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614B1 -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0614B1 KR102620614B1 KR1020230070594A KR20230070594A KR102620614B1 KR 102620614 B1 KR102620614 B1 KR 102620614B1 KR 1020230070594 A KR1020230070594 A KR 1020230070594A KR 20230070594 A KR20230070594 A KR 20230070594A KR 102620614 B1 KR102620614 B1 KR 1026206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dge
- drying
- moving pipe
- moving
- screw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1
- 239000010815 organic wast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7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01 sewage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28 solubi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63 solu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42 industrial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5 industri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2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conveyors propelling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helves, sieves, or trays
- F26B17/2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conveyors propelling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helves, sieves, or trays the materials to be dried being moved in a helical, spiral or circular path, e.g. vibrated helix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being a heated surface, e.g. a moving belt or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용화된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라인 유닛을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조립식으로 적층되게 탈부착되는 설치 프레임에 모듈화시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므로서, 가용화된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 장치를 작은 부지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건조 장치의 증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용화된 슬러지를 연속적으로 건조할 수 있어 가용화된 슬러지의 자원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라인 유닛은 밀폐된 이동관의 내부에 회전 작동되는 이동 스크류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히터 수단을 형성하며, 중앙 부분이 상향 경사진 덕트를 이동관의 상부면에 형성하고, 이동관의 내부와 덕트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유출홀을 상기 이동관의 상부면에 형성하며, 정화 장치와 연결된 송풍기를 상기 덕트의 중앙 부분에 설치하여, 이동관의 내부에서 가용화된 슬러지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수증기가 정화 장치에 의해 정화된 상태로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건조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건조라인 유닛을 구성하고 있는 이동 스크류의 회전축 외주면에 제1 스크류날개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1 스크류날개와 대칭되는 제2 스크류날개를 회전축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하므로서, 상기 제1 스크류날개를 이용하여 유입부를 통해 이동관의 내부로 유입된 슬러지를 유출부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상기 유출부를 통과하여 상기 이동관의 일측면으로 이동된 슬러지는 회전되는 제2 스크류날개에 의해 다시 유출부로 이동되므로서, 이동관의 내부에 슬러지가 남아 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 되는 최대한으로 방지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이동 스크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반바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교반바가 회전되면서 슬러지를 교반하므로서, 히터 수단을 이용하여 슬러지의 건조를 용이하게 하면서, 건조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용화된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라인 유닛을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조립식으로 적층되게 탈부착되는 설치 프레임에 모듈화시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므로서, 가용화된 슬러지(식물성폐기물, 하수슬러지, 폐수슬러지, 음식물,가축분뇨, 담미사료 등을 포함하는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 장치를 작은 부지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건조 장치의 증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용화된 슬러지를 연속적으로 건조할 수 있어 가용화된 슬러지의 자원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라인 유닛은 밀폐된 이동관의 내부에 회전 작동되는 이동 스크류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히터 수단을 형성하며,
중앙 부분이 상향 경사진 덕트를 이동관의 상부면에 형성하고,
이동관의 내부와 덕트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유출홀을 상기 이동관의 상부면에 형성하며,
정화 장치와 연결된 송풍기를 상기 덕트의 중앙 부분에 설치하여,
이동관의 내부에서 가용화된 슬러지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수증기가 정화 장치에 의해 정화된 상태로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건조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히터 수단은 화이버 히터와 열풍 히터로 구성되므로서, 가용화된 슬러지를 이중으로 건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건조라인 유닛을 구성하고 있는 이동 스크류의 회전축 외주면에 제1 스크류날개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스크류날개와 대칭되는 제2 스크류날개를 회전축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하므로서,
