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198B1 -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 전파흡수체 및 전파흡수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 전파흡수체 및 전파흡수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198B1
KR100472198B1 KR10-2000-0002562A KR20000002562A KR100472198B1 KR 100472198 B1 KR100472198 B1 KR 100472198B1 KR 20000002562 A KR20000002562 A KR 20000002562A KR 100472198 B1 KR100472198 B1 KR 100472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wave
wave absorber
assembly member
manufacturing
absorbe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487A (ko
Inventor
무라세다쿠
구리하라히로시
사이토도시후미
야나가와모토나리
하야시고조
후지모토교이치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도키와 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도키와 덴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2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 H01Q17/008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with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Landscapes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소망형상의 구조체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한 전파흡수성 박재(薄材)로 이루고, 이 박재는 내부에 도전성재료를 함유하고, 및/또는 표면에 도전성재료를 함유한 도전층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이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절곡(접어 구부리다)하고 박재의 단부끼리를 접합하여 입체적 구조체인 전파흡수체를 얻는다.

Description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 전파흡수체 및 전파흡수체의 제조방법{RADIO WAVE ABSORBENT-ASSEMBLING MEMBER, RADIO WAVE ABSORB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파암실에 사용하는 전파흡수체와, 이 전파흡수체에 사용되는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와 전파흡수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더욱 고도한 정보사회의 실현을 향하여 이동통신분야를 중심으로 전파이용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또, 오늘날의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 기술의 혁신적 진보에 따라 다양한 전자기기가 보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불필요한 전자파 노이즈 등이 정밀기기관련장치에 미치는 영향이 문제가 되고 있다.
전자파 노이즈 측정에는 통상 전자파 반사가 없는 전파암실(무파 무향실; 無派無響室)이 사용되고 이와같은 전파암실 내벽에는 전파흡수체가 설치되어 있다. 전파암실에 사용되는 종래의 전파흡수체로는 도전성을 얻기위하여 카본블랙 등이 배합된 발포 스티롤, 발포스티렌이나 발포우레탄 등의 유기계 재료로 되는 전파흡수체를 들 수 있다. 또, 전파흡수체는 사각추형상, 삼각주형상, 쐐기형상의 입체적 구조체로 사용된다. 이와같은 입체적 구조를 취하는 전파흡수체는 가령 발포전의 폴리스티롤, 폴리우레탄 등의 유기계 재료입자를 직경 수mm의 구상으로 예비발포시켜, 이 표면에 카본블랙 등의 도전성 재료의 분말을 코팅한 후, 이것을 소망하는 형에 넣어서 가열하여 제2차 발포시킴으로써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최근에 입체적 구조를 취하는 전파흡수체 내부를 중공으로 하는 전파흡수체용 부재 및 전파흡수체 제조방법이 제안되고 있다(특허 제2760578호, 특개평 8-67544호, 특개평 9-275295호, 특개평 9-307268호, 특개평 10-163670호).
그러나, 상기와 같이 폴리스티롤,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등의 유기계 재료를 가열발포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 사각추형상, 삼각주형상, 쐐기형상 등의 전파흡수체는 전파암실 시공시의 반입시에 부피가 커질 뿐만아니라 접촉 등에 의한 파손을 일으키기 쉬운 문제가 있다.
또, 특허 제2760578호 기재의 제조방법은 소정 절곡부를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연화시키는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어 작업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사용하고 있기때문에 이뮤니티 시험 등의 대전력의 시험을 행하는 전파암실은 불연성, 내화성이 떨어져 안전성 면에 문제가 있다.
또, 특개평 8-67544호 기재의 전파흡수용 부재 및 제조방법은 경량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전파흡수체를 제안하고 있으나, 복수부재를 사용함과 동시에 복수의 처리공정도 필요하여 작업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르타르를 경량화하기 위하여 유기중공입자나 유기계 결합제를 다량으로 사용하나, 이들은 준불연재료로서, 불연재료에 비해 발연량이 많은 문제가 있다.
또, 특개평 9-275295호 기재의 전파흡수체는 제조비가 매우 높은 문제가 있다.
또, 특개평 9-307268호 기재의 전파흡수체는 세라믹 섬유나 유리섬유로 되는 성형체를 필요로 하고 또, 복수의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비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중공입체적 구조를 취하는 전파흡수체는 모두 경량화가 아직 충분치 않아 전파암실 측면이나 천정 내벽에 설치한 때의 작업성이 나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파암실 시공시의 작업성이 우수하고 또 불연성을 갖는 소망형상의 전파흡수체와, 이 전파흡수체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전파흡수체의 조립용 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는 소망형상의 구조체를 조립가능한 전파흡수체 박재(薄材)로 되고, 그 박재는 내부에 도전성재료를 함유하고, 및/또는 표면에 도전재료를 함유하는 도전층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는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하여 성형된 전파흡수체로서, 소망형상의 구조체를 조립가능한 전파흡수성 박재로 된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절곡(접어 구부리다)하고 단부끼리 접합하여 형성된 구조체로서, 상기 박재는 내부에 도전성재료를 함유하고, 및/또는 표면에 도전성재료를 함유하는 도전층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제조방법은 내부에 도전성재료를 함유하고, 및/또는 도전성재료를 함유하는 도전층을 표면에 구비한 전파흡수성 박재를 소망형상의 구조체가 조립가능한 형상으로 가공하여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제작하고, 그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절곡하여 단부끼리 접합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는 전파흡수성을 갖는 박재로 구성되므로 경량화와 제조비 저감이 가능하고 또, 평면형상으로 부피가 없기 때문에 전파암실 시공시의 반입작업 등이 매우 손쉽고, 또한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에 전처리를 행하지 않고 절곡하여 소망 구조체를 제작하여 전파흡수체로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좋고 또 박재로서 불연지(不燃紙)를 사용함으로써 얻는 전파흡수체는 불연성을 구비한 것이된다. 또, 복수의 전파흡수체 집합인 유니트에 틀부재를 고착함으로써 전파암실 내벽에의 전파흡수체 설치를 유니트마다 행할 수 있으므로 전파암실 시공시의 작업성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설치된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는 접촉등의 불의의 사고에 대해서는 매우 안전하고,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상기와 같이 코스트가 낮고 설치 등의 작업성이 양호하므로 교체, 수정이 쉽고 또 전파흡수체를 파기할 때에도 박재로서 불연지를 사용함으로써 콤팩트하게 접을 수 있어 취급이 쉽고, 또 리사이클도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는 소망형상의 구조체를 조립가능한 전파흡수성 박재(2)로 된다. 도시예에서는 박재(2)는 사각추형상의 구조체가 조립가능하고, 사각추 형상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재(3a, 3b, 3c, 3d)와, 저면을 구성하는 저면부재(4a, 4b, 4c, 4d)와, 접합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또, 박재(2)의 상기 각 부재 경계에는 절곡용 오목부(6; 쇄선으로 표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각 저면부재(4a, 4b, 4c, 4d)는 조립시에 상호 접합하여 저면을 구성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중에서 말하는「전파흡수성」이란 반사량이 약 -20dB이하의 값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를 구성하는 박재(2)는 ① 내부에 도전성재료를 함유하는것, ② 표면에 도전성재료를 함유하는 도전층을 구비하는 것 및, ③ 내부에 도전성재료를 함유함과 동시에 표면에도 도전성재료를 함유하는 도전층을 구비하는 것중의 하나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① 로서, 함수 무기화합물과, 도전성재료를 함유하는 슬러리에서 초조(종이를 뜬)한 불연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②의 도전층을 구비한 박재는 가령, 도전성재료를 무기바인더로 분산시킨 도전성 도포액을 조제하고, 이 도전성 도포액에 상기 불연지나 종래 공지의 불연지, 또는 평판박재(불연보드, 발포스티롤, 골판지 등)를 침지하여 들어냄으로써, 표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침지방법, 상기 불연지나 종래 공지의 불연지 또는 평판박재(불연보드, 발포스티롤, 골판지 등) 표면에 솔, 브러시 등을 사용하여 상기 도전성 도포액을 도포하여 도전층을 형성하는 도포방법, 상기 도전성 도포액을 스프레이 등으로 불연지 등의 표면에 분무하여 도전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으로 형성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박재(2)로서, 불연성, 경량성, 운반과 시공의 용이성을 위해 불연지를 선택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중에서 말하는「불연성」은 750℃의 노내에 20분간 둘 경우에 노내온도의 상승이 50℃이하이면 불연재료라 판단하는 건축재료시험법(일본건설성 고시 제1828호)에 합격한 것을 말한다.
