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100Y1 -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66100Y1 KR200266100Y1 KR2020010035527U KR20010035527U KR200266100Y1 KR 200266100 Y1 KR200266100 Y1 KR 200266100Y1 KR 2020010035527 U KR2020010035527 U KR 2020010035527U KR 20010035527 U KR20010035527 U KR 20010035527U KR 200266100 Y1 KR200266100 Y1 KR 20026610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plate
- lifting
- lifting plate
- wheelchai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휠체어 장애인이 편리하게 버스나 기차와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식 승강구조를 제공함에 있어 승강장치의 설치 및 보관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단순 구조의 승강장치를 구성함으로서, 장치의 제작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승강판이 플로어의 중단부에 위치됨으로서 차량 플로어의 지지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정된 구성을 이룰 수 있게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승강장치는, 휠체어의 승강을 위한 승강판이 차량 플로어 하부의 보관부에 입,출 가능하게 구비되어지는 차량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설치시 선단부가 지면에 착지되어지는 메인승강판(3) 및 상기 메인승강판(3)의 후단측에 절첩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진 보조승강판(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승강판(3)의 후단부에는 보관부에서 이탈이 방지되어지도록 수평 이동되어지는 지지 브라켓(4)이 힌지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등의 대형차량에 휠체어 장애인이 용이하게 승차가능하도록 하기위한 승강장차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기능화에 포함되는 것은 크게 차량주행시의 안전성확보, 안락함의 부여, 센서 등을 이용한 운전자의 감각대행등 자동차의 기능화에 역점을 둔 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바, 점차로 고기능화의 차량이 생산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차의 고기능화에 따라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수납용 개조차량도 출현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수납용 차량에 따르면, 자동차회사에서 연구/개발하여 시판하는 차량이 아니고, 개인이 차량을 개조하여 휠체어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이 대부분인 바, 그 기능성이 현저히 떨어질 뿐 아니라, 휠체어를 수동으로 밀어올리기 용이하게 소정의 패널을 장착한 정도의 수준에 이르는 실정이다.
그리고 기존에 제안되어졌던 휠체어 승강장치로는 별도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발판을 기계식으로 수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진 바, 이는 설치비용이 과다하고 잦은 고장으로 인해 유지비가 증가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대중 교통수단인 버스 등에 휠체어용 승강장치를 마련토록 법제화하여 이미 오래전부터 시행해오고 있으므로, 국내에서도 얼마 지나지 않아 이러한 제도가 적용될 것이 예상됨에 따라 버스에 장애인용 승강장치를 마련하는 대책이 시급하다 하겠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 및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제작 및 관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장치의 단순화 구조를 추구하는 가운데 휠체어가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승강용 플레이트 장치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장애인들이 버스나 기차등의 대중교통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승강장치의 보관시 개략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 승강장치의 설치시 상태도.
도 3은 상기 승강장치가 설치되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승강장치가 차량의 계단측에 보관되어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스 2 : 플로어(floor)
3 : 메인승강판 4 : 지지 브라켓
5 : 힌지축 6 : 보조승강판
7 : 가이드레일 8 : 안전벽
9 : 측벽발판 10 : 개폐판
11 : 손잡이
상기 목적은, 휠체어의 승강을 위한 승강판이 차량 플로어 하부의 보관부에 입,출 가능하게 구비되어지는 차량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설치시 선단부가 지면에 착지되어지는 메인승강판 및 상기 메인승강판의 후단측에 절첩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진 보조승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승강판의 후단부에는 보관부에서 이탈이 방지되어지도록 수평 이동되어지는 지지 브라켓이 힌지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버스(1)의 플로어(2) 저면에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한 후, 본 고안의 승강장치를 출입용 계단측으로 설치가 가능하게 보관토록 하였다.
상기 승강장치의 구성은, 메인승강판(3)의 후단부에 지지 브라켓(4)이 힌지축(5)으로 연결구성되었으며, 상기 힌지축(5)에는 메인승강판(3)과 함께 보조승강판(6)이 절첩가능하게 체결되었다. 보조승강판(6)은 상기 지지 브라켓(4)의힌지축(5)이 아닌 메인승강판(3)상에 별도의 다른 힌지축을 구성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4)의 양측에는 가이드로울러(4a)가 구비됨으로서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이드레일(7)을 따라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는데 상기 가이드로울러(4a)가 보관부로 부터 이탈이 방지되어지도록 가이드레일(7)의 끝단부에는 이탈방지턱(미도시)이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승강장치가 보관되어지는 공간부는 플로어(2)로 부터 소정 높이(h)를 유지토록 함으로서 플로어(2)의 지반약화를 방지토록 하였다.
한편, 메인승강판(3)은 바닥면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을 형성하였으며, 그 양측에서는 상방으로 수직 연장되어지는 안전벽(8) 및 그 선단에서 평판형태를 이루는 측벽발판(9)이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짐으로서 휠체어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메인승강판(3)의 선단부에는 개폐판(10)이 절첩부재(10a)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설치됨으로서, 승강장치가 보관되어진 상태에서 외부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손잡이 이고, 12는 메인승강판(3)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되어진 승강장치의 설치동작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승강장치가 플로어(2) 저면에 보관되어지는 상태에서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이 버스(1)에 탑승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설치작업자가 먼저 메인승강판(3) 선단에 구비되어져 있는 손잡이(11)를 잡아다니면 메인승강판(3)과 지지 브라켓(4)이 가이드 레일(4a)을 따라 수평이동되어 지게되고, 이와같은 이동이 완료되어 메인승강판(3) 및 지지 브라켓(4)이 외부에 노출되어짐과 함께 메인승강판(3)은 힌지축(5)을 중심으로 선단측을 하향 경사면을 이루도록 회동시켜 보도측에 위치시킴으로서 도 3에서 사시도로 나타내어진 1차적인 설치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메인승강판(3)의 후단측에 접혀져 있던 보조승강판(6)을 다시 힌지축(5)을 중심으로 펼쳐주면 보조승강판(6)의 선단은 플로어(2)의 높이로 설치되어지면서 경사면을 이루어 도 2와 같은 형태로 설치가 완료되어지게 된다.
