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245B1 - 은과 텅스텐 카바이드 합금의 전기접점재료 - Google Patents

은과 텅스텐 카바이드 합금의 전기접점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245B1
KR100485245B1 KR10-2002-0064598A KR20020064598A KR100485245B1 KR 100485245 B1 KR100485245 B1 KR 100485245B1 KR 20020064598 A KR20020064598 A KR 20020064598A KR 100485245 B1 KR100485245 B1 KR 100485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ilver
tungsten carbide
sintering
molde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448A (ko
Inventor
김관수
이용선
박명하
Original Assignee
희성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4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245B1/ko
Publication of KR2004003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01H1/021Composit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01H1/021Composite material
    • H01H1/023Composite material having a noble metal as the basic material
    • H01H1/0237Composite material having a noble metal as the basic material and containing oxides
    • H01H1/02372Composite material having a noble metal as the basic material and containing oxides containing as major components one or more oxides of the following elements only: Cd, Sn, Zn, In, Bi, Sb or 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용 전기접점의 재료로 사용되는 은-텅스텐 카바이드의 소결접점 제조시에, 텅스텐 카바이드의 젖음성 또는 소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소량의 첨가재를 첨가하여 소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그 첨가재로는 코발트 분말과 규소를 사용하여 소결성 및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Description

