1 공기 배관을 통해 집진기로 이송시키고, 집진기에서 슬러지 부유물이 분리된 공기를 제2 공기 배관을 통해 공기 이송관 일측 단부로 이송시키며, 공기 이송관 타일측 단부에 연결된 제3 공기 배관을 통과하며 가열된 공기를 제1 송풍팬을 이용해 슬러지 이송관 일측 단부를 통해 재순환 공급하는 공기 순환부; 및 슬러지 이송관의 상단부에 개방 형성된 슬러지 토출구 하부에 연장 설치되어, 다축 스크류에 의해 상향 이송되며 건조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부를 포함하고, 다축 스크류는 상하측 양단이 축 고정되는 무주축 스크류; 무주축 스크류의 원주 방향으로 등각을 이루는 지점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축; 및 무주축 스크류의 일측 단부 중심에 관통 형성되어, 공기 순환부에 의해 공급된 재순환 공기를 슬러지 이송관 내부로 공급하는 중공관을 포함한다.
여기서, 슬러지 이송관의 일측 단부에 연장 구획되어 제3 공기 배관을 통해 공기 이송관과 연결되며, 중공관을 통해 가열된 공기를 슬러지 이송관 일측 단부 내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챔버가 구비될 수 있다.
다축 스크류는 공기 챔버 내에서 다축 스크류의 중공관 단부와 회전축 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중공관과 연통되는 공기 투입 그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순환부는 가열 공기가 슬러지 이송관 내에서 상시 슬러지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설치되거나,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축 스크류는 슬러지 이송관 내부에 복렬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슬러지 가열 수단은 마그네트론 발진기이고, 공기 가열 수단은 전기 히터이며, 집진기는 사이클론 집진기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클론 집진기는 제1 공기 배관과 연결되는 공기 유입구와 인접하는 내측에 설치되어 제1 공기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열 공기를 외부 유입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열회수기; 및 열회수기와 제2 공기 유입구가 연결되는 공기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제습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슬러지 건조 장치는 슬러지 이송관 외측을 감싸며 공기 이송관이 형성되는 이중 이송관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슬러지 이송관의 내에 슬러지를 상향 이송시키기 위한 다축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양단이 축고정되는 슬러지 이송부; 슬러지 이송관의 하단부에 개방 형성된 슬러지 투입구 상측에 연장 설치되어, 슬러지 투입구로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 투입부; 슬러지 이송관 상측에 설치되어 다축 스크류에 의해 상향 이송되는 슬러지를 건조시키도록 가열하는 슬러지 가열 수단; 이중 이송관의 공기 이송관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이송관 내부로 이송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 가열 수단; 및 슬러지 이송관의 일측 단부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슬러지 이송관의 타일측 단부에 연결된 제1 공기 배관을 통해 집진기로 이송시키고, 집진기에서 슬러지 부유물이 분리된 공기를 제2 공기 배관을 통해 공기 이송관 일측 단부로 이송시키며, 공기 이송관 타일측 단부에 연결된 제3 공기 배관을 통과하며 가열된 공기를 제1 송풍팬을 이용해 슬러지 이송관 일측 단 부를 통해 재순환 공급하는 공기 순환부; 및 슬러지 이송관의 상단부에 개방 형성된 슬러지 토출구 하부에 연장 설치되어, 다축 스크류에 의해 상향 이송되며 건조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부를 포함하고, 진공 건조부는 슬러지 이송관 내부가 부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슬러지 투입부 및 슬러지 토출부를 개폐하는 제1 개폐기 및 제2 개폐기; 제1 공기 배관 상에 설치되어, 제1 송풍기에 의해 슬러지 이송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보다 더 많은 공기량을 배출시키는 제2 송풍기; 및 제2 공기 유입공에 설치되어, 슬러지 이송관으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공기량 제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폐기 및 제2 개폐기는 로터리 게이트 또는 이중 슬라이드 게이트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축 스크류는 상하측 양단이 축 고정되는 무주축 스크류; 무주축 스크류의 원주 방향으로 등각을 이루는 지점들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며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축; 및 무주축 스크류의 일측 단부 중심에 관통 형성되어, 공기 순환부에 의해 공급된 재순환 공기를 슬러지 이송관 내부로 공급하는 중공관을 포함할 수 있다.
