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979B1 -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979B1
KR100584979B1 KR1020030065185A KR20030065185A KR100584979B1 KR 100584979 B1 KR100584979 B1 KR 100584979B1 KR 1020030065185 A KR1020030065185 A KR 1020030065185A KR 20030065185 A KR20030065185 A KR 20030065185A KR 100584979 B1 KR100584979 B1 KR 100584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
pattern
magnetic field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8675A (ko
Inventor
강명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5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9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28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 사각-링 형상의 자성체를 이용하고 상기 자성체의 상/하부에 드라이빙 패턴 및 픽업 패턴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동일 평면상에서 X축 및 Y축을 동시에 감지하면서 소형화 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일한 평면상에서 X축과 Y축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도록 사각-링 형상을 지닌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적층되며, 상기 사각-링 형상의 자성체를 감는 형태가 되도록 드라이빙 패턴 및 픽업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적층체 및 제2 적층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적층체 및 제2 적층체에 형성되는 드라이빙 패턴 및 픽업 패턴은 각각 상호 도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약자계, 인쇄회로기판, 자성체, 드라이빙 패턴, 픽업 패턴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 제조방법{A WEAK-MAGNETIC FIELD SENSOR US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ITS MAKING METHO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의 평면도.
도 4a 내지 4g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의 제조공정을 도시하는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자성체 20: 제1 적층체
21: 제1 기판층 22: 제1 도전층
23: 드라이필름 24: 제1 스루홀
25, 35: 드라이빙 패턴 27, 37: 픽업 패턴
30: 제2 적층체 31: 제2 기판층
32: 제2 도전층 34: 제2 스루홀
40: 솔더 레지스트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 사각-링 형상의 자성체를 이용하고 상기 자성체의 상/하부에 드라이빙 패턴 및 픽업 패턴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동일 평면상에서 X축 및 Y축을 동시에 감지하면서 소형화 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전화 및 휴대단말기 등의 보급에 따른 다양한 부가정보 서비스가 확충되고 있는 추세에서, 위치 정보 서비스도 기본 기능으로 자리잡고 있는 상태이며, 앞으로는 보다 상세하고 편리성이 높은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위치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현재 위치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필요한데, 이러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지구 자계를 감지하여 위치를 검출하는 미약자계 센서가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자기센서의 일반적인 부품으로는 플럭스 게이트 센서(Flux-gate Sensor)가 사용되고 있는 상태이다.
플럭스 게이트 센서는 고투자율의 자성 재료를 코어로 사용하고 자성체와 자성체 주위를 감는 1차 코일과 1차 코일로 인해서 자성재료에서 발생하는 자속밀도에 대해 픽업코일에 유도되는 전압차를 이용하여 방향을 인식함으로써 미약자계를 감지한다.
이러한 종래의 플럭스 게이트 센서는 원형 모양으로 이루어진 자성체 코어에 구리로 만들어진 구리선을 일정한 방향으로 감아서 제작된다. 플럭스 게이트 자기센서는 먼저 자성체 코어에 자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구리로 만들어진 구리선을 일정방향으로 하여 자성체 코어에 일정한 간격 및 압력으로 드라이빙 코일(Driving Coil)(1차 코일)을 감는다. 그 다음, 드라이빙 코일에 의한 자성체 코어에서 발생되는 자계를 감지하기 위하여 픽업 코일(Pickup Coil)(2차 코일)을 감아주게 되는데, 이 때에도 마찬가지로 구리선을 사용하여 일정한 간격 및 압력으로 감게 된다.
