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901A - 유기물 소멸처리기 - Google Patents

유기물 소멸처리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901A
KR20090102901A KR1020080028149A KR20080028149A KR20090102901A KR 20090102901 A KR20090102901 A KR 20090102901A KR 1020080028149 A KR1020080028149 A KR 1020080028149A KR 20080028149 A KR20080028149 A KR 20080028149A KR 20090102901 A KR20090102901 A KR 20090102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irring
deodorizing
integrally
organ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0233B1 (ko
Inventor
정홍기
성신용
Original Assignee
정홍기
성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홍기, 성신용 filed Critical 정홍기
Priority to KR1020080028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23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2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밑판에는 복수 개의 에어공이 형성된 교반통을 형성하여 상측으로 중앙에 회전축이 수직하게 관통되고 회전축의 상측으로 모터가 장착된 상부커버를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주되, 상기 회전축의 상측과 하측에는 저면과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경사지게 설치된 내부유도편과 외부유도편을 서로 대칭되게 형성한 상부수평금구와 하부수평금구를 동일 수평선상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수평금구와 하부수평금구의 저면과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축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나선으로 감기는 리본형스크류를 형성하며, 상기 교반통의 외면에는 보온제가 내장된 자켓을 장착하여 내측으로 탈취부를 형성하고 탈취부를 통해 교반과정 중 발생하는 악취를 포섭하여 제거하고, 교반통의 밑판에 형성된 에어공으로 예열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히팅에어공급부를 형성시켜 된 유기물소멸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리본형스크류의 저면의 중앙 또는 외측선단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강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T형스크류 또는 ㄱ형스크류로 형성시켜 줌으로서, 유기물 소멸처리기를 대형화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나선의 수가 많아 교반과정 중 자체의 휨 현상이나 뒤틀림을 보강편에 의해 지지력을 강화시켜 휨 현상이나 뒤틀림을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내부에 많은 량의 유기물을 투입시키더라도 용이하게 교반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유기물 소멸처리기{AN ORGANIC MATTER DISPOSAL UNIT}
유기물을 포함한 음식물쓰레기, 축산분뇨, 오수, 하수, 폐수 등(이하 "유기물"이라 한다)을 톱밥과 유기물 분해 미생물이 들어있는 교반조에 일정한 비율로 투입하고, 반복적으로 상승 교반하면서 혼합(이하 "혼합물"이라 한다)하여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 소멸 하도록 된 유기물 소멸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밑판에는 복수 개의 에어공이 형성된 교반통을 형성하여 상측으로 중앙에 회전축이 수직하게 관통되고 회전축의 상측으로 모터가 장착된 상부커버를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주되, 상기 회전축의 상측과 하측에는 저면과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경사지게 설치된 내부유도편과 외부유도편을 서로 대칭되게 형성한 상부수평금구와 하부수평금구를 동일 수평선상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수평금구와 하부수평금구의 저면과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축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나선으로 감기는 리본형스크류를 형성하며, 상기 교반통의 외면에는 보온제가 내장된 자켓을 장착하여 내측으로 탈취부를 형성하고 탈취부를 통해 교반과정 중 발생하는 악취를 포섭하여 제거하고, 교반통의 밑판에 형성된 에어공으로 예열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히팅에어공급부를 형성시켜 된 유기물 소멸처리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유기물을 포함한 음식물쓰레기, 축산분뇨, 오수, 하수, 폐수 등(이하 "유기물"이라 한다)을 톱밥과 유기물 분해 미생물이 들어있는 교반조에 일정한 비율로 투입하고, 반복적으로 상승 교반하면서 혼합(이하 "혼합물"이라 한다)하여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 소멸 하도록 된 유기물 소멸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유사한 종래의 장치로서는, 국내의 공고실용신안 제20-017435호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와 실용신안등록 제20-379391호 "음식물쓰레기 소멸화 처리장치"와 실용신안등록 제20-407327호 "잔반처리기 교반장치의 수평회전방해수단",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4-30734호 "스크류회전기능을 가진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제작방법"과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4-96854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교반방법" 및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6-42923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특허등록 제10-605789호 "스크류 회전기능을 가진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등이 알려져 있다.
