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937B1 - 자동 이륜차용 에어클리너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용 에어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937B1
KR100483937B1 KR20020005342A KR20020005342A KR100483937B1 KR 100483937 B1 KR100483937 B1 KR 100483937B1 KR 20020005342 A KR20020005342 A KR 20020005342A KR 20020005342 A KR20020005342 A KR 20020005342A KR 100483937 B1 KR100483937 B1 KR 100483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er
vehicle body
cover
body frame
bod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05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3831A (ko
Inventor
이노카와히로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937B1/ko

Links

Landscapes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에어클리너(13)를 차체 프레임(11)을 덮는 측부 차체 커버(27)보다도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차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에어클리너(13)의 일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차체 커버 내의 에어클리너가 점유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차체 커버를 소형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차체 커버를 국소적으로 돌출시킬 필요가 없고, 매끄러운 형상의 외관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차체 커버의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차체 커버 후부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차체의 슬림감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운전자의 승강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용 에어클리너{Air cleaner for motorcycle}
본 발명은, 슬림감이 있고 외관이 매끄러운 차체로서, 또한 승객의 승강성을 높이는 데에 적합한 자동 이륜차용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자동 이륜차의 에어클리너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소 63-12074호 공보「자동 이륜차용 내연 기관의 에어클리너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공보의 제2도에는 헤드 파이프(H)(부호는 공보 기재의 것을 사용한다. 이하 동일.)로부터 메인 파이프(2)를 연장하고, 이 메인 파이프(2)의 하부에 에어클리너(A)를 장착하고, 이 에어클리너(A)에 메인 파이프(2)보다도 위쪽까지 연장되는 공기 도입관(7, 7)을 설치하고, 이들 공기 도입관(7, 7)을 포함하는 에어클리너(A)를 레그 실드(1) 내에 수납하는 동시에 공기 도입관(7, 7)에 대응하는 위치의 레그 실드(1)를 위쪽으로 돌출시킨 자동 이륜차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공보의 기술에서는 레그 실드(1) 내측에 에어클리너(A)를 배치함으로써, 레그 실드(1)가 대형이 되는 동시에, 레그 실드(1)가 국부적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차체의 슬림감을 얻을 수 없고, 또, 레그 실드(1)가 대형이 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승강성이 손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이륜차용 에어클리너를 개량함으로써, 슬림감이 있고 보다 외관이 매끄러운 차체로서, 차체 커버의 높이를 낮게 하고 또한 승객의 승강성을 높이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은, 헤드 파이프로부터 비스듬히 뒤쪽 아래측으로 차체 프레임을 연장하고, 이 차체 프레임에 엔진을 장착하고, 이 엔진의 전방 위쪽에 에어클리너를 배치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에어클리너를 차체 프레임을 덮는 차체 커버보다도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차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에어클리너의 일부를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클리너를 차체 커버보다도 전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차체 커버 내의 에어클리너가 점유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차체 커버를 소형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차체 커버를 국부적으로 돌출시킬 필요가 없고, 차체 커버의 형상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또, 차체 커버의 후부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차체의 슬림감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운전자의 승강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2는, 에어클리너의 흡기구를 아래쪽을 향해서 개구하고, 노면측에서 흡기구로 빗물이 칩임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판을 에어클리너로부터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클리너의 흡기구를 아래쪽을 향해서 개구함으로써, 빗물이 위쪽에서 