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459A - 골재 분류 장치 - Google Patents

골재 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459A
KR20080114459A KR1020070107263A KR20070107263A KR20080114459A KR 20080114459 A KR20080114459 A KR 20080114459A KR 1020070107263 A KR1020070107263 A KR 1020070107263A KR 20070107263 A KR20070107263 A KR 20070107263A KR 20080114459 A KR20080114459 A KR 20080114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screen
jaw
inner cylinder
diameter
wast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대환
Original Assignee
대흥에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흥에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흥에코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11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재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건설폐기물의 처리하는 과정에서 콘크러셔(corn crusher) 또는 밀크러셔(mill crusher)에 의해 폐콘크리트 덩어리가 파쇄하는 경우, 순수한 콘크리트는 콘크러셔에 의해 세팅된 일정한 지름을 가지고 파쇄되어 조각으로 배출되는 것에 비하여, 폐콘크리트에 포함되어 있는 나무프레임, 고형화된 플라스틱자재, 석고보드판넬 등의 이물질은 콘크리트 조각과 같이 일정한 세팅된 지름의 범위내에서 파쇄되지 않고 길쭉하거나 너덜너덜한 형태로 파쇄되어 배출된다. 배출된 길쭉한 나무가지 등의 이물질과 폐콘크리트 조각들이 원통스크린내에서 분류되는 공정중에 이물질이 세워져서 원통스크린의 구멍을 통하여 폐콘크리트 조각들과 함께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원통스크린의 내부에 내부원통을 더 설치하여 나무가지 등의 이물질이 원통스크린이 회전하는 동안에 세워져서 구멍을 통하여 폐콘크리트 조각들과 함께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골재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

Description

골재 분류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waste of construc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골재분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나타낸 전체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골재분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스크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스크린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골재분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골재분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골재분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나타낸 전체개략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원통스크린과 내부원통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골재분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와 부분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
10: 분류기 20: 건설폐기물
22: 길쭉한 나무조각들 24: 폐콘크리트 조각들
30: 원통스크린 50: 제 1 콘베이어
52: 보조받침 60: 제 2 콘베이어
70: 제 3 콘베이어 100: 나선형 턱
110: 구멍 120: 골
200: 내부원통 210: 내부원통 지지축
215: 내부원통 지지대 220: 수로관
230: 노즐
본 발명은 골재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건설폐기물의 처리하는 과정에서 콘크러셔(corn crusher) 또는 밀크러셔(mill crusher)에 의해 폐콘크리트 덩어리가 파쇄하는 경우, 순수한 콘크리트는 콘크러셔에 의해 세팅된 일정한 지름을 가지고 파쇄되어 조각으로 배출되는 것에 비하여, 폐콘크리트에 포함되어 있는 나무프레임, 고형화된 플라스틱자재, 석고보드판넬 등의 이물질은 콘크리트 조각과 같이 일정한 세팅된 지름의 범위내에서 파쇄되지 않고 길쭉하거나 너덜너덜한 형태로 파쇄되어 배출된다. 배출된 길쭉한 나무가지 등의 이물질과 폐콘크리트 조각들이 원통스크린내에서 분류되는 공정 중에 이물질이 세워져서 원통스크린의 구멍을 통하여 폐콘크리트 조각들과 함께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원통스크린의 내부에 내부원통을 더 설치하여 나무가지 등의 이물질이 원통스크린이 회전하는 동안에 세워져서 구멍을 통하여 폐콘크리트 조각들과 함께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골재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행과정에서 생겨난 많은 구조물, 즉 교량이나 도로 및 각종 건축물들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점차 노후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주거문화의 개선을 위해 많은 지역에서 재건축 및 재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노후 구조물의 해체나 재건축 및 재개발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많은 건설폐기물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건설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할 경우에는 매립지의 확보가 힘들뿐만 아니라 매립비용이 많이 들며, 환경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각국에서는 자연환경의 보호와 함께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2가지 측면에서 건설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 대책들이 강구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건설폐기물에 대한 많은 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폐기물은 토사를 비롯하여, 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 폐벽돌, 폐타일, 폐석재, 폐기와, 폐블록 등이 포함되는 건설폐재류와, 폐목재류를 비롯하여, 폐합성수지류, 철근과 같은 금속류, 폐종이류, 폐유리류, 오니류 폐섬유류, 소각 잔재물 등이 포함되는 혼합폐재류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폐재류가 혼재되어 있는 건설폐기물은 처리과정을 통해서 매립용, 소각용 및 재활용으로 분리 처리하게 되며, 특히 근년에는 폐기물량의 상당한 포션을 차지하는 건설폐재류를 각종 구조물 또는 건축재의 골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재생함으로써 폐기물의 재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건설폐기물중에서 폐콘크리트를 재생처리하기 위하여 콘크러셔를 이용하여 폐콘크리트를 파쇄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다만, 일반적으로 폐콘크리트에는 콘크리트뿐만 아니라 목재, 불연성자재, 내열성자재, 고형화된 폐합성수지, 직물이 지지수단으로 포함된 석고보드판넬 등의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콘크리트 조각들과 이물질들을 선별하기 위해서 진동스크린 등을 사용하여지만, 콘크리트조각과 이물질의 선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폐콘크리트 덩어리를 콘크러셔 (본 발명에서는 콘크러셔는 밀러(miller) 기계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한다.) 