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276A -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276A
KR20170127276A KR1020160057707A KR20160057707A KR20170127276A KR 20170127276 A KR20170127276 A KR 20170127276A KR 1020160057707 A KR1020160057707 A KR 1020160057707A KR 20160057707 A KR20160057707 A KR 20160057707A KR 20170127276 A KR20170127276 A KR 20170127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food waste
combustible
pyrolysis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270B1 (ko
Inventor
김영호
윤동희
Original Assignee
김영호
윤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윤동희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20160057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270B1/ko
Publication of KR20170127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30Pyroly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6/00Waste heat recuperation
    • F23G2206/20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이 다수의 공급노즐이 연설되는 음식 폐기물 공급부를 통하여 간접 가열장치의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와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 내부에 동시에 적량씩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이 간접 가열에 의해 거의 완전 연소 됨과 동시에 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상기 공급롤러를 통하여 가연성 폐기물을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 내부에 용이하게 공급하면서, 쓰레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음식 폐기물이 원활하게 이송되며, 간접가열에 의해 열분해 및 고형화 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이 간접 가열에 의해 열분해 된 후, 증기 상태로 배출되어 열교환기 내부에서 열분해유로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열분해유를 산업에 유용한 재생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온의 열에 의해서 열 분해되고 잔존하는 음식물 고형화 쓰레기는 동물사료 또는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의 간접 가열에 의해 연소가스를 완전 연소에 가까운 수준으로 배출하여 산업공해를 가일층 줄일 수 있도록한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간접 가열장치(100)의 내부 양측에 폐기물 공급부(120)를 통하여 가연성 폐기물이 각각 공급되며, 음식 폐기물 공급부(170)와 연설되는 다수의 공급노즐(171)을 통해 음식 폐기물이 동시에 간접 가열장치(100)의 내부에 공급토록 되고,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양측 내부 하측에는 가열 챔버(180)와 그 상측에 다수의 격판(210)이 횡설되고, 상기 각각의 격판(210) 상측에는 모터(M)와 연설되어 회전 구동하는 폐기물 이송 스크류(230)가 각각 설치되는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가 위치되며,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의 상측에는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가 설치되고, 상기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에는 다수의 공급롤러(26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때 상기 공급롤러(260)는, 그 후방인 간접 가열장치(100)의 중앙부 방향으로 쓰레기 이송스크류(270)가 일체로 분할 구성되는 한편, 상기 양측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의 상측에는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의 내부에서 열 분해되어 증기상태의 가스로 배출토록 열분해가스 배출덕트(310)와 다수의 냉각관(321)이 연설되는 열교환기(320)가 연설되며,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중앙부 일측에는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 및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배출토록 연소가스 덕트(360) 및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중앙부 타측에는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90)가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A DISPOSAL SYSTEM FOR WASTE FOODS AND COMBUSTIBLE RUBBISH USING IN HEAT SOURCE}
본 발명은 간접 가열장치에 투입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을 간접열로 가열함으로써 열분해를 통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짐과 아울러, 열분해시 발생되는 열분해 가스를 응축시켜 열분해유를 추출하며, 음식 폐기물을 고형화하여 동물사료 또는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로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이 폐기물 공급부와 연통 연설되는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 및 다수의 공급노즐이 연설되는 음식 폐기물 공급부를 통하여 간접 가열장치의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와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 내부에 동시에 적량씩 균일하게 공급토록 되며,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와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를 통하여,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이 간접 가열에 의해 거의 완전 연소되며, 동시에 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상기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에 다수 개 횡설되는 공급롤러와 그 후방인 쓰레기 이송스크류가 일체로 분할 구성되어, 상기 공급롤러를 통하여 가연성 폐기물을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 내부에 용이하게 공급하면서, 쓰레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음식 폐기물이 원활하게 이송되며, 간접가열에 의해 열분해 및 고형화 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이 간접 가열에 의해 열분해 된 후, 증기 상태로 배출되어 열교환기 내부에서 열분해유로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열분해유를 산업에 유용한 재생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온의 열에 의해서 열 분해되고 잔존하는 음식물 고형화 쓰레기는 동물사료 또는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간접 가열장치의 연소가스 덕트를 통하여 배출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는 하우징의 가열공간에 분사되는 물을 스팀상태로 가열하여 순환용 배관을 통하여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의해 효율적인 에너지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의 간접 가열에 의해 연소가스를 완전 연소에 가까운 수준으로 배출하여 산업공해를 가일층 줄일 수 있도록 한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생활하는 도시의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폐합성수지나 폐비닐 등과 같은 각종 가연성 폐기물 등과 같은 쓰레기로 인하여 도시의 환경이 파괴되며, 또한 상기 가연성 폐기물의 처리에 많은 비용과 에너지를 소비하게 됨은 물론, 상기 가연성 폐기물의 