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322B1 -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설치구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설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322B1
KR100450322B1 KR10-2002-0007947A KR20020007947A KR100450322B1 KR 100450322 B1 KR100450322 B1 KR 100450322B1 KR 20020007947 A KR20020007947 A KR 20020007947A KR 100450322 B1 KR100450322 B1 KR 100450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hole
case
coin box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252A (ko
Inventor
오광택
최근배
고기원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7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322B1/ko
Publication of KR20030068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6Coin bo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설치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코인박스는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투입된 동전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바닥판 및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바닥판에는 동전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밀폐하며 중앙부에는 동전을 통과시키는 제 1동전통과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저면에 구비되며 외력을 받아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입구부셔터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판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구멍을 하부로 개방시키는 바닥부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코인박스 상부의 동전통과구멍이 코인박스를 자동판매기에 장착할 때는 자동적으로 열리고 인출할 때는 자동적으로 잠기므로 장착이 편리하며 동전통과구멍을 통해 동전을 맘대로 빼낼 수 없고, 또한 케이스의 바닥에 바닥면을 개방하는 슬라이딩셔터를 설치하여 동전의 계수를 위해 케이스를 뒤집을 필요 없이 상기 셔터를 간단히 개방함으로써 동전이 케이스로부터 배출되도록 하여 번거롭지 않으며 신속하고 편리한 계수를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설치구{Coin box and installing device thereof in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내에 설치되는 코인박스 및 상기 코인박스를 자동판매기에 설치하는 동안 코인박스가 자동적으로 동전을 받아들일 수 있는 준비 상태가 되도록 하는 코인박스 설치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사회에 이르러 대량생산 대량소비 등의 마케팅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유통구조가 요구되었고, 이와 맞물려 인건비의 상승이나 공간적 제약 및 구입의 신속 편리성 등에 따라 자동판매기가 급속히 보급되었다. 상기 자동판매기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각종 기호품이나 티켓류 등을 바로 살 수 있어 편리하다.
한편, 공지의 사실과 같이 모든 자동판매기는 그 내부에 코인박스를 갖는다. 상기 코인박스는 외부에서 투입되는 동전을 받아들이는 통으로서 자동판매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여 자동판매기 관리자는 언제라도 코인박스를 꺼내어 내부에 모아져 있는 동전의 계수를 할 수 있다.
종래의 코인박스는 동전이 모아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덮는 커버로 구성되어 있는데 동전의 정산을 위해서는 반드시 커버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는 불편이 있었다. 커버를 분리하여 동전을 꺼내어 계수를 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시간이 오래 걸린다. 특히 케이스 바닥면에 깔려있는 동전은 신속하게 꺼내기가 어려워 케이스를 거꾸로 뒤집기도 하는데 이는 매우 귀찮고 불편한 일이다.
또한 종래의 코인박스는 코인박스를 자동판매기로부터 인출할 때 커버에 마련되어 있는 동전통과구멍이 자동적으로 잠기지 않아 계수하기 전에 동전을 빼낼 수 도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코인박스 상부의 동전통과구멍이 코인박스를 자동판매기에 장착할 때는 자동적으로 열리고 인출할 때는 자동적으로 잠기므로 장착이 편리하며 동전통과구멍을 통해 동전을 맘대로 빼낼 수 없고, 또한 케이스의 바닥에 바닥면을 개방하는 슬라이딩셔터를 설치하여 동전의 계수를 위해 케이스를 뒤집을 필요 없이 상기 셔터를 간단히 개방함으로써 동전이 케이스로부터 배출되도록 하여 번거롭지 않으며 신속하고 편리한 계수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설치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절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의 링크기구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상기 링크기구에서의 승강로드를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에서의 링크기구의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커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상기 커버에 장착된 록킹브라켓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의 커버를 뒤집어서 도시한 평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설치구에 코인박스를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에 설치대가 결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자동판매기 17:코인박스(coin box)
19:케이스 21:커버
23:입구부셔터 25:바닥부셔터
27:자물쇠 29:손잡이
31:셔터손잡이 33:키브라켓통과홈
35:제 1동전통과구멍 37:제 3동전통과구멍
39:내부케이스 41:지지돌기
43:승강로드 45:장공
47:제 1크랭크부재 49:제 2크랭크부재
51:회전샤프트 53:지지브라켓
55:키브라켓 57:바닥판
59:걸림부 61:열쇠
63:관통슬릿 65:승강지지브라켓
67:스프링 69:걸림턱
71:경사면 73:이링(E-ring)
75:록킹브라켓 77:미끄럼돌기
79,130:경사면 81:지지턱
83:커버케이스 85:결합후크
87:결합절곡부 89:가이드파이프
91:샤프트통과구멍 93:지지블록
94:팁고정구멍 95:가압블록
97:인장스프링 99:록킹스프링