사용하는 도전성재료로는 도전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가령 카본블랙, 그래파이트, 탄소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무기바인더로는 물유리, 실리카-알루미나계 바인더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박재(2)에 있어서 도전성재료의 함유량은 5∼80g/m2, 바람직하게는 20∼50g/m2 정도로 할수 있다. 도전성재료 함유량이 5g/m2 미만은 박재(2)의 전파흡수 특성이 불충분하고, 또 80g/m2를 초과하면 주파수 20MHz 부근의 전파 흡수특성이 불충분할 뿐아니라 후기의 불연성 시험에 있어서 발열량이 많아져서 부적정하게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박재(2)에 있어서의 도전성재료의 함유량은 부위마다 상기 범위내에서 다르게 설정하여도 된다.
상기 박재(2)의 두께는 1∼4mm, 바람직하게는 0.5∼2mm정도, 절곡용 오목부(6) 깊이는 0.05∼3mm, 바람직하게는 0.05∼1mm 정도로 할수 있다. 또 박재(2)의 절곡용 오목부(6) 형성은 가령, 단면 V자 형상의 형을 가압하는 방법, 회전날로 절삭형성하는 방법 등 어느쪽이라도 된다.
도 2는 도 1 표시의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한 전파흡수체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제조방법은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를 박재(2)의 절곡용 오목부(6)에서 절곡하고(도 2a), 측면부재(3d) 단부에 접합부재(5)를 접착함으로써 측면부재(3d)의 단부를 접합하고(도 2b), 또한 저면부재(4a,4b,4c,4d)를 각각 걸어맞추고 결합하여 저면을 형성하여(도 2c)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101; 도 2d)를 얻는 것이다. 이와같은 사각추 형상의 구조체 조립에 사용하는 접착제는 가령 포틀랜드시멘트, 석호 등의 수화반응에 의해 경화하는 접착제, 또는 인산염, 실리카졸, 물유리 조성물 등의 무기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염가로 결합성이 높은 물유리 조성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물유리는 알카리금속 규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성용액으로 특히 규산나트륨은 염가로 JIS 규격품으로서 입수가 쉽고 바람직하다. 또, 규산나트륨의 물유리에 규산리튬의 물유리를 혼합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전파흡수체(101) 저부에 도전성재료를 함유한 유전성 손실을 구비한 대좌판을 배치하여도 좋다. 이와같은 유전성 손실을 구비한 대좌판을 배치함으로써 수십 MHz에서 수 GHz까지의 주파수대역뿐아니라 수십 GHz의 더욱 고주파수 대역까지 전파흡수 특성을 보상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1)는 소망형상의 구조체를 조립가능한 전파흡수성 박재(12)로 된다. 도시예에서는 박재(12)는 쐐기형상의 구조체가 조립가능하고, 쐐기형상의 경사면을 구성하는 경사면부재(13a, 13b, 13c, 13d)와, 저면을 구성하는 저면부재(14a, 14b, 14c, 14d)와, 접합부재(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각 저면부재(14a, 14b, 14c, 14d)는 조립시에 상호 접합하여 저면을 구성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박재(12)의 상기 각 부재 경계에는 절곡용 오목부(16; 쇄선으로 표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박재(12)의 재질, 두께 등은 상기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의 박재(2)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3 표시의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한 전파흡수체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제조방법은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1)를 박재(12)의 절곡용 오목부(16)에서 절곡하고(도 4a), 측면부재(13d) 단부에 접합부재(15)를 접착함으로써 경사면 부재 (13a)와 측면부재(13d)의 단부를 접합하고(도 4b), 또한 저면부재(14a,14b,14c, 14d)를 각각 걸어맞추고 결합하여 저면을 형성하여(도 4c) 본 발명의 쐐기형상 전파흡수체(111; 도 4d)를 얻는다. 조립에 사용하는 접착제로는 상기와 같이 무기접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전파흡수체(111) 저부에도 상기와 같은 유전성 손실을 대비한 대좌판을 배치하여도 좋다.
제 3 실시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21)는 소망형상의 구조체를 조립가능한 전파흡수성 박재(22)로 된다. 도시예에서는 박재(22)는 사각추형상의 구조체가 조립가능하고, 사각추 형상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재(23a, 23b, 23c, 23d)와, 각 측면의 저면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24a, 24b, 24c, 24d)와, 접합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각 연결부재(24a, 24b, 24c, 24d)는 조립시에 상호 결합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박재(22)의 상기 각 부재 경계에는 절곡용 오목부(26; 쇄선으로 표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박재(22)의 재질, 두께 등은 상기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의 박재(2)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어,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5 표시의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한 전파흡수체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제조방법은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21)를 박재(22)의 절곡용 오목부(26)에서 절곡하고(도 6a), 측면부재(23d) 단부에 접합부재(25)를 접착함으로써 측면부재 (23a,23d)의 단부를 접합하고(도 6b), 또한 연결부재(24a,24b,24c,24d)를 각각 걸어맞추고 접합하여(도 6c)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121; 도 6d)를 얻는 것이다. 이와같은 사각추 형상의 구조체 조립에 사용하는 접착제는 상기와 같은 무기접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전파흡수체(121) 저부에도 상기와 같은 유전성 손실을 대비한 대좌판을 배치하여도 된다.