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 이하의 콘크리트조각들로 파쇄하는 경우에, 콘크리트조각들과 폐콘크리트 덩어리에 함유되어 있는 목재, 불연성자재, 내열성자재, 고형화된 폐합성수지, 직물이 지지수단으로 포함된 석고보드판넬 등의 이물질을 분리 선별하는 골재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히, 파쇄되어 길쭉하게 된 나무가지들을 둥근 모양을 이루고 있는 폐콘크리트 조각들과 효율적으로 분리 선별되게 하는 골재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재분류장치는, 둥근 모양의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과 상기 폐콘크리트 덩어리에 함유되어 있는 길쭉한 나무가지 (22) 의 이물질을 선별하는 골재분류장치로서,
상기 골재분류장치는 상기 길쭉한 나무가지 (22) 등 이물질과 폐콘크리트조각들 (24) 이 투입되는 원통스크린 (30) 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스크린 (30) 은 내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의 내부 표면 전체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턱 (100) 이 나사선의 모양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기 나사선 모양의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콜 (120) 에는 다수개의 구멍들 (110) 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22) 과 콘크리트조각들 (24) 이 상기 나사선 모양으로 형성된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 에 놓여져 상기 원통스크린이 회전하면서 상기 골 (120) 에 놓여진 콘크리트 조각들 (24) 은 상기 구멍들 (110) 을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이물질 (22) 은 상기 골에 놓여져 이동하여, 상기 원통스크린 (30) 에서 상기 이물질 (22) 이 투입된 반대쪽 개구부로 배출되고,
상기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에는 원통모양이고, 상기 원통스크린 (30) 과 동일한 중심축상에 위치하고, 원통스크린 (30) 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내부원통 (200) 이 위치하고,
상기 내부원통 (200) 은 상기 내부원통 (200) 의 중심축에 설치된 내부원통 지지축 (210) 과 상기 내부원통 지지축과 연결되어 상기 내부원통 (200) 을 고정되게 지지하는 내부원통지지대 (215) 에 의해 고정되게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은 상기 콘크러셔 (10)로부터 배출되는 콘크리트조각들의 지름세팅값보다 0% 내지 20% 만큼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의 폭길이는 상기 구멍 (110) 의 지름보다 0% 내지 20% 만큼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의 폭길이는 상기 구멍 (110) 2개의 지름보다 0% 내지 20% 만큼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통스크린 (30) 의 안쪽 표면과 상기 내부원통 (200) 의 바깥쪽 표면의 간격 (B) 은 상기 구멍 (110) 의 직경과 유사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내부원통 (200) 의 밑면에는 물이 흐르는 수로관 (220) 이 설치되고, 상기 수로관 (220) 의 상기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표면 방향면에는 다수개의 노즐들 (230) 이 형성되어 상기 수로관 (220) 의 물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내부원통 (200) 은 상기 원통스크린 (30) 과 다수개의 지지대 (205) 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표면에는 다수개의 볼록한 엠보싱들 (123)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장점 및 바람직한 실시예 등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골재분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나타낸 전체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골재분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재분류장치는 건설폐기물 (20) 중 미리 정해진 일정한 크기 이하의 나무조각들 (22),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만을 선별하여 배출하는 철망으로 구성된 종래의 스크린 등의 분류기 (10), 선별된 길쭉한 나무조각들 및 폐콘크리트 조각들 (22, 24) 을 이송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컨베이어들 (50, 60, 70), 제 1 컨베이어 (50) 로 함께 이송된 길쭉한 나무가지들 및 폐콘크리트 조각들 (22, 24) 을 길쭉한 나무조각들 (22) 과 폐콘크리트조각들 (24) 로 별도로 선별하여 배출시키는 원통스크린 (30) 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에는 원통형이고, 원통스크린 (30) 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내부원통 (200) 이 원통스크린 (30) 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상에 위치하고, 내부원통 지지축 (210) 및 내부원통 지지대 (215) 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원통스크린 (30) 은 화살표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는데 반하여 내부원통 (200) 은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지 않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에 내부원통 (200) 을 설치하는 이유는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로 투입된 길쭉한 나무조각들 및 폐콘크리트 조각들 (22, 24) 이, 회전하는 원통스크린 (30) 을 따라 이송되면서 원통스크린 (30) 의 구멍들 (110) 을 통하여 일정한 지름을 가지는 폐콘크리트조각들 (24) 은 배출되게 되고, 길쭉한 나무조각들 (22) 은 원통스크린 (30) 이 회전하는 동안에도 내부원통 (200) 때문에 세워지지 않기 때문에 원통스크린의 구멍 (30) 을 통해 빠져나오기가 용이하지 않게 하여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과는 별개로 제 2 콘베이어 (60) 쪽으로 분리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이기 때문이다.
