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567B1 -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567B1
KR100465567B1 KR10-2002-7005517A KR20027005517A KR100465567B1 KR 100465567 B1 KR100465567 B1 KR 100465567B1 KR 20027005517 A KR20027005517 A KR 20027005517A KR 100465567 B1 KR100465567 B1 KR 100465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udio signal
channel
digital audio
analog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2744A (ko
Inventor
카타야마타카시
마츠모토마사하루
수요시마사히로
니시오코수케
후지타타케시
카와무라아키히사
아베카주타카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2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2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of the matrix type, i.e. in which input signals are combined algebraically, e.g. after having been phase shif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1Multi-channel, i.e. more than two input channels, sound reproduction with two speakers wherein the multi-channel information is substantially preser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7Generation or adaptation of the Low Frequency Effect [LFE] channel, e.g. distribution or sign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7Frequency adjustment, e.g. ton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lgebra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는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과,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중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여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산기부와; 상기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외한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과 부가 신호를 n개의 타입들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한 n개의 D/A 변환부들과,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신호 처리부와, 지정된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다중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종래의 신호 처리 장치(300)를 도 9, 10 및 11을 참조로 설명한다. 신호 처리 장치(300)는 예로서, DVD-비디오 플레이어에 통합된다. DVD-비디오 표준들은 5.1 채널들까지 다중채널 오디오 신호들의 재생을 지원한다. 도 10은 5.1 채널 스피커 유닛의 배열을 도시한다. 5.1 채널들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프트 포워드(L:좌측), 센터 포워드(C:중앙), 라이트 포워드(R:우측), 레프트 서라운드(LS) 및, 라이트 서라운드(RS) 채널을 포함하는 5개의 채널들과, 저주파 효과 채널(low frequency effect channel)(LFE)의 1개의 채널을 의미한다.
도 9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구조를 도시한다. DVD-비디오 표준들에 따라서, 5.1 채널 오디오 비트 스트림 신호(40)는 신호 처리 장치(300)로 입력된다. 디코더(6)는 이 오디오 비트 스트림 신호(40)를 수신하고, 이 오디오 비트 스트림 신호(40)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한다(선형 PCM). 그후, 이 오디오 비트 스트림 신호(4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 1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31)(제 1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1)), 제 2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32)(제 2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2)), …, 제 n(n≥2)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3n)(제 n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n)) 및, LFE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30)(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0))로 분리한다. 5.1 채널 시스템의 경우에, n=5이다.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3)는 결과적인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30, 31, …, 3n)을 수신하고, 다운-믹싱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다운-믹싱 신호 처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5.1 채널 시스템의 경우에, 다운-믹싱 신호 처리는 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3)는 L, R, C, SL, SR 및 LFE 채널들의 5.1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L, R 및, LFE의 2.1 채널들로 다운-믹싱한다. 도 11에서, SL, L, C, R, SR 및, LFE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은 참조 부호 51, 52, 53, 54, 55 및, 50으로 표시되어 있다.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3)는 승산기들 (multipliers)(8a, 8b, 8c, 8d, 8e 및, 8f)과 가산기들(adders)(9a 및 9b)을 포함한다. 승산기들(8a, 8b, 8c, 8d, 8e 및, 8f)의 승산 계수들은 각각 m1, m2, m3, m4, m5 및, m6이다. 승산기(8a)는 SL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1)를 승산 계수 m1과 승산한다. 승산기(8b)는 L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2)를 승산 계수 m2와 승산한다. 승산기(8c)는 C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3)를 승산 계수 m3와 승산한다.승산기(8d)는 R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4)를 승산 계수 m4와 승산한다. 승산기 (8e)는 SR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5)를 승산 계수 m5와 승산한다. 승산기(8f)는 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0)를 승산 계수 m6과 승산한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51 내지 55 및, 50)은 각각 도 9에 도시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31, 32, …, 3n 및 30)에 대응한다.
가산기(9a)는 승산기들(8a, 8b 및, 8c)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가산하고,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56)(L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6))를 출력한다. 가산기(9b)는 승산기들(8c, 8d 및, 8e)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가산하고,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57)(R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7))를 출력한다. 승산기(8f)는 LFE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58)(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8))를 출력한다.
승산 계수들의 예시적인 일반적 비율은 m1:m2:m3:m4:m5:m6 = 0.7:1.0:0.7:1.0:0.7:1.0이다. 승산 계수들의 비율은 입력 신호 또는 시스템의 특성들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3)로 입력되는 신호가 오버플로우를 호피하도록 레벨-조정되는 경우에, 승산 계수들의 비율은 상술한 비율일 수 있다. 다운-믹싱 신호 처리가 오버플로우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승산 계수들(m1 내지 m6)이 미리 규제될 필요가 있다. LFE, SL, L, C, R 및, SR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50, 51, 52, 53, 54 및, 55)이 오버플로우에 대하여 처리되지 않는 경우에, 모든 승산 계수들 m1 내지 m6은 1/(2.4)로써 더 조절될 필요가 있다.
다운-믹싱 신호 처리에 의해 얻어진 L, R 및 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신호들(56, 57 및 58)은 도 9에 도시된 D/A 변환기들(63, 64 및 65)에 주어진다. D/A 변환기(63)는 L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6)를 L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56')(L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56'))로 변환하고, L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56')를 출력한다. D/A 변환기(64)는 R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7)를 R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57')(R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57'))로 변환하고, R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57')를 출력한다. D/A 변환기(65)는 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8)를 LFE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58')(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58'))로 변환하고, 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58')를 출력한다.
각 채널을 위해 하나의 D/A 변환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신호 처리 장치(300)는 세 개의 D/A 변환기들(63, 64 및, 65)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실제 제품들에서는 두 개의 D/A 변환기들이 하나의 LSI내에 패키징되어 있다. 두 개의 이런 LSI들이 신호 처리 장치(300)내에 통합되는 경우에, 하나의 D/A 변환기는 이용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DVD 플레이어들을 위해 이용되는 D/A 변환기들은 높은 품질의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 대부분 고가이다.
