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394B1 - 합성수지제중공보드의융착방법및그방법에의해얻어지는중공보드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중공보드의융착방법및그방법에의해얻어지는중공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394B1
KR100467394B1 KR1019970704759A KR19970704759A KR100467394B1 KR 100467394 B1 KR100467394 B1 KR 100467394B1 KR 1019970704759 A KR1019970704759 A KR 1019970704759A KR 19970704759 A KR19970704759 A KR 19970704759A KR 100467394 B1 KR100467394 B1 KR 100467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usion
oscillation
workpiece support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1370A (ko
Inventor
쯔요시 사이토우
켄지로 하기와라
히사시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유니테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키시모토 상교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101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2309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349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74688A/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테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키시모토 상교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유니테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1998070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를 평행을 이루는 다수의 웨브를 통해 연결한 열가소성 합성수지 일체 압출 보드를 접합하기 위해 초음파 융착 장치가 이용된다.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를 선형 또는 면형으로 서로 융착하기 위해서는 제 1 시트 면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가 접촉되고, 제 2 시트면에 작업물 지지부가 접촉되어 보드는 발진부와 작업물 지지부 사이에서 눌려진다. 보드끼리를 접합하려면 양 보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합시켜 양 보드의 양측에서 발진부와 작업물 지지부를 누르면서 초음파를 발진시킨다. 초음파는 보드에 내부 진동을 일으켜 진동에 의한 마찰에 의해 내부에서 발열이 생기고, 용융과 억압력에 의해 융착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합성 수지제 중동보드의 융착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중공보드
본발명은 대향하는 평행한 2장의 시트를 다수의 리브를 그들 사이에 개재시켜서 일체로 성형한 열 가소성 합성수지제 중공보드의 융착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중공 보드에 관한 것이다.
대향하는 평행한 2장의 시트 사이에 양 시트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리브를 개재시킨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중공 보드는 상자 등의 포장구, 칸막이, 벽 등의 건축재, 그외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제 중공 보드는 그 리브 방향으로 압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통상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고 있고, 종래부터 이용되어 온 파형판 재료에 비해 강도 및 내구성에서 뛰어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중공 보드는 리브에 평행을 이루는 측연(side edge) 및 리브에 직교하는 단연(end edge)이 외부에 대해 개구하고 있으므로 보드의 중공 내부에 먼지나 잡균 등의 이물이 들어오기 쉽고, 또 이 중공 내부의 더러움은 세정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결점이 있어서 위생 기준이 엄격한 식품이나 의료품, 화장품 등의 포장 상자의 재료로는 사용할 수 없었다.
또, 이러한 중공 보드를 포장재로 사용할 경우에는 판 면에 홈이나 요면을 형성하거나 접음선이나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가공이 필요하다. 이들 가공으로는 종래 프레스 가공이나 열판을 압접해서 가공하는 것이 수행되었지만, 프레스 가공에 의한 접음선은 접힘 부분이 얕고 반발력이 너무 강해서 상자로 조립할 때나 조립한 후에 여러가지 트러블이 발생한다. 또, 프레스 가공에 의한 펀칭 개구부의 형성은 개구부 둘레를 개방하므로 중공 내부에 먼지 등의 불순물이 들어와 버린다. 그리고, 열판을 사용하는 상기의 가공은 열판 측면에서 압접부 양측의 양면 시트를 녹여 버리므로 보드에 다수의 홀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중공 보드끼리 또는 중공 보드와 프레임 등 다른 부품을 접합하는 수단으로는 종래 스테이플 접합, 리벳 접합, 점착 테이프 접합, 접착제에 의한 접합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이들 접합 방법은 종이질 파형판에 이용되어 온 방법으로, 합성수지제 중공 보드 접합에 이용해서 문제가 없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제 중공보드는 종이질 파형판으로는 하중면에서 견뎌낼수 없는 중량물용 용기 등에 이용하거나 높은 기밀성(airtight)과 수밀성(liquid tight)이 요구되는 경우에 이용하므로, 점착 테이프나 접착제에 의한 접합으로는 상기 용도에 대해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스테이플 접합, 리벳 접합 등은 특히 기밀성이나 수밀성면에서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열판을 이용해서 합성수지제 중공 보드를 용융시켜 접합하는 방법의 경우도 중공 보드에 홈이나 요면을 형성하거나 접음선이나 개구부를 형성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드 표면에 다수의 홀과 자국이 남는다는 문제가 있고, 뿐만아니라 접합되는 2장의 중공 보드의 접합면이나 접합되는 중공 보드와 다른 합성수지 부품의 접합면에서의 융착이 충분히 완성도 높게 이루어지지 않아 접합 장소가 경우에 따라 끊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목적은 중공 보드의 대향하는 시트 끼리, 2장의 중공 보드 끼리 및 중공 보드와 다른 부품을 확실하고 완성도 높게 접합할 수 있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공 보드의 테두리 등을 확실하게 융착해서 봉함으로써 중공 보드의 내부를 외부에 대해 폐색할 수 있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공 보드의 판 면에 홈, 요면, 접음선, 개구부 등을 확실하고 완성도 높게, 그리고 가공에 의해 보드에 반발력이 생기지 않게 형성할 수 있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및 그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발명에서 이용하는 열가소성합성수지제 중공보드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의 중공보드의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3 은 중공 보드의 단연(end edge)부를 막아 버리기 위해 융착하는 방법의 최초의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융착 방법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와 같이 단연을 막은 중공 보드의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중공 보드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중공 보드의 중간 부분을 선형으로 융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중공 보드의 제 1, 제 2 시트를 면으로 융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7 및 도 8 에 도시한 방법으로 융착된 중공보드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중공 보드의 중간부를 양측에서부터 선형으로 융착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은 중공 보드에 개구부 및 노치부를 형성해서 융착하는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선 단면도이다.
도 13 은 2장의 중공 보드를 선형으로 융착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 는 중공 보드와 다른 부분을 융착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 는 2장의 중공보드를 그들의 측연부에서 융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단계에 이어지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6 에 이어지는 최종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 은 최종적으로 융착된 2장의 중공보드의 융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 는 1장의 중공 보드의 양 측연을 접합해서 통 모양으로 만든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은 1장의 중공 보드를 사각통 모양으로 만들어 그 양 측연을 접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은 연속 형태로 융착된 중공 보드와 프레임 부재의 접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 는 중공 보드에 의한 상자의 조립 방법을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23 은 중공 보드에 의한 상자의 다른 조립 방법을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24 는 중공 보드 둘레의 보강부 형성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5 는 중공 보드 둘레의 보강부 융착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6 은 1쌍의 중공 보드의 측연의 버트 융착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7 은 세 장의 중공 보드의 버트 융착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8 은 두 장의 중공 보드가 각도를 이루는 융착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9 는 중공 보드 측연에의 다른 부품의 융착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0 은 에지 부재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1 은 도 30 의 에지부재를 접어서 구부릴 경우에 필요한 노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2 는 에지 부재에 형성하는 다른 노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3 은 도 31 의 노치부를 가지는 에지 부재를 구부려서 중공 보드에 실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4 는 도 32 의 노치부를 가지는 에지 부재를 꺽어 접어서 중공 보드에 실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5 는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36 은 도 35의 손잡이를 중공보드에 융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7 은 카드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38 은 카드 홀더를 중공 보드에 융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9 는 투명판을 중공 보드에 융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 은 투명판을 중공 보드에 융착한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 은 도 40 의 단면도이다.
본발명의 일형태에 의하면, 평행을 이루는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다수의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를 준비하고, 일방의 시트 면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를, 타방의 시트면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작업물지지부를 위치시키고, 발진부와 작업물 지지부를 서로 접근시켜 제 1 시트와 제 2 시트를 접촉시키고, 발진부에서 작업물지지부로 초음파를 발진시켜 초음파에 의해 일방의 시트와 타방의 시트에 초음파 발진에 따른 마찰열을 발생시키고, 양 시트를 상기 발진부와 작업물 지지부 사이에서 눌리면서 융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 방법이 제공된다.
