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083B1 -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 - Google Patents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083B1
KR100464083B1 KR10-2001-0047499A KR20010047499A KR100464083B1 KR 100464083 B1 KR100464083 B1 KR 100464083B1 KR 20010047499 A KR20010047499 A KR 20010047499A KR 100464083 B1 KR100464083 B1 KR 100464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won
assembl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159A (ko
Inventor
권영우
Original Assignee
권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우 filed Critical 권영우
Priority to KR10-2001-0047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083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적인 감지장치에 의해 투입된 동전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계수하거나, 투입된 지폐(1000원,5000원,10000원)를 원하는 단위(10원,50원,100원,500원)의 동전으로 환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전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각종 동전들을 필터를 통해 동전의 크기에 따라 분리하기 위한 동전분리기결합체(100)와; 상기 동전분리기결합체(100)로부터 분리된 동전들을 동전의 크기에 따라 수거하기 위한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와;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로부터 분리된 동전들을 동전의 크기에 따라 각각 보관하기 위한 동전보관소(300)와;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를 동전보관소(300)로 이동시키고 복귀시키기 위한 제 1,2컨베이어벨트(400a,400b)를 구비하며; 상기 동전분리기결합체(100)의 하부에는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가 설치되고,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의 후방에는 일정 크기의 높이를 갖는 동전보관소(300)가 설치되며; 상기 동전보관소(300)의 높이 보다 낮게 설치된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와 동전보관소(300)간에는 각종 동전들을 운반하기 위한 제 1,2컨베이어벨트(400a,400b)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가 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은행 등의 장소에 설치하여 동전(10원,50원,100원,500원)을 지폐(1000원,5000원,10000원)로 또는 지폐를 원하는 단위의 동전으로용이하게 환전함으로서 환전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Automatic coin calculating and exchange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적인 감지장치에 의해 투입된 동전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계수하거나, 투입된 지폐(1000원,5000원,10000원)를 원하는 단위(10원,50원,100원,500원)의 동전으로 환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자주 왕래하는 지하철 매표소 또는 각 은행 창구에는 지폐를 원하는 만큼의 동전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전환전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동전환전기는 대부분 1000원의 지폐를 10개의 100원짜리 동전으로 단순히 교환하는 역할만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환전하고자하는 10원, 50원, 500원의 동전으로는 교환할 수 없었다.
또한, 지폐는 1000원권 하나로만 통용이 가능하며 이 밖에 5000원, 10000원권의 지폐는 사용할 수 없었다. 이는 1000원권의 지폐가 준비되는 않은 경우 사용상에 있어서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종래 은행에서 사용하는 동전분리기는 큰 동전과 작은 동전만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동전을 바꿀 때 동전을 미리 일일이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그 동전들을 창구직원이 직접 교환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센서, 감광센서, 동전넘침 경고센서, 무게감지센서 등의 전자적인 감지장치에 의해 투입된 동전을 자동적으로 분리하여 계수하거나, 투입된 지폐(1000원,5000원,10000원)를 원하는 단위(10원,50원,100원,500원)의 동전으로 환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써 본 발명은
동전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각종 동전들을 필터를 통해 동전의 크기에 따라 분리하기 위한 동전분리기결합체수단과;
상기 동전분리기결합체수단으로부터 분리된 동전들을 동전의 크기에 따라 수거하기 위한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수단과;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수단으로부터 분리된 동전들을 동전의 크기에 따라 각각 보관하기 위한 동전보관수단과;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수단을 동전보관수단으로 이동시키고 복귀시키기 위한 제 1,2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의 내부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의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세도이다.
도 1의 내부 사시도를 살펴보면, 동전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동전들을 필터를 통해 동전의 크기에 따라 분리하기 위한 동전분리기결합체(100)와; 상기 동전분리기결합체(100)로부터 분리된 동전들을 동전의 크기에 따라 수거하기 위한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와;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로부터 분리된 동전들을 동전의 크기에 따라 각각 보관하기 위한 동전보관소(300)와;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를 동전보관소(300)로 이동시키고 복귀시키기 위한 제 1,2컨베이어벨트(400a,400b)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동전분리기결합체(100)의 하부에는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의 후방에는 일정 크기의 높이를 갖는 동전보관소(3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전보관소(300)의 높이 보다 낮게 설치된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와 동전보관소(300)간에는 운송수단인 제 1,2컨베이어벨트(400a,400b)가 연결되어 있다.
