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603Y1 -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603Y1
KR200206603Y1 KR2020000020591U KR20000020591U KR200206603Y1 KR 200206603 Y1 KR200206603 Y1 KR 200206603Y1 KR 2020000020591 U KR2020000020591 U KR 2020000020591U KR 20000020591 U KR20000020591 U KR 20000020591U KR 200206603 Y1 KR200206603 Y1 KR 200206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hot air
drying cylinder
cylinder
outerm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용
Original Assignee
박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3946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20005917A/ko
Application filed by 박수용 filed Critical 박수용
Priority to KR2020000020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6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6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2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helical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Abstract

본 고안은 하· 폐수 슬러지, 축산 분뇨,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슬러지(sludge)상의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스크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류가 설치된 다수의 건조용 원통을 인접하게 나란히 배치하고, 최상단의 건조용 원통에 주입된 건조대상물은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최하단의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출되고, 최하단의 건조용 원통으로 주입된 열풍은 하부에서 상부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도록 최상단의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기되는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스크류가 설치된 다수의 건조용 원통과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에 있어서, 단열재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건조로 하우징과; 상기 건조로 하우징 내에 인접하게 나란히 설치된 다수의 건조용 원통과; 상기 다수의 건조용 원통 중 일측 최외각 건조용 원통에 형성된 건조대상물 투입구 및 열풍 배기구와; 상기 다수의 건조용 원통 중 타측 최외각 건조용 원통에 형성된 건조대상물 배출구와 열풍 주입구와; 이웃하는 상기 건조용 원통의 단부에 교호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건조대상물 및 열풍 입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일측의 최외각 건조용 원통에 주입된 건조대상물은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타측의 최외각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출되고 타측의 최외각의 건조용 원통으로 주입된 열풍은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일측의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Multistage screw dry device}
본 고안은 하·폐수 슬러지, 축산 분뇨,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슬러지(sludge)상의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스크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류가 설치된 다수의 건조용 원통을 인접하게 나란히 배치하고, 최상단의 건조용 원통에 주입된 건조대상물은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최하단의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출되고, 최하단의 건조용 원통으로 주입된 열풍은 하부에서 상부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도록 최상단의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기되는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 폐수 슬러지, 음식물 쓰레기 및 축산 분뇨와 같은 유기성 오염물질은 수분 함량이 많기 때문에 이송 및 보관이 어려우며 쉽게 부패되어 악취가 발생되고 매립시 침출수의 발생량이 많아 하천이나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되므로 신속히 탈수하여 퇴비나 사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러지상 오염물질의 처리는 미생물을 이용한 미생물학적 처리방법과 고열을 이용하여 건조시키거나 증발시키는 물리학적 처리방법이 있는데, 미생물학적 처리방법은 환경 친화적이며 경제적인 장점은 있으나 처리 기간이 길고 기후나 운전조건 등에 따라 처리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물리학적 처리방법은 신속하고 간단한 반면에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어 경제적인 운영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최근 폐타이어 열분해 장치와 같이 버려지는 폐기물로부터 열에너지를 회수하는 장치들이 개발됨에 따라 슬러리상의 오염물질을 저렴한 비용으로 물리학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건조는 건조대상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건조대상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대기 중으로 증발시킴으로써 운송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건조물을 다른 목적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건조된 오염물질은 침출수의 발생 없이 매립할 수 있고 별도의 처리공정 없이 또는 간단한 후속처리만으로 배합사료의 원료 및 퇴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소각시켜 연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건조는 크게 열풍 건조방식과 열전도 건조방식이 있으며, 열풍 건조방식은 열풍의 가열방식에 따라 직접가열과 간접가열 방식이 있다. 직접가열 방식은 중유, LPG 등의 연소가스를 공기로 희석시켜 직접 주입하는 방식이고, 간접가열 방식은 연소가스를 직접 주입하지 않고 열풍 발생기나 열교환을 통해 생성된 열풍을 건조기로 주입하는 것이다.
그리고 열전도 건조방식은 열풍 또는 열매체가 건조대상물과 직접 접촉되는 대신에 금속판 등을 사이에 두고 접촉함으로써 표면에서의 열전도에 의해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수분함량이 높은 건조대상물은 가열된 넓은 면적에 수분이 접촉되기 때문에 건조 효율이 높아진다. 반면에 가열된 금속판과 접촉될 수 있는 수분함량이 적은 건조대상물은 고온의 열풍과 직접 접촉하는 방식이 더욱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반고체상태의 오염물질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키기 위한 열풍건조 방식에 관련된다.
