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902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902B1
KR100472902B1 KR10-2002-7001968A KR20027001968A KR100472902B1 KR 100472902 B1 KR100472902 B1 KR 100472902B1 KR 20027001968 A KR20027001968 A KR 20027001968A KR 100472902 B1 KR100472902 B1 KR 100472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header
socket
insertion groo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972A (ko
Inventor
오노히사히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5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01R13/6456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comprising keying elements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소켓본체(11)의 삽입홈(12)의 바닥면에 끼워맞춤편(13)을 설치함과 아울러, 끼워맞춤편(13)의 선단부에 끼워맞춤 오목부(13a)를 설치하고, 또한 헤더본체(12)에 끼워맞춤편(13)과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홈(23)을 설치함과 아울러, 끼워맞춤편 (23)에 끼워맞춤 오목부(13a)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돌출부(23a)를 설치한다. 끼워맞춤편(13) 및 끼워맞춤홈(23)과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 (23a)가 각각 끼워맞춰짐으로써, 소켓본체(11)의 둘레끝부(16)에 충격하중이 걸리지 않고 소켓본체(11)의 파손을 방지하며, 둘레 끝부(16)의 두께를 얇게 하여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소켓본체(11) 및 헤더본체(21)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소켓(10)과 헤더(20)의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소켓 및 헤더로 구성되고, 각각에 접속된 1쌍의 프린트기판을 접속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컨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50) 및 헤더(60)로 구성되고, 각각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1쌍의 프린트기판을 접속하는 커넥터가 제공되고 있다.
소켓(50)은 복수의 접점(59)과, 대략 직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 측면(55, 55) 내측에 복수의 접점(59)이 배치되는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소켓본체(51)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접점(59)은 가늘고 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통형상의 소켓본체(51)의 축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각 접점 (59)의 일단측은 소켓본체(51)의 일방의 개구면으로부터 돌출됨과 아울러, 소켓본체(51)의 외측에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고, 선단부에는 프린트기판의 배선 패턴에 접속되는 접속부(59b)가 형성되어 있다.
헤더(60)는 소켓(50)의 각 접점(59)과 접촉 도통하는 복수의 수납측 접점(소위 포스트)(69)과, 복수의 수납측 접점(69)이 배치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헤더본체(61)를 구비하고 있다.
헤더본체(61)의 길이방향의 양 측면(65, 65)에는, 각각 동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66)가 형성됨과 아울러, 길이방향과 대략 수직 방향의 복수의 홈(65a)이 형성되어 있다.
각 수납측 접점(69)은, 소켓(50)의 접점(59)에 접촉하는 접촉부(69a)를 측면 (65)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각 홈(65a)에 배치되고, 플랜지부(66)의 돌출방향으로 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수납측 접점(69)의 일단측은, 헤더본체 (61)의 배면측으로부터 플랜지부(66)의 돌출방향을 따라서 돌출되고, 소켓(50)의 접점 (59)과 마찬가지로, 플린트기판의 배선패턴에 접속되는 접속부(69b)가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소켓(50) 및 헤더(60)는, 복수의 접점(59) 및 수납측 접촉부(69)의 접속부(59b, 69b)를 각각 다른 프린트기판의 배선패턴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실장된다. 또한, 헤더(60)가 소켓본체(51)의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헤더 (60)의 수납측 접점(69)을 소켓(50)의 접점(59)에 접촉 도통시켜 1쌍의 프린트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커넥터의 소켓(50) 및 헤더(60)는, 각각의 다른 실장부품과 함께 실장되는 프린트기판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항상 실장부품을 포함하는 프린트기판의 하중을 받고 있다. 그 결과, 소켓(50) 및 헤더(60)를 실장하여 접속된 1쌍의 프린트기판을 휴대기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휴대기기를 운반하고 있을 때 또는 낙하될 때, 소켓본체(51) 및 헤더본체(61)에 큰 충격하중이 걸려서, 다른 부분보다 비교적 두께가 얇기 때문에 하중이 집중되기 쉬운 소켓본체(51)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파손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성형품인 소켓본체(51)는 사출성형 등에 의해 성형되고, 소켓본체 (51)의 용융된 성형재료를 공동에 주입하는 게이트와 반대측의 일단측은, 성형재료의 흐름이 융합하는 최종충전부가 된다. 최종충전부에서는 사용하는 성형재료, 금형구조 및 성형가공 조건 등의 영향을 받아서 웰드선이 생기는 경우가 있고, 웰드선이 생긴 부위는 강도가 저하하거나, 강도가 불안정하게 된다.
예컨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본체(51)의 길이방향의 일단이 최종충전부가 되어서 이 일단에 웰드선(a)이 생겼을 때에는 소켓본체(51)가 더욱 파손되기 쉬워진다.