상기 제1 스크류날개를 이용하여 유입부를 통해 이동관의 내부로 유입된 슬러지를 유출부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상기 유출부를 통과하여 상기 이동관의 일측면으로 이동된 슬러지는 회전되는 제2 스크류날개에 의해 다시 유출부로 이동되므로서, 이동관의 내부에 슬러지가 남아 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 되는 최대한으로 방지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이동 스크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반바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교반바가 회전되면서 슬러지를 교반하므로서, 히터 수단을 이용하여 슬러지의 건조를 용이하게 하면서, 건조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 건조장치란 소화 장치, 상수, 공업용수, 산업용 폐수, 하수 및 분뇨의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건조시켜 자원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슬러지 건조 장치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한 디스크 건조 또는 열풍을 이용한 터널 방식의 건조 장치 등으로 대별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슬러지 건조 장치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건조하기 위해서는 높은 열량이 필요하며, 그 슬러지를 교반하면서 건조해야 하기 때문에 건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스팀 보일러, 기수 분해기 등을 초기에 설치해야 하므로서, 투자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슬러지 건조 장치를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넓은 부지를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슬러지 건조 장치가 터널 방식인 경우에는 밀폐되어 있지 않아 악취 등의 문제가 발생되며, 열풍으로만 슬러지를 건조해야 하므로서, 높은 열과 많은 양의 전기가 투입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스크류 컨베어를 이요하여 개발된 슬러지 건조 장치는 수증기 배출 및 적절한 열원 공급이 용이하지 못하며, 이로 인하여 슬러지가 건조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 선행 기술 문헌 ◈
한국등록특허 제 10-2317860 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용화된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라인 유닛을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조립식으로 적층되게 탈부착되는 설치 프레임에 모듈화시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므로서, 가용화된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 장치를 작은 부지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건조 장치의 증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용화된 슬러지를 연속적으로 건조할 수 있어 가용화된 슬러지의 자원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라인 유닛은 밀폐된 이동관의 내부에 회전 작동되는 이동 스크류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히터 수단을 형성하며, 중앙 부분이 상향 경사진 덕트를 이동관의 상부면에 형성하고, 이동관의 내부와 덕트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유출홀을 상기 이동관의 상부면에 형성하며, 정화 장치와 연결된 송풍기를 상기 덕트의 중앙 부분에 설치하여, 이동관의 내부에서 가용화된 슬러지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수증기가 정화 장치에 의해 정화된 상태로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건조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건조라인 유닛을 구성하고 있는 이동 스크류의 회전축 외주면에 제1 스크류날개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1 스크류날개와 대칭되는 제2 스크류날개를 회전축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하므로서, 상기 제1 스크류날개를 이용하여 유입부를 통해 이동관의 내부로 유입된 슬러지를 유출부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상기 유출부를 통과하여 상기 이동관의 일측면으로 이동된 슬러지는 회전되는 제2 스크류날개에 의해 다시 유출부로 이동되므로서, 이동관의 내부에 슬러지가 남아 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 되는 최대한으로 방지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이동 스크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반바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교반바가 회전되면서 슬러지를 교반하므로서, 히터 수단을 이용하여 슬러지의 건조를 용이하게 하면서, 건조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가용화된 슬러지 수분을 건조하는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에 있어서,
가용화된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라인 유닛(120)을 베이스 프레임위에 다단으로 설치하되,
상기 건조라인 유닛은,
양측면이 밀폐되게 형성되는 이동관과;
가용화된 슬러지가 이동관의 내부로 유입되게 상기 이동관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유입부와;
다음단에 위치한 건조라인 유닛의 유입부와 연결되게 상기 이동관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는 유출부와;
이동관의 내부에서 회전 작동되면서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슬러지를 유출부로 이동시키는 이동 스크류와;
슬러지가 유출부로 이동되는 동안에 건조되도록 상기 이동관의 외주면에 다수개 설치되는 히터 수단과;
정화 장치와 연결되며, 히터 수단에 의해 이동관의 내부에서 슬러지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수증기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관에 형성되는 송풍기;로 구성하여, 슬러지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악취 및 수증기가 이동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작은 부지에서도 건조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가용화된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라인 유닛을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조립식으로 적층되게 탈부착되는 설치 프레임에 모듈화시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므로서, 가용화된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 장치를 작은 부지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라인 유닛은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적층되게 탈부착되는 설치 프레임에 모듈화하므로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건조 장치의 증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용화된 슬러지를 연속적으로 건조할 수 있어 가용화된 슬러지의 자원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라인 유닛은 밀폐된 이동관의 내부에 회전 작동되는 이동 스크류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히터 수단을 형성하며, 중앙 부분이 