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455B1 - 비산먼지 제거용 분사기가 장착되는 건설폐기물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비산먼지 제거용 분사기가 장착되는 건설폐기물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455B1
KR100483455B1 KR10-2002-0046048A KR20020046048A KR100483455B1 KR 100483455 B1 KR100483455 B1 KR 100483455B1 KR 20020046048 A KR20020046048 A KR 20020046048A KR 100483455 B1 KR100483455 B1 KR 100483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or
aggregate
crusher
hopp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3217A (ko
Inventor
김혁
Original Assignee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455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4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중 폐콘크리트를 분쇄하여 골재로 재활용하는데 있어서, 죠우(JAW) 크러셔로 골재를 분쇄하는 분쇄기에 분사기가 장착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죠우크러셔와, 상기 죠우크로셔로 분쇄된 골재가 선별적으로 컨베이어에 낙하하도록 하기 위해 봉강을 일정간격을 두고 병렬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선별낙하부 및 상기 선별낙하부의 상부에 골재를 유입하기 위한 호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호퍼 및 선별낙하부의 타측에는 분진등의 비산먼지 제거를 위한 분사기가 설치되며, 상기 분사기는 물 및 압축공기가 혼재되어 분사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산먼지 제거용 분사기가 장착되는 건설폐기물 분쇄장치{Construction Waste Of Crusher Device A Fly Dust Removing For Joining A Spray}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중 폐콘크리트를 골재로 잘게 분쇄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쇄시 발생하는 비산먼지의 제거를 위하여 골재 유입 및 분쇄영역에 대해 물 및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기가 장착된 구조의 비산먼지 제거용 분사기가 장착되는 건설폐기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대가 변천함에 따라 건설시장 못지 않게 재건축시장도 틈새 시장으로써 곽광받기 시작했다.
이러한 재건축시장은 혐호시설이면서도 우리나라와 같은 자원이 부족한 나라에서는 불가분하게 꼭 필요한 시설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아울러 서울 및 대도시권에서는 도시상권 및 주거시설이 다른지역 보다 많고 또한 주거시설 및 상권이 과포화상태로 다른 근접지역까지 상권 및 주거시설이 점차 광역화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런 서울 및 대도시권의 신규지역은 점차 줄어들어 더 이상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오래전부터 사람들이 많이 거주해온 오래된 건축물 등을 재건축하기 위한 시대가 도래된 것이다.
건물 등을 재건설하는데 있어서 거의 대부분의 폐건설자재들은 지면에 매립되여 많은 환경오염을 발생시키고 있으나 일부는 건설폐기물 재생처리장치에 의해서 재생된다.
이러한 건설폐기물 재생처리장치는 분쇄장치에서 얇은 입자형태로 분쇄되는데, 이 때 많은 분진 및 비산먼지들이 발생되어 새로운 대기오염이 발생되어진다.
이를 방지하고자 비산먼지들을 제거할 수 있는 물분사장치를 설치하게 되었는데, 이는 처리하는 먼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물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비산되는 분진 및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데 있어서, 물의 소비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 및 수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건설폐기물 골재의 분쇄시 분진등과 같은 비산먼지의 제거를 위한 분사기가 장착된 비산먼지 제거용 분사기가 장착되는 건설폐기물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물소비량의 억제를 위해 일정량의 물을 대신하여 압축공기가 물과 더불어 분사될 수 있는 구조의 분사기가 장착되는 비산먼지 제거용 분사기가 장착되는 건설폐기물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분쇄기에 있어서,
분쇄되는 골재(200)가 선별되어 자연낙하할 수 있도록 축선방향을 따라 복수의 봉강(21)이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병렬 고정되는 선별낙하부(20);
상기 선별낙하부의 각 봉강(21) 사이로 자유낙하하는 골재(200)의 이송을 위해 상기 선별낙하부(20)의 하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타측이 일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향 설치되는 컨베이어(30);
상기 분쇄기(10)의 타측으로 상기 선별낙하부(20)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설치 고정되는 프레임(40);
상부로 물주입호스(52a) 및 공기주입호스(53a)가 연결될 수 있도록 물주입구(52) 및 공기주입구(53)가 축선방향을 따라 일체로 상향 돌출 형성되며, 하부에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분출구(54)가 하향 연장되는 용기(51)와,
