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2Y1 -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2Y1
KR200300132Y1 KR20-2002-0028602U KR20020028602U KR200300132Y1 KR 200300132 Y1 KR200300132 Y1 KR 200300132Y1 KR 20020028602 U KR20020028602 U KR 20020028602U KR 200300132 Y1 KR200300132 Y1 KR 200300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fting plate
plate
support bracket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학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림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학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8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7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with compartment for horizontally storing the ramp or li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버스 승강구의 플로어 하부에 장착되어짐으로서 휠체어 등의 버스 승,하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대형버스 외에도 마을버스와 같은 차폭이 상대적으로 적은 구조를 이루는 중,소형 버스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되어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휠체어의 승강을 위한 승강판이 차량 플로어(2)의 승강대측 하부 보관부(3)에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는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설치시 경사면을 이루며 선단부가 지면에 착지되어지게 되는 메인승강판(20)과, 상기 메인승강판(20)의 유동을 지지하며 보관부(3) 내에서 수평 이동되는 지지브라켓(10), 그리고 메인승강판(20)의 타단부에 절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진 연장승강판(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승강판(20)은 지지브라켓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브라켓(10)의 단부에는 메인승강판(20)의 슬라이딩 유동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12)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WHEEL CHAIR UP AND DOWN ASSEMBLY OF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을버스와 같이 일반버스에 비해 폭이 적은 차량에 휠체어 장애인이 용이하게 승차가능하도록 하기위한 승강장차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기능화에 포함되는 것은 크게 차량주행시의 안전성확보, 안락함의 부여, 센서 등을 이용한 운전자의 감각대행등 자동차의 기능화에 역점을 둔 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바, 점차로 고기능화의 차량이 생산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차의 고기능화에 따라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수납용 개조차량도 출현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수납용 차량에 따르면, 자동차회사에서 연구/개발하여 시판하는 차량이 아니고, 개인이 차량을 개조하여 휠체어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이 대부분인 바, 그 기능성이 현저히 떨어질 뿐 아니라, 휠체어를 수동으로 밀어올리기 용이하게 소정의 패널을 장착한 정도의 수준에 이르는 실정이다.
그리고 기존에 제안되어졌던 휠체어 승강장치로는 별도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발판을 기계식으로 수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진 바, 이는 설치비용이 과다하고 잦은 고장으로 인해 유지비가 증가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발명(국내 특허 제2001-71709호)에서는, 메인승강판의 후단에 보조승강판이 절첩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메인승강판의 후단부에는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는 지지 브라켓이 버스차량의 플로어 하부의 보관부에 입.출이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는 구성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승강장치 구조는 메인승강판과 지지브라켓이 수평방향으로 결합 설치되어져 있으므로, 차량의 플로어 하부에 설치를 위해서는 메인승강판과 지지브라켓을 합한 길이만큼의 차폭이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반 대형버스에는 설치에 무리가 없으나 상대적으로 차폭이 좁은 마을버스 등에는 장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차폭이 비교적 좁은 버스에도 내장 및 장착설치가 가능한 승강장치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차량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도록 호환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승강장치가 보관되어지는 버스 승강구 계단측 외관도.
도 2는 본 고안 승강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버스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승강장치의 설치에 따른 각 단계별 동작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승강장치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승강장치 구조물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스 2 : 플로어
3 : 보관부 10 : 지지브라켓
11 : 가이드로울러 12 : 걸림턱
20 : 메인승강판 21 : 안내베어링
22 : 손잡이 30 : 연장승강판
31 : 힌지 32 : 절첩판
33 : 유동방지구 34 : 지지편
상기 목적은, 휠체어의 승강을 위한 승강판이 차량 플로어의 승강대측 하부 보관부에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는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설치시 경사면을 이루며 선단부가 지면에 착지되어지게 되는 메인승강판과, 상기 메인승강판의 유동을 지지하며 보관부 내에서 수평 이동되는 지지브라켓, 그리고 메인승강판의 타단부에 절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진 연장승강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승강판은 지지브라켓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브라켓의 단부에는 메인승강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구성을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 승강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버스(1)의 승강대측 플로어(2) 저면에 소정공간을 이루는 보관부(3)를 형성하여 그 입구측에 개폐구(5)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는 지지브라켓(10), 메인승강판(20), 연장승강판(30)으로 구성되어지는 본 고안 승강장치가 설치되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승강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지지브라켓(10)은 양측에 가이드로울러(11)가 구비됨으로서 보관부(3) 내에서 가이드레일(3a)을 따라 소정거리의 범위내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메인승강판(20)은 지지브라켓(10)에 지지되어지는 가운데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베어링(21)이 소정 개소에 구성되었으며, 지지브라켓(10)의 선단에는 안내베어링(21)이 걸려지는 걸림턱(12)이 돌출 형성됨으로 메인승강판(20)의 이탈이 방지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연장승강판(30)은 