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652B1 -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652B1
KR101991652B1 KR1020180137847A KR20180137847A KR101991652B1 KR 101991652 B1 KR101991652 B1 KR 101991652B1 KR 1020180137847 A KR1020180137847 A KR 1020180137847A KR 20180137847 A KR20180137847 A KR 20180137847A KR 101991652 B1 KR101991652 B1 KR 101991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dry air
supply
suppli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석
김영구
Original Assignee
김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석 filed Critical 김연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Abstract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급기와 제2 공급기 및 제3 공급기가 구비되는 건조공기공급부; 상기 건조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건조공기에 의해 건조대상물이 이송되면서 건조되도록 제1 컨베이어와 제2 컨베이어 및 제3 컨베이어가 구비되는 컨베이어이송부; 상기 제1 공급기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1 컨베이어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 상기 제2 공급기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2 컨베이어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 상기 제3 공급기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3 컨베이어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3 건조공기공급라인이 구비되는 건조공기이송부;를 마련하여 수분이 제거된 건조공기에 의해 펠릿으로 공급되는 건조대상물의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건조시킬 수 있고, 건조대상물에 포함된 수분을 95% 이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다수의 컨베이어에 건조대상물을 대량으로 공급하여 다량의 건조대상물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컨베이어에서 사용된 건조공기를 재순환시킴으로써 건조공기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Conveyor drying system for renewable energy}
본 발명은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건조공기를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건조대상물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건조대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시킴은 물론 에어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건조공기를 재순환시켜 열 에너지의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발달에 따라 많은 자원이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이를 생산하는 과정에 함량에 달하지 못하는 많은 자원이 폐기물로 분류되어 사용되지 못하여 쓰레기로 처리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특히 화석연료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 같은 지하 자원을 이용하는 연료로서 현재 인류가 이용하고 있는 에너지의 대부분이 이에 해당한다.
상기와 같은 화석연료는 현대에 이르러 산업발달로 인하여 사용량이 급격히 늘어났고, 사용량의 증가로 인하여 매장량이 감소하면서 연료부족이라는 심각한 문제점을 않고 있다.
대체연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하수도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나 종이 및 직물 등의 각종 슬러지를 수거하여 건조시키게 된다.
즉, 이송 컨베이어의 상측에 마이크로 웨이브와 팬을 설치하고 컨베이어의 하끝 부분에는 히트를 설치하여 마이크로웨이브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와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이용하여 슬러지가 이송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하는 동안 건조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슬러지 건조용 컨베이어는 마이크로 웨이브와 히터를 동시에 가동하여 마이크로 웨이브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와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동시에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의 슬러지 건조용 컨베이어는 마이크로 웨이브와 히터를 동시에 작동하여 약 250℃ 에서 건조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가 심한 단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식은 마이크로웨이브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가 슬러지에 함유되어 있는 물 분자를 통과하면서 고속으로 회전시켜 가열하는 방법으로 건조대상물의 건조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의 하단부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마이크로파가 슬러지를 통과한 다음 반사되어 다시 슬러지를 가열하게 된다.
이러한 슬러지 건조장치는 히터와 마이크로 웨이브를 같이 설치하고 이송 컨베이어의 하단부에 반사판은 설치하여 단순하게 마이크로파를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 에너지의 낭비가 심하였다.
또 다른 개선방법으로 슬러지의 연소열을 이용한 슬러지의 자원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자원화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함수율 80%의 탈수 슬러지와 함수율 20%의 건조 슬러지를 혼합하는 혼합기를 구비하고, 상기 혼합기를 통해 혼합된 함수율 60%의 혼합 슬러지를 펠렛 형상으로 성형하는 펠렛 성형기를 장착한다.
