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937B1 -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937B1
KR102067937B1 KR1020190088069A KR20190088069A KR102067937B1 KR 102067937 B1 KR102067937 B1 KR 102067937B1 KR 1020190088069 A KR1020190088069 A KR 1020190088069A KR 20190088069 A KR20190088069 A KR 20190088069A KR 102067937 B1 KR102067937 B1 KR 102067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rying
food waste
sewage
dry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동
Original Assignee
유영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동 filed Critical 유영동
Priority to KR1020190088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1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 F26B3/1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in the form of a spray, i.e. sprayed or dispersed emulsions or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26B11/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the stirring device moving in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26B23/002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은, 열풍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슬러지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프레임(11)이 복수의 층으로 공간이 마련되도록 조립되고 전체적인 형틀을 이루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층마다 설치되되, 각각의 층은 연결구(23)를 통해 하나의 통로로 연결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건조 처리 대상물인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구(21)가 구비되고, 하부 타측에 건조 처리 대상물인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 슬러지가 건조 처리된 후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22)가 구비되는 건조로(20); 상기 건조로(2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21)로 투입된 건조 처리 대상물이 고르게 건조될 수 있도록 교반하기 위한 스크류 컨베이어(30); 상기 건조로(20) 하부를 감싸도록 측단면이 'U'자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건조로(20)를 가열하기 위한 열풍 에너지를 공급하며, 폐열을 재순환시키기 위한 열풍재순환부(44)가 구비된 열풍공급부(40); 상기 건조로(20)와 연통되도록 수직 설치되며 건조 처리 과정에서 상기 건조로(2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및 분진이 상측 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해 모이는 복수의 제1배출관(52)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통해 수증기 및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수증기 및 분진이 배관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펄싱부(511)가 구비된 수증기 배출부(50); 및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에 설치되어 배관 내 흡착되는 분진을 제거하는 제1분진제거수단(60)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Drying treatment system of food waste or sewage and wastewater sludg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폐열을 재사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건조 처리 대상물을 건조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수시로 배출함으로써 배출 통로의 배관에 분진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및 식당에서 배출되는 쓰레기 중 상당량은 음식물 쓰레기이며, 음식물 쓰레기는 소각처리 및 매립처리하거나 사료화, 퇴비화 방법 등으로 처리해오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발효시켜 비료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근래에 가정 및 식당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염도가 높아 비료화가 어렵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는 매립시 강한 악취와 함께 다량의 침출수를 배출하게 되고, 침출수에 의해 토양과 수질이 오염되는 2차오염이 발생되며, 지반침하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주민들이 음식물 쓰레기 매립장의 설치를 반대함으로써 매립장 확보도 힘든 실정이다.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 중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퇴비 또는 사료로 재활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사료 또는 퇴비로 재활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음식물 쓰레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전처리한 다음, 음식물을 발효시켜서 퇴비 또는 가축의 사료로 사용한다. 그런데 이때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분은 발효되어 퇴비나 사료로 재활용되나 각 처리단계에서 발생되는 유출수는 거의 그대로 방치되어 이에 의해 2차오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음식물 쓰레기는 80% 이상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쉽게 부패되는 유기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매립하면 질소와 유황화합물에 의한 악취발생과 파리, 모기 등의 해충번식을 유발할 수 있으며, 고농도 침출수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사후처리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슬러지란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오수, 폐수 등을 정화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점도가 매우 높은 유기물 및 다량의 수분과 함께 여러 가지 오염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슬러지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시켜야 하고, 건조 중에 발생되는 배기가스에는 많은 오염물질 및 고농도 악취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후처리를 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하여야 한다.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각종 산업 슬러지 또는 하수 슬러지는 매립지에 매립하거나 또는 소각로를 통하여 소각처리를 수행할 경우, 슬러지의 매립에 의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고, 침출수의 누출로 인한 2차 오염으로 인하여 법적으로 규제될 뿐만 아니라,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슬러지의 소각 처리시 막대한 소각 연료의 소비가 가중됨은 물론, 슬러지의 불완전 연소로 인한 대기오염을 유발하게 되는 커다란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여,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슬러지를 건조장치를 통하여 건조시켜,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 또는 슬러지를 연료로 재활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예컨대, 종래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간접가열시켜 수분함량이 일정량 이하로 낮추어져 배출되어지도록 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용 패들 건조기(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52451)'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용 패들 건조기의 내, 외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용 패들 건조기(A)는, 건조기몸체(10) 및 건조기몸체(10)의 내부로 결합된 패들건조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건조기몸체(10)는 열풍공급부(11)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연소장치를 통해 발생된 열이 흡입력과 토출력에 의하여 열풍이 열풍토출덕트(111)에서 연결덕트(113)를 통해 경유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상부에 위치된 배기블로어(215)를 이용하여 배기덕트(216) 및 열풍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또한, 건조기몸체(10) 상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13)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투입구(13)에 대응되는 배출구(14)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용 패들 건조기는 열풍공급부(11)에서 공급된 열풍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는 패들건조부(20)를 가열하면서 발생하는 열과 건조 시 발생되는 수증기 등은 배기블로어(215)를 이용하여 상부의 열풍배출구(12)로 배출되는 구조로서, 건조 대상물은 분진 발생이 비교적 적은 음식물 쓰레기에 국한되어 사용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즉, 상기 종래의 건조기를 이용하여 하수 슬러지를 건조 처리할 경우 많은 분진이 발생되는데 이 경우, 별도의 분진 처리 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처리되지 못한 분진이 대기중으로 그대로 배출되고, 건조 처리 시 발생되는 분진이 수증기와 함께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관에 흡착되어 배관이 막히면서 정상적인 시스템 운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배출라인의 배관을 주기적으로 세척해야 하지만 배관 내부 전체를 주기적으로 세척하기에는 사실상 불가능하고, 정상적인 컨디션을 가진 상태로 건조 처리 시스템을 운용하기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조기는 열풍공급부(11)에서 공급되는 열풍은 열풍확산덕트(111)에서 연결덕트(113) 및 배기덕트(216)를 거쳐 바로 열풍배출구(12)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즉, 열풍공급부(11)에서 공급된 열풍은 재순환없이 바로 열풍배출구(12)로 배출되는 구조로서 에너지 소모가 크고, 이에 따라, 에너지 효율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폐열을 이용하여 열에너지를 재순환시키는 건조기가 제안된 바 있지만, 이 경우, 건조 처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건조부에 간접 열을 전달하는 열풍방식이 아닌 스팀방식으로 건조부에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서, 고온으로 세팅하기에 어렵고, 에너지 손실로 인해 많은 운용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 에너지 효율성 낮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52451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 처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건조로를 열풍 에너지로 간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건조하고, 건조 시 사용되고난 후 발생되는 폐열을 재순환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건조 처리 대상물을 건조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수시로 배출함으로써 배출 통로의 배관에 분진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은, 열풍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슬러지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프레임(11)이 