본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평행을 이루는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다수의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제 1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및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 2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를 준비하고, 이들 제 1 및 제 2 보드를 중첩시켜 제 1 보드면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를, 또 제 2 보드 면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작업물 지지부를 선을 따라 대향하도록 위치시키고, 발진부와 작업물지지부를 서로 접근시켜 제 1 보드와 제 2 보드를 접촉시키고, 상기 초음파 발진부의 발진에 의해 제 1 보드와 제 2 보드에 초음파 진동에 따른 마찰열을 발생시켜 양 보드를 상기 선을 따라 융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 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평행을 이루는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다수의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및 열가소성 합성 수지제 부품을 준비하고, 이들 보드와 부품을 중첩시켜 상기 보드 면과 부품 면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와 작업물 지지부 각각을 위치시키고, 초음파 발진부와 작업물지지부 사이에 상기 보드와 부품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 발진부를 발진시켜 보드와 부품의 접촉부에 초음파 진동에 따른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양자를 서로 융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는 보드와 부품의 융착 방법이 제공된다.
본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평행을 이루는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다수의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제 1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및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 2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를 준비하고, 이들 제 1 및 제 2 보드의 단연(end edge)을 면과 면이 접하도록 중첩시켜서 양 단연의 중첩 부분의 일측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를, 또 타측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작업물 지지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초음파 발진부에서 작업물 지지부를 향해 초음파를 발진시켜 이 초음파에 의해 제 1 및 제 2 보드의 단연이 서로 접하는 면 부분에 초음파 발진에 따른 마찰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양 면 부분을 가소 상태로 만들어 이들 양면 부분을 융합하고, 서로 접하는 상기 면 부분에서의 제 1 및 제 2 시트를 그 두께 방향으로 상기 작업물지지부와 발진부 사이에서 눌러서 제 1 및 제 2 보드를 접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 방법이 제공된다.
본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평행을 이루는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를 준비하고, 이 보드의 일방의 둘레와 타방의 둘레를 서로 접하게 중첩시켜 양 둘레의 중첩 부분의 일측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를, 또 타측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작업물지지부를 위치시키고, 발진부에서 작업물지지부를 향해 초음파를 발진시켜 이 초음파에 의해 보드의 상기 양 둘레가 서로 접하는 면 부분에 초음파 진동에 따른 마찰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양 면부분을 가소 상태로 만들어 이들 양 면 부분을 융합하고, 서로 접하는 상기 면 부분에서의 보드의 양 둘레를 그 두께 방향으로 상기 작업물지지부와 발진부 사이에서 눌러 그들의 합계 두께를 보드의 두께로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 방법이 제공된다.
본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평행을 이루는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다수의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제 보드를 준비하고, 이 보드의 단연을 층을 이루도록 꺽어 접고, 이 층을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와 작업물지지부 사이에 끼우고, 상기 초음파 발진부를 발진시켜 보드의 층에 초음파 진동에 따른 마찰열을 발생시켜 층을 일체적으로 융착함으로써 두께가 커진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 방법이 제공된다.
본발명의 또 실시 형태에 의하면, 평행을 이루는 제1 및 제 2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다수의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제 1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및 동일한 구성의 제 2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를 준비하고, 이들 제 1 및 제 2 보드의 측연을 맞대어 양 보드 버트(butt)부의 일방면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를, 타방면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작업물 지지부를 양 보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초음파 발진부의 발진에 의해 양 보드의 버트면에 마찰열을 발생시켜서 양 보드를 버트면에서 융착하여 연속한 보드로 만드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 방법이 제공된다.
본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평행을 이루는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다수의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제 1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및 이와 동일한 구성의 제 2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를 준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보드의 측연을 맞대고, 이 버트부에 상기 제 3 보드의 측연을 제 3 보드가 제 1, 제 2 보드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도록 맞대고, 제 1, 제 2 보드의 버트부에 있는 제 3 보드와 반대면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를 접촉시키고, 제 3 보드가 제 1, 제 2 보드에 접촉되는 영역의 양측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작업물 지지부를 접촉시키고, 상기 발진부의 발진에 의해 제 1, 제 2, 제 3 보드의 버트부에 마찰열을 발생시켜 이들 보드를 버트부에서 융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 방법이 제공된다.
본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평행을 이루는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와 이들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다수의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제 1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및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 2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를 준비하고, 제 1 보드의 일면에 제 2 보드의 측연을 버트 접촉시켜서 제 2 보드가 제 1 보드에 대해 각도를 이루도록 하고, 버트부에서의 제 1 보드의 타면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를 접촉시키고, 버트부에서의 제 2 보드의 양측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작업물 지지부를 위치시켜 제 1, 제 2 보드 면에 접촉시키고, 상기 발진부의 발진으로 제 1, 제 2 보드의 버트부에 마찰열을 발생시켜 이들 보드를 버트부에서 융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 방법이 제공된다.
본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평행을 이루는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및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부품을 준비하고, 상기 보드의 측연과 상기 부품을 맞닿게 해서 버트부의 일면측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를, 타면측에 작업물 지지부를 접촉시키고, 상기 발진부를 발진시켜 보드와 부품의 버트부에 초음파 진동에 의한 마찰열을 발생시켜서 양자를 서로 융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보드와 부품의 융착 방법이 제공된다.
본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평행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다수의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평행한 웨브로 이루어지는 제 1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와 제 1 보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 2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로 이루어지고, 이들 제 1, 제 2 보드가 그 측연 부분에서 서로 면 접촉 상태로 중합되어 있고, 이 중합된 부분에서 제 1, 제 2 보드가 서로 면 접촉 상태에 있는 시트를 포함하는 영역이 초음파 융착되고 있고, 중합된 부분의 두께가 제 1, 제 2 보드 각각의 두께에 거의 가까운 두께가 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제품이 제공된다.
본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평행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다수의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평행한 웨브로 이루어지는 제 1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와 제 1 보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 2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로 이루어지고, 이들 제 1, 제 2 보드가 그 측연 부분에서 서로 맞대어지고, 이 버트부분에서 양 시트가 초음파 융착되어 있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제품이 제공된다.
본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평행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다수의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평행한 웨브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및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부속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드와 상기 부품이 서로 접촉 상태에 있고, 이들이 접촉 부분에서 초음파 융착되어 있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제품이 제공된다.
본발명에서 이용하는 초음파 융착은 가열 융착과는 달리 보드를 구성하는 재료에 내부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것에 의해 보드는 내부 발열을 한다. 특히, 서로 꽉 눌려져 있는 보드의 시트간에는 마찰 발열이 생기기 쉽고, 따라서 용융되기 쉽다. 이에 따라 융착은 내측에서부터 일어난다. 따라서, 보드의 외측 시트면은 융착의 영향을 잘 받지 않으므로 깨끗하게 유지된다. 또, 보드는 내부에서 융착되어 있으므로 접합 강도가 크고, 또 융착 범위의 제어가 쉬우므로 예를들어 선을 따라 융착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보드 내부의 웨브는 초음파를 전파하는데 유효하고, 이 웨브에 의해 특히 보드의 시트면 끼리의 융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대해 가열 융착은 보드의 외측에서부터 이루어지므로 보드 표면에 악영향을 미치기 쉽고, 보드 내부에서의 확실한 융착이 항상 실현된다고는 말할 수 없으며, 또 열의 영향이 융착부에 인접한 영역으로 미치기 쉬워 설계대로의 융착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본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 는 본발명이 관계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단면도 및 일부 절제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B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중공 보드를 전체적으로 나타낸다. 이 중공 보드 B는 제 1 시트(2a) 및 제 2 시트(2b)를 가지고, 이들 시트(2a), (2b)는 서로 평행을 이루며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시트(2a), (2b)는 그들과 직교하는 방향의 다수의 평행 웨브(3)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웨브(3)간에는 중공 공간(4)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2a), (2b) 및 웨브(3)는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를 도 1 에 도시한 단면 형상의 압출 다이를 통해 압출함으로써 일체 성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중공 보드 B는 도 1 에서와 같이 웨브(3)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는 측연이 부호 (5)에서와 같이 외부에 대해 개방됨과 동시에 웨브(3)의 장축 방향 양단측에서 중공 공간(4)이 외부에 대해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중공 보드 B의 내부에 먼지나 잡균 등의 이물이 들어가기 쉽고, 또 그 내부가 더러워져도 세정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예를들어 도 3 에서와 같이 중공 보드 B의 웨브 장축 방향 단부측에 있어서 중공 보드 B의 단연을 따라 제 1 시트(2a) 및 제 2 시트(2b)를 서로 접근시켜 접합함으로써 중공 공간(4)을 외부에 대해 폐색한다. 접합을 위해 본발명에서는 초음파 융착 장치가 사용된다. 초음파 융착 장치의 원리 자체는 공지의 기술로 초음파 융착장치는 전력을 초음파 진동으로 변화하기 위해 일방향성 압전 효과(piezo electric effect)를 이용하는 변환기와 증폭기를 구비하고 있다. 초음파 진동은 초음파 혼(horn)에서 융착해야 할 물체로 전달되고, 초음파 진동은 물체 내부에 분자내 진동을 일으켜 발열시킨다.
