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265B1 - 전해질 농도가 저하된 계면활성제 입자를 함유하는 입상세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해질 농도가 저하된 계면활성제 입자를 함유하는 입상세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265B1
KR100462265B1 KR10-2002-7001751A KR20027001751A KR100462265B1 KR 100462265 B1 KR100462265 B1 KR 100462265B1 KR 20027001751 A KR20027001751 A KR 20027001751A KR 100462265 B1 KR100462265 B1 KR 100462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tant
electrolyte
alkyl
particles
surfact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004A (ko
Inventor
모트3세폴알.
볼렌데이비드스코트
그레이브즈샤론앤
홀리한레스터존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20016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2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6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37Mixtures of compounds all of which are anionic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11D17/065High-density particulate deterge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10Carbonates ;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4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liphatic hydrocarbons or mono-alcohols
    • C11D1/146Sulfur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제의 약 0.01 내지 약 60중량%가 전해질 풍부 계면활성제 영역과 전해질 부족 계면활성제 영역을 갖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인 입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해질 풍부 영역은 전해질(이때, 전해질은 전해질 풍부 영역의 약 20중량% 이상을 차지한다)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때, 계면활성제는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가 아니다)를 포함한다. 전해질 부족 영역은 전해질(이때, 전해질은 전해질 부족 영역의 약 20중량% 이하를 차지한다)과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해질 농도가 저하된 계면활성제 입자를 함유하는 입상 세제 조성물{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s having surfactant particle with reduced electrolyte concentrations}
본 발명은 전해질 농도가 저하된 계면활성제 입자를 함유하는 입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탄산염 농도가 저하된 계면활성제 입자를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최근 들어, 액상 세제 조성물이 대중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이렇게 인기가 높아지는 이유는 주로 액상 세제의 분산도 및 분해도가 입상 세제에 비해서 탁월하기 때문이다. 분해도 및 분산도라는 이들 장점은 특히 냉수 조건하, 즉 전형적으로 입상 세제의 분해도가 악화되는 30℃ 이하에서 두드러진다.
액상 세제 조성물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입상 제품은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들 장점에는, 성능, 제조능, 저렴한 포장비 및 높은 제품 안정성이 포함된다. 제품 안정성과 제조능이라는 장점은 주로, 구성요소가 각각 안정화될 수 있고 다른 입자와 혼합되기 전에 입자로 분리될 수 있다는, 입상 혼합물의 성질로부터유래한다. 최종 세제 조성물에서의 이러한 물리적 분리로 인해, 표백제, 효소 등의 조성물에 본래 불안정한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상 세제 조성물의 성능은 세척수에서의 과립 분산도와 과립 각각의 분해도, 둘 다에 좌우된다. 보통, 이들 두 가지 특성 사이에는 최적의 균형이 있다. 충분히 용해되는 입자는 전형적으로 분산도가 불량한 반면, 충분히 분산되는 입자는 종종 느리게 용해된다. 용해도가 느리면 세척에 유용한 세제의 양을 제한함으로써 세정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한편, 용해도가 불량하면 직물상의 불용성 잔여물이라는, 소비자가 인식할 수 있는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론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나, 세제 잔여물은 주로 계면활성제 과립들 사이의 겔형 물질의 결합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겔형 잔여물은 계면활성제의 부분 용해로 인해 발생하여, 매우 점성인 계면활성제 페이스트를 형성한다. 당해 겔형 물질이 이웃하는 입자에 "결합"하는 경우, 훨씬 더 큰 "덩어리"가 형성된다. 일단 형성되면, 이들 덩어리-겔은 파괴, 분산 및 용해시키기가 어렵다. 본 발명에 의해, 계면활성제 입자 속에 존재하는 전해질과, 알킬 설페이트를 기재로 한 계면활성제 부류 사이의 상호작용이 덩어리-겔 형성으로 인해 세제 조성물에서 특히 문제시됨을 밝혀냈다. 반면, 알킬 벤질 설포네이트를 기재로 한 계면활성제는 전해질과 상호작용하여 덩어리-겔을 형성하려는 경향이 훨씬 더 낮다.
이들 전해질-계면활성제 상호작용을 최소화하는 한 가지 방법은 간단하게 제형 속의 전해질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전형적인 알칼리성 전해질, 예를 들어, 탄산나트륨을 감소시키면 세척수의 pH를 저하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세제 조성물의 세정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증가시키지 않는다면, 제형 속의 전해질 농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액상 세제 조성물에 대한 제조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입상 세제 조성물을 둘러싼 용해도 쟁점, 특히 냉수 조건하에서의 용해도를 개선시킬 필요성이 여전히 있다.
발명의 요지
위에서 기재한 필요성은, 전해질 농도가 저하된 계면활성제 입자를 함유하는 입상 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의해 충족된다. 본질적으로, 본 발명은 전해질 풍부 계면활성제 영역과 전해질 부족 계면활성제 영역을 갖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완전히 제형화된 세제 조성물 제형을 포함한다. 당해 조성물은 개별적인 분리된(discrete) 계면활성제 영역을 갖는 단일 입자 형태일 수 있거나, 각각의 계면활성제 영역이 개별 입자로 제시되는 다중 입자 형태일 수 있다. 매우 바람직한 계획안에 있어, 전해질 부족 영역은 응집된 세제 입자이고, 전해질 풍부 영역은 분무 건조된 세제 입자이다. 또한, 당해 조성물은 기타의 세제 보조 성분을 포함한다.
