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289B1 - 유도가열장치 - Google Patents

유도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289B1
KR100470289B1 KR10-2003-0017758A KR20030017758A KR100470289B1 KR 100470289 B1 KR100470289 B1 KR 100470289B1 KR 20030017758 A KR20030017758 A KR 20030017758A KR 100470289 B1 KR100470289 B1 KR 100470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temperature
heating coil
heat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6436A (ko
Inventor
후지이유지
니이야마고지
히로타이즈오
미야우치다카히로
후지타아쓰시
이누이히로후미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80824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67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02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1680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6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체의 냄비를 사용하여, 온도제어를 하면서 가열조리를 할 때 냄비 들뜸에 의해 온도검출이 정확하게 할 수 없고 냄비가 이상한 온도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재질검출부가 비자성체의 냄비인 것을 검출하였을 때, 또는 냄비 들뜸이 일어났을 때, 온도제어의 기능을 정지하여, 온도의 조절을 수동으로 하도록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또한, 가열코일의 자기발열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여, 정밀도가 높은 피가열체의 온도제어를 하기 위해서, 철계의 피가열체를 가열 가능하고 또한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를 가열 가능한 제 1 가열코일, 및 철계의 피가열체를 가열 가능하고 또한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 없는 제 2 가열코일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도가열장치{INDUCTION H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일반가정, 레스토랑, 사무실, 혹은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유도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피가열체를 동시에 가열하는 것이 가능한 유도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도가열장치에서는, 유도가열코일(이하, 가열코일이라 약기한다)에 20KHz ∼60KHz의 고주파전류를 흐르게 하여 고주파자계를 발생시킨다. 이 고주파자계에 의해, 가열코일에 근접하여 놓여진 냄비 등의 피가열체에 전자유도에 의한 소용돌이전류가 발생한다. 피가열체는 이 소용돌이전류에 의한 쥴열에 의해서 가열된다.전자유도를 이용하기 때문에, 피가열체는 철이나 자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자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근년,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 비자성체의 냄비 등의 피가열체(이하, 단순히 냄비라 한다)라도 가열할 수 있는 유도가열조리기 등의 유도가열장치가 실용화되어 있고, 유도가열장치의 이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유도가열장치에서는, 가열시에 냄비에 생기는 소용돌이전류의 방향은 가열코일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는 반대이다. 이 때문에 냄비와 가열코일과의 사이에서 자기에 의한 반발력이 생긴다. 한편, 가열코일과 냄비와의 사이에는 전자력도 작동하기 때문에, 냄비가 철 등의 자성체인 경우에는, 가열코일과 냄비와의 사이에 자기에 의한 인력이 생긴다. 자성체의 냄비에서는 통상 반발력보다도 인력 쪽이 크기 때문에, 냄비는 가열코일에 끌어당겨지고 있다.
그런데,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 비자성체의 냄비(이하, 비자성 냄비라 한다)의 경우에는, 상기의 인력은 작동하지 않고 반발력만이 작동한다. 그 때문에, 비자성냄비의 내용물도 포함한 중량이 가볍고, 그 중력이 상기 반발력보다 작으면, 비자성냄비는 반발력에 의해 가열코일로부터 떨어져 떠오르는 「냄비 들뜸(pan-floating)」이 일어난다. 냄비 들뜸이 발생하면, 냄비를 얹기 위해서 가열코일의 위에 설치하고 있는 내열유리판 등의 탑플레이트 위를 냄비가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비자성냄비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 투자율(透磁率) 및 저항율이 낮은 재료로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에, 철 등의 냄비와 같은 정도의 발열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철의 냄비일 때보다 큰 고주파전류를 가열코일에 흐르게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반발력은 철냄비일 때보다 커져 냄비 들뜸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유도가열조리기에 있어서, 비자성체의 냄비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제1 선행기술로서, 일본국 특개소 61-128492호 공보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 이 제 1 선행기술에서는, 탑플레이트의 표면에 냄비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센서를 설치하여, 냄비의 중량을 검출한다. 또한, 가열코일을 흐르는 고주파전류를 커런트 트랜스로 검출하여, 그 검출출력에 따라서 냄비의 재질을 검출한다. 내용물을 포함시킨 냄비의 중량이 소정치 이하이고, 또한 냄비의 재질이 알루미늄이나 동인 경우에는, 냄비 들뜸이 일어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가열코일의 고주파전류를 차단하여 가열을 정지한다. 냄비의 재질이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인 경우라도, 냄비의 중량이 소정치를 넘을 때는, 냄비 들뜸이 생길 우려가 없기 때문에, 가열코일에 고주파전류를 흐르게 하여 가열을 한다.
유도가열조리기에 있어서, 비자성체의 냄비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제2 선행기술로서, 일본국 특개소 62-276787호 공보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 이 제 2 선행기술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선행기술과 같이, 냄비의 중량과 재질을 검출한다. 냄비의 재질이 알루미늄 등의 고도전율 또한 비자성체인 경우는 고주파전류의 주파수를 50KHz(철 냄비일 때는 20KHz)로 올려, 이러한 냄비에서도 철 냄비와 같은 정도의 발열량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냄비의 중량에 따라서 가열코일에 흐르게 하는 고주파전류를 가감하여, 냄비 들뜸이 일어나지 않은 범위의 전류치에 제한하는 제어를 하고 있다.
냄비를 사용하여 가열조리를 할 때, 냄비 안의 피가열물의 조리중의 온도가 원하는 값으로 유지되도록 온도제어를 하면, 피조리물을 태울 우려가 없어 양호한조리품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냄비에 기름을 넣어 튀김을 튀길 때 등은, 기름의 온도를 적정한 값으로 유지하는 것이 맛있는 튀김을 튀기는 데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되어 있다. 상기의 제 1 및 제 2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조리 중에 온도제어를 하는 것은 나타나 있지 않지만, 이러한 온도제어기능을 갖는 유도가열조리기도 실용화되어 있다.
상기 제 1 선행기술의 유도가열조리기에서는, 내용물을 포함하는 냄비의 중량이 소정치 이하일 때는 고주파전류가 차단되기 때문에, 비자성 냄비를 사용하는 조리를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사람 수가 적은 가정에서 소량의 식품재료를 사용하는 조리에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제 2 선행기술의 유도가열조리기에서는, 내용물을 포함하는 냄비의 중량에 따라서 가열코일의 전류를 제한하기 때문에, 소량의 식품재료를 넣은 가벼운 냄비에서는 화력이 약해져서 사용자가 바라는 가열조리를 할 수 없다.
냄비 안의 피조리물의 온도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피조리물의 온도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피조리물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통상은 냄비의 바닥면의 온도를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하고, 간접적으로 피조리물의 온도를 검출한다. 온도센서는 냄비를 두는 탑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고, 탑플레이트 위에 냄비를 두었을 때, 냄비 바닥의 온도가 탑플레이트를 통해 검출된다. 따라서, 냄비가 탑플레이트에 접하고 있는 경우에만 정상적인 온도검출이 행하여진다. 비자성체의 냄비를 사용한 경우에 혹시 냄비 들뜸이 일어나면, 냄비가 뜨거나, 탑플레이트 위를 냄비가 이동하여 정상적인 위치로부터 어긋나, 온도센서가 냄비 바닥의 온도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가 되면 , 온도센서는 온도가 낮은 것을 나타내는 검출출력을 그 제어부에 부여하여, 제어부는 더욱 온도를 올리기 위해 가열코일에 공급하는 고주파전류를 증가시킨다. 그 결과 정상적인 온도제어가 행하여지지 않게 되어, 냄비 및 피가열물의 온도가 매우 상승할 우려가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유도가열조리기의 예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있어서, 냄비 등의 피가열체(51)를 얹어 놓은 탑플레이트(52)의 아래쪽으로는 가열코일(53)이 배치설치되어 있다. 가열코일(53)은 가열코일출력조절부 (55)로부터 고주파전류가 공급되어, 피가열체(51)에 고주파교류자계를 인가하여 유도가열을 한다. 온도센서(57)는 가열코일(53)의 거의 중앙부에서 탑플레이트(52)의 하면에 접하여 설치되어, 피가열체(51)의 중앙부의 온도를 탑플레이트(52)를 통해 검출하고 있다. 온도센서(57)에 의해 검출한 피가열체(51)의 온도검출치는 온도제어부(58)에 보내어진다. 온도제어부(58)는 온도검출치가 제어목표온도와 같게 되도록 가열코일 출력조절부(55)의 동작을 제어한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7-254483호 공보(제 4-6페이지, 도 1)를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유도가열조리기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가열코일 출력조절부(55)는 상용전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입력된 상용주파수의 교류를 정류, 평활하여 직류로 변환한 후, 원하는 주파수의 고주파전류로 변환한다. 고주파전류는 가열코일(53)에 공급된다. 고주파전류가 공급된 가열코일(53)은 가열코일(53)과 자기결합한 냄비 등의 피가열체(51)에 소용돌이전류를 발생시켜, 쥴열로 피가열체(51)를 가열한다.