복수의 층으로 공간이 마련되도록 조립되고 전체적인 형틀을 이루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층마다 설치되되, 각각의 층은 연결구(23)를 통해 하나의 통로로 연결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건조 처리 대상물인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구(21)가 구비되고, 하부 타측에 건조 처리 대상물인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 슬러지가 건조 처리된 후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22)가 구비되는 건조로(20); 상기 건조로(2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21)로 투입된 건조 처리 대상물이 고르게 건조될 수 있도록 교반하기 위한 스크류 컨베이어(30); 상기 건조로(20) 하부를 감싸도록 측단면이 'U'자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건조로(20)를 가열하기 위한 열풍 에너지를 공급하며, 폐열을 재순환시키기 위한 열풍재순환부(44)가 구비된 열풍공급부(40); 상기 건조로(20)와 연통되도록 수직 설치되며 건조 처리 과정에서 상기 건조로(2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및 분진이 상측 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해 모이는 복수의 제1배출관(52)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통해 수증기 및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수증기 및 분진이 배관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펄싱부(511)가 구비된 수증기 배출부(50); 및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에 설치되어 배관 내 흡착되는 분진을 제거하는 제1분진제거수단(60)을 포함하되, 상기 제1분진제거수단(60)은,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상부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61); 상기 모터(61) 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배출관(52) 내에 삽입되는 샤프트(62); 및 상기 샤프트(62)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6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내벽에 흡착된 분진을 일정 시간마다 제거하는 브러시(6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1); 상기 모터(31)에 설치되는 모터축(32); 상기 모터축(32) 상에 설치되되, 건조 처리 대상물이 이송되는 진행방향의 전단에 배치되어 건조 처리 대상물을 이송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스크류(33); 및 상기 모터축(32) 상에 설치되되, 상기 스크류(33)와 인접하게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상기 모터축(32)이 회전함에 따라 건조 처리 대상물이 고르게 섞일 수 있도록 교반하기 위한 패들(3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부(40)는, 열풍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버너(41); 상기 각 층의 건조로(20) 하부를 감싸 듯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버너(41)에서 생산된 열풍 에너지가 공급되어 상기 건조로(20)를 가열하는 열풍하우징(42); 상기 각 층의 열풍하우징(42)이 하나의 통로가 되도록 공간을 연결하기 위한 열풍연결관(43); 및 상기 열풍하우징(42)을 통과하고 난 후 발생하는 폐열을 수거하여 재순환시키기 위한 열풍재순환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재순환부(44)는, 상기 열풍하우징(42)에서 배출되는 폐열과 수거된 폐열을 상기 버너(41)로 주입하기 위해 폐열이 이송하는 재순환배관(441); 및 상기 재순환배관(441)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열풍하우징(42)에서 배출되는 폐열을 수거하기 위한 흡입력 및 상기 버너(41)로 폐열을 불어 넣기 위한 압력을 발생시키는 블로어(4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증기 배출부(50)는, 상기 각 층의 건조로(20) 상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되, 상기 건조로(20) 상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측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공간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삼각형 형상의 공간을 통해 상기 건조로(2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및 분진이 모여진 후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복수의 수평관(51); 상기 복수의 수평관(51)과 연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관(51)에서 이송되는 수증기 및 분진이 상측 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해 모이는 복수의 제1배출관(52);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에서 이송되는 수증기 및 분진 중 일정 부피 이상 및 무게로 인해 낙하되는 분진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스크류(53);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하단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을 통과하는 수증기 및 분진이 임시적으로 머무르는 공간인 증기수용부(54); 및 상기 증기수용부(54) 상단 일측에 연통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에서 배출되는 수증기 및 분진이 한데 모여 상측 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한 제2배출관(5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펄싱부(511)는, 상기 건조로(20)와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부근에 설치되는 'U'자 형상의 분사부(5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63)는, 상기 샤프트(62) 상에 일정 간격의 높이마다 복수 개가 설치되되, 각 높이마다 서로 엇갈린 방향을 향하도록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63)는, 상기 샤프트(62) 상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의 높이마다 설치되되, 각 높이마다 서로 엇갈린 방향을 향하도록 어긋나게 설치되며, 평면에서 봤을 때 직교되어 십자(+)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63)는, 상기 샤프트(62) 상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의 높이마다 설치되되, 각 높이마다 서로 엇갈린 방향을 향하도록 어긋나게 설치되며, 평면에서 봤을 때 하나의 층 위치에 해당하는 것은 세 방향을 향해 동일한 각도로 벌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내에 흡착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수평관(51)에 설치되는 제2분진제거수단(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분진제거수단(70)은,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내에 설치되는 실린더(71); 상기 실린더(71)에 설치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플런저(72); 및 상기 플런저(72)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내측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플런저(72)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내측 내주면에 흡착된 분진을 제거하는 밀착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73)는, 상기 수평관(51) 내경과 형상에 대응하도록 중심부분은 관통된 형태로 띠 형상을 가지도록 외주면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72)와 상기 밀착부(73)가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상기 밀착부(73) 내측부분에서 상기 플런저(72)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연결바(74)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바(74)는, 상기 플런저(72)와 상기 밀착부(73)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플런저(72)를 기준으로 복수 개가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건조로(20)에서 배출되는 수증기 및 분진이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밀착부(73)와 상기 복수 개의 연결바(7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로(20) 일측 벽에 설치되고 외부공기를 상기 건조로(2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유입부(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기유입부(80)는, 상기 건조로(20) 일측 벽에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부보다 하부 부피가 작게 내부공간이 형성된 공간부(81); 상기 공간부(81) 상부에 타공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홀(82); 및 상기 공간부(81) 내의 상기 건조로(20) 일측에 타공되어 상기 외기홀(82)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건조로(2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홀(8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건조로(2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및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는데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사이클론(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클론(90)은, 유입된 유체가 회전하는 원통부(91); 상기 원통부(91) 상부에 설치되고, 환경설비 측 방향으로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관(92); 상기 원통부(91)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원통부(91)로 유입되어 원심력에 의해 낙하되어 포집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스크류(93); 및 상기 제2배출스크류(93) 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배출스크류(93)에 의해 이송되는 분진이 배출되기 위한 분진배출구(9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건조 처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건조로를 열풍 에너지로 간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건조하고, 건조 처리 시 사용되고난 후 배출되는 폐열을 재순환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모율을 줄일 수 있어,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열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소모는 줄이고, 건조로의 투입구부터 배출구까지 일정한 온도의 열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 건조로에 투입되는 열을 낮춘 상태로 건조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건조 처리 시스템의 내구연한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건조 처리 대상물을 건조 처리하는 과정에서 수증기를 배출할 경우 이와 함께 발생되는 분진을 수시로 배출함으로써 배출 통로의 배관에 분진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스템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시스템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용 패들 건조기의 내, 외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의 내, 외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폐열이 회수되는 구성을 나타낸 좌측면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폐열이 회수되는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열풍이 이동되는 구성을 나타낸 우측면 요부도.