그러나, 소켓본체(5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켓본체(51)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두께(Wa, Wb)를 두껍게 해야 하고, 이 경우 커넥터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커넥터는 접점(59) 및 수납측 접점(69)의 개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소켓본체(51) 및 헤더본체(61)의 길이방향의 치수가 다른 방향의 치수보다 길어지기 때문에, 성형시의 열팽창이나 성형후의 열수축이 생기기 쉬워서 소켓본체 (51) 및 헤더본체(61)의 위치결정 정밀도에 불균형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접점(59) 및 수납측 접점(69)을 다수 구비한 커넥터에서는,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접점 (59) 및 수납측 접점(69)의 폭치수를 짧게, 또한 각각의 피치를 좁게 하고 있으므로 위치결정 정밀도에 불균형이 생겼을 때에는, 접점(59)과 수납측 접점(69)의 각각이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충격하중에 의한 소켓의 파손 및 소켓과 커넥터의 접촉불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소형화를 도모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도 1(a)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소켓의 정면도, 도 1(b)는 헤더의 정면도이다.
도 2(a), (b)는 실시형태 1의 소켓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실시형태 1의 소켓에 있어서 끼워맞춤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A-A선 단면도이고, 도3(b)는 끼워맞춤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a), (b)는 실시형태 1의 헤더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실시형태 1의 헤더에 있어서 끼워맞춤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끼워맞춤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실시형태 1의 헤더를 소켓에 삽입하였을 때의 끼워맞춤 오목부 및 끼워맞춤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단면도, 도 6(b)는 끼워맞춤 오목부 및 끼워맞춤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의 소켓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8(a)는, 실시형태 1의 다른 커넥터를 나타내고, 소켓의 정면도이며, 도 8(b)는 헤더의 정면도이다.
도 9(a)는, 실시형태2에 의한 소켓의 정면도, 도 9(b)는 헤더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의 소켓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오목부가 설치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실시형태 2의 헤더에 있어서 끼워맞춤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1(b)는 끼워맞춤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2의 헤더를 소켓에 삽입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2의 헤더를 소켓에 삽입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4(a)는, 실시형태 3에 의한 소켓의 정면도, 도 14(b)는 헤더의 정면도이다.
도 15(a)는, 실시형태 4에 의한 소켓의 정면도, 도 15(b)는 헤더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5에 의한 소켓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a)는, 실시형태 5의 다른 소켓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7(b)는 요부단면도이다.
도 18(a)는, 실시형태 5의 다른 소켓에 삽입하는 헤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8(b)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6에 의한 소켓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6에 헤더를 삽입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1(a)는, 종래예에 의한 소켓의 사시도, 도 21(b)는, 종래예에 의한 헤더의 사시도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복수의 접점 및 이 접점이 배치된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소켓본체를 구비하는 소켓과, 각 접점과 접촉 도통하는 복수의 수납측 접점 및 이 수납측 접점이 배치된 헤더본체를 구비한 헤더로 구성되고, 소켓본체에 설치된 삽입홈에 헤더를 삽입하여 접점과 수납측 접점을 접촉시키는 커넥터로서, 소켓본체의 삽입홈의 바닥부 및 상기 헤더본체의 각각의 대향면에, 헤더 삽입방향으로 서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편 및 끼워맞춤홈을 설치하고, 끼워맞춤편 및 끼워맞춤홈의 각각의 대향면에, 헤더 삽입방향으로 서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오목부 및 끼워맞춤 돌출부를 1조이상 설치하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 및 끼워맞춤 돌출부는 서로 단단하게 결합되어 헤더 삽입 방향에 대해 거의 수직 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하중이 끼워맞춤 오목부에 걸리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서, 헤더를 소켓에 삽입하였을 때에는 끼워맞춤 오목부 및 끼워맞춤 돌출부가 끼워맞춰지고, 이 때문에 헤더 삽입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생기는 충격하중을 강도가 안정된 소켓본체의 끼워맞춤 오목부 주변에 작용시키고, 소켓본체의 웰드선이 생기기 쉬운 삽입홈 둘레부에 걸리는 충격하중을 경감하여 소켓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소켓본체 둘레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끼워맞춤 오목부 및 끼워맞춤 돌출부에 의해서 소켓본체 및 헤더본체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소켓의 접점과 헤더의 수납측 접점의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 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끼워맞춤편 및 끼워맞춤 돌출부 중 적어도 1개의 선단부의 폭치수를, 끼워맞춤홈 및 끼워맞춤 오목부의 상기 선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폭치수보다 길게 하였다. 