피가열체(51)가 유도가열되고 있을 때, 온도센서(57)는 피가열체(51)의 온도를 검출하고, 온도제어부(58)는 피가열체(51)의 온도가 제어목표온도가 되도록, 가열코일 출력조절부(55)의 출력을 제어하고 있다.
종래의 유도가열조리기에 있어서, 가열코일(53)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소용돌이형상이고, 그 안지름은 약 50mm, 바깥지름은 약 150mm이다. 가열코일(53)은 탑플레이트(52)로부터 약 3mm의 거리를 유지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의 유도가열장치에 있어서는, 온도센서(57)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따라서 온도제어부(58)가 가열코일 출력조절부(55)의 출력인, 가열코일(53)의 고주파전류치를 변화시켜 피가열체(51)의 가열출력을 제어하고 있다. 이 때 가열코일(53)자체도 발열하고 있어, 가열코일(53)의 온도도 거기에 흐르는 고주파전류치에 따라서 변화한다. 따라서, 가열코일(53)의 근방에 배치설치되어 있는 온도센서(57)의 검출온도는 피가열체(51)의 온도뿐만 아니라, 가열코일(53)자체의 온도에도 영향을 받는다. 그 때문에 온도센서(57)는 피가열체(51)가 정확한 온도를 검출할 수 없어, 온도제어에 악영향을 미치게 한다. 이것은 유도가열조리기의 경우에 있어서는 조리의 성과에 불량을 초래한다는 중대한 문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온도제어기능을 갖는 유도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알루미늄등 비자성체의 냄비를 사용하여 가열조리를 하는 경우에, 이상한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도가열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피가열체의 온도제어에 있어서, 가열코일의 자기발열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여 정밀도가 높은 온도제어를 할 수 있는 사용하기에 뛰어난 유도가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의 조작부(12)의 조작면의 평면도.
도 3은 재질검출부의 알려진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전류전압특성곡선의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의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의 조작부(22)의 조작면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종래의 유도가열조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냄비 4 : 유도가열코일
7 : 온도센서 8 : 냄비 들뜸 검출기
9 : 재질검출부 10 : 제어부
11 : 인버터부 12 : 조작부
12A: 온도제어선택스위치 12B : 온도설정스위치
12C : 가열개시스위치 14 : 표시부
15 : 피가열체 온도제어부 18 : 온도설정부
20 : 탑플레이트 24 : 제 1 가열코일 출력설정부
26 : 제 1 가열출력조절부 27 : 제 2 가열출력조절부
28 : 제 2 가열코일 출력설정부 30 : 제 1 피가열체
31 : 제 2 피가열체 33 : 제 1 가열코일
34 : 제 2 가열코일 44 : 커런트 트랜스
45 : 전류신호 46 : 전압신호
본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경우는 온도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르는 가열출력의 제어를 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한다. 이에 따라, 피가열체가 이상한 온도상승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유도가열장치는, 피가열체를 얹어 놓은 탑플레이트와, 상기 탑플레이트의 피가열체를 얹어 놓은 측의 반대측에 설치된, 철계의 피가열체 및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를 가열 가능한 제 1 가열코일, 및 철계의 피가열체를 가열 가능하지만,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는 가열할 수 없는 제 2 가열코일을 갖는다. 유도가열장치는 또한 상기 제 1 가열코일 및 제 2 가열코일에 각각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가열코일 출력조절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도가열장치는 또한 상기 탑플레이트를 통해 피가열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피가열체의 제어목표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와 온도제어부를 갖는다. 상기 온도제어부는 온도센서와 온도설정부의 출력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열코일출력조절부의 출력을 제어하여, 피가열체의 온도를 상기 제어목표온도에대응한 온도로 제어한다. 상기 온도제어부는 상기 제 1 가열코일에 의해 가열되는 철계의 피가열체에 대해서만 동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가열코일로부터 발생하는 고주파 자속에 의해 피가열체를 유도가열한다. 제 1 가열코일은 제 2 가열코일보다도 감는 회수가 많고, 같은 가열출력에 있어서의 제 1 가열코일을 흐르는 고주파전류는 제 2 가열코일보다 적다. 따라서 제 1 가열코일의 전력손실은 제 2 가열코일보다도 낮고 발열량도 작기 때문에, 온도센서가 검지하는 피가열체의 검출치에 가열코일의 발열이 영향을 주기 어렵다. 그 때문에, 피가열체의 온도제어를 정확히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 및 철계의 피가열체를 유도가열하기 위한 가열코일, 상기 가열코일에 고주파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인버터부,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가열코일의 가열출력을 제어하는 온도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온도제어부는 상기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것을 인식한 경우에는, 상기 온도센서의 검출결과에 근거하는 온도제어를 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알루미늄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온도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행하는 가열출력의 제어를 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한다. 따라서 냄비 들뜸 등이 발생하여 온도센서로부터 정확한 검출치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냄비가 이상한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또한 피가열체의 재질을 검출하는 재질검출부를 갖고 있다. 상기 온도제어부는 상기 재질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것을 인식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온도제어부는 재질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온도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르는 가열출력의 제어를 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한다. 피가열체의 재질이 알루미늄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의 경우에는, 그 재질이 검출되어 가열출력의 제어가 정지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이 변경되어, 피가열체가 이상한 온도상승이 방지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또한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를 가열할 것인지 또는 다른 재질의 피가열체를 가열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피가열체 선택부를 갖고 있다. 상기 온도제어부는 상기 피가열체 선택부의 선택결과에 따라서,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것을 인식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피가열체가 알루미늄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인지, 또는 다른 재질의 피가열체인지를 피가열 선택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그 선택결과에 따라서, 온도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르는 온도제어의 가열출력의 제어를 정지할 것인지,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하기 때문에, 알루미늄 등의 온도제어가 적당하지 않은 피가열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상한 피가열체의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또한 피가열체가 들뜸 또는 위치어긋남을 검지하는 위치어긋남 검출부를 갖고 있다. 상기 온도제어부는 상기 위치어긋남 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것을 인식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피가열체가 들뜸 또는 위치어긋남을 검출하였을 때, 온도제어를 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한다. 따라서 피가열체의 들뜸 또는 위치어긋남이 생겼을 때의 부적절한 온도제어에 의한 피가열체의 이상한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또한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는 알림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알림부는 상기 온도제어부가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를 가열한다고 인식하고, 또한 온도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르는 가열출력의 제어를 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할 때에, 그 취지의 알림을 행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는 알림부에 의해, 온도제어부가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를 가열한다고 인식하여 온도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르는 가열출력의 제어를 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할 때는, 그 취지의 알림을 행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온도제어부의 동작상태를 알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또한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는 알림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알림부는 상기 온도제어부가 상기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것을 인식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알린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를 가열할 때, 그 취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기 때문에 사용자는 가열상태에 주의하면서 가열조리를 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냄비 등의 피가열체가 놓여지는 위치의 근방에 설치한 유도가열코일, 상기 유도가열코일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인버터부, 상기 피가열체가 자성체인지, 고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체인지를 검출하는 재질검출부를 갖는다. 상기 유도가열조리기는 또한 상기 피가열체의 상기 유도가열코일에 대한 위치어긋남을 검출하는 위치어긋남 검출기,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제어를 하기 위해서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갖는다. 상기 유도가열조리기는 또한 상기 온도센서, 상기 재질검출부 및 위치어긋남 검출부의 각 검출출력이 입력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검출출력에 따라서 피가열체의 온도제어를 하는 제어출력을 상기 인버터부에 부여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질검출부가 비자성 또한 고도전율의 피가열체를 검출하였을 때의 검출신호, 및 상기 위치어긋남 검출기가 피가열체의 위치어긋남을 검출하였을 때의 검출신호, 중 어느 한쪽의 검출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온도제어의 동작을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에 재질검출부 및 위치어긋남 검출부중 어느 한쪽의 검출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온도제어의 동작을 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한다. 따라서 온도센서가 피가열체의 온도를 정상으로 검출할 수 없는 상태로 온도제어를 하는 것에 의한, 피가열체의 이상한 온도상승을 막을 수 있다.
알루미늄 등 비자성체의 냄비를 사용하여 온도제어를 하려고 하면, 재질검출부 또는 냄비 들뜸 검출부의 검출출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온도제어기능을 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한다. 따라서 냄비 들뜸이 생겨 온도센서가 냄비의 온도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는 경우라도, 냄비의 이상한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상기 제어부가 온도제어의 동작을 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그 취지를 알리기 위한 표시를 하는 표시부를 갖는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온도제어의 동작이 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이 변경된 것을 표시부의 표시에 의해 알 수 있기 때문에, 그 이후는 수동으로 온도조절을 하여 가열조리를 계속 할 수가 있다.