흡기구로 칩임하지 않고, 또, 차폐판에 의해 노면측에서 빗물이 튀어서 흡기구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은, 에어클리너의 전부 양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기립벽을 설치하고, 이 기립벽과 에어클리너 내측부의 사이에 수평 리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의 수평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에어클리너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에어클리너 전면을 보았을 때에, 다수의 수평 리브에 의해서 에어클리너를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와 같은 외관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도면은 부호의 방향에서 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에어클리너를 구비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고, 자동 이륜차(10)는 차체의 전후 방향에 배치한 차체 프레임(11)과, 이 차체 프레임(11)의 전부 아래쪽에 장착한 엔진(12)과, 이 엔진(12)에 공급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클리너(13)와, 차체 프레임(11)의 중간부에 장착한 수납 박스(14)와, 이 수납 박스(14)의 뒤쪽에 배치한 연료 탱크(15)와, 이들 수납 박스(14) 및 연료 탱크(15)의 아래쪽에서 차체 후부를 따라서 배치하는 동시에, 후륜(16)의 상부를 덮는 리어 펜더(17)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11a는 수납 박스(14)의 전부를 장착하기 위해서 차체 프레임(11)에 고정한 앞측 브래킷, 11b는 수납 박스(14)의 후부 및 연료 탱크(15)의 전부를 장착하기 위해서 차체 프레임(11)에 고정한 후부 브래킷, 11c는 연료 탱크(15)의 후부를 장착하기 위해서 차체 프레임(11)에 설치한 후부 장착부, 12a, 12b, 12c는 각각 차체 프레임(11)에 엔진(12)을 장착하기 위한 엔진(12)측의 장착부, 13a, 13a(안쪽측의 부호 13a는 도시하지 않음)는 차체 프레임(11)의 전부 옆쪽을 덮는 좌우의 한쌍의 측부 차체 커버(27)(안쪽측의 측부 차체 커버(27)는 도시하지 않음)에 에어클리너(13)를 장착하기 위한 에어클리너(13)측의 장착부, 14a, 14b, 14c는 차체 프레임(11)측에 수납 박스(14)를 장착하기 위해서 수납 박스(14)에 설치한 장착석, 21은 차체 프레임(11)의 전단에 장착한 헤드 파이프, 22는 핸들, 23은 프론트 포크, 24는 전륜, 25는 카부레터, 26은 차체 프레임(11)의 전부 위쪽을 덮는 상부 차체 커버, 28은 시트, 31은 리어 쿠션 유닛, 32는 차체 프레임(11)에 설치한 피벗부(33)에 스윙 가능하게 장착하는 동시에, 후부에 후륜(16)을 장착한 리어 포크, 34는 수납 박스(14)에 시트(28)를 개폐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힌지이다.
에어클리너(13)는 측부 차체 커버(27)보다도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차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일부를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에어클리너(13)의 측부 차체 커버(27)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파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크로스 해칭을 실시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에어클리너를 구비한 자동 이륜차의 전부 평면도이고, 에어클리너(13)의 상부를 덮는 상부 차체 커버(26)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
에어클리너(13)는 후부의 양 옆쪽을 측부 차체 커버(27, 27)로 덮는 동시에, 이들 측부 차체 커버(27, 27)에 장착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에어클리너의 측면도이고, 에어클리너(13)는 에어클리너 케이스(35)와, 이 에어클리너 케이스(35)의 개구부를 막는 에어클리너 커버(36)와, 이들 에어클리너 케이스(35) 및 에어클리너 커버(36)의 내측에 장착한 필터 엘리먼트(37)와, 에어클리너 케이스(35)의 토출구에 장착하는 동시에 카부레터(25)(도 1 참조)에 연결하는 흡기관(38)으로 이루어진다.
에어클리너 케이스(35)는 상부에 에어클리너(13) 내에 공기를 불어 넣는 흡기 덕트(39, 39)(안쪽측의 흡기 덕트(39)는 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고, 이들 흡기 덕트(39, 39)에 각각 흡기구(41)를 아래쪽을 향해서 개구하고, 이들 흡기구(41)로 빗물이 칩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판(42, 43)(안쪽측의 부호 43은 도시하지 않음)을 외면으로부터 돌출시킨 것이다.
도 4(a), (b)는 본 발명에 관한 에어클리너의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설명도이다.
(a)는 에어클리너 케이스(35)의 배면도이고, 에어클리너 케이스(35)는 상부에 2개의 흡기구(41, 41)를 구비하고, 차체 프레임(11)(도 1 참조)의 하부에 장착한 브래킷(11a, 11a)에 볼트(44a) 및 너트(44b)로 장착부(13a, 13a)를 장착하도록 한 것이다.
(b)는 (a)의 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2개의 차폐판(42, 43)의 형상을 나타낸다.
이들 차폐판(42, 43)은 에어클리너 케이스(35)의 좌우의 측면에서 후면으로 돌아서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46은 흡기관(38)(도 3 참조)을 장착하기 위한 흡기관 장착 구멍이다.
도 5(a), (b)는 본 발명에 관한 에어클리너의 에어클리너 커버의 설명도이다.
(a)는 에어클리너 커버(36)의 정면도이고, 에어클리너 커버(36)의 전면의 양 측부에 다수의 수평 리브(47)를 각각 일체 성형한 것을 나타낸다.
48, 49는 에어클리너 커버(36)의 전면의 좌우 가장자리부에 설치한 기립벽이다.