이것에 의해서, 헤더를 소켓에 삽입하였을 때, 끼워맞춤편 및 끼워맞춤 돌출부 중 적어도 1개의 선단부가, 끼워맞춤홈 및 끼워맞춤 오목부의 상기 선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압입되고, 그 때문에 클릭감이 얻어져 확실하게 헤더를 삽입한 것을 알 수 있음과 아울러, 소켓의 헤더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소켓본체의 삽입홈 및 헤더본체의 각각의 대향하는 정면형상이 대략 점대칭으로 되는 부위에, 끼워맞춤 오목부 및 끼워맞춤 돌출부를 설치하였다. 이것에 의해서, 삽입방향을 따른 축에 대해서 헤더를 대략 반회전시켰을 때에도 소켓본체의 삽입홈에 헤더를 삽입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리함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소켓본체의 삽입홈 및 헤더본체의 각각의 대향하는 정면형상이 비점대칭으로 되는 부위에, 끼워맞춤 오목부 및 끼워맞춤 돌출부를 설치하였다. 이것에 의해서, 삽입방향을 따른 축에 대해서 헤더를 대략 반회전시켰을 때에는, 소켓본체의 삽입홈에 헤더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아 헤더의 잘못된 삽입을 방지할 수 있고, 삽입하였을 때에는 항상 동일한 접점과 수납측 접점을 접촉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끼워맞춤편을 소켓본체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하였다. 이것에 의해서, 예컨대 실장부품을 흡착하여 지지하고, 프린트기판에 실장하는 실장기기를 이용하여 소켓을 프린트기판에 실장할 때에는, 실장기기에 끼워맞춤편의 선단부를 흡착면으로 하여 흡착시키고, 균형감좋게 소켓을 지지시킬 수 있고, 안정된 자동실장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끼워맞춤편을 소켓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삽입홈에 설치하였다. 이것에 의해서, 소켓본체의 삽입홈 주변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소켓본체의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어 그 결과, 예컨대 복수의 접점을 구비하는 소켓을 프린트기판에 실장할 때에는, 프린트기판의 배선패턴에 접속되는 복수의 접점의 일단을 대략 동일 평면 상에 배열시킬 수 있어 소켓을 용이하게 실장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7의 발명에 있어서, 끼워맞춤편을 삽입홈의 양단에 이르도록 설치하고, 헤더본체의 끼워맞춤홈의 길이방향 양단의 둘레부에, 끼워맞춤편의 길이방향 양단부와 헤더 삽입방향으로 끼워맞춰지는 오목개소를 설치하였다. 이것에 의해서, 소켓본체의 강성을 더욱 높이고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8에 있어서, 끼워맞춤편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있어서의 헤더 삽입방향의 길이를, 중앙부에 있어서의 헤더 삽입방향의 길이의 대략 절반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서, 끼워맞춤편의 길이방향 양단부와 끼워맞춰지는 헤더본체의 오목개소의 깊이가 얕아지고, 헤더본체의 오목개소 주변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끼워맞춤편을 소켓본체의 삽입홈에 설치하고, 소켓본체의 삽입홈의 배면측에, 끼워맞춤편을 따른 오목홈을 설치하였다. 이것에 의해서, 끼워맞춤편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소켓본체의 두께를 거의 동일하게 하고, 소켓본체의 휨을 더욱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성형재료를 적게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소켓본체의 삽입홈의 길이방향 양단의 둘레부를, 길이방향 양단 이외의 둘레부보다 삽입홈의 바닥면으로부터 깊이방향으로 높게 함과 아울러, 해당 둘레부에 삽입홈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설치하였다. 이것에 의해서, 헤더를 소켓에 삽입할 때, 헤더가 경사면을 따라서 소켓본체의 삽입홈에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로봇 등의 조립기기에 의해 자동으로 헤더의 삽입작업을 행하여도 헤더와 삽입홈의 위치가 맞춰지지 않아 헤더를 헤더본체의 삽입홈의 둘레부에 눌러서 소켓본체를 파손시켜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끼워맞춤 돌출부의 선단부에, 선단측을 향하여 선단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경사면을 설치하였다. 이것에 의해서, 헤더를 소켓에 삽입할 때, 경사면에 의해 끼워맞춤 돌출부가 끼워맞춤 오목부에 안내되고, 끼워맞춤 돌출부를 끼워맞춤 오목부에 부드럽게 끼워맞출 수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끼워맞춤편의 선단부에, 선단측을 향하여 선단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경사면을 설치하였다. 이것에 의해서, 헤더를 소켓에 삽입할 때, 경사면에 의해 끼워맞춤편이 끼워맞춤홈에 안내되고, 끼워맞춤편을 끼워맞춤홈에 부드럽게 끼워맞출 수 있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는, 도 1(a) 및 도 2(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접점(19), 접점(19)이 배치되는 가늘고 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소켓본체(11)를 구비하는 소켓(10)와, 도 1(b) 및 도 4(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10)의 각 접점(19)과 접촉 도통하는 복수의 수납측 접점(소위 포스트)(29), 수납측 접점(29)이 배치되는 가늘고 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헤더본체(21)를 구비하는 헤더(20)로 구성되고, 소켓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대략 직사각형의 삽입홈(12)에 헤더 (20)를 삽입하여 복수의 접점(19)과 수납측 접점(29)을 각별히 접촉시킨다.