제 4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31)는 소망형상의 구조체를 조립가능한 전파흡수성 박재(32)로 된다. 도시예에서는 박재(32)는 사각추형상의 구조체가 조립가능하고, 사각추 형상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재(33a, 33b, 33c, 33d)와 접합부재(35)를 구비하고 있다.
또, 박재(32)의 상기 각 부재 경계에는 절곡용 오목부(36; 쇄선으로 표시)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박재(32)의 재질, 두께 등은 상기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의 박재(2)와 동일하게 설치할 수 있어,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도 7 표시의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한 전파흡수체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제조방법은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31)를 박재(32)의 절곡용 오목부(36)에서 절곡하고(도 8a), 측면부재(33d) 단부에 접합부재(35)를 접착함으로써 측면부재 (33a,33d)의 단부를 접합하여(도 8b),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131; 도 8c)를 얻는 것이다. 이와같은 사각추 형상의 구조체 조립에 사용하는 접착제는 상기와 같은 무기접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전파흡수체(131) 저부에도 상기와 같은 유전성 손실을 대비한 대좌판을 배치하여도 된다.
제 5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에 있어서,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41)는 소망형상의 구조체를 조립가능한 전파흡수성 박재(42)로 된다. 도시예에서는 박재(42)는 사각추형상의 구조체가 조립가능하고, 사각추 형상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재(43a, 43b, 43c, 43d)와, 후기의 복수의 전파흡수체로 되는 유니트를 형성할 경우에 사용하는 연결부재(44a, 44b, 44c, 44d)와, 접합부재(45)를 구비하고 있다.
또, 박재(42)의 상기 각 부재 경계에는 절곡용 오목부(46; 쇄선으로 표시)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박재(42)의 재질, 두께 등은 상기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의 박재(2)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도 9 표시의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한 전파흡수체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제조방법은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41)를 박재(42)의 절곡용 오목부(46)에서 절곡하고(도 10a), 측면부재(43d) 단부에 접합부재(45)를 접착함으로써 측면부재(43a,43d)의 단부를 접합하고(도 10b), 또한 저면부재(44a,44b,44c,44d)를 오목부(46)에서 외측으로 절곡하여 본 발명의 사각추 형상의 전파흡수체(141; 도 10c)를 얻는다. 조립에 사용하는 접착제로는 상기와 같이 무기접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전파흡수체(141) 저부에 연결부재(44a,44b,44c,44d)의 기능을 손상하지 않게 하여 상기와 같은 유전성 손실을 대비한 대좌판을 배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 제5의 실시형태에 예시한 바와같은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절곡부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도 된다. 도 11은 도 1에 표시된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에 보강부재를 구비한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는 오목부(6) 상에 보강부재(8)를 무기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착한 것이다. 보강부재(8)로는 난연성섬유, 유리섬유 등을 무기접착제를 사용하여 시트상으로 형성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무기접착제로는 상기와 같은 무기접착제를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제5 실시형태에 예시한 전파흡수체 그 선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를 설치하여도 된다. 도 12는 도 2 표시의 전파흡수체 (101)에 보강부재를 설치한 전파흡수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사각후형상의 전파흡수체(101)는 전파흡수체(101)와 닮은 사각추형상(저면은 개방)의 보강부재(108)를 정부(頂部)에 무기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착한 것이다. 이와같은 삼각주 형상의 보강부재(108)는 난연성섬유, 유리섬유 등을 무기접착제를 사용하여 형성한 시트를 가령 도 7 표시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31)와 같은 형상으로 쳐서 빼내고, 이것을 무기접착제를 사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무기접착제는 상기와 같은 무기접착제를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접합부재는 상기 제1∼제5 실시형태에 표시한 태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접합부재에 대하여 도 1 표시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를 예로 도 13∼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 표시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A)는 기본적으로 도 1 표시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와 동일하고, 접합부재(5) 구성이 다르다. 즉, 접합부재는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재(3a) 단부의 저면 가까이의 약 절반에 설치된 접합부재(5a)와, 측면부재(3d) 단부의 정부가까이의 약 절반에 설치된 접합부재(5b)로 된다(도 13a). 이들 접합부재(5a, 5b)의 중앙 가까운 측단부(5a', 5b')는 선단이 예각인 결합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A)를 절곡용 오목부(6)에서 절곡하여 전파흡수체를 조립할 경우, 측면부재(3a) 단부와 측면부재(3d) 단부의 접합은 상기 접합부재(5a, 5b)가 중앙가까운 측단부(결합부; 5a', 5b')에 의해 걸리기(도 13b) 때문에 조립이 더 용이해진다. 접합부재(5a, 5b)에는 미리 접합제가 도포되기 때문에 상기 걸린 상태로 접착제 고화가 진행되어 접합부재(5a)는 측단부재(3d)에 고착되고 접합부재(5b)는 측면부재(3a)에 고착된다.
도 14 표시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B)는 기본적으로 도 1 표시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와 동일하고, 접합부재(5) 구성이 다르다. 즉,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재(3a) 단부에 설치된 접합부재(5)는 기부(5a)와 기부(5b)보다 다소 폭 좁은 선단부(5b)로 되고, 한편, 측면부재(3d) 단부 근방에는 상기 선단부(5b)에 대응한 잘림부(7)가 설치되어 있다(도 14a). 이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 (1B)를 절곡용 오목부(6)에서 절곡하여 전파흡수체를 조립할 경우, 측면부재(3a) 단부와 측면부재(3d) 단부의 접합은 미리 접착제가 도포된 접합부재(5) 선단부(5b)가 측면부재(3d)의 잘림부(7)에 삽입되고(도 14b), 측면부재(3a) 단부와 측면부재 (3d) 단부가 걸린다(도 14c). 그후, 상기 걸린 상태로 접착제 고화가 진행되어 접합부재(5)의 기부(5a)가 측면부재(3d)에 고착되기 때문에 조립이 더욱 용이해진다.
도 15 표시된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C)는 기본적으로 도 1 표시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와 동일하고, 접합부재(5) 구성이 다르다. 즉,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재(3a) 단부에 설치된 접합부재(5)는 3개의 접합부재(5A, 5B, 5C)로 되고, 각 접합부재(5A, 5B, 5C)는 각각 기부(5A, 5B, 5C)와 기부보다 다소 폭이 좁은 선단부(5a', 5b', 5c')로 된다. 한편, 측면부재(3d) 단부 근방에는 상기 3개의 선단부(5a', 5b', 5c')에 대응한 3개의 잘림부(7a, 7b, 7c)가 설치되어 있다(도 15a). 이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C)를 절곡용 오목부(6)에서 절곡하여 전파흡수체를 조립할 경우, 측면부재(3a) 단부와 측면부재(3d) 단부의 접합은 미리 접착제가 도포된 각 접부부재(5A, 5B, 5C) 선단부(5a', 5b', 5c')가 측면부재(3d)의 잘림부(7a, 7b, 7c)에 삽입되고(도 15b), 측면부재(3a) 단부와 측면부재(3d) 단부가 걸린다(도 15c). 그후 상기 걸린 상태로 접착제 고화가 진행되어 접합부재(5A, 5B, 5C) 기부(5a, 5b, 5c)가 측면부재(3d)에 고착되므로 조립이 더 용이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및 그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 제5의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전파흡수체와 그 제조방법에 부가하여, 제조한 전파흡수체를 복수 세워 설치하여 연결한 것을 1유니트로 하고, 이 유니트 하부주위에 틀부재를 고착하여 지지할 수 있다.