온도제어기능을 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하였을 때는, 표시에 의해 그 취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사용자에 의한 수동의 온도조절을 재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도제어의 'ON', 'OFF'의 현상과 그 후의 필요수동제어에대해서 알 수 있어, 유도가열조리기를 정확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상기 피가열체가 고도전율의 비자성체일 때, 사용자가 온도제어의 동작의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부를 갖는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피가열체가 비자성체인 것을 사용자가 인식하고 있을 때는 미리 온도제어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표시나 음성에 의한 통지를 받는 일이 없다.
사용조건을 알고 있는 사용자는 미리 온도제어기능을 정지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표시메시지나 음성에 의한 통지를 받지 않아도 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장치는, 피가열체를 얹어 놓은 탑플레이트와, 상기 탑플레이트의 피가열체가 있는 측의 반대측에 설정된, 철계의 피가열체 및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를 가열 가능한 제 1 가열코일, 및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거의 동등이나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를 제외하는 피가열체 및 철계의 피가열체를 가열 가능한 제 2 가열코일을 갖는다. 상기 유도가열장치는 또한 상기 제 1 가열코일 및 제 2 가열코일에 각각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가열코일 출력조절부, 상기 탑플레이트를 통해 피가열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및 피가열체의 제어목표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를 갖는다. 상기 유도가열장치는 또한 상기 온도센서 및 온도설정부의 출력정보에 따라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제어하고, 피가열체의 온도를 상기 제어목표온도에 대응한 온도로 제어하는 온도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가열코일에 의해 가열되는 철계의 피가열체만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의 유도가열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가열코일 출력조절부가 각각의 가열코일에 고주파전류를 공급함에 의해, 가열코일로부터 발생하는 고주파자속에 의해 각각의 피가열체를 유도가열 할 수가 있다. 제 1 가열코일은 원하는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의 출력에 의해 철계의 피가열체를 원하는 온도로 가열 가능하고, 또한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도 가열 가능하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장치에서는, 상기 제 1 가열코일의 감는 회수는 상기 제 2 가열코일의 감는 회수보다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제 1 가열코일의 감는 회수를, 제 2 가열코일의 감는 회수보다 많이 함에 의해, 같은 가열출력으로 같은 재질의 피가열체를 가열할 때, 각각의 가열코일 출력조절부가 공급하는 고주파전류치는 제 1 가열코일 쪽이 제 2 가열코일보다도 적어진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장치는, 또한 제 1 가열코일과 공진체를 구성하는 콘덴서를 갖고, 상기 콘덴서의 용량을 바뀌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와 철계 재질의 피가열체를 동일한 가열코일에 의해 가열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장치는, 또한 제 1 가열코일 및 제 1 가열코일에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를,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 및 철계의 피가열체의 어느 것이나 가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장치에서는, 또는 제 2 가열코일에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제 2 가열코일 출력조절부의 정격출력이 제 1 가열코일에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의 정격출력보다도 크게 이루어지고 있다. 제 1 가열코일과 제 2 가열코일에 의해 가열되는 피가열체가 동일한 재질이면, 공급되는 고주파전류치는 제 2 가열코일에 비교해서 제 1 가열코일 쪽이 작아진다. 제 2 가열코일 출력조절부의 정격출력이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의 정격출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가열코일과 제 2 가열코일에 의해 가열되는 피가열체가 동일한 재질이면, 제 1 가열코일의 자기발열량은 제 2 가열코일의 자기발열량보다 적다. 그 때문에, 제 1 가열코일의 자기발열에 의한 열이 온도센서의 온도검출에 악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제 1 가열코일에 의한 유도가열시의 온도제어를 고정밀도로 할 수 있다. 물을 끓이거나 무엇을 구울 때 등의 높은 화력이 필요한 경우는, 큰 정격출력을 갖는 제 2 가열코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조리시간의 단축 등을 꾀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장치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가열코일은 원고리형상 또는 소용돌이형상이고, 제 1 가열코일의 안지름은 제 2 가열코일의 안지름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제 1 가열코일의 중심부분근방에 배치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가열코일은 원고리형상 또는 소용돌이형상이기 때문에, 각각의 가열코일에 의해 유도가열되는 피가열체의 온도가 같게 됨과 동시에, 가열코일에 대한 피가열체의 위치어긋남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제 1 가열코일의 안지름을 제 2 가열코일의 안지름보다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온도센서를 제 1 가열코일의 대략 중앙에 배치하였을 때, 온도센서를 제 1 가열코일의 안둘레부분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온도센서의 검출온도가 제 1 가열코일의 자기발열로부터 받는 영향을 저감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정확한 피가열체의 온도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장치에서는, 탑플레이트와 제 1 가열코일과의 거리가 탑플레이트와 제 2 가열코일과의 거리보다도 길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가열코일과 탑플레이트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의 단열층이 제 2 가열코일과 탑플레이트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의 단열층보다도 두꺼워 진다. 이 단열층은 제 1 가열코일의 자기발열에 의한 열이 탑플레이트 및 온도센서에 부여하는 열적영향을 저감하기 때문에, 온도센서에 의한 피가열체 온도의 고정밀도의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것에 의하여 제 1 가열코일에 의한 피가열체의 온도제어를 보다 정확히 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장치는, 복수의 가열코일이 각각 원하는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복수의 가열코일 출력조절부를 냉각하는 냉각부를 더욱 구비하고 있다. 제 1 가열코일을 냉각부에 의한 냉각조건이 가장 좋은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를 가열할 때의 제 1 가열코일 및 그 제 1 가열코일에 원하는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에 냉각부를 설치하고 있다. 냉각부는 발열량이 많은 부분을 집중적으로 냉각한다. 이에 따라, 기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냉각부의 예를 들면 냉각 팬의 냉각풍을, 제 2 가열코일보다도 제 1 가열코일에 집중적으로 대는 것에 의해, 제 1 가열코일의 자기발열에 의한 탑플레이트 및 온도센서에 대한 열적영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냉각 팬의 냉각풍이 효율적으로 닿는 위치로서는, 냉각풍량의 가장 많은 위치, 혹은, 흡기풍과 거의 같은 정도의 온도의 냉각풍이 닿는 위치 등이다. 이와 같이 냉각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제 1 가열코일의 자기발열에 의한 열이 탑플레이트 및 온도센서에 부여하는 열적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온도센서에 의해 피가열체의 온도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가열코일에 의한 피가열체의 온도제어를 보다 정확히 할 수 있다.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를, 철계 재질의 피가열체와 거의 같은 정도로 가열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용 가열코일의 감는 회수를, 철계 재질의 피가열체만을 가열하는 철용 가열코일의 감는 회수보다 많이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알루미늄용 가열코일의 자기발열을 저감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를 가열 가능한 제 1 가열코일의 감는 회수를, 철계 재질의 피가열체를 가열 가능하고 또한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 없는 제 2 가열코일의 감는 회수보다 많게 하고 있다. 가열출력, 및 피가열체의 재질이 동일하면, 가열코일 출력조절부가 공급하는고주파전류치는 감는 회수가 많은 제 1 가열코일 쪽이 제 2 가열코일보다도 적어진다. 같은 조건에 있어서는 제 1 가열코일의 자기발열량이 제 2 가열코일보다도 작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기발열량이 적은 제 1 가열코일의 근방에 있어서 피가열체온도를 검지하여 온도제어를 한다. 이에 따라, 온도제어에 대한 제 1 가열코일의 자기발열에 의한 온도의 영향을 작게 하여 정확한 피가열체의 온도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철계의 피가열체만을 가열 가능한 감는 회수가 적은 제 2 가열코일을 설치하여, 제 2 가열코일에 제 2 가열코일 출력조절부에 의해 원하는 고주파전류를 공급한다. 가열대상의 재질에 따라서 가열코일의 감는 회수를 적절히 설정함에 의해, 가열코일의 감는 회수증가에 따르는 리츠동선의 사용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가 있어, 비용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에 냉각부를 설치하여 열적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냉각한다. 이에 따라, 기기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이하, 본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 및 유도가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온도제어기능을 갖는 유도가열조리기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자체 (1)의 상부에, 내열유리판 등으로 만들어진 탑플레이트(2)가 설치되고, 사용자는가열조리를 하는 냄비(3) 등을 탑플레이트(2)의 위에 둔다. 탑플레이트(2)의 아래쪽의 상자체(1)내에, 유도가열코일(4)이 냄비(3)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어 있다. 탑플레이트(2)의 상면에는 냄비(3)를 두기 위한 소정위치가 원 등의 패턴(도시생략)으로 나타나 있다. 탑플레이트(2)의 하면에 온도센서(7), 및 냄비 들뜸 검출기(8)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센서(7)는 냄비(3)의 바닥의 온도를, 탑플레이트(2)를 통해 검출한다. 냄비 들뜸 검출기(8)는 피가열체인 냄비(3)가 탑플레이트(2)의 상면으로부터 떠오르는 현상의 '냄비 들뜸'을 검출함과 동시에, 탑플레이트(2)의 면 위를 이동하여 소정위치로부터 어긋나는 위치어긋남을 검출하는 위치어긋남 검출기능을 갖는다. 상자체(1)내에는 냄비(3)의 재질을 검출하는 재질검출부(9), 제어부(10) 및 인버터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10)에는 상기의 온도센서(7), 냄비 들뜸 검출기(8) 및 재질검출부(9)의 각 검출출력이 인가되어 있다. 상자체(1)의 사용자에게 대향하는 측면(1A)에 조작부(12)가 설치된다.
