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455B1 -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 - Google Patents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455B1
KR100473455B1 KR10-2001-7016448A KR20017016448A KR100473455B1 KR 100473455 B1 KR100473455 B1 KR 100473455B1 KR 20017016448 A KR20017016448 A KR 20017016448A KR 100473455 B1 KR100473455 B1 KR 100473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agnetic tape
reel
cassette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9101A (ko
Inventor
히라구치가즈오
나이토히로유키
아사노가츠키
니시야마시게루
우치쿠라히데키
하시모토아키히로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9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4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7Single reels or sp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2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friction or ultrasonic or high-frequency electrical means, i.e. by friction or ultrasonic or induction welding
    • B65B51/225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friction or ultrasonic or high-frequency electrical means, i.e. by friction or ultrasonic or induction welding by ultrasonic wel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28Reels or cores; positioning of the reels in the casset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M 카세트용 테이프 릴(612a)의 용착용 보스(620)를 초음파 용착할 때의 받이면(625)을, 하측 플랜지(616)의 바닥면(616a)에 있어서의 허브 중심부(621)의 기단을 따라 고리 형상으로 바닥면(616a)에서 도면중 아래쪽으로 소정량 돌출된 링부(626)의 도면중 하면으로서 설치된다. 즉, 받이면(625)은 용착용 보스(620)의 바로 아래보다 약간 방사 방향 하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MAGNETIC CASSETTE TAPE REEL}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DVC) 등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테이프 릴의 용착용 보스의 초음파 용착(溶着)을 효율 좋게 실행하기 위한 구조, 테이프 릴에 감는 자기 테이프의 감기(와인딩) 자세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구조,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비사용시의 방진성 확보 및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의 변형 방지를 양립시키기 위한 구조, 테이프 릴과의 접촉에 따른 자기 테이프의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및 허브에 특징을 갖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 테이프를 테이프 릴에 감도록 하기 위한 자기 테이프 감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기 테이프의 감기 자세를 테이프 릴의 상측 플랜지 내면을 기준으로 하여 조정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기기나 비디오 기기 등에 있어서는, 한쌍의 테이프 릴에 감은 자기 테이프를 카세트 하프 내에 주행 가능하게 유지하여 기록 재생을 실행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종래, 예를 들어 DVC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로서 이용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130)로서, 자기 테이프 t를 감은 한 쌍의 테이프 릴(131)을 상측 카세트 하프(132)와 쌍을 이루는 하측 카세트 하프(133) 내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한 것이 있다.
하측 카세트 하프(133)에 있어서 도 20 중 앞쪽의 개구부(134) 양측에는 각각 테이프 가이드(135)가 설치된다. 각 테이프 가이드(135)는 각각 한쪽의 테이프 릴(131)로부터 송출되어 다른쪽의 테이프 릴(131)에 감기는 자기 테이프 t를 안내하고, 자기 테이프 t가 상기 개구부(134)에서의 소정의 위치를 통과하도록 한다.
또한, 하측 카세트 하프(133)에서의 후방측에는 테이프 릴 고정용 암(138)을 갖는 릴 록 부재(139)가 설치된다. 릴 록 부재(139)는 압축 코일 스프링(140)에 의해서 가압됨으로써, 테이프 릴 고정용 암(138)을 각 테이프 릴(131)의 외주에 형성된 걸어맞춤 톱니(141)에 걸어맞추어 각 테이프 릴(131)의 부적절한 회전을 저지한다. 이로서, 자기 테이프 t가 느슨하게 감기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측 카세트 하프(132)에는 하측 카세트 하프(133)의 개구부(134)를 덮는 외측 리드(150), 상측 리드(151) 및 내측 리드(152)가 각각 개폐가 자유롭게 장착된다.
외측 리드(150)의 측판(153)에는 록 핀(154)이 돌출해서 설치된다. 록 핀(154)은 하측 카세트 하프(133)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리드 록(155)에 고정된다. 또, (156)은 외측 리드(150)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리드 스프링을 나타낸다.
각 테이프 릴(131)은 각각 대향하는 상측 플랜지(142) 및 하측 플랜지(143)를 소정의 위치 관계로 고정해서 구성된다.
즉, 각 테이프 릴(131)에서는, 각각 상측 플랜지(142)의 중앙부(144)에 형성된 피벗 구멍(146)에, 하측 플랜지(143)의 허브(145)에 돌출해서 설치된 피벗(147)이 삽입된다. 또한, 하측 플랜지(143)의 허브(145)에서의 피벗(147)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위치에 돌출해서 설치된 착용 보스(148)가, 상측 플랜지(142)의 중앙부(144)에서의 용착용 보스(148)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용착용 보스 구멍(149)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용착용 보스(148)의 선단면(도 20 중 상단 면) 대략 중앙에 용착 혼(horn)(도시하지 않음)이 맞다음으로써, 용착용 보스(148)가 초음파 용착된다. 이로서, 대향하는 상측 플랜지(142) 및 하측 플랜지(143)가 소정의 위치 관계로 고정된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하측 플랜지(143)의 허브(145)와 반대측의 바닥면(143a)에는, 금형 가공의 기준으로 되는 기준 링(157)이 설치된다. 기준 링(157)은 용착용 보스(148)보다 피벗(147)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위치에 있다. 기준 링(157)의 면(157a)은 치수 관계의 파악을 용이하게 한다는 등의 이유로 인해, 용착용 보스(148)의 초음파 용착시의 받이면으로 되어 있다. 즉, 기준 링(157)의 면(157a)은 용착용 보스(148)가 초음파 용착될 때, 도시하지 않는 용착 받침대에 맞다음으로써, 용착 혼으로부터의 압압력 및 초음파 발진에 따른 진동 등을 용착 받침대로 받게 한다.
상술한 종래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130)에서는 기준 링(157)의 면(157a)을 용착용 보스(148)의 초음파 용착시의 받이면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용착 혼으로부터의 초음파의 발진 에너지가 용착용 보스(148)에서 기준 링(157)까지의 테이프 릴(131)의 각 부위의 공진 등에 의해서 일부 소실되어 버려, 용착 혼으로부터 용착용 보스(148)로의 초음파의 발진 에너지의 전달 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초음파의 발진 에너지의 전달 효율이 낮으면, 용착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초음파의 발진 시간을 길게 할 필요가 있어, 양산 적합성 및 용착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용착 안정성이 부족하면, 상측 플랜지(142) 및 하측 플랜지(143)의 대향 자세에 왜곡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테이프 릴(131)의 회전시, 면 요동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초음파의 발진 에너지의 용착용 보스로의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용착용 보스의 초음파 용착에 필요한 시간의 단축 및 용착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음에, 도 22를 참조하면, 상측 플랜지(142)의 내면(하면)이 허브(145) 측벽(145b)의 기단부(基端部)(도 22 중 상단부a)로부터 방사 방향 외측(도 22 중 우측)을 향하여 서서히 상측으로 경사진 구배면(142b)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플랜지(143)의 내면(상면)은 측벽(145b)의 기단부(도 22 중 하단부b)로부터 방사 방향 외측(도 22 중 우측)을 향하여 서서히 하측으로 경사진 구배면(143b)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측 플랜지의 하면 및 하측 플랜지의 상면의 전역에 구배가 형성되어 있으면, 자기 테이프 감기시에 테이프를 감기 쉬운 반면, 자기 테이프가 상하 방향으로 흔들릴 우려가 있다.
자기 테이프를 감기 시작해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릴 구동 수단의 회전 속도 및 테이프 장력(tension)이 일정하게 되어, 자기 테이프가 안정하게 주행하기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는 일은 없지만 , 자기 테이프의 감기 개시 시에는 릴 구동 수단의 회전 속도가 서서히 상승하고 또한 테이프 장력도 서서히 상승하기 때문에, 테이프 주행이 안정되지 않는다.
그렇게 하면, 자기 테이프가 상하 방향으로 흔들려 버려 감겨진 자기 테이프의 둘레 가장자리가 정렬 상태로 중첩되지 않고, 둘레 가장자리에 의해서 형성된 감기면이 흐트러져 평탄하게 되지 않아, 양호한 감기 자세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소한 것으로서, 감겨지는 자기 테이프의 감기 자세가 양호하게 되는 자기 테이프용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에, 도 23을 참조하면, 하측 카세트 하프(133)의 내면(도 23 중 상면)에 서의 릴 구멍(133a)의 가장자리부에는 각각 고리 형상 볼록부(133b)가 형성된다. 각 고리 형상 볼록부(133b)는 각각 자기 테이프 카세트(130)의 비사용시(도 23에 나타낸 상태), 각 테이프 릴(131)의 하측 플랜지(141)의 외면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각 고리 형상 볼록부(133b)는 각각 자기 테이프 카세트(130) 내부로의 분진 등의 침입을 극력 배제함과 동시에, 각 테이프 릴(131) 및 각 테이프 릴(131)에 감겨진 자기 테이프 t의 웨이트(무게)를 지탱한다.
상술한 종래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130)에서는 각 테이프 릴(131)의 사이즈(외경)가 커지면, 비사용시에 각 테이프 릴(131)의 하측 플랜지(141)가 자기 테이프 t의 웨이트를 완전하게는 지탱하지 못하여, 하측 플랜지(141)에서의 고리 형상 볼록부(53b)와의 맞닿는(당접하는) 부분보다 방사 방향 외측 부분의 휨 등의 이상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 각 테이프 릴(131)의 하측 플랜지(141)의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하측 플랜지(141)의 두께를 크게 하면, 자기 테이프 카세트(130)의 비사용시의 하측 플랜지(141)와 하측 카세트 하프(133)의 클리어런스(틈새)를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없으면, 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 카세트(130)의 반송시의 진동 등에 의해서 하측 플랜지(141)와 하측 카세트 하프(133)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해 버리는 등의 이상이 생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비사용시에 내부의 높은 방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의 변형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하측 플랜지와 하측 카세트 하프의 충분한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음에, 도 24를 참조하면, 종래, 예를 들어 베타 캠용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230)로서, 자기 테이프 t를 감은 한 쌍의 테이프 릴(231)을 상측 카세트 하프(232)와 쌍을 이루는 하측 카세트 하프(233) 내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한 것이 있다.
하측 카세트 하프(233)에서의 도 24 중 앞쪽의 개구부(234) 양측에는 각각 테이프 가이드(235)가 설치된다. 각 테이프 가이드(235)는 각각 한쪽의 테이프 릴(231)로부터 송출되어 다른쪽의 테이프 릴(231)에 감기는 자기 테이프 t를 안내하고, 자기 테이프 t를 상기 개구부(234)에서의 소정의 위치에 통과시킨다. 한편, 상측 카세트 하프(232)에는 하측 카세트 하프(233)의 개구부(234)를 덮는 리드(250)가 개폐가 자유롭게 장착된다.
각 테이프 릴(231)은 각각 대향하는 상측 플랜지(242) 및 하측 플랜지(243)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둔 상태로, 상측 플랜지(242)의 중심부(244)와 하측 플랜지(243)의 허브(245)를 고정해서 구성된다.
즉, 각 테이프 릴(231)에서는 각각 상측 플랜지(242)의 중심부(244)에 형성된 피벗 구멍(246)에, 하측 플랜지(243)의 허브(245) 상의 피벗(247)이 삽입된다. 또한, 하측 플랜지(243)의 허브(245)에서의 피벗(247)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위치에 돌출해서 설치된 복수의 용착용 보스(248)가 각각 상측 플랜지(242)의 중심부(244)에서의 용착용 보스(248)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용착용 보스 구멍(249)에 삽입된다.
이 상태로, 각 용착용 보스(248)의 선단면 대략 중앙에 각각 용착 혼(도시하지 않음)이 맞다음으로써, 각 용착용 보스(248)가 각각 초음파 용착된다. 이로서, 대향하는 상측 플랜지(242) 및 하측 플랜지(243)가 소정의 간극을 둔 상태로 고정된다.