이용자가 DVD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때, 그/그녀는 서라운드 시스템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하나의 스피커 유니트를 종종 이용한다. 빈번하게, 그/그녀는 LFE 채널을 이용하지 않는다. 휴대용 DVD 플레이어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헤드폰 스피커가 빈번히 이용되고, 이 경우에, LFE 채널은 이용되지 않는다. 또한, DVD 플레이어로부터의 출력은 종종 일반적인 TV 수상기에 의해 재생되게 된다. 대부분의 TV 수상기들의 스피커 유니트는 단 하나의 L 채널 및 R 채널만을 가지며, 이는 서라운드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LFE 채널은 이용되지 않는다.
종래의 신호 처리 장치에서, 빈번하게 LFE 채널이 이용되지 않더라도,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각 채널에 대하여 하나의 D/A 변환기가 제공된다. 2.1 채널 출력 시스템의 경우에, 세 개의 D/A 변환기들이 필요하며, 이는 불필요하게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다중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과,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이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b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를 예시하는 흐름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컴퓨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처리 시스템의 제 1 신호 처리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신호 처리부의 주파수 특성을 예시하는 그래프.
도 5는 아날로그 회로에 의해 실현된 도 3에 도시된 제 1 신호 처리부의 회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제 2 신호 처리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2 신호 처리부의 주파수 특성을 예시하는 그래프.
도 8은 아날로그 회로에 의해 실현된 도 6에 도시된 제 2 신호 처리부의 회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더 9는 종래의 신호 처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다중채널 시스템의 스피커 유니트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종래의 신호 처리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이용되는 다운-믹싱 신호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라서, 신호 처리 장치는,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키기도록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로서, 상기 스트림 신호는,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정보인,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서로다른 음원 위치들(sound source positions)을 가지는, 상기 디코더와;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중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부와; 상기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외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부가 신호를 n개의 타입들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하는 n개의 D/A 변환부들과;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부가 신호의 D/A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 1 신호처리부와; 상기 지정된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부가 신호의 D/A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 2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디코더에 의해 발생된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진폭을 조정하는 승산부 (multiplication section)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디코더에 의해 발생된 상기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진폭을 조정하는 승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는 저역 필터링 프로세스(low pass filtering process)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는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high pass filtering process) 또는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all pass filtering process)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신호 처리부는 상기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와 상기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신호 처리부로부터 저주파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가 선택되고, 상기 제 2 신호 처리부로부터 상기 저주파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때 상기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가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n은 5이고, 상기 스트림 신호는 5.1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서, 신호 처리 장치는,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로서, 상기 스트림 신호는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정보인,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서로다른 음원 위치들을 가지는, 상기 디코더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와; 제 1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는 제 1 가산부와; 제 2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는 제 2 가산부와; 상기 제 1 부가 신호를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D/A 변환부와; 제 2 부가 신호를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D/A 변환부와; 제 3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는 제 3 가산부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제 4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 3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 1 신호 처리부와; 상기 L 채널의 제 5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 2 신호 처리부와; 상기 R 채널의 제 6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3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 3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진폭을 조정하는 승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에 의해 발생된 상기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진폭을 조정하는 승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에 의해 발생된 상기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진폭을 조정하는 승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는 저역 필터링 프로세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는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 또는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신호 처리부는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와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저주파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될 때 상기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가 선택되고, 상기 저주파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지 않을 때 상기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가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신호 처리는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 또는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신호 처리부는 상기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와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저주파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상기 제 3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될 때 상기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가 선택되고, 저주파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상기 제 3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지 않을 때 상기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가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n은 5이고, 상기 스트림 신호는 5.1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신호 처리 방법은,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트림 신호는,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정보인,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서로다른 음원 위치들을 가지는, 상기 디코딩 단계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중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외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부가 신호를 n개의 타입들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 신호의 D/A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저주파 효과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가 신호의 D/A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지정된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신호 처리 방법은,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트림 신호는,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정보인,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서로다른 음원 위치들을 가지는, 상기 디코딩 단계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다운-믹싱하는 단계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1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1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부가 신호를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부가 신호를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3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3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저주파효과 채널의 제 4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L 채널의 제 5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3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R 채널의 제 6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신호 처리는,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 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트림 신호는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정보인,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서로다른 음원 위치들을 가지는, 상기 디코딩 단계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중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외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부가 신호를 n개의 타입들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 신호의 D/A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가 신호의 D/A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오디오 신호의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지정된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신호 처리는,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트림 신호는,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정보인,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서로다른 음원 위치들을 가지는, 상기 디코딩 단계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다운-믹싱하는 단계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1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2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부가 신호를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부가 신호를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3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3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제 4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L 채널의 제 5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3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R 채널의 제 6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신호 처리는,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트림 신호는,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정보인,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서로다른 음원 위치들을 가지는, 상기 디코딩 단계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중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 정보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외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부가 신호를 n개의 타입들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 신호의 D/A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가 신호의 D/A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지정된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신호 처리는,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트림 신호는,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정보인,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서로다른 음원 위치들을 가지는, 상기 디코딩 단계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다운-믹싱하는 단계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1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2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부가 신호를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부가 신호를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3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3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저주파효과 채널의 제 4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L 채널의 제 5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3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R 채널의 제 6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은 (1) 다중채널 오디오 신호들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하고, LFE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채널을 할당하기 위해 이용되는 D/A 변환기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결과로서, 저 비용 회로 구조로 다중채널 오디오 신호들을 재생시키기 위한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과, (2) 이런 신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이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장점들을 가능하게 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해함으로써 이들 및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하기에,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서로 다른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소자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표시되어 있다.
(제 1 실시예)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00)를 도시한다. 신호 처리 장치(100)는 제 1 신호 처리부(1), 제 2 신호 처리부(2), D/A 변환기들 (41, 42, …, 4n), 승산기들(5a 및 5b), 디코더(6) 및, 가산기(7)를 포함한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신호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신호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도 1b를 참조로 설명한다.