제 1 컨베이어 (50) 와 원통스크린 (30) 사이에는 보조받침 (52) 이 설치되어 제 1 컨베이어 (50) 로 부터 이송되는 길쭉한 나무조각들 (22) 과 폐콘크리트조각들 (24) 이 원통스크린 (30) 안으로 투입되게 한다.
종래의 콘 크러셔 또는 밀 크러셔(Mill Crusher) 등으로 건설폐기물 중 폐콘크리트 덩어리를 파쇄하여 생산되는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은 크러셔 등의 파쇄기의 특성상 전체적으로 일정한 지름의 범위내에서 파쇄가 되지만, 폐콘크리트 조각들 (20) 이외의 나무조각들 (22) 과 같은 목재, 석고판넬, 플라스틱 등의 이물질의 경우에는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처럼 일정한 지름을 가지면서 파쇄가 되지 않고 길쭉하거나, 넙적하거나, 너덜너덜한 형태를 가지며 파쇄되기 쉽다.
본 발명에 따른 골재분류장치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지름을 유지하는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과 길죽하게 파쇄되기 쉬운 나무조각 (22) 을 선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콘크러셔 (cone crusher) 란, 건설폐기물을 처리하는 현장에서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장치로, 2차 또는 3차 파쇄를 하는 쇄석기로서 충격력과 압축력을 이용하여 분쇄하는 기계이다. 짧은 수직 모양의 중심축 위에 우산처럼 생긴 콘 맨틀 헤드를 달아서, 이것의 편심운동으로 틀에 장치한 콘 케이브 볼(cone cave ball) 에 돌이 물려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파쇄된다. 회전속도는 430∼580rpm이다.
자이러토리 크러셔와 구조와 파쇄운동이 비슷하지만, 콘이 좀더 짧고 공급수 치수가 작으며 타격(打擊) 작용으로 파쇄되므로, 구조가 좀더 복잡하고 파쇄비가 비싸다. 배출구 간격 치수가 커서 규격품을 생산할 수 있고 파쇄되는 범위를 세팅하여 일정한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잔 골재(骨材)를 대량 생산하기에 알맞다.
종래의 콘크러셔는 기계적인 특성상 파쇄되어 배출되는 폐콘크리트조각의 크기를 일정 지름으로 세팅을 하면 최대로 ± 10% 의 오차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 세팅값의 지름을 가지는 파쇄된 폐콘크리트조각들 (24) 이 배출된다. 예를 들어, 폐콘크리트의 파쇄 범위의 세팅값을 30mm 로 하면 최대로 ± 10% 를 넘지 않는 오차범위내인 27mm 내지 33mm 내의 지름을 가지도록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이 배출된다.
다만, 파쇄된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이외의 나무조각들 (22) 은 그 물질의 특성상 파쇄 범위의 세팅값을 30mm 로 하여도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처럼 일정한 직경범위내로 파쇄되지 않고 폭이 30mm 가 되도록 눌려지고, 전체적인 길이는 더 긴 상태가 되도록 길죽하게 눌려져 파쇄되어 배출되기 쉽다.
본 발명에 따른 골재분류장치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분류기 (10) 에 파쇄된 건설폐기물 (20) 를 투입한다. 종래의 철망형의 스크린이 설치된 분류기 (10) 를 통해 세팅된 직경 또는 폭을 가지는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과 나무조각들 (22) 만을 선별하여 배출한다. 본 발명에서 분류기 (10) 는 설치될 수도 있고,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는 임의적 구성요소이고, 콘 크라샤 등의 파쇄기에서 파쇄된 건설폐기물 (20) 은 분류기 (10) 를 거치지 아니하고 직접적으로 원통스크린 (30) 내부로 투입될 수도 있다.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과 나무조각들 (22)이 제 1 컨베이어 (50) 에 올려져 이동되어 회전하는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로 투입되고, 원통스크린 (30) 내부로 투입된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과 나무조각들 (22) 중에서 일정한 규격의 지름을 가지는 파쇄된 콘크리트 조각들 (22) 은 회전하는 원통스크린 (30) 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들 (110) 을 통하여 배출되고, 제 3 컨베이어 (70) 위에 떨어져서 이동한다.
그리고, 길죽하게 파쇄된 나무조각들 (22) 은 원통스크린 (30) 내부에 나사선 방식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설치된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 (도4 참조) 을 따라 이동하여 제 2 컨베이어 (60) 로 떨어져서 이동하게 된다.