상기 펠렛 성형기를 통해 펠렛 형상으로 성형된 혼합 슬러지를 건조하기 위하여 외주면이 단열재로 보호되어 있고 혼합 슬러지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 외측에 설치되며 건조된 혼합 슬러지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연소실과, 상기 건조실 내에 장착되며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함수율 60%의 혼합 슬러지를 상측의 1단으로부터 하측의 2단 및 3단으로 순차적으로 왕복하면서 이동시키기 위한 3단의 벨트컨베이어와, 상기 1단에 설치된 벨트컨베이어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에 모터가 장착되어 있어 팬을 구동하여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한 열을 열풍유입로를 통해 유입하여 토출구로 분사시키는 열풍기와, 상기 2단 및 3단에 설치된 벨트컨베이어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에 모터가 장착되어 있어 팬을 구동하여 인입된 공기를 토출구로 분사시키는 열풍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슬러지의 자원화 시스템은 혼합 슬러지를 연소시킴으로써 발생한 시스템 내부의 열을 다시 슬러지를 건조하는데 사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는 있었으나, 혼합 슬러지가 건조되면서 발생한 수증기가 같이 유입됨으로 인해 고온이 되어도 슬러지가 빠르게 건조되지 않아 이 시스템을 가동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에너지 소비가 많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벨트컨베이어를 통해 운반되는 슬러지에서 벨트컨베이어와 접촉되는 하측에 위치한 슬러지는 열풍이 직접 미치지 않아 건조가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더불어 라인파이프의 굵기가 처음과 끝이 일정하게 같아 파이프로 인입되는 압력과 출구의 압력이 달라지게 되어 열풍의 분사압력이 달라져 슬러지가 파이프의 후미로 갈수록 건조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고, 열풍을 가하는 히터가 라인 파이프의 큰 내경의 열풍발생기에 설치되어 열풍발생기에 의해 손실되며 열풍발생기가 라인 파이프의 중간부에 각각 설치됨으로 인해 히터 파손시 수리가 어렵고 열풍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열이 교반기에 전달되어 교반기에 설치된 기어를 회전시키는 체인의 기름을 건조시켜 교반기의 소음이 심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슬러지의 건조 시 시간을 단축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열풍기의 효율을 극대화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뿐만 아니라 하측에 위치한 슬러지도 완벽히 건조할 수 있고 건조기의 전후의 슬러지 건조율이 일정할 뿐만 아니라 교반기의 소음이 적게 나는 슬러지의 건조 시스템과 건조방법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방법에서 열풍을 공급하는 길게 구성되는 메인 원형의 파이프에 수평으로 분사용 파이프가 다단식으로 여러 개가 설치된다.
상기의 방법은 라인 파이프의 길이가 길어 공기의 진입부에 있는 열풍 분사 파이프에는 압력이 강하여 열풍이 강하게 분사되고, 끝 부분에 있는 열풍 분사 파이프는 압력이 약하여 열풍이 약하게 분사되어 이송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슬러지에 고르게 열풍을 분사시킬 수가 없어 슬러지가 완벽하게 건조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슬러지가 벨트컨베이어를 타고 후미로 갈수록 건조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방법은 열풍을 가열하는 히터가 라인 파이프의 중간 중간에 큰 내경으로 열풍발생기가 설치되어 있어 열풍발생기의 히터에 의한 열이 라인 파이프로 전달되어 열 손실 및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반기가 이송 컨베이어의 상부에 여러 개가 설치되고 각각 기어와 체인에 의하여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송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슬러지를 이송 컨베이어의 상측에 설치된 회전식 교반기가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섞는 방식이기 때문에 슬러지가 이송 컨베이어에서 고르게 펴지지 않고 한쪽에 모여 있게 되는 단점이 있고, 따라서 열풍이 고르게 슬러지와 접하지 못함으로써 한곳에 모여 있는 슬러지의 내부가 건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에는 열풍발생기가 가인 파이프의 중간부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히터 파손 시 수리가 힘들며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고, 열풍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열이 교반기에 전달되어 교반기를 작동시키는 체인과 기어에 묻어 있는 윤활유를 건조하게 함으로써 소음이 심하고, 기어와 체인이 쉽게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들어, 환경이나 에너지 분야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수 많은 연료화 및 건조 기술에 준하여 정부 또는 민자 차원에서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건조 기술에 대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건조 기술은 습도를 완벽히 제거하기에는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으며, 오히려 건조 과정에서 수반되는 높은 온도로 인해 악취 등이 발생하는 환경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건조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과다하여 환경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운영에 있어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급기 건조 특성을 가지는 컨베이어 타입 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급기 건조 특성을 가지는 컨베이어 타입 건조기는 건조 대상 재료를 진동 호퍼를 통해 순차적으로 주입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재료를 배기홀이 형성된 이송벨트를 통해 이송시켜 건조 공정으로 공급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벨트를 통해 공급되는 재료에 열을 가해주는 히터부와, 상기 히터부 상부측에 구성되어 급기부에서 공급되는 건조 공기를 확산시키기 위한 다수의 확산홀이 마련된 확산판을 통해 건조 공기가 균형적으로 이송벨트 면적에 대응하여 확산되도록 공급되는 건조부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슬러지 건조용 컨베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슬러지 건조용 컨베이어는 한쪽 상측으로 슬러지가 올려지고 올려진 슬러지가 일정한 두께이상 걸러지는 거름판이 형성되며, 다른 쪽 하단으로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유입구와 배출부를 형성하고 가열부와 건조부가 분리되도록 형성된 터널형 컨베이어 몸체, 상기 컨베이어 몸체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어 