S101 : 디코더(6)가 외부 기기로부터 오디오 비트 스트림 신호(40)를 수신한다. 오디오 비트 스트림 신호(40)는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LFE 채널의 정보와,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서로다른 음원 위치(sound source position)들을 가진다. 디코더(6)는 오디오 비트 스트림 신호(40)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한다(선형 PCM). 그후, 디코더(6)는 이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 1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31)(제 1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1)), 제 2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32)(제 2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2)), …, 제 n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3n)(제 n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n)) 및, LFE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30)(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0))로 분리시킨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참조 부호 "3n"은 33 내지 39의 범위 이내의 소정의 숫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 채널들의 숫자는 2 이상의 소정의 정수이다.
승산기(5a)는 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0)를 승산 계수 M1과 승산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30')를 출력한다. 승산기(5b)는 제 2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2)를 승산 계수(M2)와 승산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32')를 출력한다. 제 2 채널은 지정된 채널(specified channel)로서 정의된다.
S102 : 가산기(7)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30')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32')를 가산하고, 부가 신호로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70)를 출력한다.
S103 : D/A 변환기(42)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70)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로 변환한다. D/A 변환기들(41 내지 4n)(D/A 변환기(42) 제외)은 각각 제 1 내지 제 n 디지털 오디오 신호(31 내지 3n)(제 2 디지털 오디오 신호(32) 제외)를 (n-1)개의 타입들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31' 내지 3n')(32' 제외)로 변환한다.
S104 : 제 1 신호 처리부(1)는 저역 필터(LPF; 도 1a에는 도시안됨)를 포함하고, 따라서,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도록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의 저역 필터링을 수행한다. 그후, 제 1 신호 처리부(1)는 LFE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30")(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30"))를 출력한다.
S105 : 제 2 신호 처리부(2)는 고역 필터(HPF; 도 1a에는 도시안됨)를 포함하고, 따라서, 고주파 성분을 추출하도록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의 고역 필터링을 수행한다. 그후, 제 2 신호 처리부(2)는 제 2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32")(제 2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32"))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오디오 비트 스트림 신호(40)는 다중채널 정보를 포함한다. 다중채널 정보는저주파 성분을 재생하기 위한 LFE 채널의 정보와,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주파수를 재생하기 위한 일반적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한다. 채널들의 수가 5.1인 경우에, 일반적 채널들의 수는 5이다. LFE 채널의 정보는 주로 주파수 성분으로서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지만, 실질적으로 단지 저주파 성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저주파 성분을 위한 주파수 대역은 각 코딩 시스템에 대하여 규정된다. 예로서, 돌비 디지털 시스템의 경우에, 저주파 성분을 위한 주파수 대역이 120Hz 또는 그이하이며, DTS (Digital Theater Systems)의 경우에는 240Hz 또는 그이하이다. 제 1 내지 제 n 채널의 정보는 각 코딩 시스템에 대하여 규정되는 재생될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정보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n 채널의 정보는 적어도 저주파 성분을 가진 주파수 대역과 같거나 그 이상인 주파수 대역의 성분을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에서,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일반적 채널들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n=5이며, 제 1 채널은 L 채널이고, 제 2 채널은 C 채널, 제 3 채널은 R 채널, 제 4 채널은 SL 채널, 제 5 채널은 SR 채널이다. 제 1 실시예에서, LFE 채널의 신호와 가산되는 지정된 채널 신호는 채널 신호가 LFE 채널의 신호와 가산될 때 마다 얻어진다. LFE 채널 신호는 복수의 일반적 채널들의 신호들에 가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5.1 채널들의 오디오 비트 스트림 신호(40)는 디코더(6)에 의해 디코딩되고, 제 1 내지 제 5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31 내지 35)과, 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0)로 분리된다. 역시 상술된 바와 같이, 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0)는 승산기(5a)에 의해 승산 계수(M1)와 승산되고, 제 2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2)는 승산기(5b)에 의해 승산 계수(M2)와 승산된다. M1 및M2의 값들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임의로 결정된다. 승산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30' 및 32')은 가산기(7)에 의해 함께 가산된다.
제 2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2)는 저주파 성분과 동일한 주파수 성분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승산 계수들(M1 및 M2)은 가산기(7)에 의해 얻어진 부가 결과가 오버플로우하지 않도록 결정되는 것이 적합하다.
제 2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2)와 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0)가 오버플로우를 회피하도록 디코더(6) 등에 의해 조정되는 경우에, 승산기들(5a 및 5b)이 생략될 수 있다.
가산기(7)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30)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32)의 가산의 결과로서 얻어진 디지털 오디오 신호(70)는 D/A 변환기(42)로 입력되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로 변환된다. 병렬적으로, 제 1 내지 제 5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31 내지 35)(제 2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2) 제외)은 각각 D/A 변환기들(41 내지 45)(D/A 변환기(42) 제외)로 입력되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31' 내지 35')(32' 제외)로 변환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31' 내지 35')(32' 제외)은 처리되지 않고 출력된다. D/A 변환기(42)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는 제 1 신호 처리부(1)와 제 2 신호 처리부(2)로 입력된다.
도 3은 제 1 신호 처리부(1)의 구조를 도시한다. 제 1 신호 처리부(1)는 도 3에 도시된 저역 필터(LPF)(10)를 포함한다. 도 4는 LPF(10)의 예시적인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아날로그 회로에 의해 실현되었을 때, LPF(10)는 도 5에 도시된 회로 구조를 갖는다. LPF(10)는 연산 증폭기(11; operational amplifier), 저항들(R1 및 R2), 및 커패시터들(C1 및 C2)을 포함한다. 커패시터(C1)는 피드백부에 제공된다.