이처럼 구리선을 감아서 제작되는 플럭스 게이트 센서는 드라이빙 코일과 이를 검출하기 위한 픽업 코일로 구성되어 있는데, 자성체 코어에 코일을 감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와이어 코일 기술(wire coil technology)을 사용하여 감는다. 이때, 2차 코일은 자장의 감도를 정확하게 분석해야 하기 때문에 X축 및 Y축 방향으로 수직이 되도록 감아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플럭스 게이트 센서는 코일을 코어에 감을 때 그 위치 정밀도가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위치 정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온도, 빛 또는 표면물질에 대하여 쉽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 특성값에 대한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플럭스 게이트 자기센서는 코일을 직접 자성체에 감기 때문에 코일의 끊어짐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센서 자체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전자제품의 소형화, 경량화 추세에 맞지 않고 이로 인하여 전력소비가 커지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전자제품의 소형화 및 저전력 소비의 추세에 대응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보다 고감도를 가지고 정확한 자계를 검출할 수 있는 소형화된 자기센서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플럭스 게이트 자기센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하여 소정의 패턴 형성 과정을 통해 자성체, 드라이빙 코일 및 픽업 코일을 패턴으로 형성하고 상하 도통이 가능하도록 하여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를 개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는 X축 방향의 자계 감지용 센서와 Y축 방향의 자계 감지용 센서가 상하로 겹쳐져 결합되어 있어서, X축 및 Y축 방향의 자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이때, X축 방향의 자계와 Y축 방향의 자계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먼저, X축 방향의 자계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층인 상부 드라이빙 패턴(2) 및 픽업 패턴(8)층, 제2 층인 자성체층(1), 제3 층인 하부 드라이빙 패턴(4) 및 픽업 패턴(6)층과, Y축 방향의 자계(X축과 수직 방향)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4 층인 하부 드라이빙 패턴(4') 및 픽업 패턴(6')층, 제5 층인 자성체(1')층, 제6 층인 상부 드라이빙 패턴(2') 및 픽업 패턴(8')층으로 배치되는 총 6층의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자계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각 방향에 대해 별도의 층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층이 많아지게 되어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 사각-링 형상의 자성체를 이용하고 상기 자성체의 상/하부에 드라이빙 패턴 및 픽업 패턴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동일 평면상에서 X축 및 Y축을 동시에 감지하면서 소형화 할 수 있는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약자계를 정밀하게 검출하고 정확한 위치정밀도를 유지하는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비용이 절감되는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는, 동일한 평면상에서 X축과 Y축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도록 사각-링 형상을 지닌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적층되며, 상기 사각-링 형상의 자성체를 감는 형태가 되도록 드라이빙 패턴 및 픽업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적층체 및 제2 적층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적층체 및 제2 적층체에 형성되는 드라이빙 패턴 및 픽업 패턴은 각각 상호 도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의 제조방법은 제1 도전층, 제1 기판층 및 자성체 순으로 적층하여 제1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적층체 상에 제2 기판층 및 제2 도전층 순으로 적층하여 제2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사이에 제1 스루홀 및 제2 스루홀을 형성하여 상호 도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에 자성체의 패턴에 대응하는 X축 방향의 드라이빙 패턴 및 픽업 패턴과 Y축 방향의 드라이빙 패턴 및 픽업 패턴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제1 적층체(하부회로)(20), 자성체(10) 및 제2 적층체(상부회로)(30)가 결합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는 동일한 평면상에서 X축과 Y축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도록 사각-링 형상을 지닌 자성체(10)와, 드라이빙 패턴(25) 및 픽업 패턴(27)이 형성되어 상기 자성체(10)의 하부에 적층되는 제1 적층체(20)와, 드라이빙 패턴(35) 및 픽업 패턴(37)이 형성되어 상기 자성체(10)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 적층체(30)로 이루어진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는 사각-링 형태의 패턴화된 자성체(10)의 하부에 제1 적층체(20)가 적층되고, 상부에는 제2 적층체(30)가 적층되며, 상기 제1 적층체(20) 및 제2 적층체(30)에는 각 자성체(10)에 대응하는 드라이빙 패턴(25, 35) 및 픽업 패턴(27, 37)이 상기 자성체(10)를 감는 형태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드라이빙 패턴(25, 35) 및 픽업 패턴(27, 37)은 다수의 직선형태로서 나란히 배열되어 자성체(10)의 각 코어부(이후, 각각 코어 A, B, C, D라 함)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픽업 패턴(25, 35)의 길이와 드라이빙 패턴(27, 37)의 길이는 자성체(10)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자성체(10)의 형상은 동일한 평면상에서 X축과 Y축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링 형상을 가지며, 코어 A 및 코어 C는 X축 방향의 자계를 감지하고, 코어 B 및 코어 D는 Y축 방향의 자계를 감지한다.
