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959B1 -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 - Google Patents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959B1
KR100475959B1 KR10-2002-0020999A KR20020020999A KR100475959B1 KR 100475959 B1 KR100475959 B1 KR 100475959B1 KR 20020020999 A KR20020020999 A KR 20020020999A KR 100475959 B1 KR100475959 B1 KR 100475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hicle
vehicle body
hinge member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2333A (ko
Inventor
이성주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0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959B1/ko
Publication of KR20030082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서 콘테이너 후면의 차체에 설치되는 후방계단으로서, 상기 차체의 상단에 고정되어 양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 각각에 일체로 연결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축소가 가능하고, 상기 힌지부재의 회동에 따라 차체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프레임; 및 상기 양 프레임 사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이 힌지부재의 일측 회동에 의해 차량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프레임의 끝단에 위치한 발판의 단부에 사람이 착석하는 반면, 상기 프레임이 힌지부재의 타측 회동에 의해 차량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프레임의 끝단에 위치한 발판의 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Rear stair having function of seat for car}
본 발명은 소형트럭이나 구급차량 등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화물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트럭이나 구급차의 콘테이너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어서 화물을 적재하거나 사람이 오르고 내릴 때 상당히 불편하였다. 최근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차량의 후단에는 별도로 후방계단을 설치하게 되었다.
차량에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계단은 사람의 승하차 또는 화물의 적재나 하역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차량 후방계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급차 또는 소형트럭의 콘테이너(미도시) 후면에 설치된 도어(미도시)의 하단부에 일반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후방계단(9)은 사람이나 화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접철식 발판(2)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후방계단(9)을 사용 할 시에는 발판(2)을 펼쳤다가 후방계단(9)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다시 발판(2)을 접는 방식으로 되어있었다.
도 1에서, 전체적인 후방계단(9)의 구성은, 차량의 콘테이너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3), 지지프레임(3)의 내측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4), 고정프레임(4)에 경첩(5)으로 힌지 결합된 발판(2), 지지프레임(3)과 발판(2)을 연결하면서 일방향으로 접철 가능한 연결링크(6)로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후방계단은 차량이 정차 및 주차시 단순히 화물이나 사람이 지지할 수 있도록하는 계단으로써의 역할 만을 하기 때문에 차량이 운행중 일 때에는 별도로 사용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지면이 고르지 않아서 차체와 지면과의 이격된 거리가 클 경우에는 별도로 계단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별 다른 장치가 없어서 무거운 물건을 차체 위로 올리거나 노약자가 탑승 시에는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차량이 운행시에는 좌석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차량이 정차 및 정지시에는 차량 콘테이너로 물건을 올리고 내리거나, 또는 사람이 승, 하차할 수 있는 후방계단으로 활용하도록하며, 지면이 움푹 패이거나 고르지 않을 시에는 차체와 지면과의 이격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후방계단을 신장시키도록하는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차량에서 콘테이너 후면의 차체에 설치되는 후방계단으로서, 상기 차체의 상단에 다수의 결속부재와 고정판에 의해 고정되어 양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 각각에 일체로 연결되며 서로 다른 폭의 프레임들이 서로 끼워져 결합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축소가 가능하고, 상기 힌지부재의 회동에 따라 차체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프레임; 및 상기 양 프레임 사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이 힌지부재의 일측 회동에 의해 차량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프레임의 끝단에 위치한 발판의 단부에 사람이 착석하는 반면, 상기 프레임이 힌지부재의 타측 회동에 의해 차량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프레임의 끝단에 위치한 발판의 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에서 좌석으로 사용 될 경우 동작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에서 계단으로 사용 될 경우 동작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에 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서 좌석기능을 가지면서 후방계단으로 사용되도록 소형트럭이나 구급차의 컨테이너 후면에 장착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차량의 차체(10) 상단에 고정 설치된 힌지부재(120), 힌지부재(120)를 차체(10)에 고정시키는 고정판(100), 힌지부재(120)에 일체로 연결된 프레임(130), 프레임(130) 사이에 설치된 다수개의 발판(70,80,90)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도 2 내지 도 4에서, 다수개의 결속부재에 의해 차체(1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고정판(100)이 힌지부재(120)를 각각 차체(10) 상단 중앙부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힌지부재(120)에는 프레임(130)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힌지부재(120)가 설치된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프레임(130)은 제 1프레임(50)과 제 2프레임(60)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 1프레임(50)은 일측 단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2프레임(60)은 제 1프레임(50)의 중공에 결속되어 제 1프레임(50)의 내부에서 인,입출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프레임(50)과 제 2프레임(60)은 각각 사각형태의 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 2프레임(60)은 제 1프레임(50)에 비해 그 폭이 약간 적게 형성되어 내부에 별 마찰없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프레임(50)과 제 2프레임(60)은 사각형태 뿐만아니라, 그 단면을원형, 그 외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차체(10)의 높이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필요하다면 제 1프레임(50), 제 2프레임(60)에서 갯수를 더 추가시켜 제 3 프레임 및 제 4프레임의 설치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 1프레임(50)에서 제 2프레임(60)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인출되었을 시에는 제 1프레임(50)과 제 2프레임(60)을 서로 나사 및 볼트 또는 그 외 결속부재를 사용하여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단단하게 결합한다.