도1 및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먼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참조번호 110은 내부에 스크류가 설치된 건조용 원통이다. 상기 건조용 원통(110)은 직사각형의 하우징(120) 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20)의 하부에는 LNG 가스버너(15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LNG 가스버너(150)의 연소가스는 하우징 내의 온도를 상승시켜 건조용 원통(100)의 외주면을 가열시킨다. 그리고 상기 건조용 원통(100)을 가열시키면서 상부로 상승된 연소가스는 열교환기(13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열풍배기구(140)를 통해 외기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130)에서 열 교환된 열풍은 상기 건조용 원통(110)의 일측으로 주입되어 타측으로 배기되며 상기 건조용 원통(100)의 일측으로 주입된 건조대상물은 타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용 원통(100)에 주입된 열풍은 건조대상물과 접촉되어 건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100)는 하나의 하우징(140) 내에 열전도 건조방식과 열풍 건조방식을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건조효율을 향상시킨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100)는 각 건조용 원통(11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기 때문에 건조로의 크기가 커지고 하우징 전체를 가열시키기 위해 많은 열 에너지가 투입되어야 하므로 열에너지 소비량이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2에 도시된 다른 종류의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200)는 다수의 건조용 원통(210)을 인접하게 나란히 배치하고 이웃한 건조용 원통(210)의 단부가 교호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일측에서 주입된 건조대상물이 점차적으로 이웃하는 건조용 원통(210)으로 이송되어 타측의 최외각 건조용 원통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2788호 '원적외선 스크류 건조기'에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원적외선 스크류 건조기(200)는 인접하게 나란히 배치되어 단부들이 지그재그로 연결된 다수의 건조용 원통(210)과, 상기한 각각의 건조용 원통(210)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다수의 스크류 샤프트 조립체(220)와, 상기한 다수의 스크류 샤프트 조립체(220)에 연결된 구동수단(300)과, 상기한 다수의 건조용 원통(210)에 연통되어 있는 열매체 공급수단(400) 및 배출수단(500)과, 상기한 다수의 건조용 원통(210)의 상부에 열결되어 있는 환기수단(6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200)는 각각 건조용 원통(210)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열매체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열매체 통로의 일측 단부에는 열매체 공급수단(400)을 설치하고 타단에는 열매체 배출수단(500)을 설치하여 각 건조용 원통(210)의 양단부에 열매체를 공급부와 배출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각각의 건조용 원통(100)의 일측 상부에는 흡기관을 설치하고 타측 상부에는 배기관을 설치하여 각각의 건조용 원통(210)에 환기수단(60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기술의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200)는 최외각 건조용 원통(210)애 주입된 건조대상물은 이웃하는 건조용 원통(210)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다른측의 최외각 건조용 원통(210)으로 배출될 뿐이고 열매체와 환기용 공기는 각각의 건조용 원통(210)의 일측에 공급되어 타측으로 배출되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상기한 종래 기술은 건조용 원통(210)마다 열매체 통로, 열매체 공급 및 배출수단 그리고 환기수단을 각각 설치하여야 하므로 장치가 복잡해지고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와 공급된 열풍의 열에너지가 미처 다 소비되지 못하고 배출되어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스크류가 설치된 다수의 건조용 원통을 인접하게 나란히 배치하고, 최상단의 건조용 원통에 주입된 건조대상물은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최하단의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출되고, 최하단의 건조용 원통으로 주입된 열풍은 하부에서 상부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도록 최상단의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기되는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의 건조용 원통을 간격을 두지 않고 나란히 설치함으로써 건조기 전체의 용적을 최소화한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최상단의 건조용 원통과 최하단의 건조용 원통에 건조대상물 및 열풍의 투입구(주입구)와 배출구(배기구)를 설치하고 각각의 건조용 원통에는 건조대상물 및 열풍의 입출구를 교호적으로 대응되게 설치함으로써 열풍의 체류시간을 길게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킨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건조대상물의 이송방향과 열풍의 이송방향을 반대로 하여 증발된 증기가 재 흡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증발효율을 향상시킨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의 측면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건조로 하우징 20 : 건조대상물 투입구
25 : 건조대상물 배출구 30 : 열풍 배기구
35 : 열풍 주입구 50 : 건조용 원통