102:록킹팁 104:제 2동전통과구멍
106:회동축 108:푸시로드
110:브라켓지지로드 112:지지벽
114:셔터시트 116:가압팁
118:코인박스설치구 120:제 1배출구멍
122:제 2배출구멍 124:밀착면
126:링크기구 128: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코인박스는,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투입된 동전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바닥판 및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바닥판에는 동전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밀폐하며 중앙부에는 동전을 통과시키는 제 1동전통과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저면에 구비되며 외력을 받아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입구부셔터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판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구멍을 하부로 개방시키는 바닥부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구부셔터는; 커버의 저면에 대해 평행한 평판으로서 커버와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되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과 대응하는 제 2동전통과구멍을 갖는 셔터시트와, 상기 제 2동전통과구멍이 제 1동전통과구멍에 겹쳐지지 않도록 셔터시트를 탄성지지하여 셔터시트로 하여금 제 1동전통과구멍을 막을수 있게 하는 탄성지지수단과; 상기 셔터시트에 고정 설치된 것으로 필요시 셔터시트와 커버를 연결하여 커버에 대해 셔터시트가 상대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와 셔터시트의 사이에는 커버에 고정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구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핑수단은, 셔터시트의 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그 끝단부에는 상기 지지구에 걸려 지지될 수 있는 록킹팁이 형성되어 있는 록킹브라켓과, 상기 록킹브라켓의 록킹팁을 지지구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일측부에는 외부로부터 푸쉬로드를 삽입 통과시켜 상기 셔터시트를 밀어 슬라이딩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통과구멍의 측부에 위치하며 브라켓지지로드를 수평으로 통과시켜 상기 록킹브라켓의 록킹팁이 지지구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가이드파이프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의 전방벽에는 바닥부셔터의 인출을 막는 자물쇠가 구비되고, 상기 자물쇠에 키를 넣어 돌릴 때의 열쇠의 회전력을 록킹브라켓에 전달하여 록킹팁을 지지구로부터 분리시키는 링크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자물쇠와 연결되어 키를 넣어 돌림에 의해 좌우로 축회전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에 고정되며 상부로 연장되고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는 제 2크랭크부재와, 상기 제 2크랭크부재의 단부에 핀연결되어 핀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제 1크랭크부재와, 하단부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장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제 1크랭크부재의 단부가 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 2크랭크부재 및 제 1크랭크부재를 통하여 회전샤프트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승강가능 하며, 상승하여 상기 록킹팁을 지지구로부터 분리시키는 승강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부에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되 그 상면은 경사져 경사면을 이루고 저면은 승강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걸림턱을 이루는 가압팁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브라켓에는, 상기 가압팁의 경사면에 접하여 가압팁의 상승에 의해 가압팁의 경사방향으로 밀려 록킹팁이 지지구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미끄럼돌기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미끄럼돌기의 상부에는 완전히 상승한 상태의 가압팁의 걸림턱을 걸어 승강로드를 그 위치에 지지하는 지지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동전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의 제 1동전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3동전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바닥부가 개방된 내부케이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코인박스 설치구는 상기 코인박스를 안착시키되 상기 입구부셔터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코인박스의 후면벽에 대향하는 수직의 지지벽에 고정되며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샤프트통과구멍을 통해 커버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셔터시트를 밀어 제 1동전통과구멍에 대해 제 2동전통과구멍을 대응시켜 맞추는 푸시로드와; 상기 푸시로드와 평행하며 상기 가이드파이프를 통해 커버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승강로드에 의해 지지구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록킹브라켓을 지지하여 계속 분리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브라켓지지로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인박스(17)는 자동판매기(11)의 아래쪽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투입된 후 소정경로를 통과한 동전을 받아들여 그 내부에 수용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인박스(17)의 상부에는 입구부셔터(도 2의 23)에 의해 열리거나 닫히는 제 1동전통과구멍(도 3의 3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입구부셔터(23)는 코인박스(17)를 자동판매기(11)내에 설치할 때 후술하는 코인박스설치구(도 12의 118)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동전을 받아들일 수 있게 하며, 인출할 때에는 인장스프링(도 9의 97)에 의해 닫혀 제 1동전통과구멍(35)을 닫는다.