도 3 및 도 4에서, 힌지부재(120)에 고정된 양 프레임(130) 사이에는 다수개의 발판(70,80,90)이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발판(70,80,90)은 양 프레임(130)을 가로지르는 방향, 즉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발판(70,80,90)이 프레임(130)에 설치되는 각각의 설치각도는 프레임(130)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는 각도가 아니라, 프레임(130)이 차체 하단에 위치했을 때, 지면 또는 차체와 평행하는 각도로 발판(70,80,90)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 발판(70,80,90)의 갯수는 차량의 차체(10)로부터 지면까지 높이에 따라 다르겠지만, 소형트럭이나 구급차일 경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의 갯수를 3개(70,80,90) 정도로 구성한다.
도 3에서, 만일 본 발명이 후방계단으로 사용될 시에, 발판(70,80,90)은 차체(10)와 가장 근접해 있는 제 1발판(70)과, 프레임(130)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 2발판(80)과, 지면에 최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 3발판(90)의 구조로 이루어 진다. 필요에 따라, 대형트럭 등에 설치할 시에는 차체와 지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발판의 갯수를 더 증가시켜 설치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비가 오거나 눈이 내리는 등의 기상조건에 의해 사람이 발판(70,80,90)을 지지하여 차량에 오르거나 내릴 경우, 상기 발판(70,80,90)에서 사람이 미끄러지는 등의 임의적인 사고에 의하여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하기 위해서, 각각의 발판(70,80,90)은 지면에 대향하는 면에 격자형상의 홈(미도시)을 형성하거나 요철(미도시) 등을 형성하여 사람의 신발과 마찰력을 증대시켜 미끄럼 등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프레임(130)의 끝단에 설치된 발판(70), 즉 차체(1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일 멀리 이격된 발판(70)의 그 단부에는 지지부(40)가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부(40)는 프레임(130)의 회동에 따라서 그 용도가 사람이 앉거나 지면에 지지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힌지부재(120)를 중심으로 프레임(130)이 회동하여 본 발명 전체가 콘테이너(20) 상에 인입되었을 시에,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좌석으로 제공되고 반면, 본 발명이 콘테이너(20)에서 배출되어 지면으로 향해 있을 시에는, 화물이나 사람들이 오르고 내릴 수 있는 후방계단으로 사용된다.
도 3에서, 우선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좌석으로 사용될 때에는, 차체(10)에 고정된 힌지부재(120)가 차체(10)의 상단측으로 회동되어 프레임(130)과 발판(70,80,90), 지지부(40) 일체를 차체(10)의 상단에 위치시킨다.
이 때, 프레임(130)은 도 3에서, 제 2프레임(60)을 제 1프레임(50)에 인입시켜 프레임(130)의 전체 길이가 최대한 축소되게 하며, 이 후, 제 1프레임(50)과 제 2프레임(60)을 결속부재(미도시)로 단단히 체결시킨다.
여기서, 좌석에 착석하는 사람의 신장을 고려하여 제 2프레임(60)을 제 1프레임(50)에서 적절하게 인,입출시켜서 결속부재(미도시)로 서로 단단하게 체결시키도록하며, 이에 따라, 사람이 차량 탑승하여 지지부(40)에 착석했을 시에는, 최대한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사람이 오르고 내릴 수 있는 후방계단으로 사용될 때에는, 우선, 도 3에 도시된 콘테이너의 도어(110)를 개방시키고, 도 4에서, 차체(10)에 고정된 힌지부재(120)가 차체(10)의 하단측으로 회동되어 프레임(130)과 발판(70,80,90), 지지부(40) 일체를 차체(10)의 하단에 위치시킨다.
