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490B1 -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해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해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490B1
KR100471490B1 KR10-2002-0069987A KR20020069987A KR100471490B1 KR 100471490 B1 KR100471490 B1 KR 100471490B1 KR 20020069987 A KR20020069987 A KR 20020069987A KR 100471490 B1 KR100471490 B1 KR 100471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housing
inlet
pipe
fuel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1887A (ko
Inventor
최국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9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490B1/ko
Publication of KR20040041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4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해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주입구하우징과 연료필러도어 사이의 틈새에 있는 수분이 겨울철이 되면 얼어서 연료필러도어가 개폐되지 않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 배기파이프의 배기가스가 연료주입구하우징의 주위를 순환하도록 하여 연료주입구하우징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해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해빙장치{Automobile fuel filler housing thaw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해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주입구하우징과 연료필러도어 사이의 틈새에 있는 수분이 겨울철이 되면 얼어서 연료필러도어가 개폐되지 않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 배기파이프의 배기가스가 연료주입구하우징의 주위를 순환하도록 하여 연료주입구하우징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해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에 필요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주입구가 마련되어 있는바, 그 연료주입구는 차체의 좌측이나 우측 중 어느 한쪽에 위치되어 있고 연료탱크와 연결된 연료파이프의 입구를 캡으로써 밀폐시키고 있으며 그 캡이 수용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이루는 연료주입구하우징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캡이 수용된 연료주입구하우징을 커버하기 위하여 연료주입구하우징에는 래치에 의해서 록킹되는 연료필라도어가 힌지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1은 일반적인 차량의 연료주입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2a는 도1의 A-A부위를 나타낸 종래 연료주입구의 단면도이며, 도2b는 도1의 B-B부위를 나타낸 종래 연료주입구의 단면도이다.
도2a 및 도2b를 참조하여 공지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 바디의 일측에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연료주입구(10)가 형성되는데, 그 연료주입구(10)는 연료파이프(1)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캡(2)이 수용되는 연료주입구하우징(10a)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연료주입구하우징(10a)의 최외측에는 연료주입구하우징(10a)을 커버하기 위한 연료필러도어(20)가 마련된다. 상기 연료필러도어(20)는 그 일측 끝단(20a)이 연료주입구하우징(10a)에 설치된 힌지브래킷(11)에 힌지(21)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21)는 구즈넥(goose neck) 타입으로서 구즈넥 타입의 힌지는 연료주입구하우징(10a)의 굴곡이 심하여 힌지 회전축(21a)을 연료필러도어(20) 상에 위치시킬 수 없거나 연료필러도어(20)의 형상에 제한을 받을 때 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힌지(21)와 접촉되는 힌지브래킷(11)의 일측에는 팝업스프링(12)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팝업스프링(12)은 상기 연료필러도어(20)가 닫힐 때 팝업스프링(12) 쪽으로 접근하는 힌지(21)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탄성반발력이 저장된다.
즉, 상기 연료필러도어(20)에 다른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팝업스프링(12)의 탄성반발력이 힌지(21)에 전달되어 상기 연료필러도어(20)는 항상 개방상태에 놓이게 된다.
한편, 상기 힌지(21)가 연결된 상기 연료필러도어(20) 일측의 반대쪽인 연료필러도어 타측(20b)에는 연료주입구의 래치(13)에 걸리는 걸림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치(13)는 상기 걸림부(22)를 록킹시킴으로써 항상 연료주입구(10)의 바깥쪽으로 열리려고 하는 연료필러도어(20)를 연료주입구하우징(10a) 상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연료주입시에는 상기 래치(13)를 록킹해제시켜 연료필러도어(20)를 개방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연료주입구 구조에서는 연료주입구하우징과 연료필러도어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게 되고, 겨울철에는 그 틈새에 수증기 또는 수분 등이 맺혀 동결됨으로써 연료필러도어가 연료주입구하우징에 얼어붙어 연료필러도어가 열리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의 배기가스중 일부가 연료주입구하우징의 주변을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연료필러도어가 연료주입구하우징에 동결되는 것을 예방하고 또한, 연료필러도어가 연료주입구하우징에 얼어붙더라도 엔진이 시동되면 배기가스 열에 의해 쉽게 연료주입구하우징이 해빙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주입파이프가 설치된 연료주입구하우징에는 연료필러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료필러도어가 연료주입구하우징에 얼어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료주입구하우징을 자동차의 배기파이프 속을 흐르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가열하기 위한 자동차용 연료주입구하우징의 해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의 일측에 배기가스의 배출을 위해 형성된 배출구; 상기 배기파이프의 타측에 배기가스의 유입을 위해 형성된 유입구; 상기 연료주입구하우징에 연료주입구하우징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배기가스가 입출되기 위한 입구부 및 출구부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순환관; 상기 배기파이프와 상기 하우징순환관이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배출구와 하우징순환관의 입구부를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순환관의 출구부와 상기 유입구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연료주입구하우징의 해빙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주입구하우징 해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개략도이며, 도5는 도1의 B-B부위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기가스를 연료주입구하우징(10a) 쪽으로 순환시켜 배기가스가 갖는 고온의 열로 연료주입구하우징(10a)을 해빙시킴으로써 연료필러도어(20)가 정상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자동차에는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가 대기로 방출되도록 소음기(30a)가 설치된 배기파이프(30)가 구비되는 바, 이 배기파이프(30)의 일측 및 타측에는 별도의 배출구(31) 및 유입구(32)가 형성된다.
