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800B1 -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장착구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장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800B1
KR100479800B1 KR10-2002-0026726A KR20020026726A KR100479800B1 KR 100479800 B1 KR100479800 B1 KR 100479800B1 KR 20020026726 A KR20020026726 A KR 20020026726A KR 100479800 B1 KR100479800 B1 KR 100479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hutter plate
coin box
vending machine
rotation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925A (ko
Inventor
최근배
임성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6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8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88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8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6Coin box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장착구에 관한 것이다. 이는 바닥판 및 측벽을 가지고 동전을 수용하며 전면벽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하여 케이스를 밀폐하는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는; 천장면 및 측벽을 가지고 천장면 중앙에는 동전이 통과하는 제 1동전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프레임과, 상기 천장면의 저면에 설치되고 커버프레임이 상기 케이스와 더불어 자동판매기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을 개방하고, 분리됨에 따라 제 1동전통과구멍을 차단하는 개폐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인박스를 자동판매기에 안착시킬 때 상기 셔터플레이트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제 1동전관통구멍을 개방하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회동스토퍼를 회동시키는 지지샤프트와, 상기 지지샤프트가 상기 회동스토퍼를 회동시킨 상태에서 가압절곡부를 가압 이동시키는 푸쉬로드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장착구는, 코인박스 커버의 동전통과구멍이 코인박스를 자동판매기에 장착할 때는 자동적으로 열리고 자동판매기로부터 인출할 때는 자동적으로 잠기므로 장착이 편리하며 동전통과구멍을 통해 동전을 맘대로 빼낼 수 없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장착구{Coin box and installing device thereof in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장착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사회에 이르러 대량생산 대량소비 등의 마케팅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유통구조가 요구되었고, 이와 맞물려 인건비의 상승이나 공간적 제약 및 구입의 신속 편리성 등에 따라 자동판매기가 급속히 보급되었다. 상기 자동판매기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각종 기호품이나 티켓류 등을 바로 살 수 있어 편리하다.
한편, 공지의 사실과 같이 모든 자동판매기는 그 내부에 코인박스를 갖는다. 상기 코인박스는 외부에서 투입되는 동전을 받아들이는 통으로서 자동판매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여 자동판매기 관리자는 언제라도 코인박스를 꺼내어 내부에 모아져 있는 동전의 계수를 할 수 있다.
상기 코인박스는 동전을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덮어 밀폐하는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중앙부에는 케이스를 외부로 연결하는 동전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전통과구멍의 하부에는 상기 동전통과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셔터는 코인박스가 자동판매기에 장착될 때 개방되어야 하고 분리될 때는 자동적으로 닫혀야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코인박스에서 셔터는 코인박스를 자동판매기에 장착할 때 수동으로 개방한 후 장착하여야 한다는 불편이 있었다. 즉, 코인박스를 자동판매기에 장착할 때 먼저 코인박스의 케이스로부터 커버를 개방하고 커버의 동전통과구멍 하부에 있는 셔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후 커버를 다시 결합하고 장착하여야 비로소 셔터가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코인박스의 종류에 따라 코인박스를 자동판매기로부터 인출할 때 셔터가 동전통과구멍을 자동적으로 닫지 않아 계수하기 전에 동전통과구멍을 통해 동전을 빼낼 수 도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코인박스 커버의 동전통과구멍이 코인박스를 자동판매기에 장착할 때는 자동적으로 열리고 자동판매기로부터 인출할 때는 자동적으로 잠기므로 장착이 편리하며 동전통과구멍을 통해 동전을 맘대로 빼낼 수 없도록 구성된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장착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는, 자동판매기내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투입된 동전을 그 내부에 받아들여 수용하는 것으로, 바닥판 및 측벽을 가지고 동전을 수용하며 전면벽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하여 케이스를 밀폐하는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는; 천장면 및 측벽을 가지고 천장면 중앙에는 동전이 통과하는 제 1동전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프레임과, 상기 천장면의 저면에 설치되고 커버프레임이 상기 케이스와 더불어 자동판매기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을 개방하고, 분리됨에 따라 제 1동전통과구멍을 차단하는 개폐수단을 가지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천장면의 