상기 코인박스설치구(118)는 자동판매기(11)내의 코인박스(17)가 설치되는 위치의 코인박스와 마주하는 수직의 지지벽에 마련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통해 후술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인박스(17)는, 사각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19)와, 상기 케이스(19)의 내부에 장착되며 받아들인 동전을 수용하는 내부케이스(도 3의 39)와, 상기 케이스(19)의 상부에 씌워져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커버(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9)의 전면에는 손잡이(29)와 자물쇠(27)와 바닥부셔터(25)의 셔터손잡이(31)도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9)는 예컨대 자동판매기로부터 코인박스(17)를 인출하거나 또는 들어올리기 위한 것이다. 또한 자물쇠(27)는 별도의 열쇠(도 4의 61)를 넣어 돌려 케이스(19)에 대해 상기 바닥부셔터(25)가 인출되거나 인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상기 내부케이스(도 3의 39)는 그 내부에 동전을 모으는 장소이며 커버(21)의 제 1동전통과구멍(35)의 연직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 3동전통과구멍(37)을 갖는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39)의 바닥은 동전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9) 및 내부케이스(39)의 바닥면에는 동전을 배출하기 위한 제 1,2배출구멍(도 3의 120,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셔터(25)가 배출구멍을 열거나 닫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닥부셔터(25)는 시트 형태의 금속판으로서 케이스(19)의 바닥면과 내부케이스(39)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바닥부셔터(25)가 케이스(19)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배출구멍(120,122)은 개방되고 반대로 케이스(19)내부로 끼워지면 배출구멍(120,122)은 다시 닫힌다.
상기 바닥부셔터(25)는 케이스(19)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며 선단에는 셔터손잡이(31)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를 잡아 바닥부셔터(25)를 케이스(19)에 대해 용이하게 빼거나 넣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닥부셔터(25)의 선단 일측부에는 키브라켓통과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키브라켓통과홈(33)은 자물쇠(27)에 열쇠를 넣어 돌릴 때 회전하는 걸림부(도 4의 59)가 통과하도록 마련한 홈이다.
상기 자물쇠(27)는 별도의 열쇠(도 4의 61)를 넣어 돌리면 케이스(19) 전면에 대해 회전하는 공지의 것으로, 케이스(19) 내부에서 키브라켓(도 3의 55)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키브라켓(55)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ㄷ 자의 형태를 갖도록 절곡된 부재이다. 아울러 상기 키브라켓(55)의 일단부는 더욱 연장되어 걸림부(59)를 이룬다.
상기 걸림부(59)는 열쇠의 회전에 따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한다. 따라서 상기 바닥부셔터(25)가 인출되지 않고 케이스(19)에 장착된 상태로 걸림부(59)가 도 4와 같이 수평으로 위치되면 바닥부셔터(25)가 인출되지 못한다.
한편, 상기 커버(21)에 장치되어 있는 입구부셔터(23)는 커버(21)의 저면에 구비된 시트형 부재이다. 상기 입구부셔터(23)는 코인박스(17)를 자동판매기에 장착할 때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내부케이스(39)에 동전이 모일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절제 분해 사시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버(21)의 중앙부에는 제 1동전통과구멍(3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35)의 저면에는 입구부셔터(23)가 위치한다. 상기 입구부셔터(23)는 외력을 전달받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동전통과구멍(35)을 개방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19)의 내부에는 상기한 내부케이스(39)와, 자물쇠(27)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는 링크기구(1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9)는 강철판을 절곡 및 용접하여 제작한다. 상기 케이스(19)의 상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커버(21)의 저면과의 밀착면(124)을 이루고, 특히 절곡된 부위는 커버(21)의 결합절곡부(도 9의 87)에 끼워져 보다 강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9)의 마주하는 대향면에는 지지돌기(4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돌기(41)는 커버(21)에 고정되어 있는 결합후크(도 9의 85)가 걸리는 부위로서 케이스(19)에 대해 커버(21)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내부케이스(39)의 상면에는 제 3동전통과구멍(37)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제 1배출구멍(12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 3동전통과구멍(37)은 제 1동전통과구멍(35)보다 그 크기가 같거나 커야 한다.
상기 내부케이스(39)를 받치는 케이스 바닥면에는 제 2배출구멍(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제 1,2배출구멍(120,122)의 사이에 끼워지는 바닥부셔터(25)는 평상시에는 제 1,2배출구멍을 차단하고 동전을 배출하여야 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스(19)외부로 인출된다.