소각 처리에 따른 공해 문제를 유발하게 되어, 도시의 환경 보존의 차원에서 이와 같은 가연성 폐기물의 발생량을 줄이고, 에너지를 절약함으로써 환경의 보존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같은 가연성 폐기물 이외에도, 인간이 생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음식 폐기물 역시, 그 처리과정에서 쓰레기 매립장에 매립되거나, 일부는 건조 과정을 거쳐 동물의 사료나 식물의 비료로 가공되거나 혹은 소각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식 폐기물을 매립하여 처리하게 되는 경우에는, 그 처리 과정에서 극심한 악취 및 오수가 발생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음식 폐기물을 건조 시켜 동물의 사료나 식물의 비료로 가공 처리하게 되는 경우에는 모든 음식 폐기물을 그 대상으로 할 수 없음은 물론, 상기 음식 폐기물을 소각 처리하게 되는 경우에도, 소각에 따른 공해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은 물론, 음식 폐기물의 소각에 따른 에너지의 소비와 처리 비용에 비하여,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효율성이 없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이 폐기물 공급부와 연통 연설되는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 및 다수의 공급노즐이 연설되는 음식 폐기물 공급부를 통하여 간접 가열장치의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와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 내부에 동시에 적량씩 균일하게 공급토록 되며,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와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를 통하여,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이 간접 가열에 의해 거의 완전 연소되며, 동시에 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상기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에 다수 개 횡설되는 공급롤러와 그 후방인 쓰레기 이송스크류가 일체로 분할 구성되어, 상기 공급롤러를 통하여 가연성 폐기물을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 내부에 용이하게 공급하면서, 쓰레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음식 폐기물이 원활하게 이송되며, 간접가열에 의해 열분해 및 고형화 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이 간접 가열에 의해 열분해 된 후, 증기 상태로 배출되어 열교환기 내부에서 열분해유로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열분해유를 산업에 유용한 재생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온의 열에 의해서 열 분해되고 잔존하는 음식물 고형화 쓰레기는 동물사료 또는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간접 가열장치의 연소가스 덕트를 통하여 배출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는 하우징의 가열공간에 분사되는 물을 스팀상태로 가열하어 순환용 배관을 통하여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의해 효율적인 에너지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의 간접 가열에 의해 연소가스를 완전 연소에 가까운 수준으로 배출하여 산업공해를 가일층 줄일 수 있는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을 제공 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간접 가열장치에 투입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을 각각 간접열로 가열하여 열 분해를 통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고 열 분해시 발생되는 열분해 가스를 응축시켜 열분해유를 추출하며, 음식 폐기물을 고형화 하기 위한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폐기물이 이송토록 간접 가열장치의 외부 일측 중앙에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 컨베이어를 개재하여 다수의 컨베이어가 연설되어, 상기 간접 가열장치의 내부 양측에 가연성 폐기물이 각각 공급되는 폐기물 공급부;
상기 폐기물 공급부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폐기물 공급부로 부터 공급되는 가연성 폐기물이 투입되도록 하측에 투입관이 연통 연설되는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
상기 간접 가열장치의 외부 일측에는 음식물쓰레기 저장탱크와 공급펌프를 개재하여 음식물쓰레기 이송라인이 연통 연설되는 음식 폐기물 공급부;
상기 간접 가열장치의 양측 내부 하측에 마련되어, 고열의 에어가 공급토록 단부에 다수의 고열 공급홀이 형성되는 가열 챔버;
상기 가열 챔버의 상측에는 지지대를 개재하여 지지판이 횡설되며, 상기 지지판 상측에는 다수의 격판이 횡설되고, 상기 각각의 격판 상측에는 모터와 연설되어 회전 구동하는 폐기물 이송 스크류가 각각 설치되는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 상측에는 다수의 지지대를 개재하여 가연성 폐기물을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에 공급토록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다수의 공급롤러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공급롤러는, 그 후방인 간접 가열장치의 중앙부 방향으로 쓰레기 이송스크류가 일체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쓰레기 이송스크류 하측에는 음식 폐기물의 낙하를 방지하면서,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호형 안내구가 길게 횡설되는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
상기 양측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 상측에 연통 연설되어,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 내부에서 열 분해되어 증기상태의 가스로 배출토록 설치되는 열분해가스 배출덕트;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덕트와 연통 연설되어, 열분해 가스를 공랭 또는 수냉식으로 냉각시켜 열분해유를 추출하도록 연설되는 열교환기;
상기 간접 가열장치의 중앙부 일측에 연통 연설되어,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 및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배출토록 설치되는 연소가스 덕트;
상기 연소가스 덕트 상부에 설치되어,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토록 설치되는 배기구; 및
상기 간접 가열장치의 중앙부 타측에는 상기 간접 가열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을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의 하측 투입관 내부에는, 간접 가열장치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분해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사전에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에서 투입된 가연성 폐기물이 남아 있도록 하며, 상기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의 하측 투입관은, 내측에 실린더와 연설되는 로드의 단부에 가연성 폐기물을 일정량씩 밀어 공급하는 안내판이 착설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식 폐기물 공급부의 음식물쓰레기 이송라인은 간접 가열장치의 양측으로 횡설되어 하측으로 다수의 공급노즐이 연설되며,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 지지판 상측에는 다수의 격판이 횡설되는 한편,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 각 격판 상측에 설치된 경사진 격리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 공급롤러 상부에는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의 하측 투입관이 위치되며, 상기 공급롤러의 후방인 쓰레기 이송스크류의 상부에는 음식 폐기물이 공급토록 음식 폐기물 공급부의 공급노즐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 공급롤러 주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 