소켓본체(11)의 삽입홈(12)에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홈(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삽입홈(12)의 바닥면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는 끼워맞춤편(1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끼워맞춤편(13)의 길이방향 일단측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일방의 측부에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오목부(13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점(19)은, 소켓본체(11)의 삽입홈(12) 주변의 길이방향을 따른 둘레벽(15)을 끼워 지지하여, 삽입홈(12) 내측의 부위가 둘레벽(15)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휠 수 있게 대략 S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점(19)의 삽입홈 (12) 내에 면하는 선단부는 내측으로 돌출하여, 헤더(20)의 수납측 접점(29)에 접촉하는 접점(19a)을 형성하고, 삽입홈(12)의 외측에 위치하는 접점(19)의 일단측은, 소켓본체(11)의 배면측으로부터 둘레벽(15)에 대략 수직으로 외측으로 굽어져서, 프린트기판의 배선패턴에 납땜 등에 의해서 접속되는 접점(19b)을 선단에 형성하고 있다.
한편, 헤더본체(21)에 있어서의 소켓(10)의 끼워맞춤편(13)과 대략 대향하는 부위에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편(13)과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홈(23)이 헤더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홈(23)에 있어서의 소켓(10)의 끼워맞춤 오목부(13a)와 대략 대향하는 부위에는, 끼워맞춤 오목부(13a)와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 돌출부 (23a)가 끼워맞춤홈(23)의 둘레부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헤더본체(21)의 끼워맞춤홈(23)의 길이방향 양단의 둘레부에는, 끼워맞춤홈 (23)을 외부로 연통하는 오목개소(24, 24)가 설치되고, 끼워맞춤홈(23) 주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대략 대향하는 둘레벽(25, 25)의 헤더본체(21) 배면측의 가장자리에는, 둘레벽(25)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26)가 형성되어 있다.
각 수납측 접점(29)은, 둘레벽(25)의 외표면에 길이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심어 설치되고, 헤더본체(21) 배면측의 일단측은, 플랜지부(26)로부터 둘레벽(25)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둘레벽(25)의 외표면을 따른 수납측 접점(29)의 플랜지부(26)측에는, 접점(19)의 접촉부(19a)에 접촉하는 접촉부(29a)가 형성되고, 플랜지부(26)로부터 돌출하는 수납측 접점(29)의 일단에는, 프린트기판의 배선패턴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는 접속부(29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 실시형태의 소켓(10)과 헤더(20)는, 각각 다른 프린트기판의 배선패턴에, 각 접점(19)의 접속부(19b) 및 각 수납측 접점(29)의 접속부(29b)를 납땜 등에 의해 접속시킴으로써 실장된다. 이 때, 예컨대 실장부품을 흡착하여 지지하고, 프린트기판에 실장하는 실장기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소켓(10)의 끼워맞춤편(13)이 소켓본체(11)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실장기기는 끼워맞춤편(13)의 선단부를 흡착면으로 하여 소켓(10)을 흡착하여 균형감좋게 소켓(10)을 지지할 수 있고, 소켓(10)의 안정된 자동실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헤더(10)의 끼워맞춤홈(23)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가 소켓(10)의 끼워맞춤편(13) 및 끼워맞춤 오목부(13a)에 각각 대략 대향하도록 헤더(20)를 소켓 (10)의 삽입부(12)에 삽입하는 것에서,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20)의 끼워맞춤홈(23)에 소켓(10)의 끼워맞춤편(13)이 끼워맞춰지고,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10)의 끼워맞춤 오목부(13a)에 헤더(20)의 끼워맞춤 돌출부 (23a)가 끼워맞춰진다. 또한, 헤더(20)의 삽입에 의해서 둘레벽(15)측으로 휜 삽입홈(12) 내의 각 접점(19)은, 탄성력에 의해 접촉부(19a)를 수납측 접점(29)의 접촉부(29a)에 탄성접촉시키고, 그 결과, 소켓(10) 측의 프린트기판과 헤더(20)측의 프린트기판의 각각의 배선패턴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예컨대 본 실시형태의 소켓(10) 및 헤더(20)를 실장한 1쌍의 프린트기판이 구비된 기기를 들고 운반할 때에는, 헤더(20)의 삽입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생기는 충격하중을, 웰드라인이 생기기 어렵고 강도가 안정된 소켓본체(11)의 끼워맞춤 오목부(13a) 주변에 작용시켜서 소켓본체(11)의 웰드라인이 생기기 쉬운 삽입홈(12)의 둘레부에 걸리는 충격하중을 경감하여 소켓(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소켓본체 (11)의 둘레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충격하중은 헤더본체(21)의 끼워맞춤 돌출부(23a)에도 걸리지만, 끼워맞춤 돌출부(23a)는, 헤더본체(2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둘레벽(25)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충격하중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의 폭치수는, 소켓본체 (11) 및 헤더본체(21)의 폭치수와 비교해서 작기 때문에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렵고, 따라서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의 폭치수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소켓본체(11) 및 헤더본체(21)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접점(19) 및 수납측 접점(29)을 확실하게 접촉시켜서, 소켓(10)과 헤더(20)의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홈(12)의 바닥면에 길이방향을 따른 끼워맞춤편(13)을 설치한 것에 의해서, 소케본체(10)의 삽입홈(12) 주변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소켓본체 (10)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점(19)의 접속부(19b)를 대략 동일 평면상에 배열시킬 수 있고, 소켓(10)을 프린트기판에 용이하게 실장할 수 있다.