도 25를 참조하면, 하측 플랜지(243)에서의 상측 플랜지(242)와의 대향 면(243a)(도 25 중 상면)에는 에어 배출용 오목부(251)(도 24에 있어서는 생략)가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하측 플랜지(243)를 금형 성형할 때에 형성된다. 각 에어 배출용 오목부(251)는 각각 자기 테이프 감기시의 동반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켜, 자기 테이프 t의 감기 흐트러짐 등을 방지한다.
상술한 종래의 벡터 캠용 자기 테이프 카세트(230)에서는 하측 플랜지(243)의 각 에어 배출용 오목부(251)의 가장자리부(252)에 각각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금형 성형에 수반하여 에지(253)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이 때문에, 자기 테이프 감기시, 에지(253)가 자기 테이프 t와 접촉하여 손상 등을 입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최근의 자기 테이프 기록의 고밀도화에 수반하여, 기록 정밀도 등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고, 베타 캠 등의 업무용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서 특히 문제로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테이프 릴과의 접촉에 수반한 자기 테이프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자기 테이프 기록의 고밀도화에 대응할 수 있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제공한다.
또, 이러한 종류의 테이프 릴에서는 허브의 높이가 테이프 폭보다 약간 높기 때문에 테이프가 감기 중에 상하로 이동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고, 허브에 감겨지는 자기 테이프가 부분적으로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개소 58-187083호 공보에는 허브의 둘레면이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구성의 테이프용 릴이 개시되어 있다. 도 26 (a)는 상기 공보에 기재된 테이프용 릴의 단면도이고, 도 26 (b)는 이 테이프용 릴의 허브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6에 도시한 종래의 테이프용 릴은 허브(320)의 상하에 플랜지(322, 324)를 갖고, 허브(320)와 하측 플랜지(324)가 일체로 수지로 성형되고, 허브(320)의 상단에 별체의 수지제 상측 플랜지(322)의 중앙부가 초음파 용착된 구성이다. 허브(320)의 외주면(320a)은 원형이지만, 그 원형 외주면(320a)의 중심선 A가 축 방향 B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 θ만큼 경사져 있다. 또한, 상하 플랜지(322, 324)의 대향하는 각 내면(322a, 324a)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확개(擴開)된 경사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허브(320)는 둘레면 전역이 경사져 있고, 평면에서 보아 180°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둘레면끼리는 축 방향이 다른 방향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이 테이프용 릴에 의하면, 허브(320)에 감겨지는 자기 테이프(326)는 평면에서 보아 180°마다 상하 어느 한쪽의 플랜지(322, 324)와 접촉하여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므로, 자기 테이프(326)가 축 방향 B로 부분적으로 돌출되지 않고 감겨진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금형으로부터의 허브 성형품의 빼냄(드로잉) 방향은, 허브의 축 방향과 동일하다. 그런데,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평면에서 보아 180°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둘레면끼리가 다른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허브(320)는, 사출 성형 후에 그대로 금형으로부터 축 방향 B를 따라 빼낼 수 없다. 따라서, 허브(320)의 제조시에는 슬라이드 코어 등을 이용한 금형이 필요하여, 금형이 복잡하게 됨과 동시에 제조가 곤란하다.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는 것으로서, 제조가 용이하고, 감겨지는 자기 테이프의 감기 자세가 양호하게 되는 자기 테이프용 릴 및 이 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음에, 종래 특개평 1-217782호 공보에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 감기 장치(440)로서, 테이프 릴(441)의 하측 플랜지(442)에 대향해서 설치된 영구 자석(443)에 의해, 테이프 릴(441)에 감기고 있는 자기 테이프(444)를 비접촉으로 하측 플랜지(442) 주변(도 27 중 우측)에 가압하고, 자기 테이프(444)의 감기 자세를 하측 플랜지(442) 내면을 기준으로 하여 조정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테이프 릴(441)은 구동 기구(445)의 회전축(446) 상에 부착되어 있고, 구동 기구(445)에 의해서 회전 구동됨으로써 자기 테이프(444)를 테이프 원반(도시하지 않음)에서 테이프 감기면(447)으로 감는다. 영구 자석(443)은 도넛 형상으로서, 관통 구멍(448)에 구동 기구(445)의 회전축(446)을 여유를 갖고 삽입한 상태로 지지부(449)를 거쳐서 감기 본체(450)에 지지된다.
상술한 종래의 자기 테이프 감기 장치(440)에서는 영구 자석(443)이 테이프 릴(441)의 하측 플랜지(442)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고, 자기 테이프(444)의 감기 자세를 하측 플랜지(442) 내면을 기준으로 하여 조정한다.
이 때문에,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기록 재생 장치에 걸고 자기 테이프(444)를 주행시킨 경우,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한 첫회의 테이프 주행과 2회째 이후의 테이프 주행에 의해 자기 테이프(444)의 주행 경로에 어긋남을 발생시켜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예를 들면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록 재생 장치(460)에 있어서, 첫회의 테이프 주행에서는 종래의 자기 테이프 감기 장치(440)에 의해서 테이프 릴(461)에 감긴 자기 테이프(462)는 도 28 중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도 28 중 하측으로 치우친 경로에서 주행한다. 이것은, 테이프 릴(461)의 하측 플랜지가 방사 방향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테이프 릴(461)에 감겨진 자기 테이프(462)가 외주측만큼 아래쪽으로 내려가기 때문이다. 또, 기록 재생 장치(460)에 의해서 테이프 릴(461)에 되감겨진 자기 테이프(462)를 재차 주행시키는 2회째 이후의 테이프 주행에서는, 자기 테이프(462)가 도 28 중 실선으로 나타낸 본래의 주행 경로에서 주행한다. 따라서, 기록 재생 장치(460)에 의한 첫회의 테이프 주행과 2회째 이후의 테이프 주행으로 자기 테이프(462)의 주행 경로에 어긋남을 발생시킨다.
이하, 자기 테이프(462)의 주행 경로에 어긋남을 발생시키는 원인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먼저, 기록 재생 장치(460)에서의 자기 테이프(62)의 주행 경로를 설명하면, 자기 테이프 카세트(463)의 테이프 릴(461)로부터 풀린 자기 테이프(462)가 테이프 가이드 TG0, 테이프 가이드 TG1, 테이프 가이드 TG2, 및 테이프 가이드 TG3에 의해서 안내된다. 이로서, 자기 테이프(462)와 기록 재생용 헤드(464)(실린더)의 상대 위치가 규정된다.
환언하면, 테이프 릴(461)로부터 풀린 자기 테이프(462)는 테이프 가이드 TG0을 거쳐서 테이프 가이드 TG1에 의해서 상한까지 일단 끌어올려지고, 테이프 가이드 TG1에 의한 상한 위치에서의 위치 규제를 받은 후, 테이프 가이드 TG2에 의해서 테이프 가이드 TG3과의 사이에서 본래의 위치에 위치 규제되고, 기록 재생용 헤드(464)에 소정의 상대 위치로써 접촉한다.
그러나, 종래의 자기 테이프 감기 장치(440)에 의해서 테이프 릴(461)에 감긴 자기 테이프(462)에서는 하측 플랜지에 테이퍼면이 있기 때문에, 테이프 릴(461)로부터의 송출 위치가 도 28 중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낮은(하측 플랜지(466) 주변의) 위치로 된다.
이 때문에, 테이프 릴(461)로부터 송출된 자기 테이프(462)는 도 28 중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가이드 TG1의 안내에 의한 상한 위치까지 도달할 수 없어, 테이프 가이드 TG1에 의한 상한 위치에서의 위치 규제를 받지 않는 채, 테이프 가이드 TG2 및 테이프 가이드 TG3에 의해서 위치 규제된다. 따라서, 테이프 가이드 TG2 및 테이프 가이드 TG3 사이에서의 자기 테이프(462)의 본래의 주행 경로에 어긋남을 발생시킨다. 이 현상은 감겨진 자기 테이프(462)가 외주측일수록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상과 같이, 기록 재생 장치(460)에 의한 첫회의 테이프 주행과 2회째 이후의 테이프 주행에서 자기 테이프(462)의 주행 경로에 어긋남을 발생시키면, 첫회의 테이프 주행시에서의 자기 테이프(462) 및 기록 재생용 헤드(464)의 상대 위치와, 2회째 이후의 테이프 주행시에서의 자기 테이프(462) 및 기록 재생용 헤드(464)의 상대 위치가 다르다. 그 결과, 자기 테이프(462)로의 기록 재생 상태로 호환성 불량을 수복할 수 없는 중대한 결함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제 6 목적은, 자기 테이프의 감기 자세를 테이프 릴의 상측 플랜지를 기준으로 하여 조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자기 테이프의 주행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자기 테이프 감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제 1 발명의 실시형태인 테이프 릴을 적용한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하측 카세트 하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M 카세트용 테이프 릴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M 카세트용 테이프 릴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저면도,
도 4는 L 카세트용 테이프 릴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L 카세트용 테이프 릴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본 저면도,
도 6은 제 2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기 테이프용 릴의 주요부의 1/2단면도,
도 7은 제 3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하측 카세트 하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주요부 단면도,
도 9는 제 3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주요부 단면도,
도 10은 제 4 발명의 실시형태인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하측 플랜지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B부 확대 단면도,
도 13은 제 5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기 테이프용 릴의 허브 및 클램프 부재의 분해 평면도,
도 14 (a)는 제 5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기 테이프용 릴의 허브 및 클램프 부재의 조합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4 (b)는 그의 측면도,
도 15 (a)는 제 5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자기 테이프용 릴의 허브 및 클램프 부재의 조합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5 (b)는 그 측면도,
도 16은 제 8 발명의 실시형태인 자기 테이프 감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17은 감기 속도와 피벗부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8은 감기 속도와 감기 자세 불량 발생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9는 감기 장력과 감기 자세 불량 발생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0은 종래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DVC)의 분해 사시도,
도 21은 종래의 L 카세트용 테이프 릴의 저면도,
도 22는 종래의 자기 테이프용 릴의 1/2단면도,
도 23은 종래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주요부 단면도,
도 24는 종래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베타 캠)의 분해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26 (a)는 종래의 자기 테이프용 릴의 단면도, 도 26 (b)는 허브의 개략 측면도,
도 27은 종래의 자기 테이프 감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8은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발명의 개시
상기 제 1 목적은, 제 1 발명인 상측 플랜지와, 이 플랜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상측 플랜지의 중앙부와 대향하는 면에 허브를 갖는 하측 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 플랜지의 상기 중앙부에 설치된 피벗 구멍에, 상기 허브에 돌출해서 설치된 피벗을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허브에서의 상기 피벗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위치에 돌출해서 설치된 용착용 보스를, 상기 상측 플랜지의 상기 중앙부에 설치된 용착용 보스 구멍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용착용 보스를 초음파 용착함으로써 상기 상측 플랜지 및 상기 하측 플랜지를 소정의 위치 관계로서 고정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플랜지의 상기 허브와 반대측의 면에는 금형 가공의 기준으로 되는 기준 링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기준 링보다 방사 방향 내측에 상기 용착용 보스를 초음파 용착할 때의 받이면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에 의해 달성된다.
제 1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에 있어서는, 상측 플랜지의 중앙부에 형성된 피벗 구멍에, 하측 플랜지와 일체의 허브에 돌출해서 설치된 피벗이 삽입된다. 또한, 허브에서 피벗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위치에 돌출해서 설치된 용착용 보스가, 상측 플랜지의 중앙부에 형성된 용착용 보스 구멍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용착용 보스를 초음파 용착한다. 이것에 의해, 상측 플랜지와 하측 플랜지가 소정의 위치 관계로서 고정된다.
하측 플랜지의 허브와 반대측의 면에는, 금형 가공의 기준으로 되는 기준 링이 설치된다. 또한, 하측 플랜지의 허브와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의 기준 링보다 방사 방향 내측에는 용착용 보스를 초음파 용착할 때의 받이면이 설치되다.
