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505B1 - 면 포장체 및 면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면 포장체 및 면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505B1
KR100470505B1 KR10-1999-0005667A KR19990005667A KR100470505B1 KR 100470505 B1 KR100470505 B1 KR 100470505B1 KR 19990005667 A KR19990005667 A KR 19990005667A KR 100470505 B1 KR100470505 B1 KR 100470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inding
cotton
compressed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2794A (ko
Inventor
가가와타다시
Original Assignee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72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5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12Baling or bundling compressible fibrous material, e.g. p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2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without changing their position during the wrapping operation, e.g. in moulds with hinged folders

Abstract

본 발명은 목면이나 화섬면의 포장 작업에 대해 보다 고도한 자동화를 실현하여, 포장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면 포장 장치(1)는 원면 적층체를 압축하여 결속끈(R)으로 결속하는 압축기(2)와, 이 압축기(2)로부터 도출된 결속 적층면(積層綿,K2)을 수취하여 중계 유지하는 중계기(中繼器, 3)와, 이 중계기(3)가 유지하고 있는 결속 적층면(K2)을 수취하여 필름(F)으로 결속 적층면(K2)을 곤포하는 곤포기(4, 梱包機)와, 이 곤포기(4)에 필름(F)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기(5)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면 포장체 및 면 포장 장치{NATURAL FIBER, SYNTHETIC STAPLE FIBER WRAPPED CUBE AND WRAPPING MACHINE}
본 발명은 목면(木棉)이나 화학면 등의 원면(原綿)을 압축하여 곤포(梱包)하는 면 포장체 및 이 면 포장체를 곤포하여 면 포장체로 포장하는 면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목면이나 화학면 등의 원면을 압축 곤포하여 면 포장체로 만드는 면 포장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면 포장 장치는 상부 프레스판 및 하부 프레스판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 소위 압축기로 구성되어 있고, 상하 프레스판의 프레스면에, 예컨대 합성 수지제의 웨브로 이루어지는 포장팩을 그 저부가 각 프레스면에 밀착되게, 그리고 둘레부를 걷어 올리거나 혹은 걷어내리듯이 장착하고, 이 상태로 원면을 상하의 포장팩 사이에 장전하여 각 프레스판으로 압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의 프레스판으로 압축 상태의 압축된 면(壓縮棉)에 상하의 포장팩을 씌우고, 이 상태에서 포장체는 프레스판에 설치된 결속 수단을 동작시킴으로써 끈 등의 결착 수단으로 결속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면 포장 장치를 사용하여 원면을 포장함으로써, 인력만으로 가압하여 곤포하는 경우에 비하여 면의 부피를 각별히 작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면 포장 장치에 있어서는, 상하의 프레스판 사이에 상하의 포장팩을 통해 원면을 장착한 후, 걷어 올려지고 걷어 내려지는 상하 포장팩의 둘레부를 끌어 내리고 끌어 올리는 조작을 하여 상하의 포장팩을 압축된 면에 씌워야 하는데, 이 조작은 원면의 요철을 미묘하게 조정하면서 행할 필요가 있어서, 인력에 의해서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진보된 원면 포장의 자동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애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면 포장 장치에서는 포장팩이 필수적이고, 포장팩은 웨브를 팩형으로 봉제하거나, 혹은 접착 처리하여 완성되는 가공품으로서 그 자체가 염 가인 것이 아니고, 이것에 의해서 포장 비용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목면이나 화섬면의 포장 작업의 보다 고도한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고, 이로써 포장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한 면 포장체 및 면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면 포장체는, 평판형의 원면의 단위 집적체를 복수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된 원면 적층체를 적층 방향으로 압축 곤포하여 완성되는 면 포장체로서, 상기 원면 적층체는 적층 정상면과 적층 바닥면을 지나는 경선(經線) 방향으로의 결속 부재를 감아서 체결함에 의해서 결속되고, 이 결속된 상태의 원면 적층체의 외주면이 합성 수지제 필름에 의해서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면 포장체에 의하면, 면 포장체는 결속 부재로 결속된 결속 적층면의 외주면 전면이 합성 수지제의 필름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으므로, 결속 적층면은 이 필름에 의해 보호되며, 면 포장체의 취급시나 이송시에 이물질의 부착에 의한 오염이 방지된다.
그리고, 포장재로서 합성 수지제의 필름이 사용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직물 제품제의 팩을 사용한 것에 비해, 고가의 팩을 사용하지 않고 염가인 필름을 사용하는 만큼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원면 적층체는 적층 정상면과 적층 바닥면을 지나는 경선 방향으로의 결속 부재를 감아서 체결하여 결속되기 때문에, 결속 상태가 안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면 포장체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면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띠형의 제1 필름과 띠형의 제2 필름이 사용되고,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은 원면 적층체를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감음으로써 6개의 면을 전체면에서 피복하며, 이들을 감는 방향은 원면 적층체의 적층 정상면 및 적층 바닥면을 지나는 경선 방향이며, 상기 정상면 및 바닥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면 포장체에 의하면, 결속 적층면은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쌍방에 의해서 적층 방향을 향하여 가압된 상태에서 포장되기 때문에, 포장 조작시나 취급시에 각 단위 집적체가 서로 분리하여 포장이 풀리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확실히 포장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면 포장 장치는, 평판형의 원면의 단위 집적체를 복수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된 원면 적층체를 적층 방향으로 압축 곤포(梱包)하여 완성되는 면 포장체를 제조하는 면 포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면 적층체를 압축하여 결속 부재를 감아서 결속하는 결속기와, 이 결속기로부터 도출된 상기 결속 압축된 면을 수취하여 중계 유지하는 중계기와, 이 중계기가 유지하고 있는 결속 압축된 면을 수취하여 상기 필름으로 곤포하는 곤포기와, 이 곤포기에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면 포장 장치에 의하면, 원면 적층체를 결속기로 압축하여 결속 부재로 결속함으로써 압축된 면이 형성되고, 이 압축된 면을 결속기로부터 도출하여 중계기에 인도함으로써, 중계기는 이 결속 적층면을 수취하여 중계 유지하면서 곤포기에 전달한다. 그리고, 중계기로부터 결속 적층면을 수취한 곤포기의 구동에 의해, 결속 적층면은 필름 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에 의해서 곤포되어 면 포장체를 이룬다.