원통스크린 (30) 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은 분류기 (10) 에 설치된 철망 스크린의 메시 (mesh) 의 크기와 거의 유사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분류기 (10) 로부터 스크린되어 배출되는 폐콘크리트 조각 (24) 들의 지름 세팅값보다 0 내지 20% 더 긴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더 긴 지름에 근접한 지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분류기 (10) 를 통해 스크린되어 배출되는 폐콘크리트조각들 (24) 의 최대 크기를 30mm 로 세팅한다면, 원통스크린 (30) 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은 30mm 내지 36mm 의 범위로 제작하고, 33mm 가 10% 더 긴 지름이므로 특히 32mm 내지 34mm 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스크린 (30) 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을 분류기 (20) 에 의해 스크린되어 배출되는 폐콘크리트 조각 (24) 들의 세팅된 지름 값보다 10 내지 20% 만큼 더 긴 지름으로 설정하여 제작한 경우에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은 구멍들 (110) 을 통하여 배출되기 쉽기 때문이다.
만일, 원통스크린 (30) 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이 분류기 (20) 에 의해 스크린되어 배출되는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의 지름 세팅값보다 10% 이하로 긴 경우에는, 분류기 (20) 를 통하여 실제로 배출되는 파쇄된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의 지름 크기가 상기 분류기의 스크린의 메시(mesh) 값보다 큰 것이 있어서 쉽게 구멍 (110)을 통하여 배출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원통스크린 (30) 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이 분류기 (20) 에서 스크린되어 배출되는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의 지름 세팅값보다 20% 이상 큰 경우에는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뿐만 아니라 나무조각 등의 길죽한 이물질들 (22) 도 구멍들 (110) 을 통하여 쉽게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내부원통 (200) 의 밑면에는 물이 이동하는 수로관 (220) 및 물이 원통스크린 (30) 회전하는 동안에 원통스크린 (30) 안의 길쭉한 나무조각들 (22) 및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에게 뿌려지도록 하는 다수개의 노즐 (230)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은 도 2 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물이 공급되어 흐르는 파이프 등의 수로 (220) 와 물이 분사되는 노즐 (230) 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원통스크린 (30) 이 회전을 하면서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과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의 선별작업을 하는 동안에 노즐 (230) 을 통하여 물을 분사시켜서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고, 작은 크기의 돌가루 등의 석분이 구멍 (110) 을 통하여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과 함께 더 잘 배출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도 3 에서 원통스크린 (30) 의 안쪽면과 내부원통 (200) 의 바깥쪽 면 사이의 간격을 'B' 로서 표기하고, B 를 구멍 (110) 의 지름과 비슷하거나 약간 크게만 조절한다면,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이 원통스크린 (30) 을 통과하는 동안에, 원통스크린 (30) 내부에 설치된 내부원통 (200) 때문에, 구멍 (110) 을 통하여 배출되기 어렵다.
즉,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와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은 원통스크린의 안쪽면과 내부원통의 바깥쪽 면 사이 (B) 에서만 움직일 수 있고, 길쭉한 나무가지 (22) 는 원통스크린 (30) 이 회전하는 동안에 세워져서, 길쭉한 나무가지 (22) 의 폭과 유사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스크린 (30) 의 구멍 (110) 을 통하여 폐콘크리트조각들 (24) 과 함께 배출되기가 어렵다.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은 원통스크린 (30) 의 표면에 누워져 있게 되어 구멍 (110) 을 통하여 이탈되기가 쉽지 않게 된 다.
이와 같은 구성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재분류장치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과 길쭉한 형상의 나무가지 조각들 (22) 등의 이물질을 선별하는데 있어서 우수한 수율을 가진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원통스크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통스크린 (30) 의 안쪽면 내부 전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은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턱 (100) 이 나선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통스크린 (30) 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 을 따라 길죽한 모양의 나무조각들 (22)과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등이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선모양으로 형성된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 에는 파쇄된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이 이탈할 수 있는 지름을 가지는 다수의 구멍들 (110) 이 형성되어 있다.
골 (120) 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은 콘크러셔 (10)로 파쇄되어 배출되는 폐콘크리트조각 (24)의 크기의 지름을 세팅한 값보다 0 내지 20% 더 긴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더 긴 지름에 근접한 지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골 (120) 의 폭은 구멍 (110) 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구멍 (110) 의 지름의 길이 보다 20% 를 넘지 않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구멍이 30mm 라면 턱 (100) 을 제외한 골 (120) 의 폭 길이는 30mm 내지 36mm 가 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에 나선모양으로 턱 (100) 이 형성된 이유는 회전하는 원통스크린 (30) 내부로 투입된 파쇄된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과 콘크리트조각들 (24) 의 원통스크린 (30) 내부에서의 이송속도 및 이송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이다.