설치되어, 상기 공급롤러 상측으로 투입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하측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 내부에는 상기 폐기물 이송 스크류로서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넓게 펼쳐주기 위한 회전 교반기가 모터와 연설되는 회전축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토록 연설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폐기물 이송 스크류로서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넓게 펼쳐주기 위하여 설치되는 회전 교반기는,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양측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 쓰레기 이송스크류 단부에는 고형화 쓰레기 배출구가 연설되어, 간접 가열에 의해 음식 폐기물이 고형화되어 이송된 고형화 쓰레기가 배출토록 배출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소가스 덕트 내부에는 연소가스의 열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외부의 필요한 곳으로 공급토록 나선형 유로가 설치된 하우징이 내설되어, 순환용 배관과 연통 연설토록 되며, 상기 연소가스 덕트 상부에는 하우징이 설치되어, 연소가스의 열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외부의 필요한 곳으로 공급토록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나선형 유로가 상기 하우징의 내,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나선형 유로 사이에는 가열 공간이 형성되어 순환용 배관과 연통 연설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간접 가열장치의 전후 및 좌우측면에는 상기 간접 가열장치의 외면으로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여 가열하기 위한 온수배관이 길게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간접 가열장치의 하우징 상측에는 다수의 가스 배출관을 개재하여 배기구가 연설되며, 상기 가스 배출관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가열 공간으로 물이 분사토록 물 공급관이 연통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저부에는 열분해유 배출구가 형성되어 열분해유 배출관과 연설되는 열분해유 저장부가 연통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에 의하면,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이 폐기물 공급부와 연통 연설되는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 및 다수의 공급노즐이 연설되는 음식 폐기물 공급부를 통하여 간접 가열장치의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와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 내부에 동시에 적량씩 균일하게 공급토록 되며,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와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를 통하여,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이 간접 가열에 의해 거의 완전 연소되며, 동시에 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상기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에 다수 개 횡설되는 공급롤러와 그 후방인 쓰레기 이송스크류가 일체로 분할 구성되어, 상기 공급롤러를 통하여 가연성 폐기물을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 내부에 용이하게 공급하면서, 쓰레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음식 폐기물이 원활하게 이송되며, 간접가열에 의해 열분해 및 고형화 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이 간접 가열에 의해 열분해 된 후, 증기 상태로 배출되어 열교환기 내부에서 열분해유로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열분해유를 산업에 유용한 재생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온의 열에 의해서 열 분해되고 잔존하는 음식물 고형화 쓰레기는 동물사료 또는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간접 가열장치의 연소가스 덕트를 통하여 배출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는 하우징의 가열공간에 분사되는 물을 스팀상태로 가열하여 순환용 배관을 통하여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의해 효율적인 에너지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의 간접 가열에 의해 연소가스를 완전 연소에 가까운 수준으로 배출하여 산업공해를 가일층 줄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의 일측 정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인 가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 하측 투입관의 요부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인 음식 폐기물 처리를 위한 음식 폐기물 공급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형화 쓰레기가 배출토록 배출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고형화 쓰레기 배출구의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인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 내부에 다수 개 횡설되는 공급 롤러 및 이와 일체로 연설된 쓰레기 이송스크류를 도시한 평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인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 및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내부 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소가스 덕트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의 일측 정단면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가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 하측 투입관의 요부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인 음식 폐기물 처리를 위한 음식 폐기물 공급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형화 쓰레기가 배출토록 배출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고형화 쓰레기 배출구의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인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 내부에 다수개 횡설되는 공급 롤러 및 이와 일체로 연설된 쓰레기 이송스크류를 도시한 평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인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 및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의내부 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소가스 덕트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가연성 폐기물이 이송토록 간접 가열장치(100)의 외부 일측 중앙에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 컨베이어(110)를 개재하여 다수의 컨베이어가 연설되어,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내부 양측에 가연성 폐기물이 각각 공급되는 폐기물 공급부(120)가 설치되며, 상기 폐기물 공급부(120)의 단부에는, 상기 폐기물 공급부(120)로 부터 공급되는 가연성 폐기물이 투입되도록 하측에 투입관(140)이 길게 연통 연설되는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130)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130)의 하측 투입관(140)은 내측에 실린더(141)와 연설되는 로드(142)의 단부에 가연성 폐기물을 일정량씩 밀어 공급하는 안내판(143)이 착설토록 된다.