은과 텅스텐 카바이드 합금의 전기접점재료{A material of electric contact point formed by the alloy composed of silver and tungsten carbide}
본 발명은 차단기용 전기접점으로 사용되는 AgWC계 전기접점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첨가재를 첨가하여 소결에 의해 제조되는 은-텅스텐 카바이드 합금의 전기접점재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분말제조시에 단지 은(Ag) 분말과 텅스텐 카바이드(tungsten carbide : WC) 분말만을 이용하여 혼합 및 제조하며, 특히 혼합공정시에는 볼밀(Ball Mill) 또는 라이가이기, 또는 V-Blander등으로 혼합하였다.
먼저, 상술한 바와같이 은 분말과 텅스텐 카바이드 분말만을 이용하여 혼합하고, 일정한 크기의 금형속에 분말만을 넣고, 압력을 가하여 접점을 형성하며, 성형체에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수소 분위기에서 약 800℃의 온도에서 한 시간동안 유지시키게 된다.
일정량의 은을 상기 성형체에 올려 놓고 수소 분위기에서 980℃ - 1300℃의 온도에서 소결시키게 된다 그 후에 소결된 접점의 표면처리 또는 일정크기로 기계가공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공정중에서, 특히 분말제조시에 접점합금의 주성분이 되는 은의 분말과 텅스텐 카바이드 분말만을 이용하여 혼합하게 되므로, 차후의 고정이 되는 소결공정에서 텅스텐은 은과 젖음성(wetting)이 좋지 않아서 소결이 잘 되지 않아 일정한 합금비율로 제조되는 소결접점의 밀도가 낮아지게 되며(이론 밀도의 95% 이하), 접점속에 기포가 많이 생기므로 경도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차단용량이 부족하여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차단기용 접점의 재료로 사용되는 은-텅스텐 카바이드의 소결접점 제조시에, 텅스텐 카바이드의 젖음성 또는 소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소량의 첨가재를 첨가하여 소결성을 향상시키며, 그 첨가재로 사용되는 것은 코발트 분말과 규소를 사영하여, 소결성 및 물리적 특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은 분말과 텅스텐 카바이드 분말, 그리고 코발트 및 규소분말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분말제조공정과, 일정한 크기의 금형속에 분말을 넣고 압력을 가하여 접점크기를 형성하는 성형공정과, 성형체에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수소 분위기에서 약 800℃의 온도에서 한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가소결공정과, 일정량의 은을 상기 성형체에 올려 놓고 수소 분위기에서 980℃ - 1300℃의 온도에서 소결시키는 소결용침공정과, 소결된 접점의 표면을 기계가공하는 가공처리를 구비하며,
은과 텅스텐 카바이드에 코발트 및 규소분말을 혼합하여 소결성과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먼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을 기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분말제조공정, 성형공정, 가소결공정, 소결용침공정, 가공 및 후처리 공정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말제조공정에서는, 은 분말과 텅스텐 카바이드 분말, 그리고 코발트 및 규소분말을 첨가하여 혼합한다.
성형공정에서는, 일정한 크기의 금형속에 분말을 넣고 압력을 가하여 접점크기를 형성한다.
가소결공정에서는, 성형체에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수소 분위기에서 약 800℃의 온도에서 한 시간동안 유지시킨다.
소결용침 공정에서는, 일정량의 은을 상기 성형체에 올려 놓고, 수소 분위기에서 980℃ - 1300℃의 온도에서 소결시키게 된다.
가공 및 후처리공정에서는, 소결된 접점의 표면처리 또는 일정크기로 기계가공을 실시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종래의 예를 구체적으로 비교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통상적으로, 차단기용 전기접점으로 많이 사용하는 재질인 분말제조공정에서는, 은 60% - 텅스텐 카바이드 40%의 합금제조시에 아래와 같이 분말을 제조하여 그 특성을 조사한 결과 즉, 종래의 예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교한 비교결과를 표 1에 도시하고 있다.
먼저, 종래의 예를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은 분말 4Kg에 텅스텐 카바이드 분말 6kg을 볼밀 혼합한 후에, 80℃에서 10시간을 건조시킨다. 그 후에, 폭 15mm, 길이 100mm의 금형속에 분말을 넣고, 단위압력을 2톤/cm2을 가하여 두께 2mm, 폭 12mm, 길이 100mm의 성형체를 형성시키고, 수소 분위기에서 800℃의 온도로 1시간 가량 유지시켜 상기 성형체에 강도를 주게 된다.
그리고 은 용침재(중량은 성형체 중량대비 50%)를 상기 성형체에 올려 놓고, 수소 분위기에서 980℃ - 1300℃의 온도로 소결시킨다. 소결된 접점의 표면을 기계가공을 가공하여 물성치(properties of matter)를 조사하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은 분말 4Kg, 텅스텐 카바이드 분말 6kg,에 코발트 분말 30g, 규소분말 20g을 넣어 볼밀 혼합한 후에, 80℃에서 10시간을 건조시킨다.
그 후에, 폭 15mm, 길이 100mm의 금형속에 분말을 넣고, 단위압력을 2톤/cm2을 가하여 두께 2mm, 폭 12mm, 길이 100mm의 성형체를 형성시키고, 수소 분위기에서 800℃의 온도로 1시간 가량 유지시켜 상기 성형체에 강도를 주게 된다.
그리고 은 용침재(중량은 성형체 중량대비 50%)를 상기 성형체에 올려 놓고, 수소 분위기에서 980℃ - 1300℃의 온도로 소결시킨다. 소결된 접점의 표면을 기계가공을 가공하여 물성치를 조사하게 된다.
표 1 (종래예와 실시예의 물성치 및 특성치의 비교)
* 상대밀도는 측정밀도/이론밀도 임.
* 실시예가 종래예에 비해 고밀도이며, 전기접점의 특성중 전기전도도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차단기용 전기접점분야에 사용되며, 은-텅스텐 카바이드를 소결하여 제조하는 경우, 텅스텐 카바이드의 소결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 때문에, 고밀도의 전기접점의 재료로 적합하지 않으므로, 첨가재를 사용하여 소결성을 극대화하여 우수한 차단능력을 가지는 전기접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대에 첨가재는 텅스텐 카바이드의 소결성을 향상시키는 코발트와 규소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접점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전기접점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비교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접점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4)

  1. 은 분말과 텅스텐 카바이드 분말, 그리고 코발트 및 규소분말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분말제조공정과, 일정한 크기의 금형속에 분말을 넣고 압력을 가하여 접점크기를 형성하는 성형공정과, 성형체에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수소 분위기에서 약 800℃의 온도에서 한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가소결공정과, 일정량의 은을 상기 성형체에 올려 놓고 수소 분위기에서 980℃ - 1300℃의 온도에서 소결시키는 소결용침공정과, 소결된 접점의 표면을 기계가공하는 가공처리를 구비하는 은-텅스텐 카바이드 합금으로 된 차단기용 전기접점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말제조공정에서, 은과 텅스텐 카바이드에 0.03~3%의 코발트분말 및 0.03~3%의 규소분말을 혼합하여 소결성과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전기접점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2-0064598A 2002-10-22 2002-10-22 은과 텅스텐 카바이드 합금의 전기접점재료 KR100485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598A KR100485245B1 (ko) 2002-10-22 2002-10-22 은과 텅스텐 카바이드 합금의 전기접점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598A KR100485245B1 (ko) 2002-10-22 2002-10-22 은과 텅스텐 카바이드 합금의 전기접점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448A KR20040035448A (ko) 2004-04-29
KR100485245B1 true KR100485245B1 (ko) 2005-04-25