한편, 상기 내부케이스(39)의 측부에는, 회전샤프트(51)와 제 1,2크랭크부재(47,49)와 승강로드(43)를 포함하는 링크기구(126)가 구비된다. 상기 링크기구(126)는 입구부셔터(23)가 푸시로드(도 13의 108)에 의해 가압될 때 밀릴수 있도록 후술하는 록킹브라켓(도 10의 75)을 도 10의 화살표 b방향으로 미리 이동시켜 놓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자물쇠(27)에 고정되어 자물쇠(27)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키브라켓(55)의 일단부인 걸림부(59)는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욱 연장되어 있으므로, 키브라켓(55)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도록 케이스(19)의 바닥판(57)에는 관통슬릿(6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기구(126)는, 상기 키브라켓(55)에 고정되며 자물쇠(27)와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가지고 수평 연장된 회전샤프트(51)와, 상기 회전샤프트(51)의 단부에 고정되며 회전샤프트(51)의 축회전시 회동운동하는 제 2크랭크부재(49)와, 상기 제 2크랭크부재(49)의 단부에 그 하단부가 핀 결합하는 제 1크랭크부재(47)와, 상기 제 1크랭크부재(47)의 상단에 핀(128) 연결되며 수직으로 위치하는 승강로드(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샤프트(51)는 원형봉으로서 지지브라켓(53)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승강로드(43)는 수직으로 설치된 부재로서 하단부에는 장공(45)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가압팁(11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장공(45)은 승강로드(43)에 대해 제 1크랭크부재(47)를 핀(128) 연결함은 물론 양자간의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한 것으로 그 작동은 후술된다.
상기 가압팁(116)은 원통의 형태를 취하되 그 상면이 내부케이스(39)측으로 하향 경사져 경사면(71)을 이루고, 저면은 승강로드(43)의 외주면에 대해 외부로돌출되어 걸림턱(69)을 이룬다. 상기 가압팁(116)은 승강로드(43)가 상승할 때 록킹브라켓(도 10의 75)의 미끄럼돌기(77)의 경사면(130)을 밀어 록킹브라켓(75)이 도 10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의 링크기구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키브라켓(55)의 하부에는 관통슬릿(63)이 형성되어 자물쇠(27)가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걸림부(59)가 아무런 방해없이 하부로 회동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상태는 키브라켓(55)의 걸림부(59)가 수평으로 위치하여 바닥부셔터(25)의 키브라켓통과홈(도 2의 33)에 끼워져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자물쇠(27)에 열쇠(61)를 삽입하여 화살표 c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걸림부(59)는 관통슬릿(63)을 통해 하부로 빠져 바닥부셔터(25)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상기 자물쇠(27)가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 2크랭크부재(49)가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하여 승강로드(43)를 화살표 e방향으로 상승시킨다. 승강로드(43)가 상승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록킹브라켓(75)이 도 10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상기 승강로드(43)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승강지지브라켓(65)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지지브라켓(65)은 케이스의 내측벽면에 고정된 ㄷ 자로 절곡된 브라켓으로서 상기 승강로드(43)를 수직으로 통과시키며 지지한다.
상기 승강지지브라켓(65)의 내부에 위치하는 승강로드(43)에는 스프링(67)과 이링(73)이 구비된다. 상기 이링(73)은 승강로드(43)의 외주에 고정된 공지의 부재로서 스프링(67)을 상부로 지지한다. 상기 스프링(67)은 그 하단이 상기 이링(73)에 지지되고 상단은 승강지지브라켓(65)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67)은 이링(73)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로드(43)를 하부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승강로드(43)의 최대 하강위치는 이링(73)이 승강지지브라켓(65)에 걸려있는 위치이다.
도 5는 상기 링크기구에서의 승강로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승강로드(43)의 외주에 스프링(67)이 구비되어 있고 스프링(67)의 하단부에는 이링(73)이 위치되어 있다. 상기 이링(73)은 승강로드(4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승강로드(43)를 상부로 밀어올리면 스프링(67)을 압축시키며 상부로 이동할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에서의 링크기구의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자동판매기로부터 코인박스(17)를 분리한 후 자물쇠(27)를 돌리기 전의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승강로드(43)의 상부에 록킹브라켓(75)이 위치되어 있다. 상기 록킹브라켓(75)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그 저면에는 경사면(79)을 갖는 미끄럼돌기(77)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미끄럼돌기(77)의 상부에는 지지턱(8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록킹브라켓(75)의 미끄럼돌기(77)의 연직 하부에 가압팁(116)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로 승강로드(43)가 상승하면 록킹브라켓(75)이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또한 승강로드(43)에 제 1크랭크부재(47)를 연결하는 핀(128)은 장공(45)의 최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승강로드(43)를 상부로 지지하고 있다.
