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093B1 - 인쇄회로기판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093B1
KR100464093B1 KR10-2002-0013524A KR20020013524A KR100464093B1 KR 100464093 B1 KR100464093 B1 KR 100464093B1 KR 20020013524 A KR20020013524 A KR 20020013524A KR 100464093 B1 KR100464093 B1 KR 100464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excitation coil
coil
solenoid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3790A (ko
Inventor
최원열
고병천
나경원
최상언
강명삼
박건양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3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093B1/ko
Priority to US10/228,965 priority patent/US7212001B2/en
Priority to EP02021235A priority patent/EP1345036A3/en
Priority to TW091123884A priority patent/TWI223714B/zh
Priority to CNB02150380XA priority patent/CN1263050C/zh
Priority to JP2002362951A priority patent/JP3946629B2/ja
Publication of KR2003007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093B1/ko
Priority to JP2007029707A priority patent/JP2007121318A/ja
Priority to US11/711,673 priority patent/US7407596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4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the flux-gate principle
    • G01R33/05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the flux-gate principle in thin-film el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4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the flux-gate princip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10T29/49021Magnetic recording reproducing transducer [e.g., tape head, core, etc.]
    • Y10T29/49032Fabricating head structure or component thereof
    • Y10T29/4906Providing win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Abstract

인쇄회로기판(Print Circuit Board)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가 개시된다. 자계검출소자는 PCB기판에 폐자로를 구성하도록 두 개의 바 형태의 연자성코어를 형성하고, 두 바를 '8'자 형태로 권선한 형상을 갖는 결합형 구조 또는 각 바를 분리하여 권선한 형상을 갖는 분리형 구조를 갖도록 금속막으로 여자코일을 형성한다. 그리고 여자코일 위에 적층하여 두 바를 솔레노이드 형태로 한꺼번에 권선한 구조 또는 각 바를 분리하여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금속막으로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PCB기판 내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는 양산성이나 비용면에서 우수하고, 초소형이면서도 폐자로를 구성하기 때문에 자속의 누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면서, 차동 구동을 이용한 자계 검출을 통해 고감도 특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Fluxgate sensor integrated in print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계를 검출하는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CB기판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에 관한 것이다.
자계검출소자는 눈이나 귀와 같은 사람의 감각기관으로 직접 느낄 수는 없지만 다양한 물리적 현상을 통해 그 존재가 입증된 자기에너지를 사람이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한 장치이다. 그러한 자계검출소자로서, 연자성체와 코일을 이용한 자기센서가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자기센서는 비교적 큰 봉형의 코어(core) 또는 연자성리본으로 형성된 환형 코어에 코일을 감아 구현한다. 또한, 측정자계에 비례하는 자계를 얻기 위해서 전자회로가 이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계검출소자는 큰 봉형의 코어 또는 연자성 리본에 의한 링형의 코어에 코일이 권선되어 이용되기 때문에 고가의 제작비를 필요로 하며, 시스템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자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변화 및 검출자계는 코어에 의한 자속누설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고감도의 자계 검출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초소형이면서 보다 정확하게 자계를 검출할 수 있도록 PCB기판상에 집적한 고감도의 자계검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측정자계가 영(zero)일 때, 자속변화 검출용 코일에 유도파형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계검출소자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f는 도 1에 보인 자계검출소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3a 내지 및 도 3m은 도 1에 보인 모식적인 자계검출소자의 Y-Y'선에 따른 제조공정 단면도,
도 4a는 동일 평면상에 평행하게 형성한 두개의 연자성코어에 '8'자 형태의 결합형 구조를 갖는 여자코일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두 연자성코어에 솔레노이드 형태로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4c는 동일 평면상에 형성한 사각링 형태의 연자성코어에 '8'자 형태의 결합형 구조를 갖는 여자코일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4d는 도 4c의 연자성코어에 솔레노이드 형태로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PCB기판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동일 평면상에 평행하게 형성한 두개의 연자성코어에 각각 분리하여 권선한 형태의 분리형 구조를 갖는 여자코일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두 연자성코어를 솔레노이드 형태로 감고 있는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6c 동일 평면상에 형성한 사각링 형태의 연자성코어의 양 변에 각각 분리하여 권선한 형태의 분리형 구조를 갖는 여자코일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
도 6d는 도 6c의 연자성코어 양 변을 솔레노이드 형태로 감고 있는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연자성코어 3: 여자코일
4: 자계변화검출용코일 21, 23, 26, 30, 33: 동판
22, 25, 29, 32: 프리프래그(prepreg)
24: 연자성체막 25, 28: 감광성도포제
27, 31: 관통홀 34: 패드
35: 금(gol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계검출소자는, PCB기판에 폐자로를 구성하도록 형성된 연자성코어; 상기 연자성코어를 권선한 형태의 금속막으로 형성된 여자코일; 및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연자성코어를 권선한 형태의 금속막으로 형성된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자성코어는 동일 평면상에 평행한 두개의 바 형태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두 바는 길이방향이 자계검출축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한편, 상기 연자성코어는 사각링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연자성코어는 두개의 바 형태로 형성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을 자계검출축 방향으로 형성한다.