도 2의 결합 상세도를 살펴보면, 상기 동전분리기결합체(100)에는 동전분리기결합체를 진동시키기 위한 제 1구동모터(102)와; 상기 제 1구동모터(102)가 진동할 때 완충역할을 하며 8개로 구비되는 완충장치(104)와; 사각형의 동전 수납공간을 갖는 분리상자(106)와; 상기 분리상자(106)의 하부에 설치된 3개의 필터(110)에 의해 필터링 역할을 하는 필터교환결합체(108)와; 상기 필터교환결합체(108)의 저부와 결합되어 동전분리수거원통(204)에 해당 동전이 정확하게 수집될 수 있도록 개폐하는 제 1개폐장치(도시 안됨)와; 상기 동전분리기결합체(100)의 상단부가 진동되고 하단부가 동전분리수거원통(204)의 입구에 정확히 고정되어 분리된 동전이 배출될때 동전분리수거원통(204)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완충자바라(114)와; 동전배출축과 동전분리수거원통(204)이 일치할 수 있도록 고정하여 주는 동전배출축 고정쇠(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동전분리기결합체(100)의 상부에는 동전을 투입하기 위한 동전투입구(도시 안됨)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의 하부에는 동전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불량 동전이나 모조동전 혹은 동전분리 작업 중 해당동전이 아닌 동전이 들어왔을때 쏟아내어진 동전들이 수집되는 리사이클 박스(520)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각 완충장치(104)와 제 1구동모터(102) 및 동전배출축 고정쇠(116)를 고정시키며, 기계 내부의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101)이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동전분리기결합체(100)와 연결된 각 구성 요소의 작용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 보기로 한다.
상기 분리상자(106)는 동전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동전이 바로 수납공간 내로 들어오게 되며, 분리상자(106)의 밑바닥에 있는 필터(110)들을 통해 동전의 크기별로 동전을 분리시킨다. 이 때, 상기 분리상자(106)의 하단부 자체에 500원짜리 동전 크기의 구멍이 뚫어져 있어서 하단부 자체가 500원용 필터의 기능을 한다.
상기 필터교환결합체(108)에는 50원용 필터와, 10원용 필터 및 100원용 필터등의 필터(11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50원용 필터는 50원짜리 동전크기의 구멍이 뚫려있으며 50원짜리 동전을 분리할 때 사용된다.
동전의 분리 순서는 동전의 크기가 작은 순으로 진행되어야 하므로 50원용 필터가 제일 먼저 사용되며, 최초의 상태는 모든 필터가 분리상자(106)의 하단부에 위치해 있는 상태이고, 위로부터 100원용 필터, 10원용 필터, 50원용 필터가 겹쳐서 설치된다.
이 때, 동전분리수거원통(204)은 최초 50원용으로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며 제 1개폐장치(도시 안됨)는 최초 폐쇄되어 있어야 한다.
그 상태에서 소비자가 시작 버튼을 누르면 제 1개폐장치는 개방되고 제 1구동모터(102)가 작동하여 50원짜리를 분리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필터(110)를 통해 분리된 50원짜리는 50원용 동전분리수거원통(204)으로 수거된다.
상기 동전분리수거원통(204)에 있는 제 2센서(도시안됨)는 동전이 원통으로 들어오기 시작한 시점과 들어오지 않고 있는 시점을 감지한다. 그래서 동전이 들어오지 않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이 흐른 뒤에도 계속적으로 동전이 원통 속으로 진입하지 않으면, 50원짜리 동전이 모두 분리가 된 것으로 판단을 하고, 제 1개폐장치(106)의 폐쇄를 지시하고 구동모터의 멈춤도 지시하여 다음 동전의 분리를 위한 준비상태로 기계장치가 작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먼저 50원짜리를 모두 분리하면 50원용 필터는 필터교환결합체(108) 내부의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이동하는 시기는 제 1개폐장치가 폐쇄되고 제 1구동모터(102)가 멈춘 후에 이동한다.