53 : 스크류 샤프트 55 : 스크류
57 : 건조대상물과 열풍 입출구 60 : 구동수단
65 : 벨트 67 : 구동모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는, 내부에 스크류가 형성된 다수의 건조용 원통과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에 있어서, 단열재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건조로 하우징과; 상기 건조로 하우징 내에 인접하게 나란히 설치된 다수의 건조용 원통과; 건조대상물 투입구 및 열풍 배출구가 형성된 일측의 최외각 건조용 원통과; 건조대상물 배출구와 열풍 주입구가 형성된 타측의 최외각 건조용 원통과; 이웃하는 상기 건조용 원통의 단부에 교호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건조대상물 및 열풍 입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일측의 최외각 건조용 원통에 주입된 건조대상물은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타측의 최외각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출되고 타측의 최외각의 건조용 원통으로 주입된 열풍은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일측의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건조대상물의 이송방향과 열풍의 이송방향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건조로 하우징이 수직하게 설치되어 최상단 건조용 원통에 주입된 건조대상물은 연속적으로 하부로 이송되어 최하단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출되고 최하단 건조용 원통으로 주입된 열풍은 연속적으로 상승되어 최상단의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단열재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건조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인접하여 나란히 설치되는 다수의 건조용 원통과, 상기 건조용 원통 중 일측의 최외각 건조용 원통에 설치된 건조대상물 투입구 및 열풍 배출구와, 상기 건조용 원통 중 타측의 최외각 건조용 원통에 설치된 건조대상물 배출구 및 열풍 주입구와, 상기 건조용 원통 내에 설치되어 건조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건조대상물 및 열풍이 연속적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건조용 원통의 단부에 교호적으로 설치된 건조대상물 및 열풍 입출구와, 상기 스크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건조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참조번호 1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건조로 하우징이다. 상기 건조로 하우징(10)은 단열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면에 대해 수평하거나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수직하게 설치된 경우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로 하우징(10)의 상부에는 건조대상물 투입구(20)와 열풍 배기구(3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건조대상물 배출구(25)와 열풍 주입구(35)가 형성되어 건조대상물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고 열풍은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즉, 참조번호 50은 상기 건조로 하우징(1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건조용 원통이다. 상기 건조용 원통(50)에는 스크류 샤프트(53)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53)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스크류(5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53)의 일측에는 구동수단(60)이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 샤프트(53)를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건조로 원통(50)은 이웃하는 건조로 원통(50)의 외주면이 접촉되도록 인접하게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최상단에 설치된 건조로 원통(50)에는 상기 건조대상물 투입구(20)와 열풍 배기구(30)에 대응되는 각각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대상물 투입구(20)를 통해 공급된 건조대상물은 먼저 최상단에 설치된 건조용 원통(50)으로 주입되고 회전하는 스크류(55)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55)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60)은 스크류 샤프트(53)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풀리(63)와 풀리(63)를 연결시켜주는 벨트(65) 및 상기 벨트(65)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스프라켓 휠과 체인으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건조용 원통(50)의 단부에는 이웃하는 건조용 원통(50)과 연통되도록 건조대상물 입출구(57)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55)를 따라 일측 단부로 이송된 건조대상물은 상기 건조대상물 입출구(57)를 통해 이웃한 건조용 원통(50)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웃한 건조용 원통(50)은 스크류의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송된 건조대상물은 반대쪽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어 타측의 단부로 이송된 건조대상물은 또다시 단부에 형성된 건조대상물 입출구(57)를 통해 이웃하는 건조용 원통(50)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에서 투입된 건조대상물은 회전하는 스크류(55)와 건조용 원통(50)의 단부에 형성된 건조대상물 입출구(57)를 통해 하방으로 연속하여 이동되게 된다.
