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205B1 - 유동바닥식소각로 - Google Patents

유동바닥식소각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205B1
KR100474205B1 KR1019970709501A KR19970709501A KR100474205B1 KR 100474205 B1 KR100474205 B1 KR 100474205B1 KR 1019970709501 A KR1019970709501 A KR 1019970709501A KR 19970709501 A KR19970709501 A KR 19970709501A KR 100474205 B1 KR100474205 B1 KR 100474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dispersion
air
discharge space
incombusti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031A (ko
Inventor
세이이찌 나카이
료오죠오 시지
타케시 마쯔이
노리히로 아오키
요시마사 미우라
유우수케 오카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23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2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18Details; Accessories
    • F23C10/20Inlets for fluidisation air, e.g. grids; Bott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3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a fluidised 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 Crucibles And Fluidized-Bed Furnac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밑부분에 재 배출구(6)를 형성한 화로본체(1)의 연소존(2b)의 하부에, 좌우의 측벽(1b,1c)으로부터 경사지게 아래방향으로 화로 바닥으로부터 떨어져서 외팔형으로 돌출되어 다수의 분산공기구멍을 갖는 복수의 연소용 분산공기관(11)을 설치하고, 이들 연소용 분산공기관(11)의 선단부 사이에 불연물 배출공간(12)을 형성하였다. 이것에 의해 연소용 분산공기관(11) 위에 체류하는 불연물을 불연물 배출공간(12)에 유도하여 배출한다.

Description

유동바닥식 소각로
본 발명은, 도시쓰레기나 산업폐기물 등이 유동하는 운동매체속에 투입되어 가열소각되는 유동바닥식 소각로에 관한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유동바닥식 쓰레기소각로는, 화로본체(1) 내에 형성된 연소실(2) 및 프리보드공간(3)과, 화로본체(1)의 앞벽(1a)에 형성된 쓰레기투입구(4)와, 화로본체(1)의 후방 밑부분에 형성된 재 배출구(6)와, 이 재 배출구(6)에 설치되어 유동매체(S)를 제외한 소각재나 불연물을 배출하는 배출장치(5)와, 연소실(2)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해서 배치되어 서로 평행한 복수의 분산공기관(7)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분산공기관(7)으로부터 화로본체(1)내의 유동매체(S)속으로 분사되는 분산공기에 의해, 가열된 유동매체(S)가 유동화되고, 피소각물인 쓰레기가 쓰레기투입구(4)로부터 투입되어 유동매체(S)속에 출입되고, 쓰레기가 가열, 유동화되어 연소실(2)의 상부의 연소존에서 연소된다. 그리고, 소각된 재가 유동매체(S)의 유동에 의해 재 배출구(6)에 운반되어 배출된다.
상기 분산공기관(7)은, 화로본체(1)의 좌우의 측벽(1b)을 관통해서 수평방향으로 횡단하고, 인접하는 분산공기관(7)의 간격이 100~150m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투입되는 쓰레기중에는, 이 간격보다 큰 대형불연물이나 철사 등의 선상불연물 등이 혼입되는 일이 있고, 또한 소각중에 대형의 클링커덩어리가 생성되는 일이 있다. 그러면, 분산공기관(7)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분산공기관(7)위에 괴어서, 재 배출구(6)로부터 뽑아낼 수 없고, 운전불능에 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동바닥식 쓰레기소각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2는 동일한 유동바닥식 쓰레기소각로의 평면단면도이다.