이와 같이, 원면 적층체를 미리 팩이 장착된 결속기로 압축하면서 결속하는 종래 방식을 채용하지 않고도, 결속기로 원면 적층체만 압축 결속하여 완성된 결속 적층면에 필름을 걸어 돌리는 것과 같은 간단한 조작으로 면 포장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결속기의 프레스판 사이에 장착된 압축된 면에 팩을 씌워 끈으로 결속하는, 인력을 개입시켜야 하는 작업이 없어지며, 이로써 곤포 작업의 거의 전공정을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면 포장 장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면 포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가 상기 결속기와 상기 곤포기 사이에서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결속 압축된 면을 측면으로부터 끼우도록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을 가지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판의 각 대향면에서 떨어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결속 압축된 면을 유지 또는 유지 해제하는 한 쌍의 면 유지 부재와, 유지 상태에서 상기 측판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과, 상기 측판을 그 수직 샤프트 둘레로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면 포장 장치에 의하면, 결속기로부터 도출된 결속 적층면은 중계기의 측판에 설치된 한 쌍의 면 유지 부재 사이에 유지된 상태로 지지 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곤포기의 위치까지 운반되며, 상기 유지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곤포기에 공급된다. 그리고, 면 유지 부재를, 수평 샤프트 둘레로 적어도 90°회전 운동시킴에 의해서 유지된 결속 적층면의 자세 변경을 하여 얻도록 하는 것으로, 결속 적층면을 곤포기가 곤포하기 쉬운 위치로 설정하여 공급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곤포 작업 도중에 필요에 따라서 결속 적층면의 자세를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확실한 곤포 작업을 실현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면 포장 장치는,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에 기재된 면 포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곤포기가 상기 중계기로부터의 결속 압축된 면이 놓이는, 수직 샤프트 둘레로 구동 회전 가능한 회전 테이블과, 이 회전 테이블과 동시 회전하고, 또한,상기 필름 공급기부터 공급되는 필름의 단부를 체결하는 클램프 부재와, 상기 필름 공급기로부터 인출된 필름을 용착 용단(溶着 溶斷)하는 용착 용단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용착 용단 수단은 상기 클램프 부재에 필름의 단부를 체결한 상태에서 결속 압축된 면이 놓인 회전 테이블을 회전시킴으로써 결속 압축된 면에 감긴 필름의 적층 부분을 용착 용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면 포장 장치에 의하면, 중계기에 의해서 보내진 결속 적층면을 회전 테이블 상에 놓고, 이어서 필름 공급기로부터 필름을 소정 치수만 인출하여 그 선단부를 회전 테이블의 클램프 부재에 파지시킴으로써, 결속 적층면은 곤포기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회전 테이블을 수직 샤프트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결속 적층면도 동시 회전하여 그 외주면에 필름이 감겨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결속 적층면에 필름이 감긴 뒤, 용착 용단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감긴 필름의 적층 부분이 용착되어, 이로써 결속 적층면은 필름에 의해서 화분에 감겨있는 형태로 포장된다. 결속 적층면의 자세를 바꿔 이러한 필름 감기 작업을 다시 행함으로써, 결속 적층면은 면이 외부에 노출하지 않은 상태로 필름에 의해서 덮힌 면 곤포체가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면 포장 장치는,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면 포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름 공급기가 수직 중심 샤프트에 감긴 필름의 원반을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반 지지체와, 이 원반 지지체를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면 포장 장치에 의하면, 필름 원반은 그 중심 샤프트를 원반 지지체에 장착함으로써 필름 공급기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필름의 선단부를 인출하여 곤포기에 제공되는 결속 적층면에 공급함으로써, 곤포기가 구동되어 결속 적층면이 필름에 의해 포장된다.
그리고, 원반 지지체는 승강 기구에 의해서 승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결속 적층면의 상하 길이에 따라서 원반 지지체를 승강시킴으로써, 결속 적층면의 외주에는 필름이 나선형으로 감겨지고, 이것에 의해서 둘레 방향에서의 면의 노출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 포장 장치의 한 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절결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곤포 대상의 면을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a)는 원면 적층체, (b)는 압축된 면, (c)은 결속 적층면, (d)은 면 포장체를 각각 도시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X-X 방향을 폭방향, Y-Y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 하며, 특히 -X 방향을 좌측, +X 방향을 우측, -Y 방향을 전방, +Y 방향을 후방이라고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 포장 장치(1)는 원면 적층체〔K, 도 2(a)〕를 압축하여 일단 압축된 면〔Kl, 도 2(b)〕으로 만들고, 이 압축된 면(K1)을 합성 수지제의 끈(결속 부재, R)으로 결속하여 결속 적층면〔도 2(c),(K2)〕으로 형성하는 압축기(결속기, 2)와, 이 압축기(2)로부터 도출된 결속 적층면(K2)을 수취하여 중계 유지하는 중계기(3)와, 이 중계기(3)가 유지하고 있는 결속 적층면(K2)을 수취하여 그것을 합성 수지제의 필름(F)으로 곤포해서 면 포장체(도 2(d), K3)로 만드는 곤포기(4)와, 이 곤포기(4)에 필름(F)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기(5)를 구비하는 기본 구성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면 적층체(K)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가 사용되고 있지만, 원면 적층체(K)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폴리아미드제 및 폴리스틸렌제 등의 열가소성의 합성 수지를 원료로 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고, 폴리에스테르 같은 열경화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으며, 목면도 좋다. 이러한 원면 적층체(K)는, 본 실시예에서, 평판형 원면의 단위 집적체를 복수층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필름(F)으로서 폴리에틸렌제가 사용되고 있지만, 필름(F)이 폴리에틸렌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어도 좋다.
상기 압축기(2)는, 상하 방향의 중앙부가 폭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전체 형상이 장방형인 압축기 본체(21)와, 이 압축기 본체(21)의 상기 개방 부분에 설치 된 상하 한 쌍의 프레스판(22)과, 이들 한 쌍의 프레스판(22)을 서로 근접한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유압 기구(23)와, 수직 샤프트 둘레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피벗된 폭방향의 한 쌍의 개폐문(24)을 구비한다. 또한, 도 1에는 우측의 개폐문(24)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프레스판(22)은 프레스면이 상하로 대향하는 상부 프레스판(22a)과 하부 프레스판(22b)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프레스판(22a)이 압축기 본체(21)에 고정되어 있으며 반면에, 하부 프레스판(22b)은 유압 기구(23)의 구동에 의해서 승강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프레스판(22b)을 맨 아래까지 하강시킨 상태(도 1에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에서 개폐문(24)을 개방하여, 프레스판(22) 사이에 소정 체적의 원면 적층체(K)를 장전한 후, 개폐문(24)을 폐쇄하여 유압 기구(23)의 구동으로 상부 프레스판(22a)을 상승시킴으로써, 도 1에 2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면 적층체(K)가 압축되어 용적이 반정도인 체적으로 축소되는 압축된 면〔Kl, 도 2(b)〕이 완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 프레스판(22a) 및 하부 프레스판(22b)의 프레스면에는, 각각 서로 나란하게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라인의 끈 장착홈(25)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고, 각 프레스판(22)이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끈 결속 기구(도면 생략)로부터 이들 끈 장착홈(25)에 결속끈(결속 부재, R)이 차례로 공급되고, 하부 프레스판(22b)의 상승으로 원면 적층체(K)가 용적이 축소된 상태에서 이들 결속끈(R)이 환상으로 결속됨으로써, 복수 라인의 결속끈(R)으로 결속된 결속 적층면(K2)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압축기(2) 우측의 압축기 본체(21)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원면 적층체(K)를 프레스판(22) 사이에 공급함과 동시에, 프레스판(22) 사이에 형성된 결속 적층면(K2)을 좌측을 향하여 밀어내는 푸셔(도면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이 푸셔의 구동에 의해서 원면 적층체(K)가 우측으로부터 차례로 압축기(2)에 공급됨과 동시에, 압축기(2)에서 압축되어 형성된 결속 적층면(K2)은 압축기(2)의 좌측 위치로 배출된다.
또한, 압축기(2)의 좌측 위치에는, 압축기(2)로부터 밀려난 결속 적층면(K2)을 수용하는 대차(26)가 설치되어 있고, 밀려난 결속 적층면(K2)은 이 대차(26) 상에 일단 놓이게 되어 있다. 이 대차(26)는 상부에 장방형 프레임(26b)으로 구성된 대차 본체(26a)와, 상기 장방형 프레임(26b)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폭방향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롤러(26c)와, 대차 본체(26a) 저부의 전후 방향 양측부에 한 쌍씩 설치된 차륜(26d)으로 구성되고, 압축기(2)의 차륜(26d)은 좌측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바닥(B)에 설치된 한 쌍의 레일(27)을 따라 폭방향으로 앞뒤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대차(26)는 롤러(26c)의 상면의 높이가 상승한 하부 프레스판(22b)의 상면 위치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고, 이로써 대차(26)가 압축기 본체(21)에 횡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푸셔(도면 생략)에 의해 프레스판(22) 사이에서 밀려난 결속 적층면(K2)을 롤러(26c) 위로 이동시키기가 용이해진다.