도 16은 이와같은 제조방법으로 1유니트의 전파흡수체를 제작하는 1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4개의 전파흡수체(101) 측면의 저면부를 4개의 연결부재(203a)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하여 1개의 유니트로하고, 이 유니트를 대응하는 형상의 틀부재(202)내에 재치하고, 각 전파흡수체(101)의 측면저면부와 틀부재(202)를 8개의 연결부재(203b)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이로써 도 17 및 도 18 표시의 1유니트의 전파흡수체(201)를 얻을수 있다. 또, 도 18은 도 17의 A-A선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1유니트의 전파흡수체를 제작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에 있어서, 9개의 각 전파흡수체(141)의 연결부재(44a,44b,44c,44d)를 인접한 전파흡수체(141) 표면 또는 내면에 무기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착시킴으로써 인접한 9개의 전파흡수체(141)를 상호 연결하여 1개의 유니트로 된다. 다음에 이 유니트를 대응하는 형상의 틀부재(212)내에 재치하고, 유니트 외측에 위치한 연결부재 (44a,44b,44c,44d)를 통하여 무기접착제에 의해 전파흡수체(141)와 틀부재(212)를 연결한다. 이에따라 도 20 및 도 21 표시의 1유니트 전파흡수체(211)를 얻을수 있다. 또, 도 21은 도 20의 B-B선에서의 종단면도이다.
이와같은 유니트의 전파흡수체(201, 211)는 유니트별로 취급하여 전파암실 내벽에 설치할 수 있고, 또, 개개 전파흡수체가 경량이기 때문에 취급이 손쉽다.
따라서, 가령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전파암실의 시공현장에 반입하고, 이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하여 개개 전파흡수체를 제조하고, 이들 전파흡수체를 사용하여 도 22 표시의 복수의 유니트 전파흡수체(211)를 제조한다. 그리고, 이들 복수의 유니트 전파흡수체(211)를 도 23 표시의 전파암실 내벽에 설치하여 틀부재(212) 끼리 접합할 수 있으므로 반입에서 조립, 설치까지 전파암실 시공시의 작업성이 매우 양호해진다. 또, 개개 전파흡수체로서 상기 두가지 예에서는 전파흡수체(101, 141)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틀부재(202, 212)로는 ① 내부에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는 불연성 보드, ② 표면에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는 도전층을 구비한 불연성 보드, 및 ③ 내부에 도전성재료를 함유함과 동시에 표면에도 도전성재료를 함유하는 도전층을 구비한 불연성 보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함수 무기화합물과 도전성 재료를 함유한 슬러리로부터 종이를 뜬 불연성 시트를 무기접착제를 사용하여 허니컴 형상으로 적층하여 허니컴 구조체를 제작하고, 이 허니컴 구조체 양면에 상기 불연성 시트를 배치한 것이 전파흡수특성, 경량성, 불연성, 기계적 강도, 방열성의 관점에서 불연성 보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허니컴 구조체를 갖는 불연성보드 제조는 우선 함수 무기화합물과 필요에 따라 도전성 재료를 함유한 슬러리에서 불연성 시트를 종이로 뜨고, 소정폭으로 한 불연성 시트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선상으로 무기접착제를 도포하고, 또 인접한 불연성 시트간에 선상의 무기접착제 도포위치를 반피치 엇갈리게하여 소정 매수의 불연성 시트를 적층한다. 그리고, 이 적층체를 압착하여 무기접착제 도포부위에서 접합됨으로써 시트블록으로 한다. 여기서는 상기 무기접착제 도포폭이 허니컴 구조체의 셀의 중합면 길이 치수가 되고, 이 무기접착제층 폭과 형성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셀 사이즈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시트블록을 소망의 허니컴 구조체 두께로 재단하여 무기함침제에 침지하면서 넓게 펴고, 셀을 형성하는 소망의 넓게 편 상태로 무기함침제를 건조고화하여 무기함침제 층으로 함으로써 허니컴 구조체가 얻어진다. 그리고 얻은 허니컴 구조체 양면에 무기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불연성 시트를 설치한다.
사용하는 무기접착제로는 가령 인산알루미늄용액, 코로이달실리카, 코로이달알루미나 등에 경화제, 촉매 등을 혼합한 수용성 또는 수분산타입의 것을 들 수 있다. 또, 무기함침제로는 각종 무기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불연성 시트 접합용 무기접착제와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틀부재(202, 212) 두께는 3∼200mm 정도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유니트 전파흡수체(201, 211) 제조에 사용하는 연결부재(203a, 203b)는 난연성섬유, 유리섬유 등을 무기접착제를 사용하여 시트상으로 형성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사용하는 무기접착제는 상기와 같은 무기접착제를 들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도 24는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에 있어서,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51)는 소망형상의 구조체를 조립가능한 전파흡수성 박재(52)로 된다. 도시예에서는 박재(52)는 조립단위(52A)가 3개 연속 설치되어 있고, 연속된 3개의 쐐기형상의 구조체가 조립가능하다. 즉, 이 박재(52)는 1개의 조립단위(52A)가 쐐기형상의 경사면을 구성하는 경사면부재(53a, 53b)와, 쐐기형상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재(53c, 53d)와 측면부재(53c, 53d) 단부에 설치된 접합부재(55a, 55b)로 되고, 이 조립단위(52A)가 3개 연속 설치되어 있다. 또, 박재(52)의 상기 각 부재 경계에는 절곡용 오목부(56; 쇄선으로 표시)가 설치되고 각 조립단위(52A) 경계에는 절곡용 오목부(56; 쇄선으로 표시)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박재(52)의 재질, 두께 등은 상기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의 박재(2)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어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5는 도 24 표시의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한 전파흡수체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제조방법은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51)를 박재(52)의 절곡용 오목부(56)에서 절곡하고(도 25a), 측면부재(53d) 단부에 접합부재(55)를 접착함으로써 경사면부재(53a,53d)의 단부에 접합부재(55b, 55a)를 접착함으로써 경사면부재(53a)와 측면부재(53d)의 단부를 접합하고, 경사면부재(53b)와 측면부재(53c) 단부를 접합하여 본 발명의 쐐기형상 전파흡수체(151; 도 25b)를 얻는다. 이 쐐기형상의 전파흡수체(151)는 도시와 같이 3개의 쐐기형상이 연속한 구조체이다. 또, 조립에 사용하는 접착제는 상기와 같은 무기접착제를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전파흡수체(151)를 복수 세워 설치하여 연결한 것을 1유니트로 이 유니트 하부주위에 틀부재를 고착하여 지지할 수 있다.