도 2는 조작부(12)의 정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12)에는 온도제어선택스위치(12A), 온도설정스위치(12B) 및 가열개시스위치(12C)가 설치되고, 각각 상기 제어부(10)에 접속되어 있다. 탑플레이트(2)의 조작부(12)의 근방에는 제어부(10)에 이어지는 표시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10)의 제어출력의 출력단은 인버터부(11)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부(11)의 출력단은 유도가열코일(4)의 단자(41, 42)에 접속되어 있다. 교류의 입력도선에 인버터부(11)의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커런트트랜스(44)(이하, CT(44)라 함)이 설치된다. CT(44)의 검출출력의 전류신호(45)가 재질검출부(9)의 한쪽의 입력단에 입력되어있다. 재질검출부(9)의 다른쪽의 입력단에는, 인버터부(11)로부터 유도가열코일 (4)로 인가되는 전압값에 대응한 전압신호(46)가 입력되어 있다. 재질검출부(9)는 상기 전류신호(45) 및 전압신호(46)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전류(I) 및 유도가열코일의 전압(V)에 따라서 냄비의 재질을 검지한다. 제어부(10) 및 인버터부(11)는 전원선(17)을 지나서, 예를 들면 AC100V의 교류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에 대해서, 이하에 동작을 설명한다. 온도센서 (7)는 예를 들면 서미스터 등의 온도검출소자를 갖고, 탑플레이트(2)의 소정위치에 냄비(3)가 놓였을 때, 냄비(3)의 바닥부의 온도를 검출한다. 제어부(10)내에는, 온도센서(7)의 검출출력에 따라서 냄비(3)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온도제어부를 갖고 있다. 냄비 들뜸 검출기(8)는 예를 들면 용량검지형 등의 근접스위치이고, 탑플레이트(2)상의 냄비 들뜸을 검출한다. 재질검출부(9)는 냄비(3)의 재질이 자성체인지 비자성체인지를 검출하는 검출기이고, 가열코일(4)의 전류와 양자사이의 전압에 따라서 나중에 설명하도록 냄비의 재질을 검출한다. 온도제어선택스위치(12A)는 사용자가 온도제어를 하는지 안 하는지를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온도설정스위치(12B)는 사용자가 가열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소정의 범위내에서 원하는 온도를 설정할 수가 있다. 가열개시스위치 (12C)는 가열의 개시종료의 조작을 하는 'ON', 'OFF'의 스위치이다. 표시부(14)는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의 동작상태를 알리는 알림부인 표시장치이다.
재질검출부(9)의 검출원리의 일례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3은 가로축에 상기의 입력전류(I)를 취하고, 세로축에 유도가열코일의 전압(V)을 취한 유도가열코일(4)의 전류전압특성곡선을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냄비(3)가 철인 경우는 곡선(A)에 나타내는 전류전압특성이 되어, 냄비(3)가 알루미늄보다 도전율이 낮고 비자성체인 스테인레스스틸(18-8SUS)인 경우는 곡선(B)에 나타내는 전류전압특성이 된다. 또한 냄비(3)가 알루미늄 등의 고도전율의 비자성체인 경우는 곡선(C)에 나타내는 전류전압특성이 된다. 도 3의 곡선(A, B 및 C)에 있어서, 같은 입력전류 (I1)에 대하여, 전압(V)은, 곡선(A)에서는 V1, 곡선(B)에서는 V2, 곡선(C)에서는 V3가 된다. 이 전압(V)의 차이를 검출함에 의해, 냄비(3)의 재질이 알루미늄 등인지, 비자성 스테인레스스틸 혹은 철계인지를 판별한다. 상기의 검출원리는 일례로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검출하더라도 좋다.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를 사용하여 가열조리를 할 때는, 우선 피조리물을 넣은 냄비(3)를, 탑플레이트(2)의 상면의 소정위치에 둔다.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를 사용하여 가열조리할 때의 동작을 도 4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미리 취급설명서 등에 의해서, 이 유도가열조리기의 「사용조건」을 알리고 있다. 그 1개의 사용조건에서는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로 온도제어선택 스위치(12A)를 'ON'으로 하여 온도제어를 할 수 있는 것은 냄비(3)로서 철, 자성체의 스테인레스스틸 등의 냄비를 사용하는 경우만이다. 다른 사용조건으로서는,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체의 냄비를 사용할 때는 온도제어선택스위치(12A)를 'OFF'로 하도록, 알게 되어 있다. 이하, 이것을 '사용조건'이라고 한다. 따라서 사용조건을 알고 있는 사용자가 비자성체의 냄비(3)를 사용할 때는, 온도제어선택스위치(12A)를 'OFF'로 한 상태에서 가열개시스위치(12C)를 'ON'으로 하여 가열을 시작한다(도 4의 스텝S0). 이 경우 온도의 조절은 도시를 생략한 터치스위치 등을 사용한 온도조절부에 의해 수동으로 한다(동 스텝 S5). 사용자가 철 등 자성체의 냄비(3)를 사용할 때는 온도제어선택스위치(12A)를 'ON'으로 하여 온도제어기능을 이용할 수가 있다.
상기의 사용조건을 모르는 사용자가, 온도제어를 하기 위해서, 온도제어선택 스위치(12A)를 'ON'으로 하여 비자성체의 냄비(3)를 가열하면(동 스텝 S1), 재질검출부(9)는 냄비(3)의 재질이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고도전율의 재질로 또한 비자성체인 것을 검출하여(동 스텝 S2), 검출신호를 제어부(10)에 부여한다. 그 결과, 제어부(10)는 온도제어선택스위치(12A)를 자동적으로 'OFF'로 하여 온도제어를 멈추고 수동조절로 전환한다(동 스텝 S3). 온도제어를 멈추는 것을 '제어정지'라고 한다. 이 경우 표시부(14)에는 '알루미늄냄비의 온도제어는 할 수 없습니다, 온도의 조절은 수동으로 수행하여 주세요' 등의 메시지가 표시된다(동 스텝 S4). 필요하면 음성으로라도 그 취지를 알리거나, 경보를 보내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비자성체의 냄비(3)는 온도제어를 할 수 없는 것을 알기 때문에, 이후는 수동으로 온도조절을 하여 조리를 할 수 있다(동 스텝 S5). 제어부(10)가 온도제어선택스위치(12A)를 자동적으로 'OFF'로 하는 대신에, 온도제어의 설정온도를 내리는 등의 온도제어의 조건을 자동적으로 변경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온도제어의 조건을 바꾸는 것을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이라고 한다.
냄비(3)의 재질이 철 등이고, 비자성체인 것을 나타내는 검출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때, 즉 스텝 S2로 'No'일 때는 스텝 S6으로 진행하여, 자동온도제어를 하면서 소정의 설정조건으로 가열을 계속 한다.
재질검출부(9)가 고장 등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혹은 예기하지 않은 냄비 들뜸이 생긴 경우, 냄비 들뜸 검출기(8)가 그것을 검출한다(동 스텝 S7). 냄비 들뜸 검출기(8)가 냄비 들뜸을 검출하면, 스텝 S3으로 진행하여 냄비 들뜸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10)에 부여되어 온도제어선택스위치(12A)는 자동적으로 'OFF'이 된다. 이 때에는 '냄비 들뜸 때문에' 알루미늄냄비의 온도제어를 할 수 없는 취지의 상기의 표시나 알림을 한다(동 스텝 S4). 이 경우 온도제어선택스위치(12A)가 'OFF'가 되어, 사용자는 수동으로 온도조절을 하게 되기 때문에(동 스텝 S5), 냄비 들뜸이 생기더라도, 냄비(3)의 이상한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가 있다. 만약 냄비 들뜸 검출기(8)의 검출출력이 나오지 않을 때는, 자동온도제어를 하면서 소정의 설정조건으로 가열을 계속 한다(동 스텝 S8, S2, S6).
이상과 같이 하여, 자동온도제어를 하면서 소정의 설정조건으로 가열을 계속 하거나(동 스텝 S6), 또는 수동온도조절로 전환하여 수동조절하면서 필요한 가열을 한다(동 스텝 S5). 가열조리가 종료되면, 사용자는 가열개시스위치(12C)를 'OFF'로 하여 가열조리를 종료한다(동 스텝 S9).
본 발명에 의하면, 알루미늄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온도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행하는 가열출력의 제어를 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하기 때문에, 냄비 들뜸 등이 생겨 온도센서로부터 정확한 검출치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생기는 이상한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온도제어부는 재질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온도센서의 검출결과에 근거하는 가열출력의 제어를 정지하거나, 또는 설정조건의 변경을 한다. 즉 피가열체의 재질이 알루미늄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인 경우에는, 그 재질을 검출하여 가열출력의 제어를 정지하거나 또는 설정조건을 변경한다. 그 때문에 피가열체의 이상한 온도상승이 방지된다.
