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682B1 - 오니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오니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682B1
KR102057682B1 KR1020170123630A KR20170123630A KR102057682B1 KR 102057682 B1 KR102057682 B1 KR 102057682B1 KR 1020170123630 A KR1020170123630 A KR 1020170123630A KR 20170123630 A KR20170123630 A KR 20170123630A KR 102057682 B1 KR102057682 B1 KR 102057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hot air
inlet
dry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4971A (ko
Inventor
강미라
Original Assignee
강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미라 filed Critical 강미라
Priority to KR1020170123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6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4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by application of heat, e.g. by means of potato coo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Abstract

오니를 이송 및 교반시키면서 건조시켜 오니가 벌크 형태로 뭉쳐지지 않으면서 전체적으로 골고루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열풍 건조를 병행하여 건조 효율을 향상시켰으며, 이송되는 오니를 건조와 더불어 최상의 상태로 파쇄하여 배출함으로 생태블럭, 연소원료 또는 비료나 사료 등의 에너지 자원으로 재활용하기에 우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오니 건조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오니 건조장치{WASTE WATER SLUDGE DRYING APPARRATUS}
본 발명은 오니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니를 이송 및 교반시키면서 건조시켜 오니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열풍 건조를 병행하여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오니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처리장, 음식물류폐기물 처리공장, 식품공장과 섬유 및 제지공장 등의 각종 산업현장, 축산 농가에서 발생된 폐수를 후처리한 후 잔류물이나 분뇨 등의 유, 무기성 오니가 다량 발생되고 있다. 이때 통상 오니는 함수율이 약 60~85% 정도에 이른다.
이렇게 함수율이 높은 오니를 그대로 매립할 경우에는 체적이 커서 운송비용이 증대되고 매립 용적 또한 많이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발생되는 침출수에 의해 토질 및 지하수 오염은 물론 환경공해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오니는 일정 함수율 이하로 탈수 또는 건조시킨 후 소각, 재활용, 지중 매립, 해양투기 등의 방법으로 처리한다. 그러나 국제협약에 의해 하수오니 및 가축분뇨(12년부터), 오폐수 및 음식폐기물(13년부터)의 해양투기가 금지되며, 만톤/일 이상 하수처리장의 오니 직매립이 폐기물관리법에 의해 금지되고 있다. 따라서 오니의 처리방법이 매우 제한되고 있다.
오니는 함유된 수분을 대략 10~40%이하로 탈수, 건조시키면 생태블럭, 연소원료 또는 비료나 사료 등의 에너지 자원으로 재활용 가치가 충분하다. 따라서 오니를 건조하여 재활용하는 기술은 석유류 에너지비용 상승에 따라 경제성이 있고 악취 등 2차적인 문제발생이 적고, 또한 매립 물로서의 기준치에 적합하여 매립처리도 가능하기 때문에 매력 있는 오니 처리방안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그동안 다양한 건조장치가 개발되어 왔지만 열효율, 건조능력의 수준,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2차물질의 효율적인 처리 등 제품의 균일한 품질과 활용기술 및 설비면에서 아직 미흡하여 상당한 기술적 진보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오니의 건조는 크게 열풍(건조방)식과 열전도(건조방)식 및 마이크로파가열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대량처리의 적합성 측면에서 열풍식과 열전도식이 많이 실용화되고 있다.
열풍식은 중유, LPG 등의 연소가스 즉, 고온의 건조가스(약 300~450℃)를 직접 건조공간 내부로 주입하거나, 연소가스를 직접 주입하지 않고 열풍 발생기나 열교환을 통해 생성된 열풍(건조가스)을 건조공간 내부로 주입하는 방식이다. 열전도식은 열풍 또는 열매체가 건조대상물과 직접 접촉되는 대신에 금속판 등을 사이에 두고 접촉함으로써 금속판표면에서의 열전도에 의해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는 방법이다.