상기 분출구(54)의 형성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분출구(54)에 끼움결합되는 노즐(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40)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기(10)에 의한 분쇄영역에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분사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먼지 제거용 분사기가 장착되는 건설폐기물 분쇄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51)는 상기 노즐(60)의 분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후방에 구비된 브라켓(51a)이 상기 프레임(40)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노즐(60)의 출구 안측영역에는 축선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내경이 감소하는 형상의 분무팁(54a)이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노즐(60)이 상기 호퍼(11)의 안측을 향하도록 상기 호퍼(11)의 측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고정된 다수의 고정부재(41)에 상기 분사기(50)가 브라켓(51a)으로 각각 더 힌지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비산먼지 제거용 분사기가 장착되는 건설폐기물 분쇄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분쇄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분쇄기가 연속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장치(100)는 건설폐기물을 산업용 재료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작을 알갱이 형태로 분쇄시켜 재사용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분쇄기(10)는 호퍼(11)를 통해 유입된 건설폐기물 골재(200)를 분쇄하기 위해 회전축(12) 외주연에 다수개의 죠우(13a)가 연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죠우크러셔(13)가 설치되어 상기 골재(200)를 타격함으로써 분쇄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크러셔는 죠우 크러셔 외에 해머 크러셔 등 어떠한 형태의 크러셔라도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호퍼(11)의 하부 및 상기 죠우크러셔(13)의 하부에 걸쳐 다수의 봉강(21)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병렬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선별낙하부(2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선별낙하부(20)의 상부에는 상기 호퍼(11)로부터 유입된 다수의 골재(200)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죠우크러셔(13)의 회전으로 각 죠우(13a)가 상기 골재(200)를 연속 타격하여 분쇄하게 되며, 만일 분쇄된 골재(200) 중 상기 각 봉강(21) 사이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진 것이 발생한다면, 이러한 골재(200)는 상기 각 봉강(21) 사이로 선별적으로 자유낙하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기 선별낙하부(20)의 하부에는 컨베이어(30)가 설치된다. 상기 컨베이어(30)는 선별낙하부(20)로부터 낙하하는 골재(200)를 이송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골재(200)는 죠우크러셔(13)의 타격으로 호퍼(11)에 유입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데, 이 중 상기 선별낙하부(20)의 각 봉강(21) 사이 간격을 극복하여 그 사이로 낙하하는 골재(200)만이 상기 컨베이어(30)로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분쇄기(10)는 다수개가 일렬로 연속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일측에 설치된 분쇄기(10)의 컨베이어(30) 타측이 타측에 설치된 분쇄기(10)의 호퍼(11)에 연결되는 구조로 가능하다.
이 때 상기 호퍼(11)의 높이가 상기 컨베이어(3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컨베이어(30)의 타측은 일측에 비해 약 10°내지 20°정도로 상향으로 치켜져 타측 분쇄기(10)의 호퍼(11) 입구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분쇄기(10)의 연속 설치시 타측 분쇄기(10)로 갈수록 각 선별낙하부(20)의 각 봉강(21)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따라서 일측의 분쇄기(10)에서 분쇄된 골재(200)가 컨베이어(30)로 이송되어 타측 분쇄기(10)의 호퍼(11)에 유입되면 죠우크러셔(13)의 타격으로 보다 작게 분쇄되고, 이 중 해당 선별낙하부(20)의 봉강(21) 사이의 간격을 극복할 수 있는 것만이 컨베이어(30)에 자유낙하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30)에 낙하한 골재(200)는 다시 타측방향으로 설치된 분쇄기에 이송되어 연속 분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쇄기(10)의 호퍼(11) 측부로 물 및 압축공기를 고속으로 분사할 수 있는 2개의 분사기(5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각 분사기(50)는 높이방향을 따라 고정된 막대형태의 2개의 고정부재(41)에 각각 브라켓(51a)으로 힌지연결되어 있어 상기 골재(200)의 유입에 따른 분진 발생시 상기 분사기(50)로부터 분사되는 물 및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분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기(50)는 상기 선별낙하부(20)의 타측 상부에도 설치되는데, 상기 선별낙하부(20)의 타측 상부에는 폭방향으로 프레임(40)이 고정되어 있어 2개의 분사기(50)가 상기 프레임(40)에 브라켓(51a)으로 힌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죠우크러셔(13)의 분쇄영역에 상기 분사기(50)의 노즐(60)이 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각 죠우(13a)가 골재(200)를 타격할 경우 발생되는 분진 등의 비산먼지를 물 및 압축공기의 분사로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분사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제 1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분사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제 2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기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낙하부(20)의 타측 상부 및 호퍼(11)의 측부에는 2개씩 총 4개의 분사기(50)가 브라켓(51a)으로 힌지연결된다.