피가열체가 들뜸 또는 위치어긋남을 검출하였을 때 온도제어를 정지하거나 또는 설정조건을 변경하기 때문에, 부적절한 온도제어에 의한 피가열체의 이상한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온도제어기능을 갖는 유도가열조리기를 도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는, 도 1에 있어서의 조작부(12) 대신에, 도 5에 나타내는 조작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22)는 피가열체 선택스위치(12D)를 구비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피가열체 선택스위치(12D)는 피가열체의 재질을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피가열체선택스위치(12D)는 도 1에 나타내는 제어부 (10)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10)는 이하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인버터부(11)를 제어하는 제어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피가열체선택 스위치(12D)는 사용자가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재료로 만든 냄비(3) 등의 피가열체(이하, 알루미늄의 냄비(3)라 약기한다)를 사용하여 온도제어하면서 가열조리를 할 때에 사용하는 스위치이다. 상기와 같이, 알루미늄의 냄비(3)를 사용하여 온도제어를 하면서 가열조리를 하면, 냄비 들뜸의 냄비의 이동이 발생하여 정상으로 가열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의 냄비(3)를 사용할 때는 온도제어를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으로는 불편한 경우가 많다. 본 실시예는, 알루미늄의 냄비(3)를 사용하여 온도제어를 하더라도 안전하게 가열조리를 할 수 있는 유도가열조리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 1, 도 5 및 도 6을 사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알루미늄냄비(3)를 사용하여 온도제어를 하면서 가열조리를 할 때는, 도 5에 나타내는 조작부(22)의, 피가열체 선택스위치(12D)의 '알루미늄'으로 표시된 스위치를 눌러 선택한다(도 6의 플로차트의 스텝 S21). 또한, 온도제어선택 스위치 (12A)를 'ON'으로 하여(동 스텝 S22), 온도설정 스위치(12B)에서 원하는 온도를 설정한다. 스텝 S23에서 가열개시 스위치(12C)를 'ON'으로 하면 스텝 S24로 진행하여, 표시부(14)에 '알루미늄냄비를 사용하여 온도제어를 하고 있습니다'의 표시가 이루어진다. 스텝 S25에 있어서, 만약 냄비 들뜸 검출기(8)가 냄비 들뜸의 발생을 검출하면 스텝 S26으로 진행한다. 냄비 들뜸 검출기(8)는 그 검출출력의 레벨과 그 레벨변화에 따라서, 냄비 들뜸 상태를 검출한다. 냄비 들뜸이 발생했을 때의 상태로서는, 냄비(3)의 한 쪽이 일시적 또는 계속적으로 떠오르는 상태, 냄비(3)가 탑플레이트(2)상에서 상하로 진동하는 상태, 냄비(3)가 탑플레이트(2)상에 완전히 떠오르고 있는 상태 등 여러 가지이다.
스텝 26에서는, 냄비 들뜸 상태가 안전한 범위인지 그렇지 않은지를 미리 규정한 기준에 따라서 판정한다. 예를 들면, 냄비(3)의 일부가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상태나 작게 진동하는 상태는 안전한 범위와 규정하더라도 좋다. 냄비(3)가 탑플레이트 상에 완전히 떠오르고 있는 상태는 안전한 범위라고는 할 수 없다. 스텝 S26에서, 냄비 들뜸 상태가 안전한 범위가 아닐 때는 스텝 S27로 진행하여, 온도제어선택스위치(12A)를 자동적으로 'OFF'로 하여 온도제어를 정지하여, 수동조절로 바꾼다. 이 때, 유도가열코일의 입력전력을 약간 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냄비 들뜸 상태가 안전한 범위에 있을 때는, 스텝 S31로 진행하여, 온도설정스위치(12B)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는 온도를 자동적으로 내린다. 이 때는, 표시부(14)에 '설정온도를 5℃ 내렸습니다' 등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동 스텝 S32). 온도제어의 설정온도를 내린 경우 온도가 내려지지만 온도제어는 행하여지고 있다. 가열조리 중은 스텝 S33을 지나서 스텝 S26으로 되돌아가 냄비 들뜸 상태가 안전한 범위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 S27에서 수동조절로 전환되었을 때는, 표시부(14)에 '온도조절은 수동으로 수행하여 주세요'의 표시를 한다(동 스텝 S28). 사용자는 이 표시에 의해 온도제어가 행하여져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하고, 이후는 수동으로 온도조절을 한다(동 스텝 S29). 가열조리가 종료하면 스텝 S3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에 있어서 사용자는, 가열개시스위치(12C)를 'OFF'로 하여 가열조리를 종료한다. 스텝 S24, S28, S32에 있어서의 표시는 문자 또는 음성에 의한 보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하면 차임벨 등으로 경보음을 발하더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알루미늄의 냄비(3)를 사용한 경우라도 안전히 온도제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도가열조리기를 사용하는 조리의 범위가 넓어진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냄비의 재질은 알루미늄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지만, 알루미늄과 같은 정도나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체 재질이면 동일한 효과가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이들의 재질과 다른 재질을 조합한 냄비이더라도, 유도가열을 하는 데에 있어서, 냄비자체의 특성으로서 알루미늄과 같은 특성을 갖는 냄비이면 동일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피가열체가 알루미늄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가열체인지, 또는 다른 재질의 피가열체인지를 피가열선택스위치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그 선택결과에 따라서, 온도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르는 온도제어의 가열출력의 제어를 정지하거나, 또는 설정온도를 내려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하기 때문에, 알루미늄 등의 온도제어가 알맞지 않은 피가열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상한 피가열체의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제 3 실시예의 유도가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 등의 유도가열장치는 평판형상의 내열 세라믹재 등의 절연성의 판으로 형성된 탑플레이트(20)의 위에 2종류의 냄비형상의 제 1 및 제 2 피가열체(30, 31)가 얹어 놓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1 피가열체(30)는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피가열체의 일례인 알루미늄제 냄비이다. 제 2 피가열체(31)는 철계의 재료로 형성된 피가열체의 일례의 철제냄비이다.
탑플레이트(20)의 아래쪽에는 2개의 가열코일(33, 34)이 배치되어 있다. 우측의 제 1 가열코일(33)에는 제 1 가열코일출력조절부(26)(제 1 인버터회로)부터 원하는 고주파전류가 공급된다. 제 1 가열코일(33)은 탑플레이트(20)상에 얹어 놓여지는 냄비 등의 피가열체에 고주파 교대자계를 전압을 가하여 유도가열을 한다. 좌측의 제 2 가열코일(34)은 제 2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7)(제 2 인버터회로)로부터 원하는 고주파전류가 공급된다. 제 2 가열코일(34)은 탑플레이트(20)의 위에 얹어 놓여지는 냄비 등의 피가열체(31)에 고주파 교대자계를 전압을 가하여 유도가열을 한다. 제 1 및 제 2 가열코일(33, 34)은 각각 가느다란 소선(素線)을 묶어 서로 꼬아, 그것을 더욱 꼰 리츠선을 평판형상이고 또한 소용돌이형상으로 두루 감아 형성한 것으로, 각각이 원고리형상을 갖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플레이트(20)의 이면의 제 1 가열코일(33)의 대략 중심축상에 온도센서(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온도센서(7)를 탑플레이트(20)에 고착된 도시를 생략한 홀더내에 서미스터를 끼워 넣어, 서미스터와 탑플레이트 (20)가 확실히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온도센서(7)에 의해 탑플레이트(20)를 통해 검지된 제 1 가열코일(30)상의 피가열체의 온도정보는 피가열체 온도제어부 (15)로 보내어진다.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장치에 있어서는, 제 1 가열코일(33)에 의해 가열할 수 있는 피가열체는 제 1 피가열체(30)또는 제 2 피가열체(31)이다. 도전율이 낮고 투자율이 높은 철냄비와, 도전율이 높고 투자율이 낮은 알루미늄냄비나 구리냄비 등을 각각에 알맞은 조건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제 1 가열코일(33)에 공급하는 고주파전류의 주파수를 피가열체의 재질에 따라서 전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 냄비인 제 1 피가열체(30)가 얹어 놓여졌을 때에는, 제 1 가열코일 (33)에 약 63KHz의 고주파전류가 공급된다. 철제냄비인 제 2 피가열체 (31)가 얹어 놓여졌을 때에는 약23KHz의 고주파전류가 제 1 가열코일(33)에 공급된다. 이 선택은 사용자가 피가열체 선택부(19)에 의해서 한다.