상기 상태로는 키브라켓(55)의 걸림부(59)가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어 아직 바닥부셔터(도 2의 25)를 인출할 수 없다. 또한 푸시로드(108)로 셔터시트(114)를 가압하더라도 셔터시트는 움직이지 않는다.
상기 상태에서 자물쇠(27)에 열쇠(61)를 끼워 시계방향으로 점차 회전시키면 걸림부(59)가 바닥부셔터(25)의 키브라켓통과홈(33)으로부터 빠져나가기 시작하고 핀(128)은 상기 승강로드(43)를 상부로 상승시키기 시작한다.
결국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59)가 시계방향으로 45도만큼 회전하면 제 1크랭크부재(47)와 제 2크랭크부재(49)가 수직으로 위치되며 승강로드(43)가 상승을 완료한다. 승강로드(43)가 완전히 상승함에 따라 록킹브라켓(75)은 화살표 b방향으로 비켜지고 가압팁(116)의 걸림턱(69)이 지지턱(81)에 걸린다.
이어서 자물쇠(27)를 시계방향으로 45도 더 회전시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걸림부(59)가 하부로 완전히 이동하고 장공(45)내의 핀(128)은 화살표 g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승강로드(43)를 상부로 지지하던 핀(128)이 장공내에서 하부로 이동하더라도 승강로드(43)는 지지턱(81)에 매달린 상태로 하부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는 가압팁(116)의 걸림턱(69)이 지지턱(81)에 걸려 있고 또한 록킹브라켓(75)이 록킹스프링(도 10의 99)에 의해 화살표 h방향으로 탄성지지 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사실 승강로드(43)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도 7의 상태에서 자물쇠(2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승강로드(43)의 위치의 변동없이 회전이 가능하다.
도 8의 상태에서 록킹브라켓(75)을 화살표 b방향으로 약간 이동시켜 걸림턱(69)으로부터 지지턱(81)을 제거하면 승강로드(43)가 자중 및 스프링(67)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커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커버를 뒤집어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커버(21)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커버케이스(83)와, 상기 커버케이스(83)의 내측에 장착되어 직선운동 가능한 입구부셔터(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케이스(83)는 그 테두리가 코인박스 케이스(도 3의 19)의 밀착면(도 3의 124)에 얹혀지는 부위로서 다수의 결합후크(85)와 결합절곡부(8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후크(85)는 케이스(19) 내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돌기(41)에 끼워져 결합을 이루는 것이고, 결합절곡부(87)는 케이스(19) 상단 밀착면(124)이 제공하는 두께부에 끼워지는 부위이다.
상기 커버케이스(83)의 중앙부에는 사각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관통구멍은 입구부셔터(23)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제 1동전통과구멍(35)이다.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35)은 코인박스의 디자인에 따라 달라짐은 물론이다.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35)의 측부에는 지지블록(93)이 고정된다. 상기 지지블록(93)은 커버케이스(83)의 바닥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단에는 팁고정구멍(9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케이스(83)의 후방벽 중앙에는 샤프트통과구멍(9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통과구멍(91)은 관통구멍으로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같이 푸시로드(도 14의 108)가 커버케이스(8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샤프트통과구멍(91)의 측부에는 가이드파이프(89)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파이프(89)는 후술하는 브라켓지지로드(도 12의 110)가 끼워지는 파이프로서 브라켓지지로드(110)의 선단부가 록킹브라켓(75)을 도 13의 화살표 b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입구부셔터(23)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셔터시트(114)와, 상기 셔터시트(114)의 저면에 구비되는 록킹브라켓(7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저면이라 함은 커버(21)를 케이스(19)에 씌운 상태에서의 아래쪽 면을 의미함은 물론이며 이하 후술하는 설명에서도 동일한 의미이다.
상기 셔터시트(114)에는 제 2동전통과구멍(1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동전통과구멍(104)은 제 1동전통과구멍(35)보다 그 크기가 같거나 커야한다.
상기 셔터시트(114)는 커버케이스(83)의 저면에 면접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되 두 개의 인장스프링(97)에 의해 커버케이스(83)의 후방측으로 탄성지지된다.
상기 두 개의 인장스프링(97)은 그 일단부가 커버케이스(83) 후방벽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셔터시트(114)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셔터시트(114)의 후방측 선단은 커버케이스(83)의 후방측 내벽에 탄성적으로 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셔터시트(114)의 후방측 선단 중앙에는 가압블록(95)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압블록(95)은 샤프트통과구멍(91)의 위치에 대응한 부위에 고정되어 샤프트통과구멍(91)을 통해 푸시로드(108)를 밀어 넣으면 상기 가압블록(95)은 밀려 입구부셔터(23)가 이동한다.