또한,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외부 일측에는 음식 폐기물 저장탱크(150)와 공급펌프(151)를 개재하여 음식 폐기물 이송라인(160)이 연설되며, 상기 음식 폐기물 이송라인(160)은 간접 가열장치(100)의 양측으로 횡설되어 하측으로 다수의 공급노즐(171)이 연설되는 음식 폐기물 공급부(170)와 연통 연설된다.
한편,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양측 내부 하측에는 고열의 에어가 공급토록 단부에 다수의 고열 공급홀(181)이 형성되는 가열 챔버(180)가 마련되고, 상기 가열 챔버(180)의 상측에는 지지대(190)를 개재하여 지지판(200)이 횡설되며, 상기 지지판(200) 상측에는 다수의 격판(210)이 횡설되고, 상기 각각의 격판(210) 상측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부(221)가 형성되는 격리부(220)를 개재하여 모터(M)와 연설되어 회전 구동하는 폐기물 이송 스크류(230)가 각각 설치되는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의 상측에는 다수의 지지대(250)를 개재하여 가연성 폐기물을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에 공급토록 모터(M)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다수의 공급롤러(26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때 상기 공급롤러(260)는, 그 후방인 간접 가열장치(100)의 중앙부 방향으로 쓰레기 이송스크류(270)가 일체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쓰레기 이송스크류(270) 하측에는 음식 폐기물의 낙하를 방지하면서,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호형 안내구(280)가 길게 횡설되는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의 공급롤러(260) 상부에는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130)의 하측 투입관(140)이 위치되며, 상기 공급롤러(260)의 후방인 쓰레기 이송스크류(270)의 상부에는 음식 폐기물이 공급토록 음식 폐기물 공급부(170)의 공급노즐(171)이 위치되는 한편, 상기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의 공급롤러(260) 주면에는 다수의 돌기(261)가 돌출 설치되어, 상기 공급롤러(261) 상측으로 투입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하측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의 내부에는 상기 폐기물 이송 스크류(230)로서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넓게 펼쳐주기 위한 회전 교반기(300)가 모터(M)와 연설되는 회전축(301)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토록 연설토록 되며, 이때 상기 폐기물 이송 스크류(230)로서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넓게 펼쳐주기 위하여 설치되는 회전 교반기(300)는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의 내부에지그재그로 다수 개 설치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양측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의 상측에는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의 내부에서 열 분해되어 증기상태의 가스로 배출되는 열분해가스 배출덕트(310)가 연통 연설되며,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덕트(310)는 열교환기(320)가 연통 연설되어, 열분해 가스를 공랭 또는 수냉식으로 냉각시켜 열분해유를 추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320)의 하측에는 저부에 열분해유 배출구(331)가 형성되는 열분해유 저장부(330) 및 열분해유 배출관(340)이 각각 연통 연설된다.
또한, 상기 양측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의 쓰레기 이송스크류(270) 단부에는, 간접 가열에 의해 음식 폐기물이 고형화되어 이송된 고형화 쓰레기가 배출토록 배출 컨베이어(351)가 설치되는 고형화 쓰레기 배출구(350)가 연설된다.
또한,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중앙부 일측에는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 및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소가스 덕트(360)가 연통 연설되고, 상기 연소가스 덕트(360) 상부에는 연소가스의 열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외부의 필요한 곳으로 공급토록 나선형 유로(371)(371')가 내,외측에 설치된 하우징(370)이 내설되며, 상기 나선형 유로(371)(371') 사이에는 가열 공간(372)이 형성되어, 순환용 배관(373)과 연통 연설토록 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370)의 상측에는 다수의 가스 배출관(381)을 개재하여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38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370)의 상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스 배출관(381) 사이의 공간에는 물 공급관(382)이 연통 연설되어, 물이 상기 가스 배출관 사이를 거쳐 하우징(370)의 가열 공간(372) 내부로 분사 및 스팀상태로 순환용 배관(373)으로 배출토록 된다.