제 1 신호 처리부(1)는 상술한 LPF(10)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로부터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고, 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30")를 출력한다. 보다 명확하게는, LPF(10)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의 고주파 성분(도 4에 도시된 200Hz 또는 그이상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다. 본 명세서에서, 고주파 성분의 제거는 고주파 성분의 감쇠를 포함한다. LPF(10)에 의해 제거된 주파수 성분은 약 200Hz 이상의 주파수 성분인 것이 적합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신호 처리부(1)의 LPF(10)의 입력부 또는 출력부는 레벨 조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신호 처리부(2)는 승산 계수들(M1 및 M2)의 값들에 따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로부터 제 2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32")를 발생시킨다. 도 6은 제 2 신호 처리부(2)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신호 처리부(2)는 고역 필터(HPF; 14)와, 출력 스위치(15) 및 승산기(16)를 포함한다. 도 7은 HPF(14)의 예시적인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아날로그 회로에 의해 실현되었을 때, HPF(14)는 도 7에 도시된 회로 구성을 갖는다. HPF(14)는 연산 증폭기(12), 저항들(R3 및 R4) 및, 커패시터들(C3 및 C4)을 갖는다. 저항(R3)은 피드백부에 제공된다.
제 2 처리부(2)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는 HPF(14)와 출력 스위치(15)로 주어진다. HPF(14)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의 저주파 성분(도 4에 도시된 200Hz 또는 그이하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따라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를 발생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저주파 성분의 제거는 저주파 성분의 감쇠를 포함한다. HPF(14)에 의해 제거된 주파수 성분은 약 200Hz 또는 그이하의 주파수 성분인 것이 적합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PF(14)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는 출력 스위치(15)로 입력된다. 출력 스위치(15)는 외부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설정들에 따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를 선택하고, 선택된 신호를 승산기(16)로 출력한다. 승산기 (16)는 선택된 신호를 승산 계수(M3)(=1/M2)와 승산하고, 그 결과를 제 2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32")로서 출력한다.
제 1 실시예의 신호 처리 장치(100)는 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30") 출력 모드 또는 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30") 비출력 모드 중 어느 한쪽일 수 있다. LFE 채널을 위한 스피커가 가용한 경우에, 제 1 신호 처리부(1)는 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30")를 출력한다. 이 경우에, 제 2 신호 처리부(2)의 출력 스위치(15)는 HPF(14)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를 선택 및 출력할 수 있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는 승산기(16)를 경유하여 C 채널(제 2 채널)을 위한 스피커로 공급된다.
LPF 채널을 위한 스피커가 가용하지 않은 경우에, 제 1 신호 처리부(1)는 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30")를 출력하지 않는다. C 채널을 위한 스피커가 저주파 성분을 재생할 수 있는 경우에, 출력 스위치(15)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70')를 선택한다. 따라서, C 채널로부터 출력되게 되는 음향과 작은 지향성을 가지는 저주파수 음향이 C 채널을 위한 스피커로부터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C 채널을 위한 스피커가 시스템 디자인으로 인해 저주파 성분을 재생할 수 없는 경우에, 출력 스위치(15)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를 선택한다. 따라서, 저주파 성분이 제거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가 C 채널을 위한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승산기(16)는 출력 스위치(15)로부터의 신호를 승산 계수 (M3)와 승산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32")와 다른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 (31' 내지 3n'(32' 제외) 및, 30") 사이의 만족스러운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승산 계수(M3)는 1/M2로 설정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승산기(16)는 출력 스위치(15) 이후의 스테이지에 제공되지만, 제 2 신호 처리부(2) 이전의 스테이지에 제공될 수도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가 제공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디지털 오디오 신호(30)내에 포함된 저주파 성분과 디지털 오디오 신호(32)내에 포함된 저주파 성분을 포함함)가 제 1 신호 처리부(1)에 의해 추출되고, 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30")로서 출력된다. 따라서, LFE 채널을 위한 스피커가 가용한 경우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0')의 저주파 성분은 LFE 채널을 위한 스피커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저주파수 음향이 낮은 지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전체 음향 품질은 저주파수 음향이 어느 스피커에 의해 출력되는지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 승산 계수와 승산된 결과로서 얻어진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지정된 채널의 신호에 가산되고, 상기 지정된 채널의 신호도 역시 승산 계수와의 승산의 결과로서 얻어진다. 결과적인 신호는 D/A 변환되고, 그후, 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저역 필터에 의해 발생된다. 이런 구조로 인해, LFE 채널을 위한 D/A 변환기는 음향 품질을 훼손시키지 않고 생략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n+1개의 타입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은 n 개의 D/A 변환기들에 의해 n개의 타입들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저역 필터와 고역 필터가 필요하다. 저역 필터와 고역 필터가 온화한 주파수 특성들을 가지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신호 처리 장치는 LFE 채널을 위한 D/A 변환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비해 현저히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2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200)를 도시한다. 신호 처리 장치(200)는 제 1 신호 처리부(1)와, 제 2 신호 처리부(2')와,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3)와, D/A 변환기들(61 및 62)과, 승산기들(5a, 5c 및, 5d)과, 디코더(6) 및, 가산기들(7a, 7b 및, 7c)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 장치(200)는 두 개의 D/A 변환기들(61, 62)로 신호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3개의 D/A 변환기들을 필요로 하는 도 9에 도시된 종래의 신호 처리 장치(300)에 비해 D/A 변환기들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신호 처리 장치(200)의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신호 처리 장치(200)의 동작을 도 2b를 참조로 설명한다.
S201 : 디코더(6)는 외부 기기로부터 오디오 비트 스트림(40)을 수신한다. 디코더(6)는 오디오 비트 스트림 신호(40)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한다(선형 PCM). 그후, 디코더(6)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 1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 (31)(제 2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2), …, 제 n(n≥2)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 (3n) 및, 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0)로 분리한다. 5.1 채널 시스템의 경우에, n=5이다.
S202 :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3)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31, 32, …, 3n 및, 30)을 수신하고, 다운-믹싱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다운-믹싱 신호 처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5.1 채널 시스템에서,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3)는 예로서, 도 11을 참조로 상술된 다운-믹싱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3)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31, 32, …, 3n 및 30;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 51 내지 55 및 50에 대응함)을 수신하고, 승산기들(8a, 8b, 8c, 8d, 8e 및, 8f)과, 가산기들(9a 및 9b)을 이용하여 다운-믹싱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3)는 L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6)와, R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7) 및, 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8)를 출력한다.