제 1 가열코일(33)에 의해 철제냄비인 제 2 피가열체(31)를 가열할 때는, 원하는 온도를 온도설정부(18)로 설정한다. 피가열체 온도제어부(15)는 탑플레이트 (20)를 통해 검지된 제 2 피가열체(31)의 온도가 온도설정부(18)에 의해 설정된 제어목표온도와 같게 되도록,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6)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 1 가열코일(33)에 의해 제 1 피가열체(30)를 가열하는 것을 피가열체선택부(19)에 의해 선택한 경우에는, 제 1 가열코일 출력설정부(24)에 의해 제 1 가열코일(33)의 출력이 설정된다. 그 설정치에 따라서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6)의 동작이 제어된다.
제 2 가열코일(34)은 철제냄비인 제 2 피가열체(31)는 가열할 수 있지만,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30)는 가열할 수 없는 정도의 소형의 것이다.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장치에 있어서는, 제 2 가열코일(34)에 의해 제 2 피가열체(31)를 가열할 때, 제 2 가열코일 출력설정부 (28)에 의해 제 2 가열코일(34)의 출력을 설정한다. 그 설정에 따라 제 2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7)가 가열코일(34)의 가열출력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장치에는, 냉각부인 냉각팬(1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냉각팬(17)에 의한 냉각풍은 제 1 가열코일(33),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6), 제 2 가열코일(34), 제 2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7)를 강제냉각하고 있다. 냉각 팬 (17)은 특히 제 1 가열코일(33) 및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6)에 많은 바람을 쬐어 강하게 냉각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굵은 화살표(17A)는 냉각 팬(17)으로부터의 강한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고, 가는 화살표(17B)는 약한 바람의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장치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6)는 상용전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입력된 상용주파수의 교류를 정류, 평활하여 직류로 변환한 후, 더욱 원하는 주파수의 고주파전류로 변환하여, 제 1 가열코일(33)에 그 고주파전류를 공급한다. 고주파전류가 공급되는 제 1 가열코일(33)은 이 제 1 가열코일(33)과 자기결합한 냄비 등의 피가열체에 소용돌이전류를 발생시킨다. 소용돌이전류에 의해 쥴열이 발생하여 피가열체를 유도가열한다.
마찬가지로, 제 2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7)는 상용전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입력된 상용주파수의 교류를 정류, 평활하여 직류에 변환한 후, 더욱 원하는 주파수의 고주파전류로 변환하여, 제 2 가열코일(34)에 그 고주파전류를 공급한다. 고주파전류가 공급되는 제 2 가열코일(34)은 이 제 2 가열코일(34)과 자기결합한냄비 등의 피가열체에 소용돌이전류를 발생시킨다. 소용돌이전류에 의해 쥴열이 발생하여 피가열체를 유도가열한다.
우선 제 1 가열코일(33)에 의해 철제냄비인 제 2 피가열체(31)를 가열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가열체 선택부(19)에 의해 철제냄비인 제 2 피가열체(31)를 가열하는 것을 선택하여, 제 2 피가열체(31)의 가열온도를 설정한다. 가열온도가 설정되면, 제 1 가열코일(33)에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6)로부터 고주파전류가 공급되어, 제 2 피가열체(31)는 유도가열된다.
이 때, 온도센서(7)의 서미스터가 제 2 피가열체(31)의 온도를 탑플레이트 (20)를 통해 검출한다. 피가열체 온도제어부(15)는 온도센서(7)가 검출한 온도정보에 따라,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6)에 대하여 제어신호를 부여하고, 제 1 가열코일(33)에 공급해야 할 고주파전류를 제어한다. 이 때, 피가열체온도제어부 (15)는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6)를 제어하고, 제 1 가열코일(33)에 공급해야 할 고주파전류를 원하는 값으로 하여, 제 2 피가열체(31)로의 가열출력을 변화시켜 조절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도가열되고 있는 제 2 피가열체(31)의 온도는 사용자가 온도설정부(18)에서 설정한 제어목표온도가 된다.
다음에, 제 1 가열코일(33)에 의해 알루미늄제 냄비인 제 1 피가열체(30)를 가열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피가열체 선택부(19)에 의해 제 1 피가열체(30)를 가열하는 것을 선택하면, 제 1 가열코일 출력설정부(24)에 의해 제 1 가열코일(33)의 출력이 설정된다. 제 1 가열코일(33)의 출력이 설정되면, 제 1 가열코일(33)에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6)로부터 고주파전류가 공급되어, 제 1 피가열체(30)는 유도가열된다.
이 때, 제 1 피가열체(30)는 사용자가 제 1 가열코일 출력설정부(24)로 설정한 출력에 의해 가열되고 있다.
제 3 실시예의 유도가열장치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제 1 가열코일(33)의 감는 회수는 피가열체의 재질이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경우에도 충분한 가열화력을 얻을 수 있도록, 또한 제 1 가열코일(33)의 자기발열을 저감하기 위해서, 제 2 가열코일(34)의 감는 회수보다 많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6)가 공급하는 고주파전류치를 저감하고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제 1 가열코일(33)이 감는 회수는 43턴이고, 제 2 가열코일(4)이 감는 회수는 25턴이다. 제 1 가열코일 (33)은 지름이 0.05mm인 소선(구리선)을 1620가닥 묶은 3.2㎟의 단면적의 리츠선을 사용하고 있고, 제 2 가열코일(34)은 지름이 0.3mm인 소선(구리선)을 40가닥 묶은 2.8㎟의 단면적의 리츠선을 사용하고 있다.
어느 가열코일에 의해 같은 재질의 피가열체를 같은 가열출력으로 가열하는 경우, 피가열체에 주어지는 전력은 그 가열코일에 흐르는 고주파전류와 가열코일이 감는 회수와의 곱의 2승에 비례한다. 본 실시예로서는, 제 1 가열코일(33)이 감는 회수가 제 2 가열코일(34)이 감는 회수의 약 1.7배로 많기 때문에, 제 1 가열코일 (33)에 흐르는 고주파전류치는 제 2 가열코일(34)에 흐르는 고주파전류치의 대략 절반이다. 이 때문에, 제 1 가열코일(33)이 감는 회수가 제 2 가열코일 (34)보다많은 것에 의한 저항분의 증가를 포함해도, 제 1 가열코일(33)의 자기발열량은 제 2 가열코일(34)의 자기발열량보다도 작다.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장치에서는, 자기발열량이 작은 제 1 가열코일(33)에 있어서 철계의 피가열체인 제 2 피가열체(31)를 가열할 때는 온도제어를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가열코일(33)의 자기발열이 적어져서, 제 2 피가열체 (31)의 온도제어를 정확히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2개의 제 1 및 제 2 가열코일(33, 34)을 갖는 유도가열장치에 있어서는, 철계의 피가열체만을 가열할 수가 있지만,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대략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제 1 피가열체(30)를 가열할 수 없는 제 2 가열코일(34) 및 제 2 가열코일 출력조절부인 제 2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7)를 설치하고 있다. 이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제 1 피가열체(3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코일(33)은 감는 회수가 많다. 제 2 가열코일(34)을, 제 1 가열체(30)와 철계의 제 2 피가열체(31)의 양쪽을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코일(33)과 같은 감는 회수로 하면, 사용기회가 적은 알루미늄냄비 등 때문에 감는 회수가 많은 가열코일(33)을 2개나 설치하게 되어 낭비가 많게 된다. 이 낭비를 생략하여, 가열코일의 감는 회수의 증가에 의한 리츠선의 사용량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열코일(33)만이 감는 회수를 많게 하고 있다. 제 1 피가열체(31)를 가열할 때는, 제 1 가열코일(33) 및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6)를 사용하도록 구성하여, 열출력이 높은 부분을 제 1 가열코일(33)에 한정하고 있다. 즉, 높은 온도가 되는 영역을 한정하여, 그곳을 집중적으로 냉각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기의 비용상승의 억제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장치에 있어서는, 제 1 가열코일(3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6)의 최대출력이 2kW이고, 제 2 가열코일(3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7)의 최대출력도 2kW이다. 각각의 최대출력은 바깥지름으로부터 200mm 이상의 큰 철냄비를 사용할 때에 필요한 출력이다.
또, 제 2 가열코일(34)의 최대출력은 3kW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피가열체에 대한 고정밀도인 온도제어가 필요한 제 1 가열코일 (33)에 있어서는 자기발열을 증가시키지 않고 정확한 온도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물을 끓이거나 무엇을 구울 때 등에 있어서 더욱 높은 화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최대출력이 큰 제 2 가열코일(34) 및 제 2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7)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구성의 유도가열장치에 의해 조리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을 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각 가열코일(33, 34)의 형상은 코일선을 평면형상에 감은 소용돌이 형상이다. 제 1 가열코일(33)의 안지름은 제 2 가열코일(34)의 안지름보다도 크게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 1 가열코일(33)의 안지름(R1)은 약 80mm이고, 제 2 가열코일(34)의 안지름(R1)은 약 50mm이다.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장치에 있어서는, 온도센서(7)를 제 1 가열코일(33)의 대략 중심선상에서, 탑플레이트(20)의 이면에 접촉하도록 배설하고 있다. 온도센서(7)는 제 1 가열코일(33)에서 유도가열되는 피가열체(30 또는 31)의 온도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제 1 가열코일(33)의 자기발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제 1 가열코일(33)의 안둘레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가열코일(33)에 대하여 피가열체(30 또는 31)가 다소 어긋난 위치에 얹어 놓여졌다고 하더라도, 온도센서(7)는 피가열체의 위치어긋남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히 피가열체(30 또는 31)의 온도를 검출할 수가 있다.
