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832B1 -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832B1
KR101885832B1 KR1020160141641A KR20160141641A KR101885832B1 KR 101885832 B1 KR101885832 B1 KR 101885832B1 KR 1020160141641 A KR1020160141641 A KR 1020160141641A KR 20160141641 A KR20160141641 A KR 20160141641A KR 101885832 B1 KR101885832 B1 KR 101885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rying
unit
heat source
down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477A (ko
Inventor
정현태
이보원
정환종
주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60141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8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waste heat from other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2Controlling the drying process in dependence on liquid cont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0Energy recov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를 건조하여 연료화하는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습슬러지를 일시 저장해서 투입하는 공급부와, 잉여 스팀과 폐열을 열원으로 공급하는 열원부와, 공급부와 열원부의 하류에 연결되어 습슬러지를 열원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이 건조부의 하류에 설치되어 건조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건조부의 하류에 분기되어 건조시 발생된 분진과 악취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배출부의 하류에 설치되어 건조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부에 대한 열원으로서 소각로의 잉여 스팀을 공급하는 열원부를 구비함으로써, 건조장치의 연료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연료화 건조장치의 건설비용 및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APPARATUS FOR DRYING SLUDGE USING SURPLUS STEAM}
본 발명은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 공업용수, 산업용폐수, 하수 및 분뇨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생물의 잔재물인 슬러지를 건조하여 연료화하는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는 주성분으로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어 건조하여 연료화 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며, 특히 슬러지는 통상 함수율이 80∼60%인 탈수 케익 형태로 발생되며, 수분을 제외한 슬러지의 고형물 중 유기물질은 보통 40∼80%로 다양한 범위 내에 함유하고 있어, 이를 건조하면 발열량이 보통 4,500kcal/kg에 달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슬러지의 처리방법으로는 매립, 고화, 재이용, 소각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건조하여 화력발전소의 보조연료로 활용하는 방안이 최근에 대두되고 있지만, 슬러지 건조시 LNG 등의 화석연료를 사용하게 되어 소요되는 연료비가 전체 운영비의 60% 가량을 차지하여 경제성을 악화시키고, LNG 등을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인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슬러지 건조장치에서는 LNG나 중유를 연소하여 발생되는 고온의 열풍을 직접 또는 열교환하여 건조장치에 투입하여 함수율 80%내외의 슬러지를 건조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슬러지 건조장치에서는 건조에 필요한 열원의 소요 비용이 전체 운영비에서 과다한 부분을 차지하여 슬러지 건조장치의 경제성을 악화시키는 동시에 슬러지 건조시설의 운영에 어려움을 제공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7745호 (2014년 03월 0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5932호 (2010년 06월 2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9158호 (2012년 10월 1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건조장치의 연료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연료화 건조장치의 건설비용 및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최저 함수율의 건조물을 용이하게 수득하는 동시에 최종 건조물의 함수율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부에서 건조물을 용이하게 분배하여 순환시키는 동시에 건조물의 순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물의 함수율을 10% 보다 낮게 수득할 수 있고 건조물의 함수율을 용이하게 최소화할 수 있는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부에서 습슬러지를 정량으로 공급하여 습슬러지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일러의 폐열을 공급하거나 소각장이나 발전소의 잉여 스팀을 공급하여 슬러지 건조공정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에너지 재사용에 의해 환경오염도 감소시킬 수 있는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러지의 교반과 건조를 함께 진행하여 슬러지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러지의 건조물을 용이하게 냉각시키는 동시에 건조물의 배출성능 및 이송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부에서 