도 26은 이와같은 방법으로 1유니트의 전파흡수체를 제조하는 1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에 있어서, 2개의 전파흡수체(151)를 대향하는 각 전파흡수체(151) 측면(도시의 한쪽 전파흡수체(151)의 실사선 표시면)으로 무기접착제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하여 1개의 유니트로 하고, 이 유니트에 대응하는 형상의 틀부재(222)내에 재치한다. 그리고, 전파흡수체(151) 사면(斜面) 저변부와 틀부재(222)를 4개의 연결부재(223)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전파흡수체(151)의 측면저변부(도시의 한쪽 전파흡수제(151)에 쇄사선 표시면)와 틀부재(222)를 무기접착제를 사용하여 연결한다(도 26a). 이에 따라 도 26b 표시의 1유니트의 전파흡수체 (221)를 얻을 수 있다.
또, 틀부재(222), 연결부재(223)는 각각 상기 틀부재(202, 212), 연결부재 (203a, 203b)와 동일하게 할 수 있어,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절곡부에 보강부재를 설치하거나, 각 전파흡수체 선단부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도 되고, 접합부재(55a, 55b)로 상기와 같은 각종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전파흡수체(221) 저부에 상기와 같은 대좌판을 배치하여도 된다.
제 7 실시형태
도 27은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에 있어서,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61)는 소망형상의 구조체를 조립가능한 전파흡수체 박재(62)로 된다. 도시예에서는 박재(62)는 조립단위 (62A)가 3개 연속 설치되어 있고, 연속된 3개의 쐐기형상 구조체가 조립가능하다. 즉, 이 박재(62)는 1개의 조립단위(62A)가 쐐기형상의 경사면을 구성하는 경사면부재(63a,63b)와, 쐐기형상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재(63c, 63d)와, 측면부재 (63c, 63d) 단부에 설치된 접합부재(65a, 65b)와 각 측면부재(63c, 63d)에 설치된 고정부재(64c, 64d)로 되고, 이 조립단위(62A)가 3개 연속 설치되어 있고, 박재 (62) 양단에는 고정부재(64a, 64b)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박재(62)의 상기 각 부재의 경계에서 절곡용 오목부(66; 쇄선으로 표시)가 설치되고 또 각 조립단위(62A) 경계에도 절곡용 오목부(66; 쇄선으로 표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박재(62)의 재질, 두께 등은 상기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1)의 박재(2)와 동일하게 설치할 수 있어,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8은 도 27 표시의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한 전파흡수체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제조방법은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61)를 박재(62)의 절곡용 오목부(66)에서 절곡하고(도 28a), 경사면부재(63a,63b) 단부에 접합부재(65b, 65a)를 접착함으로써 경사면부재(63a)와 측면부재(63d) 단부를 접합하고, 경사면부재(63d)와 측면부재(63c) 단부를 접합하여, 그리고 고착부재(64a, 64b, 64c, 64d)를 오목부(66)에서 외측으로 절곡하여 본 발명의 쐐기형상의 전파흡수체(161; 도 28b)를 얻는다. 이 쐐기형상의 전파흡수체(161)는 도시와 같이 3개의 쐐기형상이 연속된 구조체이다. 또, 조립에 사용하는 접착제로는 상기와 같이 무기접착제를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상기 전파흡수체(161)를 복수 세워 설치하여 연결한 것을 1유니트로 하고, 이 유니트 저부에 지지재를 고착하여 지지할 수 있다.
도 29는 이와같은 방법으로 1유니트의 전파흡수체를 제조하는 1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에 있어서, 2개의 전파흡수체(161)를 대향하는 각 전파흡수체(161) 측면(도시의 한쪽 전파흡수체(161)의 실사선 표시면)으로 무기접착제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하여 1개의 유니트로 한다. 한편, 이 유니트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기판(233)과, 기판(233)에 세워 설치된 6개의 보강판(234)으로 되는 지지재(232)를 준비한다(도 29a). 그리고 2개의 전파흡수체(161)로 되는 유니트를 보강판(234)이 각 쐐기형상 구조체내에 삽입되게 하여 지지재(232) 상에 재치한다(도 29b). 그후, 전파흡수체(161)의 고착부재(64a,64b,64c,64d)를 무기접착제를 사용하여 기판(233)의 측면(233a)에 고착함으로써 도 30 표시의 1유니트의 전파흡수체(23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지재(232)는 불연지의 적층체 또는 불연성 보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불연지로는 함수 무기화합물을 함유하는 슬러리로부터 종이를 뜬 불연성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불연성 보드는 함수무기화합물을 함유하는 슬러리에서 초조한 불연성 시트를 사용하고, 상기 틀부재(202, 212)에서 설명한 수순과 같이 하여 제작한 허니컴 구조체를 갖는 불연성 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절곡부에 보강부재를 설치하거나, 각 전파흡수체 선단부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도 되고, 접합부재(65a, 65b)도 상기와 같이 각종 형태로 할수 있다.
다음에 구체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하기 조성의 불연지용 슬러리를 헨실믹서를 사용하여 조제하였다.
불연지용 슬러리의 조성
· 세퍼오라이트(미즈자와 가가쿠 고교(주)제 에이드프라스) 60중량부
· 유리섬유(닛토 보세키(주)제 6mm품) 7중량부
· 그래파이트(니혼 고쿠엔(주)제 청P) 30중량부
· 유기바인더 3중량부
다음에 상기 슬러리를 사용하여 도전성 재료를 함유한 박재로서의 불연지(두께 0.7mm)를 초조하고, 도 1 표시 형상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제작하였다. 이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도전성재료 함유량은 78g/m2이였다. 또, 상기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에는 절곡용 오목부(깊이 0.08mm)를 설치하였다.
이어서, 상기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와 무기접착제(규산칼륨과 오산화 안티몬 혼합물)를 사용하여 도 2 표시의 절곡용 오목부로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절곡하고, 측면의 단부를 접합하고 저면을 형성하여 사각추 형상의 전파흡수체(높이 900mm, 저면 200mm)를 9체(體) 제작하였다.
이와같이 제작한 전파흡수체에 대하여 하기 측정방법에 따라 불연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표시하였다.
불연성 시험
건설성 고시 1828호에 규정한 불연성 재료의 시험방법에 준하여 우선 무기접착제 ((주) 죠반 덴키제 FJ294)를 사용하여 전파흡수체를 적층하여 40mm × 40mm × 5mm의 시험편을 작성하고, 이 시험편을 노내에서 750±10℃, 20분간 가열하고, 이 가열에 의한 시험편의 온도상승을 측정하였다. 가열에 의한 시험편의 온도상승이 50℃ 미만의 경우 불연성이 합격이 된다.