상기 여자코일은 상기 두 바를 교번하면서 '8'자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또 다르게는 상기 두 바를 각각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자성코어를 사각링의 형태로 형성한 경우, 상기 여자코일은 자계검출축방향으로 위치한 대향된 양 변을 교번하면서 '8'자 형태로 권선한 구조 또는 상기 대향된 양 변을 각각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연자성코어를 이루는 상기 두개의 바 또는 상기 사각링의 자계검출축방향으로 형성된 양 변을 교번하면서 '8'자 형태로 권선하거나 상기 두 바 또는 상기 사각링의 양 변을 각각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는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두개의 바 또는 상기 사각링의 양 변을 한꺼번에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다. 또 다르게는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두개의 바 또는 상기 사각링의 자계검출축방향으로 형성된 양 변을 '8'자 형태로 권선하거나 상기 두 바 또는 상기 사각링의 양 변을 각각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는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두개의 바 또는 상기 사각링의 양 변을 각각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계검출소자의 PCB제조방법은, 제1 금속판 위에 프리프레그와 연자성체막을 접합하는 단계; 상기 연자성체막을 에칭하여 연자성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자성코어 상부로 프리프레그와 제2 금속판을 접합하여 제1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연자성코어로부터 연장된 양측에 각각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관통홀 각각을 도금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양면에 에칭을 통해 여자코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여자코일 상부로 프리프레그와 제3 금속판을 접합하여 제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제1 관통홀 외곽으로 제2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관통홀을 도금하는 단계; 상기 제2 기판 양면에 에칭을 통해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 상부로 프리프레그와 제4 금속판을 접합하여 제3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기판 양면의 에칭을 통해 전기적인 통전을 위한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 기판 상의 자계검출소자를 이루는 각 부품을 형성하기 위한 에칭과정 이전에 감광성 도포제와 노광현상을 이용한 상기 각 부품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패드를 형성한 후, 상기 패드에 금을 도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PCB기판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연자성코어를 검출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반자계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이 연자성코어를 감고 있는 여자코일 위에 적층되어 권선된 구조를 통해 자속변화검출용 코일에서 유도파형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CB기판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자계검출소자는 두개의 평행한 바 형태의 제1 및 제2 연자성코어(1)(2)를 여자코일(3)이 '8'자 형태로 권선되어 있으며, 자계변화검출용코일(4)이 여자코일(3) 위로 제1 및 제2 연자성코어(1)(2)를 한꺼번에 감고있다.
위와 같이 두개의 바를 '8'자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편의상 '결합형 구조'라 명명한다. 그리고 하기에 설명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형태인 사각링의 형태의 연자성코어에 대해서도 동일한 권선구조에 대하여 '결합형 구조'로 명명한다. 또한, 위의 두개의 바 또는 사각링의 대향된 양 변 각각을 권선한 구조를 '분리형 구조'라고 명명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도 1에 보인 자계검출소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2a는 제1 연자성코어(1)에서 발생된 자계의 파형도, 도 2b는 제2 연자성코어(2)에서 발생된 자계의 파형도, 도 2c는 제1 연자성코어(1)에서 발생된 자속밀도의 파형도, 도 2d는 제2 연자성코어(2)에서 발생한 자속밀도의 파형도, 그리고 도 2e 및 도 2f는 자계변화검출용코일에 유기되는 제1 및 제2 유기전압(Vind1,Vind2)과 제1 및 제2 유기전압의 합(Vind1+Vind2)을 각각 나타낸파형도이다.