받이면은 용착용 보스를 초음파 용착할 때, 예를 들면 용착 받침대에 맞다음으로써 용착 혼으로부터의 압압력 및 초음파 발진에 따른 진동 등을, 예를 들면 용착 받침대로 받게 한다. 이 때, 받이면이 하측 플랜지의 허브와 반대측의 면에 서의 기준 링보다 방사 방향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용착 혼으로부터의 초음파의 발진 에너지는 예를 들면 용착용 보스에서 기준 링까지의 테이프 릴의 각 부위의 공진 등에 의한 손실을 받지 않는다.
또, 상기 제 2 목적은, 제 2 발명인 자기 테이프를 감는 허브와 이 허브의 상하단에 위치한 상하 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플랜지의 내면에는 방사 방향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구배가 형성되는 자기 테이프용 릴에 있어서, 상기 상하 플랜지의 상기 허브와의 인접부에 상기 허브의 측면과 직교하는 방사 방향의 소정폭의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용 릴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평탄면의 방사 방향의 폭은, 테이프 감기 시에 테이프 감기 개시부터 모터 속도 또는 테이프 장력이 일정하게 될 때까지, 즉 테이프 감기 능력이 일정하게 될 때까지의 테이프의 감기 두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술한 DVC의 경우, S, M, L의 전체 사이즈에 대해서, 상기 수평부의 방사 방향의 폭은 허브에 테이프를 고정시킨 클램프의 두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0.5∼5.0㎜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하의 평탄면 사이의 간격은, 자기 테이프의 폭보다 약간 크고, 자기 테이프의 주행에 장해로 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좁게 된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허브의 주위의 플랜지부에 구배가 없고 플랜지 사이가 평행하며, 자기 테이프의 감기 개시 시에 자기 테이프가 상하로 변동할 여유가 없기 때문에, 자기 테이프측 가장자리로 이루어지는 감기면이 정렬된 자기 테이프의 양호한 감기 자세가 얻어진다.
또, 상기 제 3 목적은, 제 3 발명인 대향 배치된 상측 플랜지 및 하측 플랜지를 소정의 위치 관계로서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프 릴과, 상측 카세트 하프와, 상측 카세트 하프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측 카세트 하프와의 사이의 내부 공간에 상기 테이프 릴을 수용함과 동시에, 테이프 릴 구동 수단의 삽입 및 분리용 릴 구멍을 갖는 하측 카세트 하프를 구비한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가 하측 카세트 하프의 릴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부분의 두께를 소정값 이상으로 설정한, 외측 고리 형상 리브로부터 연속되는 두꺼운 단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 3 목적은, 제 4 발명인 대향 배치된 상측 플랜지 및 하측 플랜지를 소정의 위치 관계로서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프 릴과, 상측 카세트 하프와, 상측 카세트 하프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측 카세트 하프와의 사이의 내부 공간에 상기 테이프 릴을 수용함과 동시에 테이프 릴 구동 수단의 삽입 및 분리용 릴 구멍을 갖는 하측 카세트 하프를 구비한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하측 카세트 하프 내면에서의 릴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고리 형상 볼록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고리 형상 볼록부보다 방사 방향 외측에 고리 형상 오목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 외면에 있어서의 고리 형상 오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고리 형상 오목부에 여유를 갖고 삽입되는 고리 형상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의해서 달성된다.
제 3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비사용시,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에서의 두께를 소정값 이상으로 설정한, 외측 고리 형상 리브로부터 연속되는 두꺼운 단차부가 하측 카세트 하프의 릴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는, 내부로의 분진 등의 침입이 방지되어, 높은 방진성이 확보된다.
또한, 테이프 릴 및 테이프 릴에 감겨진 자기 테이프가,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에 있어서의 두께를 소정값 이상으로 설정한 두꺼운 단차부를 거쳐서 하측 카세트 하프에 지지된다. 하측 플랜지에서, 두께를 소정값 이상으로 설정한, 외측 고리 형상 리브로부터 연속되는 두꺼운 단차부를 통한 테이프 릴의 지지 및 두께를 소정값 이상으로 설정한 부분에 의한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의 높은 강성에 의해, 대 직경 사이즈의 테이프 릴에서도 자기 테이프의 웨이트에 의한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의 변형 등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비사용시에서의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와 하측 카세트 하프와의 충분한 클리어런스가 확보된다.
제 4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비사용시, 하측 카세트 하프의 고리 형상 볼록부가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의 외면에 맞닿음과 동시에, 하측 플랜지의 고리 형상 돌기가 하측 카세트 하프의 고리 형상 오목부에 여유를 갖고 삽입되어 하측 카세트 하프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는, 내부로의 분진 등의 침입이 방지되어, 높은 방진성이 확보된다.
또한, 테이프 릴 및 테이프 릴에 감겨진 자기 테이프가 하측 카세트 하프의 고리 형상 볼록부 및 하측 플랜지의 고리 형상 돌기를 거쳐서 하측 카세트 하프에 지지된다. 하측 카세트 하프의 고리 형상 볼록부 및 하측 플랜지의 고리 형상 돌기를 거친 테이프 릴의 지지에 의해, 대 직경 사이즈의 테이프 릴에서도 비사용시에서의 자기 테이프의 웨이트에 의한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의 변형 등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하측 플랜지와 하측 카세트 하프와의 충분한 클리어런스가 확보된다.
또한, 상기 제 4의 목적은, 제 5 발명인 상측 플랜지와, 상기 상측 플랜지에 대향하여 소정의 위치 관계로서 고정되고, 자기 테이프의 감기면으로 되는 허브를 갖는 하측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플랜지에서의 상기 하측 플랜지와의 대향면 또는 상기 하측 플랜지에서의 상기 상측 플랜지와의 대향면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자기 테이프 감기시의 동반 에어를 배출시키는 에어 배출용 오목부 또는 에어 배출용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에어 배출용 오목부 또는 상기 에어 배출용 관통구멍에서의 적어도 플랜지 반경 방향을 따르는 2변의 가장자리부에는 각각 R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릴을 구비한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의해서 달성된다.
제 5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테이프 릴에 자기 테이프를 감을 때, 에어 배출용 오목부 또는 에어 배출용 관통구멍이 동반 에어를 배출시키는 유로로서 기능하여, 자기 테이프의 감기 흐트러짐 등을 방지한다. 이 때, 테이프 릴에서의 에어 배출용 오목부의 가장자리부에 자기 테이프가 접촉된 경우에도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소요의 R형상에 의해서 자기 테이프의 손상 등이 방지된다.
또, 상기 제 5 목적은, 제 6 발명인 자기 테이프를 감는 허브에 형성된 오목부와의 사이에 리더 테이프를 끼워 유지하는 클램프 부재의 외면과, 평면에서 보아 상기 오목부와 180°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허브의 둘레면이, 축 방향의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용 릴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 상기 제 5 목적은, 제 7 발명인 자기 테이프를 감는 허브에, 클램프 부재에 의해 리더 테이프를 끼워 유지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평면에서 보아 상기 오목부와 180°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허브의 둘레면이 축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면인 자기 테이프용 릴을 사출 성형하고, 성형품을 축 방향을 따라서 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용 릴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제 6 및 제 7 발명에 의하면, 허브는 경사진 둘레면이 축심의 한쪽에만 있고, 경사진 둘레면의 반사측인 클램프 부재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는 경사져 있지 않으므로, 성형후에 허브를 축 방향을 따라 그대로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코어 등을 이용한 복잡한 금형이 필요 없어, 간단한 구성의 금형으로 용이하게 허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부재는 둘레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지만, 사출 성형후에 마찬가지로 축 방향을 따라 그대로 빼낼 수 있으므로, 클램프 부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도 슬라이드 코어 등을 이용한 복잡한 금형이 필요 없어, 간단한 구성의 금형으로 용이하게 클램프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 목적은, 제 8 발명인 테이프 릴을 회전시킴으로써, 자기 테이프를 테이프 릴에 감기 속도 2∼2. 5m/s 및 감기 장력 60∼70g로 감도록 하는 구동수단, 네오듐을 재질로 한 자속 밀도 12800∼13300G의 자석을 갖고, 테이프 릴의 상측 플랜지에 12∼17㎜의 간격을 두고 대향해서 설치되고, 테이프 릴의 상측 플랜지측으로부터 자기 테이프에 자계를 작용시키는 자계 발생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감기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측 자계 발생 수단에서 테이프 릴의 상측 플랜지에 대향하는 면적은, 테이프 릴에 감겨지는 자기 테이프의 측면측의 면적의 1.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8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 감기 장치에 있어서, 구동 수단은 테이프 릴을 회전시킴으로써, 테이프 원반으로부터의 자기 테이프를 테이프 릴에 감기 속도 2∼2. 5m/s 및 감기 장력 60∼70g로 감는다. 또한, 네오듐을 재질로 한 자속밀도 12800∼13300G의 자석을 갖는 자계 발생 수단은, 테이프 릴의 상측 플랜지에 12∼17㎜의 간격을 두고 대향한 위치로부터 자기 테이프에 자계를 작용시킨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릴의 상측 플랜지측으로부터 자기 테이프에 자계 발생 수단에 의한 자계를 균일하게 작용시킨다.
제 8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 감기 장치에 있어서는, 자계 발생 수단에서의 테이프 릴의 상측 플랜지에 대향하는 면적이, 테이프 릴에 감겨지는 자기 테이프의 측면측의 면적의 1.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제 1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릴을 적용한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하측 카세트 하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2는 M 카세트용 테이프 릴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M 카세트용 테이프 릴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저면도이다. 또, 도 4는 L 카세트용 테이프 릴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L 카세트용 테이프 릴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M 사이즈 또는 L 사이즈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610)는 자기 테이프 t(도 20 참조)를 감은 한 쌍의 테이프 릴(612a, 612b)(도면 중 우측의 테이프 릴은 도시 생략)을 상측 카세트 하프(도시하지 않음)와 쌍을 이루는 하측 카세트 하프(611)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구성된다. 하측 카세트 하프(611)는 ABS 수지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도 1∼도 5를 참조하면, M 사이즈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610)의 테이프 릴(612a)(이하, M 카세트용 테이프 릴(612a)이라고 한다) 또는 L 사이즈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610)의 테이프 릴(612b)(이하, L 카세트용 테이프 릴(612b)이라고 한다)은 각각 상측 플랜지(614)와 상측 플랜지(614)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상측 플랜지(614)의 중앙부(613)와 대향하는 면에 허브(615)를 갖는 하측 플랜지(616)를 구비한다.
상측 플랜지(614) 및 하측 플랜지(616)는 소정의 위치 관계로서 고정된다. 상측 플랜지(614)는 예를 들면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하측 플랜지(616)는 예를 들면 불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측 플랜지(614)에는 피벗 구멍(617) 및 용착용 보스 구멍(618)이 형성된다. 피벗 구멍(617)은 상측 플랜지(614)의 중앙부(613)의 대략 중앙에 관통해서 형성된다. 용착용 보스 구멍(618)은 상측 플랜지(614)의 중앙부(613)에서의 후술하는 용착용 보스(620)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하여 용착용 보스(620)와 동수로 형성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측 플랜지(616)에는 피벗(619) 및 용착용 보스(620)가 각각 허브(615)의 상면에 돌출해서 설치된다. 즉, 허브(615)는 허브 중심부(621)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주위에 자기 테이프 t의 감기면으로 되는 측벽(622)을 설치하고, 또 허브 중심부(621) 및 측벽(622)을 허브(615)의 방사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리브(623)에 연결하여 구성된다.
피벗(619)은 허브 중심부(621)의 상면 대략 중앙에 돌출해서 설치된다. 또한, 용착용 보스(620)는 허브 중심부(621)의 상면에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도 1에서는 3개) 돌출해서 설치된다.