또한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는, 소켓본체 (11)의 삽입홈(12) 및 헤더본체(21)의 각각의 대략 대향하는 정면형상이 비점대칭으로 되는 부위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삽입방향을 따른 축에 대해서 헤더(20)를 대략 반회전시켰을 때에는, 소켓본체(11)의 삽입홈(12)에 헤더(20)를 삽입할 수 없고, 헤더(20)의 잘못된 삽입을 방지할 수 있고, 삽입하였을 때에는 항상 동일한 접점(19)과 수납측 접점(29)을 접촉시킬 수 있다.
그런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본체(11)의 삽입홈(12)의 길이방향 양단 주변의 둘레끝부(16)는, 둘레벽(15)보다 삽입홈(12)의 바닥면으로부터 깊이방향으로 높게 형성됨과 아울러, 둘레끝부(16)의 선단부에는 삽입홈(12)측에 경사지는 경사면(14)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헤더(20)를 소켓(10)에 삽입할 때, 헤더(20)를 경사면(14)에 맞추어서 소켓본체(11)의 삽입홈(12)에 안내할 수 있고, 예컨대 로봇 등의 조립기기에 의해 자동으로 헤더(20)의 삽입작업을 행하여도, 헤더(20)와 삽입홈(12)과의 위치가 맞지 않아 헤더(20)를 소켓본체(11)의 삽입홈(12)의 둘레부에 눌러서 소켓본체(11)를 파손시켜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켓(10)의 끼워맞춤편(13)의 선단부에는, 선단측을 향하여 선단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경사면(13b, 13b)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헤더(20)를 소켓(10)에 삽입할 때, 끼워맞춤편(13)이 끼워맞춤홈(23)에 안내되어서 끼워맞춤편(13)을 끼워맞춤홈(23)에 부드럽게 끼워맞출 수 있음과 아울러, 헤더(20)의 끼워맞춤 돌출부(23a)의 선단부에도, 선단측을 향하여 선단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경사면(23b)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와 마찬가지로, 끼워맞춤 돌출부(23a)가 끼워맞춤 오목부(13a)에 안내되어서 끼워맞춤 돌출부(23a)를 끼워맞춤 오목부(13a)에 부드럽게 끼워맞출 수 있다.
그런데, 도 8(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편(13)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여도 좋고, 이 때에는 성형재료를 적게 할 수 있고 또한 끼워맞춤편 (13)을 소켓본체(11)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였을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실장기기에 끼워맞춤편(13)의 선단부를 흡착시켜서 소켓(10)을 지지시키고, 안정된 자동실장을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본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되기 때문에 공통되는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 되는 부분에 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서는, 도 9(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를 2조 설치하고 있다. 끼워맞춤 오목부 (13a, 13a)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편(13)의 길이방향 일단측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양측부에 각각 대략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11(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돌출부(23a, 23a)는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3a, 13a)에 끼워 맞춰지도록 끼워맞춤홈(23)의 바닥면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있어서의 양측부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대략 대향하는 2개의 끼워맞춤 오목부(13a, 13a)에 끼워진 끼워맞춤편 (13)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대향방향의 길이(A)를, 끼워맞춤홈(23)의 상기 선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돌출부(23a, 23a)의 대향방향의 길이(B)보다 길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끼워맞춤편(13)의 선단부의 길이(A)를, 끼워맞춤홈(23)의 길이 (B)보다 길게 함으로써, 도 1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20)를 소켓(10)에 삽입하고, 끼워맞춤편(13)의 끼워맞춤 오목부(13a, 13a)에 끼워진 선단부가, 끼워맞춤홈(23)의 끼워맞춤 돌출부 (23a, 23a) 간에 압입되고, 클릭감이 얻어져서 확실하게 헤더(20)가 삽입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20)의 수납측 접점(29)의 접촉부(29a)를 소켓(10)의 접점(19)의 접촉부(19a)에 접촉시킬때까지 헤더 (20)를 소켓(10)에 삽입하였을 때에는, 소켓(10)의 헤더(2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높일 수 있고, 진동 등에 의해 소켓(10)으로부터 헤더(20)가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9(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돌출부(23a, 23a) 중 적어도 1개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헤더본체(21)의 길이방향의 길이(C)를, 끼워맞춤 돌출부(13a, 13a)의 상기 선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어의 소켓본체(11)의 길이방향의 길이(D)보다 길게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클릭감이 높아진다. 