Family

ID=37334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598A KR100485245B1 (ko) 2002-10-22 2002-10-22 은과 텅스텐 카바이드 합금의 전기접점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2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295B1 (ko) 2009-12-15 2011-10-31 승림카본금속주식회사 텅스텐 카바이드계 전기접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전기접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988B1 (ko) * 2021-07-08 2022-02-08 주식회사 유승 전자부품 측정 소자용 분산 경화형 은계 복합재료 및 분말야금법에 의한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5644A (ko) * 1986-10-23 1988-06-29 아오이 죠이찌 진공회로 차단기
JPH10245652A (ja) * 1997-03-07 1998-09-14 Shibafu Eng Kk 接点材料
JP2001076595A (ja) * 1999-09-02 2001-03-23 Mitsubishi Electric Corp 真空バルブ用接点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08335A (ja) * 2001-01-05 2002-07-26 Mitsubishi Electric Corp 真空バルブ用接点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5644A (ko) * 1986-10-23 1988-06-29 아오이 죠이찌 진공회로 차단기
JPH10245652A (ja) * 1997-03-07 1998-09-14 Shibafu Eng Kk 接点材料
JP2001076595A (ja) * 1999-09-02 2001-03-23 Mitsubishi Electric Corp 真空バルブ用接点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08335A (ja) * 2001-01-05 2002-07-26 Mitsubishi Electric Corp 真空バルブ用接点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295B1 (ko) 2009-12-15 2011-10-31 승림카본금속주식회사 텅스텐 카바이드계 전기접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전기접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448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3006B2 (ja) 銅タングステン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85245B1 (ko) 은과 텅스텐 카바이드 합금의 전기접점재료
JP2008133173A (ja) 良導電性ダイヤモンド焼結体の製造方法
CN110499435B (zh) 一种银基电接触材料及其制备方法
US5963771A (en) Method for fabricating intricate parts with good soft magnetic properties
KR20140001901A (ko) Ag-산화물계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접점 재료
CN108856700B (zh) 金属陶瓷基喂料及其制备方法、金属陶瓷基坯体及其制备方法
EP1091009B1 (en) Alloy for electrical contacts and electrodes and method of making
JP2511660B2 (ja) 耐ア−ク性導電材料
JPH11269579A (ja) Ag−W/WC系焼結型電気接点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618297B (zh) 一种快速烧结成型银基触头制备方法
KR101078295B1 (ko) 텅스텐 카바이드계 전기접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전기접점
CN1027871C (zh) 粉末冶金电机铜端环制造方法
CN109500392B (zh) 一种改善锭坯烧结性的银氧化锌触头材料的制备方法
KR102129656B1 (ko) 전기 접점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접점
JP5752270B2 (ja) タングステンコンデンサの陽極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186804A (ja) タングステン複合粉、タングステン複合板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65733B2 (ja) 放電加工用電極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06474B1 (ko) 소결법에 의한 W-Cu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
KR102356988B1 (ko) 전자부품 측정 소자용 분산 경화형 은계 복합재료 및 분말야금법에 의한 그의 제조방법
KR910002952B1 (ko) 기중차단기용 주접점의 제조방법
US6589310B1 (en) High conductivity copper/refractory metal composit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0386431B1 (ko) 구리가 도금된 텅스텐 분말을 이용한 텅스텐-구리복합재료의 실형상화 방법
KR910001583B1 (ko) 접점용 Cu-W 소결합금의 제조방법
KR100485244B1 (ko) 흑연계 접점 또는 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