각 테이프 릴(612a, 612b)에서는 각각 상측 플랜지(614)의 중앙부(613)에 형성된 피벗 구멍(617)에 하측 플랜지(616)의 허브(615)에 돌출해서 설치된 피벗(619)이 삽입된다. 또한, 하측 플랜지(616)의 허브(615)에 돌출해서 설치된 용착용 보스(620)가 상측 플랜지(614)의 중앙부(613)에 형성된 용착용 보스 구멍(618)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각 용착용 보스(620)의 선단면(도 2 및 도 4 중 상단면) 대략 중앙에 용착 혼(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맞다음으로써, 각 용착용 보스(620)가 초음파 용착된다. 이것에 의해, 상측 플랜지(614) 및 하측 플랜지(616)가 소정의 위치 관계로서 고정된다.
하측 플랜지(616)의 허브(615)와 반대측의 면(616a)(이하, 바닥면(616a)이라고 한다)에는 금형 가공의 기준으로 되는 기준 링(624)이 설치된다. 또한, 하측 플랜지(616)의 바닥면(616a)에서의 기준 링(624)보다 방사 방향 내측에는 용착용 보스(620)의 초음파 용착시의 받이면(625)이 설치된다. 받이면(625)은 용착용 보스(620)가 초음파 용착될 때 도시하지 않는 용착 받침대에 맞다음으로써, 용착 혼으로부터의 압압력 및 초음파 발진에 따른 진동 등을 용착 받침대로 받게 한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M 카세트용 테이프 릴(612a)의 하측 플랜지(616)에서, 받이면(625)이 하측 플랜지(616)의 바닥면(616a)에서의 허브 중심부(621)의 기단을 따라 고리 형상으로 바닥면(616a)에서 도 2 중 아래쪽으로 소정량 돌출된 링 부(626)의 도 2 중 하면으로서 설치된다. 받이면(625)은 용착용 보스(620)의 바로 아래보다 약간 방사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바닥면(616a)에서의 기준 링(624)과 받이면(625) 사이의 공간에는 캐비티 번호 등의 볼록부(627a) 등이 배치된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L 카세트용 테이프 릴(612b)의 하측 플랜지(616)에서, 받이면(625)이 하측 플랜지(616)의 바닥면(616a)에서의 허브 중심부(621)의 기단과 기준 링(624)의 내주면 사이에,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의 복수개(도 5에서는 3개)의 영역으로서 설치된다. 즉, 받이면(625)은 하측 플랜지(616)의 바닥면(616a)에서의 허브 중심부(621)의 기단과 기준 링(624)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면적비로 6등분한 영역 중의 1영역 걸러의 3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다른 3개의 영역(628)보다 도 4 중 아래쪽으로 소정량 돌출되어 있다. 받이면(625)으로 되는 각 영역의 방사 방향 내측단은 용착용 보스(62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받이면(625)을 구성하지 않는 다른 3개의 영역(628)에는 각각 캐비티 번호의 볼록부(627a), 돌출 자국(627b), 게이트 볼록부(627c) 등이 배치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받이면(625)과 기준 링(624)의 기준 면(도 2 및 도 4 중 하면)의 도 2 및 도 4 중 수직 방향을 따르는 간격 C1, C2는 M 카세트용 테이프 릴(612a)의 하측 플랜지(616)와 L 카세트용 테이프 릴(612b)의 하측 플랜지(616)에서 대략 동일하다(C1=C2). 따라서, 용착용 보스(620)가 초음파 용착될 때 테이프 릴(612a, 612b)의 받이면(625)이 맞닿는 용착 받침대에 대한 테이프 릴(612a, 612b)의 상대 위치는, M 카세트용 테이프 릴(612a)과 L 카세트용 테이프 릴(612b)에서 변경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M 카세트용 테이프 릴(612a)의 각 용착용 보스(620)의 초음파 용착과 L 카세트용 테이프 릴(612b)의 각 용착용 보스(620)의 초음파 용착을 동일한 설비로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각 용착용 보스(620)가 초음파 용착될 때, 받이면(625)이 용착 받침대에 맞다음으로써, 용착 혼으로부터의 압압력 및 초음파 발진에 따른 진동 등을 용착 받침대로 받게 한다. M 카세트용 테이프 릴(612a)의 받이면(625)은 하측 플랜지(616)의 바닥면(616a)에서의 허브 중심부(621)의 기단을 따라 고리 형상으로 바닥면(616a)에서 도 2 중 아래쪽으로 돌출된 링 부(626)의 도 2 중 하면으로서 설치된다. 또한, L 카세트용 테이프 릴(612b)의 받이면(625)은 하측 플랜지(616)의 바닥면(616a)에서의 허브 중심부(621)의 기단과 기준 링(624)의 내주면 사이에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의 3개의 영역으로서 설치된다.
받이면(625)과 기준 링(624)의 상측 위치 관계에 따라서, 용착 받침대에 맞닿은 받이면(625)은 용착용 보스(648)를 대략 바로 아래에서 지지한다. 따라서, 용착 혼으로부터의 초음파의 발진 에너지가, 예를 들면 용착용 보스(620)에서 기준 링(624)까지의 테이프 릴(612a, 612b)의 각 부위의 공진 등에 의한 손실을 받지 않고 용착 혼으로부터 용착용 보스(620)로 유효하게 전달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M 카세트용 테이프 릴(612a)의 받이면(625)을 하측 플랜지(616)의 바닥면(616a)에서의 허브 중심부(621)의 기단을 따라 고리 형상으로 바닥면(616a)에서 도 2 중 아래쪽으로 소정량 돌출된 링 부(626)의 도 2 중 하면으로서 설치하고, 또한 L 카세트용 테이프 릴(612b)의 받이면(625)을 하측 플랜지(616)의 바닥면(616a)에서의 허브 중심부(621)의 기단과 기준 링(624)의 내주면 사이에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의 3개의 영역으로서 설치하였다. 따라서, 용착 혼으로부터의 초음파의 발진 에너지를, 용착용 보스(620)에서 기준 링(624)까지의 테이프 릴(612a, 612b)의 각 부위의 공진 등에 의한 손실을 받지 않고 용착 혼으로부터 용착용 보스(620)로 유효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용착 혼에서 용착용 보스(620)로의 초음파의 발진 에너지의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용착 시간의 단축 및 양산 적성 및 용착 안정성의 확보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 발명에 의하면, 용착용 보스를 초음파 용착할 때의 받이면을 하측 플랜지의 허브와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의 기준 링보다 방사 방향 내측에 설치했으므로, 초음파의 발진 에너지의 용착용 보스로의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용착용 보스의 초음파 용착에 필요한 시간의 단축 및 용착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기준 링과 받이면의 거리를 릴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함으로써, 용착을 동일한 설비로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제 2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6은 제 2 발명의 1 실시형태에 따른 자기 테이프용 릴의 주요부 1/2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성은 도 20∼도 22에 나타내는 종래의 자기 테이프용 릴과 일부의 구성이 다를 뿐이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도 6에 나타낸 자기 테이프용 릴은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이하, 「DVC」라고 한다)의 방송국용으로 M 사이즈의 것이다. 상측 플랜지(142)의 내면에는 허브(145)의 부근에서 방사 방향 외측을 향하여 위쪽으로 경사지는 구배면(142b)이 형성되고, 하측 플랜지(143)의 내면에는 허브(145)의 부근에서 방사 방향 외측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구배면(14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사가 과장하여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하 플랜지(142, 143)의 내면에는, 허브(145)의 측벽(145b)에 인접하고, 측벽(145b)과 직교하는 소정 폭W의 평탄면(142c, 143c)이 측벽(145b)과 구배면(142b, 143b)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양 평탄면(142c, 143c)은 측벽(145b)을 둘러싼 링형상으로 되어 있다.
양 평탄면(142c, 143c)의 폭 W는 동일하고, 이 폭 W는 자기 테이프를 감기 시작하고 나서 자기 테이프의 주행 속도 및 테이프 장력이 일정하게 되고 자기 테이프의 주행이 안정하게 될 때까지의 감기 두께 이상의 길이에 상당한다. 또, 평탄 면(142c, 143c) 사이의 간격 H는 측벽(145b)의 높이와 동일하고, 자기 테이프의 폭보다 약간 크며, 자기 테이프의 주행에 장해가 없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좁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M 사이즈의 DVC의 릴이므로, 자기 테이프의 폭 6. 35㎜에 대하여, 평탄면(142c, 143c)의 폭 W는 2. 3㎜이고, 평탄면 사이의 간격 H는 6. 7㎜이다.
상하의 구배면(142b, 143b)은 평탄면(142c, 143c)과의 경계부 c, d에서부터 경사가 시작되고 있고, 방사 방향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하 플랜지의 간격이 넓어져, 자기 테이프의 주행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자기 테이프는 리더 테이프의 한쪽 끝에 접합되고, 리더 테이프의 다른쪽 끝이 클램핑에 의해 허브(145)의 측벽(145b)에 고정되어 감겨진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자기 테이프 카세트가 기록 재생 장치 등에 장전되어 자기 테이프가 감겨지기 시작하면, 감기 초기에서는 릴 구동 수단의 회전 속도가 서서히 상승하기 때문에 자기 테이프의 주행 속도도 서서히 상승한다. 또한, 주행 속도의 상승에 따라 테이프 장력도 서서히 상승한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의 감기 초기에서는 주행 상태가 안정되어 있지 않아, 상하 방향의 요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자기 테이프가 평탄면(142c, 143c) 사이에 감겨지는 감기 초기에서, 자기 테이프는 상하 플랜지가 평탄면(142c, 143c)에 의해서 상하의 둘레 가장자리가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주행이 불안정하더라도 상하 방향의 요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둘레 가장자리가 정렬 상태로 되고, 둘레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는 감기면이 평탄하게 되어, 양호한 감기 자세가 얻어진다.
또한, 자기 테이프가 평탄면(142c, 143c) 사이를 가로질러 경사면(142b, 143b) 사이에서 감겨질 때에는 릴 구동 수단이 이미 일정 속도로 회전하고 있고, 테이프 속도 및 테이프 장력도 안정되어 있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는 경사면(142b, 143b) 사이에 감겨져 있을 때에는 상하 방향의 요동이 발생할 우려가 없어, 감기 자세가 흐트러질 우려는 없다. 따라서, 상하 플랜지(142, 143) 사이의 전역에 걸쳐 자기 테이프의 양호한 감기 자세가 얻어진다.
또한, 평탄면(142c, 143c)의 폭 W가 0. 5∼5. 0㎜, 평탄면 사이의 간격 H가 6.6∼6.8㎜이면,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양호한 감기 자세가 얻어진다.
또한, 제 2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제 2의 발명의 취지에 근거하여 적절히 변경, 개량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2 발명은 DVC용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자기 테이프 카세트라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제 2 발명에 의하면, 상하 플랜지의 허브와의 인접부에 허브의 측면과 직교하는 방사 방향의 소정 폭의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플랜지의 평탄면 사이에 자기 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감기 초기 동안에는, 자기 테이프는 둘레 가장자리가 평탄면으로 구성되므로, 상하 방향의 요동을 발생시킬 우려가 없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의 둘레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된 감기면이 평탄하게 되고, 자기 테이프의 양호한 감기 자세가 얻어진다.
다음에, 제 3 발명의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7은 제 3 발명의 실시형태인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하측 카세트 하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7에서, 자기 테이프 카세트(710)는 자기 테이프 t(도 20 참조)를 감은 한 쌍의 테이프 릴(712)(도 7 중 우측의 테이프릴은 도시 생략)을, 상측 카세트 하프(710a)(도 8 참조)와 쌍을 이루는 하측 카세트 하프(711)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구성된다.