승산기(5a)는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3)로부터의 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8)와 승산 계수(M1)를 승산함으로써 진폭 조정을 수행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58')를 출력한다. 승산기(5c)는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3)로부터의 L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6)를 승산 계수(M4)와 승산함으로써 진폭 조정을 수행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56')를 출력한다. 승산기(5d)는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3)로부터의 R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7)를 승산 계수(M4)와 승산함으로써 진폭 조정을 수행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57')를 출력한다.
S203 : 가산기(7a)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58')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56')를 가산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71)를 부가 신호로서 출력한다.
S204 : 가산기(7b)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58')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57')를 가산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72)를 부가 신호로서 출력한다.
S205 : D/A 변환기(61)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71)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1')로 변환한다.
S206 : D/A 변환기(62)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72)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2')로 변환한다.
S207 : 가산기(7c)는 D/A 변환기(61)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1')를 D/A 변환기(62)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2')와 가산하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3)를 부가 결과로서 출력한다.
S208 : 제 1 신호 처리부(1)는 LPF를 포함하고, 따라서,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도록 가산기(7c)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3)의 저역 필터링을 수행하고, LFE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83)(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83))를 출력한다.
제 2 신호 처리부(2')는 신호 처리부들(21a 및 21b)을 포함한다. 신호 처리부들(21a 및 21b) 각각은 HPF를 포함한다.
S209 : 신호 처리부(21a)는 저주파 성분을 제거하도록 D/A 변환기(61)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1')의 고역 필터링을 수행하고, 따라서, L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81)(L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81))를 출력한다.
S210 : 신호 처리부(21b)는 저주파 성분을 제거하도록 D/A 변환기(62)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2')의 고역 필터링을 수행하고, 따라서, R 챈러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82)(R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82))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 장치(20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신호 처리 장치(200)는 5.1 채널 오디오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2.1 채널들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한다.
제 1 실시예에서, 오디오 비트 스트림 신호(40)는 다중채널 정보를 포함한다. 다중채널 정보는 저주파 성분을 재생하기 위한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정보와,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주파수 성분들을 재생하기 위한 일반적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한다. 채널들의 수가 5.1인 경우에, 일반적 채널들의 수는 5이다. 제 1 실시예에서, 제 1 내지 제 n 채널은 일반적 채널들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n=5이고, 제 1 채널은 L 채널, 제 2 채널은 C 채널, 제 3 채널은 R 채널, 제 4 채널은 SL 채널 및 제 5 채널은 SR 채널이다.
5.1 채널들의 오디오 비트 스트림 신호(40)는 디코더(6)에 의해 디코딩되고, 제 1 내지 제 5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31 내지 35)과, 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30)로 분리된다.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3)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31 내지 35 및, 30)(디지털 오디오 신호들(51 내지 55 및, 50)에 대응)을 수신하고, 승산기들(8a 내지 8f)과, 가산기들(9b 및 9b)을 이용하여 예로서, 도 11을 참조로 상술된 바와 같은 다운-믹싱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3)는 L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6), R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7) 및, 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8)를 출력한다.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3)로부터의 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8)는 승산기(5a)에 의해 승산 계수(M1)와 승산된다. 승산기(5a)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58')를 출력한다.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3)로부터의 L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6)는 승산기(5c)에 의해 승산 계수(M4)와 승산된다. 승산기(5c)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56')를 출력한다.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3)로부터의 R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7)는 승산기(5d)에 의해 승산 계수(M4)와 승산된다. 승산기(5d)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57')를 출력한다. 승산기(5c)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56') 및 승산기(5a)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58')은 가산기(7a)에 의해 함께 가산되고, 가산기(7a)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71)를 출력한다. 승산기(5d)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57')과, 승산기(5a)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58')은 가산기(7b)에 의해 함께 가산되고, 가산기(7b)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72)를 출력한다.
M1 및 M4의 값들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임의로 결정된다. L 및 R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56 및 57)은 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58)와 동일한 주파수 성분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승산계수들(M1 및 M4)은 가산기들(7a 및 7b)에 의해 얻어진 가산 결과들이 오버플로우하지 않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산기(7a)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71)와 가산기(7b)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72)는 각각 D/A 변환기들(61 및 62)로 입력되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71' 및 72')로 변환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71' 및 72')은 가산기(7c)와 제 2 신호 처리부(2')에 주어진다. 가산기(7c)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71' 및 72')을 가산하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3)를 출력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3)는 제 1 신호 처리부(1)에 주어진다.
제 1 신호 처리부(1)는 도 3, 4 및 5를 참조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LPF(10)를 포함한다. 제 1 신호 처리부(1)는 상기 특성들을 가지며, 제 1 실시예의 그것들과는 서로다른 타입들의 신호들을 수신 및 출력하는 것을 제외하면 제 1 실시예에 설명된 동작을 수행한다. 제 2 실시예에서, 제 1 신호 처리부(1)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3)를 수신하고,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며, 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83)를 출력한다.
제 2 신호 처리부(2')의 신호 처리부(21a)는 승산 계수들(M1 및 M4)의 값들에 따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1')로부터 L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81)를 발생시킨다. 제 2 신호 처리부(2')의 신호 처리부(21b)는 승산 계수들(M1 및 M4)의 값에 따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2')로부터 R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82)를 발생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부들(21a 및 21b)은 각각 HPF(14)와, 출력 스위치(15) 및 승산기(16)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부들(21a 및 21b)은 각각 상기 특성들을 가지며, 제 1 실시예의 그것들과는 서로다른 형태의 신호들을 수신 및 출력하는것을 제외하면, 도 6, 7 및 8을 참조로 제 2 신호 처리부(2)에 관하여 제 1 실시예에 설명된 동작을 수행한다.
