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107B1 -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 Google Patents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107B1
KR100478107B1 KR10-2000-0072125A KR20000072125A KR100478107B1 KR 100478107 B1 KR100478107 B1 KR 100478107B1 KR 20000072125 A KR20000072125 A KR 20000072125A KR 100478107 B1 KR100478107 B1 KR 100478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residual
blast furnace
horizontal movable
br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7121A (ko
Inventor
히로타카 고지마
마사오 후지타
미쓰루 키구치
히로유키 야스하라
야스오 오치아이
Original Assignee
산큐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1250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891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12507A external-priority patent/JP35914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1250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91432B2/ja
Application filed by 산큐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큐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7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4Blast furnaces with special refractories
    • C21B7/06Linings for furn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6/00Metallurgical apparatus
    • Y10S266/01Repair or restoration of apparatus

Abstract

고로(용광로)를 개수(改修)할 때의 노저부의 해체작업에 있어서, 노저부에 잔존하는 잔선(殘銑)응고물을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배출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조업정지(blowing-out)후의 고로의 노체를, 그 노저부에 잔존하는 잔선응고물보다 높은 위치에서 수평으로 절단하고, 이 절단위치보다 상방의 상부노체를 노체의 지주에 설치한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현가하며, 상기 절단위치보다 아래쪽에 있는 하부노체의 철피(shell) 및 내장벽돌의 적어도 일부를 전체둘레에 걸쳐서 철거한 후, 잔선응고물을 노외로 반출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에 있어서, 잔선응고물을 노외로 반출하기 전에, 호이스트(hoist) 도구를 사용하여 상부노체와 잔선응고물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상부노체와 잔선응고물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이다.

Description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DISMEMBERMENT METHOD OF THE BOTTOM OF THE SHAFT FURNACE}
본 발명은 고로의 노저부 해체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고로를 개수하기 위해 조업정지를 실시한 후, 노의 저부에 잔존하는 잔선응고물을 노외로 반출할 수 있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로의 조업을 장기간에 걸쳐서 실시하게 되면, 내장벽돌의 침식이 현저히 진행된다. 이 상태로 방치하면, 고로의 상부에서는 내압(耐壓)용기로서 외주에 설치되어 있는 철피에 균열이 생겨서 가스등이 분출하며, 또, 고로의 하부에서는 노저의 카본벽돌이 침식되어 용해물이 철피를 용손시켜 유출된다. 이 경우, 스테이브(stave)의 냉각수나 철피의 냉각수에 의한 수증기폭발을 야기시킬 수도 있다. 이 때문에, 10수년에 한번, 고로의 조업을 정지하고 내부의 개수를 실시하고 있다.
고로의 개수에 있어서는 우선, 고로의 노저부의 철피나 내장벽돌을 백호(back hoe), 삽(셔블)등의 건설중기로 일부를 파괴하여 개구부를 설치하고, 상기 건설중기를 노저의 내부로 도입시킨다. 그리고, 노의 저부에 잔존하고 있는 코크스를 건설중기에 의해 노외로 밀어내어 제거한다. 그 후, 작업자가 노내로 들어가서, 삭암기나 발파방법을 사용하여, 그 밑에 잔존하고 있는 슬래그나 혹은 코크스가 혼합된 선철을 주로 한 잔선응고물을 파쇄하여 노외로 반출시킬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 잔선응고물은 붕괴성 응고물과는 달리,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분해시키기가 어렵고, 폭파에 의한 분할작업이 실시된다. 이 폭파에 앞서서, 먼저, 잔선응고물에 천공드릴 또는 산소 랜스로 다수개의 천공을 뚫고, 여기에 다이나마이트를 충전시키는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은 천공, 발파, 분할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천공작업이 장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발파작업은 다른 해체작업을 방해한다. 또, 발파시에는 그 파쇄물이 비산하여 위험할 뿐만 아니라, 소음이 극심하므로 발파작업을 실시할 때는 고로 주변의 다른 작업을 중단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고로의 개수공사는 공사기간을 가급적 단축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노체 내의 내장벽돌이나 잔선응고물이 실온이 될 때까지 냉각되기 전에, 해체작업이 개시된다. 그 때문에 작업환경은 고온이며, 더욱이 분진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악조건의 환경이 불가피하다. 또, 내장벽돌이나 잔선응고물은 견고하고 무겁기 때문에, 노저부에 설치한 개구부로부터 노외로 반출하는데는 잘게 분할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때문에, 종래의 해체작업에 요하는 시간은 대단히 길고, 그 결과 다대한 작업비용을 필요로 하게 되어 있었다.
또, 노체의 지주에 보수용으로 설치하고 있는 아우트트리거 크레인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고로 노저부의 철피를 중량 5∼50톤의 단척 형상으로 절단하여, 상기 아우트트리거 크레인으로 철거함과 동시에, 고로의 노저부에 설치한 개구부로부터 잔선응고물을 노외로 제거하고 있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일본국 특개평10-96005호 공보 및 특개평7-197112호 공보에, 고로 내부의 개수를 실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개평10-96005호 공보에 기재된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은 고로의 하부를 절단하여, 고로의 노체를 고로의 지주로 현가하여 고정시킨 후에, 고로의 하부의 철피를 해체하고, 고로 내의 잔선응고물을 와이어 톱으로 수평으로 절단하여, 잔선응고물을 일체적으로 인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특개평7-197112호 공보에 기재된 고로 노저부의 잔선응고물의 노외 반출방법은 고로 내에 있어서의 주변부의 잔선응고물과 노저부의 벽돌 사이에 잭을 설치하여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린 후, 원통 등의 마찰계수를 경감시키는 물체를 삽입하여, 잔선응고물을 끌어내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1) 아우트트리거 크레인을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아우트트리거 크레인의 인양능력이 70∼200톤 정도인데 대하여, 고로 내의 잔선응고물은 500톤 정도의 중량을 갖는 대형 잔선응고물이기 때문에, 잔선응고물을 잘게 분할할 필요가 있다.
(2) 특개평10-96005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는 벽돌의 절단작업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며, 또한 잔선응고물을 끌어내는데는 다대한 노동력이 필요하다.