저면에 면접하며 케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시트형 부재로서 후방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을 막으며, 중앙에는 외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 1동전통과구멍과 겹쳐져 제 1동전통과구멍을 개방하는 제 2동전통과구멍을 가지는 셔터플레이트와; 상기 천장면의 저면에 평행하며 천장면에 핀 연결되어 회동가능하며 그 후단부가 상기 셔터플레이트의 전방 이동경로를 막도록 하여 제 1동전통과구멍이 열리지 않게 하는 회동스토퍼와; 상기 회동스토퍼의 후단부가 셔터플레이트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하도록 회동스토퍼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셔터플레이트의 제 2동전통과구멍의 측부에는 셔터플레이트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연장된 일정폭의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천장면의 저면에는 상기 장공을 통과하여 셔터플레이트의 슬라이딩운동을 가이드하는 두 개의 고정핀이 구비되며, 상기 회동스토퍼는 셔터플레이트의 저면에 위치하는 일정두께의 띠형부재로서, 그 중앙부가 두 개의 고정핀 중 후방에 위치한 고정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전방측 선단부에는 나머지 고정핀을 통과시키되 회동스토퍼의 회동각을 제한하는 원호형장공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회동스토퍼를 스프링의 인장방향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가압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지지절곡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셔터플레이트는 일정두께의 금속판을 절곡 형성한 것으로, 후방측 선단부에는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셔터플레이트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는 가압절곡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압절곡부의 측부에는 상기 회동스토퍼의 후단부에 걸려 셔터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걸림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은 셔터플레이트와 회동스토퍼에 양단이 결합하며 회동스토퍼의 후단부를 상기 걸림절곡부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커버프레임의 후방측벽에는; 외부에서 후방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절곡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푸쉬로드관통구멍과, 상기 푸쉬로드관통구멍의 측부에 위치하며 외부에서 후방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절곡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샤프트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셔터플레이트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르는 제 1동전관통구멍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어 모두 4개가 구비되고, 상기 셔터플레이트는 상기 중심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호 평행한 두 개의 장공과, 상호 대칭을 이루는 두 개의 걸림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장공의 하부에는 회동스토퍼 및 인장스프링이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인박스 장착구는 바닥판 및 측벽을 가지고 동전을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하여 케이스를 밀폐하는 것으로 천장면 및 측벽을 가지고 천장면 중앙에는 제 1동전통과구멍이 형성되고 후방측벽에는 후방측벽을 관통하는 지지샤프트관통구멍과 푸쉬로드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 천장면의 저면에 구비되며 케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시트형 부재로서 후방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을 막으며, 중앙에는 외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 1동전통과구멍과 겹쳐져 제 1동전통과구멍을 개방하는 제 2동전통과구멍을 가지는 셔터플레이트와; 상기 천장면의 저면에 평행하며 천장면에 핀 연결되어 회동가능하며 그 후단부가 상기 셔터플레이트의 전방 이동경로를 막도록 하여 제 1동전통과구멍이 열리지 않게 하는 회동스토퍼를 포함하는 코인박스를 자동판매기에 안착시킬 때 상기 셔터플레이트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제 1동전관통구멍을 개방하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자동판매기 내의 코인박스의 후면벽에 대향하는 수직의 지지벽에 고정되며 수평연장되고, 상기 코인박스의 진입시 상기 지지샤프트관통구멍을 통과하여 회동스토퍼를 회동시킴으로써 회동스토퍼의 후단부가 셔터플레이트의 전방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지지샤프트와, 상기 지지샤프트와 평행하며 지지샤프트가 상기 회동스토퍼를 회동시킨 상태에서 푸쉬로드관통구멍을 통해 셔터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푸쉬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인박스가 설치된 자동판매기를 예를 들어 일부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인박스(12)는, 자동판매기(1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투입되어 소정경로를 통과한 동전을 그 내부에 받아들여 수용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인박스(12)의 상부에는 셔터플레이트(도 2의 14)에 의해 열리거나 닫히는 제 1동전통과구멍(도 2의 1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셔터플레이트(14)는 코인박스(12)를 자동판매기(10)내에 설치할 때 코인박스장착구(도 2의 18)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동전을 받아들일 수 있게 하며, 인출할 때에는 인장스프링(도 4의 46)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혀 제 1동전통과구멍(도 2의 14)을 닫는다.
