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872B1 -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 Google Patents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872B1
KR100483872B1 KR10-2002-0042513A KR20020042513A KR100483872B1 KR 100483872 B1 KR100483872 B1 KR 100483872B1 KR 20020042513 A KR20020042513 A KR 20020042513A KR 100483872 B1 KR100483872 B1 KR 100483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housing
diaphragm
piezoelectric diaphragm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6162A (ko
Inventor
타케시마테츠오
코수기유지
수미타마나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16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for diaphragms or their outer suspe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3Diaphragms comprising ceramic-like materials, e.g. pure ceramic, glass, boride, nitride, carbide, mica and carbon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는 전극을 보유하고 있고, 그 전극 사이에 교류전류가 인가될 때 두께방향으로 진동하는 사각형상의 압전 진동판, 압전 진동판이 배치되어 있고, 압전 진동판의 대향하는 2개 이상의 측부에서 또는 압전 진동판의 코너부에서 압전 진동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그 각각의 제1 단부가 지지부 근방의 위치에서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그 각각의 제2 단부가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하우징내에 배치된 한 쌍의 단자를 포함한다. 각 단자의 제1 단부는 하우징에 고정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하우징의 코너부를 향해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한다. 날개부는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응력완화부는 몸체부와 날개부 사이에 배치되어 날개부가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압전 진동판의 각 전극은 단자의 하나 이상의 날개부에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PIEZOELECTR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본 발명은 압전 리시버나 압전 사운더 등의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는 경보음이나 동작음을 발생하는 압전사운더 또는 압전 리시버로서 전자기기, 가전기기, 휴대 전화기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는 유니모프형 진동판을 구성하도록 원형의 압전소자를 원형의 금속판상에 부착하고, 그 둘레부에서 실리콘 고무에 의해 금속판이 지지되도록 원형 케이스내에 금속판을 설치하며, 케이스의 개구부를 커버로 폐쇄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원형의 진동판을 이용하면, 생산효율과 전기음향 변환효율이 낮고,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 2000-310990호에는 사각모양의 진동판을 구비하여 생산효율과 음향변환 효율의 향상 및 장치 크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표면실장형의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는 사각형의 압전 진동판, 대향하는 2개의 측부 사이의 진동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부착되어 외부환경에 접속하는 단자를 보유한 절연성 케이스, 및 방음구멍(sound emitting hole)가 형성된 덮개판을 포함한다. 진동판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진동판의 대향하는 2개의 측면은 탄성밀봉재에 의해 지지부에 고정된다. 게다가, 진동판의 나머지의 2개의 측부 사이의 간극이 탄성밀봉재로 밀봉된다. 제1 및 제2 도전성 부재가 도전성접착제에 의해 진동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된 케이스의 개구부를 덮도록 덮개판이 케이스 상에 부착된다.
상술한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는 유니모프형 압전 진동판을 사용하지만, 적층 구조의 압전형 세라믹을 포함하는 압전 진동판을 사용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도 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2001-95094호).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진동판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그 2개의 측부가 케이스에 고정된 단자에 고정되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진동판은 케이스에 의해 단단하게 유지되어, 케이스의 열변형이 발생하면, 이 열변형이 진동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케이스가 프린트 기판 등에 리플로우-땜납에 의해 장착되면, 케이스의 열팽창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케이스와 진동판의 열팽창 계수 사이의 차이에 의해 진동판의 특성이 변화한다. 또한, 케이스에 대하여 응력이 가해진 경우, 이 응력이 진동판에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진동판의 특성이 변화하거나 진동판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케이스의 열변형과 케이스에 가해진 응력이 진동판에 대하여 영향을 끼치지 않고, 진동판의 특성의 변화가 최소화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는, 전극을 보유하고 있고, 그 전극 사이에 교류전류가 인가될 때 두께방향으로 진동하는 사각형상의 압전 진동판, 압전 진동판이 배치되어 있고, 압전 진동판의 대향하는 2개 이상의 측부에서 또는 압전 진동판의 코너부에서 압전 진동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그 각각의 제1 단부가 지지부 근방의 위치에서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그 각각의 제2 단부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하우징내에 배치된 한 쌍의 단자를 포함한다. 각 단자 쌍의 제1 단부는 하우징에 고정된 몸체부, 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하우징의 코너부를 향해 연장되고 하우징에 고정되지 않은 날개부, 및 날개부가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부와 날개부 사이에 배치된 응력완화부를 포함한다. 압전 진동판의 각 전극은 단자의 하나 이상의 날개부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단자의 제1 단부에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는 하우징에 고정되고, 날개부는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또한, 응력완화부가 몸체부와 날개부 사이에 배치되어, 날개부가 몸체부의 내측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날개부는 도전성 접착제를 통해 압전 진동판의 전극 중 하나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변화가 발생하거나 외부력이 가해지면, 온도변화나 외부력에 기인한 응력이 압전 진동판에 전달된다. 그러나, 단자의 날개부가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구부려져서 이 응력을 흡수함으로써, 응력이 압전 진동판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압전 진동판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압전 진동판의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진동판의 전기적 특성의 안정성이 확실하게 보장된다.