자계검출소자는 도 1과 같이 여자코일(3)이 2개의 연자성코어(1)(2)에 '8'자 형태로 감기면, 교류의 여자전류에 의해 각 코어(1)(2) 내부의 자계 'Hext(외부자계) + Hexc(여자코일에 의한 자계)'와 'Hext - Hexc' 및 자속밀도 'Bext(외부자계에 의한 자속밀도) + Bexc(여자코일에 의한 자속밀도)'와 'Bext - Bexc'가 서로 역방향으로 발생한다(도 2a, 2b, 2c, 2d 참조). 한편, 자계변화검출용코일(4)은 2개의 코어(1)(2) 각각에서 발생하는 자속변화의 합을 취하도록 감겨있으며, 여자교류전류에 의한 전자유도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변화를 검출한다. 이때, 자계변화검출용코일(4)에서 검출되는 유기전압은, 2개의 코어(1)(2) 각각의 내부 자계가 역방향이기 때문에 대칭적으로 발생한 두 유기전압 'Vind1', 'Vind2'의 발생전압이 상쇄되어 검출된다(도 2f). 즉, 각 코어(1)(2) 축방향으로부터 외부자계 'Hext'는 두 코어(1)(2)에 대해 동일방향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여자자계 'Hexc'라고 할 때, 두 코어(1)(2) 각각의 내부 자계는, 'Hext + Hexc'와 'Hext - Hexc'가 된다. 이때, 도 2e에 나타낸 것처럼 자계변화검출용코일에 각각 전압(Vind1, Vind2)이 유기되며, 유기전압(Vind1, Vind2)을 측정하므로서, 외부자계 'Hext'의 크기를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PCB기판에 집적된 자계 검출소자에 있어서는, 2개의 연자성코어(1)(2)와 '8'자 형태의 결합형 구조를 갖는 여자코일(3)과, 2개의 연자성코어(1)(2)에서 발생하는 자속변화의 합을 얻도록 솔레노이드 형태로 감은 구조의 자계변화검출용코일(4)을 여자코일(3) 위로 적층하는 구조가 중요하다. 여기서, 자계변화검출용코일(4)은 여자코일(3) 위로 2개의 연자성코어(1)(2)를 각각 권선한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자계검출소자의 구조는, 외부자계 'Hext'가 없을 때, 연자성코어(1)(2)로부터 발생된 자계에 의한 유기파형을 상쇄하며, 여자코일에 의해서 발생된 자속은 연자성코어에서 폐자로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한편, 도 1에 보인 연자성코어는 사각링(retangular-ring)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사각링의 양 변에 '8'자 형태로 여자코일을 권선하고,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을 사각링의 양 변에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을 사각링의 양 변에 각각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나의 바 형태의 코어에 여자코일과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을 배치하는 것으로도 자계검출은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외부자계가 없어도 검출코일에는 큰 여자코일에 의한 유기전압 파형이 발생하여 증폭, 필터링 등의 검출코일 출력에 대한 신호처리가 번거롭게 된다. 따라서 두개의 바 코어나 하나의 사각링 형태 코어를 사용하는 것이 신호처리상에 큰 장점이 있다.