본발명에 따른 일 융착 방법에 의하면, 도 3 에서와 같이 중공 보드 B의 단연을 따라(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혼, 즉 초음파 발진부(6)를 중공 보드 B의 제 1 시트(2a) 외면에 위치시킨다. 초음파 발진부(6)는 제 1 시트(2a)의 단연을 따라 선형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초음파 융착 장치의 작업물 지지부(7)는 제 2 시트(2b)의 단연을 따라 선형(띠 모양)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평탄한 지지면을 가지고 있다. 작업물 지지부(7)상에 중공 보드 B의 단연을 올려놓은 후 발진부(6)에서 초음파를 작업물지지부(7)쪽으로 발진시키면서 발진부(6)를 아래쪽으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강시켜 중공 보드 B의 단연부를 작업물 지지부(7)와 발진부(6) 사이에서 압착시킨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발진부(6)에서 나온 초음파는 제 1 시트(2a)로부터 특히 웨브(4)를 따라 아래쪽으로 진행되어 제 2 시트(2b)에 도달하므로 제 1 시트(2a), 웨브(3) 및 제 2 시트(2b)에 분자내 진동을 발생시키고 내부로부터 발열시키게 해서 이들을 용융시킨다. 그리고, 이들 부분은 발열에 의해 용융되어지면서 발진부(6)와 작업물 지지부(7) 사이에서 압축을 받으므로 웨브(3)가 연화된 상태에서 제 1 시트(2a)가 제 2 시트(2)로 접근하듯이 이동해서 최종적으로는 도 4 에 도시한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즉, 제 1 시트(2a)의 단연 근방 부분이 제 2 시트(2b)의 단연 근방 부분에 접촉해서 양자의 선단연(end edge) 끼리 융착에 의해 접합된다. 그리고, 발진부(6)의 선단연의 단면 형상, 예를들어 도시한 것과 같은 한쪽이 많이 돌출되고 들어간 활 모양의 경사면 형상에 대응해서 제 1 시트(2a)의 단연 부분이 성형된다. 각 웨브(4)의 선단부도 용융되어 제 1 시트(2a) 단연부의 성형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을 취한다. 상술한 융착 작업시 초음파는 발진부(6)와 작업물 지지부(7)의 사이 영역에밖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용융되는 부분이 한정되어 다른 영역에는 용융이 일어나지 않는다.
상술한 것과 같이 해서 중공 보드 B의 타방의 단연에도 융착이 일어나게 해서 도 5 및 도 6 에서와 같이 중공 보드 B의 양 단연에 밀폐부(8)를 형성시킬 수 있다. 밀폐부(8)의 단면 형상은 발진부(6)와 작업물 지지부(7)의 형상에 의해 적당한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밀폐부(8)를 형성함으로써 중공 보드 B의 단연을 통해 중공 공간(4)으로 먼지 등의 이물이 들어가는 일이 없어지고, 중공 공간(4)내에 공기가 봉입된 상태가 되므로 보드의 단열성이나 강성이 높아진다. 또, 상술한 융착 작업은 중공 보드 B의 웨브(3)에 평행한 측연을 따라 필요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유사한 융착 작업은 중공 보드 B의 단연에서 떨어진 중간 부분에도 실시할 수 있다. 그 예를 도 7 에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초음파 발진부(6A)는 중앙 선단부(9)가 많이 돌출하고 양측에 경사면을 가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작업물 지지부(7)는 전술한 작업물 지지부(7)와 기본적으로 다르지 않게 평탄한 지지면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작업물 지지부(7A)상에 중공 보드 B의 중간 부분을 올려 놓고, 발진부(6A)에서 초음파를 발진시키면서 발진부(6A)를 작업물 지지부(7A) 쪽으로 이동시켜 가면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발진부와 작업물 지지부 사이의 중공 보드 부분의 용융이 일어나고, 제 1 시트(2a)와 웨브(3)는 용융해서 도 7 의 점선과 같이 제 1 시트(2a)가 대략 V자 모양으로 움푹패여 제 2 시트(2b)에 접합된다.
이와 같은 V자 형상의 요입부는 도 9 에 부호 (10)으로 나타내어진다. 이와 같은 가공에 의해 중공 보드 B에는 압접 라인(11)이 형성되고, 이 압접 라인(11) 부분의 요입부(10)는 발진부(6A) 형태의 선정에 따라 곡선 모양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요입부(10)는 타부품의 부착 끼워맞춤부로서, 또 문자, 모양, 마킹 등의 표시 수단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8 에 도시한 예는 상기 선형 요입부(10) 대신 면형 요입부를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 예에서는 초음파 발진부(6B)의 단면은 평탄면을 이루고 있고, 작업물 지지부(7B)도 발진부의 평탄면에 상응하는 면적을 가지는 평탄한 지지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발진부(6B)에서 초음파를 발진시키면서 발진부(6B)를 작업물지지부(7B) 쪽으로 이동시켜 가면 양자간의 중공 보드 부분이 용융해서 최종적으로는 웨브(3)가 녹음과 동시에 제 1, 제 2 시트(2a), (2b)가 면 접촉 상태로 서로 용융해서 도 9 에서와 같이 면형 요입부(12)가 형성된다. 이 면형 요입부(12)는 손잡이부로, 또 모양, 마킹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0 은 중공 보드 B의 웨브(3)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음홈선(14)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이 접음홈선(14)은 도 7 에 나타낸 발진부(6A)와 이 발진부(6A)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작업물 지지부를 중공 보드 B의 양면 시트에 각각 작용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중공 보드 B의 제 1, 제 2 시트(2a), (2b) 모두에 도 9 의 선형 요입부(10)와 동일한 선형 요입부가 형성되어 그들의 바닥부가 접합된다. 이와 같은 접음홈선(14)을 형성함으로써 중공 보드 B는 그 홈선을 따라 접을 수 있게 된다. 또, 접음홈선은 웨브(3)에 평행한 방향으로도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이 접음홈선을 형성하면 양 시트(2a), (2b)가 직접 융착해서 중합하기 때문에 홈선을 따라 접을 때 중공 보드의 반발력이 작아지고, 또 홈선의 부분을 힌지로 이용했을 때의 힌지 피로 강도가 커진다. 또, 도 7 에 나타낸 선형 요입부(10)도 힌지 등의 접힘홈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도 10 과 같이 양 시트측에서 선형 요입부를 형성하는 것이 접힘홈선으로는 바람직하다.
제 1 시트(2a)와 제 2 시트(2b)의 융착은 도 11 및 도 12 에 도시한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도 11 에서와 같이 중공 보드 B의 개구부(16) 또는 노치부(17)를 형성하고, 이어서 개구부(16)의 둘레 또는 노치부(17)의 둘레를 따르는 형상의 초음파 발진부 및 작업물 지지부 사이에 개구부 둘레 또는 노치부 둘레를 끼워 넣고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것에 의해 개구부 둘레 또는 노치부 둘레가 융착한다. 이에 따라 개구부(16)의 경우 도 12 에서와 같이 둘레(18)가 밀폐된 개구(16)가 형성된다.