상기 드라이빙 패턴(25, 35)은 자성체(10)에 자속 밀도를 발생시켜 주기 위하여 전류가 인가되는 회로로써, 코어 A, B, C, D에 감겨 있는 드라이빙 패턴은 전체가 한 가닥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픽업 패턴(27, 37)은 상기 드라이빙 패턴(25, 35)에 의해 각각의 코어 주변에서 자계 영향을 받게 되면, 코어에서 발생되는 자속 밀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회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적층체(20) 및 제2 적층체(30) 상에 형성된 각각의 드라이빙 패턴(25, 35)은 제1 적층체(20) 및 제2 적층체(30)를 관통하는 제1 스루홀(24)을 통하여 도통되고, 상하의 드라이빙 패턴(25, 35)이 상기 제1 스루홀(24)을 통하여 서로 지그재그로 연결되며, 각 코어간에는 코어간 드라이빙 패턴(25, 35)을 연결하기 위한 회로("a")가 형성되어 한 가닥의 패턴으로 자성체(10)의 주위를 감는 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픽업 패턴(27, 37)은 서로 도통되도록 제1 적층체(20)와 제2 적층체(30)를 관통하는 제2 스루홀(34)이 형성되어 서로 지그재그로 연결되어 자성체(10)를 둘러싼다.
이때, 상기 드라이빙 패턴(25, 35)은 한 가닥의 패턴으로 자성체(10)를 둘러싸기 때문에 한 쌍의 입출력 라인(Din, Dout)만 필요하지만, 픽업 패턴(27, 37)은 각 코어 별로 자성체(10)를 둘러싸기 때문에 각 코어별 입출력 라인(Pin, Pout)이 필요하다.
이렇게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는 드라이빙 패턴(25, 35)에 교류전류를 흐르게 하면 자성체(10)의 자속밀도가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픽업 패턴(27, 37)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여 전압차를 일으키게 되며, 이러한 전압차를 검출함으로써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자계를 감지함으로써, 위치 또는 방향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는 전술된 플럭스 게이트 자기센서 원리를 이용한 것이며, 코어 B 및 코어 D가 지구 자전축과 일치될 경우, 코어 B 및 코어 D에서 발생하는 자속의 크기는 서로 다른 방향이므로 상쇄되어 지구 자계만이 감지되게 되며, 코어 A 및 코어 C에서 발생하는 자속의 크기도 서로 다른 방향이므로 상쇄되고 이때 지구 자계가 코어 A 및 코어 C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자속의 크기는 0이 된다. 여기서, 만약 센서가 지구 자전축과 일치된 상태에서 회 전을 하게 되면 코어 B 및 코어 D에서 감지되는 자속의 크기는 서서히 감소하게 되고 90도로 회전하게 되면 자속의 크기가 0이 된다. 이와는 반대로 코어 A 및 코어 C는 감지되는 자속의 크기가 서서히 증가하게 되어 지구 자계의 크기가 된다. 이와 같이 코어 방향이 X축, Y축으로 구분지어 측정값을 표시하게 되면 원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를 신호처리부분에서 방위각으로 환산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일한 사각-링 형태의 자성체(10)를 이용함으로써 폐자로를 형성할 수 있어서, 외부자계가 없을 때, 드라이빙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코어 내부의 자속 변화로부터 생성되는 유기파형을 상쇄시키게 되는 권선 구조를 동일 평면상에 구현하게 된다.
도 4a 내지 4h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의 일실시예에 대한 제조공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적층체(20)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도전층(22) 상에 제1 기판층(21) 및 자성물질(13)을 올려놓고 예비 레이업을 한다. 제1 도전층(22) 형성용 재질로는 동박(copper foi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기판층(21)은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경화된 상태의 프리프레그(prepreg)이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FR-4, 비스말레이미드-트리아진(BT), 테프론(Teflon)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사용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상기 동박은 12㎛, 18㎛, 35㎛을 사용하며, 본 발명에 따른 동박의 두께는 자성물질(13) 두께와 유사한 18㎛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프리프레그의 두께는 0.03mm∼0.1m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최종 제품에서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변화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도전층(22), 제1 기판층(21) 및 자성물질(13) 순으로 예비 레이업을 진행시킨 후에 고온 및 고압 하에서 가압, 적층시켜 제1 적층체(20)를 형성한다.
도 4b 및 4c를 참조하면, 1차 적층이 완료된 후, 제1 적층체(20) 상에 드라이필름(또는 포토레지스트)(23)을 도포하고, 미리 설계된 자성물질(13)의 사각-링 패턴에 따라 노광 및 현상한 후,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드라이필름(23)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자성물질(13)을 에칭한다. 상기 노광, 현상 및 에칭 과정의 일반적인 원리는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그 결과, 기판 상에 사각-링 형상으로 패턴화된 자성체(10)만이 남게 되며, 그 후에 상기 드라이필름(23)은 스트리핑된다.