외부 한쪽에 설치된 모터와 체인기어의 구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망사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부의 상/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를 설치하여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가열판이 포함된 슬러지 건조용 컨베이어에 있여서, 상기 가열판은 내부에 설치되어 알루미늄으로 된 판체를 가열시키는 히터, 상기 히터에 의하여 가열하면서 원적외선을 방사시키는 세라믹판, 상기 가열부와 건조부 사이에 설치되어 열기와 수증기를 배출하고 슬러지를 냉각시키는 팬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8-0051040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66050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3574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분이 제거된 건조공기에 의해 건조대상물을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분이 제거된 건조공기를 건조대상물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건조대상물의 수분이 제거되어 건조대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급기와 제2 공급기 및 제3 공급기가 구비되는 건조공기공급부; 상기 건조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건조공기에 의해 건조대상물이 이송되면서 건조되도록 제1 컨베이어와 제2 컨베이어 및 제3 컨베이어가 구비되는 컨베이어이송부; 상기 제1 공급기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1 컨베이어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 상기 제2 공급기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2 컨베이어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 상기 제3 공급기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3 컨베이어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3 건조공기공급라인이 구비되는 건조공기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공기이송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제1 컨베이어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2 컨베이어와 상기 제1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재순환라인; 상기 제3 컨베이어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제2 컨베이어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3 컨베이어와 상기 제2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재순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베이어 이송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 상기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제3 컨베이어의 외측면과 상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싱부재; 상기 케이싱부재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컨베이어; 상기 제2 컨베이어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3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제3 컨베이어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측판;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컨베이어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케2 컨베이어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일측에 제1 안내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컨베이어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제3 컨베이어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 컨베이어와 상기 제3 컨베이어의 일측에 제2 안내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베이어 이송부에는 상기 제1 공급기의 건조공기가 제1 컨베이어의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한 건조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하측에 제1 배기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제2 공급기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제1 컨베이어로 공급되도록 제2 재순환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제3 공급기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3 컨베이어의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제3 건조공기공급라인 설치되고, 상기 제3 컨베이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에 공급되도록 제1 재순환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제3 컨베이어에는 건조공기가 균등하게 공급되고 내부 공기가 혼합되지 않고 건조대상물이 겹치지 않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격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제3 컨베이어의 상측에는 상기 건조공기공급라인에서 배출되는 건조공기가 건조대상물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펀칭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상측에는 상기 제1 공급기의 건조공기가 공급되도록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은 상기 제1 공급기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일측에 공급되게 설치되는 제1 공급덕트; 상기 제2 컨베이어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타측에 공급되게 설치되는 제2 공급덕트; 상기 제1 공급덕트와 상기 제2 공급덕트에 공급된 건조공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공급덕트와 상기 제2 제2 공급덕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개폐댐퍼;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상측에는 상기 제2 공급기의 건조공기가 공급되도록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제3 컨베이어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제2 