상기 10원용 필터는 10원짜리 동전크기의 구멍이 뚫려있고 10원짜리 동전을 분리할 때 사용된다. 상기의 과정과 같이 50원짜리 동전이 모두 분리되고 50원용 필터가 필터교환결합체(108) 내부의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면, 맨 밑에 있는 필터는 10원용 필터가 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수거원통(204)이 10원짜리용으로 준비되면 제 1개폐장치는 개방되고 제 1구동모터(102)가 작동하여 10원짜리를 분리한다. 이하의 과정은 상기의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100원용 필터는 100원짜리 동전크기의 구멍이 뚫려있고 100원짜리 동전을 분리할 때 사용된다. 이하 과정은 위의 과정과 동일하다. 이 때, 필터가 겹쳐있을 때 각 필터들의 구멍의 위치는 서로 일치하여 위에서 봤을 때 동심원을 그리고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 1개폐장치는 동전분리수거결합체(200)의 분리수거원통에 해당 동전이 정확히 수집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한다.
즉, 필터가 준비되면 필터의 구멍에 맞는 동전의 일부는 제 1구동모터(102)의 작동 전에도 필터(110)를 통해 동전분리수거원통(204)으로 내려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만약 동전분리수거원통(204)이 이동 중이거나 해당 동전을 수집하기 위한 준비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동전분리수거원통(204)으로 비해당 동전이 들어가게 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개폐장치를 이용하여 필터가 완전히 교환되고, 동전분리수거원통(204)이 수거위치에 정확히 위치했을 때 제 1개폐장치를 개방시켜 해당 동전이 동전분리수거원통(204)에 수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동전이 동전분리수거원통(204)의 양보다 많아서 동전넘침경고센서(도시 안됨)가 작동하게 되면 제 1개폐장치를 이용해 분리된 동전이 더 이상 동전분리수거원통(204)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완충자바라(114)는 제 1구동모터(102)에 의해서 동전분리기결합체(100) 전체가 진동할 때 이 장치가 없으면, 동전이 배출되는 부분도 함께 진동하게 되어 동전분리수거원통(204)으로 정확히 들어 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장치를 분기점으로 동전분리기결합체(100)의 상단부는 진동하게 되고, 하단부는 분리수거원통의 입구에 정확히 고정되어 분리된 동전이 배출될 때 정확히 동전분리수거원통(204)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상기 동전배출축 고정쇠(116)는 동전배출축이 정확히 동전분리수거원통(204)과 일치할 수 있도록 고정해주는 기능을 한다.
도 3은 도 1의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의 내부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의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3를 살펴보면,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 상단부에는 4개의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이 설치되고, 상기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의 하단부에는 제 2개폐장치(214)와 제 4센서(270)인 무게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의 좌우측에는 한쌍의 지지축(220a,220b)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축(220a)에는 제 2구동모터(216)와 안내기어(218)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각각의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에는 원통입구의 상단부에 제 1센서(2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센서(240)의 좌측 하단부에는 제 2센서(250)가, 우측 하단부에는 제 3센서(2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의 하단부에는 개폐구축(212)을 중심으로 4개의 제 2개폐장치(214)가 설치되고, 상기 각 제 2개폐장치(214) 간에는 와이어(206)가 와이어축(208)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개폐장치(214)의 일측면에는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의 개폐 작동을 위한 개폐작동모터(2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2,3,4센서(240,250,260,270)에는 각 센서로 부터 출력된 정보를 분석 판단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 유무를 총괄 제어하는 CPU(230)가 연결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와 연결된 각 구성요소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은 모두 4개로서 좌측부터 50원용, 10원용, 100원용, 500원용으로 위치한다. 최초상태에서 50원용 원통(204a)이 동전배출축고정쇠(116)과 일치해 있어야 한다. 그 다음 차례로 필터가 준비되는 시기에 맞춰 동전분리수거결합체(200)는 좌측에서 차례로 이동하여 해당 동전용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의 입구가 동전배출축고정쇠(116)과 일치하게끔 한다. 따라서 동전분리기수거결합체(200)를 통해 분리되어 배출되는 동전은 종류별로 각각의 원통에 정확히 수거된다. 각각의 원통의 지름은 해당동전의 지름과 일치해야 한다.
