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451B1 - 전기음향변환기 - Google Patents

전기음향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451B1
KR100485451B1 KR1019970012003A KR19970012003A KR100485451B1 KR 100485451 B1 KR100485451 B1 KR 100485451B1 KR 1019970012003 A KR1019970012003 A KR 1019970012003A KR 19970012003 A KR19970012003 A KR 19970012003A KR 100485451 B1 KR100485451 B1 KR 100485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flange
elastic plate
suppor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3208A (ko
Inventor
요시오 이마호리
요시하루 오이시
Original Assignee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70073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3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3/00Transducers having an acoustic diaphragm of magnetisable material directly co-acting with electromagne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음향변환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위치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 부착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둘레에 감기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둘레에서 이 코일과 틈을 두고 배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의 둘레에 위치하여 탄성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자석의 타단을 지지하는 자석지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음향변환기
본 발명은 전기음향변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지부재에 위치하는 자석지지부를 가지고 탄성판(소위 공명판) 및 이 탄성판의 중앙에 부착된 부가질량체를 포함하는 격벽을 지지하는 형태의 전기음향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자석지지부는 베이스와 자석지지부 사이의 자석을 지지하여 베이스로부터 자석의 돌발적인 이탈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종래의 예로서 전기음향변환기의 구조는 제11도 및 제12도에 나타내었다. 이들도면에는 케이스(401)가 도시되어 있고 특히 제12도의 좌측끝부분의 중앙에는 음향포트(403)가 형성되어 있다. 제12도의 우측을 볼 때 케이스(401)의 내측벽에는 지지링(405)이 배치되어 있다. 또 제12도의 우측끝부분에는 개구(40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407)에는 베이스부재(409)가 고착되어 있고, 베이스부재(409)의 중앙에는 코어(411) 및 보드(413)가 부착되어 있다.
코어(411)의 둘레에는 코일(415)이 감겨있고 이 코일(415)의 각 단자는 보드(413)에 부착된 리드단자(417),(419)에 예를들어 납땜에 의해 확고히 접속된다. 코일(415)의 둘레에는 자석(423)이 배치되며, 이 코일과 자석 사이에는 링형상의 틈(42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링(405)은 자석(423)의 외부변에 위치하며, 격막(426)을 지지하는 스텝부(425)를 갖는다. 격막(426)은 탄성판(427)과 이 탄성판(427)의 중앙부에 부가질량체로서 부착된 자석편(429)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전기음향변환기에 있어서, 자석편(429)과 일체로 이루어진 탄성판(429)은 자석에 의해 소정의 극성을 갖도록 설정되어 다른 자석(423)에 끌리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드단자(417),(419)를 통해 전류가 코일(415)에 흐를 때 코어(411)가 자화되어 그 첨단부에 자장을 발생시킨다. 코일(415)에 의해 유도되는 코어(411)의 자극이 탄성판(427)에 부착된 자석(423)에 의해 유도되는 자극과 다를 때 탄성판(427)이 코어(411)에 끌리게된다. 코일(415)에 의해 유도되는 코어(411)의 자극이 탄성판(427)에 부착된 자석(423)에 의해 유도되는 자극과 같을 때 탄성판(427)은 코어(411)에 반발한다. 결국 양방향 전류를 간헐적으로 흐르게하여 탄성판(427)이 상기 동작을 반복하게된다. 즉, 탄성판(427)은 소정의 주파수로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시킨다.
제13도 및 제14도에는 다른 형태의 전기음향변환기를 도시한다. 여기서 상부케이스(501)는 그 하부에 부착된 베이스부재(503)를 가지고 있으며, 베이스(505) 및 코어(507)는 (베이스부재(503) 상의)상부케이스(501) 내측에 일체로 고착된다. 코어(507) 및 베이스(505)의 일체화된 물질은 "극편" 이라 칭한다. 코어(507)의 둘레에는 코일(509)이 감기고 다른 코일(509) 둘레에는 지지링(511)이 배치되며, 이 지지링(511)의 내측벽에는 자석(513)이 배치된다. 또 자석(513) 과 코일(509) 사이에는 링형상의 틈(515)이 형성된다.