즉, 원통스크린 (30) 내부로 투입된 파쇄된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과 폐콘크리트조각들 (24) 을 이송시켜서 원통스크린 (30) 의 투입된 개방부과 반대쪽 개방부로 배출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원통스크린의 기울기를 기울이는 방식 또는 원통 스크린 (30) 을 진동시켜서 파쇄된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과 폐콘크리트조각들 (24) 을 이송시키는 방식을 채용한다면, 원통스크린 (30) 내부로 투입된 파쇄된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과 콘크리트조각들 (24) 의 초당 이송거리 및 이송속도의 조절이 불가능하다.
또한, 한꺼번에 많은 양의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과 폐콘크리트조각들 (24) 이 원통스크린 (30) 내부로 투입된다면, 단순히 기울어져 있거나, 진동하는 원통스크린 (30) 을 통하여 콘크리트 조각들 (24) 과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의 분리가 어려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나선형으로 형성된 턱 (100) 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스크린의 내부표면에는 볼록한 요철인 엠보싱 (123) 이 다수 개가 랜텀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서는 일부분에만 볼록하게 튀어나온 엠보싱 (123) 이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원통스크린 내부표면 전체에 걸쳐서 엠보싱 (123) 이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볼록한 요철인 엠보싱 (123) 은 원통스크린 (30) 이 회전을 하면서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과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을 분류하는 작업을 하는 도중에, 특히,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이 원통스크린 (30) 에 표면부를 직접적으로 충격을 주는 것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요철인 엠보싱 (123) 이 무수히 설치되어, 원통스크린 (30) 이 회전하면서 폐콘크리트조각들 (30) 이 원통스크린 (30) 과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이로 인하여 원통스크린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5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원통스크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의 원통스크린 (30) 내부의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 의 간격이 도 4 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통스크린 (30) 내의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 의 간격보다 2배가 넓게 형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폐콘크리트 덩어리 (20) 가 콘크리트보다 많은 양의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구멍들 (110) 을 통하여 배출되어야 하는 콘크리트 조각들 (24) 만큼 별도로 선별되어야 하는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의 양이 많기 때문에 턱 (100) 과 턱 (100) 의 사이의 골 (120) 에 모든 폐콘크리트조각들 (24) 과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이 놓여지지 않고, 턱 (100) 위에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이 걸쳐져 놓여지게 된다.
특히, 폐콘크리트조각들 (24) 과 별도로 분류해야하는 건설폐기물이 다량의 직물이 함유된 석고보드 등인 경우에는 상기한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또한, 원통스크린 (30) 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한 경우에 콘크리트조각들 (24) 과 길쭉한 나무조각들 (22)이 나사선으로 형성된 턱 (100) 과 턱사이의 골 (120) 안착되어 이동하기 보다는 턱 (100) 에 걸려서 원통스크린 (30) 내부에서 위로 튈 가능성이 높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해결안으로 도 5 와 같이 턱 (100) 과 턱 (100) 의 사이의 골 (120) 의 폭을 2배로 증가한 것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5 의 원통스크린 (30)이다.
도 5 의 제 2 실시예의 원통스크린 (30) 에서는 파쇄전의 폐콘크리트 건설폐기물에 길쭉한 나무가지 등 (22) 의 이물질이 20% 이상 함유된 폐콘크리트 건설폐기물이 콘크러셔 등에 의해 파쇄된 경우 도 4 의 제 1 실시예의 원통스크린 (30) 보다 더욱더 효율적으로 길쭉한 나무조각들 (22) 과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로 분리되어 선별이 되었다.
도 5 의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골 (120) 의 폭은 2개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의 합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2개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의 합의 길이보다 20% 를 넘지 않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구멍의 지름이 30mm 라면 턱 (100) 을 제외한 골 (120) 의 폭 길이는 60mm 내지 72mm 가 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골재분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골재분류장치의 전체적 인 구성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에 내부원통 (200) 이 원통스크린 (30) 과 함께 일체로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원통스크린 (30) 과 내부원통 (200) 은 동일한 중심축을 유지하고, 내부원통 (200) 이 원통스크린 (30) 과 4개 또는 5개 정도의 지지대 (205) 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한다. 지지대 (205) 는 원통스크린 (30) 내부 안쪽에 설치된 나선형 턱 (100) 상에 지지대 (205) 가 연결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길쭉한 나무조각들 (22) 과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의 진로를 방해하지 않는다.