도 3은 동일한 유동바닥식 쓰레기소각로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4는 동일한 유동바닥식 쓰레기소각로의 연소용 분산공기관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동일한 연소용 분산공기관의 다른 부착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동바닥식 쓰레기소각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8은 동일한 유동바닥식 쓰레기소각로의 평면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유동바닥식 쓰레기소각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유동바닥식 쓰레기소각로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대형불연물이나 선상불연물, 대형 클링커덩어리 등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유동바닥식 소각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유동바닥식 소각로는, 화로본체의 밑부분에 형성된 재 배출구와, 화로본체내의 연소존의 하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측벽으로부터 각각 경사지게 아래방향으로 화로 바닥으로부터 떨어져서 외팔형으로 돌출되고 다수의 분산공기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연소용 분산공기관과, 이들 연소용 분산공기관의 선단부 사이에 형성된 불연물 배출공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화로본체의 밑부분에 형성된 재 배출구와, 화로본체내의 연소존의 하부에서 측벽으로부터 경사지게 아래방향으로 화로 바닥으로부터 떨어져서 외팔형으로 돌출되고 다수의 분산공기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연소용 분산공기관과, 이들 연소용 분산공기관의 선단부와 측벽의 사이에 형성된 불연물 배출공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구성에 의하면, 피소각물에 함유되어 유동매체내에 투입된 고형상의 불연물이나 선상의 불연물, 혹은 유동매체내에서 형성된 대형 클링커덩어리는, 경사진 연소용 공기분산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안내되어 불연물 배출공간으로부터 재 배출구로 배출되기 때문에, 불연물이 연소용 분산공기관 위에 체류하는 일없이, 원활하게 배출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연소용 분산공기관의 경사각을 3˚~30˚의 범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소용 분산공기관의 경사각을 3˚~30˚의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분산공기관 위의 불연물을 체류시키는 일도 없이 원활하게 아래쪽으로 안내하여 불연물 배출공간으로부터 재 배출구로 배출할 수 있고, 또한 유동매체의 분산에 악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또 상기 각 구성의 불연물 배출공간이, 폭이 좁은 통상 불연물 배출공간과 폭이 넓은 대형 불연물 배출공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불연물 배출공간을 폭이 넓게 대형의 불연물을 배출가능한 대형 불연물 배출공간만 구성하면, 유동매체의 유동을 저해할 우려가 있지만, 이 대형 불연물 배출공간과 폭이 좁은 통상 불연물 배출공간과 병존시킴으로써, 유동매체의 유동을 저해하는 일없이 대형의 불연물의 배출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또, 상기 각 구성의 연소용 분산공기관은, 몸통부에 형성되어 분산공기를 분출하는 다수의 주분산공기구멍과, 선단부에 형성되어 불연물 배출공간을 향해서 분산용 공기를 분사하는 선단분산공기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선단분산공기구멍으로부터 불연물 배출공간을 향해서 분산용 공기를 분사하는 것에 의해, 연소용 분산공기관 위의 불연물을 불연물 배출공간으로 유동시킴과 동시에, 낙하시에 유동매체의 흐름을 촉진시켜, 불연물을 저항없이 낙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유동바닥식 쓰레기소각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종래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도 1~도 4는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연소용 분산공기관(11)이 좌우의 양측벽(1b,1c)에 설치된 유동바닥식 쓰레기소각로이다.
화로본체(1)의 연소실(2)은, 쓰레기투입구(4)측의 건조열분해존(2a)과 재 배출구(6)의 윗쪽에 위치하는 연소존(2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건조열분해존(2a)의 아래쪽의 경사바닥벽(9)에는, 건조열분해존(2a)으로 분산공기를 공급하는 열분해용 분산공기관(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소존(2b)의 아래쪽에는, 좌우의 양측벽(1b,1c)을 관통하여 유동매체(S)속으로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연소용 분산공기관(11)이 설치된다.
이들 연소용 분산공기관(11)은, 외팔형으로, 좌우의 양측벽(1b,1c)으로부터 각각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경사각(θ)으로 돌출되고, 또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연소용 분산공기관(11)의 선단부의 사이에 불연물 배출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듯이, 상기 연소용 분산공기관(11)에는, 몸통부의 측면에 분산공기를 측방향으로 분출하는 다수의 주분산공기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소용 분산공기관(11)의 선단부에는, 연소용 분산공기관(11)의 축심방향을 따라서 불연물 배출공간(12)에 분산용 공기를 분사하는 선단분산공기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선단분산공기구멍(14)으로부터 분출하는 분산공기에 의해, 유동매체를 불연물 배출공간(12)측으로 이송하여, 연소용 분산공기관(11)위에 체류하는 불연물을 불연물 배출공간(12)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연소용 분산공기관(11)은, 그 경사각(θ)이 3˚~3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사각(θ)이 3˚미만에서는, 불연물의 자중에 의한 유동력이 작아 체류를 해소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이 경사각(θ)이 30˚를 넘으면, 주분산공기구멍(13)으로부터 분사되는 분산공기에 의해 유동매체(S)를 효과적으로 분산유동화할 수 없고, 유동매체(S)의 분산, 유동화에 악영향을 준다.