(3) 특개평7-197112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는 원통 등을 사용하여 잔선응고물과 노저의 벽돌과의 마찰계수를 경감시켜도, 반출되는 잔선응고물의 크기에 제약이 있다.
또, 고로의 외주에는 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주가 있기 때문에, 어느 방법을 채용하여도, 잔선응고물을 노외로 반출시킬때는 노체의 지주에 간섭되지 않도록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로를 개수할 때의 노저부의 해체작업에 있어서, 노저부에 잔존하는 잔선응고물을 단시간에, 또한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업정지(blowing-out)후의 고로의 노체를, 그 노저부에 잔존하는 잔선응고물보다 높은 위치에서 수평으로 절단하며, 이 절단위치보다 상방의 상부노체를 노체의 지주에 설치한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현가하며, 상기 절단위치보다 아래쪽에 있는 하부노체의 철피 및 내장벽돌의 적어도 일부를 전체둘레에 걸쳐서 철거한 후, 잔선응고물을 노외로 반출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에 있어서, 잔선응고물을 노외로 반출하기 전에, 호이스트(hoist;게양) 도구를 사용하여 상부노체와 잔선응고물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상부노체와 잔선응고물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이다.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잔선응고물을 노외로 반출하기 전에, 잔선응고물의 주변부를 따라서, 그리고 잔선응고물과 노저벽돌과의 사이의 복수의 개소에 공동을 설치하며, 그 공동에 배치한 인양 잭으로 잔선응고물을 잭업(jack-up)시켜 잔선응고물과 노저벽돌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며, 그 간격에 잔선 호이스트 밴드를 걸친 후, 노체의 지주에 현가된 상부노체를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하강시켜서 상부노체의 하부에 고정된 호이스트 도구에 잔선 호이스트 밴드를 접속시키며, 이어서, 상부노체를 잔선응고물과 함께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현가(懸架)시켜 잔선응고물과 노저벽돌, 또는 고로의 저판과의 사이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며, 노저벽돌의 위 또는 고로 저판의 위에 수평이동대를 이동시킨 후, 상부노체 및 잔선응고물,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하강시켜서 상기 수평이동대에 탑재하며, 이어서, 상부노체의 하부에 고정된 호이스트 도구를 분리시킨 후, 상부노체를 승강장치를 사용하여 상방으로 퇴피시켜, 잔선응고물을 탑재한 수평이동대를 노내부로부터 노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호이스트 도구가 상부노체의 풍구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잔선응고물과 노저 벽돌과의 사이에 형성된 작업공간 하에서 노저벽돌의 표층부를 평탄하게 정비한 후, 또는 노저벽돌을 제거한 후, 노저벽돌의 위 또는 고로의 저판 위에 노내레일을 부설하고, 노내레일 위에서 수평이동대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잔선응고물과 노저벽돌과의 사이에 형성된 작업공간 하에서 노저벽돌의 표층부를 평탄하게 정비한 후, 또는 노저벽돌을 제거한 후, 복수의 관통구멍에 분리가 가능하게 배치된 잔선수용대를 갖는 수평이동대를 노저벽돌의 위 또는 고로의 저판 위에 이동시켜, 상부노체 및 잔선응고물을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하강시켜서 잔선수용대에 탑재하며, 잔선응고물의 자체중량에 의해 잔선수용대의 하부단면을 노저벽돌 또는 고로 저판에 접지시켜 수평이동대와 노저벽돌 또는 고로 저판과의 사이에 공사공간을 형성하며, 그 공사공간 하에서 노저벽돌 위 또는 상기 고로 저판 위에 노내레일의 부설공사를 실시한 후, 상부노체 및 잔선응고물을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현가 시켜 잔선수용대를 수평이동대로부터 분리시키며, 상부노체 및 잔선응고물을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하강시켜 수평이동대에 탑재하며, 이어서 상부노체의 하단부에 고정된 호이스트 도구를 분리시킨 후, 상부노체를 승강장치를 사용하여 상방으로 퇴피시키고, 잔선응고물을 탑재한 수평이동대를 노내부로부터 노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평이동대에 설치한 관통구멍에 수용선반(棚)을 설치하고, 수용선반에 복수의 스프링을 통해서 잔선수용대를 그 상부측면에 설치한 브래킷에 의해 지지하며, 수평이동대를 노저벽돌의 위, 또는 고로 저판 위에 이동시킬 때는 잔선수용대의 하단면을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노저벽돌, 또는 고로 저판으로부터 이간시키며, 잔선수용대에 잔선응고물을 탑재할때는 브래킷을 통해서 스프링을 수축시켜 잔선수용대의 하단면을 노저벽돌, 또는 고로 저판에 접지시켜서, 수평이동대와 노저벽돌 또는 고로 저판과의 사이에 공사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노내레일 위에 배치하는 수평이동대가, 수평이동대의 하부에 배치된 롤러 또는 슬라이드 슈를 통해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슬라이드 슈를 노내레일에 형성된 홈 내에 배치하며, 슬라이드 슈와 노내레일에 형성된 홈과의 사이에 마찰계수 저감재를 개재시켜, 슬라이드 슈의 노내레일에 형성된 홈을 따른 미끄럼운동에 의해 수평이동대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마찰계수 저감재는 테플론 및/또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잔선 호이스트 밴드의 형상은 Y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잔선 호이스트 밴드의 형상은 띠 형상이며, 또한 2개의 띠 형상의 잔선 호이스트 밴드를 X자 형상으로 교차시켜 상기 잔선응고물을 현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잔선응고물을 분할하여 상부노체와 함께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현가시키는 것이 좋다.
또, 수평이동대에 탑재시킨 잔선응고물을 분할하는 것이 좋다.
또, 상부노체의 내부에 보를 배치하고, 현가부재를 사용하여 보와 잔선응고물을 연결하며, 현가부재 및 잔선 호이스트 밴드를 사용하여 잔선응고물을 현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의 고로의 노저부 해체방법을 그 수순을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로(10)는 외부가 철피로 피복되어 있으며, 철피의 내측에는 냉각용 스테이브(통널)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스테이브의 내측에는 내화벽돌 등으로 이루어지는 벽돌층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철피의 접속부분은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고로(10)의 외측에는 보수 등에서 사용하기 위해 노체지주(15)가 조립되어 있으며, 노체지주(15)의 상부에는 승강수단의 일례인 리프트 잭(16)이 복수기 설치되어 있다. 리프트 잭(16)은 새로운 노체를 장치할 때, 상하방향으로 복수(예를 들면, 4개)로 분할된 철피를 노체지주(15)내에서 조립할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 리프트 잭(16)을 노저부(11)의 해체작업에 활용한다.