건조시 발생된 분진 및 응축수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동시에 건조부에서 발생된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러지를 건조하여 연료화하는 슬러지 건조장치로서, 습슬러지를 일시 저장해서 투입하는 공급부(10); 잉여 스팀과 폐열을 열원으로 공급하는 열원부(20); 상기 공급부(10)와 상기 열원부(20)의 하류에 연결되어 습슬러지를 열원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부(30); 상기 건조부(30)의 하류에 설치되어 건조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40); 상기 건조부(30)의 하류에 분기되어 건조시 발생된 분진과 악취를 처리하는 처리부(50); 및 상기 배출부(40)의 하류에 설치되어 건조물을 저장하는 저장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부(40)에서 배출된 건조물을 상기 공급부(10)의 하류로 반송하여 상기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습슬러지와 혼합하여 상기 건조부(30)에 공급하는 혼합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혼합부(70)는, 상기 배출부(40)에서 배출되는 건조물의 일부를 상기 공급부(10)의 하류로 반송하도록 이송하는 이송설비; 상기 이송설비의 하류에 설치되어 이송된 건조물을 일시 저장해서 공급하는 건조물 공급호퍼; 및 상기 공급부(10)의 하류 및 상기 건조물 공급호퍼의 하류에 연결되어, 습슬러지와 건조물을 혼합하는 혼합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혼합부(70)는, 상기 습슬러지와 함수율이 10∼50%인 건조물을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공급부(10)는, 습슬러지를 저장하는 슬러지 저장조; 및 상기 슬러지 저장조의 하류에 설치되어 습슬러지를 정량으로 공급하도록 임시로 저장하는 슬러지 공급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열원부(20)는, 폐열을 공급하는 열원공급설비; 및 상기 열원공급설비의 하류에 연결되어, 폐열에 의한 스팀 및 소각장이나 발전소의 잉여 스팀을 공급하는 증기분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건조부(30)는, 2축의 회전 스크류에 의해 슬러지를 교반하면서 건조시키는 교반형 건조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배출부(40)는, 상기 건조부(30)의 하류에 연결되어 배출된 슬러지의 건조물을 냉각시키는 건조물 냉각 컨베이어; 및 상기 건조물 냉각 컨베이어의 하류에 설치되어 건조물을 배출이송시키는 배출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처리부(50)는, 상기 건조부(30)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부(30)에서 발생된 분진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분진제거설비; 및 상기 분진제거설비의 하류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부(30)에서 발생된 악취를 감소시키는 악취저감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부에 대한 열원으로서 소각로의 잉여 스팀을 공급하는 열원부를 구비함으로써, 건조장치의 연료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연료화 건조장치의 건설비용 및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습슬러지와 건조물을 혼합하여 건조하도록 혼합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최저 함수율의 건조물을 용이하게 수득하는 동시에 최종 건조물의 함수율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혼합부로서 이송설비, 건조물 공급호퍼 및 혼합설비를 구비함으로써, 배출부에서 건조물을 용이하게 분배하여 순환시키는 동시에 건조물의 순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혼합부에서 습슬러지와 함수율이 10∼50%인 건조물을 혼합하여 건조부에서 건조시킴으로써, 건조물의 함수율을 10% 보다 낮게 수득할 수 있고 건조물의 함수율을 용이하게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공급부로서 슬러지 저장조와 슬러지 공급호퍼를 구비함으로써, 공급부에서 습슬러지를 정량으로 공급하여 습슬러지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열원부로서 열원공급설비와 증기분배기를 구비함으로써, 보일러의 폐열을 공급하거나 소각장이나 발전소의 잉여 스팀을 공급하여 슬러지 건조공정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에너지 재사용에 의해 환경오염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건조부로서 슬러지를 교반하면서 건조시키는 교반형 건조기를 구비함으로써, 슬러지의 교반과 건조를 함께 진행하여 슬러지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배출부로서 건조물 냉각 컨베이어와 배출설비를 구비함으로써, 슬러지의 건조물을 용이하게 냉각시키는 동시에 건조물의 배출성능 및 이송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처리부로서 분진제거설비와 악취저감설비를 구비함으로써, 건조부에서 건조시 발생된 분진 및 응축수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동시에 건조부에서 발생된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는, 공급부(10), 열원부(20), 건조부(30), 배출부(40), 처리부(50) 및 저장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슬러지를 건조하여 연료화하는 슬러지 건조장치이다.
공급부(10)는, 습슬러지를 반입장을 통해서 전달받아 저장조에서 일시적으로 저장해서 건조부(30)에 투입하는 공급수단으로서, 슬러지 저장조(11)와 슬러지 공급호퍼(12)로 이루어져 있다.
슬러지 저장조(11)는, 건조부(30)의 상류에 설치되어 건조용 습슬러지를 반입장을 통해서 전달받아 저장하는 저장조로서, 건조부(30)에 투입하기 위해 함수율이 60∼80%인 습슬러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슬러지 저장조(11)에는,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기와, 슬러지를 이송하는 이송펌프와, 슬러지를 이송하기 위한 통로인 이송관과, 저장조를 개폐하는 밀폐형 도어 등이 구비되어 있다.