상기 불연물 배출공간(12)은, 전후부에서 좁은 폭(d)의 통상 불연물 배출공간(12a)과, 재 배출구(5)의 윗쪽에 대응하는 중앙부에서 넓은 폭(D)의 대형 불연물 배출공간(12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통상 불연물 배출공간(12a)의 폭(d)은, 예를 들면 약 100~150mm 이상으로 설정된다. 또한 대형 불연물 배출공간(12b)의 폭(D)은, 대형의 불연물을 확실히 배출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500~800mm 정도로 설정된다. 또, 이 대형 불연물 배출공간(12b)에서는, 분산공기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유동매체(S)의 분산, 유동화는 촉진되지 않는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쓰레기투입구(4)로부터 투입된 쓰레기는, 건조열분해존(2a)에서 유동매체(S)와 혼합되어, 교반가열되어 유동화되고, 건조열분해된다. 그리고 연소존(2b)에서 연소되어 소각된다. 그리고 그 소각재는 하강되어 재 배출구(6)의 배출장치(5)에 의해 배출된다.
이 때, 연소용 분산공기관(11)이 경사져 있으므로, 쓰레기에 대형 불연물이나 선상불연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도, 이들 불연물은 연소용 분산공기관(11)위에 체류하는 일없이, 아래쪽의 선단측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이들 대형 불연물이나 선상불연물은, 체류하거나 얽히는 일없이, 불연물 배출공간(12)을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재 배출구(6)로부터 배출된다. 이 때, 선단분산공기구(14)로부터 불연물 배출공간(12)에 분사되는 분산공기에 의해, 불연물의 낙하이동이 더욱 촉진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하면, 좌우의 측벽(1b,1c)으로부터 각각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연소용 분산공기관(11)이 돌출되고, 이들 연소용 분산공기관(11)의 선단부에 불연물 배출공간(12)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쓰레기에 포함된 대형 불연물이나 선상불연물, 혹은 화로내에서 형성된 대형의 클링커를 연소용 분산공기관(11) 위에서 아래쪽으로 안내하여 불연물 배출공간(12)으로부터 배출할 수가 있다.
또한 연소용 분산공기관(11)의 선단부에 선단분산공기구(14)가 형성되므로, 이 선단분산공기구(14)로부터 불연물 배출공간(12)으로 분사되는 분산공기에 의해 불연물의 낙하이동이 촉진되어, 불연물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유동매체(S)나 쓰레기의 중량에 대하여, 연소용 분산공기관(11)의 강도가 부족할 경우에는, 도 5, 도 6에 나타내듯이, 측벽(1b,1c)의 스킨플레이트(1d)로부터 내화재(1e)를 관통하여 서포트판(16)이 돌출되고, 이 서포트판(16)의 윗변이 연소용 분산공기관(11)의 하부에 밀착 접합되는 것에 의해, 유동매체(S)에 의해 연소용 분산공기관(11)에 부하되는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2실시예를 도 7, 도 8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구조의 연소용 분산공기관(21)이, 후부측벽(1f)으로부터만 경사각(θ)으로 돌출된 것으로, 이들 연소용 분산공기관(21)의 선단부와 하부전방부측벽(1g)사이에 불연물 배출공간(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불연물 배출공간(22)은, 중앙부의 대형 불연물 배출공간(22a)과 양측부의 통상 불연물 배출공간(22b)으로 구성된다. 또한 각 연소용 분산공기관(21)에는, 도 5, 도 6과 동일구조의 서포트판(23)이 부착되어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의 실시예와 같이 대형 불연물이나 선형상 불연물, 대형의 클링커덩어리의 배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부재나 조립공정을 적게 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제3실시예를 도 9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유동바닥식 소각로는, 제1실시예와 동일구조의 연소용 분산공기관(31)이, 주위의 좌우의 측벽(1b,1c) 및 후부측벽(1f), 하부전방부측벽(1g)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연소용 분산공기관(31)의 선단부 사이에 불연물 배출공간(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불연물 배출공간(32)은, 중앙부의 대형 불연물 배출공간(32b)과, 대각선을 따라서 형성된 통상 불연물 배출공간(32a)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실시예와 같이, 대형 불연물이나 선형상 불연물, 대형의 클링커의 배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5)

  1. 화로본체(1)의 밑부분에 형성된 재 배출구(6)와, 화로본체(1)안의 연소존(2b)의 하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측벽(1b,1c),(1c,1d,1f,1g)으로부터 각각 경사지게 아래방향으로 화로 바닥으로부터 떨어져서 외팔형으로 돌출되고 다수의 분산공기구멍(13,14)이 형성된 복수의 연소용 분산공기관(11,31)과, 이들 연소용 분산공기관(11,31)의 선단부 사이에 형성된 불연물 배출공간(12,3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바닥식 소각로.