제 1 가열코일(33)과 탑플레이트(20)와의 사이의 거리(L1)는, 제 2 가열코일 (34)과 탑플레이트(20)와의 사이의 거리(L2)보다 길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제 1 가열코일(33)은 제 2 가열코일(34)보다 탑플레이트(20)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제 1 가열코일(33)과 탑플레이트(20)의 하면까지의 수직방향의 거리(L1)는 약 7mm이다. 한편, 제 2 가열코일(34)과 탑플레이트(20)의 하면까지의 수직방향의 거리(L2)는 약 4mm이다. 도 7에 있어서, 이들의 거리(L1, L2)는 과장하여 기재하고 있다. 가령 제 2 가열코일(34)의 중심선상의 탑플레이트 (20)의 이면에 같은 온도센서(7A)를 설치한 경우에 관해서 검토하여 본다. 제 1 가열코일(33)과 온도센서(7)와의 사이의 거리는 제 2 가열코일(34)과 온도센서(7A)와의 사이의 거리보다 수직방향에서 약 3mm 길어진다. 제 1 가열코일(33)의 안지름(R1)이 약 80mm, 제 2 가열코일(34)의 안지름(R2)가 약 50mm 이기 때문에, 온도센서(7)로부터 제 1 가열코일(33)의 안둘레까지의 실질적인 직선거리는 온도센서 (7A)로부터 제 2 가열코일(34)의 안둘레까지의 실질적인 거리에 비교해서 약 15mm 길어진다.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가열코일(33)과 온도센서(7)와의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하여 공간을 형성한다. 이 공간에는 단열층으로서의 공기층이 있기 때문에, 온도센서(7)가 검출온도에 주는 제 1 가열코일(33)의 자기발열의 영향을 저감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제 1 가열코일(33)에 의한 피가열체에 대한 온도제어를 고정밀도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장치에 있어서는, 제 1 가열코일(33)에 대하여 냉각 팬(17)의 냉각풍이 가장 강하게 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냉각 팬(17)을, 장치의 외부에서 공기를 집어 넣도록 구성하여, 넣은 공기의 온도와 대략 같은 정도의 온도의 냉각풍이 제 1 가열코일(33)에 닿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가열코일(33)의 자기발열에 의한 열이 탑플레이트(20) 및 온도센서(7)에 주는 열적영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온도센서(7)는 피가열체(30 또는 31)의 온도를 정확히 검출할 수가 있어, 제 1 가열코일(33)에 의한 피가열체(30 또는 31)의 온도제어를 고정밀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장치에 있어서는, 제 1 가열코일(33)과 공진체를 구성하는 콘덴서회로(16)를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6)에 설치하고 있다. 콘덴서회로(16)는 콘덴서(16A와 16B)를 스위치(16C)를 사용하여 병렬로 접속하여 용량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가열체 선택부(10)의 선택결과가, 제 2 피가열체 (31)인 경우에는, 제 1 피가열체(30)의 경우에 비교해서, 콘덴서회로(16)의 용량을 크게 하도록 스위치(16C)를 전환한다. 이 전환에 의해 제 2 피가열체(31) 또는 제1 피가열체(30)를 제 1 가열코일(33)에 의해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제 1 가열코일(33) 및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6), 제 2 가열코일(34) 및 제 2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7)의 2조의 가열부를 갖는 유도가열장치의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상황에 따라서 더욱 많은 가열부를 갖는 가열유도장치에 있어서도,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8)

  1.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거의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3) 및 철계의 피가열체(3)를 유도가열하기 위한 가열코일(4),
    상기 유도가열코일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인버터부(11),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7), 및
    상기 온도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가열코일의 가열출력을 가감하여 온도제어를 하는 온도제어부(10)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제어부는 상기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거의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3)를 가열하는 것을 인식한 경우에는 상기 온도센서(7)의 검출결과에 따르는 온도제어를 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하도록 한 유도가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피가열체의 재질을 검출하는 재질검출부(9)를 더욱 갖고, 상기 온도제어부(10)는 상기 재질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거의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것을 인식하도록 한 유도가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거의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를 가열할 것인지 또는 다른 재질의 피가열체를 가열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피가열체 선택부(l2D)를 더욱 갖고, 상기 온도제어부(10)는 상기 피가열체 선택부의 선택결과에 따라서,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거의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것을 인식하도록 한 유도가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피가열체가 들뜸 또는 위치어긋남을 검지하는 위치어긋남 검출부(8)를 더욱 갖고, 상기 온도제어부(10)는 상기 위치어긋남 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거의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3)를 가열하는 것을 인식하도록 한 유도가열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는 알림부(14)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알림부는 온도제어부가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거의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것을 인식하고, 또한 온도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르는 가열출력의 제어를 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할 때에, 그 취지의 알림을 행하도록 한 유도가열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는 알림부(14)를 구비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온도제어부가 상기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거의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의 피가열체를 가열한다고 인식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알리도록 한 유도가열장치.
  7. 냄비 등의 피가열체가 놓여지는 위치의 근방에 설치한 유도가열코일(4),
    상기 유도가열코일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인버터부(11),
    상기 피가열체가 자성체인지, 고도전율을 갖는 비자성체인지를 검출하는 재질검출부(9),
    상기 피가열체의 상기 유도가열코일에 대한 위치어긋남을 검출하는 위치어긋남 검출기(8),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제어를 하기 위해서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7), 및
    상기 온도센서(7), 상기 재질검출부 및 위치어긋남 검출부(8)의 각 검출출력이 입력되어, 상기 온도센서의 검출출력에 따라서 피가열체의 온도제어의 동작을 하는 제어출력을 상기 인버터부에 부여함과 동시에, 상기 재질검출부가 비자성 또는 고도전율의 피가열체를 검출하였을 때의 검출신호 또는 상기 위치어긋남 검출기가 피가열체의 위치어긋남을 검출하였을 때의 검출신호, 중 어느 한쪽의 검출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온도제어의 동작을 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하는 제어부(10)를 갖는 유도가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온도제어의 동작을 정지하거나, 또는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을 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그 취지를 알리기 위한 알림을 행하는알림부(14)를 갖는 유도가열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열체가 고도전율의 비자성체일 때, 사용자가 온도제어의 동작의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부(12A)를 갖는 유도가열장치.
  10. 제 1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온도제어의 조건변경은 설정온도의 저감인 유도가열장치.
  11. 피가열체를 얹어 놓은 탑플레이트(20),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기 피가열체를 얹어 놓은 측과 반대의 측에 설치한, 철계의 피가열체 및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거의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를 가열 가능한 제 1 가열코일(33),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를 제외하는 피가열체 및 철계의 피가열체를 가열 가능한 제 2 가열코일(34),
    상기 제 1 가열코일 및 상기 제 2 가열코일에 각각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6) 및 제 2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7),
    상기 탑플레이트를 통해 피가열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7),
    피가열체의 제어목표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18), 및
    상기 온도설정부의 출력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출력조절부의 출력을 제어하여 피가열체의 온도를 상기 제어목표온도에 대응한 온도로 제어하는 온도제어부(15)를 갖고,
    상기 온도제어부(15)는 상기 제 1 가열코일(33)에 의해 철계의 피가열체를 가열할 때만 동작하도록 구성한 유도가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열코일(33)은 상기 제 2 가열코일(34)보다도 감는 회수가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조절부에 접속된 상기 제 1 가열코일과 공진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콘덴서(16A, 16B) 및 상기 복수의 콘덴서의 용량을 바꾸는 전환부(16C)를 갖는 유도가열장치.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열코일(33)에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상기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6)는 알루미늄의 도전율과 거의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피가열체 및 철계의 피가열체의 어느 것이라도 가열 가능하게 구성된 유도가열장치.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열코일(34)에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상기 제 2 가열코일 출력조절부(27)의 정격출력은 상기 제 1 가열코일에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상기 제 1 가열코일 출력조절부의 정격출력보다도 크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장치.
  16.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열코일은 원고리형상 또는 소용돌이형상이고, 상기 제 1 가열코일의 안지름이 상기 제 2 가열코일의 안지름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도센서를 상기 제 1 가열코일의 중심부근방에 배치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장치.
  17.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탑플레이트(20)와 상기 제 1 가열코일(26)과의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탑플레이트(20)와 상기 제 2 가열코일(34)과의 사이의 거리(L2)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장치.
  18.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열코일의 각각에 원하는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복수의 가열코일 출력조절부를 냉각하는 냉각부(17)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열코일을 상기 냉각부에 의한 냉각효과가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장치.