상기 제 2개폐장치(214)는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이 원통 안으로 이물질 내지 불량동전 혹은 모조동전 또는 해당 동전이 아닌 것이 들어왔음을 제 1,2,4센서(240,250,270)를 통하여 감지했을 때, 원통에 있는 동전들을 리사이클박스(520)로 쏟아내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제 2개폐장치(214)는 기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는 항상 폐쇄되어있게 되지만 각 센서에 의해서 이상이 감지되면, 개방되어 동전을 리사이클박스(520)로 보내게 된다.
그러나 이상이 감지됨과 동시에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동전이 분리되고 있는 중인 경우 일단 해당 동전이 모두 분리되고 난 뒤 다음 동전이 분리되는 시점에서 개방시킨다. 또한, 500원짜리 동전까지 모두 분리하고 나면 디스플레이창(도시 안됨)에 소비자로 하여금 리사이클박스(520)를 열어 동전을 재투입하도록 "리사이클박스에 있는 동전을 확인하시고 동전을 재투입 하십시요" 라는 경고음과 함께 표시한다. 또한 동전을 모두 분리수거한 후 동전보관소(300)에 동전을 쏟아낼 때도 제 2개폐장치(214)는 개방된다.
상기 제 2구동모터(216)는 동전분리수거결합체(200) 전체를 좌우 수평으로 이동시켜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이 동전배출축에 일치하도록 해주는 기능을 한다. 제 2구동모터(216)의 동력은 상단 지지축(220a)에 있는 안내기어(218)를 통해 동전분리수거결합체(200)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이 때, 작동시기는 제 1개폐장치가 폐쇄되고 다음 필터가 준비될 때이고, 다음의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을 동전배출축과 일치시킨다. 이렇게 500원까지 분리하고 나면 좌측으로 완전히 결합체를 이동시켜 결합체가 동전보관소(300)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동전보관소(300)에 동전을 모두 보내고 난 뒤 결합체가 다시 내려오면 결합체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최초상태로 준비시키게 된다.
상기 제 1센서(240)는 예컨대 8개의 접촉센서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당 동전이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으로 진입할 때 반드시 서로 마주 보는 2개 이상의 센서와 접촉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1차적으로 불량 동전 내지는 해당 동전이 아닌(선행 과정에서 미쳐 분류하지 못한 동전이 들어온 경우)경우를 판별하며, 판정값으로 동전의 액수를 산출을 산술한다.
상기 제 2센서(250)는 물체의 지나감을 식별 즉, 이물질을 감지하는 4개의 감광센서로서 너무 작은 물체가 진입하여 제 1센서(240)에서 전혀 감지 하지 못한 경우에 이를 감지 하여 이 물질 혹은 작은 동전의 진입을 감지한다.
또한, 필터의 교환시기와 동전을 분리하기 위한 기계의 각 부분의 준비를 지시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제 3센서(260)는 동전을 수거하는 동안 너무 많은 양의 동전이 들어와 기계 내부에서 동전이 넘치는 것을 막기 위한 동전넘침경고센서로서 동전분리기결합체(100)의 제 1개폐장치의 폐쇄시기를 결정한다.
즉, 동전이 일정 수위까지 차오르게 되면 동전의 넘침을 경고하여 동전 분리기 결합체에 있는 제 1개폐장치의 차단을 통해 더 이상 동전이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제 4센서(270)는 무게감지센서로서 동전의 무게를 측정하여 최종적으로 불량동전 내지는 모조동전이 없는지를 판단하고 불량동전이나 모조동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원통의 제 2개폐장치(214)만을 열도록 지시하여 리사이클박스(520)로 해당 원통에 있는 동전을 모두 쏟아낸다.
만약 제 1,2,4센서(240,250,270)의 어떤 것이라도 이상을 감지하면 500원짜리 동전까지 분리한 후에 이상이 있는 원통의 동전만을 리사이클박스(520)로 쏟아내도록 제 2개폐장치(214)의 개방을 지시한다.