조업이 정지된 고로(10)의 노저부(11)의 최 하부에는 노저벽돌(통상, 카본벽돌을 사용함)(17)이 있으며, 노저벽돌(17)위에는 선철(銑鐵)에 슬래그나 코크스가 혼합되어 응고한 잔선응고물(19)이 있으며, 그 위에는 코크스, 슬래그 등의 혼합물이 용융 응고한 붕괴성 응고물(18)이 있다. 노저벽돌(17)의 보수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이들 붕괴성 응고물(18) 및 잔선응고물(19)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붕괴성 응고물(18)을 분쇄하여 블도저 등의 건설중기를 사용하여 제거한 후, 잔선응고물(19)을 현가시켜 노저부(11)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업정지한 후의 고로(10)의 노저부(11)를 해체할 때는 우선, 노체지주(15)에 설치하고 있는 리프트 잭(16)에서 승강이 자유롭게 수하(垂下)된 로드(20)의 선단부를 노의 정상(14)에 고정시켜 고로(10)를 지지해 둔다. 다음에, 노저부(11)의 철피를 수평으로 절단하며, 절단위치(A)보다 아래쪽에 있는 하부노체(2)의 철피 및 내장벽돌을 철거한다. 절단하는 높이는 적어도 노저부(11)에 잔존하는 잔선응고물(19)보다 높은 위치로 한다. 고로(10)의 하부노체(2)의 철피를 제거하면, 철피의 절단위치(A)보다 상방에 있는 상부노체(1)는 노체지주(15)에 설치해 둔 리프트 잭(16)에 의해서 현가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의 철피를 철거하는 것에 의하여 개방된 고로(10)의 내부에 있는 벽돌을 건설중기(도시생략)로 파괴하여 제거한다. 노저벽돌(17)위의 노내의 잔류물가운데, 코크스, 슬래그 등 용이하게 붕괴시킬 수 있는 붕괴성 응고물(18)은 건설중기에 의해 노외로 반출한다. 노내의 잔류물 가운데, 파괴하기 곤란한 잔선응고물(19)의 중량은 300∼500톤이다. 수명이 긴 고로(10)에서는 노저벽돌(17)의 침식영역이 출선구(出銑口)보다 아래쪽으로 넓어져서, 그 침식영역에 잔존하는 잔선응고물(19)의 일부는 고로의 조업 중에도 냉각되어 응고하고 있으며, 노저벽돌(17)을 대체하는 상태로 존재한다.
그러기 때문에, 잔선응고물(19)의 직경은 대략 노상(爐床)의 지름에 가까우며, 5000m3 급의 고로에서는 용적 250m3 정도에서 중량이 1300톤에 달하는 대형 덩어리를 반출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 잔선응고물(19)은 건설중기에 의해 파괴하기 곤란하며, 다이나마이트를 사용하여 폭파에 의해 파괴하는 방법밖에는 없는 바, 이 발파작업에는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선응고물(19)은 노저벽돌(17)의 상부에 존재한다. 붕괴성 응고물(18)을 제거한 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저벽돌(17)의 표면으로부터 잔선응고물(19)의 주변부의 복수개소에 공동(21)을 파고, 공동(21)의 개소에서 잔선응고물(19)과 노저벽돌(17)과의 간극에 인양 잭(22)을 설치한다. 이 공동(21)은 예를 들면 셔블카 등으로 용이하게 굴삭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양 잭(22)에 의하여 잔선응고물(19)을 화살표 방향으로 잭업(jack-up)한다. 이와 같은 공동(21)의 굴삭이나, 인양 잭(22)에 의한 잔선응고물(19)의 잭업은 잔선응고물(19)의 온도를 상온이 될 때까지 냉각시키지 않아도 되며, 온도가 300℃정도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로(10)의 조업을 정지시킨 후, 잔선응고물(19)의 제거작업을 조기에 개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가된 상부노체(1)의 하부에 배치된 풍구(23)에 호이스트 도구(24)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한편, 철판으로 제작한 잔선 호이스트 밴드(25)(예를 들면, 폭 1200mm, 두께 25∼50mm정도)를 잔선응고물(19)과 노저벽돌(17)과의 간극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걸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가된 고로(10)의 상부노체(1)를 리프트 잭(16)으로 하강시킨 후, 호이스트 도구(24)에 잔선 호이스트 밴드(25)를 연결한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노체(1)를 리프트 잭(16)으로 상승시켜, 호이스트 도구(24)와 잔선 호이스트 밴드(25)를 사용하여 잔선응고물(19)을 매달아 올려서, 잔선응고물(19)과 노저벽돌(17)과의 사이에 작업공간을 형성한다.
작업원(26)은 이 작업공간 하에서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저벽돌(17)의 표층부를 요철이 없는 평탄한 표면으로 정비한 후,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저벽돌(17)의 표면에 수평이동대(29)의 주행용으로 사용될 노내레일(28)을 부설한다. 혹은 노저벽돌(17)을 제거하고, 고로의 저판에 노내레일(28)을 부설하여도 좋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이동대(29)는 윈치 등을 사용하여 노내레일(28)위로 간단하게 도입할 수 있다. 수평이동대(29)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도 13∼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부에 이동용 롤러(30) 및 가이드롤러(31)를 구비한 대차(truck)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이동대(29)의 하면에는 하향으로 한 쌍의 지지프레임(37)을 설치하고, 이들 지지프레임(37)의 사이에 엔드레스 체인(38)으로 연결한 다수의 이동용 롤러(30)를 구비하며, 지지프레임(37)의 외면측에 가이드롤러(31)를 배치한 롤러 구조체(39)를 설치한다. 롤러 구조체(39)는 시판의 것을 사용하며, 수평이동대(29)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예를들면, 4열)되어 있으며, 홈형으로 된 노내레일(28)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노내레일(28)은 노저벽돌(17)의 표층부를 평탄한 표면으로 정비한 노저벽돌(17)에 부설되며, 혹은 상기 노저벽돌(17)을 모두 제거하여 고로의 저판에 부설되기 때문에, 큰 하중을 수용할 수 있다. 노저벽돌(17)에 부분적으로 오목한 곳이 있으면, 그 오목부를 모르타르로 충전시켜 평탄한 면으로 정비하여 노내레일(28)을 부설하면 문제가 없다.