공고실용신안 제20-017435호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드럼 내에 수용하고 일정 온도와 습도 및 공기를 공급함과 아울러 발효를 위한 지속성 미생물 배양체를 투입한 후 동력원의 구동에 따라 상기 드럼 내에서 회전되는 교반스크류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여 발효시키도록 된 교반발효기와 상기의 발효공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포함한 가스가 탈취조를 경유하여 일차 정화된 공기중 그 일부는 외부공기와 함께 상기 교반발효기 내로 재공급하고 나머지는 흡착필터 및 가열연소히터 내를 통과시켜 완전정화된 무취공기를 기기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탈취순환계로 구성된 것으로서, 1회 투입만으로도 활상화되어 장기간 생존할 수 있는 미생물 혼합배양체응 적용함으로써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완전 분해되어 처리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되며, 음식물쓰레기의 소멸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가스를 완전 분해함으로써 실내에서도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는, 교반드럼 상단의 투입구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고, 교반날개를 회전시킬 경우 중앙으로 모인다고 하였으나, 상기 교반날개는 한 방향(시계방향)으로 되어 있어 회전 방향에 따라 음식물쓰레기가 한쪽으로 몰리면서 내부에 압(壓)이 크게 상승하여 모터와 축 및 교반날개에 치명적인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톱밥과 음식물쓰레기의 혼합물은 유동성이 없어 교반날개의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든 순환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원활한 교반을 할 수 없으며, 또한 공기유입공과 가스배기공이 드럼 상단부에 있어 공기가 톱밥과 음식물쓰레기의 혼합물 속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바로 빠져나가 미생물에 산소공급이 충분하지 못하며, 수분건조도 어려워 원활한 소멸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379391호 "음식물쓰레기 소멸화 처리장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교반조(통)의 외면에는 단열재에 의해 덮어지는 엑셀호스를 설치하여 보일러서 온수를 공급하고, 교반조(통)의 내부 중앙에는 회전축(봉)을 설치하여 모터에 의해 회전시키면서 음식물쓰레기와 바이오칩(바른 코코넛 야자껍질)의 혼합물을 교반시킬 수 있도록 하되, 회전축(봉)에는 복수의 교반날개를 직접 설치하여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지지대로 설치하여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혼합물을 교반시키며, 회전축(봉)의 하단에는 긴 곡선형으로 된 하나의 바이오칩유인날개를 설치하여 투입된 바이오칩을 교반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교반조의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와 바이오칩(바른 코코넛 야자껍질)을 교반시키면서 온수의 열기에 의해 단순히 건조시키고 혼합물의 내부에는 공기가 쉽게 침투할 수 없으므로 건조능력(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엘셀파이프는 교반조와의 선접촉에 의해 접촉면적이 작아지므로 열 전열능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407327호 "잔반처리기 교반장치의 수평회전방해수단"은, 교반조의 중앙 하단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를 설치하고, 그 샤프트에는 복수의 교반날개를 지지봉에 의해 지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투입된 잔반을 교반시키며, 교반조의 바닥 상면에는 복수의 수평회전방해수단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교반되는 잔반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교반날개의 교반조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고 수평회전방해수단에 의해 이동을 단순하게 방해하므로 잔반을 효율적으로 교반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잔반을 단순하게 회전 이동시키므로 처리능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4-30734호 "스크류회전기능을 가진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제작방법"은, 뚜껑을 상측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하우징의 내부 하단에는 유입받침대(호퍼)를 설치하고, 그 상측 중앙에는 교반원통을 수직으로 설치하며, 교반원통의 내부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루를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투입구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고, 모터에 의해 스크루를 회전시켜 유입받침대(호퍼)의 내부로 집결되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원통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되, 교반원통의 상단에서 낙하하여 유입받침대(호퍼)의 내부로 낙하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스크루의 작동에 의해 교반원통의 상측으로 상승시켜 낙하시키는 과정을 단순하게 반복 실시하고, 열을 가하지 않으면서 교반시키므로 교반 처리능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하우징의 내면에 부착된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받침대(호퍼)에 낙하하지 못하고 부착되어 있으므로 음식물을 고르게 교반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교반(처리) 능력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4-96854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교반방법"은, 교반원통의 내부 중앙에 교반축을 굴대 설치하여 모터에 의해 회전시키고, 교반축에는 복수의 교반날개를 지지봉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상하 설치한 것으로서, 교반원통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날개에 의해 교반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교반원통의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상하로 설치된 교반날개에 의해 단순하게 교반시키므로 음식물쓰레기를 효율적으로 교반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교반(처리) 능력도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6-42923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원통형으로 된 교반조의 내부 중앙에 샤프트를 굴대 설치하여 모터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샤프트에는 복수의 교반날개를 지지대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켜 형성하며, 교반조의 내부 상측에는 공기공급 및 탈취장치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고 교반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외부로 흡입하여 탈취처리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교반조의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단순히 회전하는 교반날개에 의해 교반시키므로 음식물쓰레기를 효율적으로 교반시킬 수 없어 교반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교반조의 내부 상측에서 공기를 공급시키므로 공급되는 공기가 하측에 위치하는 음식물쓰레기의 내부로 용이하게 침투하지 못하여 발효 처리능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등록 제10-605789호 "스크류 회전기능을 가진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원통형으로 된 교반조의 내부 중앙에는 원통형파이프를 설치하되 그 내부에는 스크류를 굴대 설치하여 상측에 구비된 스크류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시키고, 교반조의 내부 하단에는 호형의 보조교반날개가 구비된 샤프트를 굴대 설치하여 하측에 설치된 보조교반날개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시키며, 교반조의 외부에는 탈취부재를 설치한 것이다.