슬러지 공급호퍼(12)는, 슬러지 저장조(11)의 하류에 설치되어 습슬러지를 정량으로 공급하도록 임시로 저장하는 호퍼설비로서,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와,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공급호퍼에서 배출되는 정량을 측정하는 로드셀 등이 구비되어 있다.
열원부(20)는, 소각로의 잉여 스팀과 폐열을 건조부(30)의 건조공정에 열원으로 공급하는 열원공급수단으로서, 열원공급설비(21)와 증기분배기(22)로 이루어져 있다.
열원공급설비(21)는, 보일러나 건조기의 폐열을 공급하는 열원공급수단으로서, 보일러에서 발생된 폐열이나 건조부(30)에서 슬러지의 건조시 배출된 폐열을 재활용하게 된다.
또한, 열원공급설비(21)에는, 폐열의 부족시 열원을 보충하기 위해 별도의 LNG 또는 바이오가스를 사용하는 보일러나 이들을 함께 사용하는 병합보일러 또는 히터 등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열원공급설비(21)에서 대기로 배출되는 연소공기는 200℃이상으로 유지 되므로, 이러한 폐열을 회수하여 연소용 공기로 재사용하거나 소화조 가온용 열원으로 재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증기분배기(22)는, 열원공급설비(21)의 하류에 연결되어, 폐열에 의한 스팀 및 소각장이나 발전소 및 지역난방 등의 잉여 스팀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열원공급수단으로서, 폐열에 의한 스팀 및 소각장이나 발전소와 지역난방 등의 잉여 스팀을 포집하여 정량의 스팀을 건조부(30)에 공급하게 된다.
건조부(30)는, 공급부(10)와 열원부(20)의 하류에 함께 연결되어 습슬러지를 열원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수단으로서, 2축의 회전 스크류에 의해 슬러지를 교반하면서 건조시키는 교반형 건조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교반형 건조기에는, 습슬러지를 교반하는 2축의 회전 스크류와, 여기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건조기에 열원인 스팀을 주입하고 잔여 스팀을열을 배출하는 스팀주입부 및 배출부와, 내부의 함수율을 조절하도록 신선한 외기를 투입하고 배출하는 공기 투입구 및 배출구와, 건조물 슬러지를 후속공정으로 배출시키는 건조물 배출 컨베이어가 구비되어 있다.
교반형 건조기의 스크류 내부에는 소각로 등에서 생산된 잉여 스팀이 일정 압력으로 상시 투입되어 120∼180℃ 내외의 일정 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교반형 스크류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슬러지의 체류시간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교반형 건조기의 후단에는 건조물 배출 컨베이어를 구비하여 그 회전 속도에 따라 슬러지의 체류시간 및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건조기의 본체에도 일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팀 배관과 보온재가 시공되어 있다.
또한, 교반형 건조기에서는 함수율 60∼80% 내외의 슬러지를 교반 및 건조에 의해 함수율 10∼40% 내외의 건조물 슬러지를 생산하게 되며, 건조물의 함수율이 10% 보다 작은 경우에는, 건조공정 전에 습슬러지와 건조물을 미리 혼합하여 건조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배출부(40)는, 건조부(30)의 하류에 설치되어 건조부(30)에서 건조된 건조물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으로서, 건조물 냉각 컨베이어(41), 배출설비(42) 및 냉각탑(43)으로 이루어져 있다.
건조물 냉각 컨베이어(41)는, 건조부(30)의 하류에 연결되어 배출된 슬러지의 건조물을 냉각시키는 이송수단으로서, 건조부(30)에서 건조된 건조 슬러지의 온도가 100℃ 내외로 유지되므로 건조물을 상온까지 냉각시키면서 이송하게 된다.
이러한 건조물 냉각 컨베이어(41)에는 건조부(30)의 후단에 연결되며, 건조물을 교반하는 스크류와,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건조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수관 자켓이 구비되어 있다.