청구항에 있어서는, 길이(A, B, C D)의 것을 폭치수로 칭하고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소켓본체(11)의 삽입홈(12) 및 헤더본체(21)의 각각의 대략 대향하는 정면형상이 비점대칭으로 되는 부위에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헤더(20)의 잘못된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조의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를, 끼워맞춤 오목부(13a, 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 23a)가 각각 서로 대략 대향하도록 설치되었지만, 끼워맞춤편(13)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 23a) 중 적어도 1개의 선단부의 폭치수를, 끼워맞춤홈(23) 및 끼워맞춤 오목부(13a, 13a)의 상기 선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폭치수보다 길게 하면, 끼워맞춤 오목부(13a, 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 23a)가 각각 서로 대략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또한 실시형태 1과 같이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 (23a)가 1조이어도, 3조이상이어도 좋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본구성은 실시형태 2와 공통되기 때문에 공통되는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 되는 부분에 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서는, 도 14(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를 4조 설치하고, 이 중 2조씩을 끼워맞춤편(13) 및 끼워맞춤홈(23)의 길이방향 양단측에, 각 단으로부터 대략 등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여,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각 끝측의 2개의 끼워맞춤 오목부(13a, 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 23a)를 각각 대략 대향시키는 것으로, 소켓본체(11)의 삽입홈 (12) 및 헤더본체(21)의 각각의 대략 대향하는 정면형상을 대략 점대칭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삽입방향을 따른 축에 대해서 헤더(20)를 대략 반회전시켜도 소켓본체(11)의 삽입홈(12)에 헤더(20)를 삽입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끼워맞춤편(13)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 중 적어도 1개의 선단부의 폭치수를, 끼워맞춤홈(23) 및 끼워맞춤 오목부(13a)의 상기 선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폭치수보다 길게 하여, 헤더 (20)를 소켓(10)에 삽입할 때에 클릭감이 얻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 (23a)를 4조 설치하였지만, 1 ~ 3조 또는 5조이상 설치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는, 도 15(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서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를 4조 설치하고 있지만, 이 중 2조씩을 끼워맞춤편(13) 및 끼워맞춤홈(23)의 길이방향 양단측에, 각 끝에서부터 다른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시킨 것으로, 실시형태 1의 도 1, 도 8 및 실시형태 2의 도 9에 나타낸 커넥터를 마찬가지로, 소켓본체 (11)의 삽입홈(12) 및 헤더본체(21) 각각의 대략 대향하는 정면형상을 비점대칭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삽입방향에 따른 축에 대해서 헤더(20)를 대략 반회전시켰을 때에는, 소켓본체(11)의 삽입홈(12)에 헤더(20)를 삽입할 수 없어, 헤더(20)의 잘못된 삽입을 방지할 수 있고, 삽입하였을 때에는 항상 동일 접점(19)과 수납측 접점(29)을 접촉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끼워맞춤편(13)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 중 적어도 1개의 선단부의 폭치수를, 끼워맞춤홈(23) 및 끼워맞춤 오목부 (13a)의 상기 선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폭치수보다 길게 하여도 좋고, 서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를 3조 또는 5조 이상 설치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본구성은 실시형태 3 또는 4와 공통되기 때문에 공통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형태의 특징이 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편(13)이 삽입홈 (12)의 양단에 이르도록 끼워맞춤편(13)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돌출부(13c)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13c)는, 헤더(20)를 삽입홈(12)에 삽입하였을 때, 실시형태 3의 도 14(b)에 나타내는 헤더본체(21)의 오목개수(24) 내에 수용되도록 끼워맞춤편(13) 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끼워맞춤편(13)과 헤더(20) 삽입방향의 길이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끼워맞춤편(13)이 삽입홈(12)의 양단에 이르도록 돌출부(13c)를 설치한 것에 의해서, 소켓본체(11)의 강성을 더욱 높이고 휨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7(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편(13)의 돌출부(13c)의 헤더(20) 삽입방향의 길이(E)를, 끼워맞춤편(13)의 헤더 (20)의 삽입방향의 길이(F)의 대략 절반으로 하여도 좋다. 돌출부(13c)의 길이(E)를 끼워맞춤편(13)의 길이(F)의 대략 절반으로 함으로써, 도 18(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본체(21)의 오목개소(24)의 깊이(G)를 절반 정도로 얕게 하여, 헤더본체 (21)의 오목개소(24, 24) 주변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 6)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본구성은 실시형태 3 또는 4와 공통되기 때문에 공통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 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켓본체(11)의 삽입홈(12)의 배면측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편(13)을 따른 오목홈(17)을 설치하고 있다. 도 20에는, 이 소켓본체(11)를 구비하는 소켓(10)을, 헤더(20)를 삽입하였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소켓본체(11)에 오목홈(17)을 설치한 것에 의해서, 끼워맞춤편 (13)의 두께를 감소시켜 소켓본체(11)의 두께를 대략 균일하게 하고, 소켓본체(11)의 휨을 더욱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켓본체(11)의 성형재료를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켓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켓본체 및 헤더본체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소켓의 접점과 헤더의 수납측 접점의 접촉불량을 방지한다.