또, 수평이동대(29)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부에 슬라이드 슈(40)를 배치하고, 그 슬라이드 슈(40)를 홈형의 노내레일(28)을 따라 미끄럼운동 시키는 슬라이딩 대차로 하여도 좋다. 슬라이드 슈(40)의 하면에 테플론(41)을 점착시키고, 또, 노내레일(28)의 홈부의 상면에 스테인레스 강판(42)을 설치하여 마찰계수를 감소시킨다. 혹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저벽돌(17)의 위에 설치한 평면판(43)의 위에 레벨조정라이너(44)를 통해서 I형 레일(45)을 부설하고, 그 위를 차륜을 구비한 대차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I형 레일(45)위에 슬라이딩 대차를 올려놓고 윤활유, 세제, 비누 등을 사용하여 미끄러지도록 하여도 좋다. 다만, 저 코스트로 마찰계수를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작업성이 좋은 수평이동대(29)의 이동구조로 하는 것이 긴요한 것이다.
이어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로(10)의 상부노체(1)를 리프트 잭(16)으로 하강시켜, 호이스트 도구(24)와 잔선 호이스트 밴드(25)를 통해서 지지되어 있는 잔선응고물(19)을 수평이동대(29)에 탑재한다. 그리고, 호이스트 도구(24)를 풍구(23)에서 분리시킨 후,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로(10)의 상부노체(1)를 리프트 잭(16)으로 매달아 올려서 상방으로 퇴피시킨다. 잔선응고물(19)을 매달아 올리는데 사용한 호이스트 도구(24)와 잔선 호이스트 밴드(25)는 잔선응고물(19)과 함께 수평이동대(29)위에 탑재된 상태가 된다. 노내레일(28)에 접속되어 대상(臺上)레일(32)이 이동대차(29b)위에 부설되어 있으며, 잔선응고물(19)을 탑재한 수평이동대(29)는 적하레벨 조정가구(33) 및 레벨링 블록(46)을 구비한 노체 수송대차(34)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레일(32)근방에 배치한 이동용 실린더(35)를 1스트로크 조작할 때마다 고정위치를 전방으로 변경하면서 잔선응고물(19)을 탑재한 수평이동대(29)를 노내레일(29)로부터 대상레일(32)위로 이동시켜, 노내에서 노외로 끌어낸다. 이동용 실린더(35)를 사용하여 수평이동대(29)를 이동시키는 기구의 일례를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낸 바, 그 조작방법에 대해서는 도 28 및 도 29의 설명과 함께 상세히 후술한다.
다음에, 노체 수송대차(34)위에 배치한 이동용 실린더(36)를 조작하여,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대차(29b)를 노체 수송대차(34)위에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대차(29b)에 부설한 대상레일(32)위의 수평이동대차(29)와 함께 잔선응고물(19)을 노체 수송대차(34)의 적하레벨 조정가구(33)에 탑재한다. 계속해서 노체 수송대차(34)를 잔선응고물(19)의 하치장까지 이동시켜, 일련의 고로 노저부의 해체작업을 종료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잔선수용대(47)를 갖는 수평이동대(29)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수평이동대(29)는 노저부(11)의 근방에서 대기하고 있을 때는 그 하부에 노내레일(28)을 볼트 등으로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선응고물(19)을 매달아 올린 상태로 노저벽돌(17)위에, 수평이동대(29)가 노내레일(28)과 함께 이동한다. 이 때, 수평이동대(29)는 노내레일(28)의 하면에 설치한 롤러 등에 의하여 노체 수송대차(34)로부터 용이하게 노저벽돌(17)위에 이동한다.
수평이동대(29)위의 잔선수용부(48)에는 상하방향의 관통구멍(49)이 복수개(예를들면, 4개)설치되며, 각각의 관통구멍(49)에 잔선수용대(47)(높이는 2.8m정도)가 분리가능하게 배치된다. 다시 관통구멍(49)내에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선수용대(47)의 지주의 높이 방향의 중간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수용선반(50)이 배치된다. 수용선반(50)위에 배치한 복수의 스프링(51)을 통해서 잔선수용대(47)가, 그 측면에 설치한 브래킷(52)에 의해서 지지된다. 수평이동대(29)가 노저부(11)의 근방에서 대기하고 있을 때, 즉, 잔선수용대(47)위에 잔선응고물(19)을 탑재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51)의 탄성력에 의해 잔선수용대(47)의 하단면은 노저벽돌(17)로부터 이간되므로, 수평이동대(29)를 노외에서 노저벽돌(17)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평이동대(29)를 노저벽돌(17)위에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한 바와 같이, 잔선응고물(19)과 노저벽돌(17)사이에 작업공간을 형성하고, 그 작업공간 밑에서 작업원(26)이 노저벽돌(17)의 표면을 평탄하게 정비한다. 그리고 수평이동대(29)를 노저벽돌(17)위에 이동시킨 후,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노체(1)를 리프트 잭(16)으로 하강시켜, 호이스트 도구(24)와 잔선 호이스트 밴드(25)를 사용하여 지지하고 있는 잔선응고물(19)을 잔선수용대(47)에 올려 놓는다. 잔선응고물(19)의 자체중량에 의하여 브래킷(52)을 통해서 스프링(51)이 수축되어, 잔선수용대(47)의 하단면이 노저벽돌(17)에 접지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평이동대(29)와 노저벽돌(17)과의 사이에 공사공간이 형성된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된 공사공간 하에서 작업원(26)이 노저벽돌(17)위에 노내레일(28)의 부설공사, 즉 노내레일(28)의 아래 측에 크라우트재를 충전하여, 노내레일(28)의 레벨을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부설공사를 실시한다. 혹은 노저벽돌(17)을 모두 제거하여, 고로의 저판에 노내레일(28)을 부설하는 것도 좋다.