교반조의 내부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시킨 상태에서 상/하측의 스크류구동모터와 보조교반날개구동모터를 각각 작동시켜 보조교반날개와 스크루를 개별적으로 작동시켜, 스크루에 의해서는 교반조의 하측에 있는 음식물쓰레기를 원통형파이프으로 상향시켜 그 상단에서 낙하하도록 하고, 보조교반날개에 의해서는 원통형파이프의 상단에서 낙하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중앙으로 집결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보조교반날개가 하나의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음식물쓰레기를 단순히 이동시킬 뿐 중앙으로 집결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음식물쓰레기를 중앙으로 집결시키므로 못하므로 가장자리에 쌓이게 되어 스크루에 의해 용이하게 상승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교반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교반조의 내면에 부착된 음식물쓰레기가 분리되지 못하고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음식물쓰레기를 고르게 교반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음식물쓰레기를 단순히 교반시키므로 분해 처리(건조)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장치들 중에서 상승판에 연결된 축이 많이 설치된 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킬 때에 내용물이 함께 회전(수평이동)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시키기 위한 회전방해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나, 효율적인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방해장치에 끼인 음식물쓰레기가 부패하여 악취가 극심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상승판에는 축이 많이 연결되어 중량이 무거워지므로 모터의 용량이 커지게 되고 그로 인해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스크루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장치는, 내용물이 액상이 아닌 톱밥과 음식물쓰레기를 혼합시킨 것이므로 스크루날개에 내용물이 달라붙게 되므로 원활하게 상승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이와 같이 원활하게 상승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해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조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교반통의 하단이 경사진 호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내용물이 원활(용이)하게 흘러내리지 못하고 부착되므로 교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유기물소멸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밑판에는 복수 개의 에어공이 형성된 교반통을 형성하여 상측으로 중앙에 회전축이 수직하게 관통되고 회전축의 상측으로 모터가 장착된 상부커버를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주되, 상기 회전축의 상측과 하측에는 저면과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경사지게 설치된 내부유도편과 외부유도편을 서로 대칭되게 형성한 상부수평금구와 하부수평금구를 동일 수평선상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수평금구와 하부수평금구의 저면과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축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나선으로 감기는 리본형스크류를 형성하며, 상기 교반통의 외면에는 보온제가 내장된 자켓을 장착하여 내측으로 탈취부를 형성하고 탈취부를 통해 교반과정 중 발생하는 악취를 포섭하여 제거하고, 교반통의 밑판에 형성된 에어공으로 예열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히팅에어공급부를 형성시켜 된 유기물 소멸처리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본형스크류의 저면의 중앙 또는 외측선단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강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T형스크류 또는 ㄱ형스크류로 형성시켜 줌으로서, 유기물 소멸처리기를 대형화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나선의 수가 많아 교반과정 중 자체의 휨 현상이나 뒤틀림을 보강편에 의해 지지력을 강화시켜 휨 현상이나 뒤틀림을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내부에 많은 량의 유기물을 투입시키더라도 용이하게 교반할 수 있도록 한 유기물 소멸처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반통의 외면에는 보온제가 내장된 자켓을 장착하여 내측으로 탈취부를 형성시켜 줌으로서, 교반과정 중 발생하는 악취를 배기송풍기를 통해 자켓의 내부에 투입시켜 탈취조에 집결된 악취를 탈취액에 의해 악취를 포섭시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탈취조의 내부에 볼탑을 형성시켜 줌으로서, 노즐을 통해 분사된 탈취액(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악취를 포섭하면서 소멸되는 탈취액을 볼탑이 자동으로 감지하여 보충수유입관을 통해 자동으로 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유기물 소멸처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축의 상측과 하측에는 저면과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경사지게 설치된 내부유도편과 외부유도편을 서로 대칭되게 형성한 상부수평금구와 하부수평금구를 동일 수평선상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하여, 하부에 집결된 음식물쓰레기와 톱밥 및 미생물의 혼합물을 외부유도편이 외측으로 밀어주고 상부로 유도된 혼합물을 내부유도편이 내측으로 밀어주어 리본형스크류의 중앙으로 자유낙하 되도록 하여 순환과정을 통하여 교반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유기물 소멸처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원통형으로 밑판(4)에는 복수 개의 에어공(5)을 형성하고 외면에는 보온제(12)가 내장된 자켓(11)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단으로 중앙에 모터(51)의 하부로 굴대 설치되는 회전축(52)이 중앙에 장착되고 유기물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커버(7)를 형성시켜 된 교반통(2)의 내부중앙으로 상기 모터(20)에 의해 구동되고 회전축(52)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으로 감착되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스크류를 모터(20)를 회전시켜 내부에 투입된 유기물을 톱밥 및 미생물과 교반할 수 있도록 한 유기물 소멸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2)의 밑판(4)에 중앙에는 굴대 설치되는 회전축(52)의 하단을 안착할 수 있도록 축고정구(6)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단 외주면에는 원주를 따라 복수 개의 장착공(3-1)이 형성된 플랜지(3)를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교반통(2)의 상측에 장착되는 상부커버(7)의 내측에는 장착공(7-1)을 형성하여 상기 플랜지(3)의 장착공(3-1)과 연통되게 형성시켜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시켜 준 것과;