제 1 실시예의 제 2 처리부(2)에서, 신호 처리부(21a)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1')는 HPF(14)와 출력 스위치(15)에 주어진다. HPF(14)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1')의 저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출력 스위치(15)는 외부 기기에 의해 수행된 설정들에 따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1')를 선택하거나 또는 HPF(14)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고, 선택된 신호를 승산기(16)로 출력한다. 승산기(16)는 선택된 신호를 승산 계수(M5)(=1/M4)와 승산하고, 결과를 L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81)로서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21b)에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2')는 HPF(14) 및 출력 스위치(15)에 주어진다. HPF(14)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2')의 저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출력 스위치(15)는 외부 기기에 의해 수행된 설정들에 따라 HPF(14)로의 출력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72')를 선택하고, 선택된 신호를 승산기(16)로 출력한다. 승산기(16)는 선택된 신호를 승산 계수(M5)(=1/M4)와 승산하고, 결과를 R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82)로서 출력한다.
제 2 실시예의 신호 처리 장치(200)는 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83)를 출력하는 모드 또는 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83)를 출력하지 않는 모드 중 어느 한쪽으로 존재할 수 있다. 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83)가 통상적인 LFE 채널 스피커 또는 소정의 다른 적절한 서라운드 스피커 유니트로부터 출력되는 경우에, 신호 처리부(21a 및 21b) 각각의 출력 스위치(15)는 HPF(14)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고, 승산기(16)에 선택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어떠한 통상적인 LFE 채널 스피커 또는 다른 적절한 서라운드 스피커 유니트도 가용하지 않고(즉, 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83)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L 및 R 채널을 위한 부가적인 스피커들이 저주파 성분을 재생할 수 있는 경우에, 신호 처리부(21a 및 21b)의 출력 스위치들(15)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71' 및 72')을 선택한다. 따라서, 저주파 성분이 L 및 R 채널들을 위한 스피커들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시스템 디자인으로 인해 L 및 R 채널들을 위한 스피커들 중 어느쪽도 저주파 성분을 재생할 수 없는 경우에, 신호 처리부들(21a 및 21b)의 출력 스위치들(15)은 저주파 성분들이 그들로부터 제거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81 및 82)을 출력하도록 HPF들(14)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할 수 있다.
각 신호 처리부들(21a 및 21b)의 승산기(16)는 출력 스위치(15)로부터의 신호를 승산 계수(M5)와 승산한다. 신호 처리 장치(200)의 채널들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 사이의 만족스러운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승산 계수 M5는 1/M4로 설정된다. 제 2 실시예에서, 승산기(16)는 출력 스위치(15) 이후의 스테이지에 제공되어 있지만, 이는 제 2 신호 처리부들(21a 및 21b) 이전의 스테이지에 제공될 수도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가 제공된다.
제 2 실시예에서, 각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71' 및 72')의 저주파 성분은 제 1 신호 처리부(1)에 의해 추출되고, 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83)로서 출력된다. 따라서, LFE 채널을 위한 스피커가 가용한 경우에, 저주파 성분(L 채널의 저주파 성분과 R 채널의 저주파 성분을 포함)이 LFE 채널을 위한 스피커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저주파수 음향이 적은 지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전체 음향 품질은저주파수 음향이 어느 스피커에서 출력되는가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 2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승산 계수와의 승산의 결과로서 얻어진 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L 및 R 채널들의 각각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 가산되며, 이는 또한 승산계수와의 승산의 결과로서 얻어진 것이다. 결과적인 신호는 D/A 변환되고, 그후, 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저역 필터에 의해 발생된다. 이런 구조로 인하여, LFE 채널을 위한 D/A 변환기가 음향 품질을 열화시키지 않고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저역 필터와 고역 필터가 필요하다. 저역 필터와 고역 필터가 온화한 주파수 특성들을 가지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신호 처리 장치는 LFE 채널을 위한 D/A 변환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비해 현저히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기록 매체)
제 1 및 제 2 실시예들에서 수행된 신호 처리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기록 매체상에 기록될 수 있다. 기록 매체로서, 예로서, 플로피 디스크 또는 CD-ROM 같은 소정의 컴퓨터 판독형 기록 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신호 처리 프로그램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소정의 컴퓨터에 설치함으로써, 컴퓨터가 신호 처리 장치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신호 처리는 컴퓨터에 내장된, 또는, 컴퓨터에 연결된 신호 처리 장치에의해 수행될 수 있거나, 적어도 신호 처리의 일부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c는 이런 신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90)의 일 예시적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컴퓨터(90)는 CPU(91), 컴퓨터(90)가 신호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디스크(96)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기 위한 디스크 구동 장치(92), 디스크 구동 장치(92)에 의해 판독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93), 오디오 비트 스트림 신호(40)와 오디오 비트 스트림 신호(40)의 신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복수의 채널들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97)을 수신 및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부(94) 및, 버스(95)를 포함한다. 컴퓨터(90)에서, 제 1 및 제 2 실시예들에 기술된 신호 처리가 CPU(91)와 메모리(93)에 의해 수행된다. 메모리(93)는 하드 디스크 등일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로서, 기록 디스크(96) 같은 기록 매체에 의해 제공되거나, 예로서 인터넷을 경유한 데이터 배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오디오 비트 스트림 신호(40)는 예로서, DVD 같은 기록 매체에 의해 제공되거나, 예로서 디지털 방송이나 인터넷을 경유한 데이터 배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다른 다양한 변형들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다중채널 신호들을 재생하도록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 시지털 신호 처리에 의해LFE 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다른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혼합된다. 혼합에 의해 얻어진 디지얼 오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 성분이 추출되고, 따라서, LFE 채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생성된다. 다른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D/A 변환의 결과로서 발생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제거하고, 그후, 결과적인 신호를 레벨 조정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 방식에서, LFE 채널 및 일반적 채널들의 높은 음향 품질을 유지하면서, D/A 변환기들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다중채널 신호들을 위한 고품질 신호 처리 장치가 저가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LFE 채널을 위한 D/A 변환기를 생략하고, 여전히, 다른 채널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저주파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Claims (23)

  1.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로서, 상기 스트림 신호는,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정보인,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서로다른 음원 위치들 (sound source positions)을 가지는, 상기 디코더와,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중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부와,
    상기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외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부가 신호를 n개의 타입들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하는 n개의 D/A 변환부들과,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부가 신호의 D/A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 1 신호 처리부와,
    상기 지정된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부가 신호의 D/A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 2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에 의해 발생된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진폭을 조정하는 승산부를 더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에 의해 발생된 상기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진폭을 조정하는 승산부를 더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는 저역 필터링 프로세스(low pass filtering process)인, 신호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는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 또는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all pass filtering process)중 하나인, 신호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 처리부는 상기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와 상기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신호 처리부로부터 저주파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가 선택되고, 상기 제 2 신호 처리부로부터 상기 저주파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때 상기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가 선택되는, 신호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n은 5이고, 상기 스트림 신호는 5.1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8.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로서, 상기 스트림 신호는,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정보인,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서로다른 음원 위치들을 가지는, 상기 디코더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와,