도 3a 내지 도 3m은 자계검출소자의 PCB 기판 집적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로서, 도 1에 보인 모식적인 자계검출소자의 Y-Y'선 단면에 대한 제조공정도이다. 자계검출소자는, 먼저, 제1 동판(21) 위에 프리프레그(prepreg: 22)와 연자성체막(24)을 접합한다(도 3a). 그리고 연자성체막(24) 위에 감광성도포제(25)와 노광현상을 이용하여 연자성코어(1)(2)의 패턴을 형성한 후(도 3b), 감광성도포제를 이용하여 연자성체막을 에칭하는 것으로, 연자성코어(1)(2)의 형상을 구현한다(도3c). 이때, 연자성코어(1)(2)는 자계검출축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형성한다. 이후, 연자성코어 (1)(2) 상부로 다시 프리프레그(25)와 동판(26)을 접합한다(도 3d). 그리고 연자성코어가 형성된 제1 기판에 제1 및 제2 연자성코어(1)(2) 각각의 양측으로 드릴링을 통해 제1 관통홀(27)을 형성하고(도 3e), 형성된 제1 관통홀(27)의 벽을 도금한다(도 3f). 이후, 외부동판 양면에 감광성도포제(28)와 노광현상을 이용하여 여자코일패턴을 형성하고(도 3g), 감광성도포제를 이용하여 동판(26)을 에칭하는 것으로, 여자코일 배선을 형성한다(도 3h). 이때, 여자코일은 두 연자성코어를 '8'자 형태로 감은 결합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다. 이후, 여자코일 양면에 다시 프리프레그(29)와 동판(30)을 부착한다(도 3i). 그리고, 제1 관통홀(27) 형성위치 외곽으로 제2 관통홀(31)을 형성하고, 제2 관통홀의 벽을 도금하며, 감광성도포제와 노광현상을 이용하여 자계변화검출용코일배선을 형성한다(도 3j). 이때,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두 연자성코어를 함께 솔레노이드 형태로 감은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프리프레그(32)와 동판(33)을 다시 부착하고(도 3k), 노광현상과 에칭을 통해 외부와의 통전을 위한 패드(34)를 형성한다(도 3l). 그리고 동판으로 형성된 패드(34) 위에 금(35)을 도금한다(도 3m).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CB기판상에 구현된 자계검출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동일 평면상에 평행하게 형성한 두개의 연자성코어에 결합형 구조의 여자코일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연자성코어에 솔레노이드 형태로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이 감긴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c는 동일 평면상에 형성한 사각링 형태의 연자성코어에 결합형구조로 여자코일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d는 도 4c의 연자성코어에 솔레노이드 형태로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PCB기판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자계검출소자는 두개의 평행한 바 형태의 제1 및 제2 연자성코어(1)(2)에 여자코일(3)이 분리된 형태로 감겨 있으며, 즉, 분리형 구조를 하고 있으며, 자계변화검출용코일(4)이 여자코일(3) 위로 제1 및 제2 연자성코어(1)(2)를 한꺼번에 감고있다. 이때, 자계변화검출용코일(4)이 여자코일(3) 위로 제1 및 제2 연자성코어(1)(2)를 각각 권선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보인 연자성코어는 사각링(retangular-ring)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사각링의 자계변화검출축으로 위치한 양 변에 분리된 형태로 권선된 결합구조로 여자코일을 형성하고,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을 사각링의 양 변에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하여 유기전압을 상쇄시키는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을 사각링의 양 변에 각각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할 수도 있다.
위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계검출소자는 자계변화검출용코일에서 검출되는 유기전압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여자코일의 결합형 구조에서 검출되는 유기전압과 유사하며, 외부자계가 영(zero)일 때,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기전압을 상쇄시키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CB기판에 구현된 자계검출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동일 평면상에 평행하게 형성한 두개의 연자성코어에 분리형 구조의 여자코일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연자성코어에 솔레노이트 형태로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c 동일 평면상에 형성한 사각링 형태의 연자성코어에 분리형 구조의 여자코일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d는 사각링 형태의 연자성코어에 솔레노이드 형태로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상과 같은 자계검출소자는, 지구자기 검출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 지자기 변동 모니터(지진예측), 생체 자기계측, 금속재료의 결함검출 등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엔코드, 무접점 포텐션미터, 전류센서, 토크센서, 변위센서 등에 간접적으로 응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기판에 집적할 수 있는 자계검출소자는, 다른센서 및 회로와의 집적이 가능하여 시스템의 크기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초소형임에도 불구하고 각 코어 또는 각 변으로부터 유기되는 전압을 차동적으로 구동하여 외부자계에 따른 유기전압을 검출하게 되어 고감도로 미약한 외부자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봉형코어나 환형 코어에 비해 낮은 단가로 제조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이 용이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36)

  1. PCB기판에 폐자로를 구성하도록 형성된 연자성코어;