슬러지 이송관의 일측 단부에 연장 구획되어 제3 공기 배관을 통해 공기 이송관과 연결되며, 중공관을 통해 가열된 공기를 슬러지 이송관 일측 단부 내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챔버가 구비될 수 있다.
다축 스크류는, 공기 챔버 내에서 다축 스크류의 중공관 단부와 회전축 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중공관과 연통되는 공기 투입 그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순환부는 가열 공기가 슬러지 이송관 내에서 상시 슬러지와 서로 동일 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설치되거나,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축 스크류는 슬러지 이송관 내부에 복렬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슬러지 가열 수단은 마그네트론 발진기이고, 공기 가열 수단은 전기 히터이고, 집진기는 사이클론 집진기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클론 집진기는 제1 공기 배관과 연결되는 공기 유입구와 인접하는 내측에 설치되어 제1 공기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열 공기를 외부 유입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열회수기; 및 열회수기와 제2 공기 유입구가 연결되는 공기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제습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슬러지 건조 장치에 따르면, 다축 스크류를 사용하여 무주축 스크류에서 발생하는 처짐을 복수의 지지축을 적용해 보완함으로써, 무주축 스크류와 슬러지 이송관 사이의 마찰면에서 발생하는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슬러지 건조 장치는 다축 스크류에 지지축을 적용함과 아울러 무주축 스크류의 양단을 베어링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축고정시킴으로써, 무주축 스크류를 복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슬러지의 이송 및 건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슬러지 건조 장치는 슬러지 이송관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공 기 이송관 내부에 공기 가열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슬러지 건조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킴과 아울러 재순환 공기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슬러지 건조 장치는 진공 건조부에서 슬러지 투입구와 슬러지 토출구를 밀폐시킴과 아울러 슬러지 이송관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량보다 더 많은 공기량을 인출하여 슬러지 이송관 내부가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슬러지 이송관 내부의 수분 증발압을 낮추어 슬러지 이송과 내부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슬러지 건조 장치는 슬러지 이송부(100), 슬러지 가열부(200), 공기 가열부(300), 공기 순환부(400) 슬러지 투입부(500), 슬러지 배출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슬러지 이송부(100)는 함수율이 높은 다습성의 슬러지를 이송 및 건조 시키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이중 이송관(110), 및 이중 이송관(110)의 슬러지 이송관(111) 내부에 수용되는 다축 스크류(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도 1의 Ⅱ-Ⅱ 따라 잘라서 본 슬러지 이송부의 정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중 이송관(110)은 슬러지 이송관(111) 및 공기 이송관(115)이 대략 이중관 형태를 갖는다.
공기 이송관(115)은 사각 덕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슬러지 이송관(111)은 공기 이송관(111)과 상면판을 공유하며, 공기 이송관(111)에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슬러지 이송관(111)은 공기 이송관(115) 내부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 부재들(116)에 의해 양측과 하측이 각각 지지 고정된다.
그리고 공기 이송관 내부에는 구획판(117)에 의해 구획된 배관 공간(118)을 가지며, 이 배관 공간(118)을 통해 슬러지 건조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선등이 배설될 수 있다.
한편, 슬러지 이송관(111) 내부에는 슬러지 투입부(500)로부터 공급된 슬러지들을 상향 이송시키기 위한 다축 스크류(120)가 설치된다.