배출설비(42)는, 건조물 냉각 컨베이어(41)의 하류에 설치되어 건조물을 배출이송시키는 이송수단으로서, 이송 컨베이어로 이루어져 건조물 냉각 컨베이어(41)에 의해 냉각된 건조물을 최종제품으로 해서 후속 공정의 저장부(60)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배출설비(42)에는 완성된 건조물의 함수율을 10% 보다 작게 건조하기 위해 건조공정 전에 습슬러지와 건조물을 미리 혼합하여 건조하도록 건조공정 전으로 반송하여 순환시키는 반송수단과 건조물을 분배하는 분배수단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냉각탑(43)은, 건조물 냉각 컨베이어(41)에 연결되어 폐열을 재사용하도록 회수하는 재생수단으로서, 냉각탑(43)을 통해서 폐열을 방출하여 재순환하거나 폐열을 회수하여 소화조의 가온이나 슬러지의 가온용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처리부(50)는, 건조부(30)의 하류에 분기되어 건조부(30)에서 건조시 발생된 분진과 악취를 처리하는 처리수단으로서, 분진제거설비(51)와 악취저감설비(52)로 이루어져 있다.
분진제거설비(51)는, 건조부(30)에 연결되어 건조부(30)에서 건조시 발생된 분진 및 응축수를 포집하여 제거하는 분진제거수단으로서, 건조장치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에는 분진과 응축수가 다량 포함되어 있으므로 수분사식 또는 수관식 형태의 제거설비를 사용하여 분진과 응축수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분진제거설비(51)에 사용되는 물은 하수처리장이 있는 경우에는 하수를 재사용하고, 하수처리장과 연계가 어려울 경우에는 냉각탑을 설치하고 물을 순환시켜 사용하며, 분진 제거용 싸이클론 등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악취저감설비(52)는, 분진제거설비(51)의 하류에 연결되어 건조부(30)에서 건조시 발생된 악취를 감소시키는 악취저감수단으로서, 건조공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고농도 악취와 저농도 악취로 구분하여 저감하는 분리형 악취저감설비를 사용하거나 이들을 함께 저감하는 일체형 악취저감설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저장부(60)는, 배출부(40)의 하류에 설치되어 건조물을 저장하는 저장수단으로서, 최종제품으로 배출된 건조물 슬러지는 건조물 저장조에 일정시간 보관하게 되므로 화재방지를 위해 스파크 감지 및 이산화탄소(CO), 산소(O2) 등의 계측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저장부(60)에는 분진 제어를 위한 밴트필터와, 저장량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배출구동력을 제공하는 배출모터와, 배출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러지 건조장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부(40)에서 배출된 건조물을 공급부(10)의 하류로 반송하여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습슬러지와 혼합하여 건조부(30)에 공급하는 혼합부(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혼합부(70)는, 배출부(40)에서 배출된 건조물을 공급부(10)의 하류로 반송하여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습슬러지와 혼합시키는 혼합수단으로서, 이송설비(71), 건조물 공급호퍼(72) 및 혼합설비(73)로 이루어져 있다.
이송설비(71)는, 배출부(40)에서 배출되는 건조물의 일부를 공급부(10)의 하류로 반송하도록 이송하는 이송수단으로서, 건조부(30)에서 건조되어 배출부(40)에서 분배된 함수율이 10∼50%인 건조물을 순환 이송시키는 건조물 순환 컨베이어로 이루어져 있다.
건조물 공급호퍼(72)는, 이송설비(71)의 하류에 설치되어 순환 이송된 건조물을 일시 저장해서 공급하는 호퍼설비로서, 건조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와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공급호퍼에서 배출되는 정량을 측정하는 로드셀 등이 구비되어 있다.