하측 카세트 하프(711)는 ABS 수지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도 7 중 좌우 한쌍의 릴 구멍(711a)을 갖는다. 각 릴 구멍(711a)은 각각 자기 테이프 카세트(710)가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장전된 상태에서, 구동 장치의 테이프 릴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를 삽입 및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자기 테이프 카세트(710)의 테이프 릴(712)은 각각 상측 플랜지(714)와, 상측 플랜지(714)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측 플랜지(714)의 중앙부(713)와 대향하는 면에 허브(715)를 갖는 하측 플랜지(716)를 구비한다.
상측 플랜지(714) 및 하측 플랜지(716)는 상측 플랜지(714)의 중앙부(713) 하면에 하측 플랜지(716)의 허브(715) 상면을 맞닿게 한 상태로 고정된다. 상측 플랜지(714)는 예를 들면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하측 플랜지(716)는 예를 들면 불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측 플랜지(714)에는 피벗 구멍(717) 및 용착용 보스 구멍(718)이 설치된다. 피벗 구멍(717)은 상측 플랜지(714)의 중앙부(713) 대략 중앙에 관통해서 형성된다. 용착용 보스 구멍(718)은 상측 플랜지(714)의 중앙부(713)에서의 후술하는 용착용 보스(720)에 대응한 위치에 관통해서 용착용 보스(720)와 동수로 형성된다.
하측 플랜지(716)에는 피벗(719) 및 용착용 보스(720)가 각각 허브(715)의 상면에 돌출해서 설치된다. 허브(715)에는 허브 중심부(721)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주위에 자기 테이프 t의 감기면으로 되는 측벽(722)을 설치하고, 또 허브 중심부(721) 및 측벽(722)을 복수의 리브(723)에 의해 연결하여 구성된다.
피벗(719)은 허브 중심부(721)의 상면 대략 중앙에 돌출해서 설치된다. 또한, 용착용 보스(720)는 허브 중심부(721)의 상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벗(719)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으로 120°마다 1개씩 합계 3개) 돌출해서 설치된다.
각 테이프 릴(712)에서는 각각 상측 플랜지(714)의 플랜지부(713)에 설치된 피벗 구멍(717)에, 하측 플랜지(716)의 허브(715)에 돌출해서 설치된 피벗(719)이 삽입된다. 또한, 하측 플랜지(716)의 허브(715)에 돌출해서 설치된 용착용 보스(720)가 상측 플랜지(714)의 중앙부(713)에 형성된 용착용 보스 구멍(718)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각 용착용 보스(720)의 선단면(도 8 중 상단면) 대략 중앙에, 용착 혼(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맞다음으로써, 각 용착용 보스(720)가 초음파 용착된다. 이로서, 상측 플랜지(714) 및 하측 플랜지(716)가 소정의 위치 관계로서 고정된다.
하측 플랜지(716)의 허브(715)와 반대측의 바닥면에는, 바깥쪽 고리 형상 리브(724)가 설치됨과 동시에, 외측 고리 형상 리브(724)보다 방사 방향 내측에 내측 고리 형상 리브(725)가 설치된다. 외측 고리 형상 리브(724) 및 내측 고리 형상 리브(725)는 각각 용착용 보스(720)보다 피벗(719)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있는 위치에 있다.
외측 고리 형상 리브(724)는 하측 카세트 하프(711)의 릴 구멍(711a)의 내경보다 소정량 작은 외경을 갖고 있고, 각 릴 구멍(711a)에 삽입된다.
하측 플랜지(716)는, 하측 카세트 하프(711)의 릴 구멍(711a)의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외측 고리 형상 리브(724)로부터 연속되는 두꺼운 단차부(716a)의 두께를 소정값 이상으로 설정하고, 다른 부분에 비해 도 8 중 하측에 약간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하측 플랜지(716)의 두꺼운 단차부(716a)는, 하측 플랜지(716)에 높은 강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자기 테이프 카세트(710)가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장전되지 않는 비사용시에, 하측 카세트 하프(711)의 릴 구멍(711a)의 가장자리부에 맞닿아 테이프 릴(712)을 하측 카세트 하프(711)에 지지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자기 테이프 카세트(710)가 구동 장치에 장전되지 않는 비사용시, 각 테이프 릴(712)의 하측 플랜지(716)의 두꺼운 단차부(716a)가 각각 하측 카세트 하프(711) 내면에서 각 릴 구멍(711a)의 가장자리부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710) 내부로의 분진 등의 침입이 방지되고, 자기 테이프 카세트(710)의 높은 방진성이 확보된다.
또한, 각 테이프 릴(712) 및 각 테이프 릴(712)에 감겨진 자기 테이프 t가 하측 플랜지(716)의 두꺼운 단차부(716a)를 거쳐서 하측 카세트 하프(711)에 지지된다. 하측 카세트 하프(711)로의 각 테이프 릴(712)의 두꺼운 단차부(716a)를 통한 지지 및 두꺼운 단차부(716a)에 의한 각 테이프 릴(712)의 하측 플랜지(716)의 높은 강성에 의해서, 대 직경 사이즈의 테이프 릴에서도 비사용시에서의 자기 테이프 t의 웨이트에 의한 각 테이프 릴(712)의 하측 플랜지(716)의 변형 등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로서, 하측 플랜지(716)와 하측 카세트 하프(711)와의 충분한 클리어런스 A가 확보된다.
다음에, 제 4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9는 제 4 발명의 실시형태인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730)에 있어서, 하측 카세트 하프(731)의 내면(도 9 중 상면)에서의 각 릴 구멍(731a)의 가장자리부에는, 고리 형상의 볼록부(732)가 각각 형성된다. 각 고리 형상 볼록부(732)는 각각 자기 테이프 카세트(730)의 비사용시에, 각 테이프 릴(740)의 하측 플랜지(741)의 외면에 맞닿는다. 이로서, 각 고리 형상 볼록부(732)는 각각 자기 테이프 카세트(730) 내부로의 분진 등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각 테이프 릴(740) 및 각 테이프 릴(740)에 감겨진 자기 테이프 t(도 20 참조)의 웨이트를 지탱한다.
또, 각 테이프 릴(740)의 하측 플랜지(741)에, 두꺼운 단차부(716a)(도 8 참조)는 형성되지 않는다. 각 테이프 릴(740)의 하측 플랜지(741)의 외면(도 9 중 하면)에서의 릴 구멍(731a)의 가장자리부보다 방사 방향 내측(도 9 중 좌측) 부분에는 고리 형상 리브(742)가 각각 설치된다. 각 고리 형상 리브(742)는 각각 하측 카세트 하프(731)의 릴 구멍(731a)의 내경보다 소정량 작은 외경을 갖고 있고, 각 릴 구멍(731a)에 여유를 갖고 삽입된다.
또, 각 테이프 릴(740)의 하측 플랜지(741)의 외면에서의 고리 형상 리브(742)보다 방사 방향 외측(도 9 중 우측)에는, 고리 형상 돌기(743)가 각각 설치된다. 각 고리 형상 돌기(743)는 각각 자기 테이프 카세트(730)의 비사용시, 하측 카세트 하프(731) 내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 오목부(733)에 여유를 갖고 삽입되어, 하측 카세트 하프(731)에 맞닿는다. 이로서, 각 고리 형상 돌기(743)는 각각 각 테이프 릴(740) 및 각 테이프 릴(740)에 감겨진 자기 테이프 t의 웨이트를 지탱한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 3 발명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자기 테이프 카세트(730)의 비사용시, 하측 카세트 하프(731)의 각 고리 형상 볼록부(732)가 각각 각 테이프 릴(740)의 하측 플랜지(741)의 대향하는 외면에 맞닿음과 동시에, 하측 플랜지(741)의 각 고리 형상 돌기(743)가 각각 하측 카세트 하프(731)의 고리 형상 오목부(733)에 여유를 갖고 삽입되어, 하측 카세트 하프(731)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730) 내부로의 분진 등의 침입이 방지되어, 자기 테이프 카세트(730)의 높은 방진성이 확보된다.
또, 각 테이프 릴(740) 및 각 테이프 릴(740)에 감겨진 자기 테이프 t가 하측 카세트 하프(731)의 각 고리 형상 볼록부(732) 및 하측 플랜지(741)의 각 고리 형상 돌기(743)를 거쳐서 하측 카세트 하프(731)에 지지된다. 하측 카세트 하프(731)의 각 고리 형상 볼록부(732) 및 하측 플랜지(741)의 각 고리 형상 돌기(743)에 의한 각 테이프 릴(740)의 하측 카세트 하프(731)로의 지지에 의해, 대 직경 사이즈의 테이프 릴에 있어도 비사용시에 있어서의 자기 테이프 t의 웨이트에 의한 각 테이프 릴(740)의 하측 플랜지(741)의 변형 등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로서, 하측 플랜지(741)와 하측 카세트 하프(731)와의 충분한 클리어런스 B가 확보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제 3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자기 테이프 카세트(710)의 비사용시, 하측 카세트 하프(711) 내면에서의 각 릴 구멍(711a)의 가장자리부에 맞닿는 두꺼운 단차부(716a)가 하측 플랜지(716)에 형성된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 카세트(710) 내부로의 분진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자기 테이프 카세트(710)의 높은 방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카세트 하프(711)로의 각 테이프 릴(712)의 두꺼운 단차부(716a)를 통한 지지 및 두꺼운 단차부(716a)에 의한 각 테이프 릴(712)의 하측 플랜지(716)의 높은 강성에 의해, 대 직경 사이즈의 테이프 릴에서도 자기 테이프 t의 웨이트에 의한 각 테이프 릴(712)의 하측 플랜지(716)의 변형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로서, 비사용시에서의 하측 플랜지(716)와 하측 카세트 하프(711)와의 충분한 클리어런스 A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4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자기 테이프 카세트(730)의 비사용시, 각 테이프 릴(740)의 하측 플랜지(741)의 외면에 맞닿는 고리 형상 볼록부(732)가, 하측 카세트 하프(731)의 내면에서의 각 릴 구멍(731a)의 가장자리부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 카세트(730) 내부로의 분진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자기 테이프 카세트(730)의 높은 방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자기 테이프 카세트(730)의 비사용시, 하측 카세트 하프(731) 내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 오목부(733)에 여유를 갖고 삽입되는 고리 형상 돌기(743)가, 각 테이프 릴(740)의 하측 플랜지(741)의 외면에 있어서의 고리 형상 리브(742)보다 방사 방향 외측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 카세트(730)의 비사용시, 각 테이프 릴(740) 및 각 테이프 릴(740)에 감겨진 자기 테이프 t의 웨이트를, 하측 카세트 하프(731)의 각 고리 형상 볼록부(732) 및 하측 플랜지(741)의 각 고리 형상 돌기(743)를 거쳐서 하측 카세트 하프(731)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대 직경 사이즈의 테이프 릴에 있어도 비사용시에서 자기 테이프 t의 웨이트에 의한 각 테이프 릴(740)의 하측 플랜지(741)의 변형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하측 플랜지(741)와 하측 카세트 하프(731)와의 충분한 클리어런스 B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3 발명에 의하면,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는 하측 카세트 하프의 릴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부분의 두께를 소정값 이상으로 설정한, 외측 고리 형상 리브로부터 연속되는 두꺼운 단차부를 갖는다.
따라서, 비사용시에 있어서의 내부의 높은 방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의 변형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하측 플랜지와 하측 카세트 하프와의 충분한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 4 발명에 의하면, 하측 카세트 하프 내면에 있어서의 릴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고리 형상 볼록부가 형성됨과 함께, 고리 형상 볼록부보다 방사 방향 외측에 고리 형상 오목부가 형성되고, 또한,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 내면에 있어서의 고리 형상 오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고리 형상 오목부에 여유를 갖고 삽입되는 고리 형상 돌기가 설치된다.