도 3은 도 1의 다축 스크류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축 스크류를 Ⅳ-Ⅳ선을 따라 잘라서 정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축 스크류(120)는 무주축 스크류(121), 복수의 지지축(122), 중공관(123), 및 공기 투입 그릴(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무주축 스크류(121)는 슬러지 이송관(111) 내부에서 수용되게 설치되며, 양단에 형성되는 상, 하측 축고정판(125)들로부터 회전축(126)들이 베어링(610, 65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지지축(122)은 무주축 스크류(121)의 이송날들의 원주 방향으로 등각을 이루는 지점들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며 축고정판(125)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축(122)이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며, 각각의 지지축들(122)은 축고정판들(125) 사이에 위치하는 무주축 스크류(121)의 처짐을 방지하여 슬러지 이송관(111) 내부 특히, 바닥면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중공관(123)은 하측 축고정판(125)을 관통하며 무주축 스크류(121)의 하부 중심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후술하는 공기 순환부(400)에 의해 공급되는 고온의 재순환 가열 공기가 슬러지 이송관(111) 내부로 공급되도록 슬러지 이송관(111)과 공기 챔버(146)를 구획하는 벽면을 관통하는 공기 통로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공기 투입 그릴(124)은 슬러지 이송관(111) 하단측에 연장 구획되는 공기 챔버(460) 내에서 중공관(123) 하단과 하부 회전축(126)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재순환 공급부(400)에 의해 공기 챔버(460) 내부로 유입된 가열 공기를 중공관(123)을 통해 슬러지 이송관(111) 내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공기 챔버(146) 하측 벽면을 하부 회전축(126)의 하단부에 구동 모터(600)와 벨트로 연결되는 벨트 풀리(127)가 구비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600)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은 벨트 풀리(127)를 통해 하부 회전축(126), 공기 투입 그릴(124), 중공관(126) 및 하부 축고정판(125)을 통해 무주축 스크류(121) 및 지지축(122)로 전달되어 슬러지 투입로부터 공급된 슬러지를 상향 이송시키게 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슬러지 투입부(500)는 슬러지 이송관(111)의 하단부에 개방 형성된 슬러지 투입구(112)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 투입구(112)로 슬러지를 공급한다.
슬러지 투입부(500)에는 호퍼(520) 내부에 제1 분쇄기(51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분쇄기(510)는 슬러지를 1차로 분쇄하여 슬러지 이송관(100)의 입구(112)에 공급하도록 한다.
슬러지 가열 수단(200)은 슬러지 이송관(111)을 이루는 상측판에 설치되어, 다축 스크류(120)에 의해 이송중인 슬러지를 가열하도록 한다.
슬러지 가열 수단(200)은 마그네크로 발진기 또는 할로겐 램프들이 모두 사용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 슬러지 가열 수단(200)은 슬러지 이송관(111)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마그네트론 발진기(210)와, 다수의 할로겐 램프(220)가 모두 사용되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다축 스크류(120)에 의해 슬러지가 상향 이송되는 과정에서 마그네트론 발진기(210)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되고, 동시에 할로겐 램프(22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에 의해 가열되어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공기 가열 수단(300)은 공기 이송관(115)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순환 부(400)에 의해 공기 이송관(115)을 통과하는 순환 공기를 가열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 가열 수단(300)은 전기 히터(310)인 것을 예시한다. 이처럼, 전기 히터(310)를 공기 이송관(115) 내부에 설치하여 공기 이송관(115) 내부에서 슬러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송중인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공기를 가열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소비를 줄이고 아울러 공기 이송 과정에 발생하는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공기 순환부(400)는 제1 공기 배관(410), 집진기(420), 제2 이송관(430), 제3 이송관(440), 제1 송풍기(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공기 배관(410)은 슬러지 이송관(111)의 상단부와 집진기(420)를 연결하며, 다축 스크류(120)의 중공관(123)을 통해 슬러지 이송관(111)의 하단부로 공급된 공기를 집진기(420)로 이송시키도록 한다.
집진기(420)는 제1 공기 배관(410)을 통해 슬러지 이송관(111)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중 슬러지 부유물들을 걸러 제2 공기 배관(430)을 통해 유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집진기(420)는 사이클론 집진기인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사이클론 집진기에서는 제1 공기 배관(410)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사이클론 내부를 선회하면서 비중 차이에 의해 공기중에 포함된 슬러지 부유물들은 하부로 가라앉아 분리되고 공기만 중심부에 형성된 공기 인출관(421)을 통해 제2 공기 배관(430)으로 배출된다.
제2 공기 배관(430)은 집진기(420)와 공기 이송관(115) 상부를 연결하여, 집진기(420)에서 슬러지 부유물들이 걸러진 분리된 공기를 공기 이송관(115) 상부로 공급한다.
제3 공기 배관(440)을 통해 공기 이송관(115) 내부에서 공기 가열 수단(300) 즉, 전기 히터(31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공기 챔버(460) 내부로 공급된다.
여기서, 공기 순환부(400)에 의한 전체적인 공기의 흐름은 제3 공기 배관(440) 상에 설치되는 제1 송풍기(450)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 챔버(460) 내로 공급된 고온의 가열 공기는 다축 스크류(120)의 공기 투입 그릴(124) 및 중공관(123)을 통해 슬러지 이송관(111) 하부로 공급된다.