도 6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을 평면에서 바라본 평단면도.
도 7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제1분진제거수단 및 에어펄싱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제1분진제거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제2분진제거수단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1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외기유입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2는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의 사이클론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후단의 환경설비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의 내, 외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폐열이 회수되는 구성을 나타낸 좌측면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폐열이 회수되는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열풍이 이동되는 구성을 나타낸 우측면 요부도이며, 도 6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을 평면에서 바라본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은, 건조 처리 대상물인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슬러지가 수용되는 건조로를 열풍 에너지로 간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건조하고, 건조 시 사용되고난 후 발생되는 폐열을 재순환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건조 처리 대상물을 건조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수시로 배출함으로써 배출 통로의 배관에 분진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1)(이하, '건조 처리 시스템'이라 함)은, 크게 몸체(10), 건조로(20), 스크류 컨베이어(30), 열풍공급부(40), 수증기 배출부(50) 및 제1분진제거수단(6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몸체(10)는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복수의 프레임(11)이 복수의 층으로 공간이 마련되도록 조립되고 전체적인 형틀을 이루는 부분이다. 즉, 상기 프레임(11)이 내측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유격된 상태로 복수의 층이 형성된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10)는 형상을 한정하지 않으며 내부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프레임(11)이 이격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면 어떠한 구조라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각 층을 구획하기 위해 바(bar) 형태 또는 패널(panel) 형태의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건조로(20)는 건조 처리 대상물인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 슬러지가 투입되어 건조 처리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몸체(10)의 층마다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로(20)는 상부 일측에 건조 처리 대상물인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구(21)가 구비되고, 하부 타측에 건조 처리 대상물인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 슬러지가 건조 처리된 후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로(20)의 각각의 층은 연결구(23)를 통해 하나의 통로로 연결되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입구(21)는 상기 건조로(20)의 최상단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3)가 좌측 끝단 및 우측 끝단에 각 층의 건조로(20)를 연통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22)는 상기 건조로(20)의 최하단 타측에 형성되어, 건조 처리 대상물인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 슬러지가 상기 투입구(21)로 투입되어 이송되면서 상기 연결구(23)를 통과하여 하부 층의 건조로(20)로 이송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배출구(22)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건조로(20)는 후술하는 스크류 컨베이어(30)가 내장 설치되는 공간으로서, 하부면은 스크류 컨베이어(30)가 회전가능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0) 상부로 소정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크류 컨베이어(30)는 상기 건조로(2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축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21)로 투입된 건조 처리 대상물이 고르게 건조될 수 있도록 교반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0)는 크게 모터(31), 모터축(32), 스크류(33) 및 패들(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31)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건조로(20)의 일측 끝단에 배치되어 모터 회전축이 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31)는 상기 건조로(20)의 각 층마다 설치되되 일측의 동일 방향에 수직으로 일렬로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축(32)은 상기 모터(31)의 회전축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모터(31)로부터 상기 건조로(20)의 측면 끝단 위치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모터(31) 반대측 방향에는 상기 모터축(32)이 회전 거치될 수 있도록 베어링(32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33)는 건조 처리 대상물이 이송되는 이송방향의 전단에 배치되어 건조 처리 대상물을 이송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모터축(3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건조로(20) 공간으로 건조 처리 대상물이 투입되면 상기 스크류(33)의 회전에 의해 건조 처리 대상물이 이송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스크류(33)에 의해 건조 처리 대상물이 일정 위치까지 이송되면 그 이후에는 건조 처리 대상물이 순차적으로 투입되어 후속으로 투입된 건조 처리 대상물이 선단의 건조 처리 대상물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원활하게 건조 처리 대상물이 건조로(20) 내에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패들(34)은 상기 모터축(32)이 회전함에 따라 건조 처리 대상물이 고르게 섞일 수 있도록 교반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모터축(32) 상에 설치되되, 상기 스크류(33)와 인접하게 일정 간격마다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패들(34)은 상기 모터축(32)의 외주면 테두리에 