한편, 건조기의 건조효율은 피건조물로의 열전달 속도 즉, 피건조물이 열전도매체(열풍식에서는 고온의 건조가스, 열전도식에서는 고온의 금속판)와 접촉하는 비표면적이 얼마나 큰가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또한, 열전도매체가 얼마나 고온이거나 건조과정에서 증발된 수분을 함유하는 공기를 얼마나 빨리 배출하고, 배출공기중의 잔열을 회수하여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가도 중요 요소이지만, 이들은 당업계에서 용이하게 통제가 가능하므로 논외로 한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피건조물에 고온의 건조가스가 직접 접촉하는 열풍식이 고수분을 함유하는 오니의 건조에 가장 적합하다. 그러나 대량의 오니를 처리하는 경우 고온의 건조가스와 주로 접촉하는 피건조물 표면만이 건조되어 내부로의 열전달이 방해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건조중에 오니를 적절하게 파쇄할 수 있는 별도의 기구가 필요하다. 또한 피건조물에 고온 건조가스를 고르게 분출시키기 위해 건조장치 내면과, 경우에 따라서는 스크루중공축에 다수의 공기분출공과, 이것의 폐색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판을 설치해야 하는데, 이의 제작과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나아가 공기분출공에서 분출된 고온 건조가스에 바로 접촉된 일부의 피건조물이 과도하게 탄화되어 오히려 건조효율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피건조물이 무기성으로 변형되어 비료나 사료로서의 상품성이 거의 없게 되는 현상도 발생한다.
이에, 공개특허 10-2000-0058640에는 파이프를 권취하여 드럼형태로 만들고 그 파이프의 선단부 및 끝단부는 보일러와 연결설치하여 그 보일러에서 가열되는 고온의 열매체(유체)가 순환되도록 한 내통의 중앙에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내통과 이송스크류를 동시에 회전시킴으로써 오니를 건조시키는 열전도식 건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파이프를 권취하여 드럼형태로 만들고 파이프 사이사이를 정밀하게 땜질을 해야 하는 등 제작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운전과정에서 충격에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특히, 대용량인 경우에는 제작과 운전이 거의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상기 원통형 드럼과 스크류의 사이 또는 상기 스크류 자체에 연소가스의 흐름을 위한 통로가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오니의 건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니는 자체적으로 점성을 가져 벌크(bulk) 형태로 뭉쳐져 있는데, 드럼 내부에 덩어리채 건조되는 오니의 표면만 건조될 경우가 빈번하였고, 이에 따라 오니가 스크류 또는 상기 드럼에 늘러 붙어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오니를 이송 및 교반시키면서 건조시켜 오니가 벌크 형태로 뭉쳐지지 않으면서 전체적으로 골고루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열풍 건조를 병행하여 건조 효율을 향상시켰으며, 이송되는 오니를 건조와 더불어 최상의 상태로 파쇄하여 배출함으로 생태블럭, 연소원료 또는 비료나 사료 등의 에너지 자원으로 재활용하기에 우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오니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며, 하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가 구성되고, 상기 투입구에는 내부에 오니를 교반시켜 공급하는 교반수단이 마련된 호퍼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설치판이 다단으로 설치되되, 상기 설치판의 사이에는 열풍이동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판에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 반 드럼통 형상의 건조이송관들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되어 층을 이루게 구성되며, 상기 건조이송관은 전단부에 오니가 투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오니가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와 출구는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게 구성되고, 상기 최상층의 시작단에 위치한 건조이송관의 입구는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게 구성되고 상기 최하층의 끝단에 위치한 건조이송관의 출구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게 구성되며, 각층의 끝단에 위치한 건조이송관의 출구는 아래층의 시작단에 위치한 입구와 상하연결관을 통해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오니가 건조이송관을 따라 상기 배출구로 지그재그 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되고, 상기 건조이송관의 내부 공간에는 이송스크류가 설치되고, 모든 이동스크류는 모터의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인접한 이송스크류는 이송방향이 서로 반대로 설치되어 이송되는 오니가 건조이송관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되, 상기 이송스크류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 및 회전축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날개들로 구성되어, 투입구로 투입되는 오니가 회전축의 날개들에 의해 교반되면서 배출구 방향으로 이송되게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형성된 열풍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열풍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판에는 단부에는 열풍이동유로가 지그재그로 연통되도록 연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열풍 주입구에 결합된 열풍기에서 공급되는 열풍이 상기 열풍이동유로를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되고 상기 건조이송관 내를 따라 이송되는 오니를 상하방향에서 건조하면서 열풍 배기구로 배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 건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 건조장치는 오니를 지그재그 형태로 이송 및 교반시키면서 열풍을 통해 건조시켜 건조 효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오니가 벌크 형태로 뭉쳐지지 않으면서 전체적으로 골고루 건조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니 건조장치는 이송되는 오니를 건조와 더불어 최상의 상태로 교반 및 파쇄하여 배출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오니는 생태블럭, 연소원료 또는 비료나 사료 등의 에너지 자원으로 재활용하기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니 건조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니 건조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니 건조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니 건조장치에서 연결관에 설치되는 이송수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타격구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열선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니 건조장치에서 파쇄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니 건조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니 건조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니 건조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니 건조장치는 상면에 투입구(110)가 형성되며, 하면에 배출구(120)가 형성된 본체(10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대략 사각박스 형상으로 마련되어 후술하는 구성들이 설치되고 오니가 투입되어 이송되면서 건조될 수 있게 공간을 제공한다.