제14도에 있어서 지지링(511)의 좌측끝부분에는 격막(518)이 배치되는 스텝부(517)가 형성된다. 격막(518)은 탄성판(519)과 이 탄성판(519)의 중앙부에 부가질량으로서 부착되는 자석편(521)을 포함한다.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리드단자(523, 525)가 베이스부재(503)에 일체로 삽입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코일(509)의 양쪽 단자(509a, 509b)는 리드단자(523, 525)로 도출되어 납땜된다.
이와같은 형태의 전기음향변환기는 전술한 제11도 및 제12도의 것과 그 작용이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이와같은 종래의 전기음향변환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제11도 및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전기음향변환기에 있어서, 자석(423)은 자력에 의해 베이스부재(409)에 끌리게되고, 접착에의해 고정된다. 이런 형태의 전기음향변환기는 휴대용전화기 등의 다양한 전자기기에 장착되며, 휴대용전화기에 장착될 경우 약 10,000(중력 : G-force) 의 드롭 쇼크를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쇼크량이 종래의 전기음향변환기에 가해지면 자석(423)이 베이스부재(409)를 박리시킬 가능성이 있다. 자석(423)이 베이스부재(409)를 박리시키면 부착된 자석(423)이 탄성판(427)에 끌려가거나 충돌하여 탄성판(427)의 변형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그 결과 원하는 음향성능을 해칠 수 있다.
자석(423)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베이스부재(409)를 박리시킨다. 즉, 원하는 자력을 얻기 위해서 자석(423)은 예를들어 사마리움-코발트, 아철산염, 철-코발트 크롬 등 비중이 보다 큰 물질로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은 매우 견고하므로 절단이 어려워 마무리로서 연마를 통상적으로 행한다. 이와 같이 자석(423)은 마무리면이 "거울표면"에 가까운 금속으로 제조되므로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원하는 접착강도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어떤 충격이 가해졌을 때 자석(423)이 베이스부재(409)를 박리할 수도 있다.
접착강도를 보다 높이는 접착제가 있을 수도 있으나 이러한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가격이 높아서 제조비용의 상승을 가져온다.
제13도 및 제14도의 자석(513)의 경우도 이와같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일본특허공개 제1995-117837호 및 제1995-117838호의 주제내용과 관련이 있으며, 여기 참조로서 인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돌발적인 저석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된 음향성능을 얻을 수 있는 전기음향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음향변환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위치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부착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둘레에 감기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둘레에서 이 코일과 틈을 두고 배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의 둘레에 위치하여 탄성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자석의 타단을 지지하는 자석지지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전기음향변환기에 있어서는 자석 둘레의 지지부재에 자석지지부가 배치되어 탄성판을 지지함으로써 자석지지부와 베이스 사이에서 자석지지부에 의해 자석이 기계적으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내주변측에 배치되는 지지링으로서, 상기 지지링의 내주변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자석지지부로서 작용한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자석의 외주변측에 위치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케이스의 내주변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자석지지부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지지부재는 지지링이나 지지링으로서 작용하는 부분이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여러 가지 형태의 전기음향변환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판과 마주하는 상기 플랜지의 표면이 경사지고, 상기 표면과 상기 탄성판 사이의 틈은 상기 탄성판의 중앙으로 향하면서 중대한다.
또, 상기 자석지지부로서의 상기 플랜지는 상기 지지부재에 돌출하여 형성되면서 상기 탄성판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는 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자석지지부로서의 상기 플랜지가 상기 지지부재에 돌출하여 형성되면서 상기 탄성판과 상기 플랜지에는 틈이 없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 자석지지부로서의 상기 플랜지가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된다.