다른 한편,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전후 및 좌우측면에는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외면으로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여 가열하기 위한 온수배관(P)이 길게 연설되고,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중앙부 타측에는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9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접 가열장치에 투입되는 폐합성수지나 폐비닐 등과 같은 각종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을 간접열로 가열시킬 경우,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외부 일측 중앙에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 컨베이어(110) 및 이와 연설된 폐기물 공급부(120)를 통하여 상기 가연성 폐기물이 간접 가열장치(100)의 내부에 투입토록 되며, 이때 상기 폐기물 공급부(120)의 단부에는,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130)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폐기물 공급부(120)로 부터 공급되는 가연성 폐기물이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130) 하측에는 투입관(140)이 길게 연통 연설되며, 이때 상기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130)의 하측 투입관(14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실린더(141)와 연설되는 로드(142)의 단부에 가연성 폐기물을 일정량씩 밀어 공급하는 안내판(143)이 착설되어, 상기 실린더(141)와 연설되는 로드(142)의 전진 작동에 의해 안내판(143)이 가연성 폐기물을 일정량씩 밀어주게 되며, 상기 투입관(140) 내부에는 사전에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130)에서 투입된 가연성 폐기물이 남아있도록 하여,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분해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내부에는 항상 일정량의 가연성 폐기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외부 일측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 폐기물 저장탱크(150)와 공급펌프(151)를 개재하여 음식 폐기물 이송라인(160)이 연설되는 상태에서, 상기 음식 폐기물 이송라인(160)은 간접 가열장치(100)의 양측으로 횡설되는 음식 폐기물 공급부(170)와 연통 연설되어, 음식 폐기물이 상기 음식 폐기물 공급부(170) 및 그 하측에 연설되는 다수의 공급노즐(171)을 통하여 간접 가열장치(100)의 내부에 투입토록 된다.
한편,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양측 내부 하측에는 가열 챔버(180)가 마련되어, 상기 가열 챔버(180)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고열 공급홀(181)을 통하여 외부에서 가열된 고열의 에어가 상기 가열 챔버(180)내에 공급토록 되며, 이때 상기 가열 챔버(180)의 상측에는 지지대(190)를 개재하여 지지판(200) 및 그 상측에 다수의 격판(210)이 각각 횡설되어, 상기 각각의 격판(210) 상측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부(221)가 형성되는 격리부(220)를 개재하여 모터(M)와 연설되어 회전 구동하는 폐기물 이송 스크류(230)가 상기 격판(210) 사이에 각각 횡설된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가 마련되어,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 내부로 공급되는 가연성 폐기물이 고열에 가열되어 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의 상측에는 다수의 지지대(250)를 개재하여 가연성 폐기물을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에 공급토록 모터(M)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다수의 공급롤러(26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공급롤러(260)는 그 후방인 간접 가열장치(100)의 중앙부 방향으로 쓰레기 이송스크류(270)가 일체로 분할 구성되며, 이때 상기 쓰레기 이송스크류(270) 호형 안내구(280)가 길게 횡설되는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가 마련되어, 상기 음식 폐기물 공급부(170)의 공급노즐(171)을 통해 공급되는 음식 폐기물이 호형 안내구(280)에 의해 간접 가열장치(100)의 내부 하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쓰레기 이송스크류(270)를 통하여 원활한 이송하면서 간접 가열되도록 한다.