계속해서, 상기 투입구(110)에는 내부에 오니를 교반시켜 공급하는 교반수단(131)이 마련된 호퍼(1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호퍼(130)에 설치된 교반수단(131)은 상기 호퍼내로 투입되는 오니의 수분을 조절하기 위해, 호퍼에 함께 투입되는 숯, 톱밥 등의 수분조절재를 오니와 교반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교반수단(131)은 한쌍이 나란하게 설치되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오니와 수분조절재를 교반시키는 교반스크류(131a)와, 상기 교반스크류의 하측에 설치되어 투입구로 오니를 공급하는 공급스크류(131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설치판(200)이 다단으로 설치되되, 상기 설치판(200)의 사이에는 열풍이동유로(2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판(200)이 다단으로 설치되면 설치판(200) 사이에는 본체(100) 내에서 이동되는 오니의 건조를 위해 열풍이 이동되는 열풍이동유로(210)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설치판(200)에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 반 드럼통 형상의 건조이송관(300)들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되어 층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이송관(300)은 전단부에 오니가 투입되는 입구(310)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오니가 배출되는 출구(3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이송관(300)의 입구(310)와 출구(320)는 연결관(330)을 통해 연결되게 구성된다. 즉, 오니가 이송되는 끝부분인 건조이송관의 출구(320)와 옆 건조이송관의 입구(310)가 연결관(330)을 통해 지지재그 형식으로 연결되어 이송되는 오니가 건조이송관(300)의 끝부분에 도달하면 연결관(330)을 통해 옆 건조이송관(300)으로 이동하면서 오니가 건조이송관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최상층의 시작단에 위치한 건조이송관(300-1)의 입구(310)는 상기 투입구(110)와 연통되게 구성되고 상기 최하층의 끝단에 위치한 건조이송관(300-2)의 출구(320)는 상기 배출구(120)와 연통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층의 끝단에 위치한 건조이송관(300)의 출구(320)는 아래층의 시작단에 위치한 입구(310)와 상하연결관(340)을 통해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투입구(110)로 투입된 오니가 건조이송관(300)을 따라 상기 배출구(120)로 지그재그 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건조이송관(300)의 내부 공간에는 이송스크류(400)가 설치되고, 모든 이동스크류(400)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인접한 이송스크류(400)는 이송방향이 서로 반대로 설치되어 이송되는 오니가 건조이송관(300)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스크류(400)는 모터(43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410) 및 회전축(4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날개(420)들로 구성되어, 투입구(110)로 투입되는 오니가 회전축의 이송날개(420)들에 의해 교반되면서 배출구(120) 방향으로 이송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이송스크류(400)의 일단부에는 구동기어(432)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구동기어(432)는 인접한 구동기어(432)끼리 이맞물림되어 처음의 구동기어(43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맞물림된 옆 구동기어(432)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인접한 이송스크류(40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100)과 인접하게 모터(431)가 설치되고, 모터(431)의 축에는 구동스프로킷(433)이 설치되며, 처음 구동기어(432)에 축으로 연결되게 피동스프로킷(434)이 설치되며, 구동스프로킷(433)과 피동스프로킷(434)은 서로 체인(435)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431)가 작동되면 구동스프로킷(433)이 회전하면서 그 동력이 체인(435)을 통해 피동스프로킷(434)으로 전달되고, 피동스프로킷(434)과 함께 처음의 구동기어(431)가 회전하게 되며, 나머지 구동기어(431)들도 서로 이맞물림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각각의 이송스크류(40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본체(100)의 하측에는 형성된 열풍 주입구(14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는 열풍 배기구(150)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판(100)에는 단부에는 열풍이동유로(210)가 지그재그로 연통되도록 연통공(2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열풍 주입구(140)에 결합된 열풍기(500)에서 공급되는 열풍이 상기 열풍이동유로(210)를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되고 상기 건조이송관(300) 내를 따라 이송되는 오니를 상하방향에서 건조하면서 열풍 배기구(150)로 배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니 건조장치는 오니를 호퍼(130)로 공급하면, 오니는 호퍼내에서 교반수단(131)에 의해 수분조절재와 교반되면서 투입구를 통해 건조이송관(300)으로 투입된다. 