이 때, 사용자로 하여금 리사이클박스(520)에 있는 동전을 확인하여 모조동전 내지는 불량동전을 골라내게 한 후 다시 동전투입구에 집어넣게 한다. 상기 동전분리수거결합체(200)는 최초상태로 준비되어 있어야 하며, 필터들도 최초상태로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 다음 소비자가 시작 버튼을 누르면 동전을 분리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각 센서의 연동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 1센서(240)에서는 해당 동전의 크기와 같은지를 판정하여 판정값을 정하며, 감지하지 못한 작은 물체의 진입은 제 2센서(250)에서 감지한다. 그리고, 제 3센서(260)에서는 동전이 넘치는 것을 감지하며, 동전이 넘칠 상황이 발생하면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에 있는 제 2개폐장치(214)를 차단하여 동전이 더 이상 원통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다.
이런 경우 불가피하게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를 이동시켜 동전보관소(300)에 동전을 쏟아 내고 다시 동전을 분리 수거하는 과정을 되풀이한다. 상기 제 1,2센서(240,250)까지 이상이 없는 경우에도 모조 동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무게로 감지한다. 즉, " 단위무게 * 동전수 = 동전의 실제 총무게 ≒ 산술적 무게 " 에 의해 감지된다.
해당동전 이외의 다른 동전 내지는 이물질을 감지한 경우 필터링이 완료됨과 동시에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의 하단부에 있는 제 2개폐장치(214)를 열어 리사이클 박스(520)로 동전을 쏟아 낸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불량동전 내지는 이물질을 골라내게 한 후 다시 동전을 투입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외관사시도를 살펴보면, 외관의 상단 일측에는 지폐를 동전으로 환전하고자할 때 사용되는 1000원 지폐투입구(502)와, 5000원 지폐투입구(504), 10000원 지폐투입구(506) 그리고 카드투입구(50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관의 중앙부에는 동전투입구(310)와, 동전을 지폐로 환전하고자할 때 사용되는 1000원 지폐지출구(510), 5000원 지폐지출구(512), 10000원 지폐지출구(514) 및 디스플레이부(516) 그리고 각종 기능키가 구비되어 있는 자판(51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전투입구(500)의 하단에는 리사이클 박스(210)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우측에는 동전배출구(522)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의 환전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 동전을 지폐로 환전할 경우 >
1. 먼저 모든 동전을 동전투입구(500)에 집어 넣는다.
2. 상기 동전투입구(500)에 들어 온 동전들은 모두 동전분리기결합체(100)를 통해 동전별로 분리한다.
3. 각각의 분리된 동전은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의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에 동전의 종류별로 수집된다.
4. 수집되는 순서는 동전의 크기가 작은 순으로 진행된다.(50원, 10원, 100원, 500원 순)
5. 수집이 완료되면 동전의 총액수를 계산하여 디스플레이창(516)에 표시한다.
6. 사용자는 자판(518)을 사용하여 동전을 어떤 종류의 지폐로 환전하고 싶은지를 결정한다.
7. 동전 액수만큼의 지폐가 지출되고 1000원 이하의 금액은 동전으로 지출된다.
8. 각 원통에 수거된 동전은 동전 보관소(300)로 보내져 각각의 동전별로 보관된다.
< 지폐를 동전으로 환전할 경우 >
1. 지폐를 해당 지폐투입구(502,504,506)에 투입한다.
2. 투입된 지폐의 금액이 디스플레이(516) 창에 표시된다.
3. 사용자는 자판(518)을 이용하여 환전하고 싶은 동전의 종류를 결정한다.
4. 투입된 지폐의 금액만큼 동전이 지출된다.
< 카드를 사용하여 출금할 경우 >
1. 카드를 카드투입구(508)에 투입한다.
2. 카드를 조회한다.
3. 사용자가 지폐로 출금할 경우 일반적으로 CD기를 사용하듯이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소비자가 동전으로 환전하여 출금하고 싶은 경우 출금하고 싶은 금액과 필요한 동전의 종류를 결정한다.
4. 계좌 잔고보다 출금액이 적은 경우 지출한다.