또 이와는 달리 상기 자석지지부로서의 상기 상기 플랜지는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음향변환기를 전자기형(電磁氣型)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베이스와 플랜지 사이에 자석이 기계적으로 지지되므로 베이스로부터 자석이 이탈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들어 휴대용 전화기에 장착될 경우 충격이 가해져도 베이스로부터 자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자석과의 충돌이나 자석의 이탈에 따른 탄성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탈에 기인한 음향성능의 손실도 확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접착 또는 고정을 위해 접착제에 높은 비중을 두고 의존할 필요가 없으므로 고가의 접착제를 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접착제의 선택범위가 넓어져 접착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자석지지부로서 탄성판과 마주하는 플랜지의 표면이 경사진 구조를 가지고 있어 탄성판과 플랜지 사이의 틈의 크기가 탄성판의 중앙을 향하면서 점차 증대할 경우 진등중에 플랜지가 탄성판을 간섭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또, 탄성판과 플랜지 사이에 틈이 형성되면서 지지링에 자석지지부로서 플랜지가 형성될 경우 간섭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배치된 상부케이스(1)는 그 바닥에 부착된 베이스부재(3)를 가진다. 베이스(5) 및 코어(7)는 베이스부재(3) 상의 상부케이스(1) 내측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코어(7)와 베이스(5)로된 일체를 "전극편"이라 한다. 코일(9)은 코어(7) 둘레에 감기고, 지지링(11)은 코일(9) 둘레에 배치된다. 또 자석(13)은 지지링(11)의 내측벽에 배치되며, 자석(13)과 코일(9) 사이에는 링형상의 틈(15)이 형성된다.
제2도에 있어서, 지지링(11)의 좌측단부에는 격막(18)이 위치하는 스텝부(17)가 형성된다. 격막(18)은 탄성판(19) 및 이 탄성판(19)의 중앙부에 부가질량으로 부착된 자석편(21)을 포함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리드단자(23),(25)는 미리 베이스부재(3)에 일체로 삽입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코일(9)의 코일단자(9a),(9b)는 리드단자(23),(25)에 각각 도출되어 이들 리드단자(23),(25)에 납땜으로 고정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전기음향변환기에 있어서, 자석편(21)과 일체로된 탄성판(19)은 자석(13)에 의해 어느 극성을 갖게되어 자석에 끌리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류가 리드단자(23),(25)를 통해 코일(9)에 흐를 때 코어(7)가 자화되어 그 첨단부에 자장을 발생시킨다. 코일(9)에 의해 유도된 코어(7)의 자극이 탄성판(19)에 부착된 자석(13)에 의해 유도된 자극과 다를 때 탄성판(19)은 코어(7)에 끌리게된다. 또 코일(9)에 의해 유도된 코어(7)의 자극이 탄성판(19)에 부착된 자석(13)에 유도된 자극과 같을 때 탄성판(19)이 코어(7)를 밀게된다. 따라서, 양방향으로 전류를 간헐적으로 흐르게하면, 탄성판(19)은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게된다. 즉, 탄성판(19)은 소정의 주파수로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시킨다.
다음에, 지지링(11)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지지링(11)에는 돌출된 형태로 플랜지(31)가 배치되며, 이 플랜지(31)는 자석(13)을 지지하는 자석지지부로서 작용한다. 플랜지(31)는 링형상을하여 플랜지(31) 둘레와 베이스(5) 사이에서 자석(13)이 지지된다. 상기 계단부(17)와 돌출된 플랜지(31) 사이에는 틈(33)이 형성된다. 플랜지(31)는 자석(13) 측의 그 단부표면(31a)이 평탄표면이고, 타측 단부표면(31b)이 경사표면이다. 탄성판(19)과 단부표면(31b) 사이의 틈의 크기는 탄성판(19)의 중앙을 향하면서 점차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베이스(5)와 지지링(11)의 플랜지(31)사이에서 자석(13)이 기계적으로 지지되므로 베이스(5)로부터 자석(13)의 이탈을 확실히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예를들어 휴대용 전화기에 장착할 경우 어떠한 충격이 가해져도 베이스(5)로부터 자석(13)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으므로 자석(13)의 이탈 또는 충돌에 따른 탄성판(19)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이와같은 이탈에 따른 음향성능의 상실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자석(13)이 베이스(5)와 플랜지(31) 사이에서 기계적으로 지지되므로 부착 또는 고정용 접착제에 많은 부분을 의존할 필요가 없어 고가의 접착제가 필요없다. 따라서, 접착제의 선택폭이 보다 넓어 접착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접착제가 없이도 자체로 부착이 가능하다.