일정 간격 및 일정 각도로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고, 소정의 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들(34)은 상기 스크류(33)에 의해 이송된 건조 처리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회전에 의한 낙차를 이용하여 고르게 섞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 처리 대상물이 어느 한 쪽으로 쏠리면서 뭉치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섞일 수 있게 되면서 건조 처리 시 열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열풍공급부(40)는 상기 건조로(20)를 가열하기 위한 열풍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열풍공급부(40)는 상기 건조로(20) 하부를 감싸도록 측단면이 'U'자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40)는 크게 버너(41), 열풍하우징(42) 및 열풍연결관(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41)는 상기 건조로(20)에 열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열풍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부분으로, 가스 및 기름 등의 연료를 사용 방식 또는 전기를 사용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41)에서 생산된 열풍 에너지는 열풍하우징(42) 측단에 연결되는 열풍공급관(411)을 통해 상기 열풍하우징(42)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관(411)은 상기 버너(41)와 직접 연결되는 부분과 이와 연결되어 연장되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풍하우징(42)은 상기 버너(41)에서 생산된 열풍 에너지가 공급되고 수용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건조로(20)를 간접 열을 통해 가열하는 부분으로, 상기 각 층의 건조로(20) 하부를 감싸 듯 측면 상부가 'U'자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건조로(20)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각 층의 상기 건조로(20)마다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풍연결관(43)은 상기 각 층의 열풍하우징(42)이 하나의 통로가 되도록 공간을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각 층의 열풍하우징(42)의 하단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어, 상부에 위치한 열풍하우징(42)의 열풍이 수평 이동하여 하부에 위치한 열풍하우징(42)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연통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버너(41)는 상기 열풍하우징(42)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되, 각 층별로 설치되지 않고, 소정의 복수 개 층을 하나의 그룹으로서 묶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의 3개의 열풍하우징(42)을 제1그룹으로 설정하고, 하단의 2개의 열풍하우징(42)을 제2그룹으로 설정하여 총 5개 층에 있어서 2개의 버너(4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열풍의 온도가 과도하게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건조 처리 대상물 전체에 고르게 온도가 전달될 수 있도록 건조 처리에 최적화된 설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
한편, 상기 열풍공급부(40)는 폐열을 재순환시키기 위한 열풍재순환부(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풍재순환부(44)는 상기 열풍하우징(42)을 통과하고 난 후 발생하는 폐열을 수거하여 재순환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설명한 상단에 배치된 제1그룹 및 제2그룹의 버너(41)에서 생산된 열풍이 해당 그룹의 마지막 층의 열풍하우징(4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잔존하는 열풍을 바로 배출하지 않고 재순환시켜 사용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열풍재순환부(44)는 상기 열풍하우징(42)에서 배출되는 폐열과 수거된 폐열을 상기 버너(41)로 주입하기 위해 폐열이 이송하는 재순환배관(441) 및 상기 재순환배관(441)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열풍하우징(42)에서 배출되는 폐열을 수거하기 위한 흡입력 및 상기 버너(41)로 폐열을 불어 넣기 위한 압력을 발생시키는 블로어(4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재순환배관(441)은 제1그룹 및 제2그룹에 있어 해당 그룹의 마지막 층의 열풍하우징(42)과 해당 그룹의 버너(41)에 각각 열결되고, 각 재순환배관(441) 사이에 블로어(442)가 설치되어, 해당 그룹의 마지막 층의 열풍하우징(42)과 연결되는 재순환배관(441)의 폐열을 수거하고, 버너(41)와 연결되는 재순환배관(441)으로 수거한 폐열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열풍재순환부(44)를 통해 수거된 폐열을 재사용하는 데 있어 일부는 버너(41)를 점화하기 위한 열에너지로 사용되고, 나머지 일부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는, 수거된 폐열은 열기는 남아있어 온도를 상승시키기에는 유리하지만 열풍 내에 산소 비율이 낮아 버너(41) 점화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적정 비율의 폐열을 이용하여 버너(41) 점화에 방해요소 없이 열풍 에너지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증기 배출부(50)는 상기 건조로(20) 내에 수용된 건조 처리 대상물을 건조 처리 과정에서 상기 건조로(2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및 분진을 상측 방향에서 하측 방향으로 순환시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수증기 배출부(50)는 크게, 수평관(51), 제1배출관(52), 제1배출스크류(53), 증기수용부(54) 및 제2배출관(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관(51)은 상기 각 층의 건조로(20) 상부에 복수 개가 수평 방향을 향해 설치되고, 일정 범위의 건조로(2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및 분진을 모아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수평관(51)은 건조로(20) 상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공간(측단면이 삼각형 형상)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건조로(20)의 상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공간을 통해 수증기 및 분진이 복수의 각 지점으로 모일 수 있고, 여기에 연결된 상기 수평관(51)을 통해 건조 시 발생하는 수증기 및 분진이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배출관(52)은 상기 각 층의 복수의 수평관(51)을 통해 이송되는 수증기 및 분진을 일정 부피만큼 모아서 배출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수평관(5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관(51)과 연통되도록 수직방향을 향해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수평관(51)에서 이송되는 수증기 및 분진이 상측 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해 모이는 부분이다.