아울러 상기 코인박스(12)의 전방 바닥면(70)에는 승강돌기(6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승강돌기(66)는 코인박스(12)가 자동판매기(10)의 앞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코인박스(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두 개의 인장스프링(도 7의 46)은 그 탄성력으로 코인박스(12)를 전방으로 탄성 가압하는데 상기 탄성력에 의해 코인박스(12)가 앞으로 밀려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돌기(66)는 사각 단면을 갖는 블록으로서 바닥면(70)에 대해 승강가능하며 스프링(68)에 의해 상부로 탄성지지된다. 상기 승강돌기(66)는 바닥면(70)내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인박스(12)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승강돌기(66)를 손으로 완전히 누른 상태로 손잡이(도 2의 62)를 잡아당기면 된다.
코인박스(12)를 새로이 설치하기 위해서는 코인박스를 상기 승강돌기(66)위에 위치시켜 코인박스(12)의 무게에 의해 승강돌기(66)가 하강하도록 한 상태로 코인박스(12)를 그대로 밀어 삽입하면 된다. 코인박스(12)가 완전히 삽입되면 승강돌기(66)는 상부로 튀어올라 코인박스(12)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인박스(12)를 지지하는 것으로 승강돌기(66) 및 스프링(68)을 간단히 사용하였지만 동일 기능을 제공하는 한 그 지지방식은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코인박스를 코인박스 장착구와 더불어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코인박스(12)는 동전을 수용하는 케이스(24)와, 상기 케이스(24)의 상부에 씌워지며 케이스(24)를 밀폐하는 커버(26)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4) 및 커버(26)는 각각 철판을 절곡하여 제작한다.
상기 케이스(24)는 사각 공간을 제공하며 대략 3000개 이상의 동전을 수용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24)의 전면벽에는 손잡이(6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62)는 케이스(24)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자동판매기에 장착되어 있는 케이스(24)를 용이하게 인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26)의 후면에는 푸쉬로드관통구멍(도 3의 30) 및 두 개의 지지샤프트관통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관통구멍(30,32)은 커버(26)의 후면벽을 관통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코인박스설치구(18)의 푸쉬로드(20)와 지지샤프트(22)가 통과하여 커버(26)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구멍이다.
상기 커버(26)의 중앙에는 제 1동전관통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동전관통구멍(16)은 사각의 구멍으로서 셔터플레이트(14)에 의해 개방되거나 또는 닫힌다.
아울러 상기 제 1동전관통구멍(16)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셔터플레이트(14)는, 코인박스(12)가 자동판매기에 장착되어서는 제 1동전관통구멍(16)을 개방하고 분리되어서는 밀폐하는 작동을 한다.
상기 코인박스설치구(18)는 자동판매기(10)내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코인박스(12)가 자동판매기(10)내에 설치될 때 코인박스(12)의 셔터플레이트(14)를 화살표 a방향으로 밀어 제 1동전통과구멍(16)이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코인박스설치구(18)는, 자동판매기(10)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수직의 지지벽(19)과, 상기 지지벽(19)에 고정되며 수평으로 연장된 푸쉬로드(20) 및 두 개의 지지샤프트(22)를 갖는다.
상기 푸쉬로드(20)는 푸쉬로드관통구멍(도 3의 30)을 통과하여 셔터플레이트(14)를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환봉이다. 또한 지지샤프트(22)는 상기 푸쉬로드(20)와 평행한 환봉으로서 지지절곡부(도 4의 54)를 화살표 b방향으로 재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샤프트(22)는 푸쉬로드(20)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어 커버(26)의 내부에 푸쉬로드(20)가 삽입되기 전에 먼저 삽입되어 상기 지지절곡부(54)를 미리 재껴놓는다.
상기 지지샤프트(22) 및 푸쉬로드(20)에 의한 코인박스(12)의 개폐동작은 후술하겠지만, 여하튼 상기 코인박스(12)를 자동판매기(10)에 장착할 때 셔터플레이트(14)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동전통과구멍(16)이 개방되고, 인출할 때에는 내부의 인장스프링(도 4의 46)에 의해 닫히는 기본 메카니즘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의 커버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케이스(24)를 밀폐하는 커버(26)는 커버프레임(28)과, 상기 커버프레임(28)의 하부에 설치되는 셔터플레이트(14)와, 상기 셔터플레이트(14)의 하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회동스토퍼(48)와, 상기 각 회동스토퍼(48)를 도 4의 화살표 c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인장스프링(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프레임(28)은 철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사각의 천장면(64)과 측벽을 갖는다. 상기 천장면(64)의 대략 중앙부에는 제 1동전통과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동전통과구멍(16)은 사각 구멍으로서 코인박스(12)가 자동판매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셔터플레이트(14)에 의해 가려져 차단된다.