이처럼 건조이송관(300)으로 오니가 지속적으로 투입되면 모터(431)를 구동시켜 이송스크류(40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이송스크류(400)에 설치된 이송날개(420)들이 회전하면서 오니를 교반하는 것과 동시에 건조이송관(300)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출구(120) 쪽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열풍기(500)에서 열풍 주입구(104)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은 건조이송관(300)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열풍이동유로(210)를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되면서 건조이송관(300)을 따라 이송되는 오니를 상하방향으로 건조하게 된다. 따라서, 건조이송관(300)을 따라 이송되는 오니는 투입구(110)에서 배출구(120)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건조와 더불어 최상의 상태로 파쇄되어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니 건조장치는 연결관(330) 부분에서 이송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330)에 건조이송관의 입구에 출구로 오니를 이송시키는 이송수차(6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수차(600)는 상기 연결관(300)의 측벽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610)과, 상기 회전축(610)에 회동방향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스크레퍼(620)와, 상기 스크레퍼(620)에는 건조이송관을 따라 이송되는 오니를 타격하는 타격구(630)가 설치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이송관(300)이 연결되는 연결관(330) 부분에서 이송수차(600)의 회전에 의해 오니가 적체되지 않으면서 다음 건조이송관(300)으로 원활하게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타격구(630)는 이송되는 오니의 교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스크레퍼(62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격구(630)는 상기 스크레퍼(620)에 형성된 결합공(621)에 끼워져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봉(631)과, 상기 결합봉(631)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타격편(632)과, 상기 결합봉(631)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타격편(632)과, 제1타격편(632)와 스크레퍼(620)의 사이에 결합봉(631)에 끼워져 설치되는 제1스프링(634)과, 제2타격편(632)와 스크레퍼(620)의 사이에 결합봉(631)에 끼워져 설치되는 제2스프링(63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타격편(632)와 제2타격편(632)의 표면은 거칠게 구성하는 것이 교반력과 마찰력을 증대하기 때문에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오니가 상기 이송수차(600)의 회전에 의해 연결관(330)을 따라 이동하면 스크레퍼(620)에 형성된 타격구의 제1타격편(632)과 제2타격편(633)이 제1스프링(634)과 제2스프링(635)에 의해 탄력적으로 움직이면서 오니를 타격 마찰하여 오니를 교반시킨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오니 건조장치는 건조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타격구에 열선(640)을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열선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로 마주보고 있는 스크레퍼(620)에 설치된 타격구(630)에는 일측 스크레퍼에 위치하는 제1타격편(632)와 타측 스크레퍼에 제2타격편(633)을 연결하는 열선(640)을 설치한다. 즉, 상기 열선을 설치하기 위해, 제1타격편(632)와 제2타격편(633)에는 암나사 형상의 고정홈(636)이 형성되고 상기 열선(640)의 양단에는 수나사 형상의 고정봉(641)이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봉(641)이 고정홈(636)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방식으로 서로 고정되게 구성된다. 그러면, 상기 열선(640)은 상기 이송수차(63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수차(630)가 회전하면서 오니를 이송시킬 때, 상기 타격구(630)의 타격에 의해 교반되는 오니를 구석 구석 열선(640)이 가열하여 확실한 건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하연결관(340)에 상하연결관을 따라 낙하되는 오니가 벌크되지 않게 파쇄 건조하는 파쇄건조기(700)가 설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하연결관(34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쇄건조기(700)는 상기 상하연결관(304)의 관통공간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회전봉(710)과, 상기 상하연결관(340)의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봉(710)과 결합되어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모터(720)와, 상기 회전봉(710)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반복되게 고정 설치되고,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상하연결관(340)의 내주면에 대응되게 길이가 짧아지게 구성되어 회전봉(71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파쇄날(730)과, 상기 상하연결관(340)의 내면에서 회전파쇄날(730)의 사이사이로 배치되게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히트봉(741)이 설치된 건조파쇄날(740)로 구성되어 상부에서 오니가 낙하하면 회전파쇄날(730)이 회전하면서 건조파쇄날(740)과의 협동에 의해 오니를 파쇄 및 가열하여 낙하시키게 구성된다.