노내레일(28)은 노외레일(53)을 통해서, 노체 수송대차(34)위에 부설된 대상레일(32)에 접속된다.
다음에,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노체(1)를 리프트 잭(16)으로 매달아 올려서, 잔선응고물(19)을 잔선수용대(47)로부터 상방으로 퇴피시킨다. 여기에서, 잔선수용대(47)는 필요없게 되므로, 관통구멍(49)으로부터 잔선수용대(47)를 빼낸다. 노내에서 빼내는 일이 곤란한 경우에는 이동용 실린더(35)를 사용하여 수평이동대(29)를 노체 수송대차(34)에 부설된 대상레일(32)위로 끌어내어 빼낸다.
혹은 도 3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선수용대(47)의 상면에 스페이서(54)를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노내레일(28)의 부설공사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스페이서(54)위에 잔선응고물(19)을 올려 놓는다. 잔선응고물(19)의 자체중량에 의해 잔선수용대(47)의 하단면이 노저벽돌(17)에 접지한다. 이렇게 하여, 수평이동대(29)와 노저벽돌(17)의 사이에 공사공간이 형성된다.
노내레일(28)의 부설공사가 종료된 후는 잔선응고물(19)을 상방으로 퇴피시켜 스페이서(54)를 제거하고, 재차 잔선응고물(19)을 잔선수용대(47)에 올려 놓는다. 이때, 잔선응고물(19)의 자체중량에 의해 잔선수용대(47)가 하강하지만, 잔선수용대(47)의 하단면은 노저벽돌(17)에 접지하지 않고, 이간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잔선수용대(47)를 빼내지 않고, 잔선응고물(19)을 잔선수용대(47)에 탑재한 상태로, 수평이동대(29)를 노체 수송대차(34)에 부설된 대상레일(32)위로 끌어낼 수 있다.
이동용 실린더(35)는 도28 및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홈형의 노내레일(28)내에 그 길이방향을 향해서 수평으로, 또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노내레일(28)의 양 측벽에는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등 간격으로 스토퍼용 절결부(notch)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동용 실린더(35)를 유지하는 실린더측 기구(56)의 상면에 제1 스토퍼실린더(57)가 노내레일(28)의 길이방향으로 직각으로, 또한 수평으로 배치되며, 이동용 실린더(35)의 피스톤로드(58)를 통해서 연결된 로드측 기구(59)위에 제2 스토퍼실린더(60)가 노내레일(28)의 길이방향으로 직각으로, 또한 수평으로 배치된다. 다시 로드측 기구(59)에는 연결핀(62)을 통해서 수평이동대(29)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의 슬라이드 슈(40)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동대(29)의 이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스토퍼실린더(57)를 신장시켜, 제1스토퍼실린더(57)에 연결된 스토퍼(61)를 양측으로 돌출시켜, 노내레일(28)의 양 측벽(65)에 설치한 스토퍼용 절결부(64)에 걸어서 고정시킨다. 이때, 제2 스토퍼실린더(60)에 연결된 스토퍼(66)는 들어가 있는 상태이다. 신장된 상태의 이동용 실린더(35)를 수축시켜, 로드(58)를 수축측으로 이동시키며, 로드측 기구(59) 및 슬라이드 슈(40)를 노내레일(28)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서 잔선수용대(47)를 배치한 수평이동대차(29)가, 이동용 실린더(35)의 1스트로크 거리만큼 노외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음에 제2스토퍼실린더(60)를 신장시켜서, 제2스토퍼실린더(60)에 연결된 스토퍼(66)를 양측으로 돌출시켜 노내레일(28)의 양측벽(65)에 설치한 스토퍼용 절결부(64)에 걸어 고정시키는 한편, 제1스토퍼실린더(57)를 수축시켜, 제1스토퍼실린더(57)에 연결된 스토퍼(61)를 들어가 있는 상태로 하여, 노내레일(28)의 양 측벽(65)에 설치한 스토퍼용 절결부(64)로부터 뺀다. 수축한 상태의 이동용 실린더(35)를 신장시켜 실린더측 기구(56)를 1스트로크의 거리만큼 노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제1스토퍼실린더(57)를 신장시켜, 제1 스토퍼실린더(57)에 연결된 스토퍼(61)를 양측으로 돌출시켜 노내레일(28)의 양 측벽(65)에 설치한 스토퍼용 절결부(64)에 걸어 고정시키는 한편, 제2스토퍼실린더(60)를 수축시켜, 제2스토퍼실린더(60)에 연결된 스토퍼(66)를 양측으로 끌어 들이고, 노내레일(28)의 양 측벽(65)에 설치한 스토퍼용 절결부(64)로부터 빼어, 이동용 실린더(35)를 수축시킨다. 이와 같은 조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잔선수용대(47)를 배치한 수평이동대(29)를 노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에서는 이동용 실린더(35)를 사용하여 수평이동대(29)를 이동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센터홀 잭 등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수평이동대(29)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이동대(29)의 하부에는, 예를 들면 4열의 슬라이드 슈(40)가 배치되며, 이 슬라이드 슈(40)가 노저벽돌(17)위에 부설된 홈형의 노내레일(28)을 따라서 미끄럼 운동한다.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슈(40)의 하면에 테플론(41)을 첨부하며, 또, 노내레일(28)의 내면에 스테인레스 강판(42)을 설치하여 마찰계수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은 Y자 형상으로 일체로 제작된 잔선 호이스트 밴드(2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Y자 형상의 잔선 호이스트 밴드(25)의 방사상으로 3방향으로 뻗은 장방형의 밴드(25a)가운데의 1개를 고로(10)의 중심을 향한 상태로 화살표로 가리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잔선응고물(19)을 잭업시키기 위한 인양 잭(22)을 설치하는 위치는 Y자 형상의 잔선 호이스트 밴드(25)를 이동시킬 때 간섭하지 않는 위치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Y자 형상의 잔선 호이스트 밴드(25)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잔선응고물(19)을 안정적으로 매달아 올릴 수 있다.