상기 제1배출스크류(53)는 상기 제1배출관(52)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는 수증기 및 분진 중 일정 부피 이상 및 무게로 인해 낙하되는 분진을 배출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건조로(20)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횡방향으로 축이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스크류(53)는 최하단의 건조로(20) 높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배출관(52)을 통과하면서 낙하하는 분진을 스크류 회전을 이용하여 횡방향 일측단으로 이송시켜 배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증기수용부(54)는 상기 제1배출관(52)을 통과하는 수증기 및 분진이 임시적으로 머무르는 공간이다. 즉, 상기 제1배출관(52)으로 이송되는 수증기가 후술하는 제2배출관(55)으로 유입되기 전 임시적으로 머무르는 공간이며, 상기 제1배출관(52)에서 낙하하여 상기 제1배출스크류(53)로 이송되기 전 분진이 임시적으로 모이는 공긴이다. 이러한 상기 증기수용부(54)는 상기 제1배출스크류(53) 상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증기수용부(54) 상부에 상기 제1배출관(52) 및 제2배출관(55)이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관(55)은 상기 복수 개의 제1배출관(52)에서 배출되는 수증기 및 분진이 한데 모여 상측 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한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제2배출관(55)은 상기 증기수용부(54) 상단 일측에 연통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이때, 증기수용부(54) 상단에 설치된 제1배출관(52)에서 이송되는 수증기 및 분진이 증기수용부(54) 상단 중앙에 설치된 제2배출관(55)으로 한데 모여 상측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배출관(52)을 통해 수증기 및 분진이 하측 방향으로 이송되고, 이송된 수증기 및 분진이 상기 제2배출관(55)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배출관(55) 끝단은 후술하는 사이클론(90)과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로(2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및 분진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수증기 및 분진이 상기 수평관(51)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펄싱부(5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제1분진제거수단 및 에어펄싱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펄싱부(511)는 에어펄싱 작업을 통해 상기 수평관(51)에 흡착될 수 있는 이물질, 즉, 수증기 및 분진 외에 수증기와 분진의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부분으로, 에어펄싱은 고압의 에어를 순간적으로 분사하여 발생되는 진동 및 압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며, 상기 에어펄싱부(511)는 제1분사부(5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분사부(5111)는 상기 건조로(20)와 연결되는 상기 수평관(51) 부근에 설치되고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로(20) 내부에서 상기 수평관(51)이 연결되는 부분까지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건조로(20) 내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제1분사부(5111)는 기본적으로 고압의 에어를 생성하는 수단(미도시)을 포함하며, 이는 고압의 에어를 생성하기 위한 컴프레셔 및 엑츄에이터 등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제1분사부(5111)는 개략적으로 고압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 형태의 구성만을 도시하고 설명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분사부(5111) 단부는 수평관(51) 내측면과 밀착되거나 소정의 분사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각도가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분사부(5111)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수평관(51) 내측벽을 향해 분사되고 이 과정에서 고압의 공기 및 이로 인한 공기에 와류가 형성되어 가지관(51) 내측벽에 수증기 및 분진에 의한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1분사부(5111)를 통해 수평관(51)을 통과하는 수증기 및 분진 또는 이에 의한 이물질이 상기 제1배출관(52)까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처리 시스템(1)은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내에 흡착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제1분진제거수단(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츨 참조하면, 상기 제1분진제거수단(60)은 크게 모터(61), 샤프트(62) 및 브러시(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61)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수직으로 복수 배치되는 상기 제1배출관(52) 각각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61)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공급장치(미도시) 및 전원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AC 전원 및 배터리를 이용하는 전력공급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샤프트(62)는 상기 모터(61) 축에 연결되는 축 이거나 모터축 자체를 구성하는 것 일수 있다. 상기 샤프트(62)는 상기 제1배출관(52)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1배출관(52)의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63)는 상기 샤프트(62)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6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내벽에 흡착된 분진을 제거하는 부분으로, 상기 샤프트(62) 상에 수직되게 설치되며, 기본적으로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샤프트(62)를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를 향해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의 내벽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63)는 평평한 면이 형성되도록 수직상으로 설치되되, 철사 또는 와이어 형태가 묶음 형태로 평평한 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되거나, 평평한 하나의 면을 가지는 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러시(63)는 금속 또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최초 형상으로 복원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진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브러시(63)는 상기 모터(6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측단부분이 제1배출관(52)의 내벽과 마찰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내벽에 흡착된 분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61)는 일정 시간마다 회전되도록 설정되면서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내벽에 분진이 흡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브러시(63)는 상기 샤프트(62) 상에 일정 간격의 높이마다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러시(63)는 상기 샤프트(62) 상에 각 높이마다 서로 엇갈린 방향을 향하도록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동일 높이에 설치되는 브러시(63)는 다른 높이에 설치되는 브러시(63)와 다른 각도로 어긋나게 설치되는 것으로, 각각의 높이마다 다른 각도로 어긋나게 설치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홀수 층 및 짝수 층을 나누어 홀수 층끼리는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짝수 층끼리는 동일한 각도로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간에 상호 인접한 브러시(63)가 동일한 각도로 설치되지 않고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다면 다양한 각도를 포함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브러시(63)는 상기 샤프트(62) 상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의 높이마다 설치되되, 각 높이마다 서로 엇갈린 방향을 향하도록 어긋나게 설치되며, 평면에서 봤을 때 직교되어 십자(+)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층이 일자로 설치되되 서로 인접한 반복적으로 블러시(63)가 직교되도록 일자로 설치되면서 평면에서 봤을 때 십자(+)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브러시(63)는 상기 샤프트(62) 상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의 높이마다 설치되되, 각 높이마다 서로 엇갈린 방향을 향하도록 어긋나게 설치되며, 평면에서 봤을 때 하나의 층 위치에 해당하는 것은 세 방향을 향해 동일한 각도로 벌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층 위치에 해당하는 브러시(63)를 제1브러시라고 정의하고 이와 인접한 브러시(63)를 제2브러시라고 정의했을 때, 제1브러시가 120도 간격을 가지도록 세 방향으로 설치되면, 이와 인접한 상측 또는 하측의 다른 층 위치에 해당하는 제2브러시는 상기 제1브러시와 설치된 방향이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평면에서 봤을 때 120도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브러시 사이에 제2브러시가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제2분진제거수단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조 처리 시스템(1)은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내에 흡착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수평관(51)에 설치되는 제2분진제거수단(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분진제거수단(70)은 크게 실린더(71), 플런저(72) 및 밀착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71)는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내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기본적으로 유압 또는 공압을 통해 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71)는 