상기 셔터시트(114)가 인장스프링(97)에 의해 샤프트통과구멍(91)측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35)와 제 2동전통과구멍(104)은 상호 겹쳐지지 않는다. 그 대신 입구부셔터(23)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두 구멍(35,104)이 점차 겹쳐져 내부케이스(39)에 동전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록킹브라켓(75)은 제 2동전통과구멍(104)의 측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킹브라켓(75)은 회동축(106)에 의해 지지되며 그 선단부에는 록킹팁(1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팁(102)은 지지블록(93)의 팁고정블록(94)에 끼워져 지지되는 부위이다.
도 10에 상기 록킹브라켓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록킹브라켓을 보다 자세히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같이, 록킹브라켓(75)은 지지블록(93)의 측부에 록킹스프링(99)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록킹브라켓(75)의 선단부에는 록킹팁(102)이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는 록킹스프링(99)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상기 록킹스프링(99)은 인장스프링으로서 록킹브라켓(75)을 화살표 b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록킹브라켓(75)의 선단부는 화살표 b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록킹팁(102)이 팁고정구멍(94)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록킹팁(102)이 팁고정구멍(94)에 끼워진 상태일 경우 상기 가압블록(95)을 가압하더라도 입구부셔터(23)는 이동하지 않아 제 1동전통과구멍(35)을 개방할 수 없다. 반대로 상기 록킹팁(102)이 팁고정구멍(94)으로부터 분리되었다면 입구부셔터(23)를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록킹브라켓(75)에 고정되어 있는 미끄럼돌기(77)에도 경사면(1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130)은 가압팁(116)의 경사면(도 8의 71)과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미끄럼돌기(77)의 상부에는 도 8과 같이 걸림턱(도 8의 69)을 걸어 지지할 수 있는 지지턱(81)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의 커버를 뒤집어서 도시한 평단면도 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같이, 셔터시트(114)가 인장스프링(97)에 의해 화살표 P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져 있다. 또한 록킹브라켓(75)은 그 후단부가 록킹스프링(99)에 의해 당겨져 선단의 록킹팁(102)이 팁고정구멍(94)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로 샤프트통과구멍(91)을 통해 푸시로드(108)를 넣어 밀더라도 셔터시트(114)는 이동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설치구에 코인박스를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코인박스(17)는 코인박스설치구(118)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코인박스설치구(118)는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설치장소의 수직 내벽면에 구비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코인박스설치구(118)는 코인박스(17)를 자동판매기의 설치장소에 장착할 때 입구부셔터(23)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코인박스설치구(118)는 수직의 지지벽(112)에 고정되며 수평으로 연장된 푸시로드(108)와, 상기 푸시로드(108)의 측부에 평행하게 위치하며 수평으로 연장된 브라켓지지로드(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지지로드(110)는 그 길이가 푸시로드(108)보다 길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시로드(108)가 가압블록(95)과 접할 때 이미 커버(21)내에 삽입되어 록킹브라켓(75)에 접하고 있다. 상기 푸시로드(108) 및 브라켓지지로드(110)는 외력에 의해 벤딩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함은 물론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커버에 설치대가 끼워지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푸시로드(108)가 가압블록(95)을 가압하기 시작하는 단계로서 브라켓지지로드(110)가 가이드파이프(89)를 통과하여 록킹브라켓(75)을 화살표 b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있다. 사실 상기 록킹브라켓(75)은 평상시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블록(93)측으로 회동한 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상기 브라켓지지로드(110)가 삽입되기 전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쇠(도 4의 61)를 돌려 승강로드(43)가 록킹브라켓(75)을 미리 회동시켜 놓은 상태를 유지시키므로 브라켓지지로드(110)가 직선으로 삽입되어 록킹브라켓(75)을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브라켓지지로드(110)가 삽입함으로써 록킹브라켓(75)을 화살표 b방향으로 지지하는 주체가 승강로드(43)에서 브라켓지지로드(110)로 옮아가는 것이다.
도 14는 푸시로드(108)가 가압블록(95)을 화살표 K방향으로 가압하여 제 1동전통과구멍(35)에 제 2동전통과구멍(104)을 일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설치구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코인박스(17)내에 채워져 있는 동전을 계수하기 위하여 코인박스(17) 전면의 손잡이(29)를 잡고 코인박스(17)를 당기면 자동판매기로부터 코인박스(17)가 인출된다. 이 때 코인박스(17) 상면에 개방되어 있던 동전관통구멍은 상기 입구부셔터(23)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자동판매기 내부에서 브라켓지지로드(110)에 의해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던 록킹브라켓(75)도 처음의 위치로 복원되어 록킹팁(102)이 팁고정구멍(94)에 끼워져 도 11의 상태가 된다.