상기 선별낙하부(20)에 설치되는 분사기(50)는 노즐(60)이 호퍼(11) 안측을 항하도록 상기 호퍼(11)의 측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고정된 2개의 고정부재(41)에 설치되는데, 상기 호퍼(11)에는 컨베이어(30)로부터 계속적으로 건설폐기물 골재(200)가 유입되어 낙하함으로써, 분진 등의 비산먼지가 발생된다.
이 때 상기 분사기(50)로부터 분사되는 물 및 압축공기가 상기 비산먼지를 제거하는데 기능한다.
또한 상기 선별낙하부(20)의 타측 상부에는 폭방향으로 프레임(40)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40)은 약 150cm 정도의 길이인데, 분사기(50)는 50cm 간격으로 2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분사기(50)는 상부에는 물주입구(52) 및 공기주입구(53)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분출구(54)가 연장 형성되는 원통형 용기(51)와, 상기 분출구(54)의 안측에 끼움 결합되는 노즐(6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용기(51)의 상부에 돌출된 물주입구(52) 및 공기주입구(53)에는 각각 물주입호스(52a) 및 공기주입호스(53a)가 연결되는데, 물주입호스(52a)로는 수도물이 공급되고 공기주입호스(53a)에는 약 3kg/㎠ 내지 7kg/㎠ 정도의 주입압력으로 압축공기가 주입된다.
따라서 상기 수도물의 공급압력 및 압축공기의 공급압력의 조절로 상기 노즐(60)을 통해 분사되는 물 및 압축공기의 분사압력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용기(51)는 원통형상의 강재로서, 몸통부위는 약 75mm 정도로 내경이 일정하다가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형상이며, 상기 분출구(54)는 상기 용기(51)의 하단에 일정한 내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분출구(54)의 안측에 끼워지는 노즐(60)은 외경이 약 20mm 내지 30mm 정도로 일정하고, 그 출구 안측에는 안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형상의 분무팁(54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51) 내로 주입된 물 및 압축공기는 서로 혼재하여 상기 노즐(60)의 출구를 통해 분사되는데, 상기 용기(51) 내에 비해 상대적으로 분출구(54) 및 노즐(60)의 내경이 작으므로 압력수두가 속도수두로 변경되다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다시 상대적으로 압력이 상승하여 결국 비산 분무되어 분사된다.
이러한 상기 분사기(50)는 프레임(40) 및 고정부재(41)에 설치시 용기(51) 후방의 브라켓(51a)에 의해 힌지 연결됨으로써, 상기 비산먼지 발생영역에 대한 노즐(60)의 분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기(10)의 죠우크러셔(1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각 죠우(13a)가 호퍼(11)를 통해 유입되는 골재(200)를 분쇄하면, 골재(200)는 잘게 분쇄되면서 선별낙하부(20)의 타측으로 이동된다. 이 때 골재(200) 중 선별낙하부(20)의 봉강(21) 사이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분쇄된 골재(200)는 하부의 컨베이어(30)로 자유 낙하한다.(도 1 및 도 2에 도시됨)
이 때 상기 호퍼(11) 및 죠우크러셔(13)와 인접한 선별낙하부(20) 부위에는 골재(200)의 유입 및 분쇄에 따라 분진 등의 비산먼지가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30)의 구동축(31)은 상기 죠우크러셔(13)의 회전방향에 상반되게 회전됨으로써, 자유낙하로 컨베이어(30) 상부에 안착된 골재(200)가 타측으로 이송된다.