상기 상부커버(7)의 상측에는 유기물과 톱밥 및 미생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8)을 연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투입구(8)의 상측으로 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9)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과;
상기 상부커버(7)의 상측에는 교반과정 중 발생하는 악취를 강제흡입하여 자켓(11)의 내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양측에 흡기관(31)과 배기관(32)이 각각 형성된 배기송풍기(30)를 형성한 것과;
상기 교반통(2)과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자켓(11)의 사이에는 배기송풍기(30)의 배기관(32)를 통해 인입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내부에 탈취액이 충진된 탈취부(20)를 형성한 것과;
상기 자켓(11)의 일측 외면에는 배출관(33)을 형성하고, 탈취부(20)를 거친 공기를 배출관(33)을 통해 이송시켜 열교환기(34)를 통과하도록 한 것과;
상기 열교환기(34)의 상측에는 방향제통(35)을 형성하여, 열교환기(34)를 통과한 공기가 방향제통(35)의 내부를 지나면서 방향제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과;
상기 교반통(2)의 하단 일측에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열교환기(34)를 통하여 강제흡입하여 1차 가온된 흡입된 공기를 히팅시켜 밑판(4)의 에어공(5)에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히팅에어공급부(40)를 형성한 것과;
상기 교반통(2)의 내부에 굴대 설치되는 회전축(52)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부수평금구(53)와 하부수평금구(54)를 동일 수평선상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상부수평금구(53)와 하부수평금구(54)의 하단과 상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경사지게 설치된 내부유도편(55)과 외부유도편(56)을 서로 대칭되게 형성한 것과;
상기 상부수평금구(53)와 하부 선단과 하부수평금구(54)의 상부 선단에는 리본형스크류(60)의 각 선단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52)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리본형스크류(60)의 내주면에는 수평지지바(57)를 형성하며, 상기 수평지지바(57)와 수평지지바(57) 사이에는 수직하게 수직지지바(58)를 일체로 장착시켜 고정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소멸처리기(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리본형스크류의 저면 중앙 또는 외측선단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강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T형스크류 또는 ㄱ형스크류로 형성시켜 줌으로서, 유기물 소멸처리기를 대형화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나선의 수가 많아 교반과정 중 자체의 휨 현상이나 뒤틀림을 보강편에 의해 지지력을 강화시켜 휨 현상이나 뒤틀림을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내부에 많은 량의 유기물과 톱밥 및 미생물을 투입시키더라도 용이하게 교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교반통의 외면에는 보온제가 내장된 자켓을 장착하여 내측으로 탈취부를 형성시켜 줌으로서, 교반과정 중 발생하는 악취를 배기송풍기를 통해 자켓의 내부에 투입시켜 탈취조에 집결된 악취를 탈취액에 의해 악취를 포섭시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탈취조의 내부에 볼탑을 형성시켜 줌으로서, 노즐을 통해 분사된 탈취액(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악취를 포섭하면서 소멸되는 탈취액을 볼탑이 자동으로 감지하여 보충수유입관을 통해 자동으로 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회전축의 상측과 하측에는 저면과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경사지게 설치된 내부유도편과 외부유도편을 서로 대칭되게 형성한 상부수평금구와 하부수평금구를 동일 수평선상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하여, 하부의 혼합물을 외부유도편이 외측으로 밀어주고, 상부로 유도된 혼합물을 내부유도편이 내측으로 밀어주어 리본형스크류의 중앙으로 자유낙하 되도록 하여 순환과정을 통하여 교반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소멸기의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소멸처리기의 각기 다른 요부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4a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소멸처리기에서 리본형 교반날개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5a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소멸처리기에서 스크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소멸처리기에서 스크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기물 소멸처리기 2: 교반통
3: 플랜지 4: 밑판 5: 에어공
6: 축고정구 7: 상부커버 8: 투입구
9: 도어 11: 자켓 12: 보온제
13: 볼탑 20: 탈취부 21: 탈취조
23: 노즐 24: 펌프 25: 흡입관
26. 33: 배출관 30: 배기송풍기 31. 42: 흡기관
32. 43: 배기관 34: 열교환기 35: 방향제통
40: 히팅에어공급부 41: 급기송풍기 44: 히터
45: 에어공급관 51: 모터 52: 회전축
53: 상부수평금구 54: 하부수평금구 55: 내부유도편
56: 외부유도편 57: 수평지지바 58: 수직지지바
60: 리본형스크류 65: T형스크류 66: ㄱ형스크류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소멸처리기(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소멸처리기(1)의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소멸처리기(1)의 각기 다른 요부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4a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소멸처리기(1)에서 리본형스크류(60)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5a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소멸처리기(1)에서 스크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소멸처리기(1)에서 스크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소멸처리기(1)는 도 1 내지 도 3과 도시하였으며, 그 중 교반통(2)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상방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밑판(4)에는 복수 개의 에어공(5)을 형성하였고, 상단에는 복수 개의 장착공(3-1)이 연통된 플랜지(3)를 일체로 형성시켜 주었으며, 상기 밑판(4)의 중앙에는 후단에 설명할 회전축(52)의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축고정구(6)를 일체로 형성시켜 주었다.