상향 경사진 덕트를 이동관의 상부면에 형성하고, 이동관의 내부와 덕트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유출홀을 상기 이동관의 상부면에 형성하며, 정화 장치와 연결된 송풍기를 상기 덕트의 중앙 부분에 설치하여, 이동관의 내부에서 가용화된 슬러지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수증기가 정화 장치에 의해 정화된 상태로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건조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라인 유닛을 구성하고 있는 이동 스크류의 회전축 외주면에 제1 스크류날개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1 스크류날개와 대칭되는 제2 스크류날개를 회전축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하므로서, 상기 제1 스크류날개를 이용하여 유입부를 통해 이동관의 내부로 유입된 슬러지를 유출부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상기 유출부를 통과하여 상기 이동관의 일측면으로 이동된 슬러지는 회전되는 제2 스크류날개에 의해 다시 유출부로 이동되므로서, 이동관의 내부에 슬러지가 남아 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 되는 최대한으로 방지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스크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반바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교반바가 회전되면서 슬러지를 교반하므로서, 히터 수단을 이용하여 슬러지의 건조를 용이하게 하면서, 건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의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투입 스크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조라인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건조라인 유닛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배출 스크류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의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투입 스크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조라인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건조라인 유닛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배출 스크류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가용화된 슬러지 수분을 건조하는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에 있어서,
가용화된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라인 유닛(120)을 베이스 프레임(100)위에 다단으로 설치하되,
상기 건조라인 유닛(120)은,
양측면이 밀폐되게 형성되는 이동관(130)과;
가용화된 슬러지가 이동관(130)의 내부로 유입되게 상기 이동관(13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유입부(131)와;
다음단에 위치한 건조라인 유닛(120)의 유입부(131)와 연결되게 상기 이동관(13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는 유출부(132)와;
이동관(130)의 내부에서 회전 작동되면서 유입부(131)를 통해 유입된 슬러지를 유출부(132)로 이동시키는 이동 스크류(141)와;
슬러지가 유출부(132)로 이동되는 동안에 건조되도록 상기 이동관(130)의 외주면에 다수개 설치되는 히터 수단과;
정화 장치(200)와 연결되며, 히터 수단에 의해 이동관(130)의 내부에서 슬러지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수증기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관(130)에 형성되는 송풍기(170);로 구성하여, 슬러지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악취 및 수증기가 이동관(13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작은 부지에서도 건조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 수단은,
이동관(130)의 하부 외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화이버 히터(160)와;
이동관(13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히터(16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라인 유닛(120)은,
베이스 프레임(100) 위에 조립식으로 탈부착 가능한 설치 프레임(110)에 모듈화시켜 설치하여 여러단의 건조라인 유닛(120)을 지그재그 형태로 베이스 프레임(100) 위에 적층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지그재그 방향으로 적층 시 상부단의 건조라인 유닛(120)을 구성하는 유출부(132)와 하부단의 건조라인 유닛(120)을 구성하는 유입부(131)를 플랜지(134)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 부분이 상향 경사진 형성된 덕트(150)를 상기 이동관(130)의 상부면에 결합하여 상기 덕트(150)의 중앙 상부면에 송풍기(170)를 설치하고,
이동관(130)의 내부와 덕트(150)의 내부 공간(G)을 연통하는 다수의 유출홀(136)을 상기 이동관(130)의 상부면에 타공하여 회전 작동되는 이동 스크류(141)에 의해 유출부(132)로 이동되는 슬러지가 히터 수단에 의해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수증기가 송풍기(170)를 통해 정화 장치(200)로 유출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 스크류(141)는 이동관(130)의 중앙 하부에 편심되게 형성하되,
상기 이동 스크류(141)는,
이동관(130)의 내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며, 모터(14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42)과;
이동관(130)의 내부로 유입된 가용화된 슬러지를 상기 이동관(130)에 구비된 유출부(132)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1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스크류날개(143)와;
유출부(132)와 이동관(130)의 끝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전축(142)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1 스크류날개(143)와 대칭되게 회전축(142)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유출부(132)로 유출되지 않고 이동관(130)의 끝단으로 이동되는 가용화된 슬러지를 다시 유출부(132)로 이동시키는 제2 스크류날개(14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용화된 유기성 폐기물인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처리대상인 슬러지는 식물성폐기물, 하수슬러지, 폐수슬러지, 음식물,가축분뇨, 담미사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장치는 도 2와 같이 미생물 가용탱크(10)와, 상기 미생물 가용탱크(10)로 투입되는 미생물을 저장하는 미생물 탱크(20)와, 가용화된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40)와, 상기 저장 탱크(40)로부터 공급되는 미생물을 건조하는 건조라인 유닛(120)과, 상기 건조라인 유닛(120)이 설치되는 다수의 설치 프레임(110)과, 상기 설치 프레임(110)이 적층되게 탈부착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으로 대별한다.