상술한 예에서는 상기 중공 보드 B의 대향하는 시트(2a), (2b) 끼리를 융착하고 있지만, 도 13에 나타낸 예에서는 2장의 중공 보드 B1, B2가 선을 따라 접합된다. 2장의 중공 보드의 접합은, 양 보드를 중첩시키고 일방의 중공 보드 B1의 제 1 시트(2a)에 접하게 초음파 발진부를 위치시키고 타방의 중공 보드 B2의 제 2 시트(2b)에 접하게 작업물 지지부를 위치시키고, 발진부에서 초음파를 발진시키면서 발진부를 작업물 지지부 쪽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발진부와 작업물 지지부 사이에 있는 양 중공 보드의 영역에 내부로부터 열을 발생시켜 양자를 융착시킨다. 이 융착이 직선을 따라 일어나도록 발진부와 작업물 지지부를 선 형태로 구성한다. 이렇게 해서 도 13 에서와 같이 양 중공 보드 B1, B2는 선형 접합부(20)에 의해 접합된다. 이와 같은 선형 접합부(20)를 가지는 중공 보드 B1, B2는 상자 내부의 칸막이나 벌집 구조체(허니콤 구조체)의 구성 요소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4 에 나타낸 예에서는 중공 보드 B와 다른 열가소성 합성수지 부품(22)이 선형 접합부(23)를 따라 접합된다. 이 접합도 중공 보드 B와 부품(22)을 중첩하고, 이들의 일측에서 초음파 발진부를 대응시키고, 타측에서 작업물 지지부를 대응시켜서 초음파를 발진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부품(22)은 예를들어 상자의 보강 프레임이다.
도 15 에서 도 18 은 2장의 중공 보드 B1, B2의 측연끼리를 중첩시켜 융착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융착되는 중공 보드 B1, B2는 먼저 도 15 에서와 같이 측연끼리 소정 폭 W에서 중첩되도록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6C)와 작업물 지지부(7C) 사이에 삽입된다. 이어서 발진부(6C)를 작업물 지지부(7C)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초음파 발진시킨다. 발진부(6C) 및 작업물 지지부(7C)는 중공 보드 B1의 제 1 시트(2a) 및 중공 보드 B2의 제 2 시트(2b) 면에 각각 면접촉시킬 수 있는 평탄한 단면을 가진다. 이들 단면은 상기 중합폭 W에 상당하는 폭 W을 가지고 있다. 발진부(6C)의 이동에 의해 도 16 에서와 같이 양 중공 보드 B1, B2는 발진부(6C)와 작업물 지지부(7C) 사이에 끼이게 된다.
발진부(6C)는 도 16 의 위치에서 도 17 의 위치로 더 전진한다. 이 동안 다음과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즉, 발진부(6C)에서의 초음파 발진에 의해 초음파는 중공 보드 B1의 제 1 시트(2a)에서 웨브(3)를 통해 제 2 시트(2b)로, 이어서 중공 보드 B2의 제 1 시트(2a)에서 웨브(3)를 통해 제 2 시트(2b)로 전파되어 이들 시트 및 웨브의 분자내에 초음파 진동을 +
일으키고, 이에 따라 내부 발열을 일으킨다. 분자내 진동에 의한 마찰 효과는 서로 면 접촉하고 있는 중공 보드 B1의 제 2 시트(2b)와 중공 보드 B2의 제 1 시트(2a) 사이에서 특히 심하게 일어나므로 양 중공 보드 B1, B2의 면 접촉부 영역은 발열에 의해 가장 잘 용융된다.
이 용융에 의해 도 16 에서 도 17의 상태에 이르는 동안, 양 중공보드 B1, B2가 접촉하는 경계부가 먼저 용융해서 일체화되면서 최종적으로 양 중공 보드 B1, B2의 폭 W의 중합부는 각 중공 보드 B1 또는 B2의 두께와 같거나 그 이하의 두께로까지 압축된다. 도 17 로 알 수 있듯이 양 중공 보드 B1, B2의 중간 영역(30)이 가장 용융이 많이 일어난 영역이지만, 표면 영역에서는 시트(2a), (2b)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아 양 중공 보드 B1, B2는 한 장의 보드인 것처럼 매끈하게 연속된다. 초음파 조사를 완료하면 용융 장소는 비교적 단시간에 상온으로 되돌아가고, 양 중공 보드 B1, B2는 최종적으로 도 18 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중간의 융착부(31)는 분자 동화에 의해 고결화(固結化)되고, 양 중공 보드 B1, B2는 완전히 일체적으로 고강도로 접합되어 있다. 또, 양 중공 보드 B1, B2의 접합부의 두께는 발진부(6C)와 작업물 지지부(7C) 사이에서의 압축 정도에 따라 바뀔 수 있고, 각 중공 보드의 두께보다 더 얇은 정도로까지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예에서는 2장의 다른 중공 보드 단연 끼리를 중첩해서 융착하고 있지만, 상기 1장의 중공 보드의 두 단연 끼리를 중첩해서 융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 에 도시한 예에서는 한 장의 중공 보드 B를 원통 형상으로 둥굴게 해서 그 양 단연을 중첩시켜 융착함으로써 접합부(32)를 형성하고 있다.
또, 도 20 에 도시한 예에서는 한 장의 중공 보드 B를 사각통 형상으로 구부려서 그 양단연을 중첩해서 융착함으로써 중합부(33)를 형성하고 있다. 도 19 및 도 20 의 예에서의 중공 보드는 용기의 측벽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용기를 구성하려면 예를들어 도 19 에 도시한 원통 측벽에 원형의 바닥 부재가 접합된다. 또, 도 20 에 도시한 사각통 측벽에 사각형 바닥 부재를 접합하면 직육면체 용기가 구성된다.
직육면체 용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 22 에 도시한 전개 형상을 가지는 중공 보드 B3을 사용할 수 있다. 중공 보드 B3은 바닥 보드(34)와 4장의 측벽 보드(35), (36), (37), (38)를 접음선(40), (41), (42), (42)을 통해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접음선은 예를들어 도 9 에 도시한 요입부(10)와 같은 구성, 또는 도 10 에 도시한 접음홈선(14)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각 측벽 보드(35), (36), (37), (38)의 측변에는 본딩 탭(45)이 설치되고, 이들 본딩 탭(45)은 용기를 조립할 때 서로 중첩되어 도 15 내지 도 17 에 도시한 융착 공정에 의해 접합되고, 그 중합된 두께는 전술한 것과 같은 압축에 의해 예를들어 한 장의 중공 보드 두께에 상당하도록 줄어든다.
이상과 같이 조립한 용기의 측벽 상단연에는 필요에 따라 도 21 에서와 같은 역 U자형 단면의 프레임 부재(50)를 씌워서 전술한 방법으로 측벽에 융착할 수 있다. 도 21 의 경우에는 도 18 에서와 같이 융착부(31)에 의해 접합된 두 장의 중공 보드 B1, B2로 구성되는 측벽 둘레에 프레임 부재(50)를 씌워서 융착하고 있다.
도 23 은 직육면체형 용기를 구성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바닥 보드(34)와 4장의 측벽 보드(35), (36), (37), (38)가 각각의 개체로 구성되고, 바닥 보드(34)의 네 변에는 본딩 탭(52)이 형성되고, 측벽 보드(35), (36), (37), (38)의 바닥부에도 본딩 탭(51)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22 에 도시된 경우와 다르다. 바닥 보드(34)와 각 측벽 보드(35), (36), (37), (38)의 본딩 탭(52), (51)을 중합해서 도 15 내지 도 17 에 나타낸 방법으로 융착하면 도 22 에 도시한 것과 같은 전개 형상의 소재를 얻을 수 있다. 이 소재를 도 22 에 설명한 방법으로 조립하면 직육면체 형상의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도 24 및 도 25 는 중공 보드 B의 단연(end edge)을 보강하는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중공 보드 B의 단연을 도 24 에서와 같이 적당한 폭 치수로 2중 또는 3중 이상의 층(55)이 되도록 접고, 이들 층(55)의 양측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6D)와 작업물 지지부(7D)를 위치시키고, 도 15 내지 도 17 에 나타낸 것과 같은 융착 방법으로 층(55)을 압축하면서 융착한다. 이에 따라 두께가 작아진 강인강성부(强靭剛性部)(56)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도 26 에는 2 장의 중공 보드 B1, B2를 그들의 측연을 맞대서 융착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좌측 중공 보드 B1의 우측연과 우측 중공 보드 B2의 좌측연이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6E)와 작업물 지지부(7E) 사이에 버트 상태로 삽입되고, 발진부(6E)를 하강시켜 작업물 지지부(7E)상에서 양 중공 보드 B1, B2의 버트부를 누르면서 발진부(6E)에서 초음파를 발진시킨다. 발진부(6E)와 작업물 지지부(7E)는 모두 평탄한 단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양 중공 보드면에 면 압접하게 된다.