도 6 을 참조하면, 지지대 (205) 의 모양이 도시되어 있다. 지지대 (205) 는 길이가 짧은 파이프 모양으로 4개 또는 5개 정도가 원통스크린 (30) 과 내부원통 (200) 을 고정되게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지지대 (205) 를 용접 등을 통하여 원통스크린 (30) 과 내부원통 (200) 을 고정되게 연결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골재분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나타낸 전체개략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원통스크린과 내부원통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골재분류장치는, 도 1 및 도 2 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과는 달리, 원통스크린 (30) 내부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나선형 턱 (100) 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부원통 (200) 의 외측표면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나선형 턱 (100) 이 부착된 구성과 길쭉한 나뭇가지들 (22) 이 배출되는 쪽에 원형의 날개 (235) 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하고 있다. 나선형의 턱 (100) 과 원형의 날개 (235) 는 내부원통 (200) 의 외측면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골재분류장치에는, 원통스크린 (30) 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내부원통 (200) 이 원통스크린 (30) 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 상에 위치하고, 내부원통 지지축 (210) 및 내부원통 지지대 (215) 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원통스크린 (30) 은 회전을 하는데 반하여 내부원통 (200) 은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지 않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표면에는 상기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달리 나선형의 턱 (100) 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구멍 (110) 만이 형성되어 있다. 반면에, 내부원통 (200) 의 외측면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나선형 턱 (100) 이 형성되어 있다. 나선형 턱 (100) 은 내부원통 (200) 주위 전체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파쇄된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와 나무조각들 (22) 이 원통스크린 (30) 의 아래쪽 경로로 이동하므로 도 9 (a), (b) 와 같이 내부원통 (200) 의 아래쪽 반원통 부분에만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원통스크린 (30) 은 길쭉한 나무조각들 및 폐콘크리트 조각들 (22, 24) 이 투입되는 투입부에서 길쭉한 나무조각들 (24) 이 배출되는 배출구쪽으로 지면에 대하여 10도 내지 13도 기울어지게 구성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서는,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간격은 구 멍 (110) 의 직경보다 약 3 배 정도 넓게 구성하였고, 구멍 (110) 의 직경은 콘크러셔 (10)로부터 파쇄되어 배출되는 콘크리트조각들의 지름 세팅값보다 1.2 배 내지 1.5 배 길게 구성하였고, 상기 원통스크린 (30) 의 안쪽 표면과 상기 내부원통 (200) 의 바깥쪽 표면의 간격은 상기 구멍 (110) 의 직경의 2배 내지 2.5배로 구성되도록 제작하였고, 상기 같은 높이를 가지는 날개 (235) 및 턱 (100) 의 끝부분과 원통스크린 (30) 의 안쪽면 사이의 간격은, 콘크러셔 (10)로부터 파쇄되어 배출되는 콘크리트조각들의 지름 세팅값보다 1.1 배 내지 1.3 배 길게 구성하였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골재분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와 부분확대도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골재분류장치의 내부원통 (200) 의 밑면에는 물이 이동하는 수로관 (220) 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스크린 (30) 이 회전하는 동안에 원통스크린 (30) 안에서 이동중인 길쭉한 나무조각들 (22) 및 폐콘크리트 (24) 에 물이 뿌려지도록 하는 다수개의 노즐이 수로관 (220) 에 형성되어 있다.
원통 스크린 (30) 에 형성된 구멍 (110) 들은 분류기 (10) 로부터 스크린되어 배출되는 폐콘크리트 조각 (24) 들의 지름 세팅값보다 1.2 배 내지 1.5 배 더 긴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원통스크린 (30) 은 길쭉한 나무조각들 및 폐콘크리트 조각들 (22, 24) 이 투입되는 투입부에서 길쭉한 나무조각들 (24) 이 배출되는 배출구쪽으로 지면에 대하여 10도 내지 13도 기울어지게 구성이 된다.
그리고,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날개 (235) 및 턱 (100) 의 끝부분과 원통스크린 (30) 의 안쪽면 사이의 간격은, 콘크러셔 (10)로부터 파쇄되어 배출되는 콘크리트조각들의 지름 세팅값보다 1.1 배 내지 1.3 배 만큼만 길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길쭉한 나뭇가지들 (22) 은 원통스크린 (30) 이 회전을 함께 따라 날개 (235) 또는 턱 (100) 과 원통스크린 (30) 의 안쪽면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기 쉬우나, 세팅된 크기로 파쇄된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은 원통스크린 (30) 이 회전을 함에 나선형의 턱 (100) 과 날개 (235) 에 부딪히게 되어, 날개 (235) 또는 턱 (100) 과 원통스크린 (30) 의 안쪽면 사이를 쉽게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구멍들 (110) 을 통하여 배출되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골재분류장치에 의하면,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에 내부원통 (200) 을 원통스크린 (30) 의 중심축과 동일한 축상에 설치하여 길쭉한 나뭇가지 (22), 불연성자재, 내열성자재, 고형화된 폐합성수지, 직물이 지지수단으로 포함된 석고보드판넬 등 파쇄되었을때 폐콘크리트 조각들과 같이 둥근 공 모양으로 파쇄되기 힘든 이물질을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과는 별도로 선별되게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즉, 원통형의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에 내부원통 (200) 이 설치됨으로 인하여, 원통스크린 (30) 의 안쪽 면과 내부원통 (200) 의 바깥쪽 면 사이의 간격 (도 3의 B) 을 조절함으로써,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이 회전하는 원통스크린 (30) 에서 세워지게 되어 구멍 (110) 을 통하여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분류기 (10) 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철망으로 구성된 스크린이기 때문에 분류기 (10) 인 스크린 철망의 간격과 유사한 폭 사이즈를 가지는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도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과 함께 분류기 (10) 로부터 배출된다.