특히, 상기 제1 도전층(동박)(22)은 후술하는 2차 적층 과정 다음에 패턴화(드라이빙 패턴)되기 때문에, 상기 자성체(10)의 패턴화 과정 중 에칭액에 의해 제1 도전층(22)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드라이필름(23)으로 보호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제1 적층체(20) 중 자성체(10)의 패턴화 과정이 종료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적층체(20) 상에 다시 제2 기판층(또는 프리프레그)(31) 및 제2 도전층(또는 동박)(32)을 임시로 올려놓은 상태(예비 레이업) 에서 고온 및 고압 조건 하에서 가압, 적층시켜 제2 적층체(30)를 형성한다. 이때, 프리프레그는 제1 기판층(21)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동박은 제1 도전층(22)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4e 및 도 4f를 참조하면, 상기 자성체(10)의 주위가 코일과 같은 형상을 갖도록 상기 상호 대향하는 제1 도전층(22) 및 제2 도전층(32)에 드라이빙 패턴(25, 35)과 픽업 패턴(27, 37)을 동시에 형성시켜 상기 자성체(10) 주위를 드라이빙 패턴(25, 35)과 픽업 패턴(27, 37)이 감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도전층(22) 및 제2 도전층(32)에 형성된 드라이빙 패턴(25, 35) 및 픽업 패턴(27, 37)은 각각 상호 도통되어야 하므로 회로 패턴화에 앞서 드릴을 사용하여 드라이빙 패턴(25, 35)을 위한 제1 스루홀(24) 및 픽업 패턴(27, 37)을 위한 제2 스루홀(34)을 형성시킨 후에 도전성 금속(즉, 구리)으로 스루홀(24, 34)의 내면에 도금을 수행한다. 이때 스루홀(24, 34)의 직경은 약 0.1mm 이하가 되도록 가공하고, 도금 두께는 15㎛∼18㎛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센서의 크기에 따라서 초소형이 될 경우에는 회로 형성에 대한 방법으로 애디티브(Additive)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도금 후,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 제조공정인 노광, 현상 및 에칭을 통하여 상기 패턴화된 자성체(10)에 대응하는 드라이빙 패턴(25, 35) 및 픽업 패턴(27, 37)을 형성한다. 드라이빙 패턴(25, 35) 및 픽업 패턴(27, 3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평면 상에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직선형태로 형성되며, 드라이빙 패턴(25, 35)과 픽업 패턴(27, 37)을 교대로 배치하되 드라이빙 패턴(25, 35)은 바깥쪽으로, 픽업 패턴(27, 37)은 안쪽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처럼 형성된 드라이빙 패턴(25, 35)은 제1 스루홀(24)에 의하여 상호 도통됨으로써 플럭스 게이트 센서의 드라이빙 코일 역할을 하게 되고, 픽업 패턴(27, 37)은 제2 스루홀(34)에 의하여 상호 도통됨으로써 플럭스 게이트 센서의 픽업 코일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g를 참조하면, 회로가 형성된 후, 신호처리 연결부위에 금도금을 하기 위하여, 솔더 레지스트(40)를 도포하고, 신호처리 연결부에 금도금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는 자성체로부터 누설되는 자계 성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폐자로를 형성하여 동일 평면상에서 X축과 Y축을 감지하도록 한 사각-링 형태의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의 각 코어를 감는 형상으로 형성된 드라이빙 코일과, 상기 드라이빙 코일에서 발생한 자속의 합을 얻기 위한 자속변화 검출용 픽업 코일 구조를 가짐으로써, 외부자계가 0일때, 자속변화 검출용 코일에 유도파형이 나타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는 지구자기 검출에 따르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지자기 변동 모니터(지진 예측), 일부 생체 자기계측, 금속재료의 결함 검출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간접적인 응용으로서, 자기 엔코드, 무접점 포텐션 미터, 전류 센서, 토크 센서, 변위 센서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 제조방법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 사각-링 형태의 자성체를 이용 하고 상기 자성체의 상/하부에 드라이빙 패턴 및 픽업 패턴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동일 평면상에서 X축 및 Y축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다른 센서 및 회로와의 집적이 가능하며, 초소형으로 고감도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기 때문에 양산성 및 생산비용면에서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는 지구자계에 영향을 받는 자성체가 폐자로(사각-링 형상)로 구성되기 때문에 자속 누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Claims (13)

  1. 동일한 평면상에서 X축과 Y축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 상에 에칭에 의해 마련된 사각-링 형상을 지닌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적층되며, 상기 사각-링 형상의 자성체를 감는 형태가 되도록 드라이빙 패턴 및 픽업 패턴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적층체 및 제2 적층체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적층체 및 제2 적층체에 형성되는 드라이빙 패턴 및 픽업 패턴은 각각 상호 도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 패턴 및 픽업 패턴은 자성체의 각각의 코어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 패턴 및 픽업 패턴은 다수의 직선형태로서 나란히 배열되어 자성체의 네 개의 코어 모두에 형성되며, 픽업 패턴의 길이와 드라이빙 패턴의 길이는 자성체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의 형상은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층체 및 제2 적층체 상에 형성된 드라이빙 패턴이 서로 도통되도록 제1 적층체 및 제2 적층체를 관통하는 제1 스루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적층체 및 제2 적층체 상에 형성된 픽업 패턴이 서로 도통되도록 제1 적층체 및 제2 적층체를 관통하는 제2 스루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에 형성된 드라이빙 패턴은 한 가닥의 패턴으로 네 개의 코어 모두를 감는 형태가 되도록 제1 스루홀을 통하여 서로 지그재그로 연결되고, 상기 픽업 패턴은 각각의 코어에서만 한 가닥의 패턴을 이루어 코어 주위를 감는 형태가 되도록 제2 스루홀을 통하여 서로 지그재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7. 