이 초음파 발진에 의해 양 중공 보드의 버트부는 진동에 의해 내부에서 발열하고, 융합 작용이 일어나 버트부가 동화되고, 발진 작용의 종료에 의해 용융 장소(60)는 고결(固結)해서 양 중공 보드는 한 장의 보드가 된다.
도 27 에 나타낸 융착 방벙에서는 좌우 한 쌍의 맞대어진 중공 보드 B1, B2에 제 3 중공 보드 B3가 중공 보드 B1, B2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면에서 하방에서 맞대어진다. 그리고, 작업물 지지부로는 좌우 한 쌍의 작업물 지지부(7F), (7F)를 이용할 수 있어 제 3 중공 보드 B3를 좌우에서 클램프해서 위치 결정함과 동시에 좌우의 중공 보드 B1, B2를 아래에서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예에서도 발진부(6F)에서 발진된 초음파가 3장의 중공 보드 B1, B2, B3의 버트부에 발열에 의한 용융을 일으켜 버트부를 융착한다. 용융 장소는 부호 (61)로 나타내져 있다. 또, 작업물 지지부(7F), (7F)에 첨가된 화살표는 작업물 지지부에 발진부(6F)로부터의 힘에 저항해서 작용시키는 힘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 제 3 중공 보드 B3는 좌우 중공 보드 B1, B2면에 직교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제 3 중공 보드 B3의 방향은 중공 보드 B1, B2의 면에 대해 90°이외의 각도를 이루어도 무방하다. 도 28에 도시한 융착 방법은 도 27 의 좌우 한 쌍의 중공 보드 B1, B2 대신에 한 장의 연속하는 중공 보드 B를 이용한 점이 다를 뿐으로, 융착 원리는 도 27의 경우와 완전히 같다. 용융 장소는 부호 (62)로 나타내어진다. 또, 도 27 및 도 28의 방법에 있어서 중공 보드 B3은 다른 임의의 열가소성 합성수지 부품으로 대체해서 융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9 는 중공 보드 B의 측연부에 다른 열가소성 합성수지 부품(65)을 융착하는 예를 도시한다. 부품 (65)는 중공 보드 B의 제 1 시트(2a)면에 접하는 평판형 돌출부(66)를 가지고 있고, 이 돌출부(66) 외면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6G)를 접촉시킨다. 또, 중공 보드 B의 제 2 시트(2b)면과 부품(65)면의 일부에 접하도록 작업물 지지부(7G)를 위치시킨다. 용융 장소는 부호 (67)로 나타내고 있다. 또, 초음파 발진에 의해 생기는 돌출부(66)가 평판형이 아닌 부품(65)을 이용할 경우에는 돌출부(66)측에 작업물 지지부를 위치시키고, 중공 보드 B의 제 2 시트(2b)측에 발진부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0 은 중공 보드로 구성한 상자의 개구 에지부에 융착되는 에지 부재(70)를 나타내고 있다. 이 에지 부재(70)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압출재로, 주체부(71)와 주체부에서 L자형으로 돌출하는 클리핑 러그(clipping lug)(72)를 가지고, 주체부(71)와 클리핑 러그(72) 사이에는 홈(7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주체부(71) 홈(73)측의 면에는 압출 방향으로 비드(74)가 형성되어 있다. 비드(74)를 가지는 주체부(71) 부분은 클리핑 러그(72)보다 도면의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에지 부재(70)를 중공 보드의 단연에 적용하려면 상기 홈(73)을 중공 보드의 단연에 끼운다. 주체부(71)는 중공 보드의 외면에 위치하게 한다. 그리고, 도 29 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형태로 발진부 및 작업물 지지부를 접하게 한다. 예를들어 주체부(71)의 비드(74)와 반대측인 면에 발진부를 접촉시킨다. 발진부로부터의 초음파 발진에 의해 중공 보드와의 융착을 수행할 경우 비드는 융착 면적의 증대에 따라 효과적인 융착을 가능하게 한다.
에지 부재(70)를 사각형 상자 모양 용기의 측벽 상연(upper edge)에 실시하려면, 에지 부재(70)를 3곳에서 직각으로 꺽어접고 양단부를 버트시켜 사각형 틀 모양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클리핑 러그(72)에 도 31 에서와 같은 노치부(75)를 형성한다. 노치부(75)는 클리핑 러크(72) 상측부(72a)를 직각 삼각형 모양으로 자른 부분과, 수하부(垂下部)(72b)를 삼각형상 노치부 밑변 길이에 상당하는 폭으로 자른 부분으로 구성된다. 또, 에지 부재(70)는 노치부(75)의 삼각형 정점(頂点)(76)에 상당하는 위치에 접음선(77)이 형성된다.
도 32 는 도 31 의 에지 부재(70)의 변형예로서의 에지 부재(70A)를 나타낸다. 이 에지 부재(70A)가 에지 부재(70)와 상이한 점은 노치부(75A) 모양뿐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도 31 의 클리핑 러그(72) 상측부(72a)의 삼각형 노치 대신에 단순한 선형 슬릿(7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음선(77)은 선형 슬릿(78)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33 은 도 31 에 도시한 에지 부재(70)를 상자의 측벽을 이루는 중공 판넬 B의 모서리 부분 상연에 실시한 형태를 나타낸다. 도 31 의 에지 부재(70)를 노치부(75) 방향으로 각도를 이루게 접음선(7)을 따라 접으면 삼각형상 노치부분의 양 둘레가 도 33 에 선(80)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맞닿고, 또 삼각형의 밑변 길이에 상당하는 폭만큼 떨어져 있던 노치부(75)의 양 둘레가 선(81)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맞닿는다. 그리고, 에지 부재(70)를 중공 판넬 B에 융착하면 융착부는 부호 (82)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형성된다.
도 32 에 도시한 에지 부재(70A)도 마찬가지로 도 34 에서와 같이 중공 판넬 B에 융착에 의해 접합된다. 단, 이 에지 부재(70A)의 경우는 도 32 에서 선(80)을 이루며 맞대어진 상측 부분(72a)이 도 34 의 부호 (84)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중합되게 된다.
도 35 는 중공 보드로 형성된 용기에 부착하는 손잡이의 일예를 나타낸다. 손잡이(86)는 환상(環狀) 본체(87)와 그 주위로 내어다는 플랜지(88)를 가지고, 내측에 개구(89)를 가지고 있다. 또, 손잡이(86)는 하변을 없앤 역 U자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손잡이(86)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이 손잡이(86)는 도 36 과 같이 중공 보드 B에 융착에 의해 고정된다. 즉, 중공 보드 B에 손잡이(86)의 본체(87) 크기에 상당하는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 내에 환상 본체(87)를 삽입해서 중공 보드 B의 일면으로부터 도시한 것과 같이 돌출시키고, 중공 보드 B의 타면에는 플랜지(88)를 접촉시킨다. 그리고, 플랜지(88)의 외면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 장치를 위치시키고, 반대측에 작업물 지지부를 위치시켜서 압축력을 가하면서 초음파를 발진시킨다. 이에 따라 전술한 융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용융부(90)가 생겨 손잡이(86)는 중공 보드 B에 융착된다. 그리고, 플랜지(88)는 중공 보드 B의 두께의 일부가 된다. 또, 손잡이(86)가 역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손잡이가 빠진 부분에 대응하는 중공 보드 개구 둘레의 제 1, 제 2 시트를 서로 융착시킴으로써 밀봉한다.