상기 중계기(3)는 압축기(2)로부터 도출된 결속 적층면(K2)을 유지하며 평면에서 보아 コ자형인 면(棉) 지지 프레임(31)과, 이 면 지지 프레임(31)이 자유로이 승강하는 것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 부재(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 지지 부재(32)는 정상부가 전후 방향으로 설치된 천장 레일(도면 생략)에서 주행 가능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좌측의 정위치에 정지한 대차(26)와 곤포기(4) 사이에서 원격 조작에 의해 왕복 운동할 수 있으며, 이로써 대차(26) 상에서 면 지지 프레임(31)에 장착된 결속 적층면(K2)을 곤포기(4)로 이송하는 것과, 곤포기(4)에서 곤포되어 형성된 면 포장체(K3)를 대차(26)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면 지지 프레임(31)은 수직 지지 부재(32)에 지지된 기판(31a)과, 이 기판(31a)의 전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 전후 방향 한 쌍의 측판(31b)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측판(31b) 사이에 결속 적층면(K2)이 끼워지게 되어 있다.
상기 기판(31a)의 좌면에는, 평면에서 보아 C자 형상을 나타내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 부재(31c)가 마련되는 한편, 상기 수직 지지 부재(32)의 우단 둘레에는 두께가 수직 지지 부재(32)보다 두껍게 치수 설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레일(32a)이 형성되고, 이 수직 레일(32a)에 연결 부재(31c)가 외측에서 체결됨으로써 면 지지 프레임(31)이 수직 지지 부재(32)에 자유로이 승강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 레일(32a)의 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32b)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연결 부재(31c)에는 이 랙(32b)에 맞물리는 피니언(도면 생략)이나, 이 피니언을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 또한 제동 기구 등을 구비하는 승강 수단(33)이 설치되고, 면 지지 프레임(31)은 전동 모터의 구동에 의한 피니언의 양방 회전으로 랙(32b)을 통해 승강한다.
상기 각 측판(31b)의 우단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전후 방향 한 쌍의 지지 원반(34)〔전방 지지 원반(34a) 및 후방 지지 원반(34b)으로 구성〕이 설치되고, 결속 적층면(K2)은 이들 한 쌍의 지지 원반(34)에 끼워져 있다. 어느쪽의 지지 원반(34a, 34b)도, 수평 샤프트(35) 둘레로 자유로이 회전 운동하게 샤프트로 지지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지지 원반(34a)과 후방 지지 원반(34b)에서 약간 기능을 달리 하고 있다. 즉, 전방 지지 원반(34a)은, 끼여있는 결속 적층면(K2)을 수평 샤프트(35) 둘레로 회전 운동시켜 결속 적층면(K2)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기능을 분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후방 지지 원반(34b)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 원반(34)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며, 이것에 의해서 결속 적층면(K2)을 그 크기에 대응하여 확실하게 지지 원반(34) 사이에 유지하는 기능을 분담한다.
도 3은 도 1의 선 U-U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중계기(3)의 지지 원반(34)의 자세 변경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측판(31b)의 좌단부에는, 샤프트 중심 둘레로 자유로이 회전 운동하게 지지된 전방 수평 샤프트(35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방 지지 원반(34a)은 이 전방 수평 샤프트(35a)의 후단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 수평 샤프트(35a)가 자축심(自軸心) 둘레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전방 지지 원반(34a)은 이것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면 지지 프레임(31)의 좌측면에는, 유압 혹은 공기압(압력)으로 작동하는 실린더(36)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실린더(36)의 피스톤 로드(36a)는 기판(31a)을 관통하여 전방 지지 원반(34a)과 측판(31b)의 간극 부분에까지 연장되는 한편, 상기 전방 수평 샤프트(35a)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링크 아암(35c)이 설치되고, 이 링크 아암(35c)에 상기 피스톤 로드(36a)의 선단측이 자유로이 상대 회전 운동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36)의 구동에 의한 피스톤 로드(36a)의 돌출로 전방 수평 샤프트(35a)가 자축심 둘레로 양방향 회전하고, 이에 의한 전방 지지 원반(34a)의 전방 수평 샤프트(35a)와 동시 회전에 의해서 지지 원반(34) 사이에 끼워진 결속 적층면(K2)의 위치가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지지 원반(34a)이 전방 수평 샤프트(35a) 둘레에서 회전 운동하는 범위를 90°로 설정하고, 이로써 지지 원반(34) 사이에 끼워진 결속 적층면(K2)은 실린더(36)의 양방 구동으로 90°의 범위내에서 자세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선 V-V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중계기(3)의 지지 원반(34) 사이의 거리 조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도 4 및 전술한 도 1을 기초로, 지지 원반(34) 사이의 거리 조정 능력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의 측판(31b)의 우측부에는, 상기 전방 수평 샤프트(35a)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한 부분에 관통 구멍(311b)이 천공되고, 이 관통 구멍(311b)에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마련된 나선형 샤프트(37)가 미끄럼 접촉 상태로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나선형 샤프트(37)의 전단면에는, 이 나선형 샤프트(37)와 동심이며 또한 지름 치수가 나선형 샤프트(37)보다 약간 작은 후방 수평 샤프트(35b)가 돌출 설치되고, 이 후방 수평 샤프트(35b)에 후방 지지 원반(34b)과 동일 직경의 고정 원반(37a)이 나선형 샤프트(37)와 동심으로 일체로 압입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원반(37a)의 전방으로 돌출된 후방 수평 샤프트(35b)에 후방 지지 원반(34b)의 중심 구멍(341b)이 미끄럼 접촉 상태로 외측에서 체결됨으로써 후방 지지 원반(34b)이 후방 수평 샤프트(35b) 둘레로 자유로이 회전하게 샤프트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심 구멍(341b)은 후방 수평 샤프트(35b)의 외경 치수보다 내경 치수가 약간 큰 후방 부분의 소경 구멍과, 이 소경 구멍의 전방에 형성되며 소경 구멍보다 지름 치수가 약간 큰 대경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고, 소경 구멍을 후방 수평 샤프트(35b)에 외측에서 체결한 상태에서 대경 구멍에 그보다 지름 치수가 약간 작은 원형 고정판(37b)을 체결하여 나사 고정하거나 하여 후방 수평 샤프트(35b)의 전단면에 고정함으로써, 후방 지지 원반(34b)이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고정 원반(37a)의 전단면과 후방 지지 원반(34b)의 후단면 사이에 스러스트 베어링(371)이 설치됨으로써 후방 지지 원반(34b)에 후방으로 향하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후방 지지 원반(34b)은 고정 원반(37a)에 대하여 지장없이 상대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고정 원반(37a)의 후면에는, 나선형 샤프트(37)와 대략 동일 길이와 치수를 가지는 규제 로드(37c)가 나선형 샤프트(37)와 평행하게 돌출 설치되어 있는 한편, 측판(31b)의 규제 로드(37c)에 대응한 부분에는, 삽입 구멍(312b)이 천공되어, 이 삽입 구멍(312b)에 규제 로드(37c)가 삽입 통과됨으로써, 나선형 샤프트(37)가 회전 정지된 상태에서 측판(31b)에 대하여 전후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나선형 샤프트(37)의 측판(31b)의 후방 부분에는, 내주면에 나선형 샤프트(37)의 수나사에 결합되는 암나사 형태로 설치된 너트 풀리(38)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너트 풀리(38)는 측판(31b)에 고정된 억제 지그(38a)와 측판(31b)을 따라서 나선형 샤프트(37) 둘레로 자유로이 회전하게 끼워지고, 이것에 의해서 너트 풀리(38)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된다. 이러한 너트 풀리(38)와 측판(31b) 사이 및 너트 풀리(38)와 억제 지그(38a)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371)이 각각 설치되고, 이로써 너트 풀리(38)가 나선형 샤프트(37) 둘레로 원활히 회전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1a)의 후방 좌측에는, 너트 풀리(38)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 모터(3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전동 모터(39)의 구동 샤프트에는 구동 풀리(39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 풀리(39a)와 상기 너트 풀리(38)와의 사이에는 무단 벨트(38b)가 길게 설치되고, 전동 모터(39)의 양방향 구동에 의해서 너트 풀리(38)가 구동 풀리(39a) 및 무단 벨트(38b)를 개재하여 양방 회전하여, 이로써 나선형 샤프트(37)가 전후로 움직여 전방 지지 원반(34a)과 후방 지지 원반(34b)의 사이의 거리가 변경된다.