재순환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재순환라인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으로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제3 개폐댐퍼 및 제4 개폐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에 의하면, 수분이 제거된 건조공기에 의해 펠릿으로 공급되는 건조대상물의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건조시킬 수 있고, 건조대상물에 포함된 수분을 95% 이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다수의 컨베이어에 건조대상물을 대량으로 공급하여 다량의 건조대상물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컨베이어에서 사용된 건조공기를 재순환시킴으로써 건조공기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의 건조공급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의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의 컨베이어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의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의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급기(110)와 제2 공급기(120) 및 제3 공급기(130)가 구비되는 건조공기공급부(100), 상기 건조공기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건조공기에 의해 건조대상물이 이송되면서 건조되도록 제1 컨베이어(210)와 제2 컨베이어(220) 및 제3 컨베이어(230)가 구비되는 컨베이어이송부(200), 상기 제1 공급기(110)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1 컨베이어(210)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310), 상기 제2 공급기(120)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2 컨베이어(220)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320), 상기 제3 공급기(130)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3 컨베이어(230)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3 건조공기공급라인(330)이 구비되는 건조공기이송부(30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은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수분이 제거된 건조공기를 발생시키는 건조공기공급부(100)와 건조시키고자 하는 건조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이송부(200) 및 상기 건조공기공급부(100)에서 발생된 건조공기를 컨베이어이송부(200)로 공급하는 건조공기이송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공기공급부(100)는 다량의 건조공기를 공급함은 물론 컨베이어이송부(200)에 건조공기를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제1 공급기(110), 제2 공급기(120), 제3 공급기(13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건조공기공급부(100)는 제1 컨베이어(210)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1 공급기(110), 제2 컨베이어(220)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2 공급기(120), 제3 컨베이어(230)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3 공급기(130)가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의 건조공급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공급기(110), 제2 공급기(120) 및 제2 공급기(130)에는 수분이 제거된 건조공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건조공기공급부(100)에는 제1 냉각기(101), 제2 냉각기(102), 제1 등온가열기(103) 및 제2 등온가열기(104)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1 냉각기(101) 및 제2 냉각기(102)는 공급기(110, 120, 130)의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공기를 냉각 응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켜 수분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제1 등온가열기(103)와 제2 등온가열기(104)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다.
상기 제1 공급기(110)에서 생성된 건조공기는 제1 컨베이어(210)로 공급되고, 상기 제2 공급기(120)에서 생성된 건조공기는 제2 컨베이어(120)로 공급되며, 상기 제3 공급기(130)에서 생성된 건조공기는 제3 컨베이어(130)로 공급된다.
즉, 상기 제1 공급기(110)와 제1 컨베이어(210) 사이에는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310)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공급기(120)와 제2 컨베이어(220) 사이에는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320)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3 공급기(130)와 제3 컨베이어(230) 사이에는 제3 건조공기공급라인(330)이 연결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의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의 컨베이어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의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의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이송부(200)는 건조시키고자 하는 건조대상물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건조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케이싱부재(250)의 내부에 제1 컨베이어(210), 제2 컨베이어(220) 및 제3 컨베이어(230)가 설치된다.
상기 컨베이어 이송부(200)는 상기 제1 컨베이어(210), 상기 제2 컨베이어(220) 및 상기 제3 컨베이어(230)의 외측면과 상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싱부재(250), 상기 케이싱부재(25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210), 상기 제1 컨베이어(2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컨베이어(220), 상기 제2 컨베이어(22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3 컨베이어(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컨베이어(210)는 케이싱부재(25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컨베이어(220)는 제1 컨베이어(21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3 컨베이어(230)는 제2 컨베이어(220)의 하측에 설치된다.