도 37 은 카드 홀더(91)를 나타낸다. 카드 홀더(91)는 일변이 개방된 U자 형으로 된 본체(92)와 그 외주의 플랜지(93)로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본체(92)는 플랜지(93)로부터 융기한 면에 설치되어 있고, 표시용 카드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카드 홀더(91)도 열가소성 합성수지제로서 도 38 에서와 같이 중공 보드 B의 표면측에 플랜지(93)를 맞닿게 해서 초음파 융착된다. 초음파 발진부는 플랜지(93)면에 접촉된다. (94)는 용융 부분을 나타낸다. 표시용 카드(95)는 도 38에서와 같이 지지된다.
도 39 는 중공 보드로 이루어지는 용기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명판을 중공 보드에 부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중공 보드 B에 적당한 크기의 예를들어 사각형의 개구(96)를 미리 형성하고, 이 개구(96)보다 약간 큰 치수의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투명판(95)으로 개구(96)를 덮고, 이어서 투명판(95) 둘레의 중공 보드와의 중합 부분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를, 반대측에 작업물 지지부를 맞닿게 해서 누르면서 초음파 발진을 수행하고, 중합 부분을 부호 (97)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띠 모양으로 융착한다.
도 40 및 도 41 은 투명판(95A)을 중공 보드 B의 개구(96A)에 부착하는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이 형태에서는 개구(96A)가 투명판(95A)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 형태에서는 개구(96A) 둘레 근방의 웨브(3)의 일부를 잘라내어 제 1 시트(2a)와 제 2 시트(2b)를 개구 둘레 근방에서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넓혀 두고, 제 1, 제 2 시트를 얼마간 떼어 놓고 투명판(95A)의 둘레부를 도 41 에서와 같이 양 시트 사이에 삽입해서 지지하게 한다. 이어서 투명판(95A)과 개구(96A)의 둘레부의 중합 부분을 띠 형상 부분(97A)을 따라 초음파 융착함으로써 투명판(95A)은 중공 보드 B의 개구 부분에 접합된다.
본발명의 방법에 의해 융착된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는 접합 품질이 높고, 여러 가지 접합의 가능성을 부여하므로 포장재나 건축재로서 매우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평행을 이루는 제1시트 및 제2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다수의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제 보드를 준비하고, 이 보드의 단연을 층을 이루도록 꺽어 접고, 이 층을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와 작업물지지부 사이에 끼우고, 상기 초음파 발진부를 발진시켜 보드의 층에 초음파 진동에 의한 마찰열을 발생시켜 층을 일체적으로 융착함으로써 두께가 늘어난 둘레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을 융착하면서 압축해서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 방법.
  3. 평행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다수의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제 1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및 동일한 구성의 제 2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를 준비하고, 이들 제 1 및 제 2 보드의 측연(side edge)를 맞대어 양 보드의 버트부 일방면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를, 타방면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작업물 지지부를 양 보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 위치시키고, 상기 초음파 발진부의 발진에 의해 양 보드의 버트면에 마찰열을 발생시켜서 양 보드를 버트면에서 융착함으로써 연속한 보드로 만드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방법.
  4. 평행을 이루는 제 1시트 및 제 2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다수의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제 1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및 이와 동일한 구성의 제 2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를 준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보드의 측연을 맞대고, 이 버트부에 상기 제 3 보드의 측연을 제 3 보드가 제 1, 제 2 보드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도록 접촉시키고, 제 1, 제 2 보드의 버트부의 제 3 보드와 반대인 면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를 접촉시키고, 제 3 보드가 제 1, 제 2 보드에 접하는 영역의 양측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작업물 지지부를 접촉시켜서 상기 발진부의 발진에 의해 제 1, 제 2, 제 3 보드의 버트부에 마찰열을 발생시켜 이들 보드를 버트부에서 융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방법.
  5. 평행을 이루는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다수의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제 1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및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 2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를 준비하고, 제 1 보드의 일면에 제 2 보드의 측연을 맞대듯이 접촉시켜 제 2 보드가 제 1 보드에 대해 각도를 이루도록 하고, 버트부에서의 제 1 보드의 타면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초음파 발진부를 접촉시키고, 버트부에서의 제 2 보드의 양측에 초음파 융착 장치의 작업물 지지부를 위치시켜 제 1, 제 2 보드면에 접촉시키고, 상기 발진부의 발진에 의해 제 1, 제 2 보드의 버트부에 마찰열을 발생시켜 이들 보드를 버트부에서 융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방법.
  6. 평행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다수의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평행한 웨브로 이루어지고, 이들 웨브를 가로지르는 선 또는 면에서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가 서로 초음파 융착되어 있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은 보드의 단연을 따르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8.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시트가 제 2 시트 쪽으로 요입된 상태로 제 2 시트에 초음파 융착되어 있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9.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시트와 제 2 시트가 서로 요입된 상태로 초음파 융착되어 있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10. 평행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해서 양 시트간에 다수의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평행한 웨브로 이루어지는 제 1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와, 제 1 보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 2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로 이루어지고, 이들 제 1, 제 2 보드가 그 측연 부분에서 서로 맞붙여지고, 이 버트 부분에서 양 시트가 초음파 융착되어 있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 제품.
  11. 제 1 시트(2a), 상기 제 1 시트에 평행한 제 2 시트(2b), 및 제 1 및 2 시트들을 일체로 결합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시트들 사이에 개재되고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리브(4)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시트들은 평행하도록 마주보고 상기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단연들을 갖는, 중공의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B)를 준비하는 단계;
    초음파 융착 발진부(6) 및 작업물 지지부(7)를 구비하고, 상기 융착 발진부(6)는 단면(end surface)을 갖고, 상기 작업물 지지부(7)는 융착 발진부(6)의 상기단면과 협동가능한 평탄 작업물 지지면을 갖고, 융착 발진부의 상기 단면은 돌출 외연(outer edge) 부분 및 상기 외연 부분에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경사면 부분을 갖는, 초음파 융착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융착 발진부(6)의 상기 외연 부분이 제 1 시트(2a)의 상기 단연을 따라 그리고 상기 단연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초음파 융착 발진부(6)의상기 경사면 부분이 제 1 시트(2a)의 상기 단연의 내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초음파 융착 발진부(6)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작업물 지지부(7)의 상기 평탄 작업물 지지면이 제 2 시트의 단연을 따라 인접한 상기 제 2 시트(2b) 부분과 대면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작업물 지지부(7)를 위치시키는 단계;
    융착 발진부와 작업물 지지부를 제 1 및 제 2 시트들과 각각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융착 발진부(6) 및 상기 작업물 지지부(7)를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
    초음파 진동에 의한 내부 마찰열을 발생시켜서 초음파가 발생되는 부분에서제 1 시트, 리브, 및 제 2 시트를 용융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시트(2a), 상기 리브(4), 및 상기 제 2 시트(2b)를 통해 상기 융착 발진부(6)에서 상기 작업물 지지부(7)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
    제 1 시트의 상기 단연에 대해 인접한 융착 발진부의 상기 돌출 외연 부분으로써, 상기 융착 발진부(6)의 단면과 상기 작업물 지지부의 평탄 작업물 지지면 사이에 있는 제 1 및 제 2 시트들을 압착하는 단계;
    융착 발진부의 상기 돌출 외연 부분이 제 1 시트의 단연을 제 2 시트의 단연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단계;
    제 1 시트의 단영역(end region)을 성형하여 경사면 부분과 형상이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융착 발진부의 상기 경사면 부분이 제 1 시트의 상기 단연과 인접한제 1 시트의 상기 단영역을 제 2 시트의 단연과 인접한 단영역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단계;
    이와 동시에 융착 발진부의 상기 경사면 부분이 제 1 및 제 2 시트들의 단연들에 인접한 상기 리브들의 부분을 성형하여 경사면 부분과 형상이 일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연들을 따라 접합 단면형의 밀폐형 단이음새(8)를 형성하기 위해 제 1 시트의 단연을 제 2 시트의 단연으로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융착 발진부(6)의 상기 경사면 부분은 오목한 만곡 형상을 가져서, 상기 밀폐형 단이음새(8)가 제 1 시트(2a)의 측면에서 볼록한 만곡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방법.