코인박스(17)를 인출한 후 코인박스를 별도의 계수장치에 올려놓고 열쇠(61)로 자물쇠(27)를 도 4의 화살표 c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상기 자물쇠(27)를 회전시키면 바닥부셔터(25)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셔터손잡이(31)를 잡아 바닥부셔터(25)를 인출하여 내부케이스(39)에 모아져 있던 동전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자물쇠(27)가 90도 회전함에 따라 가압팁(116)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브라켓(75)을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상태를 유지한다.
코인박스로부터 동전이 모두 인출되었다면 상기 바닥부셔터(25)를 코인박스 내부로 다시 밀어 넣고 자물쇠(27)를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바닥부셔터(25)를 잠근다. 이 때 록킹브라켓(75)은 그 위치를 유지하고 도 8과 같이 절곡되어 있던 제 1,2크랭크부재(47,49)는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코인박스(17)를 자동판매기내에 밀어 넣으면 도 14와 같이 입구부셔터(23)가 화살표 K방향으로 이동하며 제 1동전통과구멍(35)을 개방하여 처음의 상태가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코인박스 상부의 동전통과구멍이 코인박스를 자동판매기에 장착할 때는 자동적으로 열리고 인출할 때는 자동적으로 잠기므로 장착이 편리하며 동전통과구멍을 통해 동전을 맘대로 빼낼 수 없고, 또한 케이스의바닥에 바닥면을 개방하는 슬라이딩셔터를 설치하여 동전의 계수를 위해 케이스를 뒤집을 필요 없이 상기 셔터를 간단히 개방함으로써 동전이 케이스로부터 배출되도록 하여 번거롭지 않으며 신속하고 편리한 계수를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투입된 동전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바닥판 및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바닥판에는 동전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밀폐하며 중앙부에는 동전을 통과시키는 제 1동전통과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저면에 구비되며 외력을 받아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입구부셔터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판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구멍을 하부로 개방시키는 바닥부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셔터는;
    커버의 저면에 대해 평행한 평판으로서 커버와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되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과 대응하는 제 2동전통과구멍을 갖는 셔터시트와,
    상기 제 2동전통과구멍이 제 1동전통과구멍에 겹쳐지지 않도록 셔터시트를 탄성지지하여 셔터시트로 하여금 제 1동전통과구멍을 막을 수 있게 하는 탄성지지수단과;
    상기 셔터시트에 고정 설치된 것으로 필요시 셔터시트와 커버를 연결하여 커버에 대해 셔터시트가 상대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셔터시트의 사이에는 커버에 고정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구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핑수단은, 셔터시트의 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그 끝단부에는 상기 지지구에 걸려 지지될 수 있는 록킹팁이 형성되어 있는 록킹브라켓과,
    상기 록킹브라켓의 록킹팁을 지지구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일측부에는 외부로부터 푸쉬로드를 삽입 통과시켜 상기 셔터시트를 밀어 슬라이딩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통과구멍의 측부에 위치하며 브라켓지지로드를 수평으로 통과시켜 상기 록킹브라켓의 록킹팁이 지지구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가이드파이프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방벽에는 바닥부셔터의 인출을 막는 자물쇠가 구비되고,
    상기 자물쇠에 키를 넣어 돌릴 때의 열쇠의 회전력을 록킹브라켓에 전달하여 록킹팁을 지지구로부터 분리시키는 링크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자물쇠와 연결되어 키를 넣어 돌림에 의해 좌우로 축회전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에 고정되며 상부로 연장되고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는 제 2크랭크부재와,
    상기 제 2크랭크부재의 단부에 핀연결되어 핀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제 1크랭크부재와,
    하단부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장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제 1크랭크부재의 단부가 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 2크랭크부재 및 제 1크랭크부재를 통하여 회전샤프트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승강가능 하며, 상승하여 상기 록킹팁을 지지구로부터 분리시키는 승강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부에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되 그 상면은 경사져 경사면을 이루고 저면은 승강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걸림턱을 이루는 가압팁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브라켓에는, 상기 가압팁의 경사면에 접하여 가압팁의 상승에 의해 가압팁의 경사방향으로 밀려 록킹팁이 지지구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미끄럼돌기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미끄럼돌기의 상부에는 완전히 상승한 상태의 가압팁의 걸림턱을 걸어 승강로드를 그 위치에 지지하는 지지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동전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의 제 1동전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3동전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바닥부가 개방된 내부케이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8. 바닥판 및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바닥판에는 동전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밀폐하며 동전을 통과시키는 제 1동전통과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그 저면 일측에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구가 구비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저면에 구비되며 외력을 받아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커버의 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과 대응하는 제 2동전통과구멍을 갖는 셔터시트와, 상기 커버에 대해 셔터시트가 상대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셔터시트의 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그 끝단부에는 상기 지지구에 걸려 지지되는 록킹팁이 형성되어 있는 록킹브라켓을 갖는 입구부셔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인박스를 자동판매기내에 장착시킬 때 상기 입구부셔터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자동판매기 내에 고정되며 진입하는 코인박스를 향하여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코인박스의 진입시 상기 록킹브라켓을 지지구로부터 분리시키는 브라켓지지로드와;
    상기 브라켓지지로드의 측부에 위치하며 코인박스의 진입시 상기 브라켓지지로드에 의해 상기 록킹브라켓이 지지구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셔터시트를 밀어 상기 제 1동전통과구멍과 제 2동전통과구멍이 맞추어지게 하는 푸시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박스 설치구.