또, 상기 전파흡수체 저면이측에 배면에 실드패널을 배치한 TDK(주)제 페라이트 IB-011(두께 6.9mm)을 장착하고, 1GHz에 있어서의 전파흡수능을 측정하였다. 즉, 도 31의 측정계 블록도 표시와 같은 전파암실(81)에 있어서 전파흡수체(80)에 전파를 조사하고, 반사파 레벨을 측정하였다. 전파암실(81)내에는 가리개(82)를 끼우고 송신안테나(83)와 수신안테나(84)가 설치되어 있고, 송신안테나(83)에는 S-파라미터(85)가 접속되고, 수신안테나(84)는 RF앰프(86)를 통하여 상기 S-파라미터 (85)에 접속되어 있다. 또, S-파라미터(85)는 네트워크아날라이저(87)를 통하여 측정콘트롤러(88)에 접속되고, 이 측정콘트롤러(88)에는 프린터(39)가 접속되어 있다. 전파흡수체 반사량(dB)은 9체의 전파흡수체로 되는 유니트 저면과 동일치수 (600mm × 600mm)의 금속판만의 반사레벨을 기준으로하여 하기 식에서 산출하여 하기 표 1에 표시하였다.
반사량(dB) = 전파흡수체의 반사레벨(dB) - 금속판의 반사레벨(dB)
실시예 2
우선, 하기 조성의 불연지용 슬러리를 헨실믹서를 사용하여 조제하였다.
불연지용 슬러리의 조성
· 세퍼오라이트(미즈자와 가가쿠 고교(주)제 에이드프라스) 80중량부
· 유리섬유(닛토 보세키(주)제 6mm품) 15중량부
· 유기바인더 5중량부
다음에 상기 슬러리를 사용하여 불연지(두께 0.7mm)를 초조하였다.
다음에 하기 조성의 도전성 도포액을 헨실믹서를 사용하여 조제하였다.
도전성 도포액의 조성
· 그래파이트(니혼 고쿠엔(주)제 청P) 20중량부
· 무기 코팅제((주) 죠반 덴키제 FJ803) 80중량부
이어서 상기 불연지 한쪽면에 상기 도전성 도포액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고 건조하여 전파흡수체 박재로 하고, 그후 도 1표시 형상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제작하였다.
이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도전성재료 함유량은 45g/m2였다. 또, 상기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에는 절곡용 오목부(깊이 0.08mm)를 설치하였다.
다음에,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전성 도포액을 도포한 면이 전파흡수체 표면에 위치하게 하여 사각추 형상의 전파흡수체(높이 900mm, 저변 200mm)를 9체 제작하였다.
이와같이 제작한 전파흡수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측정방법에 의해 불연성 시험, 1GHz에 있어서의 전파흡수능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3
우선, 실시예 2와 같이하여 불연지(두께 0.7mm)를 초조하였다.
다음에, 하기 조성의 도전성 도포액을 헨실믹서를 사용하여 조제하였다.
도전성 도포액의 조성
· 카본블랙(케첸블랙사제 EC) 10중량부
· 무기 코팅제((주) 죠반 덴키제 FJ803) 90중량부
이어서 상기 불연지 한쪽면에 상기 도전성 도포액을 롤러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건조하여 전파흡수성 박재로 하고, 그후, 도 1 표시 형상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제작하였다. 이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에 있어서의 도전성재료 함유량은 7g/m2였다. 또, 상기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에는 절곡용 오목부(깊이 0.08mm)를 설치하였다.
다음에 이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전성 도포액을 도포한 면이 전파흡수체 표면에 위치하게하여 사각추 형상의 전파흡수체(높이 900mm, 저변 200mm)를 9체 제작하였다.
이와같이 제작한 전파흡수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측정방법에 의해 불연성시험, 1GHz에 있어서의 전파흡수능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4
우선, 실시예 2와 같이하여 불연지(두께 0.7mm)를 초조하였다.
다음에 실시예 2와 같이하여 도전성 도포액을 헨실믹서를 사용하여 조제하였다.
이어서 상기 불연지 한쪽면에 상기 도전성 도포액을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건조하여 전파흡수성 박재로 하고, 그후, 도 24 표시 형상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제작하였다. 이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에 있어서의 도전성재료 함유량은 48g/m2였다. 또, 상기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에는 절곡용 오목부(깊이 0.08mm)를 설치하였다.
이어서, 이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와 무기접착제(규산칼륨과 오산화 안티몬 혼합물)을 사용하여 도전성 도포액을 도포한 면이 전파흡수체 표면에 위치하게 하여 쐐기형상이 3개 연속한 전파흡수체(1개의 쐐기형상에 대해 높이 900mm, 선단폭 300mm, 저면 200mm × 300mm)를 2체 제작하였다.
이와같이 제작한 전파흡수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측정방법에 의해 불연성시험, 1GHz에 있어서의 전파흡수능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5
우선, 실시예 2와 같이하여 불연지(두께 0.7mm)를 초조하였다.
다음에 실시예 2와 같이하여 도전성 도포액을 헨실믹서를 사용하여 조제하였다.
이어서 상기 불연지 한쪽면에 상기 도전성 도포액을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건조하여 전파흡수성 박재로 하고, 그후, 도 24 표시 형상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제작하였다. 또한, 이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에 있어서의 도전성재료 함유량은 후기의 쐐기형상이 3개 연속한 전파흡수체의 각 쐐기형상에 있어서, 전파가 조사되는 방향(선단측)에서 높이의 ⅓마다 15g/m2, 30g/m2, 45g/m2이 되게 설정하였다. 또, 상기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에는 절곡용 오목부(깊이 0.08mm)를 설치하였다.
이어서, 상기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와 무기접착제(규산칼륨과 오산화 안티몬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하게 도전성 도포액을 도포한 면이 전파흡수체 표면에 위치하게하여 쐐기형상이 3개 연속한 전파흡수체(1개의 쐐기형상에 대해 높이 900mm, 선단폭 300mm, 저면 200mm×300mm)를 2체 제작하였다.
이와같이 제작한 전파흡수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측정방법에 의해 불연성시험, 1GHz에 있어서의 전파흡수능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표시하였다.
비교예 1
우선, 실시예 2와 같이하여 불연지(두께 0.7mm)를 초조하였다.
다음에 실시예 2와 같이하여 도전성 도포액을 헨실믹서를 사용하여 조제하였다.
이어서 상기 불연지 한쪽면에 상기 도전성 도포액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고 건조하고 그후 도 1 표시 형상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제작하였다. 이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도전성재료 함유량은 3g/m2였다. 또, 상기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에는 절곡용 오목부(깊이 0.08mm)를 설치하였다.
다음에,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전성 도포액을 도포한 면이 전파흡수체 표면에 위치하게 하여 사각추 형상의 전파흡수체(높이 900mm, 저변 200mm)를 9체 제작하였다.