  13. 제 1 시트(2a), 상기 제 1 시트에 평행한 제 2 시트(2b), 및 제 1 및 2 시트들을 일체로 결합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시트들 사이에 개재되고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리브(4)를 갖는, 중공의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B)를 준비하는 단계;
    초음파 융착 발진부(6) 및 작업물 지지부(7)를 구비하고, 상기 융착 발진부(6)는 단면(end surface)을 갖고, 상기 작업물 지지부(7)는 융착 발진부(6)의 상기단면과 협동가능한 평탄 작업물 지지면을 갖고, 융착 발진부의 상기 단면은 중앙선단부(9) 및 상기 중앙선단부의 양면에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한 쌍의 측경사면 부분을 갖는, 초음파 융착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융착 발진부(6)의 상기 단면이 제 1 시트(2a)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초음파 융착 발진부(6)의 상기 중앙선단부는 상기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초음파 융착 발진부(6)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작업물 지지부(7)의 상기 평탄 작업물 지지면이 상기 제 2 시트(2b)와대면하고 융착발진부의 상기 단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상기 작업물 지지부(7)를 위치시키는 단계 ;
    융착 발진부 및 작업물 지지부를 제 1 및 2 시트들과 각각 접촉시키기 위해상기 융착 발진부(6) 및 상기 작업물 지지부(7)를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
    초음파 진동에 의한 내부 마찰열을 발생시켜서 초음파가 발생되는 부분에서제 1 시트, 리브, 및 제 2 시트를 용융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시트(2a), 상기 리브(4), 및 상기 제 2 시트(2b)를 통해 상기 융착 발진부(6)에서 상기 작업물 지지부(7)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융착 발진부(6)의 단면과 상기 작업물 지지부의 평탄 작업물 지지면 사이에 있는 제 1 및 제 2 시트들을 압착하는 단계;
    융착 발진부의 상기 중앙선단부(9)가 중앙선단부를 따르는 제 1 시트의 선형영역을 제 2 시트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단계;
    제 1 시트의 상기 선형 영역의 양면 상의 대향 인접 영역들을 성형하여 경사면 부분과 형상이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융착 발진부의 상기 경사면 부분이 제 1시트의 상기 선형 영역의 양면 상의 대향 인접 영역들을 제 2 시트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단계;
    이와 동시에 융착 발진부의 상기 경사면 부분이 융착발진부 및 작업물 지지부 사이의 상기 리브들의 부분들을 성형하여 경사면 부분과 형상이 일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제 1 시트 내에 선형 요입부(10)를 형성하기 위해 제 1 시트의 상기 선형 영역과 제 2 시트를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융착 발진부(6)의 상기 각 경사면 부분들은 오목한 만곡 형상을 가져서, 상기 선형 요입부(10)가 각기 볼록형 만곡 형상의 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 방법.
  15. 제 1 시트(2a), 상기 제 1 시트에 평행한 제 2 시트(2b), 및 제 1 및 2 시트들을 일체로 결합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시트들 사이에 개재되고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리브(4)를 갖는, 중공의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B)을 준비하는 단계;
    초음파 융착 발진부(6) 및 작업물 지지부(7)를 구비하고, 상기 융착 발진부(6)는 단면(end surface)을 갖고, 상기 작업물 지지부(7)는 융착 발진부(6)의 상기단면과 협동가능한 작업물 지지면을 갖고, 융착 발진부의 상기 단면은 중앙선단부(9) 및 상기 중앙선단부의 양면에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한 쌍의 측경사면 부분을 갖고, 작업물 지지부(7)의 상기 작업물 지지면은 융착 발진부의 상기 단면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초음파 융착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융착 발진부(6)의 상기 단면이 제 1 시트(2a)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초음파 융착 발진부(6)의 상기 중앙선단부는 상기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초음파 융착 발진부(6)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작업물 지지부(7)의 상기 작업물 지지면이 상기 제 2 시트(2b)와 마주보고 융착발진부의 상기 단면과 대면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작업물 지지부(7)를 위치시키는 단계;
    융착 발진부 및 작업물 지지부를 제 1 및 2 시트들과 각각 접촉시키기 위해상기 융착 발진부(6) 및 상기 작업물 지지부(7)를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
    초음파 진동에 의한 내부 마찰열을 발생시켜서 초음파가 발생되는 부분에서제 1 시트, 리브, 및 제 2 시트를 용융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시트(2a), 상기 리브(4), 및 상기 제 2 시트(2b)를 통해 상기 융착 발진부(6)에서 상기 작업물 지지부(7)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융착 발진부(6)의 단면과 상기 작업물 지지부의 작업물 지지면 사이에있는 제 1 및 제 2 시트들을 압착하는 단계;
    융착 발진부의 상기 중앙선단부(9)가 중앙선단부를 따르는 제 1 시트의 선형영역을 제 2 시트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단계;
    제 1 시트의 상기 선형 영역의 양면 상의 대향 인접 영역들을 성형하여 융착발진부의 경사면 부분과 형상이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융착 발진부의 상기 경사면부분이 제 1 시트의 상기 선형 영역의 양면 상의 대향 인접 영역들을 제 2 시트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단계;
    작업물 지지부의 중앙선단부가 중앙선단부를 따르는 제 2 시트의 선형 영역을 제 1 시트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단계;
    제 2 시트의 상기 선형 영역의 양면 상의 대향 인접 영역들을 성형하여 작업물 지지부의 경사면 부분과 형상이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작업물 지지부의 경사면부분이 제 2 시트의 상기 선형 영역의 양면 상의 대향 인접 영역들을 제 1 시트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단계;
    이와 동시에 융착 발진부의 상기 경사면 부분 및 작업물 지지부의 경사면 부분이 융착발진부 및 작업물 지지부 사이의 상기 리브들의 부분들을 성형하여 융착발진부 및 작업물 지지부의 경사면 부분과 형상이 일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선형 접음홈선(14)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및 2 시트의 상기 선형 영역들을 서로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방법.
  16. 제 1 시트(2a), 상기 제 1 시트에 평행한 제 2 시트(2b), 및 제 1 및 2 시트들을 일체로 결합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시트들 사이에 개재되고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리브(4)를 갖고, 제 1 시트의 제 1 연(edge) 및 제 2 시트의 제 2 연(edge)을 갖는 개구부(16)를 갖는, 중공의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B)을 준비하는 단계;
    초음파 융착 발진부(6) 및 작업물 지지부(7)를 구비하고, 상기 융착 발진부(6)는 단면(end surface)을 갖고, 상기 작업물 지지부(7)는 융착 발진부(6)의 상기단면과 협동가능한 평탄 작업물 지지면을 갖고, 융착 발진부의 상기 단면은 돌출 외연 부분 및 상기 외연 부분에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경사면 부분을 갖는, 초음파 융착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융착 발진부(6)의 상기 외연 부분이 개구부(16)의 제 1 연을 따라 그리고 제 1 연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초음파 융착 발진부(6)의 상기 경사면 부분은 상기 제 1 연의 내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초음파 융착 발진부(6)를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작업물 지지부(7)의 상기 평탄 작업물 지지면이 개구부의 상기 제 2 연을 따르는 상기 제 2 시트(2b)의 부분과 대면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작업물 지지부(7)를 위치시키는 단계;
    융착 발진부 및 작업물 지지부를 제 1 및 2 시트들과 각각 접촉시키기 위해상기 융착 발진부(6) 및 상기 작업물 지지부(7)를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
    초음파 진동에 의한 내부 마찰열을 발생시켜서 초음파가 발생되는 부분에서제 1 시트, 리브, 및 제 2 시트를 용융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시트(2a), 상기 리브(4), 및 상기 제 2 시트(2b)를 통해 상기 융착 발진부(6)에서 상기 작업물 지지부(7)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
    개구부의 상기 제 1 연과 인접한 융착 발진부의 상기 돌출 외연 부분으로써,상기 융착 발진부(6)의 단면과 상기 작업물 지지부의 평탄 작업물 지지면 사이에 있는 제 1 및 제 2 시트들을 압착하는 단계;
    융착 발진부의 상기 돌출 외연 부분이 개구부의 제 1 연을 개구부의 제 2 연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1 연과 인접한 제 1 시트의 영역을 성형하여 경사면 부분과 형상이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융착 발진부의 상기 경사면 부분이 상기 제 1 연과 인접한제 1 시트의 영역을 상기 제 2 연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단계;
    이와 동시에 융착 발진부의 상기 경사면 부분이 개구부의 제 1 및 2 연들에인접한 상기 리브의 부분들을 성형하여 경사면 부분과 형상이 일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연들을 따라 접합 단면형의 밀폐형 단이음새를 형성하기 위해, 개구부의 제 1 및 2 연을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융착 발진부(6)의 상기 경사면 부분은 오목한 만곡 형상을 가져서, 상기 밀폐형 단이음새가 제 1 시트(2a)의 측면에서 볼록한 만곡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방법.