이들 제1 컨베이어(210), 제2 컨베이어(220) 및 제3 컨베이어(230)는 각각 소정의 높이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들 제1 컨베이어(210), 제2 컨베이어(220) 및 제3 컨베이어(230)는 건조대상물이 각각 투입되게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부재(250)는 상기 제1 컨베이어(210)와 상기 제2 컨베이어(220) 및 상기 제3 컨베이어(23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측판(251), 상기 제1 컨베이어(21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상판(252)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부재(25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컨베이어(210)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케2 컨베이어(220)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컨베이어(210)와 상기 제2 컨베이어(220)의 일측에 제1 안내판(253)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컨베이어(220)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제3 컨베이어(230)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 컨베이어(220)와 상기 제3 컨베이어(230)의 일측에 제2 안내판(254)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210)와 상기 제2 컨베이어(220) 및 상기 제3 컨베이어(230)에는 건조공기가 균등하게 공급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격판(255)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210)와 상기 제2 컨베이어(220) 및 상기 제3 컨베이어(230)의 상측에는 상기 건조공기공급라인에서 배출되는 건조공기가 건조대상물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펀칭플레이트(262, 264, 266)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부재(25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210), 제2 컨베이어(220) 및 제3 컨베이어(230)의 외측면에 측판(251)이 설치되며, 상기 측판(251)의 상단에는 상판(252)이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싱부재(250)의 측판(251) 및 상판(252)은 컨베이어(210, 220, 230)의 외면 및 상면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측판(251)은 필요에 따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케이싱부재(250)의 내부에는 제1 컨베이어(210)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제2 컨베이어(220)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1 안내판(253)이 설치되고, 제2 컨베이어(220)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제3 컨베이어(230)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2 안내판(254)이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부재(250)에는 제1 공급기(110)에서 생성된 건조공기가 제1 컨베이어(210)에 공급하는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310)이 설치된다.
또 상기 제2 공급기(120)에서 생성된 건조공기는 제2 컨베이어(220)에 공급되게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320)이 설치되며, 상기 제3 공급기(130)에서 생성된 건조공기는 제3 컨베이어(230)에 공급되게 제3 건조공기공급라인(330)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컨베이어(210)의 상부에는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310)이 설치되고, 제2 컨베이어(220)의 상부에는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320)이 설치되며, 제3 컨베이어(230)의 상부에는 제3 건조공기공급라인(330)이 설치된다.
상기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310)은 제1 공급기(110)에서 생성된 건조공기가 제1 컨베이어(210)에 공급되도록 설치되며,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320)은 제2 공급기(120)에서 생성된 건조공기가 제2 컨베이어(220)에 공급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3 건조공기공급라인(330)은 제3 공급기(130)에서 생성된 건조공기가 제3 컨베이어(230)에 공급되도록 설치된다.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210)의 상부에는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310)에서 건조공기가 건조대상물에 공급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 댐퍼(261)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220)의 상부에는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320)에서 건조공기가 건조대상물에 공급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2 댐퍼(263)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3 컨베이어(230)의 상부에는 제3 건조공기공급라인(330)에서 건조공기가 건조대상물에 공급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3 댐퍼(26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댐퍼(261)의 하부에는 건조공기가 건조대상물에 고르게 분포되어 공급되도록 제1 펀칭플레이트(262)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댐퍼(263)의 하부에는 건조공기가 건조대상물에 고르게 분포되어 공급되도록 제2 펀칭플레이트(264)가 설치된다.
상기 제3 댐퍼(265)의 하부에는 건조공기가 건조대상물에 고르게 분포되어 공급되도록 제3 펀칭플레이트(266)가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210, 220, 230)의 펀칭플레이트(262, 264, 266) 하부에는 건조공기가 고르게 공급되도록 격판(255)이 설치된다.
이러한 격판(255)은 펀칭플레이트(262, 264, 266)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격판(255)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데, 상기 격판(255) 중 컨베이어(210, 220, 230)의 양단에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내측에 설치되는 격판(255)은 길이를 짧게 형성된다.
이는 컨베이어(210, 220, 230)에 공급된 건조공기가 컨베이어(210, 220, 230)의 양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컨베이어(210, 220, 230)의 내부가 양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건조공기공급라인(310, 320, 330)에서 공급된 건조공기는 컨베이어(210, 220, 23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수분이 포함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화살표는 건조공기가 이동되는 방향을 도시한 것으로, 건조공기공급라인(310, 320, 330)에서 공급된 건조공기는 컨베이어(210, 220, 230)의 양측으로 배출되는데,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격판(255)에 의해 다량의 건조공기가 컨베이어(210, 220, 230)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컨베이어(210, 220, 230)의 이동되어 컨베이어(210, 220, 230)의 내부외 외부를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컨베이어(210)의 상측에는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310)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310)은 제1 컨베이어(210)의 일측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급덕트(311)와 제2 컨베이어(220)를 통과한 건조공기를 재순환시키는 제2 공급덕트(31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 공급덕트(311)는 도 1의 도면상 우측에 설치되고, 제2 공급덕트(312)는 도 1의 도면상 좌측에 설치된다.