셋째, 제1실시예의 플랜지(31)는 경사표면으로서 단부표면(31b)을 포함하고, 탄성판(19)과 단부표면(31b) 사이의 틈의 크기가 탄성판(19)의 중앙을 향하면서 점차 커지므로 진동 중에 플랜지(31) 를 포함한 탄성판(19)의 간섭을 방지한다.
또, 틈(33)이 형성되므로 플랜지(31)를 포함한 탄성판(19)의 간섭 방지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전기음향변환기의 구조 중에서 지지링(11)과 자석(13) 만을 간략하게 나타내고 있다. 제1실시예의 경우 돌출된 플랜지(31)와 지지링(11)의 계단부(17) 사이에 틈(33)이 형성된다. 그러나, 제2실시예에 있어서 계단부(17)의 내주변은 플랜지(31)와 같이 작용하기 위해 돌출하지만, 여기에는 틈(33)(제3도에 나타냄)이 없다. 제2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도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다음에, 제5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6도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부케이스(101) 및 하부 케이스(103)가 배치되며, 제6도의 경우 상부케이스(101)의 상부면의 중앙에는 음향포트(105)가 형성되고, 하부케이스(103)의 중앙부에는 일체의 결합형태로 베이스(106) 및 코어(107)가 배치되며, 코일(109)이 코어(107)에 감긴다. 또 하부케이스(103)의 내측벽 둘레로 자석이 배치된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부케이스(103)의 내측벽에서 돌출하는 4개의 지지부(104)(제7도에는 2개만 도시함)에 의해 자석(111)의 외부변이 지지된다. 하부케이스(103)의 내측벽에는 격막(114)이 배치되는 계단부(113)가 형성된다. 또, 격막(114)은 탄성판(115) 및 이 탄성판(115)의 중앙부에 질량체로서 부착되는 자석편(117)을 포함한다.
제7도는 상부케이스(101)의 일부가 절취된 상태로 탄성판(115) 및 자석편(117)을 나타내고, 탄성판(115)의 일부 및 자석편(117)의 일부가 절취된 상태로 코일(109)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하부케이스(103)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바닥측에서 볼 때 바닥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하부케이스(103)는 홈(103b)이 형성되는 바닥벽(103a)을 가진다. 홈(103b)의 중앙부에는 개구(103c)가 형성된다.
또 바닥벽(103a)의 내측에 위치하는 베이스(106)에도 개구(106a)가 형성되며, 이 개구(106a)는 개구(103c)와 상응하는 위치에 있다.
제5도의 중앙에는 홈(103b)이 개구(103c)와 함께 상하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신장된다. 제9도에 나타낸 리드 프레임(119)의 리드 프레임 소자(119a)는 바닥벽(103a)에 일체로 삽입되어 있다. 리드 프레임소자(119a)의 4개의 모서리부분은 외측접속 단자(121),(123),(125),(127)로서 하부케이스(103) 상에 노출된다. 리드 프레임 소자(119a)의 다른 일부분은 랜드(land)(129),(131)로서 홈(103b)에 노출된다.
하부케이스(103)에 수용되는 코일(109)의 양쪽 단자(109a),(109b)는 베이스(106)의 개구(106a)와 하부케이스(103)의 개구(103c)를 통해서 바닥벽(103a)의 외측으로 도출된다. 단자(109a),(109b)는 랜드(129),(131)를 따라 각각 배치되면서 이 랜드(129),(131)에 납땜으로 고정된다.
다음에, 리드 프레임(119)에 관해 설명한다. 리드 프레임(119)의 형상은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다. 리드 프레임(119)에는 여러개의 리드 프레임 소자(119a)(제9도에 2점쇄선으로 둘러쌓인 부분)가 차례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은 한 개의 전기음향변환기에 연관되어 있다. 직렬로 접속된 리드 프레임 소자(119a)의 개수는 예를들어 4개, 6개, 8등이며, 같은 개수의 전기음향변환기가 동시에 제조된다. 리드 프레임 소자(119a) 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확대부(119b),(119c)가 위치하여 수평으로 신장되며, 이 확대부(119b),(119c) 사이에는 한쌍의 브리지부분(119d),(119e)이 위치한다. 상기 외측접속단자(121),(123),(125),(127)가 되는 부분과 상기 랜드(129),(131)가 되는 부분이 이 브리지부분(119d),(119e)상에 배치된다.