아울러 상기 호퍼(11)의 측부로 고정부재(41)에 브라켓(51a)으로 힌지 연결된 2개의 분사기(50)에서 노즐(60)을 통해 물 및 압축공기가 호퍼(11)의 안측을 향해 분사된다. 힌지연결로 인해 상기 분사기(50) 노즐(60)의 분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선별낙하부(20) 타측의 프레임(40)에도 2개의 분사기(50)가 브라켓(51a)으로 힌지연결된다. 상기 분사기(50)는 죠우크러셔(13)의 분쇄영역으로 노즐(60)이 향하며 힌지연결부위를 중심으로 분사기(50)를 회전시켜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사기(50)의 물 및 압축공기의 분사로 분진 등의 비산먼지가 제거될 수 있으며, 분쇄된 골재(200) 중 선별낙하부(20)의 각 봉강(21) 사이로 선별 낙하하는 골재(200)는 컨베이어(30)로 이송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쇄장치(100)에서 상기 분사기(50)의 설치개수는 분쇄기(10)의 용량이나 규모, 분쇄되는 골재(200)의 중량 등에 따라 2개가 설치되는 것 이외에, 1개, 3개, 4개, 5개, 및 6개중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기(50)의 각 구성요소의 크기 또한 발생하는 분진의 규모 등에 따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기(50)는 분진 등의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부위인 컨베이어에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사기(50)는 분진 등의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탄광, 석회석 공장, 시멘트 공장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살수차 같은 특수차에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비산먼지 제거용 분사기가 장착되는 건설폐기물 분쇄장치에 의하면, 비산먼지의 효율적 제거가 가능하며 물만을 분사하는 구조에서 탈피하여 압축공기를 물과 함께 분사함으로써, 물소비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도 1은 종래의 해머 크러셔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분쇄기가 연속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분사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제 1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분사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제 2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분쇄기 11: 호퍼
12: 회전축 13: 죠우(JAW)크러셔
13a: 죠우 20: 선별낙하부
21: 봉강 30: 컨베이어
31: 구동축 40: 프레임
41: 고정부재 50: 분사기
51: 용기 51a: 브라켓
52: 물주입구 52a: 물주입호스
53: 공기주입구 53a: 공기주입호스
54: 분출구 54a: 분무팁
60: 노즐 100: 분쇄장치
200: 골재

Claims (4)

  1. 분쇄기에 있어서,
    분쇄되는 골재(200)가 선별되어 자연낙하할 수 있도록 축선방향을 따라 복수의 봉강(21)이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병렬 고정되는 선별낙하부(20);
    상기 선별낙하부의 각 봉강(21) 사이로 자유낙하하는 골재(200)의 이송을 위해 상기 선별낙하부(20)의 하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타측이 일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향 설치되는 컨베이어(30);
    상기 분쇄기(10)의 타측으로 상기 선별낙하부(20)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설치 고정되는 프레임(40);
    상부로 물주입호스(52a) 및 공기주입호스(53a)가 연결될 수 있도록 물주입구(52) 및 공기주입구(53)가 축선방향을 따라 일체로 상향 돌출 형성되며, 하부에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분출구(54)가 하향 연장되는 용기(51);
    상기 분출구(54)의 형성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분출구(54)에 끼움결합되는 노즐(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40)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기(10)에 의한 분쇄영역에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분사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51)는 상기 노즐(60)의 분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후방에 구비된 브라켓(51a)이 상기 프레임(40)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노즐(60)의 출구 안측영역에는 축선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내경이 감소하는 형상의 분무팁(54a)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60)이 상기 호퍼(11)의 안측을 향하도록 상기 호퍼(11)의 측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고정된 다수의 고정부재(41)에 상기 분사기(50)가 브라켓(51a)으로 각각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먼지 제거용 분사기가 장착되는 건설폐기물 분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2-0046048A 2002-08-05 2002-08-05 비산먼지 제거용 분사기가 장착되는 건설폐기물 분쇄장치 KR100483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048A KR100483455B1 (ko) 2002-08-05 2002-08-05 비산먼지 제거용 분사기가 장착되는 건설폐기물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048A KR100483455B1 (ko) 2002-08-05 2002-08-05 비산먼지 제거용 분사기가 장착되는 건설폐기물 분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217A KR20040013217A (ko) 2004-02-14