따라서, 파쇄건조기(700)는 상하연결관(340)을 따라 오니가 낙하하면 회전파쇄날(730)이 회전하면서 건조파쇄날(740)과의 협동에 의해 오니를 파쇄하여 낙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파쇄날(730)과 건조파쇄날(740) 사이에 파쇄되는 오니는 건조파쇄날(740)에 설치된 히트봉(741)에 의해 가열되어 건조되면서 상하연결관(340)을 따라 낙하된다. 이와 같이 파쇄되는 오니는 건조와 더불어 최상의 상태 파쇄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오니는 생태블럭, 연소원료 또는 비료나 사료 등의 에너지 자원으로 재활용하기에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본체 200: 설치판
300: 건조이송관 400: 이송스크류
500: 열풍기 600: 이송수차
700: 파쇄건조기

Claims (3)

  1.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며, 하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가 구성되고,
    상기 투입구에는 내부에 오니를 교반시켜 공급하는 교반수단이 마련된 호퍼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설치판이 다단으로 설치되되, 상기 설치판의 사이에는 열풍이동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판에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 반 드럼통 형상의 건조이송관들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되어 층을 이루게 구성되며,
    상기 건조이송관은 전단부에 오니가 투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오니가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와 출구는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게 구성되고, 최상층의 시작단에 위치한 건조이송관의 입구는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게 구성되고 최하층의 끝단에 위치한 건조이송관의 출구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게 구성되며, 각층의 끝단에 위치한 건조이송관의 출구는 아래층의 시작단에 위치한 입구와 상하연결관을 통해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오니가 건조이송관을 따라 상기 배출구로 지그재그 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되고,
    상기 건조이송관의 내부 공간에는 이송스크류가 설치되고, 모든 이동스크류는 모터의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인접한 이송스크류는 이송방향이 서로 반대로 설치되어 이송되는 오니가 건조이송관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되, 상기 이송스크류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 및 회전축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날개들로 구성되어, 투입구로 투입되는 오니가 회전축의 날개들에 의해 교반되면서 배출구 방향으로 이송되게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형성된 열풍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열풍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판에는 단부에는 열풍이동유로가 지그재그로 연통되도록 연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열풍 주입구에 결합된 열풍기에서 공급되는 열풍이 상기 열풍이동유로를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되고 상기 건조이송관 내를 따라 이송되는 오니를 상하방향에서 건조하면서 열풍 배기구로 배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하연결관에는 상하연결관을 따라 낙하되는 오니를 파쇄 건조하는 파쇄건조기가 설치되되, 상기 상하연결관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쇄건조기는 상기 상하연결관의 관통공간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회전봉과, 상기 상하연결관의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봉과 결합되어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반복되게 고정 설치되고,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상하연결관의 내주면에 대응되게 길이가 짧아지게 구성되어 회전봉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파쇄날과, 상기 상하연결관의 내면에서 회전파쇄날의 사이사이로 배치되게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히트봉이 설치된 건조파쇄날로 구성되어 상부에서 오니가 낙하하면 회전파쇄날이 회전하면서 건조파쇄날과의 협동에 의해 오니를 파쇄 및 가열하여 낙하시키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123630A 2017-09-25 2017-09-25 오니 건조장치 KR102057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630A KR102057682B1 (ko) 2017-09-25 2017-09-25 오니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630A KR102057682B1 (ko) 2017-09-25 2017-09-25 오니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971A KR20190034971A (ko) 2019-04-03