한편, 자동차의 연료파이프(1)가 설치되는 연료주입구하우징(10a)에는 그 테두리를 감싸는 하우징순환관(40)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순환관(40)은 배기가스가 지나갈 수 있도록 소정의 직경을 가지며, 그 양 끝단 중 어느 일측 끝단에는 배기가스가 유입되기 위한 입구부(41)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배기가스가 유출되기 위한 출구부(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기파이프(30)와 하우징순환관(40)이 서로 연결되어 배기파이프(30)의 배기가스가 연료주입구하우징(10a)의 테두리를 감싸고 있는 하우징순환관(40)을 지나갈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연결관(50)이 마련된다.
상기 연결관(50)은 상기 배출구(31)와 하우징순환관의 입구부(41)를 연결하는 제1통로(51)와, 상기 하우징순환관의 출구부(42)와 상기 유입구(32)를 연결하는 제2통로(52)로 구성된다.
따라서, 배기파이프(30)의 배기가스는 상기 배출구(31)를 지나 연결관(50)의 제1통로(51)를 통해 하우징순환관(40)의 입구부(41)로 유입된 다음, 상기 하우징순환관(40)이 감싸고 있는 연료주입구하우징(10a)의 테두리를 지나서 하우징순환관(40)의 출구부(42)로 빠져 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50)의 제2통로(52)를 통해 배기파이프의 유입구(32) 쪽으로 유입되어 배기파이프(30)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31), 유입구(32)와 연결관(50) 및 하우징순환관(40)의 각 끝단에는 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볼트로 체결되는 체결플랜지(p)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각각의 관들은 체결플랜지(p)에 의해 연결이 용이하며 그 체결플랜지(p)의 접촉면에는 배기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켓(g)이 끼워진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엔진이 가동되면 그 엔진에서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배기가스는 배기파이프(30)를 따라 흐르다가 일부는 대기중으로 그대로 방출되고 또 일부는 상기 배기파이프에 형성된 배출구(31)를 통해 상기 연결관(50) 쪽으로 배출된다.
상기 연결관(50)으로 배출된 배기가스는 연결관의 제1통로(51)를 통해 상기 하우징순환관(40)을 따라 흐르다가 다시 연결관의 제2통로(52)를 통해 배기파이프의 유입구(32)로 유입되어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해빙장치에 의하면, 겨울철이나 혹한지에서 연료주입구의 연료필러도어가 얼어붙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사 얼어붙었다 할지라도 엔진의 시동만 걸어주면 연료주입구가 해빙되어 연료필러도어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므로 연료주입구의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해빙장치는 별도의 에너지원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기존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연료주입구를 해빙시키는 장치이므로 원가절감 측면에서 매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차량의 연료주입구를 나타낸 도면,
도2a는 도1의 A-A부위를 나타낸 종래 연료주입구의 단면도,
도2b는 도1의 B-B부위를 나타낸 종래 연료주입구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주입구하우징 해빙장치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개략도,
도5는 도1의 B-B부위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파이프 10 : 연료주입구
10a : 연료주입구하우징 20 : 연료필러도어
30 : 배기파이프 31 : 배출구
32 : 유입구 40 : 하우징순환관
41 : 입구부 42 : 출구부
50 : 연결관 51 : 제1통로
52 : 제2통로 p : 체결플랜지

Claims (2)

  1. 연료파이프(1)가 설치된 연료주입구하우징(10a)에는 연료필러도어(2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료필러도어(20)가 연료주입구하우징(10a)에 얼어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료주입구하우징(10a)을 자동차의 배기파이프(30) 속을 흐르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가열하기 위한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해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30)의 일측에 배기가스의 배출을 위해 형성된 배출구(31);
    상기 배기파이프(30)의 타측에 배기가스의 유입을 위해 형성된 유입구(32);
    상기 연료주입구하우징(10a)에 연료주입구하우징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배기가스가 입출되기 위한 입구부(41) 및 출구부(42)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순환관(40);
    상기 배기파이프(30)와 상기 하우징순환관(40)이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배출구(31)와 하우징순환관의 입구부(41)를 연결하는 제1통로(51)와, 상기 하우징순환관의 출구부(42)와 상기 유입구(32)를 연결하는 제2통로(52)를 갖는 연결관(50);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해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31), 유입구(32)와 연결관(50) 및 하우징순환관(40)의 각 끝단에는 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체결플랜지(p)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해빙장치.