따라서, 비사용시에서의 내부의 높은 방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의 변형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하측 플랜지와 하측 카세트 하프와의 충분한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제 5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0은 제 5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하측 플랜지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하측 플랜지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우선, 본 실시형태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전체 구성을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자기 테이프 카세트는 자기 테이프 t가 감겨지는 한 쌍의 테이프 릴(810)을 상측 카세트 하프(811)와 쌍을 이루는 하측 카세트 하프(812)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구성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각 테이프 릴(810)은 각각 중심부(813)(도 24 참조)를 갖는 상측 플랜지(814)(도 24 참조)와, 상측 플랜지(814)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측 플랜지(814)와 대향하는 면에 허브(815)를 갖는 하측 플랜지(816)를 구비한다. 상측 플랜지(814) 및 하측 플랜지(816)는 소정의 간극을 둔 상태로 고정된다. 상측 플랜지(814)는 예를 들면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하측 플랜지(816)는 예를 들면 불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측 플랜지(814)에는 피벗 구멍(817)(도 24 참조) 및 용착용 보스 구멍(818) (도 24 참조)이 형성된다. 피벗 구멍(817)은 상측 플랜지(814)의 중심부(813) 대략 중앙에 관통하여 형성된다. 용착용 보스 구멍(818)은 상측 플랜지(814)의 중심부(813)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용착용 보스(820)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하여 용착용 보스(820)와 동수로 형성된다.
하측 플랜지(816)에는 피벗(819) 및 용착용 보스(820)가 각각 허브(815)의 상면에 돌출해서 설치된다. 즉, 허브(815)에는, 허브 중심부(821)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주위에 내측 측벽(822)을 설치하고, 또 내측 측벽(822)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주위에 자기 테이프 t(도 24 참조)의 감기면으로 되는 외측 측벽(823)을 설치해서 구성되어 있다. 내측 측벽(822) 및 외측 측벽(823)은 허브(815)의 방사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리브(824)에 의해 연결된다.
피벗(819)은 허브 중심부(821)의 상면 대략 중앙에 돌출해서 설치된다. 또한, 용착용 보스(820)는, 내측 측벽(822)의 상면에서의 피벗(819)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위치에, 내측 측벽(822)의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돌출해서 설치된다. 각 리브(824)는 각각 내측 측벽(822)의 측면과 하부(815)의 방사 방향에 대향하는 외측 측벽(823)의 내면 사이에 설치된다.
각 테이프 릴(810)에 있어서는 각각 상측 플랜지(814)의 중심부(813)에 형성된 피벗 구멍(817)에 하측 플랜지(816)의 허브(815)에 돌출해서 설치된 피벗(819)이 삽입된다. 또한, 하측 플랜지(816)의 허브(815)에 돌출해서 설치된 용착용 보스(820)가 각각 상측 플랜지(814)의 중심부(813)에 형성된 용착용 보스 구멍(818)에 여유를 갖고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각 용착용 보스(820)의 선단면 대략 중앙(도 11 중 상단면 대략 중앙)에 용착 혼(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맞다음으로써, 각 용착용 보스(820)가 초음파 용착된다. 이로서, 상측 플랜지(814) 및 하측 플랜지(816)가 소정의 위치 관계로서 고정된다.
도 10∼도 12를 참조하면, 하측 플랜지(816)에 있어서의 상측 플랜지(814)와의 대향면(816a)(도 11 중 상면)에는 에어 배출용 오목부(825)가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하측 플랜지(816)를 금형 성형할 때 형성된다. 각 에어 배출용 오목부(825)는 각각 하측 플랜지(816)의 방사 방향 외측을 향하여 끝부분이 넓어지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0. 2㎜의 깊이를 갖는다. 각 에어 배출용 오목부(825)는 각각 자기 테이프 t 감기시의 동반 에어를 배출시킨다.
각 에어 배출용 오목부(825)의 가장자리부(825a)에는 각각 각 에어 배출용 오목부(825)의 바닥면(825b)과 하측 플랜지(816)의 도 11 중 상면(816a)을 연결하는 경사면(825c)이 형성된다. 각 에어 배출용 오목부(825)의 바닥면(825b)과 경사면(825c)의 경계 부분 및 하측 플랜지(816)의 도 11 중 상면(816a)과 경사면(825c)의 경계 부분에는 각각 각 에어 배출용 오목부(825)의 전체 둘레에 걸쳐 필요한 R 형상(826)이 형성되어 있어, 에지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베타 캠용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도, R 형상(826)으로서는 반경 1㎜에서 4㎜(R1∼R4)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각 에어 배출용 오목부(825)는 각각 하측 플랜지(816)를 관통하는 에어 배출용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으로서 형성해도 좋다. 또한, 필요한 R형상(826)은 각 에어 배출용 오목부(825)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각 에어 배출용 오목부(825)에 있어서의 적어도 플랜지 반경 방향을 따르는 2변의 가장자리부(하측 플랜지(816)의 상면(816a)과 경사면(825c)의 경계 부분)에 의한 손상이 특히 많다고 생각되므로, 적어도 상기 2변에 형성하면 좋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에 자기 테이프 t를 감을 때, 하측 플랜지(816)의 각 에어 배출용 오목부(825)는 각각 동반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로로서 기능하여, 자기 테이프 t의 감기 흐트러짐 등을 방지한다. 이 때, 하측 플랜지(816)에서의 각 에어 배출용 오목부(825)의 가장자리부(825a)에 자기 테이프 t가 접촉한 경우에도, 가장자리부(825a)에 형성된 필요한 R 형상(826)에 의해서 자기 테이프 t가 손상하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측 플랜지(816)의 각 에어 배출용 오목부(825)의 바닥면(825b)과 경사면(825c)의 경계 부분, 및 하측 플랜지(816)의 도 11 중 상면(816a)과 경사면(825c)의 경계 부분에는 각각 필요한 R 형상(826)이 형성된다. 따라서,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816)와의 접촉에 따른 자기 테이프 t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서, 자기 테이프 기록의 고밀도화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5 발명에 의하면, 상측 플랜지 또는 하측 플랜지의 에어 배출용 오목부 또는 에어 배출용 관통 구멍에서의 적어도 플랜지 반경 방향을 따르는 2변의 가장자리부에는 각각 필요한 R 형상이 형성된다.
따라서, 테이프 릴과의 접촉에 따른 자기 테이프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자기 테이프 기록의 고밀도화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에, 제 6 및 제 7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제 6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베타 캠 L 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용 릴의 허브 및 클램프 부재의 분해 평면도이고, 도 14 (a)는 허브 및 클램프 부재의 조합 상태의 평면도이고, (b)는 그의 측면도이다. 또한, 자기 테이프용 릴은 허브의 상하에 플랜지를 갖지만, 도 13 및 도 14에서는 플랜지를 생략하고 있다.
허브(902)의 상면에는, 카세트 내에서 릴 홀더에 의해 압압되는 리브(904)가 중앙에 설치되고, 상측 플랜지와 초음파 용착되는 용착용 리브(906)가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허브(902)의 둘레면에는, 한쪽 끝이 자기 테이프와 접합된 리더 테이프(912)의 다른쪽 끝을 클램프 부재(908) 사이에 끼워 고정시키기 위한 오목부(910)가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 부재(908)는 오목부(910)와 끼워맞춰지는 것에 의해 리더 테이프(912)를 사이에 끼워 고정시킨다.
허브(902)는, 도면 중 좌측 절반의 둘레면(902a)이 하부를 향함에 따라서 또한 오목부와 대향하는 부분(도면 중 좌측단)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확대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허브(902) 도면 중 우측 절반의 둘레면이 반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둘레면이 경사져 있지 않고 축 방향 B와 평행하다. 경사면 하부의 경사부 상부와의 반경 방향의 차이 d는 0.1∼0.5㎜가 바람직하며, 본 실시형태의 경우, 경사면 하부의 경사부 상부와의 반경 방향의 차이 d는 0.4㎜이다. 또한, 허브의 높이 H는 13.5㎜이며, 경사면을 제외한 허브의 직경 D는 36㎜이다.
한편, 클램프 부재(908)의 둘레면(908a)은, 상부를 향함에 따라서 또한 평면에서 보아 오목부(910)의 중앙(도 14 (a) 중 우측단)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확대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 부재(908)의 내면은 축 방향 B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4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브(902)의 경사진 둘레면(902a)과 클램프 부재(908)의 경사진 둘레면(908a)은 측면에서 보아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실개소 58-187083호 공보에 기재된 테이프용 릴과 마찬가지로, 허브(902)에 감겨지는 자기 테이프는 평면에서 보아 180°마다 상하 어느 한쪽의 플랜지와 접촉하여 상하 방향의 이동을 규제받으므로, 감겨지는 자기 테이프가 축 방향 B로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허브(902)는 좌측 절반의 둘레면(902a)이 경사져 있을 뿐이므로, 성형 후에 그대로 축 방향 B로 허브(902)를 빼낼 수 있어, 금형을 복잡화하지 않고 허브(902)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부재(908)도 마찬가지로 둘레면(908a)만이 경사져 있으므로, 금형을 복잡화하지 않고 클램프 부재(908)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허브(902)의 도면 중 좌측 절반의 둘레면 전역(902a)이 오목부와 180°대향하는 부분을 향하여 직경이 확대되는 경사면이지만, 하부를 향함에 따라 또한 반경방향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되는 경사면이라도 좋다.
도 15에 나타내는 허브(902)는, 오목부와 180°대향하는 부분(902b)이 평면에서 보아 클램프 부재(908)와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둘레면의 직경이 확대된 형상이다.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하부를 향함에 따라 둘레면의 직경이 확대된 형상이다. 이 직경 확대부(902b)는 허브(902)와 일체로 성형해도 좋고, 허브(902)와 별체로 성형하여 허브(902)에 고착해도 좋고, 어느 쪽의 경우에도 성형은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제 6 및 제 7 발명에 의하면, 허브는 경사진 부분이 축심의 한쪽에만 있고, 경사진 부분의 반대측인 클램프 부재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는 경사져 있지 않으므로, 성형 후에 허브를 축 방향을 따라 그대로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코어 등을 이용한 복잡한 금형이 필요 없어, 간단한 구성의 금형으로 용이하게 허브를 제조할 수 있다. 또, 허브는 180°대향하는 부분에 경사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자기 테이프는 감기시에 상하로 움직히지 않고 자기 테이프의 양호한 감기 자세가 얻어진다.
다음에, 제 8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6은 제 8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자기 테이프 감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자기 테이프 감기 장치(1010)는, 하프 유지 기구(1020)에 의해서 카세트 하프(1012)를 유지한 자기 테이프 카세트(1011)의 테이프 릴(1013)에, 도시하지 않는 릴 구동 기구에 의해서 테이프 원반(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감기중인 자기 테이프(도시하지 않음)를 자계 발생 기구(1030)에 의해서 비접촉으로 테이프 릴(1013)의 상측 플랜지(1014) 주변(도 16 중 상측)에 가압하여, 자기 테이프의 감기 자세를 테이프 릴(1013)의 상측 플랜지(1014) 내면을 기준으로 해서 조정한다.
자기 테이프 카세트(1011)의 테이프 릴(1013)은 종래는 ABS 수지제였지만, 열 파손의 발생률을 극력 낮게 억제하기 위해, 폴리스틸렌제로 하였다.
하프 유지 기구(1020)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1011)의 카세트 하프(1012) 하면을 지지판(1021)에 걸어맞춘 상태로, 한 쌍의 하프 버킷(1022)을 카세트 하프(1012)의 상면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카세트 하프(1012)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한다. 하프 버킷(1022)은 와인더 패널(1023)에 도 16 중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버킷 동작용 에어 실린더(1024)에 의해서 도 16 중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릴 구동 기구는 예를 들면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축을 자기 테이프 카세트(1011)의 테이프 릴(1013)에 삽입하고 있고, 전동 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서 테이프 릴(1013)을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릴 구동 기구는 테이프 릴(1013)의 테이프 감기면(1015)에 테이프 원반으로부터의 자기 테이프를 감기 속도 2m/s, 감기 장력 65g로 감는다.