혼합설비(73)는, 공급부(10)의 하류 및 건조물 공급호퍼(72)의 하류에 연결되어, 습슬러지와 건조물을 혼합하는 혼합수단으로서, 공급부(10)에서 공급된 습슬러지와, 건조부(30)에서 건조되어 배출부(40)에서 분배된 함수율이 10∼50%인 건조물을 혼합시켜 건조부(30)에 공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슬러지 건조부에 대한 열원으로서 소각로의 잉여 스팀을 공급하는 열원부를 구비함으로써, 건조장치의 연료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연료화 건조장치의 건설비용 및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습슬러지와 건조물을 혼합하여 건조하도록 혼합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최저 함수율의 건조물을 용이하게 수득하는 동시에 최종 건조물의 함수율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혼합부로서 이송설비, 건조물 공급호퍼 및 혼합설비를 구비함으로써, 배출부에서 건조물을 용이하게 분배하여 순환시키는 동시에 건조물의 순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혼합부에서 습슬러지와 함수율이 10∼50%인 건조물을 혼합하여 건조부에서 건조시킴으로써, 건조물의 함수율을 10% 보다 낮게 수득할 수 있고 건조물의 함수율을 용이하게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공급부로서 슬러지 저장조와 슬러지 공급호퍼를 구비함으로써, 공급부에서 습슬러지를 정량으로 공급하여 습슬러지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열원부로서 열원공급설비와 증기분배기를 구비함으로써, 보일러의 폐열을 공급하거나 소각장이나 발전소의 잉여 스팀을 공급하여 슬러지 건조공정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에너지 재사용에 의해 환경오염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건조부로서 슬러지를 교반하면서 건조시키는 교반형 건조기를 구비함으로써, 슬러지의 교반과 건조를 함께 진행하여 슬러지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배출부로서 건조물 냉각 컨베이어와 배출설비를 구비함으로써, 슬러지의 건조물을 용이하게 냉각시키는 동시에 건조물의 배출성능 및 이송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처리부로서 분진제거설비와 악취저감설비를 구비함으로써, 건조부에서 건조시 발생된 분진 및 응축수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동시에 건조부에서 발생된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공급부 20: 열원부
30: 건조부 40: 배출부
50: 처리부 60: 저장부
70: 혼합부

Claims (9)

  1. 슬러지를 건조하여 연료화하는 슬러지 건조장치로서,
    습슬러지를 일시 저장해서 투입하는 공급부(10);
    잉여 스팀과 폐열을 열원으로 공급하는 열원부(20);
    상기 공급부(10)와 상기 열원부(20)의 하류에 연결되어 습슬러지를 열원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부(30);
    상기 건조부(30)의 하류에 설치되어 건조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40);
    상기 건조부(30)의 하류에 분기되어 건조시 발생된 분진과 악취를 처리하는 처리부(50); 및
    상기 배출부(40)의 하류에 설치되어 건조물을 저장하는 저장부(60);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40)는, 상기 건조부(30)의 하류에 연결되어 배출된 슬러지의 건조물을 냉각시키는 건조물 냉각 컨베이어; 상기 건조물 냉각 컨베이어의 하류에 설치되어 건조물을 배출이송시키는 배출설비; 및 상기 건조물 냉각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폐열을 재사용하도록 회수하는 냉각탑;을 포함하고,
    상기 열원부(20)는,
    폐열을 공급하는 열원공급설비; 및
    상기 열원공급설비의 하류에 연결되어, 폐열에 의한 스팀 및 소각장이나 발전소의 잉여 스팀을 공급하는 증기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30)는, 2축의 회전 스크류에 의해 슬러지를 교반하면서 건조시키는 교반형 건조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교반형 건조기의 스크류 내부에는 상기 증기분배기에서 공급된 잉여 스팀이 일정 압력으로 상시 투입되어 120∼180℃ 내외의 일정 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교반형 스크류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슬러지의 체류시간을 조정하고,
    상기 교반형 건조기에서는 함수율 60∼80% 내외의 슬러지를 교반 및 건조에 의해 함수율 10∼40% 내외의 건조물 슬러지를 생산하게 되며, 건조물의 함수율이 10% 보다 작은 경우에는, 건조공정 전에 습슬러지와 건조물을 미리 혼합하여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40)에서 배출된 건조물을 상기 공급부(10)의 하류로 반송하여 상기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습슬러지와 혼합하여 상기 건조부(30)에 공급하는 혼합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70)는,
    상기 배출부(40)에서 배출되는 건조물의 일부를 상기 공급부(10)의 하류로 반송하도록 이송하는 이송설비;
    상기 이송설비의 하류에 설치되어 이송된 건조물을 일시 저장해서 공급하는 건조물 공급호퍼; 및
    상기 공급부(10)의 하류 및 상기 건조물 공급호퍼의 하류에 연결되어, 습슬러지와 건조물을 혼합하는 혼합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70)는, 상기 습슬러지와 함수율이 10∼50%인 건조물을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는,
    습슬러지를 저장하는 슬러지 저장조; 및
    상기 슬러지 저장조의 하류에 설치되어 습슬러지를 정량으로 공급하도록 임시로 저장하는 슬러지 공급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50)는,
    상기 건조부(30)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부(30)에서 발생된 분진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분진제거설비; 및