KR10-2002-0069987A 2002-11-12 2002-11-12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해빙장치 KR100471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987A KR100471490B1 (ko) 2002-11-12 2002-11-12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해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987A KR100471490B1 (ko) 2002-11-12 2002-11-12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해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887A KR20040041887A (ko) 2004-05-20
KR100471490B1 true KR100471490B1 (ko) 2005-03-08

Family

ID=37338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987A KR100471490B1 (ko) 2002-11-12 2002-11-12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해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4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9912A1 (de) * 2017-06-13 2018-12-1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bdeck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bdeckeinrichtung
KR102586494B1 (ko) * 2020-11-27 2023-10-12 (주)아이테드 부분적 발열기능을 가지는 오토 모빌리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7643A (ja) * 1994-12-21 1996-07-12 Fuji Heavy Ind Ltd 燃料噴射エンジンのegr制御装置
KR970044167A (ko) * 1995-12-30 1997-07-26 전성원 A/t 오일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JPH10141149A (ja) * 1996-11-06 1998-05-26 Unisia Jecs Corp エンジンの排気還流制御装置
KR19980020253A (ko) * 1996-09-06 1998-06-25 박병재 배출가스 재순환 장치
KR20010066045A (ko) * 1999-12-31 2001-07-11 이계안 연료 주입구 구조
KR20020063762A (ko) * 2001-01-30 2002-08-05 한국기계연구원 배기가스를 이용한 연료분사기 결빙 방지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7643A (ja) * 1994-12-21 1996-07-12 Fuji Heavy Ind Ltd 燃料噴射エンジンのegr制御装置
KR970044167A (ko) * 1995-12-30 1997-07-26 전성원 A/t 오일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KR19980020253A (ko) * 1996-09-06 1998-06-25 박병재 배출가스 재순환 장치
JPH10141149A (ja) * 1996-11-06 1998-05-26 Unisia Jecs Corp エンジンの排気還流制御装置
KR20010066045A (ko) * 1999-12-31 2001-07-11 이계안 연료 주입구 구조
KR20020063762A (ko) * 2001-01-30 2002-08-05 한국기계연구원 배기가스를 이용한 연료분사기 결빙 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887A (ko)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1490B1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해빙장치
US6012434A (en) Fuel system vapor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70707377A (ko) 내연 기관에서 연료 탱크의 연료 증기 배출 방지 시스템용 흡착 필터(Adsorption filter for fuel vapor exhaust preventing system of fuel tank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603304A (en) Fuel pump seal and insulator assembly
KR19990003290U (ko) 플랩 밸브가 내장된 차량의 연료 주입구
KR101770376B1 (ko) 요소수 펌프 모듈
KR101963594B1 (ko) 자동차용 요소수 탱크 주입구 캡의 이물질 유입방지 커버
KR100368655B1 (ko) 자동차의 소음기
KR200174839Y1 (ko) 상용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 흐름 제어장치
KR20090043273A (ko) 차량의 광역 오일 유동 공간 타입 오일 제트 장치
KR100534309B1 (ko) 자동차용 연료필라도어의 결합구조
KR960007886Y1 (ko)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밸브 차단장치
KR100759535B1 (ko) 연료탱크용 셧 오프 밸브
KR100558419B1 (ko) 자동차용 연료 캡의 키 실린더 구조
CN113167162B (zh) 具有热传递涂层的还原剂计量模块
KR100653694B1 (ko) 배기열 회수장치 구조
KR200174824Y1 (ko) 퓨얼 필러 도어용 오픈 방지장치
KR0128467Y1 (ko) 차량의 키이 어셈블리에 설치된 누수방지용 커버
KR200272777Y1 (ko) 배기가스를 이용하는 스팀 세차 장치
KR0118536Y1 (ko) 자동차의 연료주입구도어 잠금장치
KR0130993Y1 (ko)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
KR200148005Y1 (ko) 디젤자동차의 배기가스 연소장치용 밸브
KR0135780Y1 (ko) 자동차 실내 수증기 발생장치
KR19980044441A (ko) 배기 장치의 소음기 부식 방지 구조
RU2176201C2 (ru) Противоуг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