또한, 상기 교반통(2)의 외주면에는 보온제(12)가 내장된 자켓(11)를 일체로 형성시켜 주되, 교반통(2)과 자켓(11)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공간부를 갖도록 하여 내측으로 유입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탈취부(20)를 형성시켜 주었다.
상기 교반통(2)의 상측에 연접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상부커버(7)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상기 상부커버(7)의 상부 외주연을 따라 내측으로 장착공(7-1)을 형성하여 플랜지(3)의 장착공(3-1)에 연접시켜 볼트(70)와 너트(71)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상부커버(7)의 중앙에는 베어링(10)를 형성하고 베어링(10)의 중앙으로 관통되어 수직하게 굴대 설치되며 상측에 결합된 모터(51)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52)을 형성시켜 주었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7)의 상부 일측에는 유기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8)를 연통되게 형성한 상태에서 투입구(8)의 상측으로 힌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9)를 일체형으로 형성시켜 주었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7)의 상부 타측에는 교반과정 중 발생하는 악취를 강제흡입하여 자켓(11)의 내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양측에 흡기관(31)과 배기관(32)이 각각 형성된 배기송풍기(30)를 형성시켜 주었다.
상기 배기관(32)을 통해 유입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된 탈취부(20)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교반통(2)과 자켓(11) 사이에는 내부에 탈취액(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탈취조(2)를 형성하였고, 상기 탈취조(21)의 내측 상단에는 복수 개의 노즐(23)를 형성시켜 주었으며, 상기 자켓(11)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굴대 설치되어 탈취조(21)의 내부에 충진된 탈취액(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강제흡입하여 노즐(23)로 강제이송할 수 있도록 펌프(24)의 양측에는 흡입관(25)과 배출관(26)을 각각 형성시켜 주었다.
또한, 상기 탈취조(21)의 내부에는 볼탑(13)을 형성하여 내부에 충진된 탈취액의 소모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보충수유입관(13-1)을 통해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탈취조(21)의 내부에는 볼탑(13)을 형성시켜 줌으로서, 노즐(23)을 통해 분사된 탈취액(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악취를 포섭하면서 소멸되는 탈취액을 볼탑(13)이 자동으로 감지하여 보충수유입관(13-1)을 통해 자동으로 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자켓(11)의 외면에는 배출관(33)을 연통되게 형성하여 탈취조(21)를 거쳐 악취가 제거된 공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이동된 공기는 배출관(33)과 연결된 열교환기(34)를 통과하여 급기송풍기(41)에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 하도록 하였고, 최종 배출구에는 탈취하고도 남는 냄새 성분을 방향제통(7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였다.
상기 교반통(2)의 밑판(4)에 형성된 에어공(5)에 히팅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히팅에어공급부(4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상기 교반통(2)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강제흡입하여 히터(44)에 이송시켜 줄 수 있도록 급기송풍기(41)의 양측에는 흡기관(42)과 배기관(43)을 각각 형성시켜 주었고, 상기 배기관(43)을 통해 이송된 공기를 예열시켜 주는 히터(44)를 장착시켜 주었으며, 상기 예열된 공기를 이송시켜 밑판(4)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에어공(5)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에어공급관(45)을 형성시켜 주었다.
상기 에어공(5)을 통해 히팅에어를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줌으로서, 내부에 유기물 분해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하고, 활성화를 촉진시켜 유기물을 신속하게 소멸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교반통(2)의 내부에 굴대 설치되어 밑판(4)의 축고정구(6)에 하단이 입설되는 회전축(52)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부수평금구(53)와 하부수평금구(54)를 동일 수평선상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상부수평금구(53)와 하부수평금구(54)의 하단면과 상단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경사지게 설치된 내부유도편(55)과 외부유도편(56)을 서로 대칭되게 형성시켜 주었다.
또한, 회전축(52)의 외주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고 나선으로 감기면서 내부유도편(55)과 외부유도편(56)의 하단과 상단으로 리본형스크류(60)를 일체로 형성시켜 주었다.