KR102057682B1 true KR102057682B1 (ko) 2020-01-22

Family

ID=6616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630A KR102057682B1 (ko) 2017-09-25 2017-09-25 오니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6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956A (ko) 2021-06-15 2022-12-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종자용 건조 장치 및 방법
KR102643341B1 (ko) 2022-09-07 2024-03-05 주식회사 제이에스엔디 악취와 온실가스 저감 및 에너지 절약을 위한 폐열회수형 슬러지 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210B1 (ko) * 2021-07-07 2022-01-21 임경석 다 기능성 왕겨 탄화장치
CN113581890A (zh) * 2021-08-09 2021-11-02 精创环保设备(温州)有限公司 一种配套带式干化机自动化均匀布料装置
CN114192740B (zh) * 2021-12-13 2023-09-08 马鞍山市绿科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保湿模砂造型工艺固体废弃物再生的方法
KR102620614B1 (ko) * 2023-06-01 2024-01-04 (주)이화상사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
CN117164193B (zh) * 2023-10-24 2023-12-26 吉林省艺格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污泥干化减量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747B1 (ko) 2005-12-22 2007-06-08 김기태 슬러지의 탈수 건조 장치
KR101277150B1 (ko) 2013-02-28 2013-06-20 주식회사 오투 유기성 오니 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143A (ko) * 2015-03-26 2016-10-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러지 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747B1 (ko) 2005-12-22 2007-06-08 김기태 슬러지의 탈수 건조 장치
KR101277150B1 (ko) 2013-02-28 2013-06-20 주식회사 오투 유기성 오니 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956A (ko) 2021-06-15 2022-12-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종자용 건조 장치 및 방법
KR102643341B1 (ko) 2022-09-07 2024-03-05 주식회사 제이에스엔디 악취와 온실가스 저감 및 에너지 절약을 위한 폐열회수형 슬러지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971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682B1 (ko) 오니 건조장치
KR20100065662A (ko) 슬러지 건조 장치
KR1009214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759416B1 (ko) 무주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KR101780983B1 (ko) 건조장치
JP5193284B2 (ja) 有機汚泥の資源化装置
KR101210376B1 (ko) 하수슬러지 또는 음식물류폐기물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모듈형 건조장치
KR100852024B1 (ko) 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건조장치
KR20170127276A (ko)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WO199801997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organic or inorganic sludge through multi-stage drying process
KR102224084B1 (ko) 디스크 타입 건조기
KR20020005917A (ko)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KR101329758B1 (ko) 하수 슬러지 처리 장치
KR20050102986A (ko) 슬러지 건조시스템
KR100645494B1 (ko) 냉온식 슬러지 건조장치
KR100539160B1 (ko) 슬럿지 건조장치
KR100251691B1 (ko) 원심건조방식피건조물건조시스템및그방법
KR101277150B1 (ko) 유기성 오니 건조장치
KR101638476B1 (ko) 탈수식 분뇨 연료화 장치
KR100500388B1 (ko) 폐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KR100407226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연료화를 위한 건조로
KR200206603Y1 (ko)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CN209098489U (zh) 污泥冷却传送结构及污泥处理设备
KR20130081441A (ko) 유·무기성 함수폐기물 건조를 위한 난류접촉식 건조장치
KR100887622B1 (ko) 하수고도처리장의 슬러지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