5. 카드를 배출하고 명세표를 출력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에 따르면, 접촉센서, 감광센서, 동전넘침 경고센서, 무게감지센서 등의 전자적인 감지장치에 의해 투입된 동전을 자동적으로 분리하여 계수할 수 있다.
또한, 투입된 지폐 값어치에 대한 해당 동전을 자동적으로 환전하여 지급할 수 있다. 따라서, 은행 등의 장소에 설치하여 동전(10원,50원,100원,500원)을 지폐(1000원,5000원,10000원)로 또는 지폐를 원하는 단위의 동전으로 용이하게 환전함으로서 환전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동전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각종 동전들을 필터를 통해 동전의 크기에 따라 분리하기 위한 동전분리기결합체(100)와; 상기 동전분리기결합체(100)로부터 분리된 동전들을 동전의 크기에 따라 수거하기 위한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와;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로부터 분리된 동전들을 동전의 크기에 따라 각각 보관하기 위한 동전보관소(300)와;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를 동전보관소(300)로 이동시키고 복귀시키기 위한 제 1,2컨베이어벨트(400a,400b)를 구비하며,
    상기 동전분리기결합체(100)의 하부에는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가 설치되고,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의 후방에는 일정 크기의 높이를 갖는 동전보관소(300)가 설치되며;
    상기 동전보관소(300)의 높이 보다 낮게 설치된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와 동전보관소(300)간에는 각종 동전들을 운반하기 위한 제 1,2컨베이어벨트(400a,400b)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전분리기결합체(100)에는
    동전분리기결합체를 진동시키기 위한 제 1구동모터(102)와; 상기 제 1구동모터(102)가 진동할 때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장치(104)와; 동전 수납공간을 갖는 분리상자(106)와; 상기 분리상자(106)의 하부에 설치된 3개의 필터(110)에 의해 필터링 역할을 하는 필터교환결합체(108)와; 상기 필터교환결합체(108)의 저부와 결합되어 동전분리수거원통(204)에 해당 동전이 정확하게 수집될 수 있도록 개폐하는 제 1개폐장치와; 상기 동전분리기결합체(100)의 상단부가 진동되고 하단부가 동전분리수거원통(204)의 입구에 정확히 고정되어 분리된 동전이 배출될때 동전분리수거원통(204)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완충자바라(114)와; 동전배출축과 동전분리수거원통(204)이 일치할 수 있도록 고정하여 주는 동전배출축 고정쇠(1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의 상단부에는 4개의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이 설치되고, 상기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의 하단부에는 제 2개폐장치(214)와 제 4센서(270)가 설치되며; 상기 동전분리수거기결합체(200)의 좌우측에는 한쌍의 지지축(220a,220b)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220a)에는 제 2구동모터(216)와 안내기어(218)가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에는 원통입구의 상단부에 제 1센서(240)가 설치되고, 상기 제 1센서(240)의 좌측 하단부에는 제 2센서(250)가, 우측 하단부에는 제 3센서(260)가 설치되며; 상기 제 2개폐장치(214)의 일측면에 동전분리수거원통(204a,204b,204c,204d)의 개폐 작동을 위한 개폐작동모터(210)가 설치되고, 상기 제 1,2,3,4센서(240,250,260,270)에는 각 센서로 부터 출력된 정보를 분석 판단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 유무를 총괄 제어하는 CPU(23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2,3,4센서(240,250,260,270)로는 각각 접촉센서, 감광센서, 동전넘침경고센서, 무게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
KR10-2001-0047499A 2001-08-07 2001-08-07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 KR100464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499A KR100464083B1 (ko) 2001-08-07 2001-08-07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499A KR100464083B1 (ko) 2001-08-07 2001-08-07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159A KR20030013159A (ko) 2003-02-14
KR100464083B1 true KR100464083B1 (ko) 2005-01-03

Family