    상기 분진제거설비의 하류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부(30)에서 발생된 악취를 감소시키는 악취저감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KR1020160141641A 2016-10-28 2016-10-28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KR101885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641A KR101885832B1 (ko) 2016-10-28 2016-10-28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641A KR101885832B1 (ko) 2016-10-28 2016-10-28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477A KR20180046477A (ko) 2018-05-09
KR101885832B1 true KR101885832B1 (ko) 2018-08-06

Family

ID=6220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641A KR101885832B1 (ko) 2016-10-28 2016-10-28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8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953B1 (ko) * 2019-05-31 2020-03-19 유창선 열병합발전기의 폐열을 이용한 소화슬러지 건조시스템
KR102559626B1 (ko) * 2022-03-25 2023-07-28 (주) 케이피 유기성 슬러지의 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유기성 슬러지의 고형 연료화 시스템, 및 유기성 슬러지의 고형 연료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385B1 (ko) * 2005-10-26 2007-02-22 이보엠텍 주식회사 하, 폐수 슬러지의 자원 재활용 장치
KR101176427B1 (ko) * 2011-10-18 2012-08-3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고정상 건조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연료화 장치 및 연료화 방법
KR101271018B1 (ko) * 2011-12-21 2013-06-07 루센에코로 주식회사 슬러지 급속 건조방법과 급속건조기 및 건조기의 냉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932B1 (ko) 2010-04-27 2010-06-24 오난희 유기성 폐기물의 효율적 건조 및 악취 제어시스템
KR101326856B1 (ko) * 2011-01-19 2013-11-12 에이치투더블유티이 주식회사 슬러지 건조장치
KR101189158B1 (ko) 2012-08-14 2012-10-10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건조슬러지를 재순환시키는 슬러지 처리 설비
KR101367745B1 (ko) 2013-11-22 2014-03-03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3단계 고액분리와 저에너지형 음식물폐기물전용 패들건조기 및 악취처리와 건조열원을 생산하는 멀티보일러를 적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사료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385B1 (ko) * 2005-10-26 2007-02-22 이보엠텍 주식회사 하, 폐수 슬러지의 자원 재활용 장치
KR101176427B1 (ko) * 2011-10-18 2012-08-3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고정상 건조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연료화 장치 및 연료화 방법
KR101271018B1 (ko) * 2011-12-21 2013-06-07 루센에코로 주식회사 슬러지 급속 건조방법과 급속건조기 및 건조기의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477A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2638C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verting waste into energy
CA11468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ewage sludge
CN105745175A (zh) 气流循环型低温热风污泥干燥处理设备及处理方法
JP2000265186A (ja) 固形燃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534197B1 (ko) 폐자원 및 폐가스 회수열을 이용한 슬러지 자원화 시스템
CN110790475A (zh) 火电厂烟气再循环耦合污泥干化在线掺烧系统
KR20100055192A (ko) 슬러지 건조시스템
KR102235558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연료화와 부숙화 하이브리드 자원화시스템
KR101885832B1 (ko) 잉여 스팀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KR100851948B1 (ko) 유기성 슬러지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DK1812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excrement of livestock
KR101620337B1 (ko) 분사노즐과 파쇄판을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
KR101817647B1 (ko) 축산 분뇨의 무방류 처리 설비
WO2012111876A1 (ko) 가연성 또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또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KR100923032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시스템
KR100292122B1 (ko) 도시쓰레기 소각로에서의 하수 슬러지 소각장치 및 소각방법
JP2001165572A (ja) 含水廃棄物用のスクリューコンベア式乾燥装置
KR101810672B1 (ko) 건조된 슬러지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 방법
KR101929788B1 (ko) 유기성슬러지 처리를 위한 바이오 드라잉 시스템
KR100561484B1 (ko) 폐열 및 폐가스를 이용한 오폐수 및 상하수도 슬러지케이크 건조장치
TWI784836B (zh) 水熱處理系統
KR101117014B1 (ko) 부패성 폐기물의 바이오매스 처리에 의한 폐자원 재활용 방법 및 장치
KR101439077B1 (ko) 파쇄 및 열원공급을 위한 슬러지 건조장치
KR101312610B1 (ko) 탄화촉진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방법
KR101071682B1 (ko) 슬러지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