이때, 중공관(123)은 슬러지 투입부(500)로부터 투입되어 슬러지 이송관(111)의 하부에 쌓인 슬러지들을 통과해 가열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활을 한다.
슬러지 이송관(111) 내부로 공급된 가열 공기는 슬러지 가열 수단들(200)과 함께 다축 스크류(120)에 의해 이송중인 슬러지들을 건조시키게 된다.
그리고 슬러지 배출부(600)는 슬러지 이송관(111)의 상단부에 개방 형성된 슬러지 토출구(113) 하부에 설치되어, 슬러지 이송관(111) 내부에서 다축 스크류(120)에 의해 상향 이송되는 슬러지 가열 수단(200) 및 공기 순환부(400)에 의해 재순환 공급되는 고온의 가열 공기에 의해 건조된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슬러지 배출부(600)에는 제2 분쇄기(610)가 설치될 수 있으면, 제2 분쇄기(610)는 건조 이송된 슬러지를 2차 분쇄하여 배출한다. 그리고 슬러지 배출 부(600)에 의해 2차 분쇄되어 배출된 슬러지들은 소각하거나, 재활용, 지중 매립 및 해양투기 등의 방법으로 처리된다.
이하, 본 발명의 슬러지 건조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및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슬러지 이송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슬러지 이송관(111') 내부에 다축 스크류(120a, 120b)가 2열로 배치되는 것을 배치되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슬러지 이송관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다축 스크류(120a)와 제2 다축 스크류(120b)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제1 다축 스크류(120a)와 제2 다축 스크류(120b)는 제1 실시예의 다축 스크류(120)와 동일하게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됨과 아울러 무주축 스크류 날개를 관통하는 지지축들(122)이 양쪽 축고정판(125) 사이를 연결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1 다축 스크류(120a)와 제2 다축 스크류(120b)는 슬러지 이송관 내부에서 무주축 스크류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맞물려 회전하며 슬러지들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슬러지 건조 수단(210')은 제1 다축 스크류(120a)와 제2 다축 스크류(120b)와 대응되게 슬러지 이송관의 상측에서 2열로 형성되어 제1 다축 스크 류(120a) 및 제2 다축 스크류(120b)에 이송되는 슬러지를 각각 가열하여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슬러지 건조 장치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슬러지 이송관(111') 내부에 다축 스크류를 복열로 설치하여 작업 용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슬러지 건조 장치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진공 건조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진공 건조부(700)는 제1 개폐기(710), 제2 개폐기(720), 제2 송풍기(730), 및 공기량 제어 밸브(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개폐기(710) 및 제2 개폐기(720)는 각각 슬러지 이송관(111) 내부가 부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슬러지 투입부(500)와 슬러지 토출부(600)를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개폐기(710) 및 제2 개폐기(720)는 로터리 게이트인 것을 예시하며, 로터리 게이트는 일정각 회전 제어되며 일측에 일정량의 슬러지가 채워지면 슬러지를 투입 및 배출시키며 슬러지 투입부(500)와 슬러지 배출부(600)를 통해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것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2 송풍기(730)는 제1 공기 배관(410) 상에 설치되어 제1 송풍기(450)에 의해 슬러지 이송관(11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보다 더 많은 공기량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공기량 제어 밸브(740)는 제2 공기 유입공(430)에 설치되어 슬러지 이송관(111)으로 재순환 공급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슬러지 건조 장치는 공기 순환부(400)에 의해 상기 슬러지 이송관(111) 내부로 재순환 공급되는 가열 공기량보다 많은 공기량을 슬러지 이송관(111)으로부터 배출시킴으로써 슬러지 이송관 내부의 압력 즉, 수분 증발압을 낮춰 좀더 빠르게 슬러지로부터 수분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8은 도 9의 집진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집진기(420')는 사이클론 집진기가 사용되고, 사이클론 집진기에는 열회수기(421), 및 제습 필터(426)가 설치되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열회수기(421)은 사이클론 하부에 구획되는 집진 공간(420) 내에서 제1 공기 배관(410)이 연결되는 공기 유입구(423)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유입되는 외부 공기로 제1 공기 배관(410)을 통해 슬러지 이송관(111)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열 공기와 외부 유입 공기를 서로 열교환시킨다.