  2. 화로본체(1)의 밑부분에 형성된 재 배출구(6)와, 화로본체(1)안의 연소존(2b)의 하부에서 측벽(1f)으로부터 경사지게 아래방향으로 화로 바닥으로부터 떨어져서 외팔형으로 돌출되고 다수의 분산공기구멍(13,14)이 형성된 복수의 연소용 분산공기관(21)과, 이들 연소용 분산공기관(21)의 선단부와 측벽(1g) 사이에 형성된 불연물 배출공간(2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바닥식 소각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소용 분산공기관(11,21,31)의 경사각(θ)을 3˚~30˚의 범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바닥식 소각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불연물 배출공간(12,22,32)이, 폭이 좁은 통상 불연물 배출공간(12a,22a,32a)과 폭이 넓은 대형 불연물 배출공간(12b,22b,32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바닥식 소각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소용 분산공기관(11,21,31)은 몸통부에 형성되어 분산공기를 분출하는 다수의 주 분산공기구멍(13)과, 선단부에 형성되어 불연물 배출공간(12,22,32)을 향해서 분산용 공기를 분사하는 선단 분산공기구멍(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바닥식 소각로.
KR1019970709501A 1996-04-26 1997-04-21 유동바닥식소각로 KR100474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05965 1996-04-26
JP10596596A JP3173992B2 (ja) 1996-04-26 1996-04-26 流動床式焼却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031A KR19990023031A (ko) 1999-03-25
KR100474205B1 true KR100474205B1 (ko) 2005-04-19

Family

ID=1442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501A KR100474205B1 (ko) 1996-04-26 1997-04-21 유동바닥식소각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58857A (ko)
EP (1) EP0836052B1 (ko)
JP (1) JP3173992B2 (ko)
KR (1) KR100474205B1 (ko)
AT (1) ATE228629T1 (ko)
DE (1) DE69717393T2 (ko)
ES (1) ES2185926T3 (ko)
TW (1) TW333596B (ko)
WO (1) WO19970413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880B1 (ko) * 1998-12-18 2006-01-27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분산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유동층 반응기
JP3415079B2 (ja) * 1999-10-04 2003-06-09 要太郎 内田 焼却炉
DE102005061298B4 (de) * 2005-12-21 2010-04-2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Fließbettofen
JP5091736B2 (ja) * 2008-03-19 2012-12-05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流動焼却炉の分散パイプ支持構造
KR101265760B1 (ko) 2011-04-06 2013-05-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파지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 유동층 반응기
CN102235675A (zh) * 2011-08-23 2011-11-09 无锡太湖锅炉有限公司 循环流化床垃圾焚烧锅炉开式布风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7813A (ja) * 1988-08-23 1990-02-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流動層式焼却炉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26978A (en) * 1956-08-15 1960-01-27 Laporte Titanium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luidized bed reaction vessels
JPS5329026Y2 (ko) * 1972-11-01 1978-07-20
US4359326A (en) * 1979-04-26 1982-11-16 Hydrocarbon Research, Inc. Fluidized bed reactor apparatus and related gasification system
JPS5642008A (en) * 1979-09-11 1981-04-20 Tsukishima Kikai Co Ltd Incineration of combustible solid waste and incinerator therefor
FI75504C (fi) * 1984-08-28 1988-07-11 Ahlstroem Oy Anordning i virvelbaeddsreaktor.