    상기 연자성코어를 권선한 형태의 금속막으로 형성된 여자코일; 및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연자성코어를 권선한 형태의 금속막으로 형성된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코어는 동일 평면상에 평행한 두개의 바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 바는 길이방향을 자계검출축 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코일은 상기 두 바를 교번하며, '8'자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두 바를 함께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두 바 각각을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코일은 상기 두 바 각각을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두 바를 함께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두 바를 각각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코어는 동일 평면상에 사각링(Rectangular-ring)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링은 길이방향을 자계검출축 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코일은 상기 사각링의 대향된 양 변을 교번하며, '8'자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대향된 양 변을 함께 솔레노이드 형태로 감은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대향된 양 변을 각각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코일은 상기 대향된 양 변을 각각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되며, 상기 대향된 양 변을 함께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되며, 상기 대향된 양 변을 각각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
  18. 제1 금속판 위에 프리프레그와 연자성체막을 접합하는 단계;
    상기 연자성체막을 에칭하여 연자성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자성코어 상부로 프리프레그와 제2 금속판을 접합하여 제1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연자성코어로부터 연장된 양측에 각각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관통홀 각각을 도금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양면에 에칭을 통해 여자코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여자코일 상부로 프리프레그와 제3 금속판을 접합하여 제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제1 관통홀 외곽으로 제2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관통홀을 도금하는 단계;
    상기 제2 기판 양면에 에칭을 통해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 상부로 프리프레그와 제4 금속판을 접합하여 제3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기판 양면의 에칭을 통해 전기적인 통전을 위한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코어는 동일 평면상에 평행한 두개의 바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두 바는 길이방향을 자계검출축 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코일은 상기 두 바를 교번하며, '8'자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두 바를 함께 솔레노이드 형태로 감은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두 바를 각각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코일은 상기 두 바를 각각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두 바를 함께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두 바를 각각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27.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코어는 사각링(Rectangular-ring)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링은 길이방향을 자계검출축 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코일은 상기 사각링의 대향된 양 변을 교번하며, '8'자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대향된 양 변을 함께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대향된 양 변을 각각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32.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코일은 상기 대향된 양 변을 각각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대향된 양 변을 함께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3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변화검출용코일은 상기 여자코일에 적층하여 상기 대향된 양 변을 각각 솔레노이드 형태로 권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35.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검출소자를 이루는 각 부품을 형성하기 위한 에칭과정 이전에 감광성 도포제와 노광현상을 통해 상기 각 부품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36.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에 금을 도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검출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2-0013524A 2002-03-13 2002-03-13 인쇄회로기판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464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524A KR100464093B1 (ko) 2002-03-13 2002-03-13 인쇄회로기판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0/228,965 US7212001B2 (en) 2002-03-13 2002-08-28 Fluxgate sensor integrated having pick-up coil mounted on excitation coil i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02021235A EP1345036A3 (en) 2002-03-13 2002-09-18 Fluxgate sensor integrated i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091123884A TWI223714B (en) 2002-03-13 2002-10-16 Fluxgate sensor integrated i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B02150380XA CN1263050C (zh) 2002-03-13 2002-11-08 集成在印刷电路板中的磁通闸门传感器及其制造方法
JP2002362951A JP3946629B2 (ja) 2002-03-13 2002-12-13 プリント回路基板に集積された磁界検出素子の製造方法
JP2007029707A JP2007121318A (ja) 2002-03-13 2007-02-08 プリント回路基板に集積された磁界検出素子