각 단자의 날개부의 끝면이 끝면들 사이의 거리가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커지도록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면, 날개부의 끝면이 수지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따라서, 날개부의 끝면이 하우징의 내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되고, 날개부의 끝면을 둘러싸고 있는 수지에 의해 날개부가 내측을 향해 이동하는 것이 방해된다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날개부의 끝면을 경사지게 하여 날개부가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는 것이 방해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 구성요소, 특징 및 장점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도 4의 (B)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인 표면실장형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의 전기음향변환기는 압전형 리시버와 같이 넓은 주파수 영역에 사용되는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으로서, 적층구조의 압전 진동판(1), 케이스(10), 및 덮개판(20)을 포함하고 있다.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의 하우징은 케이스(10)와 덮개판(20)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판(1)은 2개의 압전형 세라믹스층(1a,1b)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표면 전극(2,3)은 그 상하면에서 진동판(1)의 주표면에 배치되고, 내부전극(4)은 세라믹스층(1a,1b)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5 및 도 6에서 두꺼운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세라믹스층(1a,1b)은 두께 방향내에서 동일방향으로 분극된다. 상면의 주표면 전극(2)과 하면의 주표면 전극(3)은 진동판(1)의 측변 길이보다 약간 짧은 길이를 갖고, 진동판(1)의 하나의 끝면에 배치된 끝면전극(5)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면에서의 주표면전극(2,3)이 서로 접속된다. 내부전극(4)은 주표면전극(2,3)과 대략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내부전극(4)의 일단부는 끝면전극(5)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그 타단부는 끝면전극(5)에 대향하는 단부에 배치된 끝면전극(6)에 접속되어 있다. 보조전극(7)은 진동판(1)의 상하면에 배치되어 끝면전극(6)에 전기접속된다.
또한, 진동판(1)의 상하면에는 주표면전극(2,3)을 덮도록 수지층(8,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지층(8,9)은 우발적인 떨어뜨림에 의한 충격을 받았을 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면의 수지층(8)에는 진동판(1)의 대향하는 2개의 코너부 근방의 위치에 노치(8a,8b)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측의 수지층(9)에는 진동판의 대향하는 2개의 코너부 근방의 위치에 노치(9a,9b)가 형성되어 있다. 주표면 전극(2,3)은 노치(8a,9a)를 통해 각각 외측을 향해 있고, 보조전극(7)은 노치(8b,9b)를 통해 외측을 향해 있다.
이들 노치는 진동판(1)의 상하면 중 한쪽면에만 형성되어도 좋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방향성을 제거하기 위해 진동판(1)의 상하면 양측에 노치를 형성하였다.