KR10-2002-0007947A 2002-02-14 2002-02-14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설치구 KR100450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947A KR100450322B1 (ko) 2002-02-14 2002-02-14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설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947A KR100450322B1 (ko) 2002-02-14 2002-02-14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설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252A KR20030068252A (ko) 2003-08-21
KR100450322B1 true KR100450322B1 (ko) 2004-09-30

Family

ID=3222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947A KR100450322B1 (ko) 2002-02-14 2002-02-14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설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800B1 (ko) * 2002-05-15 2005-03-3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장착구
CN109410422B (zh) * 2018-10-31 2024-02-27 南京理工三才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售票设备的硬币储存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174U (ko) * 1993-02-08 1994-09-24 동전 수집함의 개폐장치
JPH07210742A (ja) * 1994-01-14 1995-08-11 Miwa Lock Co Ltd 自動販売機、両替機等における施錠金庫
JPH09319944A (ja) * 1996-05-29 1997-12-12 Toyo Commun Equip Co Ltd 金庫の再装着防止構造
KR19990011593U (ko) * 1997-08-31 1999-03-25 윤종용 자동발매기의 동전박스
JP2000194915A (ja) * 1998-12-28 2000-07-14 Takamisawa Cybernetics Co Ltd 自動販売機の硬貨回収用金庫及びスタンド型自動販売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174U (ko) * 1993-02-08 1994-09-24 동전 수집함의 개폐장치
JPH07210742A (ja) * 1994-01-14 1995-08-11 Miwa Lock Co Ltd 自動販売機、両替機等における施錠金庫
JPH09319944A (ja) * 1996-05-29 1997-12-12 Toyo Commun Equip Co Ltd 金庫の再装着防止構造
KR19990011593U (ko) * 1997-08-31 1999-03-25 윤종용 자동발매기의 동전박스
JP2000194915A (ja) * 1998-12-28 2000-07-14 Takamisawa Cybernetics Co Ltd 自動販売機の硬貨回収用金庫及びスタンド型自動販売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252A (ko) 200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4257A (en) Modular public telephone for outside use
RU2005115104A (ru) Банковский автомат, который выдает, принимает и хранит банкноты и другие финансовые инструменты в форме листов
KR20030054206A (ko) 무인자동화기기용 밀폐박스의 입구개폐장치
KR100450322B1 (ko)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설치구
KR100442497B1 (ko) 현금자동지급기의 잔류지폐회수장치
GB2456601A (en) Vacuum cleaner
US5829569A (en) Coin reception mechanism
US6148481A (en) Pivotal device for door and window
KR101153874B1 (ko) 개방 프레임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금융자동화기기
EP3509043A1 (en) Self-locking cash deposit equipment and cashbox thereof
KR200145757Y1 (ko)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장치
JPH04137594A (ja) 開閉カバー
KR20060008843A (ko) 자동서비스기의 지폐보관장치
KR100922126B1 (ko) 다이얼식 자물쇠
KR20050040457A (ko) 도어록 입력창 커버 개폐장치
KR200283942Y1 (ko) 금전등록기의 지폐 누름레버 승강장치
KR100479800B1 (ko) 자동판매기용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장착구
CN210978382U (zh) 锁止装置
CN217408501U (zh) 一种咖啡机及其水箱
KR20090079148A (ko) 진공청소기
EP3988702A1 (en) Linkage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ing same
JPS6230152Y2 (ko)
JP3966684B2 (ja) コイン処理装置
JPS5840449Y2 (ja) 紙幣収納装置
KR100188996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출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