US11/711,673 US7407596B2 (en) 2002-03-13 2007-02-28 Fluxgate sensor integrated i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524A KR100464093B1 (ko) 2002-03-13 2002-03-13 인쇄회로기판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790A KR20030073790A (ko) 2003-09-19
KR100464093B1 true KR100464093B1 (ko) 2005-01-03

Family

ID=2776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524A KR100464093B1 (ko) 2002-03-13 2002-03-13 인쇄회로기판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212001B2 (ko)
EP (1) EP1345036A3 (ko)
JP (2) JP3946629B2 (ko)
KR (1) KR100464093B1 (ko)
CN (1) CN1263050C (ko)
TW (1) TWI2237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098B1 (ko) * 2002-03-14 2005-0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91467B1 (ko) * 2005-10-19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CoNbZr 자성코어를 포함하는 플럭스게이트 센서 및그 제작 방법
FR2900735B1 (fr) * 2006-05-04 2008-08-2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icromagnetometre de type fluxgate a bobinage d'excitation ameliore
EP2071346A1 (en) * 2007-12-14 2009-06-17 Liaisons Electroniques-Mecaniques Lem S.A. Thin film fluxgate sensor
DE102009028854B4 (de) 2009-08-25 2024-04-25 Robert Bosch Gmbh Spulendesign für miniaturisierte Fluxgate-Sensoren
US9159487B2 (en) 2012-07-19 2015-10-13 The Boeing Company Linear electromagnetic device
US9455084B2 (en) 2012-07-19 2016-09-27 The Boeing Company Variable core electromagnetic device
US9568563B2 (en) * 2012-07-19 2017-02-14 The Boeing Company Magnetic core flux sensor
US9947450B1 (en) 2012-07-19 2018-04-17 The Boeing Company Magnetic core signal modulation
US9389619B2 (en) 2013-07-29 2016-07-12 The Boeing Company Transformer core flux control for power management
DE102012214892A1 (de) * 2012-08-22 2014-02-2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agnetfeldsensor
CN102981131B (zh) * 2012-11-16 2015-06-17 上海交通大学 基于主辅线圈双重激励的低噪声微型平面磁通门传感器
US9651633B2 (en) 2013-02-21 2017-05-16 The Boeing Company Magnetic core flux sensor
US9291648B2 (en) 2013-08-07 2016-03-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ybrid closed-loop/open-loop magnetic current sensor
CN105137370A (zh) * 2015-08-27 2015-12-09 无锡伊佩克科技有限公司 一种低功耗的微型磁通门传感器
CN105068026A (zh) * 2015-08-27 2015-11-18 无锡伊佩克科技有限公司 一种磁通门传感器
CN106405452A (zh) * 2015-11-20 2017-02-15 北京纳特斯拉科技有限公司 一种芯片级封装的微型三轴磁通门磁力仪
US10403429B2 (en) 2016-01-13 2019-09-03 The Boeing Company Multi-pulse electromagnetic device including a linear magnetic core configuration
US10914796B2 (en) * 2016-02-05 2021-02-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grated fluxgate device with three-dimensional sensing
US9771261B1 (en) 2016-03-17 2017-09-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lective patterning of an integrated fluxgate device
US9618541B1 (en) * 2016-04-20 2017-04-11 Neilsen-Kuljian, Inc. Apparatus, method and device for sensing DC currents
EP3382409B1 (en) 2017-03-31 2022-04-27 AT & S Austria Technologie & Systemtechnik Aktiengesellschaft Component carrier with integrated flux gate sensor
DE102018000473A1 (de) * 2018-01-23 2019-07-25 Alexandre Imas Magnetsensor zur Messung der Komponenten des Statorfeldvektors in Drehstrommaschin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927A (ja) * 1995-02-27 1996-09-13 Shimadzu Corp 薄膜フラックスゲート磁気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07791A (ko) * 1998-07-07 2000-02-07 윤종용 차동 솔레노이드형 자계검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09751A (ko) * 1998-07-28 2000-02-15 윤종용 차동 스파이어럴형 자계검출소자 및 이를 채용한 자계검출모듈
JP2000284030A (ja) * 1999-03-31 2000-10-13 Minebea Co Ltd 磁気センサ素子
JP2000284029A (ja) * 1999-03-31 2000-10-13 Minebea Co Ltd 磁気センサ
JP2001004726A (ja) * 1999-06-22 2001-01-12 Tdk Corp 磁界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4576A (ko) 1971-09-04 1973-05-19
DE2224124C3 (de) * 1972-05-17 1978-09-0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Induktiver Wegabgriff
JPS54102563A (en) * 1978-01-28 1979-08-13 Hokkaido Daigakuchiyou Magnetic modulator designed to differentially output magnetic core noise
JPS56128592U (ko) * 1980-02-29 1981-09-30
JPS58154477U (ja) * 1982-04-09 1983-10-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ラツクスゲ−ト形磁気ヘツド
DE3776359D1 (en) * 1986-02-13 1992-03-12 Sony Corp Duennschichtmagnetkopf.