ID=27718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499A KR100464083B1 (ko) 2001-08-07 2001-08-07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0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725B1 (ko) * 2001-11-24 2005-07-12 주식회사 키트론 동전을 지폐로 교환하는 화폐 교환 장치
KR101041053B1 (ko) * 2004-07-21 2011-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CN105303674A (zh) * 2014-06-13 2016-02-03 怀宁县鑫钜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可辨真伪的硬币清点机
CN105976496A (zh) * 2016-04-29 2016-09-28 北京石油化工学院 硬币清分机
CN108597093A (zh) * 2018-01-02 2018-09-28 天津理工大学 智能钱币分拣机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316A (ja) * 1991-04-10 1993-04-09 Laurel Bank Mach Co Ltd 貨幣選別装置
JPH06314376A (ja) * 1993-04-28 1994-11-08 Teraoka Seiko Co Ltd 自動釣銭払出機能を備えた電子式キャッシュレジスタ
JPH07200912A (ja) * 1993-12-28 1995-08-04 Fuji Electric Co Ltd 材質センサ及び硬貨処理機
KR19980010594U (ko) * 1996-08-09 1998-05-15 배순훈 승차권발매기용 동전 일시 보류기
JPH1125310A (ja) * 1997-06-27 1999-01-29 Sanyo Electric Co Ltd 島中両替機
JPH1173531A (ja) * 1997-08-29 1999-03-16 Nec Corp 硬貨両替機
KR100208485B1 (ko) * 1996-10-25 1999-07-15 이종수 동전 분리안내장치
JPH11195156A (ja) * 1997-12-26 1999-07-21 Sogo Keibi Hosho Co Ltd 精査システム及び釣銭作成システム
KR200205790Y1 (ko) * 2000-07-13 2000-12-01 신종락 동전거스름돈 지불기
KR20010074238A (ko) * 2001-04-12 2001-08-04 김욱찬 포스 연계형 동전 자동 분류 및 지급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316A (ja) * 1991-04-10 1993-04-09 Laurel Bank Mach Co Ltd 貨幣選別装置
JPH06314376A (ja) * 1993-04-28 1994-11-08 Teraoka Seiko Co Ltd 自動釣銭払出機能を備えた電子式キャッシュレジスタ
JPH07200912A (ja) * 1993-12-28 1995-08-04 Fuji Electric Co Ltd 材質センサ及び硬貨処理機
KR19980010594U (ko) * 1996-08-09 1998-05-15 배순훈 승차권발매기용 동전 일시 보류기
KR100208485B1 (ko) * 1996-10-25 1999-07-15 이종수 동전 분리안내장치
JPH1125310A (ja) * 1997-06-27 1999-01-29 Sanyo Electric Co Ltd 島中両替機
JPH1173531A (ja) * 1997-08-29 1999-03-16 Nec Corp 硬貨両替機
JPH11195156A (ja) * 1997-12-26 1999-07-21 Sogo Keibi Hosho Co Ltd 精査システム及び釣銭作成システム
KR200205790Y1 (ko) * 2000-07-13 2000-12-01 신종락 동전거스름돈 지불기
KR20010074238A (ko) * 2001-04-12 2001-08-04 김욱찬 포스 연계형 동전 자동 분류 및 지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159A (ko) 200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131B1 (ko) 지폐취급장치
KR100803547B1 (ko) 지폐처리장치
CN101901512B (zh) 自动交易装置
KR20020070799A (ko) 지폐취급장치
KR20120031931A (ko) 지폐 입출금기
JPS61276090A (ja) 循環式入出金装置
KR101231691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US5499805A (en) Paper sheet storing apparatus
KR100464083B1 (ko) 자동 동전 계수 및 환전기
KR100681453B1 (ko)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
KR20070111961A (ko) 지폐처리장치
JPH0981829A (ja) 紙幣入出金機及びその出金方法
CN214067871U (zh) 一种可找零投币箱
JPH10214365A (ja) 紙幣処理装置
JP2575381B2 (ja) 自動取引装置
JPS60263265A (ja) 自動入出金機
KR100535155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
KR100636644B1 (ko) 디지털 자동 요금 계수장치
KR20090055720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검지시스템
JPH056479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WO2010049994A1 (ja) 貨幣処理機
JP2005182426A (ja) 硬貨入出金装置
JPH07129819A (ja) 紙幣入出金装置
JPH0552552B2 (ko)
KR20070071826A (ko) 금융 자동화기기에서 지폐 권종 인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