제1 도전층, 제1 기판층 및 자성체 순으로 적층하여 제1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적층체 상에 제2 기판층 및 제2 도전층 순으로 적층하여 제2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사이에 제1 스루홀 및 제2 스루홀을 형성하여 상호 도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에 자성체의 패턴에 대응하는 X축 방향의 드라이빙 패턴 및 픽업 패턴과 Y축 방향의 드라이빙 패턴 및 픽업 패턴을 교대로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의 제조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로 사각-링 형상을 사용하며, 상기 제1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에 앞서 상기 자성체를 기판층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적층할 수 있도록 예비 레이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의 제조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층체를 형성한 후 자성체를 직사각형 형태로 패턴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 서의 제조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층 및 제2 기판층은 프리프레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의 제조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으로 동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의 제조방법.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홀 형성은 제1 적층체의 드라이빙 패턴과 제2 적층체의 드라이빙 패턴이 서로 도통되도록 제1 적층체와 제2 적층체를 관통하는 제1 스루홀과, 제1 적층체의 픽업 패턴과 제2 적층체의 픽업 패턴이 서로 도통되도록 제1 적층체와 제2 적층체를 관통하는 제2 스루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의 제조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층체 및 제2 적층체에 형성된 드라이빙 패턴이 한 가닥의 패턴으로 네 개의 코어 모두를 감는 형태가 되도록 제1 스루홀을 통하여 서로 지그재그로 연결하고, 상기 제1 적층체 및 제2 적층체에 형성된 픽업 패턴이 각각의 코어에서만 한 가닥의 패턴을 이루어 코어 주위를 감는 형태가 되도록 제2 스루홀을 통하여 서로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의 제조방법.
KR1020030065185A 2003-09-19 2003-09-19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제조방법 KR100584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185A KR100584979B1 (ko) 2003-09-19 2003-09-19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185A KR100584979B1 (ko) 2003-09-19 2003-09-19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675A KR20050028675A (ko) 2005-03-23
KR100584979B1 true KR100584979B1 (ko) 2006-05-29

Family

ID=3738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185A KR100584979B1 (ko) 2003-09-19 2003-09-19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9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675A (ko)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5691B2 (en) Weak-magnetic field sensor using printed circuit board technolog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81552B1 (ko) 2축 자계검출소자가 집적된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467839B1 (ko)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432661B1 (ko)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제조방법
US7087450B2 (en) Fabricating method for a fluxgate sensor integrated in printed circuit board
KR100464093B1 (ko) 인쇄회로기판에 집적된 자계검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432662B1 (ko)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제조방법
KR100584979B1 (ko)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제조방법
KR100635173B1 (ko) 센서의 출력편차를 줄일 수 있는 플럭스 게이트형 미세자계검출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542025B1 (ko) 블라인드 비아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자속을 극대화한다층기판형 플럭스게이트 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2000230941A (ja) 電流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