이와같이 제작한 전파흡수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측정방법에 의해 불연성 시험, 1GHz에 있어서의 전파흡수능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표시하였다.
비교예 2
우선, 실시예 2와 같이하여 불연지(두께 0.7mm)를 초조하였다.
다음에 실시예 2와 같이하여 도전성 도포액을 헨실믹서를 사용하여 조제하였다.
이어서 상기 불연지 한쪽면에 상기 도전성 도포액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고 건조하고 그후 도 1표시 형상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제작하였다. 이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도전성재료 함유량은 82g/m2였다. 또, 상기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에는 절곡용 오목부(깊이 0.08mm)를 설치하였다.
다음에,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전성 도포액을 도포한 면이 전파흡수체 표면에 위치하게 하여 사각추 형상의 전파흡수체(높이 900mm, 저변 200mm)를 9체 제작하였다.
이와같이 제작한 전파흡수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측정방법에 의해 불연성 시험, 1GHz에 있어서의 전파흡수능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표시하였다.
전파흡수체 불연성 반사량(dB)
실시예 1 양호 (797℃) -32
실시예 2 양호 (778℃) -28
실시예 3 양호 (765℃) -21
실시예 4 양호 (778℃) -24
실시예 5 양호 (770℃) -30
비교예 1 양호 (763℃) -12
비교예 2 불량 (812℃) -34
*: 불연성 평가란의 ( )내는 가열에 의한 시험편 온도를 표시한다.
표 1에 표시한 바와같이 실시예 1∼ 5의 전파흡수체는 모두 경량으로 불연성 및 전파흡수능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비해 비교예 1의 전파흡수체는 전파흡수능이 불충분하고, 또, 비교예 2의 전파흡수체 전파흡수능이 우수하나 불연성 점에서 실시예에 비해 떨어지는 것이었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는 전파흡수성을 갖는 박재로 구성되므로 경량화와 제조비 저감이 가능하고 또, 평면형상으로 부피가 없기 때문에 전파암실 시공시의 반입작업 등이 매우 손쉽고, 또한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에 전처리를 행하지 않고 절곡하여 소망 구조체를 제작하여 전파흡수체로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좋고 또 박재로서 불연지(不燃紙)를 사용함으로써 얻는 전파흡수체는 불연성을 구비한 것이된다. 또, 복수의 전파흡수체 집합인 유니트에 틀부재를 고착함으로써 전파암실 내벽에의 전파흡수체 설치를 유니트마다 행할 수 있으므로 전파암실 시공시의 작업성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설치된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는 접촉등의 불의의 사고에 대해서는 매우 안전하고,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상기와 같이 코스트가 낮고 설치 등의 작업성이 양호하므로 교체, 수정이 쉽고 또 전파흡수체를 파기할 때에도 박재로서 불연지를 사용함으로써 콤팩트하게 접을 수 있어 취급이 쉽고, 또 리사이클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 표시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한 전파흡수체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 표시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한 전파흡수체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도 5 표시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한 전파흡수체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7 표시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한 전파흡수체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도 9 표시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한 전파흡수체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설명도,
도 11은 도 1 표시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에 보강부재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도 2 표시의 전파흡수체에 보강부재를 설치한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에 있어서의 접합부재의 다른 구성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에 있어서의 접합부재의 다른 구성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에 있어서의 접합부재의 다른 구성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제조방법의 다른 예의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 표시의 전파흡수체의 A-A선에서의 종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제조방법의 다른 예의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1은 도 20 표시의 전파흡수체의 B-B선에서의 종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를 사용한 전파압실시공의 설명도,
도 23는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를 사용한 전파압실시공의 설명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25는 도 24 표시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한 전파흡수체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의 설명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제조방법과 전파흡수체의 다른 예의 설명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28은 도 27 표시의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한 전파흡수체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의 설명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제조방법과 전파흡수체의 다른 예의 설명도,
도 30은 도 29 표시의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전파흡수체 사시도,
도 31은 실시예에 있어서, 전파흡수체 1GHz에 있어서의 전파흡수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계 블록도.

Claims (24)

  1. 소망하는 형상의 구조체를 조립가능한 전파흡수성 박재로 이루어진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로서, 그 박재는 내부에 도전성재료를 함유하고, 및/또는 표면에 도전성재료를 함유하는 도전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재는 절곡용 오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재는 도전성 재료를 5∼80g/m2 범위내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재는 함수 무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슬러리로부터 종이를 뜬 불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재료는 카본블랙과 그래파이트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연속한 복수의 구조체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
  7.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사용하여 성형된 전파흡수체에 있어서, 소망하는 형상의 구조체를 조립가능한 전파흡수성 박재로 이루어진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절곡하고, 단부끼리 접합하여 형성된 구조체로서, 상기 박재는 내부에 도전성재료를 함유하고, 및/또는 표면에 도전성재료를 함유하는 도전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쐐기형상 및 사각추 형상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전파흡수체는 연결된 복수의 구조체와, 그 복수의 구조체 하부주위에 고착된 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10. 제 7 항에 있어서, 전파흡수체는 연결된 복수의 구조체와, 그 복수의 구조체 저부에 고착된 지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박재는 절곡용 오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박재는 도전성 재료를 5∼80g/m2 범위내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박재는 함수 무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슬러리로부터 종이를 뜬 불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재료는 카본블랙과 그래파이트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15. 내부에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고, 및/또는 도전성재료를 함유하는 도전층을 표면에 구비한 전파흡수성 박재를 소망하는 형상의 구조체가 조립가능한 형상으로 가공하여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제작하고, 그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를 절곡하여 단부끼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의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흡수체 형상은 쐐기형상, 사각추형상 및 삼각주 형상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의 제조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박재에 미리 절곡용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 오목부에서 상기 박재를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의 제조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파흡수체를 세워 설치하여 연결한 것을 1유니트로 하고, 그 유니트 하부주위에 틀부재를 고착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의 제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틀부재는 내부에 도전성재료를 함유하고, 및/또는 도전성재료를 함유하는 도전층을 표면에 구비한 불연성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의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성 보드는 함수 무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슬러리로부터 종이를 뜬 불연성 시트를 무기접착제를 사용하여 허니컴 형상으로 적층한 허니컴 구조체 양면에 불연성 시트를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의 제조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파흡수체를 세워 설치하여 연결한 것을 1유니트로 하고, 그 유니트 저부에 지지재를 고착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의 제조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재는 불연지의 적층체 및 불연성 보드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의 제조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지는 함수 무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슬러리로부터 종이를 뜬 불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의 제조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성 보드는 함수 무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슬러리로부터 종이를 뜬 불연성 시트를 무기접착제를 사용하여 허니컴 형상으로 적층한 허니컴 구조체 양면에 불연성 시트를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의 제조방법.