그러나,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이 원통스크린 (30) 을 통과하는 동안에는, 원통스크린 (30) 내부에 설치된 내부원통 (200) 때문에, 길쭉한 나무가지들 (22) 와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은 원통스크린의 안쪽면과 내부원통의 바깥쪽 면 사이에서만 움직일 수 있고, 원통스크린의 안쪽면과 내부원통 (200) 의 바깥쪽 면 사이의 간격 (도 3의 B) 을 구멍 (110) 의 지름과 비슷하거나 약간 크게만 조절한다면, 길쭉한 나무가지 (22) 는 원통스크린 (30) 의 구멍 (110) 을 통하여 폐콘크리트조각들 (24) 과 함께 배출되기가 어려운 효과가 있고,
이와 같은 구성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재분류장치는 공과 같이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둥근형상의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과 길쭉한 형상의 나무가지 조각들 (22) 등의 이물질을 선별하는데 있어서 우수한 수율을 가진다.
이밖에도, 원통스크린 자체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을 할 수 있으므로, 콘크러셔에 의해 배출되는 콘크리트 조각들의 지름값을 세팅한 값이 달라진다 하더라도, 많은 비용의 추가없이 콘크러셔에 의해 배출되는 콘크리트 조각들의 세팅된 지름값에 대응하는 구멍 사이즈를 가지는 원통스크린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현저한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10)

  1. 둥근 모양의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과 상기 폐콘크리트 덩어리에 함유되어 있는 길쭉한 나무가지 (22) 의 이물질을 선별하는 골재분류장치로서,
    상기 골재분류장치는 상기 길쭉한 나무가지 (22) 등 이물질과 폐콘크리트조각들 (24) 이 투입되는 원통스크린 (30) 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스크린 (30) 은 내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의 내부 표면 전체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턱 (100) 이 나사선의 모양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기 나사선 모양의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콜 (120) 에는 다수개의 구멍들 (110) 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22) 과 콘크리트조각들 (24) 이 상기 나사선 모양으로 형성된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 에 놓여져 상기 원통스크린이 회전하면서 상기 골 (120) 에 놓여진 콘크리트 조각들 (24) 은 상기 구멍들 (110) 을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이물질 (22) 은 상기 골에 놓여져 이동하여, 상기 원통스크린 (30) 에서 상기 이물질 (22) 이 투입된 반대쪽 개구부로 배출되고,
    상기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에는 원통모양이고, 상기 원통스크린 (30) 과 동일한 중심축상에 위치하고, 원통스크린 (30) 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내부원통 (200) 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분류 장치.
  2. 둥근 모양의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과 상기 폐콘크리트 덩어리에 함유되어 있는 길쭉한 나무가지 (22) 의 이물질을 선별하는 골재분류장치로서,
    상기 골재분류장치는 상기 길쭉한 나무가지 (22) 등 이물질과 폐콘크리트조각들 (24) 이 투입되는 원통스크린 (30) 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스크린 (30) 은 내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에는 원통모양이고, 상기 원통스크린 (30) 과 동일한 중심축상에 위치하고, 원통스크린 (30) 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내부원통 (200) 이 위치하고,
    상기 내부원통 (200) 의 외측 표면 전체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턱 (100) 이 나사선의 모양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기 나사선 모양의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콜 (120) 에는 다수개의 구멍들 (110) 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22) 과 콘크리트조각들 (24) 이 상기 원통스크린이 회전하면서 콘크리트 조각들 (24) 은 상기 구멍들 (110) 을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이물질 (22) 은 상기 원통스크린 (30) 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원통스크린 (30) 에서 상기 이물질 (22) 이 투입된 반대쪽 개구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분류 장치.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원통 (200) 은 상기 내부원통 (200) 의 중심축에 설치된 내부원통 지지축 (210) 과 상기 내부원통 지지축과 연결되어 상기 내부원통 (200) 을 고정되게 지지하는 내부원통지지대 (215) 에 의해 고정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분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은 상기 콘크러셔 (10)로부터 배출되는 콘크리트조각들의 지름 세팅값보다 0% 내지 20% 만큼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분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의 폭길이는 상기 구멍 (110) 의 지름보다 0% 내지 20% 만큼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분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의 폭길이는 상기 구멍 (110) 2개의 지름보다 0% 내지 20% 만큼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분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스크린 (30) 의 안쪽 표면과 상기 내부원통 (200) 의 바깥쪽 표면의 간격 (B) 은 상기 구멍 (110) 의 직경과 유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분류장치
  8.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원통 (200) 의 밑면에는 물이 흐르는 수로관 (220) 이 설치되고, 상기 수로관 (220) 의 상기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표면 방향면에는 다수개의 노즐들 (230) 이 형성되어 상기 수로관 (220) 의 물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분류장치.