상기 저장 탱크(40)와 건조라인 유닛(120)은 투입 스크류(40)를 이용하여 가용화된 슬러지를 건조라인 유닛(120)으로 공급하며, 상기 건조라인 유닛(120)에 의해 건조된 슬러지는 배출 스크류(180)를 통해 외부로 자동 배출한다.
상기 미생물 가용탱크(10)는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되는 투입구(11)와 가용화된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2)를 구비한다.
상기 미생물 저장탱크(20)는 미생물 가용탱크(10) 내부로 미생물을 투입하는 것으로서, 상기 미생물 저장탱크(20)에는 미생물이 투입되는 투입구(21)와, 미생물을 배출하는 배출구(22)를 구비한다.
상기 미생물 가용탱크(10)는 투입구(11)를 통해 유기성 폐기물을 내부로 투입하고, 미생물 저장탱크(20)에 저장된 미생물을 상기 미생물 가용탱크(10) 내부로 투입하므로서, 상기 미생물 가용탱크(10) 내부로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은 미생물에 의해 세포막이 파괴되면서 가용화되는 것이다.
상기 미생물 가용탱크(10)의 내부로 투입되어 가용화된 슬러지는 저장 탱크(30)에 구비된 투입부(3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저장 탱크(30)로 유입된 가용화된 슬러지는 배출구(32)와 연결된 투입 스크류(40)를 통해 건조라인 유닛(120)으로 공급된다.
상기 투입 스크류(40)는, 저장 탱크(30)에 구비된 배출구(32)와 연결되는 입구부(50a)가 구비되며, 건조라인 유닛(120)의 유입부(131)와 연결되는 출구부(50b)가 구비된 투입관(50)을 형성하고, 상기 투입관(50)의 내부에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입구부(50a)를 통해 유입된 가용화된 슬러지를 출구부(50b)로 이동시키는 스크류(51)로 구성한다.
따라서, 가용화된 슬러지는 투입 스크류(40)를 통해 건조라인 유닛(120)의 내부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면서 건조되는 것이다.
상기 건조라인 유닛(120)에 의해 건조된 슬러지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배출 스크류(18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 스크류(180)는 건조라인 유닛(120)에 구비된 유출부(132)와 연결되는 입구부(181a)가 일측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181a)와 대응되는 출구부(181b)가 타측 하부에 구비된 배출관(181)과, 모터(도면 미 도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입구부(181a)를 통해 유입된 건조화된 슬러지를 출구부(181b)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출관(181)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스크류(182)로 구성한다.
상기 건조라인 유닛(120)은 도 1과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면에 적층되게 탈부착되는 설치 프레임(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면에 지그재그 모양으로 설치된다.
상기 설치 프레임(110)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부(111)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111)를 이용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면에 볼트로 탈부착되게 결합한다.
상기 건조라인 유닛(120)은 양측면이 밀폐된 이동관(130)을 설치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이동관(130)의 일측 상부에는 가용화된 슬러지가 유입되는 유입부(131)를 형성하며, 상기 유입부(131)와 대응되는 유출부(132)를 이동관(130)의 타측 하부에 형성한다.
상기 유입부(131)와 유출부(132)의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134)를 이용하여 도 2와 같이 건조라인 유닛(120)을 지그 재그 형태로 적층되게 결합한다.