Claims (13)

  1. 복수의 접점(19) 및 이 접점(19)이 배치된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소켓본체 (11)를 구비하는 소켓(10)과, 각 접점(19)과 접촉 도통하는 복수의 수납측 접점 (29) 및 이 수납측 접점(29)이 배치된 헤더본체(21)를 구비하는 헤더(20)로 구성되고, 소켓본체(11)에 설치된 삽입홈(12)에 헤더(20)를 삽입하여 접점(19)과 수납측 접점(29)을 접촉시키는 커넥터로서,
    소켓본체(11)의 삽입홈(12)의 바닥부 및 상기 헤더본체(21)의 각각의 대향면에, 헤더 삽입방향으로 서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편(13) 및 끼워맞춤홈(23)을 설치하고,
    끼워맞춤편(13) 및 끼워맞춤홈(23)의 각각의 대향면에, 헤더 삽입방향으로 서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를 1조이상 설치하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23a)는 서로 단단하게 결합되어 헤더 삽입 방향에 대해 거의 수직 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하중이 끼워맞춤 오목부(13a)에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끼워맞춤편(13)의 선단부의 폭치수를, 끼워맞춤홈(23)의 상기 선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폭치수보다 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끼워맞춤 돌출부(23a)의 선단부의 폭치수를, 끼워맞춤 오목부(13a)의 상기 선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폭치수보다 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소켓본체(11)의 삽입홈(12) 및 헤더본체(21)의 각각의 대향하는 정면형상이 대략 점대칭으로 되는 부위에,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 (23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소켓본체(11)의 삽입홈(12) 및 헤더본체(21)의 각각의 대향하는 정면형상이 비점대칭으로 되는 부위에, 끼워맞춤 오목부(13a) 및 끼워맞춤 돌출부 (23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끼워맞춤편(13)을 소켓본체(11)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끼워맞춤편(13)을 소켓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삽입홈 (12)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7항에 있어서, 끼워맞춤편(13)을 삽입홈(12)의 양단에 이르도록 설치하고, 헤더본체(21)의 끼워맞춤홈(23)의 길이방향 양단의 둘레부에, 끼워맞춤편(13)의 길이방향 양단부와 헤더 삽입방향으로 끼워맞춰지는 오목개소(2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끼워맞춤편(13)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있어서의 헤더 삽입방향의 길이를, 중앙부에 있어서의 헤더 삽입방향의 길이의 대략 절반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1항에 있어서, 끼워맞춤편(13)을 소켓본체(11)의 삽입홈(12)에 설치하고, 삽입홈(12)의 배면측에, 끼워맞춤편(13)에 따른 오목홈(17)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소켓본체(11)의 삽입홈(12)의 길이방향 양단의 둘레부를, 길이방향 양단 이외의 둘레부보다 삽입홈(12)의 바닥면에서 깊이방향으로 높게 함과 아울러, 해당 둘레부에 삽입홈(12)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1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1항에 있어서, 끼워맞춤 돌출부(23a)의 선단부에, 선단측을 향하여 선단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경사면(23b)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 1항에 있어서, 끼워맞춤편(13)의 선단부에, 선단측을 향하여 선단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경사면(13b)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2-7001968A 2000-06-16 2001-06-18 커넥터 KR100472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82207 2000-06-16
JP2000182207A JP2002008753A (ja) 2000-06-16 2000-06-16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972A KR20020025972A (ko) 2002-04-04
KR100472902B1 true KR100472902B1 (ko) 2005-03-10

Family

ID=1868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968A KR100472902B1 (ko) 2000-06-16 2001-06-18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23308B2 (ko)
EP (1) EP1257003B1 (ko)
JP (1) JP2002008753A (ko)
KR (1) KR100472902B1 (ko)
CN (1) CN1251357C (ko)
DE (1) DE60143422D1 (ko)
TW (1) TW501312B (ko)
WO (1) WO20010973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856B1 (ko) 2007-10-11 2011-05-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35052D1 (de) * 2002-07-23 2010-12-30 Panasonic Elec Works Co Ltd Steckverbinder mit niedrigem Profil
JP2004111081A (ja) * 2002-09-13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4003705B2 (ja) * 2003-06-27 2007-11-07 松下電工株式会社 半田付け用端子の製造方法
JP3949064B2 (ja) * 2003-02-06 2007-07-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6881075B2 (en) * 2003-07-08 2005-04-1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JP3956920B2 (ja) * 2003-08-26 2007-08-08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US6793506B1 (en) * 2003-08-27 2004-09-21 Molex Incorporat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764314B1 (en) * 2003-09-24 2004-07-20 Super Link Electronics Co., Ltd. Multiple-contact micron connector
JP3875677B2 (ja) * 2003-09-26 2007-01-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5294036A (ja) *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94034A (ja)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2005294035A (ja)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US7144277B2 (en) * 2004-09-09 2006-12-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guidance face
US6948942B1 (en) * 2004-10-25 2005-09-27 Amphenol Taiwan Corporation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CN2757356Y (zh) * 2004-12-01 2006-02-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DE102005000835B3 (de) * 2005-01-05 2006-09-07 Advalytix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osierung kleiner Flüssigkeitsmengen
CN2772061Y (zh) * 2005-02-04 2006-04-12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JP2007018993A (ja) * 2005-06-07 2007-01-25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KR20070014950A (ko) * 2005-07-28 2007-02-01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휴대단말