특히 회전축(52)의 외주면과 리본형스크류(60)의 내주면에는 수평지지바(57)와 수직지지바(57-1)를 일체로 장착하여 고정시켜 주어 유기물과 내부에 일정한 비율로 투입된 톱밥 및 미생물을 교반하는 과정에 리본형스크류(60)가 흔들리거나 뒤틀리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를 도 1과 같이 도시하였다.
도 5a 내지 도 6b는 리본형스크류(60)의 저면 중앙 또는 외측선단으로 보강편(61)을 더 형성시켜 T형스크류(65) 또는 ㄱ형스크류(66)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T형스크류(65)는 리본형스크류(60) 저면으로 보강편(61)을 하방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것이다.
상기 ㄱ형스크류(66)는 리본형스크류(60) 저면 외측선단으로 보강편(61)을 하방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리본형스크류(60) 이 외에 T형스크류(65) 또는 ㄱ형스크류(66)로 형성시켜 줌으로서, 유기물 소멸처리기(1)를 대형화시키더라도 유기물의 용량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교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력을 강화하여 쉽게 구부러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소멸처리기(1)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투입될 유기물을 준비하고, 상부커버(7)의 상단부에 형성된 도어(9)를 개방시켜 하여 투입구(8)를 통해 톱밥 및 미생물이 들어있는 교반통(2)에 투입한다.
상기와 같이 유기물을 투입시킨 상태에서 상부커버(7)의 일측에 형성된 컨트롤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조작하여 전원을 인가시켜 주면, 교반통(2)의 하부에 형성된 밑판(4)의 에어공(5)을 통해 히팅된 에어가 유입되게 되는데, 히팅에어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급기송풍기(41)가 가동되면서 흡기관(42)을 통해 강제흡입되고, 흡입된 신선한 공기는 배기관(43)을 통해 히터(44)에 전달되어 히터(44)를 통과하면서 적정온도로 가열된 공기가 에어공급관(45)을 통해 에어공(5)에 지속적으로 분사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상부커버(7)의 상부에 형성된 모터(51)는 반 시계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상기 모터(51)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회전축(52) 역시 모터(51)의 구동방향으로 함께 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회전축(52)의 상측과 하측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수평금구(53)와 하부수평금구(54) 및 회전축(52)의 외면에서 이격되어 나선으로 감기면서 상부수평금구(53)와 하부수평금구(54)에 일체로 형성되는 리본형스크류(60)가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터(51)에 의해 회전축(52)이 회전하게 되면 리본형스크류(60)는 나선운동을 하게 되고 이때, 음식물쓰레기와 톱밥 및 미생물의 혼합물은 리본형스크류(60)의 나선운동에 의해 리본형스크류(60)의 상부면을 따라 혼합물이 상부로 상승하게 되며, 상승 된 혼합물은 회전축(52)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수평금구(53)의 내부유도편(55)에 의해 리본형스크류(60)의 내측 중앙으로 자유낙하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낙하된 음식물쓰레기와 톱밥 및 미생물의 혼합물은 회전축(52)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수평금구(54)의 외부유도편(56)에 의해 낙하 되어 집결된 음 혼합물을 외측으로 지속적으로 밀어 주어 재차 리본형스크류(60)의 나선운동에 의해 상승될 수 있도록 유도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교반하는 과정에 발생되는 악취는 상부커버(7)의 상측에 형성된 배기송풍기(30)을 작동시켜 흡기관(31)을 통해 강제흡입하고, 자켓(11)의 내측으로 연통된 배기관(32)을 통해 배출시켜 주며, 상기 자켓(11)의 내측에 형성된 탈취부(20)를 통해 악취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탈취과정은, 교반통(2)과 자켓(11) 사이에는 내부에 탈취액(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탈취조(2)를 형성하고, 탈취조(21)의 내측 상단에는 복수 개의 노즐(23)를 형성시켜 주며, 상기 자켓(11)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굴대 설치되어 탈취조(21)의 내부에 충진된 탈취액(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강제흡입하여 노즐(23)로 강제이송할 수 있도록 펌프(24)의 양측에는 흡입관(25)과 배출관(26)을 각각 형성하여 배출관(26)에서 전달된 탈취액은 노즐(23)를 통해 분사되면서 내부에 집결된 악취를 포섭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게 되면 순환되는 탈취액은 소모되게 되는데, 이때 탈취조(21)의 내부에 형성된 볼탑(13)이 이를 감지하여 소모상태에서 따라 자동으로 보충수유입관(13-1)을 통해 공급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탈취조(21)를 거쳐 악취가 1차 제거된 공기는 자켓(11)의 외면에 형성된 배출관(33)과 연결된 열교환기(34)를 통과하여 급기송풍기(41)에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 하도록 하였고, 최종 배출구에는 탈취하고도 남는 냄새 성분을 방향제통(35)을 통하여 마스킹 후 배출되도록 하였다.