(b)는 (a)에 나타낸 에어클리너 커버(36)의 전면을 약간 위쪽을 향하도록 경사시킨 도면이고, 수평 리브(47)를 기립벽(48)과 벽면(52)에 일체적으로 걸치는 동시에 벽면(51)에 일체적으로 결합하고, 또, 수평 리브(47)를 기립벽(49)과 벽면(52)에 일체적으로 걸치는 동시에 벽면(51)에 일체적으로 결합한 것을 나타낸다.
이상의 도 5(a),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클리너(13)(도 3 참조)를 구성하는 에어클리너 커버(36)의 전부 양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기립벽(48, 49)을 설치하고, 이 기립벽(48, 49)의 각각과 에어클리너 내측부로서의 벽면(52)의 사이에 수평 리브(4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의 수평 리브(47)를 설치함으로써, 에어클리너(13)의 에어클리너 커버(36)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에어클리너(13) 전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에어클리너(13)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고, 또, 에어클리너(13)를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13)의 전면, 즉 에어클리너 커버(36)의 전면을 보았을 때에, 다수의 수평 리브(47)에 의해서, 에어클리너(13)를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와 같은 외관으로 할 수 있고, 라디에이터를 구비하지 않은 소형의 자동 이륜차(원동기 부착 자동차를 포함한다)에서는 신규의 인상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서술한 에어클리너(13)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에어클리너의 작용을 설명하는 작용도이다.
에어클리너(13)의 흡기구(41)로는 공기는 화살표 ①과 같이 흡기구(41)의 아래쪽으로부터 유입한다.
예를 들면, 노면측에서 에어클리너(13)측으로 빗물이 튀어 오른 경우, 빗물은 점선으로 나타낸 화살표 ②와 같이 에어클리너(13)에 설치한 차폐판(42, 43)(안쪽측의 부호 43은 도시하지 않음)으로 가로막혀서 에어클리너(13)의 흡기구(41)에 도달하지 않는다.
또, 에어클리너(13)의 위쪽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화살표 ③과 같이 빗물이 떨어져도, 에어클리너(13)의 흡기구(41)는 아래쪽으로 개구하기 때문에, 빗물은 흡기구(41)로 칩입하지 않는다.
이상의 도 3, 도 4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클리너(13)의 흡기구(41)를 아래쪽을 향해서 개구하고, 노면측에서 흡기구(41)로 빗물이 칩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판(42, 43)을 에어클리너(13)의 에어클리너 케이스(35)로부터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클리너(13)의 흡기구(41)를 아래쪽을 향해서 개구함으로써, 빗물이 위쪽에서 흡기구(41)로 칩입하지 않고, 또, 차폐판(42)에 의해 노면측에서 빗물이 튀어서 흡기구(41)로 칩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헤드 파이프(21)로부터 비스듬히 뒤쪽 아래측으로 차체 프레임(11)을 연장하고, 이 차체 프레임(11)에 엔진(12)을 장착하고, 이 엔진(12)의 전방 위쪽으로 에어클리너(13)를 배치한 자동 이륜차(10)에 있어서, 에어클리너(13)를 차체 프레임(11)을 덮는 측부 차체 커버(27)보다도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차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에어클리너(13)의 일부를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클리너(13)를 측부 차체 커버(27)보다도 전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측부 차체 커버(27) 내의 에어클리너(13)가 점유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측부 차체 커버(27)를 소형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측부 차체 커버(27)를 국부적으로 돌출시킬 필요가 없으며, 측부 차체 커버(27)의 형상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또, 에어클리너(13)를 전방으로 돌출, 즉 에어클리너(13)를 종래보다도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 차체 커버(27)의 후부의 폭(B)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차체의 슬림감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운전자의 승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1의 자동 이륜차용 에어클리너는 에어클리너를 차체 프레임을 덮는 차체 커버보다도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차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에어클리너의 일부를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차체 커버 내의 에어클리너가 점유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차체 커버를 소형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차체 커버를 국부적으로 돌출시킬 필요가 없으며, 차체 커버의 형상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또, 차체 커버 후부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차체의 슬림감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운전자의 승강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2의 자동 이륜차용 에어클리너는 에어클리너의 흡기구를 아래쪽을 향해서 개구하고, 노면측에서 흡기구로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판을 에어클리너로부터 돌출시켰기 때문에, 빗물이 위쪽에서 흡기구로 칩입하지 않고, 또, 차폐판에 의해 노면측에서 빗물이 튀어서 흡기구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자동 이륜차용 에어클리너는 에어클리너의 전부 양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기립벽을 설치하고, 이 기립벽과 에어클리너 내측부의 사이에 수평 리브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에어클리너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에어클리너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고, 