물체를 승하강 시키거나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공지된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 일 수 있고, 기본적으로 유압 또는 공압 에너지를 생성하는 장치(미도시) 및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린더(71)는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내주면 일측에 부착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71)는 수평관(5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72)는 상기 실린더(71)에 설치되어 실린더(71)의 작동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는 부분으로, 원통형 또는 사각형 형태의 막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73)는 상기 플런저(72)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내측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플런저(72)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내측 내주면에 흡착된 분진을 제거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밀착부(73)는 상기 수평관(51) 내경과 형상에 대응하도록 띠 형상을 가지도록 외주면이 형성되고, 중심부분은 관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730) 내측부분에서 상기 플런저(72)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연결바(74)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바(74)에 의해 상기 플런저(72)와 상기 밀착부(73)가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74)는 상기 플런저(72)와 상기 밀착부(73)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플런저(72)를 기준으로 복수 개가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연결바(74)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건조로(20)에서 배출되는 수증기 및 분진이 통과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71)의 작동에 의해 플런저(72)가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면 상기 밀착부(73)가 상기 수평관(51)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좌우로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수평관(51) 내측 내주면에 흡착되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고, 제거된 분진은 다시 건조로(20) 내부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외기유입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건조 처리 시스템(1)은 외부공기를 상기 건조로(2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유입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기유입부(80)는 상기 건조로(20) 일측 벽에 설치되되, 상기 건조로(20) 일측 벽에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부보다 하부 부피가 작게 내부공간이 형성된 공간부(81), 상기 공간부(81) 상부에 타공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홀(82) 및 상기 공간부(81) 내의 상기 건조로(20) 일측에 타공되어 상기 외기홀(82)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건조로(2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홀(8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외기홀(82)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공간부(8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다시 유입홀(83)를 통해 건조로(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건조로(20)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건조로(20)의 건조 처리 과정 시 발생되는 가열된 수증기와 함께 대류현상에 의해 상승하면서 건조로(20) 내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공기가 건조로(20)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건조로(20)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결국 건조로(20) 내에서 수증기가 발생하는 정도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증기가 제거되어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처리 시스템(1)은 상기 건조로(2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및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는데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이클론(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유입되는 처리가스에 사이클론의 유입구나 날개 등에 의해 선회운동을 가하여 하강하는 선회류를 형성시키는 것으로, 그 기본적인 구성은 공지된 사이클론 구조와 유사하며, 개략적인 구성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도 12는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의 사이클론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사이클론(90)은 크게 원통부(91), 증기배출관(92), 제2배출스크류(93) 및 분진배출구(9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통부(91)는 상기 제2배출관(55)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회전하는 공간으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원통부(91)의 내측벽을 따라 회전하면서 와류가 형성되고 이 과정에서 원심력이 작용하고 이를 통해 일정 이상의 부피 및 무게를 가지는 분진 입자가 하측 방향으로 낙하하여 포집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관(92)은 상기 원통부(91) 상부에 설치되고, 환경설비 측 방향으로 증기가 배출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제1배출관(52)을 통해 상기 원통부(91)로 유입된 수증기는 다시 상기 증기배출관(92)을 통해 배출되고, 원심력에 의해 낙하된 분진 입자는 하측 방향으로 분리되어 낙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배출스크류(93)는 상기 원통부(91)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원통부(91)로 유입되어 원심력에 의해 낙하되어 포집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상기 원통부(91) 하측 방향으로 낙하된 분진은 상기 제2배출스크류(93)의 회전에 의해 횡방향 일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분진배출구(94)는 상기 제2배출스크류(93) 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배출스크류(93)에 의해 이송되는 분진을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때, 상기 제2배출스크류(93)를 통해 이송되어 배출되는 분진은 상기 설명한 제1배출스크류(53)를 통해 이송되어 배출되는 분진과 함께 상기 분진배출구(9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배출스크류(53)가 설치된 공간과 상기 제2배출스크류(93)가 설치된 공간은 연통되어 하나의 통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분진배출구(94)를 통해 모아져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배출스크류(53)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상기 제2배출스크류(93)가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건조 처리 시스템(1)의 건조 처리 공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후단의 환경설비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건조 처리 시스템(1)은 먼저 상기 건조로(20)의 투입구(21)를 통해 건조 처리 대상물이 투입된다.
그 다음,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0)의 모터(31)가 작동하고 모터축(32)이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33)에 의해 건조 처리 대상물이 이송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패들(34)를 이용하여 건조 처리 대상물을 고르게 섞어 건조 처리 대상물 전체에 고르게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열풍공급부(40)의 버너(41)에서 열풍 에너지를 생산하고 열풍공급관(411)을 통해 열풍하우징(42) 내부로 열풍을 공급한다.
그 다음, 열풍하우징(42) 내로 이송되는 열풍은 열풍연결관(43)을 통해 하측 방향 층의 열풍하우징(42)까지 전달되어 건조로(20) 전체에 열을 전달하면서 건조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 다음, 건조 처리 과정에서 건조로(20)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및 분진은 수평관(51)을 통해 이송되고, 이때, 에어펄싱부(511)를 이용하여 수평관(51) 내에 수증기 및 분진 또는 이로 인한 이물질이 흡착되지 않고 이송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에어를 분사한다.
그 다음, 수평관(51)을 통해 이송되는 수증기 및 분진은 제1배출관(52)을 통해 모여지고, 이 과정에서 증기수용부(54)에 임시적으로 수증기 및 분진이 머무른 뒤 설정 이상의 무게를 가지는 분진은 자유낙하하여 제1배출스크류(53)를 통해 이송되고, 나머지 수증기 및 분진은 제2배출관(55)를 통해 상승하여 사이클론(90)의 원통부(91)로 이송된다.
이때, 제1배출관(52)으로 이송되는 수증기 및 분진 또는 이물질이 제1배출관(52) 내측 내주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분진제거수단(60)이 작동하고 일정 시간마다 브러시(63)가 회전함에 따라 제1배출관(52) 내에 분진이 흡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평관(51) 내에 분진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분진제거수단(70)이 작동하여 일정 시간마다 밀착부(73)가 좌우 왕복운동하면서 수평관(51)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분진 흡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기유입부(80)를 통해 외부 공기가 건조로(20)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건조로(20) 내의 수증기 발생을 억제시켜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원통부(91) 내에 유입된 유체(수증기 및 분진)은 원심력에 의해 수증기와 분진이 분리되고 분리된 분진은 제2배출스크류(93)을 통해 분진배출구(94)를 통해 제1배출스크류(53)에서 이송되는 분진과 함께 배출된다.