JP4545062B2 (ja) 2005-08-03 2010-09-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CN2831484Y (zh) * 2005-08-17 2006-10-2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JP4563915B2 (ja) * 2005-10-21 2010-10-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349633B2 (ja) * 2005-10-21 2009-10-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851510B2 (ja) * 2005-12-01 2012-01-1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7845987B2 (en) 2005-12-01 2010-12-07 Ddk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TW200729638A (en) * 2006-01-20 2007-08-01 Benq Corp Connector
JP2007323854A (ja) * 2006-05-30 2007-12-13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07328961A (ja) * 2006-06-06 2007-12-20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装置
JP4802959B2 (ja) * 2006-09-29 2011-10-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858050B2 (ja) * 2006-09-2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64040B2 (ja) * 2007-01-10 2012-10-3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4548798B2 (ja) * 2007-01-12 2010-09-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454036B2 (ja) * 2007-06-06 2010-04-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雄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4951651B2 (ja) 2009-05-26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ジョインタ
KR101770631B1 (ko) 2010-11-22 2017-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소켓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TWI433406B (zh) 2011-06-15 2014-04-01 Giga Byte Tech Co Ltd 電連接座與電連接座之承載體
JP5196608B2 (ja) * 2011-06-20 2013-05-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ジョインタ
US8303317B1 (en) * 2011-09-30 2012-11-0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assembly
US9167696B2 (en) * 2012-12-01 2015-10-20 Kingston Technology Corporation Low profile memory module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KR101809340B1 (ko) * 2013-02-27 2017-12-14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
WO2014132284A1 (ja) * 2013-02-27 2014-09-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JP5790950B2 (ja) * 2013-04-02 2015-10-07 Smk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
JP6133119B2 (ja) 2013-04-25 2017-05-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5766848B1 (ja) * 2014-05-20 2015-08-1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8133275A (ja) 2017-02-17 2018-08-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94954B2 (ja) * 2017-07-31 2020-12-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TWI674712B (zh) * 2018-07-06 2019-10-1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插座連接器及電連接器總成
JP1669107S (ko) * 2020-05-25 2020-09-28
JP2021197299A (ja) * 2020-06-16 2021-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液状物質の侵入を防止する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組立体を用いた電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3203A (en) * 1983-12-07 1985-08-06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NL8900947A (nl) * 1989-04-14 1990-11-01 Du Pont Nederland Connectorsamenstel.
TW330739U (en) * 1995-10-11 1998-04-21 Hon Hai Prec Ind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I)
JPH09213432A (ja) * 1996-02-05 1997-08-15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電気コネクタ
EP0991148B1 (en) * 1996-03-21 2007-06-27 Framatome Connectors Japan Ltd. Connector
EP0907987A4 (en) * 1996-06-28 2000-08-09 Berg Tech Inc ELECTRICAL CONNECTOR
US5921787A (en) * 1996-07-17 1999-07-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oard-to-board interconnection
US5895278A (en) * 1996-10-10 1999-04-20 Thomas & Betts Corporation Controlled impedance,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JP3446990B2 (ja) * 1997-06-04 2003-09-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忘れ検知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856B1 (ko) 2007-10-11 2011-05-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57003A1 (en) 2002-11-13
EP1257003B1 (en) 2010-11-10
KR20020025972A (ko) 2002-04-04
JP2002008753A (ja) 2002-01-11
EP1257003A4 (en) 2006-05-03
CN1251357C (zh) 2006-04-12
WO2001097335A1 (fr) 2001-12-20
US20020137396A1 (en) 2002-09-26
US6623308B2 (en) 2003-09-23
TW501312B (en) 2002-09-01
DE60143422D1 (de) 2010-12-23
CN1383595A (zh) 200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902B1 (ko) 커넥터
KR101168093B1 (ko) 커넥터 및 케이블 리테이너
JP2591579Y2 (ja) コネクタ装置
US6280251B1 (en) Electrical connector
EP1628369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ield
JP5647434B2 (ja) 嵌合完了検知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JP2002151190A (ja) 基板用コネクタ
JPH10189181A (ja) プラグコネクタ
US6508660B2 (en) Metallic shroud for use with board-mounted electronic connectors
JP2003217710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0122783Y1 (ko) 인쇄 회로 기판용 연부 접속기
US5883787A (en) Floating guided connector and method
KR20230150919A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커넥터 어셈블리용 소켓 제조 방법
KR20000029442A (ko) 전기커넥터
EP1538707B1 (en) Connector
KR20050089872A (ko) 가동형 커넥터용 컨택트 및 이를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
US20090156044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tact Insertion Guide
US6045372A (en) Conne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08088821A2 (en) Electronic connection box and its method of assembly
WO2007062866A1 (en) Intermediate plug
KR10253507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JP2020187945A (ja) コネクタ装置
KR10214817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06012545A (ja) コネクタの保持構造
JP2003317831A (ja) 基板取付型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