아울러 제1 공급덕트(311)와 제2 공급덕트(312) 사이에는 제1 개폐댐퍼(313)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개폐댐퍼(313)는 제1 공급덕트(311)에 공급된 건조공기와 제2 공급덕트(312)에 공급된 건조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 개폐댐퍼(313)는 제1 공급기(110)에서 공급된 건조공기가 제1 컨베이어(210)에 공급되도록 개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 컨베이어(220)의 하측에는 건조공기를 재순환시켜 재사용 가능하도록 제1 재순환라인(321)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재순환라인(321)은 제2 컨베이어(220)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제1 컨베이어(210)로 공급되도록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310)의 제2 공급덕트(312)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재순환라인(321)에는 건조공기가 제2 공급덕트(312)로의 공급을 개폐시키는 제3 개폐댐퍼(322)가 설치되며, 상기 제3 개폐댐퍼(322)는 건조공기의 재순환 여부에 따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이다.
또한 제2 컨베이어(220)의 일측에는 건조공기를 배출시키는 제2 배기라인(323)이 설치되며, 상기 제2 배기라인(323)은 건조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파이패스 배기라인(324)에 연결된다.
즉, 제2 배기라인(323)은 건조공기가 컨베이어(210, 220, 230)의 건조대상물을 통과하면서 건조공기의 수분 함량이 급속하게 높아지는 경우, 수분 함량이 높은 건조공기를 신속하게 배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배기라인(323)은 건조기(316) 또는 집진기(317)에 연결되며, 상기 건조기(316) 및 집진기(317)는 제1 컨베이어(210)의 제1 배기라인(315) 및 바이패스 배기라인(324)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배기라인(323)에는 건조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1 배기라인(323)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배기라인(323)에 건조공기의 배출을 개폐시키는 제2 개폐댐퍼(325)를 설치한다.
아울러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310)에는 제2 컨베이어(220)에 건조공기의 공급을 조절하는 제5 개폐댐퍼(326)가 설치된다.
상기 제3 컨베이어(230)에는 건조공기를 제2 컨베이어(220)로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제2 재순환라인(331)이 설치되며, 제2 재순환라인(331)에는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330)에 제3 개폐댐퍼(332)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재순환라인(321)과 제1 배기라인(315) 사이에는 제1 재순환라인(321)의 건조공기가 배출되도록 제1 연결라인(341)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라인(341)에는 건조공기의 배출을 개폐시키는 제4 개폐댐퍼(342)가 설치되며, 제2 연동조절댐퍼(343)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재순환라인(331)과 제1 배기라인(315) 사이에는 제2 재순환라인(331)의 건조공기가 배출되도록 제2 연결라인(345)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라인(346)에는 제2 재순환라인(331)의 건조공기 배출을 조절하는 제7 개폐댐퍼(346)가 설치되며, 제3 연동조절댐퍼(347)가 설치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건조공기공급부 110: 제1 공급기
120: 제2 공급기 130: 제3 공급기
200: 컨베이어이송부 210: 제1 컨베이어
220: 제2 컨베이어 230: 제3 컨베이어
250: 케이싱부재 251: 측판
252: 상판 253: 제1 안내판
254: 제2 안내판 255: 격판
261: 제1 댐퍼 262: 제1 펀칭플레이트
263: 제2 댐퍼 264: 제2 펀칭플레이트
265: 제3 댐퍼 266: 제3 펀칭플레이트
300: 건조공기이송부 310: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
311: 제1 공급덕트 312: 제2 공급덕트
313: 제1 개폐댐퍼 315: 제1 배기라인
316: 건조기 317: 집진기
318: 제1 풍량조절댐퍼 320: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
321: 제1 재순환라인 322: 제3 개폐댐퍼
323: 제2 배기라인 324: 바이패스 배기라인
325: 제2 개폐댐퍼 326: 제5 개폐댐퍼
330: 제3 건조공기공급라인 331: 제2 재순환라인
332: 제3 개폐댐퍼 341: 제1 연결라인
342: 제4 개폐댐퍼 343: 제2 연동조절댐퍼
345: 제2 연결라인 346: 제7 개폐댐퍼
347: 제3 연동조절댐퍼

Claims (6)

  1.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급기(110)와 제2 공급기(120) 및 제3 공급기(130)가 구비되는 건조공기공급부(100);
    상기 건조공기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건조공기에 의해 건조대상물이 이송되면서 건조되도록 제1 컨베이어(210)와 제2 컨베이어(220) 및 제3 컨베이어(230)가 구비되는 컨베이어이송부(200);
    상기 제1 공급기(110)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1 컨베이어(210)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310), 상기 제2 공급기(120)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2 컨베이어(220)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320), 상기 제3 공급기(130)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3 컨베이어(230)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3 건조공기공급라인(330)이 구비되는 건조공기이송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컨베이어(210)의 상측에는 상기 제1 공급기(110)의 건조공기가 공급되도록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310)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310)은 상기 제1 공급기(110)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1 컨베이어(210)의 일측에 공급되게 설치되는 제1 공급덕트(311);