이와같은 구성의 리드 프레임(119)을 몰드(도시하지 않음)에 배치하고, 이 몰드에 수지를 채워서 리드 프레임(119)과 하부케이스(103)를 일체로 결합한다. 이 것이 삽입방법이다. 이후 제9도에 나타낸 절단선A을 따라 브리지부분(119d),(119e)를 절단하고, 외측접속 단자(121),(123),(125),(127)를 하부케이스(103)로 구부려 제5도에 도시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제5도에 있어서, 부호 133은 삽입공정 중에 수지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구멍이다. 또,부호 135는 극성을 나타내는 표시이고, 부호 137은 방향을 나타내는 돌기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자석(111)은 베이스(106)와 4개의 지지부(104) 사이에서 기계적으로 지지되며, 4개의 지지부(104)는 하부케이스(103)의 내측벽에서 돌기하여 자석지지부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제3실시예의 구조에 따르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같은 효과를 얻게된다.
자석지지부를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같이 지지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할 수도 있고, 제3실시예와 같이 간헐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자석지지부를 간헐적으로 배치할 경우 이들의 개수 및 크기는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케이스의 상부면이 제거된 상태의 전기음향변환기의 내부구조체에 관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을 따라 취한 제1실시예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의 확대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지지링 및 자석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케이스의 바닥측에서 본 전기음향변환기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VI-VI선을 따라 취한 제3실시예의 단면도.
제7도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부케이스의 일부가 절취된 상태로 탄성판과 자석편를 나타내는 한편, 탄성판 및 자석편의 일부가 절취된 상태로 코일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8도는 제5도의 선VIII-VIII을 따라 취한 제3실시예의 단면도.
제9도는 제3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선X-X를 따라 취한 제3실시예의 단면도.
제11도는 종래의 기술로서, 바닥측에서 본 전기음향변환기의 평면도.
제12도는 종래의 기술로서 제11도의 선XII-XII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3도는 종래의 기술로서 바닥측에서 본 전기음향변환기의 평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선XIV-XIV를 따라 취한 단면도.

Claims (9)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위치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부착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둘레에 감기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둘레에서 이 코일과 틈을 두고 배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의 둘레에 위치하여 탄성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자석의 타단을 지지하는 자석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변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주변측에 배치되는 지지링으로서, 상기 지지링의 내주변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자석지지부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변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자석의 외주변측에 위치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케이스의 내주변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자석지지부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변환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과 마주하는 상기 플랜지의 표면은 경사지고, 상기 표면과 상기 탄성판 사이의 틈은 상기 탄성판의 중앙으로 향하면서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변환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지지부로서의 상기 플랜지는 상기 지지부재에 돌출하여 형성되면서 상기 탄성판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변환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지지부로서의 상기 플랜지는 상기 지지부재에 돌출하여 형성되면서 상기 탄성판과 상기 플랜지에는 틈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변환기.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지지부로서의 상기 플랜지는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변환기.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지지부로서의 상기 플랜지는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변환기.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음향변환기는 전자기형(電磁氣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변환기.