이렇게 상기 공정을 통해 건조 처리 후 수증기 및 분진을 배출하는 1차 과정이 완료되고, 사이클론(90)의 증기배출구(92)를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 및 분진은 1차워터스크러버(2)를 통해 물을 분사하여 정화되고, 이후 응축기(3)를 거쳐 2차워터스크러버(4)에 의해 정화처리 과정을 마친 후 대기 중으로 방출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1)은 건조 처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건조로(20)를 열풍 에너지로 간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건조하고, 건조 처리 시 사용되고난 후 배출되는 폐열을 재순환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모율을 줄일 수 있어,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열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소모는 줄이고, 건조로(20)의 투입구(21)부터 배출구(22)까지 일정한 온도의 열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 건조로(20)에 투입되는 열을 낮춘 상태로 건조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건조 처리 시스템의 내구연한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건조 처리 대상물을 건조 처리하는 과정에서 수증기를 배출할 경우 이와 함께 발생되는 분진을 수시로 배출함으로써 배출 통로의 배관에 분진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스템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시스템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건조 처리 시스템 2: 1차워터스크러버
3: 응축기 4: 2차워터스크러버
10: 몸체 11: 프레임
20: 건조로 21: 투입구
22: 배출구 23: 연결구
30: 스크류 컨베이어 31: 모터
32: 모터축 321: 베어링
33: 스크류 34: 패들
40: 열풍공급부 41: 버너
411: 열풍공급관 42: 열풍하우징
43: 열풍연결관 44: 열풍재순환부
441: 재순환배관 442: 블로어
50: 수증기 배출부 51: 수평관
511: 에어펄싱부 5111: 분사부
52: 제1배출관 53: 제1배출스크류
54: 증기수용부 55: 제2배출관
60: 제1분진제거수단 61: 모터
62: 샤프트 63: 브러시
70: 제2분진제거수단 71: 실린더
72: 플런저 73: 밀착부
74: 연결바 80: 외기유입부
81: 공간부 82: 외기홀
83: 유입홀 90: 사이클론
91: 원통부 92: 증기배출관
93: 제2배출스크류 94: 분진배출구

Claims (14)

  1. 열풍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슬러지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프레임(11)이 복수의 층으로 공간이 마련되도록 조립되고 전체적인 형틀을 이루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층마다 설치되되, 각각의 층은 연결구(23)를 통해 하나의 통로로 연결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건조 처리 대상물인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구(21)가 구비되고, 하부 타측에 건조 처리 대상물인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 슬러지가 건조 처리된 후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22)가 구비되는 건조로(20);
    상기 건조로(2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21)로 투입된 건조 처리 대상물이 고르게 건조될 수 있도록 교반하기 위한 스크류 컨베이어(30);
    상기 건조로(20) 하부를 감싸도록 측단면이 'U'자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건조로(20)를 가열하기 위한 열풍 에너지를 공급하며, 폐열을 재순환시키기 위한 열풍재순환부(44)가 구비된 열풍공급부(40);
    상기 건조로(20)와 연통되도록 수직 설치되며 건조 처리 과정에서 상기 건조로(2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및 분진이 상측 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해 모이는 복수의 제1배출관(52)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통해 수증기 및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수증기 및 분진이 배관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펄싱부(511)가 구비된 수증기 배출부(50); 및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에 설치되어 배관 내 흡착되는 분진을 제거하는 제1분진제거수단(60)을 포함하되,
    상기 수증기 배출부(50)는,
    상기 각 층의 건조로(20) 상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되, 상기 건조로(20) 상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측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공간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삼각형 형상의 공간을 통해 상기 건조로(2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및 분진이 모여진 후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복수의 수평관(51);
    상기 복수의 수평관(51)과 연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관(51)에서 이송되는 수증기 및 분진이 상측 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해 모이는 복수의 제1배출관(52);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에서 이송되는 수증기 및 분진 중 일정 부피 이상 및 무게로 인해 낙하되는 분진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스크류(53);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하단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을 통과하는 수증기 및 분진이 임시적으로 머무르는 공간인 증기수용부(54); 및
    상기 증기수용부(54) 상단 일측에 연통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에서 배출되는 수증기 및 분진이 한데 모여 상측 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한 제2배출관(55);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분진제거수단(60)은,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상부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61);
    상기 모터(61) 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배출관(52) 내에 삽입되는 샤프트(62); 및
    상기 샤프트(62)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6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내벽에 흡착된 분진을 일정 시간마다 제거하는 브러시(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1);
    상기 모터(31)에 설치되는 모터축(32);
    상기 모터축(32) 상에 설치되되, 건조 처리 대상물이 이송되는 진행방향의 전단에 배치되어 건조 처리 대상물을 이송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스크류(33); 및
    상기 모터축(32) 상에 설치되되, 상기 스크류(33)와 인접하게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상기 모터축(32)이 회전함에 따라 건조 처리 대상물이 고르게 섞일 수 있도록 교반하기 위한 패들(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40)는,
    열풍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버너(41);
    상기 각 층의 건조로(20) 하부를 감싸 듯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버너(41)에서 생산된 열풍 에너지가 공급되어 상기 건조로(20)를 가열하는 열풍하우징(42);
    상기 각 층의 열풍하우징(42)이 하나의 통로가 되도록 공간을 연결하기 위한 열풍연결관(43); 및
    상기 열풍하우징(42)을 통과하고 난 후 발생하는 폐열을 수거하여 재순환시키기 위한 열풍재순환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재순환부(44)는,
    상기 열풍하우징(42)에서 배출되는 폐열과 수거된 폐열을 상기 버너(41)로 주입하기 위해 폐열이 이송하는 재순환배관(441); 및
    상기 재순환배관(441)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열풍하우징(42)에서 배출되는 폐열을 수거하기 위한 흡입력 및 상기 버너(41)로 폐열을 불어 넣기 위한 압력을 발생시키는 블로어(4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펄싱부(511)는,
    상기 건조로(20)와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부근에 설치되는 'U'자 형상의 분사부(5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63)는,
    상기 샤프트(62) 상에 일정 간격의 높이마다 복수 개가 설치되되,
    각 높이마다 서로 엇갈린 방향을 향하도록 어긋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63)는,
    상기 샤프트(62) 상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의 높이마다 설치되되,
    각 높이마다 서로 엇갈린 방향을 향하도록 어긋나게 설치되며,
    평면에서 봤을 때 직교되어 십자(+)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63)는,
    상기 샤프트(62) 상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의 높이마다 설치되되,
    각 높이마다 서로 엇갈린 방향을 향하도록 어긋나게 설치되며,