JPS6373091A (ja) * 1986-09-12 1988-04-02 Ebara Corp 流動層用散気装置
CA1285375C (en) * 1986-01-21 1991-07-02 Takahiro Ohshita Thermal reactor
US4942673A (en) * 1988-08-18 1990-07-24 The Babcock & Wilcox Company Sintering prevention in stagnant zones of fluid bed boilers
US5156099A (en) * 1988-08-31 1992-10-20 Ebara Corporation Composite recycling type fluidized bed boiler
JP2564173Y2 (ja) * 1992-08-31 1998-03-0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流動床式焼却炉の散気管
US5379705A (en) * 1992-11-11 1995-01-10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Fluidized-bed incinerator
US5343830A (en) * 1993-03-25 1994-09-06 The Babcock & Wilcox Company Circulating fluidized bed reactor with internal primary particle separation and return
JP2553828B2 (ja) * 1994-09-27 1996-11-13 株式会社セルテックプロジェクトマネージメント 流動床式焼却炉の散気盤
DE19521321A1 (de) * 1995-06-12 1996-12-19 Abb Managemen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duktion des Staubgehaltes der Abgase eines Dampferzeug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7813A (ja) * 1988-08-23 1990-02-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流動層式焼却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85926T3 (es) 2003-05-01
KR19990023031A (ko) 1999-03-25
ATE228629T1 (de) 2002-12-15
JP3173992B2 (ja) 2001-06-04
DE69717393T2 (de) 2003-08-21
DE69717393D1 (de) 2003-01-09
TW333596B (en) 1998-06-11
EP0836052B1 (en) 2002-11-27
US6058857A (en) 2000-05-09
EP0836052A4 (en) 1999-08-18
WO1997041389A1 (fr) 1997-11-06
EP0836052A1 (en) 1998-04-15
JPH09292112A (ja) 1997-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4205B1 (ko) 유동바닥식소각로
KR950007013B1 (ko) 내부순환형 유동층 보일러와 그의 제어방법
KR100304199B1 (ko) 유동바닥식소각로
JPS62169914A (ja) 流動床炉の安定燃焼法
JPH01260207A (ja) 廃棄物焼却炉
KR100529001B1 (ko) 유동층 소각로
JPH05223226A (ja) 廃棄物焼却炉
KR0134968Y1 (ko) 유동층 소각로
JP2795599B2 (ja) 流動床式焼却炉
JP2564173Y2 (ja) 流動床式焼却炉の散気管
JP2980513B2 (ja) 流動床式焼却炉
JP3163547B2 (ja) 旋回砂層式流動炉
JPH02275203A (ja) 流動床装置のガス分散板への付着物の付着防止方法およびそのガス分散板
KR20000017461U (ko) 유동층 소각로용 분산판
JPH09236227A (ja) 流動層熱反応装置
JPH03244910A (ja) 流動焼却装置における散気管の配設構造
JP3550438B2 (ja) 流動層式焼却炉
JP3014279B2 (ja) 流動床式焼却炉
JPH0498009A (ja) 流動床焼却炉の二次空気供給装置
JPH0616248Y2 (ja) 流動床燃焼器
JPH074630A (ja) ごみ焼却炉
JPH0257813A (ja) 流動層式焼却炉
JPH1019222A (ja) 流動層燃焼炉
JPS62280512A (ja) 流動床焼却炉
JPH0198812A (ja) 流動層型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