KR10-2000-0002562A 1999-01-21 2000-01-20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 전파흡수체 및 전파흡수체의제조방법 KR100472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3326 1999-01-21
JP01332699A JP4377467B2 (ja) 1999-01-21 1999-01-21 電波吸収体組立用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波吸収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487A KR20000062487A (ko) 2000-10-25
KR100472198B1 true KR100472198B1 (ko) 2005-03-07

Family

ID=1183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562A KR100472198B1 (ko) 1999-01-21 2000-01-20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 전파흡수체 및 전파흡수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07693B1 (ko)
EP (1) EP1022805B1 (ko)
JP (1) JP4377467B2 (ko)
KR (1) KR100472198B1 (ko)
DE (1) DE60016056T2 (ko)
TW (1) TW53376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643B1 (ko) 2004-03-22 2012-01-04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전파 흡수 시트재 및 이를 이용한 전파 흡수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9387B2 (ja) * 1998-10-05 2009-07-22 Tdk株式会社 電波吸収体組立用部材および電波吸収体の製造方法
JP2003229691A (ja) * 2002-01-31 2003-08-15 Riken Corp 電波吸収体
JP4346360B2 (ja) * 2002-12-25 2009-10-21 東レ株式会社 電波吸収体用シート材および電波吸収体
JP4144754B2 (ja) * 2004-05-31 2008-09-03 Tdk株式会社 電波吸収体
JP4825074B2 (ja) * 2005-08-05 2011-11-30 Tdk株式会社 電波吸収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波暗室
US7479917B2 (en) 2005-08-05 2009-01-20 Tdk Corporation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magnetic wave anechoic room
CN103339469A (zh) * 2011-02-03 2013-10-02 株式会社尼利可 带状体的宽度方向端部位置测定装置、带状体的宽度方向中心位置测定装置以及微波散射板
JP5953798B2 (ja) * 2011-02-22 2016-07-20 東レ株式会社 電波吸収体用シート材及び電波吸収体
JP5953799B2 (ja) * 2011-02-22 2016-07-20 東レ株式会社 電波吸収体用シート材及び電波吸収体
KR101826355B1 (ko) * 2011-08-22 2018-0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잔향실
KR102425862B1 (ko) * 2021-03-30 2022-07-27 국방과학연구소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전파 흡수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비행체
KR102558275B1 (ko) * 2023-01-30 2023-07-21 국방과학연구소 고온 환경용 전파 흡수체 제조 시스템
KR102562499B1 (ko) * 2023-02-14 2023-08-02 국방과학연구소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한 전자파흡수용 허니콤 복합재 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허니콤 복합재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9496A (ja) * 1989-09-12 1991-04-24 Gureesu Japan Kk 電波吸収体
JPH0867544A (ja) * 1994-06-23 1996-03-12 Takenaka Komuten Co Ltd 電波吸収体用組成物、電波吸収体用部材、電波吸収体および電波吸収体用部材の製造方法
JPH0883992A (ja) * 1994-09-12 1996-03-26 Natl Space Dev Agency Japan<Nasda> 電波吸収体
JPH10217217A (ja) * 1997-02-07 1998-08-18 Mitsubishi Chem Corp 錐状電波吸収体の製造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0578B2 (ja) 1989-07-03 1998-06-04 アクゾ・カシマ株式会社 電波吸収体の製造方法
DE4215954A1 (de) * 1992-02-04 1993-08-05 Rheinhold & Mahla Ag Absorber fuer elektromagnetische wellen
US5373296A (en) * 1992-08-18 1994-12-13 Tdk Corporation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and wave absorption structure
JPH08512178A (ja) 1993-06-25 1996-12-17 ニムツ、ギュンター 電磁波を吸収する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を製造する方法
JPH09275295A (ja) 1996-04-05 1997-10-21 Nec Corp 電波吸収体
JPH09307268A (ja) 1996-05-13 1997-11-28 Tohoku Kako Kk 電波吸収材
JP3564234B2 (ja) 1996-07-29 2004-09-08 宇宙開発事業団 ブレード・アンテナの取付装置
JPH10163670A (ja) 1996-11-29 1998-06-19 Mitsubishi Chem Corp 四角錐状電波吸収体の製造法
TW410542B (en) * 1997-03-14 2000-11-01 Hitachi Maxell Wave absorber
JPH1187978A (ja) * 1997-09-09 1999-03-30 Nitto Boseki Co Ltd 不燃性電波吸収体
JP4299387B2 (ja) * 1998-10-05 2009-07-22 Tdk株式会社 電波吸収体組立用部材および電波吸収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9496A (ja) * 1989-09-12 1991-04-24 Gureesu Japan Kk 電波吸収体
JPH0867544A (ja) * 1994-06-23 1996-03-12 Takenaka Komuten Co Ltd 電波吸収体用組成物、電波吸収体用部材、電波吸収体および電波吸収体用部材の製造方法
JPH0883992A (ja) * 1994-09-12 1996-03-26 Natl Space Dev Agency Japan<Nasda> 電波吸収体
JPH10217217A (ja) * 1997-02-07 1998-08-18 Mitsubishi Chem Corp 錐状電波吸収体の製造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643B1 (ko) 2004-03-22 2012-01-04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전파 흡수 시트재 및 이를 이용한 전파 흡수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22805A2 (en) 2000-07-26
KR20000062487A (ko) 2000-10-25
DE60016056D1 (de) 2004-12-30
TW533761B (en) 2003-05-21
US6407693B1 (en) 2002-06-18
JP2000216584A (ja) 2000-08-04
EP1022805A3 (en) 2002-06-19
EP1022805B1 (en) 2004-11-24
JP4377467B2 (ja) 2009-12-02
DE60016056T2 (de)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198B1 (ko) 전파흡수체 조립용 부재, 전파흡수체 및 전파흡수체의제조방법
KR100333568B1 (ko) 불연성 허니컴 전파흡수재 및 이를 사용한 전파흡수체
KR100666761B1 (ko) 전파흡수체 조립용부재 및 전파흡수체의 제조방법
US5932054A (en) Radio wave absorber composition, radio wave absorber member, radio wave absorber, and method for producing radio wave absorber member
US6784419B1 (en)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EP0986294A2 (en) Electric wave absorber
KR100447887B1 (ko) 전파투과체
JP2814119B2 (ja) 電波吸収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電波吸収材を用いた電波吸収板
KR101102643B1 (ko) 전파 흡수 시트재 및 이를 이용한 전파 흡수체
JP2001244686A (ja) 電波吸収体、電波暗箱、電波暗室、電波吸収パネルおよび電波吸収衝立
JP2001230588A (ja) 電磁波吸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135752A (ja) 電波透過体
RU2253927C1 (ru) Сверхширокодиапазонное радиопоглощ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2804716B2 (ja) 電波吸収パネル
JP4420145B2 (ja) 電波暗室
JPH05327267A (ja) 電波吸収外壁パネル
JPH09275295A (ja) 電波吸収体
CN113216508A (zh) 一种基于超表面技术的水泥复合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