에어클리너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에어클리너 전면을 보았을 때에, 다수의 수평 리브에 의해서 에어클리너를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와 같은 외관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에어클리너를 구비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에어클리너를 구비한 자동 이륜차의 전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에어클리너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에어클리너의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에어클리너의 커버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에어클리너의 작용을 설명하는 작용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 이륜차
11 : 차체 프레임
12 : 엔진
13 : 에어클리너
21 : 헤드 파이프
27 : 차체 커버(측부 차체 커버)
41 : 흡기구
42, 43 : 차폐판
47 : 수평 리브
48, 49 : 기립벽
52 : 에어 클리너 내측부(벽면)

Claims (3)

  1. 헤드 파이프로부터 비스듬히 뒤쪽 아래측으로 차체 프레임을 연장하고, 이 차체 프레임에 엔진을 장착하고, 이 엔진의 전방 위쪽으로 에어클리너를 배치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를, 상기 차체 프레임을 덮는 차체 커버보다도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에어클리너의 전부 양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기립벽을 설치하고, 이 기립벽과 에어클리너 내측부의 사이에 다수의 수평 리브를 설치하고, 차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수평 리브의 일부를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수평 리브는, 상기 에어 클리너의 좌우 양측에만 설치하고, 상기 수평 리브의 내측에 위치하는 에어클리너의 벽면을 상기 수평 리브보다 전방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용 에어클리너.
  2. 삭제
  3. 삭제
KR20020005342A 2001-01-30 2002-01-30 자동 이륜차용 에어클리너 KR1004839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21776A JP3480720B2 (ja) 2001-01-30 2001-01-30 自動二輪車用エアクリーナ
JPJP-P-2001-00021776 2001-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831A KR20020063831A (ko) 2002-08-05
KR100483937B1 true KR100483937B1 (ko) 2005-04-15

Family

ID=1888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05342A KR100483937B1 (ko) 2001-01-30 2002-01-30 자동 이륜차용 에어클리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480720B2 (ko)
KR (1) KR100483937B1 (ko)
CN (1) CN1248880C (ko)
TW (1) TW5031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8466B2 (ja) * 2002-11-29 2008-08-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4341905B2 (ja) * 2003-09-12 2009-10-1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輸車の吸気装置
JP2006088894A (ja) * 2004-09-24 2006-04-06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CN100500467C (zh) * 2005-12-28 2009-06-17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两轮摩托车
JP4728870B2 (ja) * 2006-04-28 2011-07-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吸気ボックス配置構造
JP2009161014A (ja) * 2007-12-28 2009-07-23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JP5628741B2 (ja) * 2011-05-18 2014-11-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80720B2 (ja) 2003-12-22
CN1369391A (zh) 2002-09-18
CN1248880C (zh) 2006-04-05
JP2002225770A (ja) 2002-08-14
KR20020063831A (ko) 2002-08-05
TW503192B (en) 200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0980A (en) Body cover and trunk structure for a motor scooter
EP1785344B1 (en) Motorcycle
JP4318939B2 (ja) 自動二輪車の風防装置
US20080289896A1 (en) Four wheeled utility vehicle
JP5869964B2 (ja) 鞍乗り型車両の防風構造
JP6133106B2 (ja) 鞍乗り型車両のリザーブタンク給水構造
EP2258610B1 (en) Saddle-ride-type vehicle
EP0463942B1 (en) A motor scooter having a trunk device
JP5460526B2 (ja) 自動二輪車の前部構造
KR100483937B1 (ko) 자동 이륜차용 에어클리너
TW593051B (en) Windshield apparatus for a motorcycle
EP0581310B1 (en) Luggage box for motorcycle
US7690461B2 (en) All terrain vehicle
JPH07329871A (ja) スクーターの吸気装置
JP2010247818A (ja) 自動二輪車
JP2718533B2 (ja) 船外機の吸気装置
GB2110174A (en) Water-proof structure for air cleaner of automotiv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1148685B (zh) 鞍乘型车辆的罩结构
CA2732123C (en) Cover structure of saddle ride type vehicle
JPH11171075A (ja) 自動二輪車
JP3373886B2 (ja) 自動2輪車の車体カバー
JP3847067B2 (ja) 自動2輪車用リヤカウル構造
JP7470723B2 (ja) 鞍乗り型車両
JPH0351887B2 (ko)
JP3847066B2 (ja) 電装部品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