이 때, 프레임(130)은 도 4에서, 제 2프레임(60)을 제 1프레임(50)으로부터 인출시켜 프레임(130)의 전체 길이가 최대한 신장되게 하며, 이 후에, 제 1프레임(50)과 제 2프레임(60)을 결속부재(미도시)로 단단히 체결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지면의 움푹 패인정도나 그 외의 지면에 대한 상태를 고려하여 제 2프레임(60)을 제 1프레임(50)에서 적절하게 인,입출시켜서 결속부재(미도시)로 서로 단단하게 체결시키도록하며, 화물을 컨테이너에 싣고 내리거나 사람이 오르고 내릴 때, 최대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소형트럭이나 구급차의 콘테이너 및 차체에 설치되어 차량이 운행시에는 좌석으로 활용하고, 차량이 정차 및 정지시에는 차량의 콘테이너로 효율적으로 물건을 올리고 내릴 수 있으며, 또한, 사람이 승, 하차시에는 편리하게 후방계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지면이 움푹 패이거나 고르지 않을 시에는 차체와 지면과의 이격거리를 감소시켜 보다 편리하게 중량이 큰 화물을 차체 위로 올리거나 노약자 등이 편리하게 탑승하도록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후방계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에서 좌석으로 사용 될 경우 동작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에서 계단으로 사용 될 경우 동작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에 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차체 20; 콘테이너
30; 후방계단 30'; 좌석
40; 지지부 50; 제 1프레임
60; 제 2프레임 70; 제 1발판
80; 제 2발판 90; 제 3발판
100; 고정판 110; 도어
120; 힌지부재 130; 프레임

Claims (4)

  1. 차량에서 콘테이너 후면의 차체에 설치되는 후방계단으로서,
    상기 차체의 상단에 다수의 결속부재와 고정판에 의해 고정되어 양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 각각에 일체로 연결되며 서로 다른 폭의 프레임들이 서로 끼워져 결합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축소가 가능하고, 상기 힌지부재의 회동에 따라 차체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프레임; 및
    상기 양 프레임 사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이 힌지부재의 일측 회동에 의해 차량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프레임의 끝단에 위치한 발판의 단부에 사람이 착석하는 반면, 상기 프레임이 힌지부재의 타측 회동에 의해 차량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프레임의 끝단에 위치한 발판의 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힌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관통된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에 인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끼워져서 결속부재를 매개로 결합된 제 2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단부에는 사람 또는 지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
KR10-2002-0020999A 2002-04-17 2002-04-17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 KR10047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999A KR100475959B1 (ko) 2002-04-17 2002-04-17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999A KR100475959B1 (ko) 2002-04-17 2002-04-17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333A KR20030082333A (ko) 2003-10-22
KR100475959B1 true KR100475959B1 (ko) 2005-03-10

Family

ID=3237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999A KR100475959B1 (ko) 2002-04-17 2002-04-17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2869A (zh) * 2018-01-03 2018-06-15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辅助登车装置及汽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3939U (ko) * 1989-04-14 1990-11-07
JPH0495887U (ko) * 1991-01-17 1992-08-19
JPH10291476A (ja) * 1997-04-22 1998-11-04 Taisei Corp レール式人員輸送車両の乗降設備
KR20030039483A (ko) * 2001-11-13 2003-05-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사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3939U (ko) * 1989-04-14 1990-11-07
JPH0495887U (ko) * 1991-01-17 1992-08-19
JPH10291476A (ja) * 1997-04-22 1998-11-04 Taisei Corp レール式人員輸送車両の乗降設備
KR20030039483A (ko) * 2001-11-13 2003-05-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333A (ko)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4569A (en) Wheelchair loading device for aircraft
EP2293755B1 (en) Foldable ramp allowing an invalid wheelchair passenger enter into a vehicle
US9016437B2 (en) Personal stair lift
US6129403A (en) Folding motor vehicle entry seat for persons who use wheelchairs and others who have physical limitations
JPH11508848A (ja) 車椅子搬送用車両
JPS60100964A (ja) 折たたみ可能なローラ付き椅子
US6325399B1 (en) Side lift wheel chairs
KR100475959B1 (ko)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
US11648171B2 (en) Mobility devices with transitional foot plates
KR101424388B1 (ko) 장애인 차량용 리프트 장치
JPH1148867A (ja) ステップ昇降手段を具備する車両
JP2002178930A (ja) 階段走行可能な運搬車
JP4742363B2 (ja) バス昇降床装置
KR100466446B1 (ko)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EP0846592B1 (en) Equipment with extractable board to get over level differences
US20060120837A1 (en) Wheelchair elevator
KR102158957B1 (ko) 리프트용 경사로
US20030049112A1 (en) Mobile ramp access system for a stair barrier at an entrance way
CN214632658U (zh) 一种可折叠型电动爬楼椅
KR200276415Y1 (ko)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
WO1981001397A1 (fr) Ascenceur combine a des escaliers pour le transport des handicapes, et notamment pour l'acces aux avions avec siege adaptable
KR200266158Y1 (ko) 이동형 휠체어 리프트
KR200266100Y1 (ko)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JPS6044171B2 (ja) 段差用のスロープステツプ装置
KR102104278B1 (ko) 노약자 편의성을 갖춘 버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