또한, 보조전극(7)은 일정폭을 갖는 띠형상의 전극일 필요는 없고, 보조전극(7)이 노치(8a, 9b)에 대응하는 영역만을 지나는 형상이어도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세라믹층(1a,1b)은 PZT세라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크기는 10mm ×10 mm ×40㎛이며, 수지층(8,9)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두께는 대략 3∼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는 수지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벽부(10a)와 4개의 측벽부(10b∼10e)를 갖는 사각형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를 형성하는 수지재료로는, LCP(액정폴리머), SPS(규칙배열 폴리스티렌), PPS(폴리페닐렌 술피드), 에폭시수지 등의 내열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케이스(10)에는 4개의 측벽부(10b∼10e)를 따라 연장하는 단차부(10f)가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단자(11,12)의 내측부(11a,12a)에는 대향하는 2개의 측벽부(10b,10d)의 내측의 단차부(10f) 상에 배치된다. 단자(11,12)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케이스(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자(11,12)에는 측벽부(10b)의 외부면을 따라 케이스(10)의 하면을 향해 구부러진 외측부(11b,12b)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A)에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11,12)의 내측부(11a,12a)는 각각 외측부(11b,12b)의 폭과 동일한 폭의 몸체부(11c,12c)와, 몸체부(11c,12c)의 양측으로 부터 케이스(10)의 코너부 근방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날개부(11d,12d)를 보유한다. 몸체부(11c,12c)는 케이스(10)의 측벽부(10b,10d)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지만, 고정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수지가 흘러들어 갈 수 있는 구멍(11e,12e)이 몸체부(11c,12c)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11d,12d)의 내부면은 케이스(10)의 안쪽을 향하여 있고, 몸체부(11c,12c)와 날개부(11d,12d) 사이에는 응력완화부(11f,12f)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날개부(11d,12d)는, 도 7의 (A)와 (B)에서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11d)의 끝면(11g)은, 끝면(11g)들 사이의 거리가 케이스(10)의 내측을 향하여 커지도록 경사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12d)의 끝면(12g)은 끝면(12g)들 사이의 거리가 케이스(10)의 내측을 향하여 커지도록 경사진다. 따라서, 수지로 형성된 케이스(10)에 의해 날개부(11d,12d)의 움직임이 방해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대향하는 2개의 측부에서 진동판(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0g)는 단자(11,12)가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10f)의 내부에 배치된다. 지지부(10g)의 높이는 단차부(10f)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 진동판(1)이 지지부(10g) 상에 배치될 때, 진동판(1)의 상면과 단자(11,12)의 내측부(11a,12a)의 표면이 동일레벨로 된다.
저벽부(10a)에는 제1의 방음구멍(10h)이 형성된다.
단자(11,12)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될 때,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부(11b,12b)가 케이스(10)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그 후,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11,12)의 외측부(11b,12b)는 그 중간부 근방의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구부려진다. 이 때, 외측부(11b,12b)는 90°이상 꺽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11,12)의 외측부(11b,12b)가 구부러져서, 단자(11,12)가 케이스(10)의 측면에 따라 연장된다. 이 상태에서, 외측부(11b,12b)의 끝부가 케이스(10)의 저면에 형성된 홈(10i)에 끼어진다. 외측부(11b,12b)가 도 10의 (b)에서 90° 이상으로 구부려지기 때문에, 외측부(11b,12b)의 끝부가 케이스(10)의 저면으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진동판(1)은 케이스(10)에 설치되고, 4곳의 위치에서 탄성유지재(13)에 의해 단자(11,12)의 날개부(11d,12d)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유지재(13)는 노치(8a)를 통해 외측으로 향해 있는 주표면전극(2)과 단자(11)의 한쪽의 날개부(11d) 사이와, 노치(8b)을 통해 외측을 향해 있는 보조전극(7)과 단자(12)의 한쪽의 날개부(12d) 사이에 도포된다. 또한, 탄성유지재는 상호 대향하고 있는 2개의 코너부에도 도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탄성유지재(13)는 대략 타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탄성유지재(13)의 형상은 타원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경화 후 영률이 3.7 ×106Pa인 우레탄 접착제가 탄성유지재(13)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유지재(13)는 경화 전 점성이 크기 때문에(예컨대 50∼120 dPa·s), 진동판(1)과 케이스(10) 사이에서 지지부(10g)까지 흘러 내리지 않는다. 탄성유지재(13)가 도포된 후 가열되고 경화된다.