Y자 형상의 잔선 호이스트 밴드(25)의 방사상으로 3방향으로 뻗은 장방형 밴드(25a)의 각도는 반드시 120o로 할 필요는 없다. Y자 형상의 잔선 호이스트 밴드(25)를 고로(10)의 중심을 향해서 이동시키는 상태로, 후방에 위치하는 2개의 장방형 밴드(25a)가 형성하는 각도α를 120o미만(예를 들면, 90o정도)으로 하면, 인양 잭(22)을 설치하는 영역이 확대되므로, 잔선응고물(19)을 안정적으로 잭업할 수 있다.
Y자 형상의 잔선 호이스트 밴드(25)외에, 띠 형상의 잔선 호이스트 밴드(25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띠 형상 잔선 호이스트 밴드(25b)를 X자 형상으로 교차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X자 형상으로 교차시킨 2개의 띠 형상 잔선 호이스트 밴드(25b)가 형성하는 각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2개의 띠 형상 잔선 호이스트 밴드(25b)가 형성하는 각도 가운데 큰 쪽의 각도영역에 인양 잭(22)을 설치하면, 잔선응고물(19)을 안정적으로 잭업할 수 있다.
다만, 잔선응고물(19)의 중량이 과대하여, 잔선 호이스트 밴드(25)나 승강수단의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잔선응고물(19)을 분할시킨 후, 상기한 방법으로 매달아 올려도 좋다. 또, 잔선응고물(19)의 치수가 과대하여, 운반에 지장이 있을 경우에는 잔선응고물(19)을 수평이동대(29)에 탑재시킨 후, 수평이동대(29)위에서 분할해도 좋다.
또, 잔선응고물(19)을 안정적으로 매달아 올리기 위해서는 상부노체의 내부에 보를 배치하고, 현가부재를 사용하여 보와 잔선응고물을 연결하며, 현가부재 및 잔선 호이스트 밴드를 사용하며, 혹은 잔선응고물(19)에 3개소 이상의 구멍을 뚫어서 현가 로드를 관통시켜 잔선응고물을 매달아 올려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로(10)를 지지하는 노체지주(15)에 설치되어 있는 리프트 잭(16)에 의하여 잔선응고물(19)을 승강시키기 때문에, 새로 잔선응고물(19)의 승강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상부노체(1)의 하단부에 고정시킨 철피측 호이스트 도구(24)에 잔선 호이스트 밴드(25)를 접속시켜 잔선응고물(19)을 매달아 올리기 때문에, 큰 덩어리의 잔선응고물(19)을 분할시키지 않고도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이, 고온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노저부(11)의 해체작업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고로의 정면도.
도 2는 노저부의 철피를 철거했을 때의 노저부의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노저부의 철피를 철거했을 때의 붕괴성 응고물 및 잔선응고물의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잔선응고물의 주변부의 공동(空洞)에 인양 잭을 배치한 상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잔선응고물을 인양 잭으로 잭업(jack-up)한 상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은 인양 잭으로 들어 올린 잔선응고물과 노저부의 벽돌사이에 잔선 호이스트 밴드(hoist-band)를 걸친 상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B)은 풍구(tuyere)에 조구를 설치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단면도.
도 7은 현가된 상부노체를 하강시켜서, 풍구에 고정한 조구에 잔선 호이스트 밴드를 연결한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상부노체를 리프트 잭으로 상승시키며, 조구와 잔선 호이스트 밴드를 사용하여 잔선응고물을 매달아 올리고, 노저부의 벽돌 위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노저벽돌의 표층부를 건설중기로 평탄하게 정비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노저벽돌의 표층부를 평탄하게 정비한 후의 상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노저벽돌의 표면에 노내레일을 부설한 상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수평이동대를 노내레일 위에 이동시킨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수평이동대의 하부에 설치한 롤러 구조체를 홈형의 노내레일에 대응시켜 배치한 상황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수평이동대의 하부에 설치한 이동용 롤러 및 가이드롤러로 이루어지는 롤러 구조체를 홈형의 노내레일에 대응시켜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엔드레스 체인으로 연결한 다수의 이동용 롤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수평이동대의 하면에 배치한 슬라이드 슈를 홈형의 레일에 대응시켜 배치한 상황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노저벽돌의 위에 부설한 I형 레일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8은 상부노체를 리프트 잭으로 하강시켜, 잔선 호이스트 밴드를 채워서 지지된 잔선응고물을 수평이동대에 탑재시키는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9는 상부노체를 리프트 잭으로 상승시켜 퇴피시키고, 잔선응고물이 탑재된 수평이동대를 노체 수송대차에 이동시키는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0은 대상(臺上)레일의 근방에 배치한 이동용 실린더를 조작하여 잔선응고물을 탑재시킨 수평이동대를 대상레일의 위까지 이동시키는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1은 잔선응고물을 탑재한 수평이동대를 노체 수송대차의 적하레벨 조정가구 위에 탑재시키는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2는 잔선수용대를 갖는 수평이동대를 적재한 노체 수송대차가 고로의 노저부 근방에서 대기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3은 잔선응고물을 매달아 올려서 수평이동대를 노체 수송대차로부터 노내로 이동시킨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4는 수평이동대에 설치한 잔선수용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5는 상부노체를 리프트 잭으로 하강시키고, 잔선 호이스트 밴드를 채워서 지지된 잔선응고물을 잔선수용대에 탑재시킨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6은 잔선응고물을 잔선수용대에 탑재하여 노저벽돌 위에 노내레일을 부설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7은 상부노체를 리프트 잭으로 상승시키며, 조구와 잔선 호이스트 밴드를 사용하여 잔선응고물을 잔선수용대로부터 매달아 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8은 홈형의 노내레일을 따라서 이동용 실린더에 의해서 슬라이드 슈를 대기시키는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9는 홈형의 노내레일을 따라서 이동용 실린더에 의해서 슬라이드 슈를 이동시키는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0은 수평이동대의 하부에 설치한 슬라이드 슈를 홈형의 노내레일에 대응시켜 배치한 상황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1은 도 30의 A부의 확대측면도.