DE3738455A1 (de) * 1986-11-25 1988-06-01 Landis & Gyr Ag Anordnung zum messen eines flussarmen magnetfeldes
EP0363370B1 (en) * 1987-04-14 1993-09-29 The Secretary Of State For Defence A roll-independent magnetometer system
JPH01219580A (ja) 1988-02-26 1989-09-01 Tokai Rika Co Ltd 磁気センサ
JPH02213781A (ja) * 1989-02-14 1990-08-24 Shimadzu Corp 磁力計センサ
JPH02236181A (ja) * 1989-03-09 1990-09-19 Shuhei Asanuma フラックスゲート・センサー
US5199178A (en) * 1991-10-23 1993-04-06 Apac, Inc. Thin film compa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5370766A (en) * 1993-08-16 1994-12-06 California Micro Devices Methods for fabrication of thin film inductors, inductor networks and integration with other passive and active devices
JP2587596B2 (ja) 1993-09-21 1997-03-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路基板接続材とそれを用いた多層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3545074B2 (ja) 1994-12-27 2004-07-21 独立行政法人 科学技術振興機構 半導体基板に集積される磁気検出素子及び磁気検出モジュール
JP3353533B2 (ja) 1995-04-19 2002-12-03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磁力計
US5672967A (en) * 1995-09-19 1997-09-30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Compact tri-axial fluxgate magnetometer and housing with unitary orthogonal sensor substrate
KR100250225B1 (ko) * 1996-11-19 2000-04-01 윤종용 집적회로용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US6483304B1 (en) * 1997-03-13 2002-11-19 Ricoh Company, Ltd. Magnetic field probe having a shielding and isolating layers to protect lead wires extending between a coil and pads
JPH1123683A (ja) * 1997-06-27 1999-01-29 Shimadzu Corp 2軸フラックスゲート型磁気センサ
JP3600415B2 (ja) * 1997-07-15 2004-12-15 株式会社東芝 分布定数素子
JPH11118892A (ja) 1997-10-17 1999-04-30 Citizen Watch Co Ltd 磁気センサ
US6270889B1 (en) * 1998-01-19 2001-08-07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Making and using an ultra-thin copper foil
US6571639B1 (en) * 1999-03-01 2003-06-03 Luna Innovations, Inc. Fiber optic system
US6417665B1 (en) * 1999-03-05 2002-07-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patially integrating fluxgate manetometer having a flexible magnetic core
US6278272B1 (en) * 1999-03-05 2001-08-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Integrating fluxgate magnetometer
FR2802649B1 (fr) * 1999-12-17 2002-02-0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icromagnetometre a porte de flux a detection perpendiculaire et son procede de realisation
JP2001296127A (ja) * 2000-04-13 2001-10-26 Aichi Steel Works Ltd 磁場検出装置
JP2001358419A (ja) 2000-06-15 2001-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配線板を用いた半導体装置
KR100464097B1 (ko) * 2002-03-14 2005-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기판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03455B1 (ko) * 2003-06-04 2005-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몰포스 자성코어를 사용하여 제조된 마이크로플럭스게이트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927A (ja) * 1995-02-27 1996-09-13 Shimadzu Corp 薄膜フラックスゲート磁気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07791A (ko) * 1998-07-07 2000-02-07 윤종용 차동 솔레노이드형 자계검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09751A (ko) * 1998-07-28 2000-02-15 윤종용 차동 스파이어럴형 자계검출소자 및 이를 채용한 자계검출모듈
JP2000284030A (ja) * 1999-03-31 2000-10-13 Minebea Co Ltd 磁気センサ素子
JP2000284029A (ja) * 1999-03-31 2000-10-13 Minebea Co Ltd 磁気センサ
JP2001004726A (ja) * 1999-06-22 2001-01-12 Tdk Corp 磁界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12001B2 (en) 2007-05-01
US20030173962A1 (en) 2003-09-18
JP2007121318A (ja) 2007-05-17
CN1444237A (zh) 2003-09-24
KR20030073790A (ko) 2003-09-19
US20070151943A1 (en) 2007-07-05
CN1263050C (zh) 2006-07-05
US7407596B2 (en) 2008-08-05
EP1345036A2 (en) 2003-09-17
TWI223714B (en) 2004-11-11
JP3946629B2 (ja) 2007-07-18
EP1345036A3 (en) 2006-01-25
JP2003270307A (ja) 200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4093B1 (ko) 인쇄회로기판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481552B1 (ko) 2축 자계검출소자가 집적된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4209782B2 (ja) 半導体基板に集積された磁界検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16464B2 (ja) プリント回路基板技術を用いた微弱磁界感知用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64098B1 (ko) 인쇄회로기판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480749B1 (ko) 차동 솔레노이드형 자계검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3880922B2 (ja) 半導体基板に集積された磁界検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03455B1 (ko) 아몰포스 자성코어를 사용하여 제조된 마이크로플럭스게이트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617991B1 (ko) 센서의 감도 및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럭스게이트형 미세자계검출센서
KR100584979B1 (ko)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