    평면에서 봤을 때 하나의 층 위치에 해당하는 것은 세 방향을 향해 동일한 각도로 벌어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내에 흡착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수평관(51)에 설치되는 제2분진제거수단(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분진제거수단(70)은,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내에 설치되는 실린더(71);
    상기 실린더(71)에 설치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플런저(72); 및
    상기 플런저(72)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내측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플런저(72)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내측 내주면에 흡착된 분진을 제거하는 밀착부(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73)는,
    상기 수평관(51) 내경과 형상에 대응하도록 중심부분은 관통된 형태로 띠 형상을 가지도록 외주면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72)와 상기 밀착부(73)가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상기 밀착부(73) 내측부분에서 상기 플런저(72)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연결바(74)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바(74)는,
    상기 플런저(72)와 상기 밀착부(73)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플런저(72)를 기준으로 복수 개가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건조로(20)에서 배출되는 수증기 및 분진이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밀착부(73)와 상기 복수 개의 연결바(7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20) 일측 벽에 설치되고 외부공기를 상기 건조로(2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유입부(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기유입부(80)는,
    상기 건조로(20) 일측 벽에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부보다 하부 부피가 작게 내부공간이 형성된 공간부(81);
    상기 공간부(81) 상부에 타공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홀(82); 및
    상기 공간부(81) 내의 상기 건조로(20) 일측에 타공되어 상기 외기홀(82)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건조로(2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홀(8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건조로(2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및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는데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사이클론(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90)은,
    유입된 유체가 회전하는 원통부(91);
    상기 원통부(91) 상부에 설치되고, 환경설비 측 방향으로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관(92);
    상기 원통부(91)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원통부(91)로 유입되어 원심력에 의해 낙하되어 포집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스크류(93); 및
    상기 제2배출스크류(93) 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배출스크류(93)에 의해 이송되는 분진이 배출되기 위한 분진배출구(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KR1020190088069A 2019-07-22 2019-07-22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KR102067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069A KR102067937B1 (ko) 2019-07-22 2019-07-22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069A KR102067937B1 (ko) 2019-07-22 2019-07-22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937B1 true KR102067937B1 (ko) 2020-01-17

Family

ID=69370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069A KR102067937B1 (ko) 2019-07-22 2019-07-22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93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839B1 (ko) 2020-07-08 2021-01-04 한경원 열풍 건조장치
CN112378214A (zh) * 2020-11-18 2021-02-19 安徽省宏伟制粉有限责任公司 一种面粉烘干装置
CN113769493A (zh) * 2021-09-16 2021-12-10 东华大学 一种污泥干化尾气脉冲除尘装置
CN113983785A (zh) * 2021-10-13 2022-01-28 新乡市阳光电源制造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粉料高温真空干燥设备
KR102620614B1 (ko) * 2023-06-01 2024-01-04 (주)이화상사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228A (ko) * 2000-05-29 2000-08-05 양동만 슬러지 건조장치
KR20050095222A (ko) * 2004-03-25 2005-09-29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골재 제조용 건조장치
KR100958761B1 (ko) * 2009-09-01 2010-05-18 정창의 회전형 건조장치
KR101252451B1 (ko) 2012-05-11 2013-04-16 유영동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용 패들 건조기
KR20190051293A (ko) * 2017-11-06 2019-05-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내벽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228A (ko) * 2000-05-29 2000-08-05 양동만 슬러지 건조장치
KR20050095222A (ko) * 2004-03-25 2005-09-29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골재 제조용 건조장치
KR100958761B1 (ko) * 2009-09-01 2010-05-18 정창의 회전형 건조장치
KR101252451B1 (ko) 2012-05-11 2013-04-16 유영동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용 패들 건조기
KR20190051293A (ko) * 2017-11-06 2019-05-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내벽 세척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839B1 (ko) 2020-07-08 2021-01-04 한경원 열풍 건조장치
CN112378214A (zh) * 2020-11-18 2021-02-19 安徽省宏伟制粉有限责任公司 一种面粉烘干装置
CN113769493A (zh) * 2021-09-16 2021-12-10 东华大学 一种污泥干化尾气脉冲除尘装置
CN113983785A (zh) * 2021-10-13 2022-01-28 新乡市阳光电源制造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粉料高温真空干燥设备
KR102620614B1 (ko) * 2023-06-01 2024-01-04 (주)이화상사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937B1 (ko)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CN108996859B (zh) 高浓度石油污泥绿色清洗-热脱附集成技术处理方法与处理系统
CN103539332B (zh) 一种污泥干化焚烧发电一体化系统及方法
KR100935446B1 (ko) 고 함수율 유기폐기물의 건조 및 탄화 방법과 그 장치
CN103506377B (zh) 用于有机物污染土壤修复的多热源无轴间热式热脱附装置
KR100793115B1 (ko) 폐기물 처리 장치
KR101387010B1 (ko) 다단 폐기물 건조장치
CN109231756A (zh) 一种用于污泥干化处理装置
KR101387011B1 (ko) 회전식 다단 폐기물 건조장치
KR101339563B1 (ko) 유기성 슬러지 일괄처리장치
JP4051415B2 (ja) ゴミの焼却、焼却後の廃ガスの集塵・中和・触媒の反応処理装置及び触媒後の肥料化プラント並びにその構造
KR101389475B1 (ko) 반응효율을 최적화한 대기오염 방지시설
KR100935447B1 (ko) 고 함수율 유기폐기물의 건조장치
CN203653400U (zh) 一种污泥干化焚烧发电一体化系统
KR200280671Y1 (ko) 쓰레기소각로에 연계된 폐기물 건조장치
KR200226144Y1 (ko)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KR200285274Y1 (ko) 스크류형 슬러지 건조장치
KR101160469B1 (ko) 생활 및 난연성 폐기물 혼합 소각시 발생되는 배가스 처리 시스템
KR101083033B1 (ko) 슬러지 배출장치가 구비된 폐수처리 보일러
KR100933437B1 (ko) 고 함수율 유기폐기물의 무연화장치
KR101170903B1 (ko) 생활 및 난연성 폐기물 혼합 소각을 위한 난연성 폐기물 건조 시스템.
KR20020043513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다단형 슬러지 건조장치
KR20000054505A (ko)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CN109456778B (zh) 过热蒸汽连续无氧碳化裂解炉新型装置及方法
CN109456779B (zh) 过热蒸汽连续无氧碳化裂解炉装置以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