바로 이때, 상기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의 공급롤러(260) 상부에는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130)의 하측 투입관(140)이 위치되어, 가연성 폐기물이 상기 공급롤러(26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공급롤러(260)사이를 거쳐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의 내부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의 공급롤러(260) 주면에는 다수의 돌기(261)가 돌출 설치되어, 상기 공급롤러(260) 상측으로 투입되는 가연성 폐기물이 상기 공급롤러(260) 및 돌기(261)에 의해 그 하측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의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공급롤러(260)의 후방인 쓰레기 이송스크류(270)의 상부에는 음식 폐기물 공급부(170)의 공급노즐(171)이 위치되어, 상기 공급노즐(171)에서 배출되는 음식 폐기물이 그 하측 쓰레기 이송스크류(270)를 통하여 원활하게 교반작용을 수행하면서 간접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의 내부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M)와 연설되는 회전축(301)을 개재하여 회전 교반기(300)가 회전 가능토록 지그재그로 다수 개 연설되어,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 내부에 투입되어 폐기물 이송 스크류(230)로서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이 상기 회전 교반기(300)에 의해 넓게 펼쳐지게 되면서 간접 가열되어, 상기 가연성 폐기물의 간접 가열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중앙부 타측에는 제어부(390)가 설치되어,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 및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등을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양측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의 상측에는 열분해가스 배출덕트(310)가 연통 연설되어, 가연성 폐기물이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의 내부에서 간접 가열에 의해 열 분해된 후, 증기 상태로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덕트(310)를 통해 간접 가열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덕트(310)는 열교환기(320)와 연통 연설되어, 상기 열교환기(320)에 공급되는 냉각수 또는 냉각공기에 의해, 상기 열분해 가스를 공랭 또는 수냉식으로 냉각시켜 열분해유를 추출하도록 하며, 상기 열교환기(320)를 통하여 냉각된 열분해유는 상기 열교환기(320)의 하측의 열분해유 저장부(330) 및 열해유 배출구(331)를 통하여 열분해유 배출관(340)으로 배출됨으로써, 산업에 유용한 재생 에너지가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양측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의 쓰레기 이송스크류(270) 단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접 가열에 의해 음식 폐기물이 고형화되어 이송된 고형화 쓰레기가 배출 컨베이어(351) 및 그 하측에 연설된 고형화 쓰레기 배출구(350)를 통하여 배출토록 되어, 고온의 열에 의해서 열 분해되고 잔존하는 고형화 쓰레기를 통하여 동물사료 또는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중앙부 일측에는 연소가스 덕트(360)가 연통 연설되어,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 및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상기 연소가스 덕트(36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연소가스 덕트(360)의 상부에는 연소가스의 열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외부의 필요한 곳으로 공급토록 나선형 유로(371)(371')가 내,외측에 설치된 하우징(370)이 설치되어, 연소가스가 상기 하우징(370)의 내,외측 나성형 유로(371)(371')를 통해 회전하면서 천천히 상승하여, 상기 나선형 유로(371)(371') 사이에 형성된 가열 공간(372)으로 분사되는 물이 가열에 의해 스팀 상태로 상기 하우징(370)과 연통 연설된 순환용 배관(373)을 통해 배출되어 외부의 필요한 곳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370)의 상측에는 다수의 가스 배출관(381)을 개재하여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380)가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가스 배출관(381) 사이의 공간에는 물 공급관(382)이 연통 연설되어, 물이 물 공급관(382)을 통해 상기 가스 배출관(381) 사이를 거쳐 하우징(370)의 가열 공간(372) 내부로 분사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전후 및 좌우측면에는 온수배관(P)이 길게 연설되어,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외면으로 전달되는 열에 의해 상기 온수배관(P)내부의 물을 가열하여 온수 또는 온수 보일러 등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100...간접 가열장치 110...경사 컨베이어
120...폐기물 공급부 130...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
140...투입관 141...실린더
142...로드 143...안내판
150...음식 폐기물 저장탱크 151...공급펌프
160...음식 폐기물 이송라인 170...음식 폐기물 공급부
171...공급노즐 180...가열 챔버
181...고열 공급홀 190...지지대
200...지지판 210...격판
220...격리부 230...폐기물 이송 스크류
240...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 250...지지대
260...공급롤러 261...돌기
270...쓰레기 이송스크류 280...호형 안내구
290...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 300...회전 교반기
301...회전축 310...열분해가스 배출덕트
320...열교환기 330...열분해유 저장부
331...열분해유 배출구 340...열분해유 배출관
350...고형화 쓰레기 배출구 351...배출 컨베이어
360...연소가스 덕트 370...하우징
372...가열공간 373...순환용 배관
380...배기구 381...가스 배출관
382...물 공급관 390...제어부
M...모터 P...온수배관

Claims (17)

  1. 간접 가열장치에 투입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을 각각 간접열로 가열하여 열 분해를 통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고 열 분해시 발생되는 열분해 가스를 응축시켜 열분해유를 추출하며, 음식 폐기물을 고형화하기 위한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폐기물이 이송토록 간접 가열장치(100)의 외부 일측 중앙에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 컨베이어(110)를 개재하여 다수의 컨베이어가 연설되어,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내부 양측에 가연성 폐기물이 각각 공급되는 폐기물 공급부(120);