    제 1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는 제 1 가산부와,
    제 2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는 제 2 가산부와,
    상기 제 1 부가 신호를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D/A 변환부와,
    상기 제 2 부가 신호를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D/A 변환부와,
    제 3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는 제 3 가산부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제 4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 3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 1 신호 처리부와,
    상기 L 채널의 제 5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 2 신호 처리부와,
    상기 R 채널의 제 6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3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 3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진폭을 조정하는 승산부를더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에 의해 발생된 상기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진폭을 조정하는 승산부를 더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믹싱 신호 처리부에 의해 발생된 상기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진폭을 조정하는 승산부를 더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는 저역 필터링 프로세스인, 신호 처리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는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 또는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중 하나인, 신호 처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 처리부는 상기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와 상기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저주파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될 때 상기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가 선택되고, 상기 저주파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지 않을 때 상기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가 선택되는, 신호 처리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신호 처리는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 또는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중 하나인, 신호 처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신호 처리부는 상기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와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저주파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상기 제 3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될 때 상기 전역 필터링 프로세스가 선택되고, 상기 저주파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상기 제 3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지 않을 때 상기 고역 필터링 프로세스가 선택되는, 신호 처리 장치.
  17. 제 8 항에 있어서, n은 5이고, 상기 스트림 신호는 5.1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18.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트림 신호는,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정보인,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서로다른 음원 위치들을 가지는, 상기 디코딩 단계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중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외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부가 신호를 n개의 타입들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 신호의 D/A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가 신호의 D/A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지정된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방법.
  19.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트림 신호는,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정보인,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서로다른 음원 위치들을 가지는, 상기 디코딩 단계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다운-믹싱하는 단계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1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2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부가 신호를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부가 신호를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3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3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제 4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L 채널의 제 5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3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R 채널의 제 6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방법.
  20.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는,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트림 신호는,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정보인,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서로다른 음원 위치들을 가지는, 상기 디코딩 단계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중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외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부가 신호를 n개의 타입들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 신호의 D/A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가 신호의 D/A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지정된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21.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신호 처리는,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트림 신호는,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정보인,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서로다른 음원 위치들을 가지는, 상기 디코딩 단계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다운-믹싱하는 단계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1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2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부가 신호를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부가 신호를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3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3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제 4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L 채널의 제 5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3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R 채널의 제 6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22.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신호 처리는,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트림 신호는,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정보인,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서로다른 음원 위치들을 가지는, 상기 디코딩 단계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중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외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부가 신호를 n개의 타입들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 신호의 D/A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가 신호의 D/A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지정된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23.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신호 처리는,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 1 내지 제 n(n≥2)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트림 신호는,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정보인, 상기 제 1 내지 제n 채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은 서로다른 음원 위치들을 가지는, 상기 디코딩 단계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채널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다운-믹싱하는 단계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L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1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R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2 부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부가 신호를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부가 신호를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그에의해 제 3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3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1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저주파 효과 채널의 제 4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2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L 채널의 제 5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제 3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그에의해 상기 R 채널의 제 6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02-7005517A 2000-08-29 2001-08-27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KR100465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58533 2000-08-29