상기 이동관(130)의 내부에는 모터(1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유입부(131)를 통해 이동관(130)의 내부로 유입된 가용화된 슬러지를 유출부(132)로 이동하는 이동 스크류(141)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관(130)의 외주면 다수의 화이버 히터(160)와 열풍 히터(161)로 이루어진 히터 수단을 형성한다.
상기 화이버 히터(160)는 이동관(130)의 하부 중앙 부분에 형성하고, 열풍 히터(161)는 이동관(130)의 측면 중앙 부분에 형성하여 상기 이동관(130)의 내부로 유입된 가용화된 슬러지를 이중으로 건조한다.
이때, 화이버 히터(160) 대신 열매체유 등과 연결되는 자켓을 형성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열풍 히터(161)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이동관(13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관(130)과 열풍 히터(161)는 공급관(136)으로 연결된다.
상기 이동관(130)의 상부면에는 중앙 부분이 상향 경사진 덕트(150)를 결합하고, 상기 이동관(130)의 내부와 덕트(150)의 내부 공간(G)을 연통하는 다수의 유출홀(136)을 상기 이동관(130)의 상부면에 타공하며, 상기 덕트(150)의 중앙 부분에는 정화 장치(200)와 연결된 송풍기(170)를 형성한다.
상기 정화 장치(200)는 공지의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게 다음과 같다.
먼저, 슬러지와 미생물 탱크(20)에 저장된 미생물을 미생물 가용탱크(10)로 투입하여 상기 미생물 가용탱크(10)에 구비된 교반기(도면 미 도시)를 작동시켜 슬러지와 미생물을 교반한 후에 스크류 컨베어(도면 미 도시)를 이용하여 저장 탱크(30)로 가용화된 슬러지를 공급한다.
상기 저장 탱크(30)로 가용화된 슬러지가 저장 되면, 투입 스크류(40)를 구성하고 있는 투입관(50)의 내부에 설치된 공급 스크류(51)를 회전 작동되게 한다.
상기 공급 스크류(51)가 회전 작동되므로서, 입구부(51a)를 통해 투입관(50)의 내부로 유입된 가용화된 슬러지는 출구부(51b)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상기 공급 스크류(51)의 출구부(51b)는 설치 프레임(110)에 모듈화시켜 설치된 건조라인 유닛(120)의 유입부(131)와 플랜지(134)로 결합 되므로서, 상기 유입부(131)를 통해 이동관(13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이동관(130)의 내부로 유입된 가용화된 슬러지는 회전 작동되는 이동 스크류(141)에 의해 점진적으로 유출부(132)로 이동되고, 상기 유출부(132)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관(130)이 외주면에 설치된 히터 수단에 의해 건조되면서 하단에 위치한 건조라인 유닛(120)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히터 수단에 의해 가용화된 슬러지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 된 악취 및 수증기는 이동관(130)의 상부면에 구비된 다수의 유출부(132)를 통해 덕트(150)의 내부 공간(G)으로 유출되고, 상기 덕트(150)의 내부 공간(G)으로 유출된 악취 및 수증기는 송풍기(170)를 통해 정화 장치(200)로 공급되면서 악취 및 수증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유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작동을 반복적으로 하면서 베이스 프레임(100)에 설치된 건조라인 유닛(120)으로 이동된 건조된 슬러지는 배출 스크류(18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이때, 이동관(130)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건조라인 유닛(120)을 구성하고 있는 이동 스크류(141)는 회전축(142)과, 상기 회전축(142)의 외주면에 제1 스크류날개(143)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스크류날개(143)와 대칭되게 제2 스크류날개(144)를 회전축(142)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하여 구성하므로서, 상기 이동관(130)의 내부에 가용화된 슬러지가 남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유입부(131)와 유출부(132)는 도 4와 같이 이동관(130)의 양측단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131)를 통해 이동관(130)의 내부로 유입된 가용화된 슬러지를 유출부(132)로 이동시키는 이동 스크류(141)는 상기 이동관(130)의 하부에 편심되게 설치되므로서, 상기 이동관(130) 내부로 유입되는 가용화된 슬러지 또는 히터 수단에 의해 건조된 슬러지는 회전축(14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입부(131)를 통해 이동관(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용화된 슬러지 또는 건조된 슬러지는 회전축(142)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1 스크류날개(143)에 의해 유출부(132)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건조라인 유닛(120) 내지 배출 스크류(180)로 유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유출부(132)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건조라인 유닛(120) 내지 배출 스크류(180)로 유출되지 못하고 이동관(130)의 내부 일측 끝단으로 이동된 가용화된 슬러지 또는 건조된 슬러지는 제2 스크류날개(144)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유출부(132)로 이동되어 유출되는 것이다.