진동판(1)을 케이스(10)에 설치한 후, 디스펜서나 다른 적당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탄성유지재(13)가 도포될 수도 있고, 또는 탄성유지재(13)가 도포된 후 진동판(1)이 케이스(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탄성유지재(13)가 경화된 후, 대략 타원형상으로 도포된 탄성유지재(13)와 교차하도록 도전성 접착제(14)를 대략 타원형상으로 도포함으로써, 주표면전극(2)이 단자(11)의 한쪽의 날개부(11d)에 접속하고, 보조전극(7)이 단자(12)의 한쪽 날개부(12d)에 각각 접속된다. 예컨대 경화 후 영률이 대략 0.3 × 109Pa인 우레탄 도전성 페이스트가 도전성 접착제(14)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접착제(14)가 도포된 후, 가열 및 경화된다. 도전성 접착제(14)가 도포되는 형태는,주표면전극(2)이 단자(11)의 한쪽 날개부(11d)와 접속되고, 보조전극(7)이 탄성유지재(13)를 거쳐 단자(12)의 한쪽 날개부(12d)에 접속되는 한 타원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전성 접착제(14)를 도포되어 경화된 후, 탄성밀봉제(15)가 진동판(1)의 외주면과 케이스(10)의 내부면 사이에 도포되어, 진동판(1)의 상하면 사이의 공기누출이 방지된다. 탄성밀봉제(15)가 도포된 후 가열경화된다. 예컨대, 경화 후 영률이 3.O × 105Pa인 실리콘 접착제가 탄성밀봉제(15)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밀봉재(15)가 흐르는 것을 정지시키기 위한 흐름정지홈(10j)이 2개의 측벽부(10c,10e)의 내측에 지지부(10g)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탄성밀봉부재(15)가 저벽부(10a)까지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진동판(1)이 케이스(10)에 고정된 후, 케이스(10)의 상면에 개방된 표면을 폐쇄하기 위해 덮개판(20)이 접착제(21)에 의해 케이스(10)에 고정된다. 케이스(10)와 덮개판(20)은 동일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판(20)을 부착함으로써 진동판(1)과 덮개판(20) 사이에 음향공간이 형성된다. 제2 방음구멍(22)이 덮개판(20)에 형성된다. 따라서, 표면실장형의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가 완성된다.
이 실시예의 전기음향 변환기에 의하면, 단자(11,12)사이에 소정 교류전류가 인가될 때, 진동판(1)이 굴곡진동 모드에서 진동하기 시작한다. 전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분극방향을 갖는 하나의 압전형 세라믹층이 수축하고, 전기장 방향과 역방향의 분극방향을 갖는 압전형 다른 하나의 세라믹스층이 신장하기 때문에, 적층체가 두께방향으로 구부려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진동판(1)은 적층구조이고, 세라믹으로 형성되며, 두께방향으로 정렬된 2개의 진동영역(세라믹층)이 반대방향으로 진동한다. 따라서, 유니모프형 진동판과 비교하여, 진동판이 크게 구부려져서 큰 음압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기가 프린트 기판 등에 표면실장될 때, 케이스(10)가 리플로우 땜납 처리 중 열에 의해 팽창한다. 세라믹스로 제조된 진동판(1)의 열팽창 계수가 수지제의 케이스(10)의 열팽창 계수보다 작기 때문에, 진동판(1)은 인장 응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진동판(1)의 특성이 변화되거나, 진동판(1)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케이스(10)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된 단자(11,12)의 날개부(11d,12d)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진동판(1)에 가해지는 인장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동판(1)의 특성이 변화되지 않고, 진동판(1)의 파손이 방지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의 변형예가 도시된다. 단자(11,12)는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단자(11)만을 도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의 단자(11,12)에서는, 몸체부(11c,12g)와 날개부(11d,12d) 사이에, 응력완화부를 형성하는 크랭크 형상부(11h,12h)가 배치된다. 이 경우, 응력완화부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협폭부(狹幅部: 11f,12f)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날개부(11d,12d)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기의 일부가 도시된다. 단자(11,12)는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단자(11)만을 포함하는 일부가 도 12에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응력완화부를 형성하는 상기 크랭크 형상부(11h,12h)는 몸체부(11c,12c)와 단자(11,12)의 날개부(11d,12d) 사이에 배치되고, 단자(11,12)의 날개부(11d,12d)는 케이스(10)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몸체부(11c,12c)는 케이스(10)의 측벽부(10b,10d)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이 경우, 수지가 흘러 들어가는 상기 구멍(11e,12e)이 몸체부(11c,12c)에 형성되지 않는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자의 몸체부(11c,12c)는 내외측으로 이동하여 장치가 표면실장되는 프린트 기판으로부터 단자(11,12)의 외측부(11b,12b)에 가해진 응력이 완화된다. 또한, 몸체부(11c,12c)의 변위는 몸체부(11c,12c)와 날개부(11d,12d) 사이에 배치된 응력완화부(11h,12h)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구조의 응력완화부(11h,12h)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되었지만, 도 7의 (A)와 (B)에 도시된 구조를 가진 상기 협폭부(11f,12f)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압전 진동판은 2개의 압전 세라믹층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3개 이상의 압전 세라믹스층을 적층하여도 좋다.