아울러 상기 커버프레임(28)의 저면에는 네 개의 고정핀(34a,34b)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핀(34a,34b)은 원형단면의 핀으로서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하단부에는 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36)에는 공지의 E-링(56)이 끼워진다.
상기 고정핀(34a,34b)은 각 고정핀(34a,34b)을 꼭지점으로 삼는 사각형이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16)을 포함하도록 배열된다. 즉, 각 고정핀(34a,34b)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이루는 사각형이 상기 제 1관통구멍(16)의 넓이보다 넓도록 위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프레임(28)의 후방 측벽에는 상기한 푸쉬로드관통구멍(30)과 지지샤프트관통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쉬로드관통구멍(30) 및 지지샤프트관통구멍(32)은 원형 구멍으로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28)의 저면에 구비되는 셔터플레이트(14)도 일정두께의 철판을 절곡 및 프레싱하여 형성한다. 상기 셔터플레이트(14)는 평평한 평판으로서 커버프레임(28)의 저면에 면접한 상태로 화살표 d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또한 상기 셔터플레이트(14)의 테두리부에는 가압절곡부(42)와, 걸림절곡부(44)와, 스프링고정절곡부(5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각 절곡부(42,44,58)는 셔터플레이트(14) 테두리의 소정부위를 직각으로 하향 절곡한 부위이다.
상기 셔터플레이트(14)에는 상호 평행한 장공(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40)은 셔터플레이트(14)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구멍으로서 일정폭 및 길이를 가지며 상호 이격되어 있다. 상기 각 장공(40)에는 상기한 고정핀(34a,34b)이 각각 통과한다. 따라서 셔터플레이트(14)는 고정핀(34a,34b)에 의해 슬라이딩 운동이 가이드 되는 것이다.
상기 장공(40)의 사이에는 제 2동전통과구멍(38)이 마련된다. 상기 제 2동전통과구멍(38)은 제 1동전통과구멍(16)보다 같거나 큰 면적을 가진 사각 구멍으로서 셔터플레이트(14)의 슬라이딩 운동에 따라 제 1동전통과구멍(16)과 겹쳐져 코인박스를 개방한다. 제 2동전통과구멍(38)이 제 1동전통과구멍(16)에 겹쳐지지 않을 때에는 셔터플레이트(14)가 제 1동전통과구멍(16)을 막음은 물론이다.
상기 셔터플레이트(14)의 하부에는 두 개의 회동스토퍼(48)가 구비된다. 상기 회동스토퍼(48)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장공(40)의 하부에 대칭으로 설치된다.
상기 회동스토퍼(48)는 일정두께의 띠형 철판으로 중앙부에는 관통구멍(50)이 형성되고 전방측 단부에는 원호형장공(5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의 관통구멍(50)에는 후방측 고정핀(34a)이 끼워지고 원호형장공(52)에는 다른 고정핀(34b)이 통과한다. 따라서 각 회동스토퍼(48)는 고정핀(34a)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그 회전각도는 원호형장공(52)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각 회동스토퍼(48)의 저면에는 지지절곡부(5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절곡부(54)는 회동스토퍼(48)의 내측 테두리 소정부위를 하향 절곡하여 마주하도록 형성한 부위로서 외부로부터 삽입된 지지샤프트(도 5의 22)에 의해 안쪽으로 밀리는 부위이다. 즉, 회동스토퍼(48)가 회동하도록 하는 외력을 제공받는 부위이다.
아울러 상기 지지절곡부(54)의 측부에는 회동절곡부(6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회동절곡부(60)는 인장스프링(46)의 단부가 결합하는 부위이다.
상기 인장스프링(46)은 셔터플레이트(14)의 스프링고정절곡부(58)와 회동절곡구(60)를 연결하여 양자간을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인장스프링(46)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회동스토퍼(48)의 후단부는 상호 벌어지도록 탄성 바이어스된다.