한편, 최하단에 설치된 건조로 원통(50)에는 건조대상물 배출구(25)와 열풍 주입구(35)에 대응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열풍 발생기나 열교환기로부터 생성된 열풍은 먼저 상기 열풍 주입구(35)를 통해 최하단의 건조용 원통(50)으로 주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열풍은 소정의 압력으로 주입되므로 스크류와 건조대상물 사이의 틈새를 따라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열풍은 건조용 원통(50)의 단부에 형성된 열풍 입출구(57)를 통해 이웃한 건조용 원통(50)으로 상승되고 또 다시 다른측 단부로 이송되어 이웃하는 건조용 원통(50)으로 상승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는 건조대상물의 이송방향과 열풍의 이송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다. 이렇게 건조대상물의 이동방향과 열풍의 이동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하는 이유는 첫째, 초기에 투입된 건조대상물은 수분을 많이 가진 물렁물렁한 상태이므로 수분이 잘 증발되어 건조대상물 내부와 외부의 온도경사가 그리 높지 않아도 된다. 건조가 어느 정도 진행된 후기의 건조대상물은 표면이 딱딱하게 건조되어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어 빠져 나오기 어려우므로 내부와 외부의 온도경사가 높아야 한다. 따라서 고온의 열풍을 최종 건조대상물의 출구에 투입함으로써 딱딱한 건조대상물에 대한 온도경사를 높여줌으로써 열풍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이다.
또한 열풍과 건조대상물이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전 과정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최종 건조대상물과 함께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일부 수증기는 딱딱하게 건조된 건조물에 다시 흡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열풍을 건조대상물의 배출구 쪽에 주입함으로써 건조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의 작용을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구동모터(67)를 구동시켜 벨트(65)와 풀리(63)를 통해 각 건조용 원통(50)에 설치된 스크류 샤프트(53)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스크류(55)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건조로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된 건조대상물 투입구(20)에 건조대상물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건조대상물은 수분 함유율이 비교적 적은 오염물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대상물 투입구(20)로 투입된 건조대상물은 최상단의 건조용 원통(50)내에서 일측방향으로 수평이동 된다. 그리고 일측 단부에서는 건조대상물 또는 열풍 입출구(57)를 통해 하단의 건조로 원통(50)으로 이송된다. 이때 하단의 건조로 원통(50)은 스크류(55)의 경사방향이 반대이므로 건조대상물은 반대쪽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어 다른측 단부에도 건조대상물 입출구(57)를 통해 하단의 이웃하는 건조용 원통(50)으로 이송되며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는 건조대상물이 건조되는 상태에 따라 천천히 또는 빠르게 회전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용 원통(50)으로 공급되는 건조대상물의 공급량은 건조용 원통(50)을 가득 채우지 않은 정도로 운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열풍이 스크류 샤프트를 따라 회전이송할 틈새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반면에 열풍발생기나 열교환기를 통과한 생성된 열풍은 최하단 건조용 원통(50)에 형성된 열풍 주입구(35)를 통해 유입된다. 상기 열풍은 여러 개의 건조용 원통(50)을 거쳐 최상단 건조용 원통(50)에 형성된 열풍 배기구(30)로 빠져나간다. 이때 배기구(30)에는 송풍기를 설치하여 열풍과 수증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에서 주입된 열풍과 건조대상물은 서로 접촉되어 수분을 증발시킨다. 특히, 건조용 원통(50)으로 주입된 건조대상물은 목표함수율에 미치지 않은 덩어리 상태이며 회전하는 스크류의 날개에 의해 끊임없이 교반되고 작은 크기로 파쇄되어 내부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게 된다.