이러한 중계기(3)의 구성에 의하면, 승강 수단(33)의 구동으로 수직 지지 부재(32)를 따라 일단 상승된 면 지지 프레임(31)을, 수직 지지 부재(32)의 천장 레일을 따라 이동시킴에 의해서 대차(26)에 놓인 결속 적층면(K2)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이어서 승강 수단(33)의 구동에 의해서 면 지지 프레임(31)을 하강시켜 결속 적층면(K2)을 지지 원반(34a, 34b) 사이에 개재시키며, 계속해서 전동 모터(39)의 구동으로 너트 풀리(38)를 한 방향으로 소정 회전수 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 원반(34) 사이에 개재된 결속 적층면(K2)이 지지 원반(34)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 수단(33)의 구동으로 면 지지 프레임(31)을 상승시키고, 이어서 수직 지지 부재(32)의 천정 레일을 따른 전진 이동에 의해서 결속 적층면(K2)은 곤포기(4)로 운반된다. 여기서, 전동 모터(39)를 역구동함으로써, 후방 지지 원반(34b)이 후퇴하여 지지 원반(34) 사이의 거리가 커지고, 끼워져 있던 결속 적층면(K2)이 곤포기(4)에 인도된다.
그리고, 결속 적층면(K2)을 곤포기(4)에 인도할 때에, 실린더(36)를 구동함으로써, 피스톤 로드(36a)를 사이에 세운 전방 지지 원반(34a)이 전방 수평 샤프트(35a) 둘레를 회전 운동함으로써 결속 적층면(K2)의 자세를 90°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결속 적층면(K2)을 곤포기(4)에 인도하기 전에 실린더(36)를 구동하여 프레스판(22)의 끈 장착홈(25)에 의해서 요철이 형성된 결속 적층면(K2)의 하면을 옆으로 할 수 있어, 이로써 요철면이 곤포기(4)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곤포기(4)의 한 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절결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곤포기(4)는 바닥(B)에 설치되며 평면에서 보아 장방형 모양인 기초 프레임(41)과, 이 기초 프레임(41)에 지지된 전동 모터(42)와, 이 전동 모터(42)에 의해서 회전하는 회전 테이블(43)과, 이 회전 테이블(43)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필름 공급기(5)로부터 공급되는 필름(F)의 선단부를 파지하는 클램프 부재(44)와, 결속 적층면(K2)에 감겨진 필름(F)의 적층 부분을 용착하는 용착 용단 수단(45)으로 이루어지는 기본 구성을 가진다.
상기 기초 프레임(41)은 소정 길이 치수의 한 쌍의 U형 강철을 서로 평행하게 전후 방향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세로 루트 프레임(41a)과, 이들 한 쌍의 세로 루트 프레임(41a)의 후측부 사이에 가교(架橋)되는 가로 루트 프레임(41b)과, 이들 세로 루트 프레임의 전측부 사이 위에 가교되는 전방 브릿지판(41c)과, 가로 루트 프레임(41b)보다 약간 전방의 세로 루트 프레임(41a) 사이의 하부에 가교되는 후방 브릿지판(41d)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브릿지판(41d)은 전동 모터(42)를 수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각 기초 프레임(41)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부보다 후방 부분의 상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각각 한 쌍의 지주편(41e)이 세워지고, 이들 지주편(41e)에는, 중앙부의 삽입 구멍(41g)에 관통 설치된 대판(台板, 41f)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 모터(42)가 후방 브릿지판(41d)에 설치된 상태로 그 구동 샤프트(42a)가 대판(41f)의 삽입 구멍(41g)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대판(41f)보다도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 샤프트(42a)의 상단부에는 회전 테이블(43)이 동심으로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42)는 회전 테이블(43)에 놓여진 결속 적층면(K2)의 구동 샤프트(42a) 둘레의 회전 각도를 고정밀도로 제어하기 위해서, 회전 위상의 제어가 용이한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가 적용되어 있다.
상기 회전 테이블(43)은 중계기(3)로부터의 결속 적층면(K2)이 놓인 원형의 테이블 판(43a)과, 이 테이블 판(43a)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된 환형 둘레벽(43b)으로 이루어져 밥공기를 엎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형 둘레벽(43b)의 하단면과 상기 대판(41f) 표면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며, 이것에 의해서 회전 테이블(43)은 구동 샤프트(42a)와 함께 회전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환형 둘레벽(43b), 테이블 판(43a) 및 대판(41f)을 따라 둘러싸인 공간에는 회전 테이블(43)의 회전을 규제하는 제동 기구와, 회전 테이블(43)의 회전 위상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등이 설치되어 있지만, 도 5에서는 이들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상기 클램프 부재(44)는 필름 공급기(5)로부터 인출된 필름(F)을 파지하며, 지지 아암(44a), 클램프판(44b), 클램프 핑거(44c) 및 조작 손잡이(44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아암(44a)은 회전 테이블(43)의 환형 둘레벽(43b)에서 지름 방향으로 한 쌍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이들 지지 아암(44a)의 선단측에 상기 클램프판(44b)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 핑거(44c)는 이 클램프판(44b)의 정상부에 한 쌍이 세워져 있다. 상기 조작 손잡이(44d)는 이들 한 쌍의 클램프 핑거(44c)가 떨어진 거리를 조작하는 것으로, 한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각 클램프 핑거(44c)가 서로 접촉하여 접촉 상태가 유지되며, 다른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접촉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필름 공급기(5)로부터 인출된 필름(F)의 선단부를,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클램프 핑거(44c) 사이에 끼운 후, 조작 손잡이(44d)를 한 방향으로 조작하여 필름(F)을 파지함으로써, 필름(F)의 단부가 회전 테이블(43)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전동 모터(42)의 구동에 의해 결속 적층면(K2)이 놓여진 회전 테이블(43)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필름(F)이 필름 공급기(5)로부터 인출되면서 결속 적층면(K2)의 외주면에 감기며, 이로써 결속 적층면(K2)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면이 필름(F)에 의해서 둘러싸이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전 테이블(43)을 구동 샤프트(42a)의 샤프트 중심 둘레로 반시계 방향으로 약 1.5회 회전시켜 결속 적층면(K2)의 표면에는 필름(F)의 적층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필름(F)의 적층부는 상기 용착 용단 수단(45)이 소정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서로 용착되며, 이 필름(F)의 결속 적층면(K2)의 감긴 상태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도 6을 기초로 필름 공급기(5)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필름 공급기(5)의 한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공급기(5)는 곤포기(4)의 기초 프레임(41)의 전방 브릿지판(41c)에 세워진 가이드 지주(51)와, 이 가이드 지주(51)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승강하는 필름 유지 부재(52)와, 이 필름 유지 부재(52)를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56)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 지주(51)는 전후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 판(51a)과, 이들 가이드 판(51a)의 정상부 사이에서 가교되는 가교판(51b)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가이드 판(51a) 사이에 필름 유지 부재(52)의 좌측부가 미끄럼 접촉 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승강 기구(56)의 양방향 구동에 의해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필름 유지 부재(52)는 필름(F)을 감음으로써 형성되는 원반(F1)을 지지하기 위한 원반 지지체(53)와, 이 원반 지지체(53)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또한 원반(F1)으로부터 필름(F)을 인출하는 것을 원활히 하는 롤러군(54)과, 원반 지지체(53)의 좌측부에 일체로 고정되며, 후술하는 나선형 가이드 샤프트(58)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너트 부재(55)를 구비한다.