KR10-2003-0017758A 2002-03-22 2003-03-21 유도가열장치 KR100470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80824A JP3746721B2 (ja) 2002-03-22 2002-03-22 誘導加熱調理器
JPJP-P-2002-00080824 2002-03-22
JP2002302296A JP3741680B2 (ja) 2002-10-16 2002-10-16 誘導加熱装置
JPJP-P-2002-00302296 2002-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436A KR20030076436A (ko) 2003-09-26
KR100470289B1 true KR100470289B1 (ko) 2005-02-05

Family

ID=2779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758A KR100470289B1 (ko) 2002-03-22 2003-03-21 유도가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94255B2 (ko)
EP (3) EP1347669B1 (ko)
KR (1) KR100470289B1 (ko)
CN (1) CN1247048C (ko)
DE (1) DE60331202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490B1 (ko) * 2018-01-12 2018-05-23 주식회사 아미크론 용기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인덕션레인지
KR102386128B1 (ko) * 2020-12-29 2022-04-14 주식회사 엔씨엠 조리음기능을 탑재한 전기레인지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7599A1 (fr) * 2002-03-12 2003-09-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de chauffage par induction
KR100529925B1 (ko) 2003-10-27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 전기밥솥 및 그 동작방법
JP2005203211A (ja) * 2004-01-15 2005-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加熱調理器
JP4892872B2 (ja) 2005-05-27 2012-03-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ES2289872B1 (es) * 2005-06-08 2008-09-16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Dispositivo para calentamiento inductivo de un elemento calentador.
JP4793002B2 (ja) * 2006-02-07 2011-10-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EP1988751B1 (en) * 2006-02-21 2014-08-27 Panasonic Corporation Induction heating cooker
WO2007124008A2 (en) 2006-04-21 2007-11-01 Ameritherm, Inc. Rf induction heating container of food
US7681342B2 (en) * 2006-05-05 2010-03-23 Lung Wai Choi Induction iro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70267398A1 (en) * 2006-05-16 2007-11-22 Mccoy Anne Induction Heating of Footwear and Apparel
KR100829183B1 (ko) * 2006-06-19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가열장치
FR2903564B1 (fr) * 2006-07-06 2011-07-01 Seb Sa Plaque de cuisson permettant la detection de la temperature d'un article culinaire
FR2903290B1 (fr) * 2006-07-06 2010-12-10 Seb Sa Article culinaire permettant la detection de sa temperature par une plaque de cuisson
US7804045B2 (en) * 2006-08-28 2010-09-28 Ameritherm, Inc. Portable food heater
JP5070845B2 (ja) * 2007-01-16 2012-1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20080068775A (ko) * 2007-01-20 2008-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용기센서와 이를 갖는 발열유닛 및 그 발열유닛을 갖는조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ES2629443T3 (es) * 2008-02-19 2017-08-09 Panasonic Corporation Dispositivos de cocción por calentamiento por inducción
ATE547920T1 (de) * 2008-06-05 2012-03-15 Electrolux Home Prod Corp Garvorrichtung für einen garbehälter
US20100064901A1 (en) * 2008-09-15 2010-03-18 Thermal Solutions, Inc. Rotating induction food warming device
US20100147832A1 (en) * 2008-12-16 2010-06-17 Barker Iii Charles R Induction cookware identifying
ES2352772B1 (es) * 2008-12-19 2012-01-26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Campo de cocción con varios elementos de calentamiento y al menos un grupo constructivo de la electrónica de potencia.
CN102450096A (zh) * 2009-06-01 2012-05-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感应加热烹调器
US8420986B2 (en) * 2010-03-09 2013-04-16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Frequency-modulated electric element control
JP5828084B2 (ja) * 2010-06-25 2015-1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KR101513698B1 (ko) * 2010-07-28 2015-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온도센서 및 이를 갖는 유도가열조리기
EP2442034B1 (en) * 2010-10-14 2012-12-0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cooking hob with a balance system and a method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a cooking vessel
WO2012075092A2 (en) 2010-11-30 2012-06-07 Bose Corporation Induction cooking
US9585202B2 (en) 2011-05-20 2017-02-28 Cooktek Induction Systems, Llc Induction-based food holding/warming system and method
TWI491316B (zh) * 2012-08-27 2015-07-01 國立成功大學 高周波加熱裝置及其頻率控制方法
WO2014068647A1 (ja) * 2012-10-30 2014-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US20160014849A1 (en) * 2013-01-14 2016-01-14 Breville Pty Limited Multi Cooker
US9470423B2 (en) 2013-12-02 2016-10-18 Bose Corporation Cooktop power control system
US9967924B2 (en) * 2014-02-25 2018-05-08 James Heczko Package for storing consumable product, induction heating apparatus for heating package and system including same
NL2013503B1 (en) * 2014-09-19 2016-09-29 Intell Properties B V Induction cooking pan with temperature measurement.
CN106658793A (zh) * 2015-11-02 2017-05-10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烹饪装置
US10356853B2 (en) 2016-08-29 2019-07-16 Cooktek Induction Systems, Llc Infrared temperature sensing in induction cooking systems
CN110312335A (zh) * 2018-03-20 2019-10-0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锅具材质检测电路、烹饪器具以及检测锅具材质的方法
CN109210583B (zh) * 2018-06-15 2020-06-30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以及烹饪套装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43894B2 (en) * 1982-09-13 1985-05-09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apparatus
JPS61128492A (ja) 1984-11-26 1986-06-16 株式会社東芝 誘導加熱調理器
JPH0612699B2 (ja) * 1985-11-27 1994-02-16 株式会社東芝 誘導加熱調理器
JPS62276787A (ja) 1986-01-31 1987-12-01 株式会社東芝 誘導加熱調理器
US4820891A (en) * 1986-11-29 1989-04-11 Kabushiki Kaisha Toshiba Induction heated cooking apparatus
US5643485A (en) * 1988-04-15 1997-07-01 Midwest Research Institute Cooking utensil with improved heat retention
EP0458977B1 (en) * 1989-12-14 1995-08-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oker
US5150272A (en) * 1990-03-06 1992-09-22 Intersonics Incorporated Stabilized electromagnetic levitator and method
JP2976798B2 (ja) 1994-03-14 1999-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の制御装置
US5889813A (en) * 1995-08-25 1999-03-30 Fuji Electric Co., Ltd Levitation melting furnace
DE19603845B4 (de) * 1996-02-05 2010-07-22 E.G.O. Elektro-Gerätebau GmbH Elektrischer Strahlungsheizkörper mit einem aktiven Sensor zur Kochgefäßerkennung
US5887018A (en) * 1996-07-09 1999-03-23 Wm. Marsh Rice University Longitudinal electromagnetic levitator
NO312446B1 (no) * 1997-09-24 2002-05-13 Mitsubishi Heavy Ind Ltd Automatisk plateböyingssystem med bruk av höyfrekvent induksjonsoppvarming
US6316753B2 (en) * 1998-05-19 2001-11-13 Thermal Solutions, Inc. Induction heating, temperature self-regulating
US6232585B1 (en) * 1998-05-19 2001-05-15 Thermal Solutions, Inc. Temperature self-regulating food delivery system
US6384387B1 (en) * 2000-02-15 2002-05-07 Vestur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ed food delive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490B1 (ko) * 2018-01-12 2018-05-23 주식회사 아미크론 용기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인덕션레인지
KR102386128B1 (ko) * 2020-12-29 2022-04-14 주식회사 엔씨엠 조리음기능을 탑재한 전기레인지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3599A3 (en) 2008-07-16
US6894255B2 (en) 2005-05-17
KR20030076436A (ko) 2003-09-26
EP1933599B1 (en) 2012-05-30
EP1347669A2 (en) 2003-09-24
DE60331202D1 (de) 2010-03-25
EP1933600A3 (en) 2008-07-16
CN1247048C (zh) 2006-03-22
EP1933599A2 (en) 2008-06-18
US20030178416A1 (en) 2003-09-25
EP1347669B1 (en) 2010-02-10
EP1933600A2 (en) 2008-06-18
EP1347669A3 (en) 2006-03-29
CN1447627A (zh)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0289B1 (ko) 유도가열장치
JP6038345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688736B1 (ko) 유도가열장치
JP4800345B2 (ja) 誘導加熱調理器
WO2013137287A1 (ja) 誘導加熱調理器
WO2015059801A1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8293888A (ja) 誘導加熱調理器
JP4001610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8181892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0108796A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130161317A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287702A (ja) 誘導加熱調理器
JP3746721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834482B2 (ja) 加熱調理器
KR102183722B1 (ko) 유도가열 조리기의 워킹코일 과열 제어시스템 및 방법
JP2006228543A (ja) 誘導加熱装置
JP3746042B2 (ja) 誘導加熱装置
JP5050791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4151494B2 (ja) 誘導加熱装置
JP2009093833A (ja) 誘導加熱調理器
JP4854268B2 (ja) 加熱調理器
JP4110051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1249187A (ja) 電磁調理器
KR102040390B1 (ko) 유도 가열 기기의 온도 설정 장치
JP2003017235A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