상기의 유기물을 투입, 교반, 소멸 과정을 매일 반복실시하며 내부의 염분농도 상승 정도에 따라 3-5개월 후 톱밥과 미생물을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통해 배출시켜 주면 된다.
또한, T형스크류(65) 또는 ㄱ형스크류(66)를 리본형스크류(60)을 대신하여 장착시켜 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유기물소멸처리기(1)를 대형화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나선의 수가 많게 되면 교반과정 중 자체의 휨 현상이나 뒤틀림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리본형스크류(60)의 중앙이나 또는 외측선단 하부에 보강편(62)을 일체로 형성하여 된 T형스크류(65) 또는 ㄱ형스크류(66)로 제작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력을 강화된 T형스크류(65) 또는 ㄱ형스크류(66)를 사용함으로써, 교반통(2)을 대형화시켜 내부에 많은 량의 유기물을 투입시키더라도 용이하게 교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원통형으로 밑판(4)에는 복수 개의 에어공(5)을 형성하고 외면에는 보온제(12)가 내장된 자켓(11)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단으로 중앙에 모터(51)의 하부로 굴대 설치되는 회전축(52)이 중앙에 장착되고 유기물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커버(7)를 형성시켜 된 교반통(2)의 내부중앙으로 상기 모터(20)에 의해 구동되고 회전축(52)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으로 감착되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스크류를 모터(20)를 회전시켜 내부에 투입된 유기물을 톱밥 및 미생물과 교반할 수 있도록 한 유기물 소멸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2)의 밑판(4)에 중앙에는 굴대 설치되는 회전축(52)의 하단을 안착할 수 있도록 축고정구(6)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단 외주면에는 원주를 따라 복수 개의 장착공(3-1)이 형성된 플랜지(3)를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교반통(2)의 상측에 장착되는 상부커버(7)의 내측에는 장착공(7-1)을 형성하여 상기 플랜지(3)의 장착공(3-1)과 연통되게 형성시켜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시켜 준 것과;
    상기 상부커버(7)의 상측에는 유기물과 톱밥 및 미생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8)을 연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투입구(8)의 상측으로 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9)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과;
    상기 상부커버(7)의 상측에는 교반과정 중 발생하는 악취를 강제흡입하여 자켓(11)의 내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양측에 흡기관(31)과 배기관(32)이 각각 형성된 배기송풍기(30)를 형성한 것과;
    상기 교반통(2)과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자켓(11)의 사이에는 배기송풍기(30)의 배기관(32)를 통해 인입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내부에 탈취액이 충진된 탈취부(20)를 형성한 것과;
    상기 자켓(11)의 일측 외면에는 배출관(33)을 형성하고, 탈취부(20)를 거친 공기를 배출관(33)을 통해 이송시켜 열교환기(34)를 통과하도록 한 것과;
    상기 열교환기(34)의 상측에는 방향제통(35)을 형성하여 열교환기(34)를 통과한 공기가 방향제통(35)의 내부를 지나면서 방향제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과;
    상기 교반통(2)의 하단 일측에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열교환기(34)를 통하여 강제흡입하여 1차 가온된 흡입된 공기를 히팅시켜 밑판(4)의 에어공(5)에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히팅에어공급부(40)를 형성한 것과;
    상기 교반통(2)의 내부에 굴대 설치되는 회전축(52)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부수평금구(53)와 하부수평금구(54)를 동일 수평선상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상부수평금구(53)와 하부수평금구(54)의 하단과 상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경사지게 설치된 내부유도편(55)과 외부유도편(56)을 서로 대칭되게 형성한 것과;
    상기 상부수평금구(53)와 하부 선단과 하부수평금구(54)의 상부 선단에는 리본형스크류(60)의 각 선단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52)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리본형스크류(60)의 내주면에는 수평지지바(57)를 형성하며, 상기 수평지지바(57)와 수평지지바(57) 사이에는 수직하게 수직지지바(58)를 일체로 장착시켜 고정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소멸처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배기송풍기(30)의 배기관(32)를 통해 인입된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부(20)는:
    교반통(2)과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자켓(11) 사이에는 탈취조(21)를 형성시켜 준 것과;
    상기 자켓(11)의 상부에는 탈취조(21)의 내측으로 굴대 설치되어 탈취액을 흡입하여 노즐(23)에 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양측에 흡입관(25)과 배기관(26)이 각각 형성된 펌프(24)을 형성한 것과;
    상기 탈취조(21)의 상단에는 노즐(23)을 형성하여 배기관(26)을 통해 공급된 탈취액을 분사시켜 악취를 포섭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소멸처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신선한 공기를 열교화기를 통하여 강제흡입하여 흡입된 공기를 히팅시켜 밑판(4)의 에어공(5)에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히팅에어공급부(40)는:
    외부의 공기를 강제흡입하여 히터(44)에 이송시켜 줄 수 있도록 급기송풍기(41)의 양측에는 흡기관(42)과 배기관(43)을 각각 형성시켜 준 것과;
    상기 배기관(43)을 통해 이송된 공기를 예열시켜 주는 히터(44)와;
    상기 예열된 공기를 이송시켜 밑판(4)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에어공(5)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에어공급관(4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소멸처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리본형스크류(60)의 저면에 중앙 또는 외측선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강편(61)을 일체로 형성하여 T형스크류(65) 또는 ㄱ형스크류(66)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소멸처리기.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탈취조(21)의 내부에는 볼탑(13)을 형성하여 내부에 충진된 탈취액의 소모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보충수유입관(13-1)을 통해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소멸처리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교반통(2)과 상부커버(7)를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은:
    서로 연통지게 형성된 장착공(7-1)(3-1)의 상측으로 볼트(70)를 관통시켜 장전하고, 관통된 볼트(70)의 하단을 너트(71)를 체결하여 결합시켜 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소멸처리기.