상기 원반 지지체(53)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판(53a)과 하판(53b)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방향의 한 쌍의 측판(53c)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형성되며, 이들 상하판(53a, 53b) 및 한 쌍의 측판에 의해서 둘러싸인 부분에 원반(F1)을 수납하기 위한 원반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하판(53a, 53b)에는, 중앙 부분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잘려져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착홈(531a)이 마련되며, 이 장착홈(531a)에 원반(F1) 중심 샤프트(F2)를 끼워넣은 상태로 이탈 방지판(532a)으로 장착홈(531a)을 막음으로써 원반(F1)이 원반 지지체(53)에 장착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원반 지지체(53)의 상하판(53a, 53b)의 뒤 가장자리 중앙부에는 후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상하 한 쌍의 중앙 브래킷(533a)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판(53a)에서의 중앙 브래킷(533a)의 우측에는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우측 브래킷(534a)이, 동일 좌측에도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좌측 브래킷(535a)이 설치되고, 이들 브래킷(533a, 534a, 535a)에 롤러군(54)의 각 롤러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군(54)은 중앙 브래킷(533a)의 수직 샤프트 둘레로 자유로 이 회전하게 샤프트로 지지된 폭방향의 한 쌍의 제1 롤러(54a)와, 우측 브래킷(534a)의 수직 샤프트 둘레로 자유로이 회전하게 샤프트로 지지된 제2 롤러(54b)와, 좌측 브래킷(535a)의 수직 샤프트 둘레로 자유로이 회전하게 샤프트로 지지된 제3 롤러(54c)로 구성되어 있다. 각 롤러(54a, 54b, 54c)는 고무 등의 가요성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며, 유연하게 접촉 지지되어 필름(F)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54a)는 외주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각각 설치 위치가 정해지고, 이들 한 쌍의 제1 롤러(54a) 사이에, 원반(F1)으로부터 되돌려 감겨진 필름(F)이 끼워져 통과하고, 또한 제2 롤러(54b) 및 제3 롤러(54c)에 걸려서 감겨진 후, 필름(F)의 선단부를 도 5에 도시하는 곤포기(4)의 클램프 부재(44)에 파지시킴으로써 필름(F)이 곤포기(4)의 회전 테이블(43)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우측 브래킷(534a) 및 좌측 브래킷(535a)은 각각 기단측(전단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적으로 수평 방향을 향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 탄성적인 요동에 의해서 인출된 필름(F)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동이 흡수되어, 곤포 중에 필름(F)이 찢어지거나, 회전 테이블(43) 상의 결속 적층면(K2)에 놓인 위치가 어긋나거나 하는 일은 없다.
상기 승강 기구(56)는 가이드 지주(51)의 하부의 가이드 판(51a)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 전동 모터(57a)와 변속 수단(57b)을 가지는 구동 장치(57)와, 이 구동 장치(57)의 구동 샤프트에 일체로 접속된 나선형 가이드 샤프트(58)로 구성되어 있다. 나선형 가이드 샤프트(58)는 그 정상부가 가이드 지주(51)의 가교판(51b)에 천공된 지지 구멍(51c)에 미끄럼 접촉 상태로 끼워지고, 이로써 구동 장치(57)에 대한 수직 설치 상태가 안정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필름 공급기(5)의 너트 부재(55)는 나선형 가이드 샤프트(58)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나사식으로 설치되는 나사 구멍(55a)을 구비하고, 이 나사 구멍(55a)을 나선형 가이드 샤프트(58)에 나선형으로 결합함으로써 너트 부재(55)는 나선형 가이드 샤프트(58)에 결합된다. 이로써 원반 지지체(53)는 나선형 가이드 샤프트(58)의 샤프트 중심 둘레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너트 부재(55)를 통해 가이드 지주(51)에 의해 안내되면서 승강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필름 공급기(5)의 구성에 따르면, 회전 테이블(43)에 놓여진 결속 적층면(K2)의 상하 치수가 필름(F)의 상하 치수보다 큰 경우, 전동 모터(42)의 구동으로 회전 테이블(43)을 회전시킴에 의해, 구동 장치(57)의 구동으로 원반 지지체(53)가 승강되므로, 결속 적층면(K2)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필름(F)을 감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로써 결속 적층면(K2)의 둘레면을 남김없이 포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면 적층체(K)가, 폭방향의 한 쌍의 개폐문(24)이 개방된 압축기(2)의 프레스판(22) 사이에 푸셔(도면 생략)에 의해서 장전된다. 또한, 원면 적층체(K)가 압축기(2)에 장전되기 전에 유압 기구(23)의 구동으로 하부 프레스판(22b)은 일단 하강되어 있다. 이어서, 개폐문(24)을 폐쇄한 후, 하부 프레스판(22b)과 상부 프레스판(22a) 사이에 끼워진 원면 적층체(K)는 유압 기구(23)의 구동에 의한 하부 프레스판(22b)의 상승에 의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치수가 대략 반으로 용적이 축소된 압축된 면(K1)이 된다. 이 상태로 끈 결속 기구(도면 생략)의 구동에 의해서 결속끈(R)이 프레스판(22)의 끈 장착홈(25)을 삽입 통과하고, 압축된 면(K1)의 외주면에 감겨져 결속됨으로써,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속 적층면(K2)이 완성된다.
이 결속 적층면(K2)은 개폐문(24)을 개방한 후, 푸셔(도면 생략)에 의해서 압축기 본체(21) 측에 이동된 대차(26)로 일단 밀려난다. 이어서, 결속 적층면(K2)을 탑재한 대차(26)는 좌측으로 이동되어 중계기(3)에 대응한 정위치에 멈춘다. 이 상태에서, 면 지지 프레임(31)이 상방 위치로 상승된 중계기(3)를 결속 적층면(K2)의 위치에 이동시킨다. 그리고, 승강 수단(33)의 구동으로 면 지지 프레임(31)을 수직 지지 부재(32)를 따라 하강시킴으로써 결속 적층면(K2)을 횡방향 위치 상태로 지지 원반(34) 사이에 끼운다. 이어서, 전동 모터(39)의 구동으로 후방 지지 원반(34b)을 소정 거리 만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 적층면(K2)은 면 지지 프레임(31)의 측판(31b) 사이에 한 쌍의 지지 원반(34)을 매개로 하여 압박되어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 수단(33)의 구동에 의해 면 지지 프레임(31)을 상승시키고, 천정 레일(도면 생략)을 따르는 수직 지지 부재(32)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결속 적층면(K2)은 회전 테이블(43)의 바로 위로 이동되어 회전 테이블(43) 상에 놓이며, 그 전에 실린더(36)의 구동에 의해 피스톤 로드(36a, 도 3 참조)를 좌측으로 후퇴시키고 전방 지지 원반(34a)을 전방 수평 샤프트(35a) 둘레로 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킴으로써, 지지 원반(34) 사이에 끼워진 결속 적층면(K2)은 수평 샤프트(35) 둘레로 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하고, 이로써 지금까지의 측부가 새로운 저부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속 적층면(K2)의 자세 변경을 조작하는 이유는, 압축기 본체(21)로부터 밀려난 결속 적층면(K2)의 바닥부에 하부 프레스판(22b)의 끈 장착홈(25)에 의해서 심한 요철이 형성되고, 이 요철면이 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결속 적층면(K2)을 회전 테이블(43)에 올려놓으면, 결속 적층면(K2)을 회전 테이블(43)에 올려놓은 상태가 안정되지 않고, 곤포기(4)에서의 곤포 조작을 양호하게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렇게 함으로써 회전 테이블(43)에 놓인 결속 적층면(K2)의 적층 방향을 향하여 필름(F)을 감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로써 감긴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어서, 회전 테이블(43)에서 결속 적층면(K2)은 필름(F)에 의하여 곤포 처리되지만, 이하 이 곤포 처리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곤포기에 의한 곤포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7(a)는 회전 테이블(43)에 중계기(3)로부터의 결속 적층면(K2)이 횡방향으로 위치된 상태, 도 7(b)는 결속 적층면(K2)이 횡방향으로 위치된 회전 테이블(43)이 반시계 방향으로 1회 회전한 상태, 도 7(c)는 결속 적층면(K2)이 횡방향으로 위치된 회전 테이블(43)이 1.5회 회전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a)는 회전 테이블(43)에 횡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포장이 완료된 결속 적층면(K2)이 수직으로 위치된 상태, 도 8(b)는 결속 적층면(K2)이 수직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 테이블(43)이 반시계 방향으로 1회 회전한 상태, 도 8(c)는 결속 적층면(K2)이 수직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 테이블(43)이 2회 회전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는, 설명의 편의상, 표지의 좌측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설명도를, 동일물을 우측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설명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 적층면(K2)을 회전 테이블(43)에 올려놓기 전에, 미리 회전 테이블(43)의 클램프 부재(44)가 우측(도 7의 지면의 위쪽)에 위치되고, 이 클램프 부재(44)에 필름 공급기(5)로부터 인출된 필름(F)이 걸려 있다. 이 상태로 회전 테이블(43)에 결속 적층면(K2)을 횡방향으로 위치시키고 또한 전후 방향(도 7의 지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얹어 놓는다.