KR1019970012003A 1996-04-04 1997-04-01 전기음향변환기 KR100485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855896A JP3217962B2 (ja) 1996-04-04 1996-04-04 電気音響変換器
JP96-108558 1996-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208A KR970073208A (ko) 1997-11-07
KR100485451B1 true KR100485451B1 (ko) 2005-08-10

Family

ID=14487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003A KR100485451B1 (ko) 1996-04-04 1997-04-01 전기음향변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60096A (ko)
JP (1) JP3217962B2 (ko)
KR (1) KR100485451B1 (ko)
CN (1) CN112642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550299A (en) * 1998-02-16 1999-08-30 Soo Hyung Lee Communication buzzer
JP3035704B1 (ja) * 1998-10-28 2000-04-24 株式会社アクーヴ・ラボ 電気−機械振動変換器
KR100343303B1 (ko) 1998-11-04 2002-07-15 모리시타 요이찌 전자형 전기 음향 변환기
CN1159951C (zh) * 1999-05-14 2004-07-2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磁换能器和便携式通信设备
US6229903B1 (en) * 1999-06-14 2001-05-08 Citizen Electronics Co., Ltd.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magnetic sound generator
JP3660843B2 (ja) * 1999-12-24 2005-06-15 スター精密株式会社 電磁音響変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054460B2 (en) * 2000-09-29 2006-05-30 Sonionmems A/S Micromachined magnetically balanced membrane actuator
US7285890B2 (en) * 2005-03-30 2007-10-23 Comprehensive Power, Inc. Magnet retention on rotors
US20090316937A1 (en) * 2008-06-20 2009-12-24 Seagate Technology Llc Monolithic micro magnetic device
US20100104115A1 (en) * 2008-10-29 2010-04-29 Seagate Technology Llc Micro magnetic speaker device with balanced membrane
US20100124352A1 (en) * 2008-11-14 2010-05-20 Seagate Technology Llc Micro magnetic device with magnetic spring
WO2017195433A1 (ja) * 2016-05-12 2017-11-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発音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1135U (ko) * 1975-02-13 1976-08-13
JPS6168593U (ko) * 1984-10-05 1986-05-10
JPH02264599A (ja) * 1989-04-04 1990-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低漏洩磁束型スピーカ
JPH04296199A (ja) * 1991-03-26 1992-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KR930003296A (ko) * 1991-07-11 1993-02-24 문정환 드레인 누설전류 방지 misfet 및 그 제조방법
KR970048449U (ko) * 1995-12-30 1997-07-31 스피커유니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8622B2 (ja) * 1993-05-04 1998-03-18 スター精密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JPH07117838A (ja) * 1993-10-20 1995-05-09 Hitachi Metals Ltd 自動搬送ラインにおける製品の管理・刻印システム
JPH07117837A (ja) * 1993-10-21 1995-05-09 Eishin Seisakusho:Kk 転倒し易い容器等の中間抱き込み搬送機
JP2790421B2 (ja) * 1993-10-25 1998-08-27 スター精密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1135U (ko) * 1975-02-13 1976-08-13
JPS6168593U (ko) * 1984-10-05 1986-05-10
JPH02264599A (ja) * 1989-04-04 1990-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低漏洩磁束型スピーカ
JPH04296199A (ja) * 1991-03-26 1992-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KR930003296A (ko) * 1991-07-11 1993-02-24 문정환 드레인 누설전류 방지 misfet 및 그 제조방법
KR970048449U (ko) * 1995-12-30 1997-07-31 스피커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275599A (ja) 1997-10-21
JP3217962B2 (ja) 2001-10-15
KR970073208A (ko) 1997-11-07
US5960096A (en) 1999-09-28
CN1167418A (zh) 1997-12-10
CN1126428C (zh) 200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813B1 (ko)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KR100485451B1 (ko) 전기음향변환기
US6400825B1 (en) Microspeaker
EP0497568B1 (en) Thin buzzer
EP1296535A2 (en) Compound speaker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20040170298A1 (en) Case for containing electrical instrument
EP0774880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6229903B1 (e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magnetic sound generator
US6804369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3606877B2 (ja) サウンダー
US7010142B2 (en) Electrical acoustic converter
KR100478985B1 (ko) 전자음향변환기
JP4553278B2 (ja) 多機能型発音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73959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6097828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6678388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EP1215935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0570857B1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JP2004015574A (ja) 電気音響変換器
JP3791870B2 (ja) 表面実装型電磁発音体
US5831938A (en) Lead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of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2568081Y2 (ja) 電磁型レシーバ
EP1204296A2 (en) Microspeaker
JP2002186094A (ja) 電気音響変換器
JPH1155794A (ja) 電磁型レシ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