이때 열풍은 건조대상물의 이송방향과 반대이므로 교반되고 파쇄되면서 이송되는 건조대상물에 열에너지를 가하는 동시에 건조대상물에서 증발된 수증기를 함께 끌고 나가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는 다수의 건조용 원통을 인접하게 나란히 설치하여 전체 건조기의 용적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건조용 원통 내에 회전하는 스크류를 설치하여 건조대상물을 분쇄하여 교반함으로써 비교적 수분함량이 적은 덩어리 상태의 건조대상물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최상단의 건조용 원통에 공급된 건조대상물은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최하단의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출되고, 최하단의 건조용 원통으로 주입된 열풍은 하부에서 상부로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최상단의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기됨으로써 건조기의 구조가 간단하며 열풍의 체류시간을 최대로 길게 함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는 건조대상물의 이송방향과 열풍의 이송방향을 반대로 하여 증발된 증기가 다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증발된 증기를 신속히 배출시킴으로써 건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에 스크류가 설치된 다수의 건조용 원통과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에 있어서,
    단열재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건조로 하우징과;
    상기 건조로 하우징 내에 인접하게 나란히 설치된 다수의 건조용 원통과;
    상기 다수의 건조용 원통 중 일측 최외각 건조용 원통에 형성된 건조대상물 투입구 및 열풍 배기구와;
    상기 다수의 건조용 원통 중 타측 최외각 건조용 원통에 형성된 건조대상물 배출구와 열풍 주입구와;
    이웃하는 상기 건조용 원통의 단부에 교호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건조대상물 및 열풍 입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일측의 최외각 건조용 원통에 주입된 건조대상물은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타측의 최외각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출되고 타측의 최외각의 건조용 원통으로 주입된 열풍은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일측의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 하우징은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어 최상단 건조용 원통에 주입된 건조대상물은 연속적으로 하부로 이송되어 타측의 최하단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출되고 최하단 건조용 원통으로 주입된 열풍은 연속적으로 상승되어 최상단의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KR2020000020591U 2000-07-11 2000-07-19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KR200206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591U KR200206603Y1 (ko) 2000-07-11 2000-07-19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461A KR20020005917A (ko) 2000-07-11 2000-07-11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KR2020000020591U KR200206603Y1 (ko) 2000-07-11 2000-07-19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461A Division KR20020005917A (ko) 2000-07-11 2000-07-11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603Y1 true KR200206603Y1 (ko) 2000-12-01

Family

ID=2663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591U KR200206603Y1 (ko) 2000-07-11 2000-07-19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60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350B1 (ko) * 2001-04-19 2003-08-27 인성실업(주) 크릴 건조장치
KR20160015053A (ko) 2014-07-30 2016-02-12 주식회사 담푸른 유기성 슬러지 연속 건조 장치
KR20170000032U (ko) * 2016-12-27 2017-01-02 이경희 소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230072723A (ko)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이알테크 폐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다단식 탄화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350B1 (ko) * 2001-04-19 2003-08-27 인성실업(주) 크릴 건조장치
KR20160015053A (ko) 2014-07-30 2016-02-12 주식회사 담푸른 유기성 슬러지 연속 건조 장치
KR20170000032U (ko) * 2016-12-27 2017-01-02 이경희 소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484850Y1 (ko) * 2016-12-27 2017-10-31 이경희 소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230072723A (ko)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이알테크 폐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다단식 탄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985B1 (ko) 나선 축류식 열풍 건조기
JP4594409B2 (ja) 高速発酵乾燥装置
KR102057682B1 (ko) 오니 건조장치
KR101830270B1 (ko)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0852024B1 (ko) 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건조장치
KR20020005917A (ko)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KR200405006Y1 (ko) 차량탑재형 이동식 슬러지 건조장치
KR101210376B1 (ko) 하수슬러지 또는 음식물류폐기물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모듈형 건조장치
KR200206603Y1 (ko)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KR20010109933A (ko) 폐열풍을 이용하는 무산소 슬러지 건조장치
KR200388610Y1 (ko) 유기성 폐기물 탄화장치
CN217127251U (zh) 一种污泥处理系统
KR200387714Y1 (ko)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 동 식물류의 건조 탄화처리장치
KR100539160B1 (ko) 슬럿지 건조장치
KR20150134712A (ko) 직접 가열식 드럼형 슬러지 건조장치
KR100860595B1 (ko) 축열식 레일 연속 오니 건조장치
KR200171942Y1 (ko) 열매체와 공압을 이용한 발효 건조 처리장치
KR200285274Y1 (ko) 스크류형 슬러지 건조장치
KR20020005918A (ko) 폐타이어 열분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상 건조대상물건조장치
KR100874745B1 (ko) 간접열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다단식 탄화장치
KR20000050782A (ko) 고속 건조장치
KR100561484B1 (ko) 폐열 및 폐가스를 이용한 오폐수 및 상하수도 슬러지케이크 건조장치
KR200396777Y1 (ko) 폐기물 건조장치
KR200432385Y1 (ko) 원적외선 건조시스템
KR20020005916A (ko) 직화열풍을 이용한 회전 드럼식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