따라서, 제1 공기 배관(410)을 통해 사이클론 내부로 유입된 고온 다습한 가열공기는 열회수기(421)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유입 공기에 의해 냉각되며 건조 공기 내부에 포함된 수분이 응측되며 제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습 필터(426)는 집진 공간(420a) 상측에 구획되는 제습 공간(420b) 내에서 열회수기(421)와 상기 제2 공기 유입구(430)가 연결되는 상기 공기 유출구(423) 사이에 설치되어, 사이클론의 하부 집진 공간(420a) 내부에서 집진 및 1차 냉각 제습된 공기를 2차 제습한다.
또한, 열회수기(421)을 통해 유입된 외부 유입 공기는 건조 공기로부터 회수된 열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제2 공기 배관(430)을 통해 제습된 가열 공기와 함께 공기 이송관(115)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이클론 집진기(420')에서 슬러지 이송관(111)으로부터 유입된 이물질과 함께 유입된 고온 다습한 가열 공기를 하부 집진 공간(420a)을 통해 집진 및 제습되며, 이때, 열회수기(421)을 통해 제습시 발생하는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슬러지 건조 장치에 대한 슬러지 투입부 및 슬러지 배출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는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개폐기(710')와 제2 개폐기(720')가 이중 슬라이드 게이트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제1 개폐기(710')는 슬러지 투입부의 설치되는 제1 슬라이트 게이트(711)와 제2 슬라이드 게이트(713)로 이루어진다.
제1 슬라이드 게이트(711)는 제1 게이트 모터(712)에 의해 개폐되어, 개방 상태로 제1 분쇄기(510)에서 분쇄 공급되는 슬러지를 제1 슬라이드 게이트(711)와 제2 슬라이드 게이트(713) 사이로 공급한 후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슬라이드 게이트(713)는 제2 게이트 구동 모터(714)에 개체되어, 제1 슬라이드 게이트(711)가의 개방 상태에서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슬라 이드 게이트(711)와 제2 슬라이드 게이트(713) 사이로 공급한 후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되면 개방되어 슬러지가 슬러지 이송관의 입구로 공급되도록 하여 외부와 차폐된 상태를 유지하며 슬러지의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개폐기((720')는 제3 슬라이드 게이트(721)와 제4 슬라이드 게이트(723)로 이루어지며, 제3 슬라이드 게이트(721)와 제4 슬라이드 게이트(723)는 각각 제3 게이트 구동 모터(722)와 제4 게이트 구동 모터(724)에 의해 개폐되며 슬러지 배출부(600)가 외부와 차폐된 상태를 유지하며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제1 개폐기와 제2 개폐기에 의해 슬러지 투입부(500)와 슬러지 배출부를 외부와 차폐시킴으로써 상기한 진공 건조부(700)에 의해 슬러지 이송관(111) 내부의 수분 증발압을 낮추어 좀더 쉽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에 대한 측면 개략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슬러지 건조 장치는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공기 순환부(700')가 슬러지 이송관(111) 내부로 공급되는 가열 공기 유동 방향을 슬러지의 이송 방향과 서로 대향하도록 하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즉, 제1 공기 배관(410')은 슬러지 이송관(111)의 슬러지 투입부가 형성된 부분과 사이클론 집진기(420)의 공기 유입구(422)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제2 공기 배관(430')은 사이클론 집진기(420)의 공기 유출구(422)와 공기 이송관(115)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사이클론 집진기(420)를 통해 이물질 이 집진됨과 아울러 열회수기 및 제습 필터에 의해 제습된 건조 공기와 열회수기(421)를 통해 가열된 외부 유입 공기를 섞어 공기 이송관(115)의 하단부로 공급한다.
한편, 공기 이송관(115)을 통해 상향 이송되는 공기는 공기 이송관 내부에 설치된 공기 가열 수단(300) 즉, 전기 히터(310)에 의해 가열된다.
그리고, 제3 공기 배관(440')은 공기 이송관(115)의 상단부와 공기 챔버(460')를 연결하며 공기 이송관(115)을 통해 가열된 공기를 공기 챔버 내부(460')로 공급하도록 한다.
여기서, 공기 챔버(460')는 슬러지 이송관(111)의 상단부에 연장되게 구획된다.
그리고, 공기 챔버(460')를 관통하며 축고정되는 다축 스크류(120')의 상단부에는 공기 투입 그릴(124')이 형성되고, 이 공기 투입 그릴(124)에 연통되게 중공관(123')이 형성된다.