도 32는 Y자 형태의 잔선 호이스트 밴드를 사용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3은 2개의 띠 형상의 잔선 호이스트 밴드를 X자 형태로 교차시킨 상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4는 수평이동대에 설치된 잔선수용대의 다른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a)는 잔선응고물을 탑재하고 있지 않는 상황을 나타내는 단면도, (b)는 스페이서를 제거하여 잔선응고물을 탑재시킨 상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노체 2 ; 하부노체
10 ; 고로(용광로) 11 ; 노저부(爐底部)
14 ; 노 정상부(爐頂部) 15 ; 노체지주(爐體支柱)
16 ; 리프트 잭 17 ; 노저벽돌
18 ; 붕괴성 응고물 19 ; 잔선응고물
20 ; 로드(rod) 21 ; 공동(空洞)
22 ; 인양 잭 23 ; 풍구
24 ; 호이스트 도구 25 ; 잔선 호이스트 밴드
25a ; 장방형 밴드 25b ; 띠형상 잔선 호이스트 밴드
26 ; 건설중기 28 ; 노내부의 레일
29 ; 수평이동대 29b ; 이동대차
30 ; 이동용 롤러 31 ; 가이드 롤러
32 ; 대상(臺上)레일 33 ; 적하레벨 조정가구
34 ; 노체 수송대차 35, 36 ; 이동용 실린더
37 ; 지지프레임 38 ; 엔드레스 체인
39 ; 롤러 구조체 40 ; 슬라이드 슈
41 ; 테플론(Teflon) 42 ; 스테인레스 강판
43 ; 평면판 44 ; 레벨조정 라이너
45 ; I형 레일 46 ; 레벨링 블록
47 ; 잔선수용대 48 ; 잔선수용부
49 ; 관통구멍 50 ; 수용선반
51 ; 스프링 52 ; 브래킷
53 ; 노외레일 54 ; 스페이서
57 ; 제1스토퍼 실린더 58 ; 피스톤 로드
59 ; 로드측 금속기구 60 ; 제2 스토퍼 실린더
61, 66 ; 스토퍼 62 ; 연결핀
64 ; 스토퍼용 절결부 65 ; 측벽

Claims (18)

  1. 조업정지 후의 고로의 노체를, 그 노저부에 잔존하는 잔선응고물보다 높은 위치에서 수평으로 절단하며, 이 절단위치보다 상방의 상부노체를 노체의 지주에 설치한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현가하며, 상기 절단위치보다 아래쪽에 있는 하부노체의 철피 및 내장벽돌의 적어도 일부를 전체둘레에 걸쳐서 철거한 후, 상기 잔선응고물을 노외로 반출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잔선응고물을 노외로 반출하기 전에, 호이스트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상부노체와 상기 잔선응고물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상부노체와 상기 잔선응고물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선응고물을 노외로 반출하기 전에, 상기 잔선응고물의 주변부를 따라, 또한 상기 잔선응고물과 노저벽돌과의 사이의 복수의 개소에 공동을 설치하며, 상기 공동에 배치한 인양 잭으로 상기 잔선응고물을 잭업시켜 상기 잔선응고물과 상기 노저벽돌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며, 상기 간극에 잔선 호이스트 밴드를 걸친 후, 상기 노체의 지주에 현가된 상기 상부노체를 상기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하강시켜서 상기 상부노체의 하부에 고정된 상기 호이스트 도구에 상기 잔선 호이스트 밴드를 접속시키며, 이어서, 상기 상부노체를 상기 잔선응고물과 함께 상기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현가시켜 상기 잔선응고물과 상기 노저벽돌, 또는 고로의 저판과의 사이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노저벽돌의 위 또는 상기 고로 저판의 위에 수평이동대를 이동시킨 후, 상기 상부노체 및 상기 잔선응고물을 상기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하강시켜서 상기 수평이동대에 탑재하며, 이어서, 상기 상부노체의 하부에 고정된 상기 호이스트 도구를 분리시킨 후, 상기 상부노체를 상기 승강장치를 사용하여 상방으로 퇴피시키고, 상기 잔선응고물을 탑재한 상기 수평이동대를 노내부로부터 노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 도구가 상기 상부노체의 풍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잔선응고물과 상기 노저벽돌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작업공간 하에서 상기 노저벽돌의 표층부를 평탄하게 정비한 후, 또는 상기 노저벽돌을 제거한 후, 상기 노저벽돌의 위 또는 상기 고로의 저판 위에 노내레일을 부설하고, 상기 노내레일 위에서 상기 수평이동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잔선응고물과 상기 노저벽돌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작업공간 하에서 상기 노저벽돌의 표층부를 평탄하게 정비한 후, 또는 상기 노저벽돌을 제거한 후, 복수의 관통구멍에 분리가 가능하게 배치된 잔선수용대를 갖는 상기 수평이동대를 상기 노저벽돌의 위 또는 상기 고로의 저판 위에 이동시켜, 상기 상부노체 및 상기 잔선응고물을 상기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하강시켜서 상기 잔선수용대에 탑재하며, 상기 잔선응고물의 자체중량에 의해 상기 잔선수용대의 하부단면을 상기 노저벽돌 또는 고로 저판에 접지시켜 상기 수평이동대와 상기 노저벽돌 또는 상기 고로 저판과의 사이에 공사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사공간 하에서 상기 노저벽돌 위 또는 상기 고로 저판 위에 노내레일의 부설공사를 실시한 후, 상기 상부노체 및 상기 잔선응고물을 상기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현가시켜 상기 잔선수용대를 상기 수평이동대로부터 분리시키며, 상기 상부노체 및 상기 잔선응고물을 상기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하강시켜 상기 수평이동대에 탑재하며, 이어서 상기 상부노체의 하단부에 고정된 호이스트 도구를 분리시킨 후, 상기 상부노체를 상기 승강장치를 사용하여 상방으로 퇴피시키고, 상기 잔선응고물을 탑재한 상기 수평이동대를 노내부로부터 노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대에 설치한 상기 관통구멍에 수용선반을 설치하고, 상기 수용선반에 복수의 스프링을 통해서 상기 잔선수용대를 그 상부측면에 설치한 브래킷에 의해 지지하며, 상기 수평이동대를 상기 노저벽돌의 위 또는 상기 고로 저판 위에 이동시킬 때는 상기 잔선수용대의 하단면을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노저벽돌 또는 상기 고로 저판으로부터 이간시키며, 상기 잔선수용대에 상기 잔선응고물을 탑재할 때는 상기 브래킷을 통해서 상기 스프링을 수축시켜 상기 잔선수용대의 하단면을 상기 노저벽돌, 또는 상기 고로 저판에 접지시켜서, 상기 수평이동대와 상기 노저벽돌, 또는 상기 고로 저판과의 사이에 상기 공사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7. 제2, 3 또는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내레일 위에 배치하는 상기 수평이동대가, 상기 수평이동대의 하부에 배치된 롤러 또는 슬라이드 슈를 통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슈를 상기 노내레일에 형성된 홈 내에 배치하며, 상기 슬라이드 슈와 상기 노내레일에 형성된 홈과의 사이에 마찰계수 저감재를 개재시켜, 상기 슬라이드 슈의 상기 노내레일에 형성된 홈을 따른 미끄럼운동에 의해 상기 수평이동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계수 저감재가, 테플론 및/또는 스테인레스 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10. 