  9.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원통 (200) 은 상기 원통스크린 (30) 과 다수개의 지지대 (205) 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분류 장치.
  10.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표면에는 다수개의 볼록한 엠보싱들 (123)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분류장치.
KR1020070107263A 2007-06-26 2007-10-24 골재 분류 장치 KR200801144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3105 2007-06-26
KR1020070063105 2007-06-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459A true KR20080114459A (ko) 2008-12-31

Family

ID=4037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263A KR20080114459A (ko) 2007-06-26 2007-10-24 골재 분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445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8226A (zh) * 2012-12-21 2013-04-03 江西稀有稀土金属钨业集团有限公司 一种废铜圆筒筛
CN103658046A (zh) * 2013-11-26 2014-03-26 安徽省宁国市宁沪钢球有限公司 耐磨钢球段筛分装置
CN108079648A (zh) * 2018-02-08 2018-05-29 栾川龙宇钼业有限公司 一种新型矿浆杂物过滤装置
CN108970960A (zh) * 2018-08-09 2018-12-11 浙江建设职业技术学院 一种全自动沙石筛分传送装置
CN110369259A (zh) * 2019-06-12 2019-10-25 山东神工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无尘粉筛系统
KR102049363B1 (ko) * 2019-04-11 2019-11-27 놀뫼환경 주식회사 에어샷 망치를 통한 트롬멜용 스마트 이물질막힘제거장치
CN111825415A (zh) * 2020-07-29 2020-10-27 襄阳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废弃混凝土块用二次加工利用工艺
CN117416719A (zh) * 2023-12-18 2024-01-19 山东乐利事食品有限公司 薯片生产输送系统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8226A (zh) * 2012-12-21 2013-04-03 江西稀有稀土金属钨业集团有限公司 一种废铜圆筒筛
CN103658046A (zh) * 2013-11-26 2014-03-26 安徽省宁国市宁沪钢球有限公司 耐磨钢球段筛分装置
CN103658046B (zh) * 2013-11-26 2016-02-10 安徽省宁国市宁沪钢球有限公司 耐磨钢球段筛分装置
CN108079648A (zh) * 2018-02-08 2018-05-29 栾川龙宇钼业有限公司 一种新型矿浆杂物过滤装置
CN108970960A (zh) * 2018-08-09 2018-12-11 浙江建设职业技术学院 一种全自动沙石筛分传送装置
KR102049363B1 (ko) * 2019-04-11 2019-11-27 놀뫼환경 주식회사 에어샷 망치를 통한 트롬멜용 스마트 이물질막힘제거장치
CN110369259A (zh) * 2019-06-12 2019-10-25 山东神工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无尘粉筛系统
CN111825415A (zh) * 2020-07-29 2020-10-27 襄阳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废弃混凝土块用二次加工利用工艺
CN117416719A (zh) * 2023-12-18 2024-01-19 山东乐利事食品有限公司 薯片生产输送系统
CN117416719B (zh) * 2023-12-18 2024-03-01 山东乐利事食品有限公司 薯片生产输送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4459A (ko) 골재 분류 장치
KR101685120B1 (ko) 건설 폐토사 내 이물질 선별장치
KR101061166B1 (ko) 매립쓰레기의 감량화 선별시스템 및 선별방법
KR100516470B1 (ko) 재생골재용 표면박리기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0582847B1 (ko)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1068582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분리장치
KR100557250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기
KR20110090503A (ko) 다단 맨틀 구조를 갖는 임팩트형 콘 크러셔
KR102164244B1 (ko) 원석의 선택적 파쇄와 필터링이 가능한 크러싱 시스템
KR102185882B1 (ko) 순환골재 생산 시스템
KR101549692B1 (ko) 건설 폐기물 파쇄 박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 방법
KR100773334B1 (ko)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
KR100559483B1 (ko)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
KR100467868B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2535654B1 (ko) 건축폐기물 자동처리장치
KR100773586B1 (ko) 재생골재의 표면박리 및 입형개선 장치
KR200370528Y1 (ko) 재활용 모래 선별세척장치
KR20090089509A (ko) 건설폐기물의 선별장치
KR101188408B1 (ko) 파쇄와 그라인딩에 의한 이물질 박리 및 순환골재 제조 장치
KR102309810B1 (ko)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제조 방법
KR100950284B1 (ko) 3단수로를 통한 순환골재 및 모래 선별장치
KR20210132250A (ko) 건설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KR200284248Y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 원통스크린 장치
KR100519502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생골재 제조용 오토스크러빙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