이어서, 전동 모터(42)(도 2)의 구동으로 회전 테이블(43)을 구동 샤프트(42a) 둘레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테이블(43)의 결속 적층면(K2)은 회전 테이블(43)과 함께 회전하고, 이로써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 적층면(K2)의 둘레면에 필름(F)이 필름 공급기(5)로부터 인출되면서 감긴다.
그리고, 회전 테이블(43)은 약 1.5회 회전한 시점에서 전동 모터(42)의 구동 정지로 회전이 일단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제3 롤러(54c)로부터 결속 적층면(K2)을 향하여 연장하는 필름(F)이 용착 용단 수단(45)에 의해 결속 적층면(K2)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또한 필름(F)의 적층 부분이 서로 용착됨으로써, 결속 적층면(K2)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의 외주면이 필름(F)[제1 필름(Fl1)]에 의해서 곤포된 상태로 된다.
이어서, 도 7(c)에 표시된 상태의 결속 적층면(K2)을, 중계기(3)의 한 쌍의 지지 원반(34)[전방 지지 원반(34a) 및 후방 지지 원반(34b)]에 의해서 끼워 들어올려, 전방 지지 원반(34a)을 90°회전시켜 수직으로 위치된 자세로 자세 변경하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상기 지지 원반(34) 상에 수직으로 위치된 상태로 올려 놓는다. 또한, 먼저 용착 용단 수단(45)에 의해서 용단된 필름(F)의 선단부를 클램프 부재(44)에 체결한다.
이 상태에서 다시 회전 테이블(43)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과 동기(同期)로 구동 장치(57)의 구동에 의해 필름 공급기(5)를 상승시킴으로써,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위치된 결속 적층면(K2)의 외주면에 필름(F)이 나선형으로 감긴다.
그리고, 회전 테이블(43)을 소정 회수 회전시킴으로써 수직으로 위치된 결속 적층면(K2)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이 필름(F)에 의해서 나선형으로 곤포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용착 용단 수단(45)의 구동에 의해서 필름 공급기(5)의 제3 롤러(54c)에서 연장된 필름(F)이 결속 적층면(K2)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용착된 후에 용단되어, 먼저 제1 필름(Fl1)에 의해서 곤포되며 수직으로 위치된 상태의 결속 적층면(K2)의 외주면이 필름(F)〔제2 필름(F12)〕에 의해서 더욱 곤포되고, 이로써 도 2(d)에 도시한 것과 같은 면 포장체(K3)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테이블(43)이 2회 회전함으로써 결속 적층면(K2)의 외주면이 남김없이 덮어지지만, 회전 테이블(43)의 회전 속도에 대한 필름 공급기(5)의 상승 속도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결속 적층면(K2)에 대한 필름(F)의 감긴 회수를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 포장 장치(1)는 원면 적층체(K)를 압축하여 결속끈(R)으로 결속하는 압축기(2)와, 이 압축기(2)로부터 도출된 결속 적층면(K2)을 수취하여 중계 유지하는 중계기(3)와, 이 중계기(3)가 유지하고 있는 결속 적층면(K2)을 수취하여 필름(F)으로 결속 적층면(K2)을 곤포하는 곤포기(4)와, 이 곤포기(4)에 필름(F)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기(5)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면 적층체(K)를 압축기(2)로 압축하고 결속끈(R)으로 결속함으로써 압축된 면(K1)이 형성되고, 이 압축된 면(K1)을 압축기(2)로부터 도출하여 중계기(3)에 전달함으로써, 결속 적층면(K2)을 이 중계기(3)에 의해서 곤포기(4)에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기(3)로부터 결속 적층면(K2)을 수취한 곤포기(4)의 소정의 작동에 의해, 결속 적층면(K2)을 필름 공급기(5)로부터 공급되는 필름(F)에 의해서 곤포된 면 포장체(K3)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면 적층체(K)를 팩이 미리 장착된 압축기(2)로 압축하면서 결속하는, 종래 방식을 채용하지 않고, 압축기(2)로 원면 적층체(K)만 압축 결속하여, 완성된 결속 적층면(K2)에 필름(F)을 감는 간단한 조작으로 면 포장체(K3)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압축기(2)의 프레스판 사이에 장착된 압축된 면에 팩을 씌워 끈으로 결속하여, 인력을 개입시켜야 하는 작업이 없어지며, 이에 따라 곤포 작업의 거의 전공정을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면 포장 장치(1)에 의해서 포장된 면 포장체(K3)는 결속끈(R)으로 결속된 결속 적층면(K2)의 외주 전체면이 합성 수지제의 필름(F)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으므로, 결속 적층면(K2)은 이 필름(F)에 의해 보호되어, 면 포장체(K3)를 취급하거나 이송할 때에 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장재로서 합성 수지제의 필름(F)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직물 제품제의 팩을 사용한 것에 비해 비싼 팩을 사용하지 않고 염가인 필름(F)을 사용하고 있는 만큼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의 내용도 포함하는 것이다.
(1) 상기의 실시예에서, 회전 테이블(43)의 테이블판(43a)으로는 평판이 채용되고, 이 테이블 판(43a)에 결속 적층면(K2)을 얹어 놓도록 하고 있지만, 이 대신에 테이블판으로서 중앙부가 측면에서 보아 V자형으로 구부려진 V자판을 채용하여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결속 적층면(K2)을 그 모서리부가 V자홈에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 테이블에 올려 놓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회전 테이블(43)을 회전시켰을 때, 결속 적층면(K2)이 회전 테이블(43) 상에서 미끄러지는 부적절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2) 상기의 실시예에서, 회전 테이블(43)에 결속 적층면(K2)을 횡방향으로 위치시키거나, 횡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 테이블(43)을 구동 샤프트(42a) 둘레로 함께 회전시켜 각각의 상태에서의 결속 적층면(K2)의 외주면에 필름(F)을 감을 수 있지만, 이 대신에 결속 적층면(K2)을 회전 테이블(43)에 경사지게 놓은 상태(예컨대 상기 (l) 기재의 V 자판상에 결속 적층면(K2)을 경사지게 놓은 상태로)로 회전 테이블(43)을 회전시켜 결속 적층면(K2)을 곤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결속 적층면(K2)을 회전 테이블(43)에 경사지게 놓았을 때, 결속 적층면(K2)은 제1 필름에 의해서 결속 적층면의 거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1 평면과 결속 적층면의 외주면과의 교선 둘레로 둘러싸인 상태가 되며, 결속 적층면(K2)을 회전 테이블(43)에 수직으로 위치시켰을 때, 결속 적층면(K2)은 제2 필름에 의해서 상기 제1 띠형 필름에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이 덮힌 상태가 된다.