제2, 3, 6, 8 또는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잔선 호이스트 밴드의 형상이, Y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11. 제2, 3, 6, 8 또는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잔선 호이스트 밴드의 형상이 띠 형상이며, 또한 상기 띠 형상의 잔선 호이스트 밴드 2개를 X자 형상으로 교차시켜 상기 잔선응고물을 현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12. 제2, 3, 6, 8 또는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잔선응고물을 분할시켜 상기 상부노체와 함께 상기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현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13. 제2, 3, 6, 8 또는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대에 탑재한 상기 잔선응고물을 분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14. 제2, 3, 6, 8 또는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노체의 내부에 보를 배치하며, 현가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보와 상기 잔선응고물을 연결하며, 상기 현가부재 및 상기 잔선 호이스트 밴드를 사용하여 상기 잔선응고물을 현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내레일 위에 배치하는 상기 수평이동대가, 상기 수평이동대의 하부에 배치된 롤러 또는 슬라이드 슈를 통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내레일 위에 배치하는 상기 수평이동대가, 상기 수평이동대의 하부에 배치된 롤러 또는 슬라이드 슈를 통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대에 탑재한 상기 잔선응고물을 분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대에 탑재한 상기 잔선응고물을 분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KR10-2000-0072125A 2000-07-13 2000-11-30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KR100478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12508 2000-07-13
JP2000-212507 2000-07-13
JP2000212506A JP3589161B2 (ja) 2000-07-13 2000-07-13 高炉炉底部の解体方法
JP2000212507A JP3591431B2 (ja) 2000-07-13 2000-07-13 高炉炉底部の解体方法
JP2000-212506 2000-07-13
JP2000212508A JP3591432B2 (ja) 2000-07-13 2000-07-13 高炉炉底部の解体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121A KR20020007121A (ko) 2002-01-26
KR100478107B1 true KR100478107B1 (ko) 2005-03-24

Family

ID=27344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125A KR100478107B1 (ko) 2000-07-13 2000-11-30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79011B2 (ko)
KR (1) KR100478107B1 (ko)
CN (1) CN1250745C (ko)
BR (1) BR0005946A (ko)
DE (1) DE100637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9120B (zh) * 2011-10-28 2013-06-12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高炉炉底更换方法
CN102409119B (zh) * 2011-10-28 2013-06-12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高炉炉体纠偏复位方法
CN103103303B (zh) * 2011-11-15 2016-02-03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大型高炉残铁解体方法
CN103322826A (zh) * 2013-04-01 2013-09-25 富阳申能固废环保再生有限公司 可移动式炉缸
CN108885060A (zh) * 2015-12-30 2018-11-23 丹尼利克里斯有限公司 竖炉构造方法及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2407B2 (ja) 1994-01-07 1997-04-23 川崎製鉄株式会社 高炉炉底内容物の炉外搬出方法
JP3110684B2 (ja) 1996-09-20 2000-11-20 川崎製鉄株式会社 高炉炉底部の解体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33379A (zh) 2002-01-30
BR0005946A (pt) 2002-04-02
CN1250745C (zh) 2006-04-12
KR20020007121A (ko) 2002-01-26
US6479011B2 (en) 2002-11-12
US20020014724A1 (en) 2002-02-07
DE10063701A1 (de) 200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106B1 (ko) 고로의 단기 개수·건설방법 및 설비
JP4300249B2 (ja) 高炉炉底部の解体方法
KR100478107B1 (ko) 고로 노저부의 해체방법
US5538226A (en) Pushing machine moveable on rail for operating into the slag hole of steel smelting electric furnaces
KR100909508B1 (ko) 고로 노체의 철거 방법
JP2006283183A (ja) 高炉炉体の撤去方法
KR101212247B1 (ko) 고로의 노 바닥부 해체 방법 및 반송 장치
JPS62202992A (ja) 炉体のライニングを補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110684B2 (ja) 高炉炉底部の解体方法
JP3684201B2 (ja) 高炉炉底部の解体方法
JP3589161B2 (ja) 高炉炉底部の解体方法
JP3591432B2 (ja) 高炉炉底部の解体方法
JP4802457B2 (ja) 高炉炉底部の解体方法
JP4126469B2 (ja) 高炉炉体の解体組立装置
JP3591431B2 (ja) 高炉炉底部の解体方法
JP4592860B2 (ja) 高炉構成部材の据え付け方法
CN107243625B (zh) 铝锭连续铸造生产线打渣机器人的打渣装置
JP2003105413A (ja) 高炉の残銑の除去方法
CN116162753A (zh) 一种高炉风口区冷却壁安装方法
US20230399711A1 (en) Tilting Ladle Carrier
CN220448857U (zh) 用于盾构机螺旋输送机的辅助拆除装置
SU86364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монта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х агрегатов
JP2637340B2 (ja) タンディッシュのライニング解体装置
JP2021194661A (ja) 連続鋳造設備のレードル交換装置
KR20090072488A (ko) 고로의 개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