    상기 폐기물 공급부(120)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폐기물 공급부(120)로 부터 공급되는 가연성 폐기물이 투입되도록 하측에 투입관(140)이 연통 연설되는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130);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외부 일측에는 음식물쓰레기 저장탱크(150)와 공급펌프(151)를 개재하여 음식물쓰레기 이송라인(160)이 연통 연설되는 음식 폐기물 공급부(170);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양측 내부 하측에 마련되어, 고열의 에어가 공급토록 단부에 다수의 고열 공급홀(181)이 형성되는 가열 챔버(180);
    상기 가열 챔버(180)의 상측에는 지지대(190)를 개재하여 지지판(200)이 횡설되며, 상기 지지판(200) 상측에는 다수의 격판(210)이 횡설되고, 상기 각각의 격판(210) 상측에는 모터(M)와 연설되어 회전 구동하는 폐기물 이송 스크류(230)가 각각 설치되는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의 상측에는 다수의 지지대(250)를 개재하여 가연성 폐기물을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에 공급토록 모터(M)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다수의 공급롤러(26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공급롤러(260)는, 그 후방인 간접 가열장치(100)의 중앙부 방향으로 쓰레기 이송스크류(270)가 일체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쓰레기 이송스크류(270) 하측에는 음식 폐기물의 낙하를 방지하면서,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호형 안내구(280)가 길게 횡설되는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
    상기 양측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의 상측에 연통 연설되어,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의 내부에서 열 분해되어 증기상태의 가스로 배출토록 설치되는 열분해가스 배출덕트(310);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덕트(310)와 연통 연설되어, 열분해 가스를 공랭 또는 수냉식으로 냉각시켜 열분해유를 추출하도록 연설되는 열교환기(320);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중앙부 일측에 연통 연설되어,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 및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배출토록 설치되는 연소가스 덕트(360);
    상기 연소가스 덕트(360) 상부에 설치되어,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토록 설치되는 배기구(380); 및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중앙부 타측에는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어부(39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130)의 하측 투입관(140)은, 상기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130) 하측에 연통 연설되어, 상기 투입관(140) 내측에 실린더(141)와 연설되는 로드(142)의 단부에 가연성 폐기물을 일정량씩 밀어 공급하는 안내판(143)이 착설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130)의 하측 투입관(140)은, 상기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130)의 하측에 길게 연설되어, 상기 연성 폐기물 투입호퍼(130)에서 투입된 가연성 폐기물이 남아있도록 하여,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분해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폐기물 공급부(170)의 음식물쓰레기 이송라인(160)은 간접 가열장치(100)의 양측으로 횡설되어 하측으로 다수의 공급노즐(171)이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의 지지판(200) 상측에는 다수의 격판(210)이 횡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의 각 격판(210) 상측에 설치된 경사진 격리부(22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부(221)가 형성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의 공급롤러(260) 상부에는 가연성 폐기물 투입호퍼(130)의 하측 투입관(140)이 위치되며, 상기 공급롤러(260)의 후방인 쓰레기 이송스크류(270)의 상부에는 음식 폐기물이 공급토록 음식 폐기물 공급부(170)의 공급노즐(171)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의 공급롤러(260) 주면에는 다수의 돌기(261)가 돌출 설치되어, 상기 공급롤러(261) 상측으로 투입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하측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의 내부에는 상기 폐기물 이송 스크류(230)로서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넓게 펼쳐주기 위한 회전 교반기(300)가 모터(M)와 연설되는 회전축(301)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토록 연설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10.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이송 스크류(230)로서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넓게 펼쳐주기 위하여 설치되는 회전 교반기(300)는, 상기 가연성 폐기물 열분해 챔버(240)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음식 폐기물 열분해 챔버(290)의 쓰레기 이송스크류(270) 단부에는 고형화 쓰레기 배출구(350)가 연설되어, 간접 가열에 의해 음식 폐기물이 고형화되어 이송된 고형화 쓰레기가 배출토록 배출 컨베이어(35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덕트(360) 내부에는 연소가스의 열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외부의 필요한 곳으로 공급토록 나선형 유로(371)가 설치된 하우징(370)이 내설되어, 순환용 배관(372)과 연통 연설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덕트(360) 상부에는 하우징(370)이 설치되어, 연소가스의 열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외부의 필요한 곳으로 공급토록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나선형 유로(371)(371')가 상기 하우징(370)의 내,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나선형 유로(371)(371') 사이에는 가열 공간(372)이 형성되어 순환용 배관(373)과 연통 연설토록 되는 것을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70)의 상측에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380)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전후 및 