KR1020080028149A 2008-03-27 2008-03-27 유기물 소멸처리기 KR100970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149A KR100970233B1 (ko) 2008-03-27 2008-03-27 유기물 소멸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149A KR100970233B1 (ko) 2008-03-27 2008-03-27 유기물 소멸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901A true KR20090102901A (ko) 2009-10-01
KR100970233B1 KR100970233B1 (ko) 2010-07-16

Family

ID=41532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149A KR100970233B1 (ko) 2008-03-27 2008-03-27 유기물 소멸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23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804A (ko) * 2014-09-15 2016-03-23 김채식 교반 스크류
CN105903399A (zh) * 2016-06-15 2016-08-31 安徽省绿巨人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污泥搅拌装置组件
CN106076179A (zh) * 2016-06-15 2016-11-09 安徽省绿巨人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消化池污泥搅拌装置
KR102266395B1 (ko) * 2021-01-21 2021-06-17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슬러지용 호퍼
CN115666026A (zh) * 2022-09-15 2023-01-31 南京晗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深基坑监测测点保护装置
CN117069174A (zh) * 2023-08-31 2023-11-17 宜兴龙驰药化设备有限公司 一种活毒废水灭活处理系统及其处理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822B1 (ko) * 2019-06-11 2020-09-24 김홍휘 폐수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394B1 (ko) * 1997-01-24 1999-07-01 구자홍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804A (ko) * 2014-09-15 2016-03-23 김채식 교반 스크류
CN105903399A (zh) * 2016-06-15 2016-08-31 安徽省绿巨人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污泥搅拌装置组件
CN106076179A (zh) * 2016-06-15 2016-11-09 安徽省绿巨人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消化池污泥搅拌装置
KR102266395B1 (ko) * 2021-01-21 2021-06-17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슬러지용 호퍼
CN115666026A (zh) * 2022-09-15 2023-01-31 南京晗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深基坑监测测点保护装置
CN115666026B (zh) * 2022-09-15 2023-09-19 南京晗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深基坑监测测点保护装置
CN117069174A (zh) * 2023-08-31 2023-11-17 宜兴龙驰药化设备有限公司 一种活毒废水灭活处理系统及其处理工艺
CN117069174B (zh) * 2023-08-31 2024-04-19 宜兴龙驰药化设备有限公司 一种活毒废水灭活处理系统及其处理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0233B1 (ko) 201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233B1 (ko) 유기물 소멸처리기
KR20110038500A (ko) 세정탑을 이용한 발효건조실과 축사의 오염공기 탈취장치
KR101557338B1 (ko) 음식물 처리기
KR102311767B1 (ko) 폐유기물 처리기
KR10185561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WO2015125962A1 (ja) 廃棄物処理装置および廃棄物処理方法
KR101261453B1 (ko) 미생물을 이용한 교반통 회전타입의 음식물처리장치
KR200346843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61321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0214056Y1 (ko) 음식물쓰레기의고속진공발효건조기
KR100806268B1 (ko) 음식물쓰레기 교반 처리장치
JP2015160767A (ja) 廃棄物処理装置
JP2001070922A (ja) 微生物を利用した食品廃棄物の分解処理機
CN218889526U (zh) 一种牛粪循环利用装置
KR20010091622A (ko)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
CN214060359U (zh) 一种带辅助加热装置的厨余垃圾处理机
KR100245300B1 (ko) 음식물분해기의 개스처리장치 및 방법
JP2003225689A (ja) 微生物担体チップを用いた汚水浄化処理システム
JP2001179223A (ja) 生ゴミ処理装置
CN212158090U (zh) 一种有机肥加工用烘干除臭装置
CN220265466U (zh) 一种多循环高效厌氧废水处理装置
CN212741099U (zh) 一种污泥处理用好氧发酵装置
KR20180106072A (ko) 공동주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950007393Y1 (ko) 연소식 탈취에너지 재활용 유기물 고속발효장치
JPH09299915A (ja) 生ゴミ等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