이처럼, 슬러지 이송관(111) 내부에서 다축 스크류(120')에 의해 상향 이송되는 슬러지와 대향하게 가열 공기를 하향 이송되도록 재순환시킴으로써, 슬러지와 가열 공기와의 온도 편차를 키워 더 쉽게 슬러지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제2 공기 배관(430')에 설치된 공기 조절 밸브(740)를 이용해 제3 공기 배관(440')에 설치된 제1 송풍팬(450')에 의해 슬러지 이송관(111)으로 유입되는 공기량보다 제1 공기 배관(410')에 설치된 제2 송풍팬(730)에 의해 슬러지 이송 관(111)으로부터 유출되는 더 많은 공기량을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슬러지 이송관(111) 내부의 압력, 즉 수분 증발압을 낮추어 슬러지의 건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따라 잘라서 본 슬러지 이송부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축 스크류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축 스크류를 Ⅳ-Ⅳ선을 따라 잘라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슬러지 이송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9의 집진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에 대한 슬러지 투입부 및 슬러지 배출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에 대한 측면 개략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00: 슬러지 이송부 110: 이중 이송관
111: 슬러지 이송관 115: 공기 이송관
120: 다축 스크류 121: 무주축 스크류
122: 지지축 123: 중공관
124: 공기 투입 그릴 125: 축 고정판
126: 회전축 127: 풀리
200: 슬러지 가열부 210: 마그네트론 발진기
220: 할로겐 램프 300: 공기 가열부
310: 전기 히터 400: 공기 순환부
410: 제1 공기 배관 420: 집진기
430: 제2 공기 배관 440: 제3 공기 배관
450: 제1 송풍기 460: 공기 챔버
500: 슬러지 투입부 510: 제1 분쇄기
520: 호퍼 600: 슬러지 배출부
610: 제2 분쇄기 700: 진공 건조부
710, 710' 제1 개폐기(로터리 게이트) 720, 720' 제2 개폐기(로터리 게이트)
711: 제1 슬라이드 게이트 712: 제1 게이트 모터
713: 제2 슬라이드 게이트 714: 제2 게이트 모터
721: 제3 슬라이드 게이트 722: 제3 게이트 모터
723: 제4 슬라이드 게이트 724: 제4 게이트 모터
800: 구동 모터 810, 850: 베어링
Claims (23)
- 슬러지 이송관 외측을 감싸며 공기 이송관이 형성되는 이중 이송관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이송관의 내에 슬러지를 상향 이송시키기 위한 다축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양단이 축고정되며 설치되는 슬러지 이송부;상기 슬러지 이송관의 하단부에 개방 형성된 슬러지 투입구 상측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 투입구로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 투입부;상기 슬러지 이송관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다축 스크류에 의해 상향 이송되는 상기 슬러지를 건조시키도록 가열하는 슬러지 가열 수단;상기 이중 이송관의 공기 이송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이송관 내부로 이송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 가열 수단; 및상기 슬러지 이송관의 일측 단부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슬러지 이송관의 타일측 단부에 연결된 제1 공기 배관을 통해 집진기로 이송시키고, 상기 집진기에서 슬러지 부유물이 분리된 공기를 제2 공기 배관을 통해 상기 공기 이송관 일측 단부로 이송시키며, 상기 공기 이송관 타일측 단부에 연결된 제3 공기 배관을 통과하며 가열된 공기를 제1 송풍팬을 이용해 상기 슬러지 이송관 일측 단부를 통해 재순환 공급하는 공기 순환부; 및상기 슬러지 이송관의 상단부에 개방 형성된 슬러지 토출구 하부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다축 스크류에 의해 상향 이송되며 건조된 상기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부를 포함하고,상기 다축 스크류는,양단이 축 고정되는 무주축 스크류;상기 무주축 스크류의 원주 방향으로 등각을 이루는 지점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축; 및상기 무주축 스크류의 일측 단부 중심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공기 순환부에 의해 공급된 재순환 공기를 상기 슬러지 이송관 내부로 공급하는 중공관을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1항에서,상기 슬러지 이송관의 일측 단부에 연장 구획되어 상기 제3 공기 배관을 통해 상기 공기 이송관과 연결되며,상기 중공관을 통해 상기 가열된 공기를 상기 슬러지 이송관 일측 단부 내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챔버가 구비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2항에서,상기 다축 스크류는,상기 공기 챔버 내에서 상기 중공관 단부와 상기 회전축 단부 사이를 연결하 며, 상기 중공관과 연통되는 공기 투입 그릴을 더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3항에서,상기 공기 순환부는,상기 가열 공기가 상기 슬러지 이송관 내에서 상시 슬러지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설치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3항에서,상기 공기 순환부는,상기 가열 공기가 상기 슬러지 이송관 내에서 상시 슬러지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설치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3항에서,상기 다축 스크류는 상기 슬러지 이송관 내부에 