한편, 상기 각 고정핀(34a,34b)에 셔터플레이트(14)와 회동스토퍼(48)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핀(34a,34b)의 홈(36)에는 E링(56)이 결합한다. 상기 E링(56)에 의해 회동스토퍼(48)와 셔터플레이트(14)는 상부로 지지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E링(56)과 회동스토퍼(48) 사이에 지지와셔(미도시)를 끼울 수 도 있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커버를 조립하여 도시한 절제 사시도로서 커버(26)를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시한 바와같이, 커버프레임(28)의 천정면(64)에 셔터플레이트(14)가 위치하고, 셔터플레이트(14)의 도면상 상부에는 한 쌍의 회동스토퍼(4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천장면(64)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핀(34a,34b)은 상기 셔터플레이트(14)의 장공(40)과, 회동스토퍼(48)의 관통구멍(도 3의 50) 및 원호형장공(52)을 각각 통과한 후 E링(56)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장스프링(46)은 회동절곡부(60)와 스프링고정절곡부(58)를 상호 연결하여 회동스토퍼(48)를 고정핀(34a)을 중심으로 화살표 c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상기 회동스토퍼(48)가 화살표 c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있지만 고정핀(34b)이 원호형장공(52) 내에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으므로 회동스토퍼(48)는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고 그 위치에서 탄성지지된다. 이 때 회동스토퍼(48)의 후단부는 걸림절곡부(44)의 전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걸림절곡부(44)의 전방에 회동스토퍼(48)의 후단부가 위치하므로 가압절곡부(42)에 화살표 f방향의 힘을 가하더라도 셔터플레이트(14)는 전혀 밀리지 않아 제 1동전통과구멍(16)에 제 2동전통과구멍(38)을 겹칠 수 없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기 셔터플레이트(14)를 전방으로 밀기 위해서는 각 회동스토퍼(48)를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시켜 걸림절곡부(44)의 이동경로에서 회동스토퍼(48)를 제거하여야 한다. 회동스토퍼(48)를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은 상기한 지지샤프트(도 2의 22)이다.
아울러 상기 인장스프링(46)에 의해 셔터플레이트(14)는 후방측으로 탄성지지된다. 인장스프링(46)의 일단을 고정하는 회동절곡부(60)는 고정핀(34a)의 주위에서 원호형장공(52)이 허용하는 범위의 각운동만 할 뿐 고정핀(34a)에 의해 지지되어 직선운동이 불가능하므로 결과적으로 인장스프링(46)이 스프링고정절곡부(58)을 후방측으로 당기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의 개폐원리를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코인박스(12)를 자동판매기에 장착하기 전의 모습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버프레임(28)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셔터플레이트(14)는 인장스프링(46)에 의해 커버프레임(28)의 내부에서 최대한 후방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16)과 제 2동전통과구멍(38)은 상호 이격되어 제 1동전통과구멍(16)이 막혀있다.
또한 양측의 회동스토퍼(48)도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하여 있다. 이 때 상기 회동스토퍼(48)의 후단부는 걸림절곡부(44)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하여 있다.
이 상태의 코인박스(12)를 코인박스장착구(18)측으로 점차 근접시키면 지지샤프트(22)가 지지샤프트관통구멍(도 3의 32)을 통과하여 커버프레임(28)의 내부로 삽입되고 지지절곡부(52)측으로 점차 근접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샤프트관통구멍(32)을 통과한 지지샤프트(22)가 마침내 지지절곡부(54)에 도달하여 지지절곡부(54)를 가압함으로서 회동스토퍼(48)를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시킴을 알 수 있다.
회동스토퍼(48)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함으로서 걸림절곡부(44)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하던 회동스토퍼(48)의 후단부가 이동경로상에서 제거된다. 이 상태에서도 셔터플레이트(14)는 인장스프링(46)의 인장력에 의해 후방으로 계속적으로 탄성지지되고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회동스토퍼(48)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로 푸쉬로드(20)가 푸쉬로드관통구멍(도 3의 30)을 통해 커버프레임(28) 내부로 삽입되기 시작하여 셔터플레이트(14)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도 7은 양측의 지지샤프트(22) 및 푸쉬로드(20)가 커버프레임(28)측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자동판매기 내부에 코인박스를 완전히 삽입하여 장착을 완료한 상태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샤프트(22)는 지지절곡부(54)를 계속 지지하고 있고, 푸쉬로드(20)가 가압절곡부(42)를 전방으로 밀어 마침내 제 1동전통과구멍(16)과 제 2동전통과구멍(38)이 일치되어 동전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상기 인장스프링(46)의 인장력은 셔터플레이트(14)를 후방으로 당겨 가압절곡부(42)가 푸쉬로드(20)를 화살표 m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하여 결국 코인박스를 자동판매기의 전방으로 밀어낸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같이 코인박스(12) 설치구의 전방에는 승강돌기(6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코인박스(12)는 자동판매기 내에서 안정적으로 장착된다.