    상기 제2 컨베이어(220)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제1 컨베이어(210)의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컨베이어(210)의 타측에 공급되게 설치되는 제2 공급덕트(312);
    상기 제1 공급덕트(311)와 상기 제2 공급덕트(312)에 공급된 건조공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공급덕트(311)와 상기 제2 공급덕트(312)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개폐댐퍼(313);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컨베이어(220)의 상측에는 상기 제2 공급기(120)의 건조공기가 공급되도록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320)이 설치되며,
    상기 제3 컨베이어(230)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제2 컨베이어(220)의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제2 재순환라인(331)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재순환라인(331)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320)으로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제3 개폐댐퍼(332) 및 제4 개폐댐퍼(3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기이송부(300)는 상기 제2 컨베이어(220)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제1 컨베이어(210)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2 컨베이어(220)와 상기 제1 컨베이어(210)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재순환라인(321);
    상기 제3 컨베이어(230)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제2 컨베이어(220)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3 컨베이어(230)와 상기 제2 컨베이어(220)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재순환라인(3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이송부(200)는 상기 제1 컨베이어(210), 상기 제2 컨베이어(220) 및 상기 제3 컨베이어(230)의 외측면과 상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싱부재(250);
    상기 케이싱부재(25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210);
    상기 제1 컨베이어(2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컨베이어(220);
    상기 제2 컨베이어(22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3 컨베이어(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250)는 상기 제1 컨베이어(210)와 상기 제2 컨베이어(220) 및 상기 제3 컨베이어(23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측판(251);
    상기 제1 컨베이어(21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상판(252);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부재(25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컨베이어(210)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제2 컨베이어(220)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컨베이어(210)와 상기 제2 컨베이어(220)의 일측에 제1 안내판(253)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컨베이어(220)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제3 컨베이어(230)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 컨베이어(220)와 상기 제3 컨베이어(230)의 일측에 제2 안내판(254)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210)와 상기 제2 컨베이어(220) 및 상기 제3 컨베이어(230)에는 건조공기가 균등하게 공급되고 내부 공기가 혼합되지 않고 건조대상물이 겹치지 않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격판(255)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210)와 상기 제2 컨베이어(220) 및 상기 제3 컨베이어(230)의 상측에는 상기 건조공기공급라인에서 배출되는 건조공기가 건조대상물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펀칭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이송부(200)에는 상기 제1 공급기(110)의 건조공기가 제1 컨베이어(210)의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제1 건조공기공급라인(310)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2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한 건조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제1 컨베이어(210)의 하측에 제1 배기라인(311)이 설치되며,
    상기 제2 공급기(120)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2 컨베이어(220)의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320)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컨베이어(22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제1 컨베이어(210)로 공급되도록 제2 재순환라인(321)이 설치되며,
    상기 제3 공급기(130)의 건조공기가 상기 제3 컨베이어(230)의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제3 건조공기공급라인(330)이 설치되고,
    상기 제3 컨베이어(23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한 건조공기가 상기 제2 건조공기공급라인(320)에 공급되도록 제1 재순환라인(32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