복렬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1항에서,상기 슬러지 가열 수단은 마그네트론 발진기인 것을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1항에서,상기 공기 가열 수단은 전기 히터인 것을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1항에서,상기 집진기는 사이클론 집진기인 것을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1항에서,상기 사이클론 집진기는,상기 제1 공기 배관과 연결되는 공기 유입구와 인접하는 사이클론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공기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열 공기를 외부 유입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열회수기; 및상기 열회수기와 상기 제2 공기 유입구가 연결되는 상기 공기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제습 필터를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슬러지 이송관 외측을 감싸며 공기 이송관이 형성되는 이중 이송관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이송관의 내에 슬러지를 상향 이송시키기 위한 다축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양단이 축고정되며 설치되는 슬러지 이송부;상기 슬러지 이송관의 하단부에 개방 형성된 슬러지 투입구 상측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 투입구로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 투입부;상기 슬러지 이송관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다축 스크류에 의해 상향 이송되는 상기 슬러지를 건조시키도록 가열하는 슬러지 가열 수단;상기 이중 이송관의 공기 이송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이송관을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 가열 수단; 및상기 슬러지 이송관의 일측 단부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슬러지 이송관의 타일측 단부에 연결된 제1 공기 배관을 통해 집진기로 이송시키고, 상기 집진기에서 슬러지 부유물이 분리된 공기를 제2 공기 배관을 통해 상기 공기 이송관 일측 단부로 이송시키며, 상기 공기 이송관 타일측 단부에 연결된 제3 공기 배관을 통과하며 가열된 공기를 제1 송풍팬을 이용해 상기 슬러지 이송관 일측 단부를 통해 재순환 공급하는 공기 순환부;상기 슬러지 이송관의 상단부에 개방 형성된 슬러지 토출구 하부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다축 스크류에 의해 상향 이송되며 건조된 상기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부; 및상기 슬러지 이송관 내부의 수분 증발압을 낮추기 위한 진공 건조부를 포함하고,상기 진공 건조부는,상기 슬러지 이송관 내부가 부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러지 투입부 및 상기 슬러지 토출부를 개폐하는 제1 개폐기 및 제2 개폐기;상기 제1 공기 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송풍기에 의해 슬러지 이송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보다 더 많은 공기량을 배출시키는 제2 송풍기; 및상기 제2 공기 유입공에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 이송관으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공기량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11항에서,상기 제1 개폐기 및 제2 개폐기는 로터리 게이트인 것을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11항에서,상기 제1 개폐기 및 제2 개폐기는 이중 슬라이드 게이트인 것을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11항에서,상기 다축 스크류는,양단이 축 고정되는 무주축 스크류;상기 무주축 스크류의 원주 방향으로 등각을 이루는 지점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며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축; 및상기 무주축 스크류의 일측 단부 중심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공기 순환부에 의해 공급된 재순환 공기를 상기 슬러지 이송관 내부로 공급하는 중공관을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14항에서,상기 슬러지 이송관의 일측 단부에 연장 구획되어 상기 제3 공기 배관을 통해 상기 공기 이송관과 연결되며,상기 중공관을 통해 상기 가열된 공기를 상기 슬러지 이송관 일측 단부 내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챔버가 구비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15항에서,상기 다축 스크류는,상기 공기 챔버 내에서 상기 다축 스크류의 상기 중공관 단부와 회전축 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중공관과 연통되는 공기 투입 그릴을 더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16항에서,상기 공기 순환부는,상기 가열 공기가 상기 슬러지 이송관 내에서 상시 슬러지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설치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16항에서,상기 공기 순환부는,상기 가열 공기가 상기 슬러지 이송관 내에서 상시 슬러지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설치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11항에서,상기 다축 스크류는 상기 슬러지 이송관 내부에 복렬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 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11항에서,상기 