좌우측면에는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외면으로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여 가열하기 위한 온수배관(P)이 길게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가열장치(100)의 하우징(370) 상측에는 다수의 가스 배출관(381)을 개재하여 배기구(380)가 연설되며, 상기 가스 배출관(381)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370)의 가열 공간(372)으로 물이 분사토록 물 공급관(382)이 연통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320)의 저부에는 열분해유 배출구(331)가 형성되어 열분해유 배출관(340)과 연설되는 열분해유 저장부(330)가 연통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20160057707A 2016-05-11 2016-05-11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1830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707A KR101830270B1 (ko) 2016-05-11 2016-05-11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707A KR101830270B1 (ko) 2016-05-11 2016-05-11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276A true KR20170127276A (ko) 2017-11-21
KR101830270B1 KR101830270B1 (ko) 2018-02-20

Family

ID=6080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707A KR101830270B1 (ko) 2016-05-11 2016-05-11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27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4078A (zh) * 2018-03-22 2018-11-20 光大环保技术研究院(南京)有限公司 一种用于焚烧炉给料装置的水冷系统
CN110388285A (zh) * 2018-04-18 2019-10-29 劳士领汽车集团 用于机动车的连续工作的水获取设备
CN112171508A (zh) * 2020-09-16 2021-01-05 宁波海亚特滚子有限公司 一种用于滚子加工生产线中的上料装置
CN112570140A (zh) * 2019-09-30 2021-03-30 科博安华新能源技术(北京)有限公司 城市固体垃圾就地处理装置水浴轻型固体垃圾分离机
CN114933360A (zh) * 2022-05-30 2022-08-23 吴丹 一种与回收能源结合的废水处理装置
KR102515380B1 (ko) * 2022-02-21 2023-03-30 김영호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CN116553208A (zh) * 2023-07-07 2023-08-08 山西富渊通科技有限公司 一种石灰石开采卸料设备及其卸料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659B1 (ko) 2008-04-25 2010-05-10 (주)피이알이엔티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복층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1243191B1 (ko) 2009-09-09 2013-03-13 현재호 가연성폐기물을 연속 열분해하기 위한 열분해 유화장치
KR101424631B1 (ko) 2012-06-12 2014-08-04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차단벽을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4078A (zh) * 2018-03-22 2018-11-20 光大环保技术研究院(南京)有限公司 一种用于焚烧炉给料装置的水冷系统
CN110388285A (zh) * 2018-04-18 2019-10-29 劳士领汽车集团 用于机动车的连续工作的水获取设备
CN110388285B (zh) * 2018-04-18 2022-08-05 劳士领汽车集团 用于机动车的连续工作的水获取设备
CN112570140A (zh) * 2019-09-30 2021-03-30 科博安华新能源技术(北京)有限公司 城市固体垃圾就地处理装置水浴轻型固体垃圾分离机
CN112171508A (zh) * 2020-09-16 2021-01-05 宁波海亚特滚子有限公司 一种用于滚子加工生产线中的上料装置
CN112171508B (zh) * 2020-09-16 2022-07-26 宁波海亚特滚子有限公司 一种用于滚子加工生产线中的上料装置
KR102515380B1 (ko) * 2022-02-21 2023-03-30 김영호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CN114933360A (zh) * 2022-05-30 2022-08-23 吴丹 一种与回收能源结合的废水处理装置
CN114933360B (zh) * 2022-05-30 2023-11-03 吴丹 一种与回收能源结合的废水处理装置
CN116553208A (zh) * 2023-07-07 2023-08-08 山西富渊通科技有限公司 一种石灰石开采卸料设备及其卸料方法
CN116553208B (zh) * 2023-07-07 2023-10-20 山西富渊通科技有限公司 一种石灰石开采卸料设备及其卸料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270B1 (ko) 201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270B1 (ko)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KR20080030967A (ko) 고속발효건조장치
KR102057682B1 (ko) 오니 건조장치
KR101916958B1 (ko) 슬러지용 열분해 탄화장치 및 방법
KR20180054939A (ko) 슬러지용 열분해 탄화장치 및 방법
CN112262001A (zh) 热解装置
KR101210376B1 (ko) 하수슬러지 또는 음식물류폐기물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모듈형 건조장치
KR20130117746A (ko) 슬러지 탄화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부생연료추출방법
KR101620337B1 (ko) 분사노즐과 파쇄판을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
KR100894268B1 (ko) 유기물 분리 처리장치
KR101306083B1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101159256B1 (ko) 가연성 또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또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KR101045542B1 (ko) 수함유 쓰레기 처리 장치
KR100923030B1 (ko) 유화장치
KR101250757B1 (ko) 고형연료 제조시스템
KR20060117617A (ko) 폐기물 건조장치
KR100888810B1 (ko) 축분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KR20020005918A (ko) 폐타이어 열분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상 건조대상물건조장치
CN209098489U (zh) 污泥冷却传送结构及污泥处理设备
JP2001165572A (ja) 含水廃棄物用のスクリューコンベア式乾燥装置
KR101032129B1 (ko) 슬러지 연료화 장치
KR101379757B1 (ko) 폐열을 재활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탄화된 연료 또는 비료
KR100874745B1 (ko) 간접열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다단식 탄화장치
KR102632237B1 (ko)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연료탄제조 시스템
KR200206603Y1 (ko)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