  6. 삭제
KR1020180137847A 2018-10-01 2018-11-12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 KR101991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16739 2018-10-01
KR1020180116739 2018-10-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652B1 true KR101991652B1 (ko) 2019-09-30

Family

ID=68098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847A KR101991652B1 (ko) 2018-10-01 2018-11-12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6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620B1 (ko) * 2021-05-24 2022-02-09 주식회사 선경 고함수율 슬러지용 건조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7743A1 (en) * 1991-03-28 1992-10-15 Curry Donald P Apparatus and process for drying cellulosic and textile substances with superheated steam
US5515224A (en) * 1993-02-24 1996-05-07 Sgs-Thomson Microelectronics S.R.L. Limitation of current absorption under short-to-plus unpowered conditions of the output node of an amplifier
KR20110066050A (ko) 2009-12-10 2011-06-16 신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슬러지 건조용 컨베이어
KR20120035742A (ko) 2010-10-06 2012-04-16 신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슬러지 건조용 이송 컨베이어
KR20130001804A (ko) * 2011-06-28 2013-01-07 케이티엠엔지니어링(주) 진동측정기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7340B1 (ko) * 2011-09-16 2013-02-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압축장치를 이용한 고함수 물질 건조시스템 및 그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건조방법
KR20180051040A (ko) 2016-11-08 2018-05-16 이광희 급기 건조 특성을 가지는 컨베이어 타입 건조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7743A1 (en) * 1991-03-28 1992-10-15 Curry Donald P Apparatus and process for drying cellulosic and textile substances with superheated steam
US5515224A (en) * 1993-02-24 1996-05-07 Sgs-Thomson Microelectronics S.R.L. Limitation of current absorption under short-to-plus unpowered conditions of the output node of an amplifier
KR20110066050A (ko) 2009-12-10 2011-06-16 신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슬러지 건조용 컨베이어
KR20120035742A (ko) 2010-10-06 2012-04-16 신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슬러지 건조용 이송 컨베이어
KR20130001804A (ko) * 2011-06-28 2013-01-07 케이티엠엔지니어링(주) 진동측정기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7340B1 (ko) * 2011-09-16 2013-02-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압축장치를 이용한 고함수 물질 건조시스템 및 그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건조방법
KR20180051040A (ko) 2016-11-08 2018-05-16 이광희 급기 건조 특성을 가지는 컨베이어 타입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620B1 (ko) * 2021-05-24 2022-02-09 주식회사 선경 고함수율 슬러지용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270B1 (ko)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CN102177984B (zh) 一体化自动链板式烘干机
RU2010144971A (ru) Автотермальные и мобильные усушечные устройства
KR101610751B1 (ko) 슬러지의 자원화 시스템 및 자원화 방법
KR101991652B1 (ko) 재생에너지용 컨베이어 건조 시스템
CN101986074B (zh) 利用电站锅炉的热风及烟气干燥煤泥的方法
US104505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rrefaction of biomass with a cyclonic bed reactor
KR101958600B1 (ko) 열풍 반사판을 구비한 저온 건조장치
KR101555575B1 (ko) 슬러지의 연소열을 이용한 슬러지의 자원화 시스템 및 자원화 방법
KR20160048604A (ko) 슬러지 건조용 3단 이송 컨베이어 시스템 및 슬러지 건조방법
CN204854246U (zh) 一种气化煤渣干燥设备及系统
CN107429970B (zh) 带有干燥区域的干燥设备
KR20160112158A (ko) 슬러지 건조용 3단 이송 컨베이어 시스템
KR20140106098A (ko) 하수 슬러지 건조장치
CN104833189A (zh) 一种气化煤渣干燥设备及系统
KR20060117617A (ko) 폐기물 건조장치
RU237346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циркуляции агента сушки
KR101367224B1 (ko) 가연성 고형 폐기물을 연료로 하는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20210145007A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흑연질 석탄 건조 및 배출가스 처리시스템
KR102346958B1 (ko) 고함수율 슬러지 건조용 열풍분사장치
CN102010114A (zh) 以废治废低成本干燥污泥的装置及其方法
CN218645986U (zh) 一种使用回转窑烟气预热除湿黄沙的装置
CN205501086U (zh) 一种利用太阳能的污泥干化设备
KR102502424B1 (ko) 슬러지 투입구 및 토출구 자동개폐를 통해 기류제어가 가능한 에너지 절감형 슬러지 건조장치
CN205501090U (zh) 一种带温度调节的污泥干化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