즉, 이동 스크류(141)는 도 5와 도 6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142)과, 상기 회전축(1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스크류날개(143)와, 상기 제1 스크류날개(143)와 대응되게 회전축(142)의 외주면에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스크류날개(144)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축(142)은 도 5와 도 6과 같이 이동관(130)의 길이에 따라 2개의 축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2개의 축이 결합되어 형성된 회전축(142)의 외주면에는 제1 스크류날개(143)와 제2 스크류날개(144)를 형성하는 데,
상기 제1 스크류날개(143)는 도 6과 같이 이동관(130)의 내부 일측부터 유출부(132)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회전축(1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며,
제1 스크류날개(143)와 대응되게 회전축(1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스크류날개(144)는 도 6과 같이 이동관(130)의 내부 타측부터 유출부(132)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회전축(1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유입부(131)를 통해 이동관(130)의 내부로 유입된 가용화된 슬러지는 회전축(142)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스크류날개(143)에 의해 유출부(132)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유출되는 것이며,
상기 유출부(132)로 통해 유출되지 못하고 이동관(130)의 끝단인 내부 타측으로 이동되는 가용화된 슬러지는 회전축(142)를 따라 회전되는 제2 스크류날개(144)에 의해 유출부(132)로 다시 이동되면서 유출되므로서, 상기 이동관(130)의 내부에 가용화된 슬러지가 남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동 스크류(141)는 도 5와 도 6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142)과, 상기 회전축(1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스크류날개(143)와, 상기 제1 스크류날개(143)와 대응되게 회전축(142)의 외주면에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스크류날개(144)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축(142)은 도 5와 도 6과 같이 이동관(130)의 길이에 따라 2개의 축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2개의 축이 결합되어 형성된 회전축(142)의 외주면에는 제1 스크류날개(143)와 제2 스크류날개(144)를 형성하는 데,
상기 제1 스크류날개(143)는 도 6과 같이 이동관(130)의 내부 일측부터 유출부(132)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회전축(1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며,
제1 스크류날개(143)와 대응되게 회전축(1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스크류날개(144)는 도 6과 같이 이동관(130)의 내부 타측부터 유출부(132)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회전축(1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유입부(131)를 통해 이동관(130)의 내부로 유입된 가용화된 슬러지는 회전축(142)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스크류날개(143)에 의해 유출부(132)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유출되는 것이며,
상기 유출부(132)로 통해 유출되지 못하고 이동관(130)의 끝단인 내부 타측으로 이동되는 가용화된 슬러지는 회전축(142)를 따라 회전되는 제2 스크류날개(144)에 의해 유출부(132)로 다시 이동되면서 유출되므로서, 상기 이동관(130)의 내부에 가용화된 슬러지가 남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일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건조 장치의 다른 실시 예는 이동 스크류(141)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반바(145)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이동 스크류(141)의 일면에 교반바(145)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므로서, 상기 교반바(145)는 이동 스크류(141)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동관(130)의 내부로 유입된 가용화된 슬러지를 교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히터 수단에 의해 건조되는 슬러지 건조 시간을 현저히 줄이면서 슬러지를 건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 미생물 가용 탱크, 11: 투입구,
12: 배출구, 20: 미생물 탱크,
21: 투입구, 22: 배출구,
30: 저장 탱크, 31: 투입구,
32: 배출구, 40: 투입 스크류,
50: 투입관, 51a: 입구부,
51b: 출구부, 51: 공급 스크류,