KR100483455B1 true KR100483455B1 (ko) 2005-04-15

Family

ID=3732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048A KR100483455B1 (ko) 2002-08-05 2002-08-05 비산먼지 제거용 분사기가 장착되는 건설폐기물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4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208B1 (ko) * 2014-02-05 2014-09-23 주식회사 하나그린 콘베어 벨트 이송 중 회전 파쇄와 고압 스프레이를 통한 순환골재 박리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2599B (zh) * 2008-06-27 2011-06-01 鞍钢集团矿业公司 圆锥破碎机里膛降尘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2568A (en) * 1977-11-21 1979-06-11 Kubota Ltd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from fine sand
JPH04334560A (ja) * 1991-04-18 1992-11-20 Terrance John Coles 粉砕部材
JPH081669A (ja) * 1994-06-21 1996-01-0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廃プラスチックの粉砕方法及び装置
JPH10331566A (ja) * 1997-05-28 1998-12-15 Maintech:Kk 鉱石及び石灰石・石炭の採掘ならびに砕石工程における気泡を使用した粉塵の抑制方法
JP2001246276A (ja) * 2000-03-07 2001-09-11 Babcock Hitachi Kk 石炭微粉砕設備
KR100387112B1 (en) * 2002-05-13 2003-06-18 Sam Sam General Construction C Apparatus for removing and sorting fine powder of reclaimed aggregat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2568A (en) * 1977-11-21 1979-06-11 Kubota Ltd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from fine sand
JPH04334560A (ja) * 1991-04-18 1992-11-20 Terrance John Coles 粉砕部材
JPH081669A (ja) * 1994-06-21 1996-01-0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廃プラスチックの粉砕方法及び装置
JPH10331566A (ja) * 1997-05-28 1998-12-15 Maintech:Kk 鉱石及び石灰石・石炭の採掘ならびに砕石工程における気泡を使用した粉塵の抑制方法
JP2001246276A (ja) * 2000-03-07 2001-09-11 Babcock Hitachi Kk 石炭微粉砕設備
KR100387112B1 (en) * 2002-05-13 2003-06-18 Sam Sam General Construction C Apparatus for removing and sorting fine powder of reclaimed aggreg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208B1 (ko) * 2014-02-05 2014-09-23 주식회사 하나그린 콘베어 벨트 이송 중 회전 파쇄와 고압 스프레이를 통한 순환골재 박리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217A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4781A (en) Glass pulverizer
KR20090016079A (ko) 재생골재의 제조장치
JP6638959B2 (ja) 粒状物質の複合生産装置及びその生産方法
KR101773853B1 (ko) 콘크리트용 순환 잔골재를 제조하는 개량형 회전 마쇄장치
KR102325696B1 (ko) 건설폐기물 분리선별시스템
KR20130123728A (ko) 순환골재 선별 파쇄장치
KR20080114459A (ko) 골재 분류 장치
KR100909860B1 (ko) 롤크러셔
KR100596615B1 (ko) 수세식 로타리팬을 이용한 재생골재 입형개선 및 선별장치
KR10092332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시설의 순환골재용 입형 개선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0413325B1 (ko) 폐콘크리트 재생골재의 입형 및 품질개선장치
KR100483455B1 (ko) 비산먼지 제거용 분사기가 장착되는 건설폐기물 분쇄장치
CN205659733U (zh) 一种煤矸石粉碎机
KR200255197Y1 (ko) 송풍기를 이용한 건식 건설폐기물선별장치
KR100870650B1 (ko) 골재의 제조장치
KR101992617B1 (ko) 광폭형 샌드 크러셔
JPH10231004A (ja) 車載式固形物粒状化装置
KR100467868B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1492212B1 (ko) 파분쇄와 박리에 의한 순환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270489B1 (ko) 건설폐기물을 파쇄하여 순환골재로 재활용하거나, 쇄석골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이물질 제거 및 골재 세척장치
KR100448651B1 (ko) 송풍기를 이용한 건식 건설폐기물선별장치
KR20210132250A (ko) 건설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CN215389588U (zh) 一种非金属矿物质可回收再利用废料筛选装置
KR200229577Y1 (ko) 폐콘크리트 재생골재의 입형 및 품질 개선장치
KR100760476B1 (ko) 폐기물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