  18. 제 1 시트(2a), 상기 제 1 시트에 평행한 제 2 시트(2b), 및 제 1 및 2 시트들을 일체로 결합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시트들 사이에 개재되고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리브(4)를 갖고, 제 1 시트의 제 1 연(edge) 및 제 2 시트의 제 2 연(edge)을 갖는 후미부(17)를 갖는, 중공의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B)을 준비하는 단계;
    초음파 융착 발진부(6) 및 작업물 지지부(7)를 구비하고, 상기 융착 발진부(6)는 단면(end surface)을 갖고, 상기 작업물 지지부(7)는 융착 발진부(6)의 상기단면과 협동가능한 평탄 작업물 지지면을 갖고, 융착 발진부의 상기 단면은 돌출 외연 부분 및 상기 외연 부분에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경사면 부분을 갖는, 초음파 융착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융착 발진부(6)의 상기 외연 부분이 후미부(17)의 제 1 연을 따라 그리고 제 1 연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초음파 융착 발진부(6)의 상기 경사면 부분은 상기 제 1 연의 내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초음파 융착 발진부(6)를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작업물 지지부(7)의 상기 평탄 작업물 지지면이 개구부의 상기 제 2 연을 따르는 상기 제 2 시트(2b)의 부분과 대면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작업물 지지부(7)를 위치시키는 단계;
    융착 발진부 및 작업물 지지부를 제 1 및 2 시트들과 각각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융착 발진부(6) 및 상기 작업물 지지부(7)를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
    초음파 진동에 의한 내부 마찰열을 발생시켜서 초음파가 발생되는 부분에서제 1 시트, 리브, 및 제 2 시트를 용융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시트(2a), 상기 리브(4), 및 상기 제 2 시트(2b)를 통해 상기 융착 발진부(6)에서 상기 작업물 지지부(7)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
    후미부의 상기 제 1 연과 인접한 융착 발진부의 상기 돌출 외연 부분으로써,상기 융착 발진부(6)의 단면과 상기 작업물 지지부의 평탄 작업물 지지면 사이에 있는 제 1 및 제 2 시트들을 압착하는 단계;
    융착 발진부의 상기 돌출 외연 부분이 후미부의 제 1 연을 후미부의 제 2 연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1 연과 인접한 제 1 시트의 영역을 성형하여 경사면 부분과 형상이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융착 발진부의 상기 경사면 부분이 상기 제 1 연과 인접한제 1 시트의 영역을 상기 제 2 연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단계;
    이와 동시에 융착 발진부의 상기 경사면 부분이 후미부의 제 1 및 2 연들에인접한 상기 리브의 부분들을 성형하여 경사면 부분과 형상이 일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연들을 따라 접합 단면형의 밀폐형 단이음새를 형성하기 위해, 후미부의 제 1 및 2 연을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융착 발진부(6)의 상기 경사면 부분은 오목한 만곡 형상을 가져서, 상기 밀폐형 단이음새가 제 1 시트(2a)의 측면에서 볼록한 만곡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보드의 융착방법.
KR1019970704759A 1995-11-14 1996-11-12 합성수지제중공보드의융착방법및그방법에의해얻어지는중공보드 KR100467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9488/1995 1995-11-14
JP33101295A JP3230971B2 (ja) 1995-11-27 1995-11-27 超音波融着で面結合してなる合成樹脂製中空ボード
JP331012/1995 1995-11-27
JP349698/1995 1995-12-21
JP7349698A JPH09174688A (ja) 1995-12-21 1995-12-21 複数の素材を超音波融着で結合してなる合成樹脂製中空ボー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370A KR19980701370A (ko) 1998-05-15
KR100467394B1 true KR100467394B1 (ko) 2005-06-23

Family

ID=6617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759A KR100467394B1 (ko) 1995-11-14 1996-11-12 합성수지제중공보드의융착방법및그방법에의해얻어지는중공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099B1 (ko) * 2001-12-31 2005-03-08 문형석 브라켓과 패널의 접착방법
KR100915647B1 (ko) * 2008-10-16 2009-09-04 장경철 초음파 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범퍼 페시어 천공 방법
KR101343615B1 (ko) * 2013-04-25 2013-12-20 주식회사 광동 단프라시트 직선 융착기
CN116533531B (zh) * 2023-05-19 2024-05-03 佛山市华纪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塑料防水板生产工艺及生产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1194A (en) * 1976-01-28 1977-08-24 Ex Cell O Corp Sealing equipment and method by vibration
JPS5971817A (ja) * 1982-10-18 1984-04-23 Saneigumi:Kk 熱可塑性樹脂製段ボ−ルの接合方法
JPH07100934A (ja) * 1993-09-30 1995-04-18 Kyoraku Co Ltd パネルに機能部材を溶着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1194A (en) * 1976-01-28 1977-08-24 Ex Cell O Corp Sealing equipment and method by vibration
JPS5971817A (ja) * 1982-10-18 1984-04-23 Saneigumi:Kk 熱可塑性樹脂製段ボ−ルの接合方法
JPH07100934A (ja) * 1993-09-30 1995-04-18 Kyoraku Co Ltd パネルに機能部材を溶着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370A (ko)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5238A (en) Synthetic resin panel welding method and hollow panel structures fabricated by the method
WO2005120965A1 (ja) ケースブラ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ケースブランクを用いた折畳式プラスチック製段ボール通函及びその製造方法
JP3340580B2 (ja) 中空容器の製造方法及び中空容器
JP3887375B2 (ja) フィルタ要素の結合部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USRE29568E (en) Carton sealing apparatus
AU678688B2 (en) Container carrier
JP2013014378A (ja) フレーム付きプラスチックダンボール容器及びその製法
KR100467394B1 (ko) 합성수지제중공보드의융착방법및그방법에의해얻어지는중공보드
US6193830B1 (en) Pleated filter inser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4783316B2 (ja) 中空合成樹脂板を用いた函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23017B2 (ja) 中空構造板の接合構造
JP4195798B2 (ja) 中空樹脂板材の端部処理方法並びにケースブランクまたは箱の製造方法
JP4235463B2 (ja) 中空樹脂板材の端部処理方法および端部処理装置
JPS5984705A (ja) シ−ト材料の周縁接着に関する改良
JP2001354228A (ja) 超音波溶着プラスチック段ボール箱体
JPS6216814B2 (ko)
JP7252639B2 (ja) 収容容器を作成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作成された収容容器
JPH0717534U (ja) 二部材の溶着部形状
JP3199116B2 (ja) 紙製包装用容器
JPH0970515A (ja) エアクリ−ナ用フィルタエレ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63354B2 (ja) 包装容器の製造方法
JPH09136355A (ja) 超音波融着加工をしてなる合成樹脂製中空ボード
JP2005007634A (ja) プラスチック段ボールの接合構造
JP4693820B2 (ja) 樹脂板の接合方法
JPH09174688A (ja) 複数の素材を超音波融着で結合してなる合成樹脂製中空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