코인박스(12)를 자동판매기(도 1의 10)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는 일단 상기 승강돌기(66)를 하부로 누른 상태로 손잡이(도 2의 62)를 잡아당기면 된다. 코인박스(12)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셔터플레이트(14)는 상기의 역순으로 이동하여 제 1동전통과구멍(16)을 자동적으로 다시 차단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장착구는, 코인박스 커버의 동전통과구멍이 코인박스를 자동판매기에 장착할 때는 자동적으로 열리고 자동판매기로부터 인출할 때는 자동적으로 잠기므로 장착이 편리하며 동전통과구멍을 통해 동전을 맘대로 빼낼 수 없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인박스가 설치된 자동판매기를 예를 들어 일부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의 코인박스를 코인박스 장착구와 더불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의 커버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커버를 조립하여 도시한 절제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의 개폐원리를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자동판매기 12:코인박스
14:셔터플레이트 16:제 1동전통과구멍
18:코인박스장착구 19:지지벽
20:푸쉬로드 22:지지샤프트
24:케이스 26:커버
28:커버프레임 30:푸쉬로드관통구멍
32:지지샤프트관통구멍 34a,34b:고정핀
36:홈 38:제 2동전통과구멍
40:장공 42:가압절곡부
44:걸림절곡부 46:인장스프링
48:회동스토퍼 50:관통구멍
52:원홍형장공 54:지지절곡부
56:E-링 58:스프링고정절곡부
60:회동절곡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자동판매기내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투입된 동전을 그 내부에 받아들여 수용하는 것으로,
    바닥판 및 측벽을 가지고 동전을 수용하며 전면벽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하여 케이스를 밀폐하는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는;
    천장면 및 측벽을 가지고 천장면 중앙에는 동전이 통과하는 제 1동전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프레임과, 상기 천장면의 저면에 설치되고 커버프레임이 상기 케이스와 더불어 자동판매기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을 개방하고, 분리됨에 따라 제 1동전통과구멍을 차단하는 개폐수단을 가지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천장면의 저면에 면접하며 케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시트형 부재로서 후방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을 막으며, 중앙에는 외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 1동전통과구멍과 겹쳐져 제 1동전통과구멍을 개방하는 제 2동전통과구멍을 가지는 셔터플레이트와; 상기 천장면의 저면에 평행하며 천장면에 핀 연결되어 회동가능하며 그 후단부가 상기 셔터플레이트의 전방 이동경로를 막도록 하여 제 1동전통과구멍이 열리지 않게 하는 회동스토퍼와; 상기 회동스토퍼의 후단부가 셔터플레이트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하도록 회동스토퍼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셔터플레이트의 제 2동전통과구멍의 측부에는 셔터플레이트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연장된 일정폭의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천장면의 저면에는 상기 장공을 통과하여 셔터플레이트의 슬라이딩운동을 가이드하는 두 개의 고정핀이 구비되며,
    상기 회동스토퍼는 셔터플레이트의 저면에 위치하는 일정두께의 띠형부재로서 셔터플레이트에 대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그 중앙부가 두 개의 고정핀 중 후방에 위치한 고정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전방측 선단부에는 나머지 고정핀을 통과시키되 회동스토퍼의 회동각을 제한하는 원호형장공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회동스토퍼를 스프링의 인장방향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가압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지지절곡부가 마련되고,
    상기 셔터플레이트는 일정두께의 금속판을 절곡 형성한 것으로,
    후방측 선단부에는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셔터플레이트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는 가압절곡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압절곡부의 측부에는 상기 회동스토퍼의 후단부에 걸려 셔터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걸림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은 셔터플레이트와 회동스토퍼에 양단이 결합하며 회동스토퍼의 후단부를 상기 걸림절곡부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인장스프링이며,
    상기 커버프레임의 후방측벽에는;
    외부에서 후방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절곡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푸쉬로드관통구멍과,
    상기 푸쉬로드관통구멍의 측부에 위치하며 외부에서 후방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절곡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샤프트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셔터플레이트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르는 제 1동전관통구멍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어 모두 4개가 구비되고,