자계 발생 기구(1030)는 자석을 자석 부착 패널(1032) 내면(도 16 중 하면)에 고정되어 이루어지고, 자기 테이프 카세트(1011)의 카세트 하프(1012) 상면측에 대향해서 설치된다.
자석(1031)은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대략 중앙에 관통 구멍(1033)을 뚫어 형성해서 도너츠형을 하고 있으며, 네오듐을 재질로 한 두께 16㎜, 자속밀도 12800∼13300G의 자석이다. 자석(1031)은 이면에 두께 13㎜의 요크(1034)(차폐판)가 점착된다.
자석(1031)에서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1011)의 카세트 하프(1012)의 상면측에 대향하는 면적(도 16 중 하면의 면적)은, 테이프 릴(1013)의 테이프 감기면(1015)에 감겨지는 자기 테이프의 측면측의 면적(도 16 중 상면의 면적)의 1.3배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릴(1013)의 상측 플랜지(1014)측에서 자기 테이프의 측면으로 자석(1031)에 의한 자계를 균일하게 작용시킨다. 1.3배 미만이면, 자기 테이프의 감기 종료 부분에 작용하는 자계가 약해져, 자기 테이프의 감기 종료 부분에서 감기 흐트러짐이 발생한다.
자계 발생 기구(1030)는 자석 부착 패널(1032)의 도 16 중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자석(1031)의 관통 구멍(1033)으로부터 돌출된 릴 누름부재(1035)에 의해서 테이프 릴(1013)을 도 16 중 아래쪽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자계 발생 기구(1030)는 자석(1031)의 도 16 중 하면과 자기 테이프 카세트(1011)의 카세트 하프(1012)의 상면의 간격 L이 10㎜로 되는 위치(이하, 테이프 감기 위치라고 한다)에서 자석 부착 패널(1032)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테이프 릴(1013)의 상측 플랜지(1014)측(도 16 중 위쪽)으로부터 자기 테이프의 측면측(도 16 중 위쪽)으로 자석(1031)에 의해서 자계를 작용시킨다. 또한, 카세트 하프(1012) 상면과 테이프 릴(1013)의 상측 플랜지(1014)의 상면의 간격은 4㎜이고, 따라서 자석(1031)의 하면과 상측 플랜지(1014)의 상면의 간격은 14㎜이다.
자석 부착 패널(1032)은 와인더 패널(1023)에 대하여 간격을 좁히는 측(도 16 중 하측) 및 확대하는 측(도 16 중 위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패널 동작용 에어 실린더(1036)에 의해서 이동된다.
즉, 자석 설치 패널(1032)은 자기 테이프 카세트(1011)의 카세트 하프(1012) 장전시, 패널 동작용 에어 실린더(1036)에 의해서 와인더 패널(1023)과의 간격을 확대하는 측(도 16 중 위쪽)으로 이동된다(도 16에 나타내는 상태, 이하 카세트 하프 장전 위치라고 한다). 이것에 의해, 카세트 하프(1012)의 장전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자석 부착 패널(1032)은, 테이프 릴(1013)로의 자기 테이프의 감기시에, 패널 동작용 에어 실린더(1036)에 의해서 와인더 패널(1023)과의 간격을 좁히는 측(도 16 중 하측)으로 테이프 감기 위치까지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감기 위치에 있어서, 릴 누름 부재(1035)을 통해서 테이프 릴(1013)을 도 16 중 하측에 가압한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자기 테이프 카세트(1011)의 테이프 릴(1013)로의 자기 테이프의 감기시에, 먼저, 자석 부착 패널(1032)을 카세트 하프 장전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자기 테이프 카세트(1011)의 카세트 하프(1012)를 각 하프 버킷(1022) 및 지지판(1021) 사이에 삽입한다.
다음에, 버킷 동작용 에어 실린더(1024)를 작동시킴으로써, 자기 테이프 카세트(1011)의 카세트 하프(1012)를 각 하프 버킷(1022) 및 지지판(1021) 사이에 소정의 자세로 유지한다. 동시에, 패널 동작용 에어 실린더(1036)를 작동시킴으로써, 자석 부착 패널(1032)을 이동시켜 자석(1031)을 테이프 감기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 때, 자석(1031)의 도 16 중 하면과 자기 테이프 카세트(1011)의 카세트 하프(1012) 상면의 간격 L은 10㎜로 유지되어 있고(자석(1031)과 상측 플랜지(1014)의 간격은 14㎜로 유지되어 있다), 자석(1031)으로부터 감기 중인 자기 테이프에 테이프 릴(1013)의 상측 플랜지(1014)측(도 16 중 위쪽)으로부터 자계가 작용한다.
이 상태에서, 릴 구동 기구의 전동 모터를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릴(1013)을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테이프 원반으로부터의 자기 테이프를 테이프 릴(1013)의 테이프 감기면(1015)에 감기 속도 2m/s, 감기 장력 65g로 감는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의 감기 자세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1011)의 테이프 릴(1013)의 상측 플랜지(1014) 내면을 기준으로 해서 조정한다.
다음에, 자석(1031)과 자기 테이프 카세트(1011)의 카세트 하프(1012)의 상면의 간격 L이 테이프 릴(1013) 및 자기 테이프 카세트(1011)의 감기 자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상기 간격 L을 8㎜미만, 예를 들면 L=5㎜으로 한 경우(자석(1031)과 상측 플랜지(1014)의 간격은 9㎜), 자석(1031)에 의한 자계 작용이 너무 강하여, 자기 테이프 감기시에서의 테이프 릴(1013)의 상측 플랜지(1014)와 카세트 하프(1012) 내면의 접촉에 의한 마찰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간격 L이 13㎜을 초과하면, 예를 들면 간격 L=15㎜으로 한 경우(자석(1031)과 상측 플랜지(1014)의 간격은 19㎜), 자석(1031)에 의한 자계 작용이 약하여, 모든 자기 테이프의 감기 자세에 불량이 발생하였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측 간격 L=10㎜로 한 경우(자석(1031)과 상측 플랜지(1014)의 간격은 14㎜), 자기 테이프 감기시에서의 테이프 릴(1013)의 상측 플랜지(1014)와 카세트 하프(1012) 내면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었다. 또한, 자기 테이프가 감기 자세의 불량 발생률을 간격 L의 최적화 및 자기 테이프의 선별에 의해서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릴 구동 기구에 의한 자기 테이프의 감기 속도가 테이프 릴(1013)에 미치는 영향을 감기 장력 65g로서 조사하였다. 결과를 도 17에 나타낸다.
도 17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감기 속도가 본 실시형태와 같이 2m/s이면, 테이프 릴(1013)의 피벗부(테이프 감기면(1015)의 돌출부)의 온도가 낮게 억제되고(도 17에서는 약 36℃), 피벗부의 열 파손을 초래하는 일은 없다.
한편, 감기 속도가 3m/s 이상으로 되면 , 테이프 릴(1013)의 피벗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고(도 17에서는 약 40∼70℃), 피벗부의 온도 40℃ 이상에서 피벗부의 열 파손을 초래한다.
또, 릴 구동 기구에 의한 자기 테이프의 감기 속도가 자기 테이프의 감기 자세에 미치는 영향을 감기 장력 65g로서 조사하였다. 결과를 도 18에 나타낸다.
도 18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감기 속도가 본 실시형태와 같이 2m/s이면, 자기 테이프의 감기 자세가 불량하게 될 확률이 작게 억제된다(도 18에서는 30% 강).
한편, 감기 속도가 3m/s 이상으로 되면 , 자기 테이프의 감기 자세가 불량하게 될 확률이 급격하게 높아진다(도 18에서는 60%강∼100%).
또, 릴 구동 기구에 의한 자기 테이프의 감기 장력이 자기 테이프의 감기 자세에 미치는 영향을 감기 속도 2m/s로서 조사하였다. 결과를 도 19에 나타낸다. 또한, 이 데이터는 자기 테이프를 선별한 경우의 것이다.
도 19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감기 장력이 본 실시형태와 같이 65g이면, 자기 테이프의 감기 자세가 불량하게 될 확률이 0%이다.
한편, 감기 장력이 65g를 초과하면, 자기 테이프의 감기 자세가 불량하게 될 확률이 급격하게 높아진다(도 19에서는 ∼60% 강).
다른 한편, 감기 장력이 65g보다 낮으면, 자기 테이프의 감기 견고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릴 구동 기구에 의해서 테이프 원반으로부터의 자기 테이프를 자기 테이프 카세트(1011)의 테이프 릴(1013)의 테이프 감기면(1015)에 감기 속도 2m/s, 감기 장력 65g로 감게 한다. 또한, 릴 구동 기구에 의해서 테이프 릴(1013)에 감기 중인 자기 테이프에는, 네오듐을 재질로 한 자속밀도 12800∼13300G의 자석(1031)에 의해서 테이프 릴(1013)의 상측 플랜지(1014)측(도 16 중 위쪽)이고 또한 카세트 하프(1012) 상면과의 간격 L=10㎜의 위치로부터(자석(1031)과 상측 플랜지(1014)의 간격은 14㎜) 자계를 작용시킨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가 감기 자세를 테이프 릴(1013)의 상측 플랜지(1014) 내면을 기준으로 해서 조정할 수 있고,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자기 테이프의 주행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기 테이프의 주행 경로에 큰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록 재생 장치(460)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자기 테이프 감기 장치(1010)에 의해서 테이프 릴(461)에 감겨진 자기 테이프(462)는 도 28 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주행 경로에서 어긋남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주행한다.
환언하면, 테이프 릴(461)로부터 풀려진 자기 테이프(462)는 테이프 가이드 TG0을 통하여 테이프 가이드 TG1에 의해서 상한까지 일단 인상되고, 테이프 가이드 TG1에 의한 상한 위치에서의 위치 규제를 받은 후, 테이프 가이드 TG2에 의해서 테이프 가이드 TG3과의 사이에서 본래의 위치에 위치 규제되고, 기록 재생용 헤드(464)에 소정의 상대 위치로써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자기 테이프(462)로의 기록 재생 상태로 출력 저하 및 호환성 불량 등의 수복할 수 없는 중대한 결함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8 발명에 의하면, 구동 수단이 테이프 릴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자기 테이프를 테이프 릴에 감기 속도 2∼2.5m/s 및 감기 장력 60∼70g로 감도록 함과 동시에, 네오듐을 재질로 한 자속밀도 12800∼13300G의 자석을 갖는 자계 발생 수단이, 테이프 릴의 상측 플랜지에 12∼17㎜의 간격을 두고 대향한 위치로부터 자기 테이프에 자계를 작용시킨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의 감기 자세를 테이프 릴의 상측 플랜지를 기준으로 해서 조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자기 테이프의 주행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자장 발생 수단에서의 테이프 릴의 상측 플랜지에 대향하는 면적이 테이프 릴에 감겨지는 자기 테이프의 측면측의 면적의 1.3배 이상인 것에 의해, 테이프 릴의 상측 플랜지측으로부터 자기 테이프에 자장 발생 수단에 의한 자계를 균일하게 작용시킬 수 있어, 감기 흐트러짐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원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변경, 개량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실시형태의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해도 좋다. 또한, DVC, 베타 캠 이외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도 적용 가능하다.
제 1 발명에 의하면, 용착용 보스를 초음파 용착할 때의 받이면을 릴의 하측 플랜지의 허브와 반대측의 면에서의 기준 링보다 방사 방향 내측에 설치했으므로, 초음파의 발진 에너지의 용착용 보스로의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용착용 보스의 초음파 용착에 필요한 시간의 단축 및 용착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준 링과 받이면의 거리를 릴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함으로써, 용착을 동일한 설비로 실시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상하 플랜지의 허브와의 인접부에 허브의 측면과 직교하는 방사 방향의 소정폭의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하 플랜지의 평탄면 사이에 자기 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감기 초기 동안에는, 자기 테이프는 둘레가장자리가 평탄면으로 구성되므로, 상하 방향의 요동을 발생시킬 우려가 없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의 둘레가장자리에 형성된 감기면이 평탄하게 되어, 자기 테이프의 양호한 감기 자세가 얻어진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는 하측 카세트 하프의 릴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부분의 두께를 소정값 이상으로 설정한 외측 고리 형상 리브로부터 연속되는 두꺼운 단차부를 갖는다.