메인승강판(20)의 후단부에서 절첩 가능하게 힌지(31) 결합되어 메인승강판(20)의 설치시 버스의 플로어로 발판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게되며, 그 저면에는 설치 각도의 지지를 위한 지지편(34)이 구성됨과 함께 단부측에는 연장승강판(30)의 설치시 밀림에 따른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구(33)가 계단 모서리측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 및 22는 각각 개폐구(5)의 개폐작업 및 승강판의 설치작업을 위한 손잡이이고, 32는 연장승강판(30)의 후단에 결합되어진 절첩판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승강장치의 설치동작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즉, 승강판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먼저 작업자가 개폐구(5)를 열어 보관부(3) 입구를 개방시킨 뒤 손잡이(22)를 잡아 당기면 도 3a에 나타낸 바와같이 메인승강판(20)이 지지브라켓(10)에서 슬라이딩되어 인출되어짐과 함께 지지브라켓(10) 역시 가이드레일(3a)을 따라 전진 되어 승강구 측으로 인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메인승강판(20)은 양측 안내베어링(21)이 지지브라켓(10)의 걸림턱(12)에 걸려져 더이상의 인출이 방지되어지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단을 지면측에 내려놓으므로서 소정의 경사면을 이루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메인승강판(20)의 후단측에 접혀져 있던 연장승강판(30)을 힌지(31)를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서 도 3c에서와 같이 메인승강판(20)과 동일한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다시 연장승강판(30)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는 절첩판(32)을 회동 설치하게 되면, 절첩판(32)의 저면에 위치하는 유동방지구(33)가 도 3d에 도시된 바와같이 승강장 계단의 모서리부에 지지되어짐으로서 설치된 승강판(20,3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승강판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면과 버스 플로어간에 경사면을 이룰 수 있게되어 휠체어의 안전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 승강장치의 이해를 돕기위해 승강판의 설치가 완료되어진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승강판의 설치후 이를 다시 보관코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되어진 동작과 반대로 하여 진행되어지게 되는데, 이는 먼저 절첩판(32)과 연장승강판(30)을 순차적으로 회동시켜 접은 후, 작업자가 손잡이(22)를 잡고 들어올려 메인승강판(20)이 지면과 수평이 되어지도록 한 후 밀어넣어주게 되면, 메인승강판(20)이 지지브라켓(10)을 따라 슬라이딩 인입되어짐과 함께 지지브라켓(10) 역시 가이드레일(3a)을 따라 보관부(3) 내로 원위치되어 도 2와 같은 상태를 이루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승강장치 구조는 휠체어의 버스 승하차를 용이하게 하게 되며, 특히 메인승강판(20)과 지지브라켓(10)이 상호 슬라이딩 장착되어짐으로서 설치폭이 최소화될 수 있게되어 대형 버스 뿐만 아니라 중,소형의 버스등에도 설치가 가능한 이점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승강장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승강장치 구조는, 버스 승강구의 플로어 하부에 장착되어짐으로서 휠체어 등의 버스 승,하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장치의 설치폭이 감소됨으로서 대형버스 외에도 마을버스와 같이 차폭이 상대적으로 적은 구조를 이루는 중,소형 버스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되어 적용 호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휠체어의 승강을 위한 승강판이 차량 플로어(2)의 승강대측 하부 보관부(3)에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는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설치시 경사면을 이루며 선단부가 지면에 착지되어지게 되는 메인승강판(20)과, 상기 메인승강판(20)의 유동을 지지하며 보관부(3) 내에서 수평 이동되는 지지브라켓(10), 그리고 메인승강판(20)의 타단부에 절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진 연장승강판(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승강판(20)은 지지브라켓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브라켓(10)의 단부에는 메인승강판(20)의 슬라이딩 유동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12)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승강판(30)에는 승강대 계단의 에지부에 걸려져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구(33) 및 무게를 지탱하기 위한 지지편(34)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승강판(20)에는 지지브라켓(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게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안내베어링(2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KR20-2002-0028602U 2002-09-24 2002-09-24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KR200300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602U KR200300132Y1 (ko) 2002-09-24 2002-09-24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602U KR200300132Y1 (ko) 2002-09-24 2002-09-24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2Y1 true KR200300132Y1 (ko) 2003-01-14

Family

ID=4939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602U KR200300132Y1 (ko) 2002-09-24 2002-09-24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4043A (en) Retractable wheelchair lift mechanism for storage compartment of a commercial vehicle
JPH11508848A (ja) 車椅子搬送用車両
CA2077065A1 (en) Retractable van side door ramp
US6821078B2 (en) Motor vehicle chair system for physically disabled persons
KR101023520B1 (ko) 장애인용 차량
JP4982157B2 (ja) 昇降装置
JP4122295B2 (ja) リフト・ロック機構を備えたランプアセンブリ
KR200300132Y1 (ko)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KR100466446B1 (ko)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JP4099700B2 (ja) 車両用リフトアップシート
JP2004195062A (ja) 車両における搬入・出装置
JP3605356B2 (ja) 舞台下格納式昇降台車
JP4019687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
JP2665278B2 (ja) 車両用垂直昇降装置
US12077086B2 (en) Vehicle access ramp
JP2622323B2 (ja) 昇降装置
JPH04114831U (ja) 昇降装置
KR200266100Y1 (ko)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JP4159891B2 (ja) リフター
JP2710296B2 (ja) 昇降装置
JPH04169340A (ja) 昇降装置
JP3092619U (ja) 車いす並びに荷物積み下ろし用リフト
JP4039027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
CA2217454C (en) Wheel chair transport vehicle
JP2554047Y2 (ja) 車両用車椅子乗降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