(3) 상기의 실시예에서, 결속 적층면(K2)을 우선 회전 테이블(43)에 횡방향으로 위치시키고, 회전 테이블(43)의 회전으로 결속 적층면(K2)의 둘레면을 제1 필름(Fll)에 의해서 포장함과 동시에, 계속해서 이 결속 적층면(K2)을 회전 테이블(43)에 수직으로 위치시켜 회전 테이블(43)의 회전으로 제2 필름(F12)을 결속 적층면(K2)에 감을 수 있지만, 이 대신에 우선 제1 필름(Fl1)에 의해서 결속 적층면(K2)을 감은 후에, 제1 필름(Fl1)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을, 미리 소정 형상으로 재단한 가리개용의 필름으로 덮어 점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면 포장체에 의하면, 면 포장체는 결속 부재로 결속된 결속 적층면의 외주 전체면이 합성 수지제의 필름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으므로, 결속 적층면은 이 필름에 의해 보호되며, 면 포장체의 취급시나 이송시에 이물질의 부착에 의한 오염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포장재로서 합성 수지제의 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직물 제품제의 팩을 사용한 것에 비하여 비싼 팩을 사용하지 않고 염가인 필름을 사용하여 분재료(分材料)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면 포장체에 의하면, 결속 압축된 면을 포장하는 필름으로서 띠형의 제1 및 제2 필름을 사용하고, 이들 원면 적층체를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감아서 6개의 면을 전체면에서 피복함과 동시에, 원면 적층체를 그 적층 정상면 및 적층 바닥면을 지나는 경선 방향으로, 정상면 및 바닥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감았기 때문에, 결속 적층면은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쌍방에 의해서 적층 방향을 향하여 가압된 상태로 포장되어, 포장 조작시나 취급시에 각 단위 집적체가 서로 분리되거나 포장이 풀리는 부적절함이 발생하지 않고, 확실히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면 포장 장치에 의하면, 면 포장 장치는 원면 적층체를 압축하여 결속 부재로 결속하는 결속기와, 이 결속기로부터 도출된 결속 적층면을 수취하여 중계 유지하는 중계기와, 이 중계기가 유지하고 있는 결속 적층면을 수취하여 필름으로 결속 적층면을 곤포하는 곤포기와, 이 곤포기에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기를 포함하므로, 원면 적층체를 결속기로 압축하여 결속 부재로 결속함으로써 압축된 면이 형성되고, 이 압축된 면을 결속기로부터 도출하고 중계기에 전달함으로써, 결속 적층면을 이 중계기에 의해서 곤포기에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기로부터 결속 적층면을 수취한 곤포기의 소정의 구동에 의해, 결속 적층면이 필름 공급기부터 공급되는 필름으로 곤포된 면 포장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면 적층체를 미리 팩이 장착된 결속기로 압축 결속하는 종래 방식을 채용하지 않고, 결속기로 원면 적층체만 압축 결속하고, 완성된 결속 적층면에 필름을 감는 간단한 조작으로 면 포장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결속기의 프레스판 사이에 장착된 압축된 면에 팩을 씌워 끈으로 결속하는 등의 인력을 개입시켜야 하는 작업이 없어지며, 이에 따라 곤포 작업의 거의 전공정을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면 포장 장치에 의하면, 중계기가 결속기와 곤포기 사이에서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 중계기에 결속 적층면을 사이에 개재시켜 얻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을 가지는 지지 프레임과, 한 쌍의 측판의 각 대향면의 간격을 조절하여 결속 적층면을 끼우고, 또한 끼워진 결속 적층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한 쌍의 면 유지 부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결속기로부터 도출된 결속 적층면을 중계기의 측판에 설치된 한 쌍의 면 유지 부재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 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곤포기의 위치까지 운반하고, 이어서 유지를 해제함으로써 곤포기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부재는 결속 적층면을 곤포기가 곤포하기 용이한 자세로 설정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곤포 작업의 도중에 필요에 따라서 결속 적층면의 자세를 적적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써 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확실한 포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면 포장 장치에 의하면, 곤포기는 수직 샤프트 둘레로 구동 회전 가능한 회전 테이블과, 이 회전 테이블에 설치된 필름 체결용의 클램프 부재와, 필름을 용착하는 용착 용단 수단으로 구성되며, 클램프 부재에 필름의 단부를 체결한 상태로 결속 적층면이 놓인 회전 테이블을 회전시킴으로써 결속 적층면에 감긴 필름의 적층부를 용착하도록 용착 용단 수단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중계기에 의해서 보내진 결속 적층면을 회전 테이블에 놓고, 이어서 필름 공급기로부터 필름을 소정 치수 만큼 인출하여 그 선단부를 회전 테이블의 클램프 부재에 파지시킴으로써, 결속 적층면을 곤포기에 마련할 수 있다. 이 상태로 회전 테이블을 수직 샤프트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결속 적층면도 동시 회전하여 그 외주면에 필름을 감을 수 있다.
그리고, 결속 적층면에 필름을 감은 후, 용착 용단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감긴 필름의 적층부가 용착되어, 이로써 결속 적층면을 필름에 의해서 화분 형태로 포장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결속 적층면의 자세를 바꿔 이러한 필름 작업을 다시 수행함으로써, 결속 적층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필름에 의해 덮히는 면 곤포체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면 포장 장치에 의하면, 필름 공급기는 필름의 원반을 지지하는 원반 지지체와, 이 원반 지지체를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필름 원반의 중심 샤프트를 원반 지지체에 수직으로 장착함으로써 필름 원반을 필름 공급기에 장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필름의 선단부를 인출하여, 그것을 곤포기 상의 결속 적층면에 부여하여 곤포기를 구동함으로써, 결속 적층면을 필름으로 포장할 수 있다.
그리고, 원반 지지체는 승강 기구에 의해서 승강하기 때문에, 결속 적층면의 상하 길이에 따라서 원반 지지체를 승강시킴으로써, 결속 적층면의 외주에 필름을 나선형으로 감을 수 있고, 이로써 둘레 방향에서의 면(棉)의 노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 포장 장치의 한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적인 절결 사시도.
도 2는 곤포 대상의 면(綿)을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a)는 원면 적층체, (b)는 압축된 면, (c)은 결속 적층면, (d)는 면 포장체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선 U-U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선 V-V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곤포기의 한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6은 필름 공급기의 한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7은 곤포기를 이용한 곤포 처리를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a)는 중계기로부터의 결속 적층면이 회전 테이블에 횡방향으로 위치된 상태, (b)는 결속 적층면이 횡방향으로 위치된 회전 테이블이 반시계 방향으로 1회 회전한 상태, (c)는 결속 적층면이 횡방향으로 위치된 회전 테이블이 1.5회 회전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곤포기에 의한 곤포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a)는 회전 테이블에 횡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포장이 완료된 결속 적층면이 수직으로 위치된 상태, (b)는 결속 적층면이 수직으로 위치된 회전 테이블이 반시계 방향으로 1회 회전한 상태, (c)는 결속 적층면이 수직으로 위치된 회전 테이블이 2.5회 회전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K: 원면 적층체
K1: 압축된 면
K2: 결속 적층면
K3: 면 포장체
R: 결속끈(결속 부재)
1: 면 포장 장치
2: 압축기(결속기)
21: 압축기 본체
22: 프레스판
22a: 상부 프레스판
22b: 하부 프레스판
23: 유압 기구
24: 개폐문
25: 끈 장착홈
26: 대차(carriage)
26a: 대차 본체
26b: 장방형 프레임
26c: 롤러
26d: 차륜
27: 레일
3: 중계기
31: 면 지지 프레임
31a: 기판
31b: 측판
311b: 관통 구멍
312b: 삽입 구멍
31c: 연결 부재
32: 수직 지지 부재
32a: 수직 레일
32b: 랙
33: 승강 수단
34: 지지 원반
34a: 전방 지지 원반
35b: 후방 지지 원반
341b: 중심 구멍
35: 수평 샤프트
35a: 전방 수평 샤프트
35b: 후방 수평 샤프트
36: 실린더
36a: 피스톤 로드
37: 나선형 샤프트
371: 스러스트 베어링
37a: 고정 원반
38: 너트 풀리
38a: 억제 지그
4: 곤포기
41: 기초 프레임
41a: 세로 루트 프레임
41b: 가로 루트 프레임
41c: 전방 브릿지판
41d: 후방 브릿지판
41e: 지주편
41f: 대판
41g: 삽입 구멍
42: 전동 모터
42a: 구동 샤프트
43: 회전 테이블
43a: 테이블판
43b: 환형 둘레벽
44: 클램프 부재
44a: 지지 아암
44b: 클램프판
44c: 클램프 핑거
44d: 조작 손잡이
45: 용착 용단 수단
5: 필름 공급기
51a: 가이드 지주
51a: 가이드 판
51b: 가교판
51c: 지지 구멍
52: 필름 유지 부재
53: 원판 지지체
53a: 상판
531a: 장착 홈
532a: 이탈 방지판
533a: 중앙 브래킷
534a: 우측 브래킷
535a: 좌측 브래킷
53b: 하판
53c: 측판
54: 롤러군
54a: 제1 롤러
54b: 제2 롤러
54c: 제3 롤러
55: 너트 부재
56: 승강 기구
57: 구동 기구
57a: 전동 모터
57b: 변속 수단
58: 나선형 가이드 샤프트

Claims (6)

  1. 평판형 원면의 단위 집적체를 복수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된 원면 적층체를 적층 방향으로 압축 곤포(梱包)하여 완성되는 면 포장체로서, 상기 원면 적층체는 적층 정상면과 적층 바닥면을 지나는 경선(經線) 방향으로 결속 부재를 감아서 체결함으로써 결속되어, 이 결속된 상태의 원면 적층체의 외주면이 합성 수지제 필름에 의해서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포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띠형의 제1 필름과 띠형의 제2 필름이 사용되고,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은 원면 적층체를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감음으로써 6개의 전체면에 피복하며, 이들을 감는 방향은 원면 적층체의 적층 정상면 및 적층 바닥면을 지나는 경선 방향이며, 상기 정상면 및 바닥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포장체.