따라서, 비사용시에 있어서의 내부의 높은 방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의 변형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하측 플랜지와 하측 카세트 하프와의 충분한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하측 카세트 하프 내면에 있어서의 릴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고리 형상 볼록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고리 형상 볼록부보다 방사 방향 외측에 고리 형상 오목부가 형성되며, 또한,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 내면에서의 고리 형상 오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고리 형상 오목부에 여유를 갖고 삽입되는 고리 형상 돌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비사용시에서의 내부의 높은 방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의 변형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하측 플랜지와 하측 카세트 하프와의 충분한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상측 플랜지 또는 하측 플랜지의 에어 배출용 오목부 또는 에어 배출용 관통 구멍에서의 적어도 플랜지 반경 방향을 따라는 2변의 가장자리부에는 각각 필요한 R 형상이 형성된다.
따라서, 테이프 릴과의 접촉에 따른 자기 테이프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자기 테이프 기록의 고밀도화에 대응할 수 있다.
제 6 및 제 7 발명에 의하면, 허브는 경사진 부분이 축심의 한쪽에만 있고, 경사진 부분의 반대측인 클램프 부재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는 경사져 있지 않으므로, 성형 후에 허브를 축 방향을 따라 그대로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코어 등을 이용한 복잡한 금형이 필요 없어, 간단한 구성의 금형으로 용이하게 허브를 제조할 수 있다. 또, 허브는 180°대향하는 부분에 경사면을 갖고 있으므로, 자기 테이프는 감기시에 상하로 움직이지 않고 자기 테이프의 양호한 감기 자세가 얻어진다.
제 8 발명에 의하면, 구동 수단이 테이프 릴을 회전시킴으로써, 자기 테이프를 테이프 릴에 감기 속도 2∼2.5m/s 및 감기 장력 60∼70g로 감게 함과 동시에, 네오듐을 재질로 한 자속밀도 12800∼13300G의 자석을 갖는 자계 발생 수단이 테이프 릴의 상측 플랜지에 12∼17㎜의 간격을 두고 대향한 위치로부터 자기 테이프에 자계를 작용시킨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의 감기 자세를 테이프 릴의 상측 플랜지를 기준으로 해서 조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자기 테이프의 주행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자계 발생 수단에 있어서의 테이프 릴의 상측 플랜지에 대향하는 면적이 테이프 릴에 감겨지는 자기 테이프의 측면측의 면적의 1.3배 이상이므로, 테이프 릴의 상측 플랜지측으로부터 자기 테이프에 자장 발생 수단에 의한 자장을 균일하게 작용시킬 수 있어, 감기 흐트러짐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상측 플랜지와,
    상기 상측 플랜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상측 플랜지의 중앙부와 대향하는 면에 허브를 갖는 하측 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 플랜지의 상기 중앙부에 설치된 피벗 구멍에, 상기 허브에 돌출해서 설치된 피벗을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허브에서의 상기 피벗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위치에 돌출해서 설치된 용착용 보스를, 상기 상측 플랜지의 상기 중앙부에 설치된 용착용 보스 구멍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용착용 보스를 초음파 용착함으로써 상기 상측 플랜지 및 상기 하측 플랜지를 소정의 위치 관계로서 고정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플랜지의 상기 허브와 반대측 면에는 금형 가공의 기준으로 되는 기준 링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기준 링보다 방사 방향 내측에 상기 용착용 보스를 초음파 용착할 때의 받이면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
  2. 삭제
  3. 삭제
  4. 대향 배치된 상측 플랜지 및 하측 플랜지를 소정의 위치 관계로서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프 릴과,
    상측 카세트 하프와,
    상기 상측 카세트 하프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측 카세트 하프와의 사이의 내부 공간에 상기 테이프 릴을 수용함과 동시에, 테이프 릴 구동 수단의 삽입 및 분리용 릴 구멍을 갖는 하측 카세트 하프를 구비한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하측 카세트 하프 내면에서의 릴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고리 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고리 형상 볼록부보다 방사 방향 외측에 고리 형상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테이프 릴의 하측 플랜지 외면에서의 고리 형상의 오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이 고리 형상의 오목부에 여유를 갖고 삽입되는 고리 형상의 돌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플랜지에서의 상기 하측 플랜지와의 대향면 또는 상기 하측 플랜지에서의 상기 상측 플랜지와의 대향면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허브에 자기 테이프 감기시(時) 동반 에어를 배출시키는 에어 배출용 오목부 또는 에어 배출용 관통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 배출용 오목부 또는 상기 에어 배출용 관통구멍에서의 적어도 플랜지 반경 방향을 따르는 2변의 가장자리부에는 각각 R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릴을 구비한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
  6. 자기 테이프를 감는 허브에 형성된 오목부와의 사이에 리더 테이프를 끼워 유지하는 클램프 부재의 외면과, 평면에서 보아 상기 오목부와 180°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허브의 둘레면이, 축 방향의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용 릴.
  7. 자기 테이프를 감는 허브에, 클램프 부재에 의해 리더 테이프를 끼워 유지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평면에서 보아 상기 오목부와 180°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허브의 둘레면이 축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면인 자기 테이프용 릴을 사출 성형하고, 성형품을 축 방향을 따라서 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용 릴의 제조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01-7016448A 1999-06-23 2000-06-22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 KR100473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77248A JP2001006319A (ja) 1999-06-23 1999-06-23 磁気テープカセットのテープリール
JPJP-P-1999-00177248 1999-06-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230A Division KR100513004B1 (ko) 1999-06-23 2000-06-22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
KR10-2004-7006021A Division KR100479316B1 (ko) 1999-06-23 2000-06-22 자기 테이프 감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101A KR20020019101A (ko) 2002-03-09
KR100473455B1 true KR100473455B1 (ko) 2005-03-08

Family

ID=1602775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021A KR100479316B1 (ko) 1999-06-23 2000-06-22 자기 테이프 감기 장치
KR10-2001-7016448A KR100473455B1 (ko) 1999-06-23 2000-06-22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
KR10-2004-7018230A KR100513004B1 (ko) 1999-06-23 2000-06-22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021A KR100479316B1 (ko) 1999-06-23 2000-06-22 자기 테이프 감기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230A KR100513004B1 (ko) 1999-06-23 2000-06-22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58428B1 (ko)
EP (1) EP1204113A4 (ko)
JP (1) JP2001006319A (ko)
KR (3) KR100479316B1 (ko)
CN (7) CN100358041C (ko)
WO (1) WO20000795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07905T2 (de) * 2000-06-26 2005-05-19 Fuji Photo Film Co. Ltd., Minamiashigara Bandspule für Aufzeichnungsmedien
US20060202076A1 (en) * 2005-03-14 2006-09-14 Hitachi Maxell, Ltd. Tape reel
US7533848B2 (en) * 2004-08-03 2009-05-19 Hitachi Maxell, Ltd. Tape reel and magnetic tape cartridge
US20060043227A1 (en) * 2004-09-01 2006-03-02 Wataru Iino Reel and method of designing same
JP2007273643A (ja) * 2006-03-30 2007-10-18 Phyzchemix Corp ウエハカセット及びウエハ収容方法
US7734236B2 (en) 2007-09-14 2010-06-08 Ricoh Company, Ltd. Belt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40057055A1 (en) * 2012-08-23 2014-02-27 Finishing Brands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Electrostatic Tool
JP6231043B2 (ja) * 2014-06-10 2017-11-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リール及びリール構成部品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3533A (en) * 1970-08-20 1973-08-21 Data Packaging Corp Tape reel
CH539689A (de) * 1971-04-29 1973-07-31 Rieter Ag Maschf Vorrichtung zum Aufnehmen eines Fadens beim Unterwinden an Spindeln
US3741497A (en) * 1972-01-25 1973-06-26 Arvin Ind Inc Take-up hub and tape combination for tape transport
JPS557189U (ko) * 1978-06-30 1980-01-17
JPS5587352A (en) * 1978-12-25 1980-07-02 Nifco Inc Tape reel for video cassette
US4205808A (en) * 1979-01-22 1980-06-03 Verbatim Corporation Tape cartridge
JPS5633032Y2 (ko) * 1979-05-01 1981-08-05
JPS561878U (ko) * 1979-06-18 1981-01-09
JPS5939485U (ja) * 1982-09-01 1984-03-1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テ−プカ−トリツジ
JPS6056989U (ja) * 1983-08-22 1985-04-20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テ−プカ−トリツジ
JPS60155070U (ja) * 1984-03-19 1985-10-1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テ−プカ−トリツジ
JPS6267378U (ko) * 1985-10-15 1987-04-27
JPS6273379U (ko) * 1985-10-29 1987-05-11
JPS62281180A (ja) * 1986-05-30 1987-12-07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テ−プ巻取装置
US4947279A (en) * 1988-06-08 1990-08-07 Cousino Microloop Corporation Miniature continuous tape loop cartridge having tape withdrawing opening
JPH03994U (ko) * 1989-05-30 1991-01-08
JPH039947U (ko) * 1989-06-16 1991-01-30
US5127597A (en) * 1989-09-16 1992-07-07 Skc Limited Tape reel assembly with improved reel plate mounting
JP2548454B2 (ja) * 1990-11-30 1996-10-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H04111067U (ja) * 1991-02-28 1992-09-2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セツト
JPH0561878U (ja) * 1992-01-31 1993-08-1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テープリール
JPH08221938A (ja) * 1995-02-16 1996-08-30 Sony Corp テープ用リール
US5911387A (en) * 1996-11-06 1999-06-15 Fuji Photo Film Co., Ltd. Reel for use in magnetic tape cassette
JPH1125643A (ja) * 1997-07-02 1999-01-29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用リールの溶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101A (ko) 2002-03-09
US6758428B1 (en) 2004-07-06
CN1897150A (zh) 2007-01-17
CN1619689A (zh) 2005-05-25
KR100479316B1 (ko) 2005-03-30
KR100513004B1 (ko) 2005-09-05
WO2000079536A1 (fr) 2000-12-28
EP1204113A4 (en) 2008-05-07
CN1897151A (zh) 2007-01-17
CN1358313A (zh) 2002-07-10
CN1619687A (zh) 2005-05-25
JP2001006319A (ja) 2001-01-12
KR20050003441A (ko) 2005-01-10
CN100358041C (zh) 2007-12-26
CN1286111C (zh) 2006-11-22
CN100345209C (zh) 2007-10-24
EP1204113A1 (en) 2002-05-08
CN1897149A (zh) 2007-01-17
KR20040062580A (ko) 2004-07-07
CN1308958C (zh) 2007-04-04
CN1619688A (zh) 2005-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455B1 (ko)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
EP0175347B1 (en) A tape cassette
US4097006A (en) Magnetic tape cassette
US4203564A (en) Tape reel
US7497397B2 (en) Cartridge case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4146014B2 (ja) テープリール
US7383559B2 (en) Disc cartridge of reduced size
JPH0462425B2 (ko)
US5550686A (en) Apparatus for tape loading device
US7520462B2 (en) Recording tape cartridge
US5101308A (en) Tape reel for magnetic tape cassette
JP2002251859A (ja) テープリール
US5911387A (en) Reel for use in magnetic tape cassette
KR20020000644A (ko) 자기 테이프 카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시트의 대전 방지처리 방법
JP2005322345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7066397A (ja) 磁気テープ巻取り用リ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20010033455A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a tape guide device
JPH05234319A (ja) テープカセット
JPH06195832A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JPH0963234A (ja) テープカセット
JP2000123539A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のテープリール
JPH10275445A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用リール
JP2000076820A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のテープリール
JPH10125040A (ja) テープカセ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32944A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