60: 유출구, 100: 베이스 프레임,
110: 설치 프레임, 111: 결합부,
120: 건조라인 유닛, 130: 이동관,
131: 유입부, 132: 유출부,
134: 플랜지, 135: 공급관,
136: 유출홀, 140: 모터,
141: 이동 스크류, 142: 회전축,
143: 제1 스크류날개, 144: 제2 스크류날개,
145: 교반바, 150: 덕트,
160: 화이버 히터, 161: 열풍 히터,
170: 송풍기, 180: 배출 스크류,
181: 배출관, 181a: 입구부,
181b: 출구부, 182: 스크류,
G: 내부 공간,
12: 배출구, 20: 미생물 탱크,
21: 투입구, 22: 배출구,
30: 저장 탱크, 31: 투입구,
32: 배출구, 40: 투입 스크류,
50: 투입관, 51a: 입구부,
51b: 출구부, 51: 공급 스크류,
60: 유출구, 100: 베이스 프레임,
110: 설치 프레임, 111: 결합부,
120: 건조라인 유닛, 130: 이동관,
131: 유입부, 132: 유출부,
134: 플랜지, 135: 공급관,
136: 유출홀, 140: 모터,
141: 이동 스크류, 142: 회전축,
143: 제1 스크류날개, 144: 제2 스크류날개,
145: 교반바, 150: 덕트,
160: 화이버 히터, 161: 열풍 히터,
170: 송풍기, 180: 배출 스크류,
181: 배출관, 181a: 입구부,
181b: 출구부, 182: 스크류,
G: 내부 공간,
Claims (5)
- 가용화된 슬러지 수분을 건조하는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에 있어서,
가용화된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라인 유닛(120)을 베이스 프레임(100)위에 다단으로 설치하되,
상기 건조라인 유닛(120)은,
양측면이 밀폐되게 형성되는 이동관(130)과;
가용화된 슬러지가 이동관(130)의 내부로 유입되게 상기 이동관(13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유입부(131)와;
다음단에 위치한 건조라인 유닛(120)의 유입부(131)와 연결되게 상기 이동관(13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는 유출부(132)와;
이동관(130)의 내부에서 회전 작동되면서 유입부(131)를 통해 유입된 슬러지를 유출부(132)로 이동시키는 이동 스크류(141)와;
슬러지가 유출부(132)로 이동되는 동안에 건조되도록 상기 이동관(130)의 외주면에 다수개 설치되는 히터 수단과;
정화 장치(200)와 연결되며, 히터 수단에 의해 이동관(130)의 내부에서 슬러지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수증기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관(130)에 형성되는 송풍기(170);로 구성하여, 슬러지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악취 및 수증기가 이동관(13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작은 부지에서도 건조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중앙 부분이 상향 경사진 형성된 덕트(150)를 상기 이동관(130)의 상부면에 결합하여 상기 덕트(150)의 중앙 상부면에 송풍기(170)를 설치하고,
이동관(130)의 내부와 덕트(150)의 내부 공간(G)을 연통하는 다수의 유출홀(136)을 상기 이동관(130)의 상부면에 타공하여 회전 작동되는 이동 스크류(141)에 의해 유출부(132)로 이동되는 슬러지가 히터 수단에 의해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수증기가 송풍기(170)를 통해 정화 장치(200)로 유출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 스크류(141)는 이동관(130)의 중앙 하부에 편심되게 형성하되,
상기 이동 스크류(141)는,
이동관(130)의 내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며, 모터(14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42)과;
이동관(130)의 내부로 유입된 가용화된 슬러지를 상기 이동관(130)에 구비된 유출부(132)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1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스크류날개(143)와;
유출부(132)와 이동관(130)의 끝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전축(142)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1 스크류날개(143)와 대칭되게 회전축(142)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유출부(132)로 유출되지 않고 이동관(130)의 끝단으로 이동되는 가용화된 슬러지를 다시 유출부(132)로 이동시키는 제2 스크류날개(14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
-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수단은,
이동관(130)의 하부 외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화이버 히터(160)와;
이동관(13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히터(16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
-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라인 유닛(120)은,