JP2000258533 2000-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744A KR20020042744A (ko) 2002-06-05
KR100465567B1 true KR100465567B1 (ko) 2005-01-13

Family

ID=1874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517A KR100465567B1 (ko) 2000-08-29 2001-08-27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36838B2 (ko)
EP (1) EP1371265B1 (ko)
KR (1) KR100465567B1 (ko)
CN (1) CN100381016C (ko)
CA (1) CA2388097C (ko)
DE (1) DE60137371D1 (ko)
WO (1) WO200201976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4497B2 (en) 2005-07-20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iv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KR101281307B1 (ko) 2005-10-10 2013-07-03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머신 상태 모니터링 방법, 모니터링 시스템 및 주파수 정류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6787B2 (en) * 2001-05-04 2006-10-03 Agere Systems Inc. Perceptual synthesis of auditory scenes
US7644003B2 (en) 2001-05-04 2010-01-05 Agere Systems Inc. Cue-based audio coding/decoding
US7583805B2 (en) * 2004-02-12 2009-09-01 Agere Systems Inc. Late reverberation-based synthesis of auditory scenes
US6804565B2 (en) * 2001-05-07 2004-10-12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ata-driven software architecture for digital sound processing and equalization
US7451006B2 (en) * 2001-05-07 2008-11-1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ound processing system using distortion limiting techniques
US7447321B2 (en) * 2001-05-07 2008-11-04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ound processing system for configuration of audio signals in a vehicle
CA2773294C (en) * 2002-05-03 2013-03-12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ound detection and localization system
KR20040060718A (ko) * 2002-12-28 2004-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스트림 믹싱 방법, 그 장치 및 그 정보저장매체
US7805313B2 (en) * 2004-03-04 2010-09-28 Agere Systems Inc. Frequency-based coding of channels in parametric multi-channel coding systems
JP2005341257A (ja) 2004-05-27 2005-12-08 Yamaha Corp コードレススピーカ用アダプタ、コードレススピーカ用送信機およびオーディオアンプ
US8204261B2 (en) * 2004-10-20 2012-06-1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Diffuse sound shaping for BCC schemes and the like
US7720230B2 (en) * 2004-10-20 2010-05-18 Agere Systems, Inc. Individual channel shaping for BCC schemes and the like
US7787631B2 (en) * 2004-11-30 2010-08-31 Agere Systems Inc. Parametric coding of spatial audio with cues based on transmitted channels
US7761304B2 (en) 2004-11-30 2010-07-20 Agere Systems Inc. Synchronizing parametric coding of spatial audio with externally provided downmix
US8340306B2 (en) * 2004-11-30 2012-12-25 Agere Systems Llc Parametric coding of spatial audio with object-based side information
US20090296943A1 (en) * 2004-12-14 2009-12-03 Bang & Olufsen A/S Reproduction of low frequency effects in sound reproduction systems
US7903824B2 (en) * 2005-01-10 2011-03-08 Agere Systems Inc. Compact side information for parametric coding of spatial audio
JP2007033507A (ja) * 2005-07-22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響再生装置
BRPI0707969B1 (pt) * 2006-02-21 2020-01-21 Koninklijke Philips Electonics N V codificador de áudio, decodificador de áudio, método de codificação de áudio, receptor para receber um sinal de áudio, transmissor, método para transmitir um fluxo de dados de saída de áudio, e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EP1885156B1 (de) * 2006-08-04 2013-04-24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örhilfe mit einem Audiosignalerzeuger
EP2090895B1 (en) * 2006-11-09 2011-01-05 Panasonic Corporation Sound source position detector
US9060094B2 (en) * 2007-09-30 2015-06-16 Optical Fusion, Inc. Individual adjustment of audio and video properties in network conferencing
US8954178B2 (en) * 2007-09-30 2015-02-10 Optical Fusion, Inc. Synchronization and mi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in network-based video conferencing call systems
JP4502059B2 (ja) * 2008-11-06 2010-07-14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
US8380334B2 (en) * 2010-09-07 2013-02-19 Linear Acoustic, Inc. Carrying auxiliary data within audio signals
CN103733516B (zh) * 2011-06-10 2017-10-13 技术研究及发展基金公司 接收机、发射机以及用于数字多子频带处理的方法
JP6276402B2 (ja) 2013-06-18 2018-02-07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オーディオ・レンダリングのためのベース管理
CN104519454B (zh) * 2013-09-26 2016-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音频信号输出方法及装置
WO2016090323A1 (en) 2014-12-05 2016-06-09 Prelude, Inc. Dcis recurrence and invasive breast cancer
EP3850368A4 (en) 2018-09-14 2022-11-23 Prelude Corporation PROCEDURE FOR SELECTING THE TREATMENT OF SUBJECTS AT RISK FOR INVASIVE BREAST CANC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5384A (en) * 1987-07-08 1989-01-19 Tokuriki Honten Kk Oxidation inhibiting solution
JP2852862B2 (ja) * 1994-02-01 1999-02-03 株式会社グラフィック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ラボラトリーズ Pcmオーディオ信号の変換方法と装置
JP2956545B2 (ja) * 1995-08-28 1999-10-04 ヤマハ株式会社 音場制御装置
JPH1021648A (ja) * 1996-06-28 1998-01-23 Toshiba Corp オーディオデータ再生方式、及びドライバ
US6052470A (en) * 1996-09-04 2000-04-1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System for processing audio surround signal
JP3788537B2 (ja) * 1997-01-20 2006-06-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音響処理回路
JP3415398B2 (ja) * 1997-08-07 2003-06-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
US6757659B1 (en) * 1998-11-16 2004-06-29 Victor Company Of Japan, Ltd.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4497B2 (en) 2005-07-20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iv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KR101281307B1 (ko) 2005-10-10 2013-07-03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머신 상태 모니터링 방법, 모니터링 시스템 및 주파수 정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81016C (zh) 2008-04-09
US20020055796A1 (en) 2002-05-09
EP1371265B1 (en) 2009-01-07
DE60137371D1 (de) 2009-02-26
US7236838B2 (en) 2007-06-26
KR20020042744A (ko) 2002-06-05
CA2388097A1 (en) 2002-03-07
EP1371265A2 (en) 2003-12-17
CA2388097C (en) 2004-11-23
WO2002019767A2 (en) 2002-03-07
CN1669357A (zh) 2005-09-14
WO2002019767A3 (en) 200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567B1 (ko)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US11501789B2 (en) Encoded audio metadata-based equalization
KR100636248B1 (ko) 보컬 제거 장치 및 방법
TWI489887B (zh) 用於喇叭或耳機播放之虛擬音訊處理技術
JP4732807B2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
KR100591008B1 (ko) 다지향성 오디오 디코딩
US8509464B1 (en) Multi-channel audio enhancement system
US5818941A (en) Configurable cinema sound system
US8386242B2 (en) Method, medium and apparatus enhancing a bass signal using an auditory property
US6928168B2 (en) Transparent stereo widening algorithm for loudspeakers
KR100522593B1 (ko) 다채널 입체음향 사운드 생성방법 및 장치
WO2006043413A1 (ja) 音声信号処理装置および音声信号処理方法
KR20130007439A (ko)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6882733B2 (en) Surround headphone output signal generator
JP4435452B2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1160997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JP2010114803A (ja) 音声処理装置
JP2006129372A (ja) 信号処理装置及び音響再生システム
JP2003009297A (ja) 信号処理回路および信号処理方法
KR100238080B1 (ko) 다채널오디오재생장치
JP2006319804A (ja) デジタルバスブースト装置及びバーチャルサラウンドデコーダ装置
JPH1141699A (ja) 音響処理回路
RU2384973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интезирования трех выходных каналов, используя два входных канала
JPH11136800A (ja) 信号処理回路
JPH1040653A (ja) デジタルビデオディスクプレイヤ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