한편, 지지 브라켓(4)은 상기 메인승강판(3)과 보조승강판(6)을 지지하기 위하여 평형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있게된다.
이와같이 설치되어진 승강장치는, 메인승강판(3)과 보조승강판(4)이 상호 평행에 가까운 완만한 경사각을 이루고 있으므로 휠체어가 플로어(2)로 승강되어지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되며, 특히 메인승강판(3)의 양측에 형성되어진 안전벽(8)에 의해 승차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는 동시에 측벽발판(9)에 의해 구조적인 안정성을 이룰 수 있게되는 것이다.
특히, 2단의 승강판 절첩구조와 함께 승강장치의 보관공간이 플로어(2)와 소정 높이(h)를 이루는 계단의 중단부에 설치되어짐으로서, 승강장치가 구성되어짐으로 인한 플로어(2)의 강성약화를 최소화할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설치되어진 상기 승강장치를 다시 플로어 저면부로 보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설치순서와 반대로 보조승강판(4)을 메인승강판(3)측으로 접어준 후 개폐판(10)을 수직으로 세우고 손잡이(11)를 들어 밀어넣어주면 지지 브라켓(4)과 메인승강판(3)이 인입되어지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계단측에 보관되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휠체어 승강장치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 및 도면에서는 본 고안의 승강장치가 버스차량에 적용된 상태에 대해 설명되었으나, 이 외에도 기차나 대형 승합차 등에도 상기 승강장치의 적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휠체어 승강장치는, 슬라이드식 승강구조를 제공함으로서 휠체어 이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버스나 기차와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특히, 2단의 절첩구조를 이루는 승강판이 플로어의 중단부에 위치됨으로서차량 플로어의 지지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정된 구성을 이룰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승강장치의 설치 및 보관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단순 구조를 이룸으로서, 장치의 제작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 휠체어의 승강을 위한 승강판이 차량 플로어 하부의 보관부에 입,출 가능하게 구비되어지는 차량용 승강장치에 있어서:상기 승강판은, 설치시 선단부가 지면에 착지되어지는 메인승강판(3) 및 상기 메인승강판(3)의 후단측에 절첩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진 보조승강판(6)으로 이루어지며;상기 메인승강판(3)의 후단부에는 보관부에서 이탈이 방지되어지도록 수평 이동되어지는 지지 브라켓(4)이 힌지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메인승강판(3)은 양측에 안전벽(8)이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었으며, 상기 안전벽(8)의 상부에는 측벽발판(9)이 외측으로 연장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승강판(3,6)이 보관되어지는 보관부는 차량의 플로어와 소정높이(h)를 이루고 있는 중단위치에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메인승강판(3)의 선단에는 승강장치의 보관시 외부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개폐판(10)이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메인승강판(3)의 후단에 힌지 연결되어지는 보조승강판(6) 및 지지 브라켓(4)은 단일의 힌지축(5)에 연결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5527U KR200266100Y1 (ko) | 2001-11-19 | 2001-11-19 |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5527U KR200266100Y1 (ko) | 2001-11-19 | 2001-11-19 |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71709A Division KR100466446B1 (ko) | 2001-11-19 | 2001-11-19 |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66100Y1 true KR200266100Y1 (ko) | 2002-02-27 |
Family
ID=7311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5527U KR200266100Y1 (ko) | 2001-11-19 | 2001-11-19 |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66100Y1 (ko) |
-
2001
- 2001-11-19 KR KR2020010035527U patent/KR20026610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209087A1 (en) | An improved movable ramp assembly | |
JPH11508848A (ja) | 車椅子搬送用車両 | |
KR100466446B1 (ko) |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 |
GB2276592A (en) | Transporting wheelchairs in road vehicles | |
EP0901783A2 (en) | Access facilities for vehicles | |
KR101924901B1 (ko) | 휠체어 리프트장치 | |
KR20200071308A (ko) |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 |
EP1071389A1 (en) | A lifting device for railway vehicles | |
KR200266100Y1 (ko) |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 |
JPH1148867A (ja) | ステップ昇降手段を具備する車両 | |
JP2018172076A (ja) | 車両用乗降装置 | |
KR20160037509A (ko) | 휠체어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버스 | |
GB2268133A (en) | Wheelchair access system for vehicles | |
JP4742363B2 (ja) | バス昇降床装置 | |
JP5088653B2 (ja) | 昇降装置及びバス | |
GB2417021A (en) | Passenger service vehicle disabled persons lift | |
KR101924898B1 (ko) | 장애인 이동차량용 출입도어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 |
KR101863339B1 (ko) |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 |
EP0236600A1 (en) | Wheelchair passenger lift apparatus for transit stations | |
JP2665278B2 (ja) | 車両用垂直昇降装置 | |
KR200300132Y1 (ko) |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 |
IT202000020137A1 (it) | Autobus a pianale passeggeri rialzato con dispositivo motorizzato di sollevamento per passeggeri con difficoltà motorie | |
KR100475959B1 (ko) | 차량의 좌석기능을 갖는 후방계단 | |
KR102104278B1 (ko) | 노약자 편의성을 갖춘 버스 | |
KR200143079Y1 (ko) | 철도 차량용 휠체어 램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814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