  3. 평판형 원면의 단위 집적체를 복수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된 원면 적층체를 적층 방향으로 압축 곤포하여 완성되는 면 포장체를 제조하는 면 포장 장치로서, 상기 원면 적층체를 압축하여 결속 부재를 감아서 결속하는 결속기와, 이 결속기로부터 도출된 상기 결속 압축된 면을 수취하여 중계 유지하는 중계기와, 이 중계기가 유지하고 있는 결속 압축된 면을 수취하여 상기 필름으로 곤포하는 곤포기와, 이 곤포기에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포장 장 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결속기와 상기 곤포기 사이에서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결속 압축된 면을 측면으로부터 끼우도록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을 구비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판의 각 대향면에서 떨어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결속 압축된 면을 유지 또는 해제하는 한 쌍의 면 유지 부재와, 유지 상태에서 상기 측판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과, 상기 측판을 그 수직 샤프트 둘레로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를 구비하는 면 포장 장치.
  5.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곤포기는 상기 중계기로부터의 결속 압축된 면이 놓이는 수직 샤프트 둘레로 구동 회전 가능한 회전 테이블과, 이 회전 테이블과 동시에 회전하며, 상기 필름 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의 단부를 체결하는 클램프 부재와, 상기 필름 공급기로부터 인출된 필름을 용착 용단하는 용착 용단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용착 용단 수단은, 상기 클램프 부재에 필름의 단부를 체결한 상태로 결속 압축된 면이 놓여진 회전 테이블을 회전시킴으로써 결속 압축된 면에 감긴 필름의 적층 부분을 용착 용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포장 장치.
  6.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공급기는 수직 중심 샤프트에 감긴 필름 원반을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반 지지체와, 이 원반 지지체 를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포장 장치.
KR10-1999-0005667A 1998-02-23 1999-02-20 면 포장체 및 면 포장 장치 KR100470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40503 1998-02-23
JP10040503A JPH11236008A (ja) 1998-02-23 1998-02-23 綿包装体および綿包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794A KR19990072794A (ko) 1999-09-27
KR100470505B1 true KR100470505B1 (ko) 2005-02-21

Family

ID=12582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667A KR100470505B1 (ko) 1998-02-23 1999-02-20 면 포장체 및 면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1236008A (ko)
KR (1) KR100470505B1 (ko)
CN (1) CN1205087C (ko)
TW (1) TW55841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025B1 (ko) 2015-04-23 2016-10-05 주식회사 진명 에프 엠 씨 면 정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7392A1 (de) * 2003-04-15 2004-11-04 Saint-Gobain Isover G+H Ag Großgebinde für Transport und Lagerung von Dämmstoffelementen sowie Module aus Dämmstoffelementen hierfür
US7410051B2 (en) * 2004-09-28 2008-08-12 Magnolia Manufacturing Company, Inc. System and method for packaging cotton sliver
FI20050072A0 (fi) * 2005-01-24 2005-01-24 Pukero Engineering Oy Sellupaalin käärenauha-sidonta
KR101046768B1 (ko) * 2009-09-25 2011-07-06 김은아 볏짚 결속네트 제조방법
CN103688689B (zh) * 2013-12-13 2015-07-29 宿州市四方精工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草料捆扎包装系统
CN103640726B (zh) * 2013-12-23 2015-06-03 蔡光泉 全自动打包机
CN107826293A (zh) * 2017-11-03 2018-03-23 盐城融凡纺织制衣有限公司 一种服装厂用批量打捆装置
CN111959861B (zh) * 2020-08-24 2022-02-08 济南大学 一种回转型棉花打包捆扎系统及方法
CN111959862B (zh) * 2020-08-24 2022-02-08 济南大学 一种直线型棉花打包捆扎系统及方法
CN115402602B (zh) * 2022-09-13 2023-06-13 南通大学 一种棉花离线打包系统及打包方法
CN116253000A (zh) * 2022-12-30 2023-06-13 江阴瑞特泰科包装设备有限公司 一种捆扎缠绕组合打包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025B1 (ko) 2015-04-23 2016-10-05 주식회사 진명 에프 엠 씨 면 정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5087C (zh) 2005-06-08
TW558416B (en) 2003-10-21
CN1227180A (zh) 1999-09-01
KR19990072794A (ko) 1999-09-27
JPH11236008A (ja) 1999-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0505B1 (ko) 면 포장체 및 면 포장 장치
US44097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ing articles with composite stretched films
EP0578718B1 (en) Method for the wrapping of a bale in two crossing wrapping layers applied in overlapping helical turns
US8528618B2 (en) Backing film removal for fiber placement machine
KR102098091B1 (ko)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JPS5952087B2 (ja) 包装方法およびその装置
SK24395A3 (en) Method of load wrapping by using orientateable foil, device and foil for using this method
CA1258814A (en) Unit load wrapping with uniform wrap tension along the periphery of the wrapped load
US6688082B1 (en) Method for stopping and starting an automatic machine for collectively wrapping products, especially rolls of toilet or kitchen paper
US57584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ing cornerboards and wrapping a load
EP1074473B1 (en) Method and machine for packaging skeins,shaped as rings,of a flexible,elongated element
CN1135449A (zh) 用于连接缠绕在卷筒上的包装材料卷带的连接机
CA1063500A (en) Method of tensioning and joining a formed strap loop about a package
CA1238847A (en) Apparatus for wrapping stacked goods
EP0291483B1 (en) Pre-stretcher device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a stretchable plastics film web
EP10822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tch wrapping a load
JP3835773B2 (ja) 食肉二方シール自動包装機
CN113320797A (zh) 一种包装架、包装架用包装设备及其包装工艺
JP4672215B2 (ja) フルウェッブ式自動ストレッチ包装機
JP2521219B2 (ja) フルウェッブ式自動ストレッチ包装機
JP3063012B2 (ja) 剛体被結束物の自動結束方法及び装置
CN215043944U (zh) 一种捆扎机
CN213393239U (zh) 一种捆扎带上料装置的料盘刹车机构
JP2543818B2 (ja) フルウェッブ式自動ストレッチ包装機
JPS593327B2 (ja) 梱包結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