    상기 셔터플레이트는 상기 중심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호 평행한 두 개의 장공과, 상호 대칭을 이루는 두 개의 걸림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장공의 하부에는 회동스토퍼 및 인장스프링이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
  8. 바닥판 및 측벽을 가지고 동전을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하여 케이스를 밀폐하는 것으로 천장면 및 측벽을 가지고 천장면 중앙에는 제 1동전통과구멍이 형성되고 후방측벽에는 후방측벽을 관통하는 지지샤프트관통구멍과 푸쉬로드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 천장면의 저면에 구비되며 케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시트형 부재로서 후방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을 막으며, 중앙에는 외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 1동전통과구멍과 겹쳐져 제 1동전통과구멍을 개방하는 제 2동전통과구멍을 가지는 셔터플레이트와; 상기 천장면의 저면에 평행하며 천장면에 핀 연결되어 회동가능하며 그 후단부가 상기 셔터플레이트의 전방 이동경로를 막도록 하여 제 1동전통과구멍이 열리지 않게 하는 회동스토퍼를 포함하는 코인박스를 자동판매기에 안착시킬 때 상기 셔터플레이트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제 1동전관통구멍을 개방하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자동판매기 내의 코인박스의 후면벽에 대향하는 수직의 지지벽에 고정되며 수평연장되고, 상기 코인박스의 진입시 상기 지지샤프트관통구멍을 통과하여 회동스토퍼를 회동시킴으로써 회동스토퍼의 후단부가 셔터플레이트의 전방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지지샤프트와,
    상기 지지샤프트와 평행하며 지지샤프트가 상기 회동스토퍼를 회동시킨 상태에서 푸쉬로드관통구멍을 통해 셔터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푸쉬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박스장착구.
KR10-2002-0026726A 2002-05-15 2002-05-15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장착구 KR100479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726A KR100479800B1 (ko) 2002-05-15 2002-05-15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장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726A KR100479800B1 (ko) 2002-05-15 2002-05-15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장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925A KR20030088925A (ko) 2003-11-21
KR100479800B1 true KR100479800B1 (ko) 2005-03-30

Family

ID=3238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726A KR100479800B1 (ko) 2002-05-15 2002-05-15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장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8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742A (ja) * 1994-01-14 1995-08-11 Miwa Lock Co Ltd 自動販売機、両替機等における施錠金庫
KR19990011593U (ko) * 1997-08-31 1999-03-25 윤종용 자동발매기의 동전박스
JP2000194915A (ja) * 1998-12-28 2000-07-14 Takamisawa Cybernetics Co Ltd 自動販売機の硬貨回収用金庫及びスタンド型自動販売機
KR20030068252A (ko) * 2002-02-14 2003-08-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설치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742A (ja) * 1994-01-14 1995-08-11 Miwa Lock Co Ltd 自動販売機、両替機等における施錠金庫
KR19990011593U (ko) * 1997-08-31 1999-03-25 윤종용 자동발매기의 동전박스
JP2000194915A (ja) * 1998-12-28 2000-07-14 Takamisawa Cybernetics Co Ltd 自動販売機の硬貨回収用金庫及びスタンド型自動販売機
KR20030068252A (ko) * 2002-02-14 2003-08-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설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925A (ko) 200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16792A (ja) 蓋の開閉装置
KR100479800B1 (ko)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장착구
US20080216284A1 (en) Recessed Grip
JPH08504910A (ja) 両側開放型のドア開閉装置
JPH04137594A (ja) 開閉カバー
JP3406580B2 (ja) 画像形成装置のカバー開閉機構
KR20020081646A (ko) 자동판매기의 도어 고정장치
KR100450322B1 (ko)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설치구
KR100634045B1 (ko) 양방향 개폐식 경첩
CN214498788U (zh) 一种阻尼式内嵌门板
JP2540528Y2 (ja) コインドア
JPH02304186A (ja) 扉装置
JP3813390B2 (ja) 遊技機の扉取付構造
JP4130853B2 (ja) パチンコ機における球受皿の球抜き装置
JP3800645B2 (ja) 自動販売機の紙葉類挿入装置及び取出装置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JPH09323745A (ja) 蓋の開閉装置
KR200350783Y1 (ko) 우편함
JP4231604B2 (ja) 開放体開閉構造
JP3459044B2 (ja) 鉄蓋用蝶番
JPH1176550A (ja) パチンコ機の前面扉枠のヒンジ構造
JP4157612B2 (ja) パチンコ遊技機における球受皿の球抜き装置
KR20050066421A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콘트롤부 장착구조
JP2021042591A (ja) ラッチ受具
JP2514060Y2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