베이스 프레임(100) 위에 조립식으로 탈부착 가능한 설치 프레임(110)에 모듈화시켜 설치하여 여러단의 건조라인 유닛(120)을 지그재그 형태로 베이스 프레임(100) 위에 적층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지그재그 방향으로 적층 시 상부단의 건조라인 유닛(120)을 구성하는 유출부(132)와 하부단의 건조라인 유닛(120)을 구성하는 유입부(131)를 플랜지(134)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
- 삭제
-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반바(145)를 상기 이동 스크류(141)의 일면에 하향 경사지게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0594A KR102620614B1 (ko) | 2023-06-01 | 2023-06-01 |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0594A KR102620614B1 (ko) | 2023-06-01 | 2023-06-01 |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20614B1 true KR102620614B1 (ko) | 2024-01-04 |
Family
ID=8954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0594A KR102620614B1 (ko) | 2023-06-01 | 2023-06-01 |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0614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2474B1 (ko) * | 2009-01-22 | 2010-04-13 | (주)아이엔탑 | 연속 가열 건조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KR20140078971A (ko) * | 2012-12-18 | 2014-06-26 | 장호동 | 스크류 이송식 열풍건조기 |
KR20190034971A (ko) * | 2017-09-25 | 2019-04-03 | 강미라 | 오니 건조장치 |
KR102067937B1 (ko) * | 2019-07-22 | 2020-01-17 | 유영동 |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KR102392516B1 (ko) * | 2021-12-10 | 2022-04-28 | 임경석 | 폐열을 이용한 산업폐수 슬러지 및 축분 건조기 |
-
2023
- 2023-06-01 KR KR1020230070594A patent/KR1026206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2474B1 (ko) * | 2009-01-22 | 2010-04-13 | (주)아이엔탑 | 연속 가열 건조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KR20140078971A (ko) * | 2012-12-18 | 2014-06-26 | 장호동 | 스크류 이송식 열풍건조기 |
KR20190034971A (ko) * | 2017-09-25 | 2019-04-03 | 강미라 | 오니 건조장치 |
KR102067937B1 (ko) * | 2019-07-22 | 2020-01-17 | 유영동 |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KR102392516B1 (ko) * | 2021-12-10 | 2022-04-28 | 임경석 | 폐열을 이용한 산업폐수 슬러지 및 축분 건조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36985B1 (ko) | 나선 축류식 열풍 건조기 | |
CN102083556B (zh) | 食物垃圾处理机 | |
KR20050024478A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 |
KR100219909B1 (ko) |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및 발효건조방법 | |
KR100701887B1 (ko) | 소각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스팀)을 이용하는 슬러지건조장치 | |
KR101387011B1 (ko) | 회전식 다단 폐기물 건조장치 | |
US612374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rnyard manure using sewage and sludge | |
CZ2007475A3 (cs) | Zarízení k sušení sypkých a kašovitých materiálu a kalu | |
KR20090102901A (ko) | 유기물 소멸처리기 | |
KR102620614B1 (ko) |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 | |
CN111174536A (zh) | 一种垃圾焚烧发电用垃圾烘干装置 | |
KR102345126B1 (ko) | 슬러지 처리장치 | |
KR100282014B1 (ko) | 유기성 폐기물 및 농축산 부산물을 이용한 퇴비화 및 사료화를위한 혼합 건조 장치. | |
KR101855615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2224084B1 (ko) | 디스크 타입 건조기 | |
JP2004344710A5 (ko) | ||
KR100539160B1 (ko) | 슬럿지 건조장치 | |
JP3453000B2 (ja) | 厨芥処理設備 | |
KR20180054531A (ko) | 슬럿지 처리장치 | |
JP7130914B2 (ja) | 回転型汚泥乾燥機 | |
KR100291313B1 (ko) | 슬러지 건조 시스템 | |
KR102167765B1 (ko) |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기 | |
KR20040036495A (ko) | 고속 발효 건조 장치 | |
KR20030072873A (ko) |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 | |
EP0926230B1 (en) | Rendering apparatus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