또한, 압전 진동판은 압전 세라믹스층의 적층체에 한정되지 않고, 압전판이 금속판의 양면 또는 일면에 적층된 유니모프형 진동판 또는 바이모프형 진동판일 수도 있다.
게다가, 단자(11,12)의 구조는 몸체부(11c,12c)의 양측에 날개부(11d,12d)가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일 날개부가 각 몸체부의 한쪽에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4개의 코너부에서 진동판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케이스의 양측에 배치된 지지부(10g)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하우징은, 단자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한 상자형 케이스와 덮개판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상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만 결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의 열변형과 케이스에 가해진 응력이 진동판에 대하여 영향을 끼치지 않고, 진동판의 특성의 변화가 최소화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덮개판 및 탄성밀봉부재가 제거되어 있는 상태의 도 1에 나타낸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의 평면도;
도 3의 (A)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의 (B)와 (C)는 도 3의 (A)에 나타낸 원형부의 확대도;
도 4의 (A)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나타낸 원형부의 확대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에 설치된 압전 진동판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의 (A)와 (B)는 단자의 사시도;
도 8은 단자 중 하나가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단자 중 하나가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의 (A)∼(C)는 케이스에 형성된 단자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구부리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단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도 12는 덮개판 및 탄성밀봉부재가 제거되어 있는 상태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의 평면도이다.

Claims (10)

  1. 전극들을 보유하고 있고, 이 전극들 사이에 교류전류가 인가될 때 두께방향으로 진동하는 사각형상의 압전 진동판;
    상기 압전 진동판이 배치되어 있고, 압전 진동판의 2개 이상의 대향하는 측부에서 또는 압전 진동판의 코너부에서 압전 진동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그 각각의 제1 단부가 상기 지지부 근방의 위치에서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그 각각의 제2 단부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하우징내에 설치된 한 쌍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각 단자의 제1 단부는 하우징에 고정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코너부를 향해 뻗어 있으며 하우징에 고정되지 않은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가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부와 날개부 사이에 배치된 응력완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 진동판의 각 전극들은 상기 단자의 하나 이상의 날개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의 날개부의 끝면은,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끝면 사이의 거리가 커지도록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진동판은 상호간 적층된 2개 이상의 압전 세라믹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4. 제 1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압전층 사이에 내부전극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진동판은 압전진동판의 전극상에 배치된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의 몸체부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7. 전극들을 보유하고 있고, 이 전극들 사이에 교류전류가 인가될 때 두께방향으로 진동하는 사각형상의 압전 진동판;
    상기 압전 진동판을 수납하고, 압전 진동판의 2개 이상의 대향하는 측부에서 또는 압전 진동판의 코너부에서 압전 진동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그 각각의 제1 단부가 상기 지지부 근방의 위치에서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그 각각의 제2 단부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각 단자의 제1 단부는 하우징에 고정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한쪽 코너부를 향해 뻗어 있으며 하우징에 고정되지 않은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가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부와 날개부 사이에 배치된 응력완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 진동판의 각 전극들은 상기 단자의 날개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의 날개부의 끝면은,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끝면 사이의 거리가 커지도록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진동판은 상호간 적층된 2개 이상의 압전 세라믹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진동판은 압전진동판의 전극상에 배치된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KR10-2002-0042513A 2001-08-20 2002-07-19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KR100483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48458A JP3669431B2 (ja) 2001-08-20 2001-08-20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JPJP-P-2001-00248458 2001-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162A KR20030016162A (ko) 2003-02-26
KR100483872B1 true KR100483872B1 (ko) 2005-04-18

Family

ID=1907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513A KR100483872B1 (ko) 2001-08-20 2002-07-19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94799B2 (ko)