슬러지 가열 수단은 마그네트론 발진기인 것을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11항에서,상기 공기 가열 수단은 상기 전기 히터인 것을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11항에서,상기 집진기는 사이클론 집진기인 것을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 제22항에서,상기 사이클론 집진기는,상기 제1 공기 배관과 연결되는 공기 유입구와 인접하는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공기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열 공기를 외부 유입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열 회수기; 및상기 열회수기와 상기 제2 공기 유입구가 연결되는 상기 공기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제습 필터를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4090A KR20100065656A (ko) | 2008-12-08 | 2008-12-08 | 슬러지 건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4090A KR20100065656A (ko) | 2008-12-08 | 2008-12-08 | 슬러지 건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5656A true KR20100065656A (ko) | 2010-06-17 |
Family
ID=42364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4090A KR20100065656A (ko) | 2008-12-08 | 2008-12-08 | 슬러지 건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65656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3747B1 (ko) * | 2013-02-08 | 2013-04-12 | 동 석 강 | 협잡물 건조성능을 향상시킨 스크류프레스가 내장된 협잡물 종합처리기 |
KR101516955B1 (ko) * | 2014-06-30 | 2015-05-19 | 주식회사 한수텍 | 슬러지 진공건조 장치 |
KR102355501B1 (ko) * | 2021-03-15 | 2022-02-08 | 이정율 | 경사진 융해로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 |
KR102522362B1 (ko) * | 2022-06-23 | 2023-04-17 | 박진규 | 스크류 컨베이어형 건조장치 |
KR20230083384A (ko) | 2021-12-02 | 2023-06-12 | 김엽규 |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한 건조시스템 |
-
2008
- 2008-12-08 KR KR1020080124090A patent/KR2010006565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3747B1 (ko) * | 2013-02-08 | 2013-04-12 | 동 석 강 | 협잡물 건조성능을 향상시킨 스크류프레스가 내장된 협잡물 종합처리기 |
KR101516955B1 (ko) * | 2014-06-30 | 2015-05-19 | 주식회사 한수텍 | 슬러지 진공건조 장치 |
KR102355501B1 (ko) * | 2021-03-15 | 2022-02-08 | 이정율 | 경사진 융해로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 |
KR20230083384A (ko) | 2021-12-02 | 2023-06-12 | 김엽규 |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한 건조시스템 |
KR102522362B1 (ko) * | 2022-06-23 | 2023-04-17 | 박진규 | 스크류 컨베이어형 건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65662A (ko) | 슬러지 건조 장치 | |
KR100759416B1 (ko) | 무주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 |
KR100436985B1 (ko) | 나선 축류식 열풍 건조기 | |
KR100792689B1 (ko) |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 | |
KR101271018B1 (ko) | 슬러지 급속 건조방법과 급속건조기 및 건조기의 냉각장치 | |
KR102057682B1 (ko) | 오니 건조장치 | |
KR101326856B1 (ko) | 슬러지 건조장치 | |
KR101729994B1 (ko) | 열매체를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 |
KR20100065656A (ko) | 슬러지 건조 장치 | |
KR100667708B1 (ko) |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열침투 분쇄탈수장치 | |
KR100852024B1 (ko) | 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건조장치 | |
KR101239581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0177364B1 (ko) | 유.무기성 슬러지의 건조방법 및 그 장치 | |
KR101109759B1 (ko) | 슬러지 건조장치 | |
KR100481946B1 (ko) | 슬러지 처리장치 | |
KR100948102B1 (ko) | 공기 분산관이 구비된 스파징 패들/디스크형 슬러지 건조장치 | |
KR102224084B1 (ko) | 디스크 타입 건조기 | |
KR101135641B1 (ko) | 슬러지 건조장치 | |
KR100539160B1 (ko) | 슬럿지 건조장치 | |
KR100645494B1 (ko) | 냉온식 슬러지 건조장치 | |
KR102351406B1 (ko) | 수직형 저온제습 사일로 건조장치 | |
KR20030072873A (ko) |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 | |
KR20030054134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351279B1 (ko) | 슬러지 이송건조장치 | |
KR102538607B1 (ko) | 분쇄용볼을 이용한 스크류 건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