JP (1) JP3669431B2 (ko)
KR (1) KR100483872B1 (ko)
CN (1) CN1240203C (ko)
DE (1) DE102334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1809B2 (ja) * 2002-12-27 2006-12-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振動板およびこの圧電振動板を用いた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JP3988672B2 (ja) * 2003-04-07 2007-10-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03686B2 (ja) * 2003-04-10 2007-11-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EP1653772B1 (en) * 2003-08-06 2012-04-18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ase with insert terminal and piezoelectr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ing this case, process for manufacturing case with insert terminal
WO2005064989A1 (ja) * 2003-12-25 2005-07-1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US8212453B2 (en) * 2008-06-30 2012-07-03 Daishinku Corporation Piezoelectric resona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iezoelectric resonator device
JP5155352B2 (ja) * 2010-03-25 2013-03-06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圧電デバイス
JP5595196B2 (ja) * 2010-09-16 2014-09-24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圧電デバイス
JP5675004B2 (ja) * 2012-08-30 2015-02-25 京セラ株式会社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222185B2 (ja) * 2015-08-11 2017-11-01 Tdk株式会社 圧電発音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829A (ko) * 1996-06-20 1998-03-30 노무라 마사나리 전자부품 및 발음장치
KR19980070929A (ko) * 1997-01-28 1998-10-26 가네꼬히사시 압전 변환기
JP2001036993A (ja) * 1999-07-22 2001-02-09 Murata Mfg Co Ltd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JP2001095094A (ja) * 1999-07-22 2001-04-06 Murata Mfg Co Ltd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KR20010098701A (ko) * 2000-04-19 2001-11-08 무라타 야스타카 압전형 전기 음향 변환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28177A (fr) * 1970-11-23 1972-09-15 Centre Electron Horloger Résonateur piézoélectriqu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US3970880A (en) * 1973-09-07 1976-07-20 Motorola, Inc. Crystal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y
US4273399A (en) * 1979-11-05 1981-06-16 Amp Incorporated Transducer supporting and contacting means
JPS5850816A (ja) * 1981-09-21 1983-03-25 Tokyo Denpa Kk 水晶振動子
GB2146839B (en) * 1983-07-27 1987-04-01 Nihon Dempa Kogyo Co Piezoelectric resonator
JP3271517B2 (ja) * 1996-04-05 2002-04-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共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
JP3436205B2 (ja) 1999-02-22 2003-08-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音響部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829A (ko) * 1996-06-20 1998-03-30 노무라 마사나리 전자부품 및 발음장치
KR19980070929A (ko) * 1997-01-28 1998-10-26 가네꼬히사시 압전 변환기
JP2001036993A (ja) * 1999-07-22 2001-02-09 Murata Mfg Co Ltd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JP2001095094A (ja) * 1999-07-22 2001-04-06 Murata Mfg Co Ltd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KR20010098701A (ko) * 2000-04-19 2001-11-08 무라타 야스타카 압전형 전기 음향 변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33413A1 (de) 2003-03-13
CN1404282A (zh) 2003-03-19
JP3669431B2 (ja) 2005-07-06
US20030034714A1 (en) 2003-02-20
JP2003058166A (ja) 2003-02-28
KR20030016162A (ko) 2003-02-26
CN1240203C (zh) 2006-02-01
US6794799B2 (en) 2004-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2798B2 (en) Piezoelectric acoustic components
KR100533760B1 (ko)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725341B1 (ko) 압전형 전기 음향 변환기
KR100451560B1 (ko)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및 그 제조방법
JP3489509B2 (ja) 電気音響変換器
KR100482992B1 (ko) 압전형 전기음향변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480757B1 (ko)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KR100596518B1 (ko) 압전형 전기 음향 변환기
US7141919B1 (en) Piezoelectr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0548804B1 (ko) 압전형 전기 음향 변환기 및 그 제조 방법
JP3770111B2 (ja)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JP2004343684A (ja) 表面実装型電子部品の筐体構造
KR100483872B1 (ko)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EP1653772B1 (en) Case with insert terminal and piezoelectr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ing this case, process for manufacturing case with insert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