전해질 부족 계면활성제 영역은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 부류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의 배합물인 전해질을 약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 포함한다. 반면, 전해질 풍부 계면활성제 영역은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가아닌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바람직하게는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의 배합물인 전해질을 약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5% 이상 포함한다. 따라서, 전해질이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로부터 근거리로 분리되어 있는, 본 발명의 영역 분리를 통해 덩어리-겔 잔여물의 형성이 최소화되고/되거나 감소되어서, 본 발명의 입상 세제에 대해 탁월한 용해도와 분산도 프로파일을 둘 다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해도 프로파일이 액상 세제에 필적하며 성능이 탁월한 입상 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전해질과 특정한 계면활성제 성분의 영역 분리를 통해 당해 용해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를 갖는 전해질 부족 영역 또는 입자와 알킬 설페이트가 아닌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를 갖는 전해질 풍부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타의 목적, 특성 및 장점은 다음의 설명과 청구의 범위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의 상세한 설명
정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입자"는 세제의 최종 산물이나 구성요소의 전체 크기 범위 또는 최종 세제 산물이나 구성요소 혼합물 중의 분리된 입자, 응집물 또는 과립의 전체 크기 범위를 의미한다. 크기 비율이 입자 혼합물 중의 분리된 입자 100%를 나타내지 않는 한, 이들 유형 모두의 입자의 크기 비율(즉, 전체 크기 범위의 100% 이하를 나타냄)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혼합물 중의 입자 성분의 각 유형에 있어, 그러한 유형의 분리된 입자의 전체 크기 범위는 이들 입자와 다른 입자와의 접촉 유무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조성을 갖는다. 응집된 구성요소에 있어, 응집물 자체는 분리된 입자로서 간주되며, 각각의 분리된 입자는 보다 작은 기본 입자와 결합제 조성물과의 복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기하학적 평균 입자 직경"이라는 표현은 임의의 표준 질량계 입자 크기 측정 기술, 바람직하게는 무수 시이빙으로 측정한 분리된 입자 셋트의 기하학적 질량 중간값 직경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입자 크기 분포의 "기하학적 표준 편차" 또는 "경간"은 누적 분포의 84.13 백분위 직경을 50번째 백분위 직경으로 나눈 비(D84.13/D50)로 성취할 수 있는, 위에서 언급한 입자 크기 데이타에 가장 적합한 로그 정규 함수의 기하학적 폭을 의미한다[참조: Gotoh et al, Powder Technology Handbook, pp. 6-11, Meral Deckker 1997].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증강제"는 세제 내용물 중의 "증강제" 성능을 갖는 임의의 무기 물질, 구체적으로 세척액으로부터 물 경도를 제거할 수 있는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벌크 밀도"는, 과량의 분말 샘플을 깔때기를 통해 경금속 용기(예: 500mL들이 실린더) 속에 붓고, 용기 테두리 위의 퇴적물로부터 초과량을 깍아서 제거하고, 나머지 분말의 질량을 측정하고, 이를 용기의 용적으로 나눔으로써 측정되는, 압축되지않고 사용되지 않은 분말 벌크 밀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서로 근거리로 존재하는 경우, 입상 세제가 분산 및 용해되는 동안 용해도가 보다 낮은 겔을 형성하려는 경향이 증가되는 선별된 세제 성분의 분리를 통해 용해도가 탁월한 입상 세제 조성물의 디자인을 포함한다. 덩어리-겔 잔여물을 형성하려는 경향이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어진 세제 성분은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와 전해질이다. 전해질은 보통 세제 조성물 속에 존재하여 알칼리도, 증강성 등과 같은 이점을 제공하며, 전형적으로 탄산염, 염화물 및 황산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으로서 존재한다. 탄산나트륨이 가장 전형적이며, 본 발명에 따르는 가장 바람직한 전해질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기 위해, 입상 세제를 전해질 부족 영역과 전해질 풍부 영역으로 나눈다. 전해질 부족 영역은 전해질 풍부 영역 속에 존재하는 것보다 적은 전해질을 함유한다. 따라서,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는 전해질 부족 영역 속에 농축되어 있어서, 계면활성제의 용해능을 완성시키기 전에 전해질과의 상호작용을 최소화시킨다. 전해질 부족 영역은 전해질 입자를 약 2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중량% 이하 함유하며, 약 0의 농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전해질 부족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의 입자를 약 2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포함한다.
전해질 풍부 영역은 전해질 부족 영역 속에 존재하는 것보다 많은 높은 전해질을 함유한다. 따라서, 알킬 설페이트 이외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당해 전해질 풍부 영역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영역 속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이다. 전해질 풍부 영역은 전해질 입자를 약 2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5중량% 이상 함유한다. 또한, 전해질 풍부 영역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입자를 약 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이상 함유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전해질 부족 영역과 전해질 풍부 영역은 입상 세제로 제형화되는 상이한 조성의 개별 입자를 포함한다. 당해 입자는 당해 기술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분무 건조법, 응집법, 추출법, 펠릿화법, 압축법 및 기타 각종 입자 제조법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하나의 입자는 분무 건조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입자는 응집된다. 바람직하게는, 전해질 풍부 영역은 분무 건조된 입자인 반면, 바람직한 전해질 부족 영역은 응집된 입자이다. 물론,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인은 기타 유형의 입자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대체 양태에서, 전해질 풍부 영역과 전해질 부족 영역은 동일한 입자의 개별적인 특정한 영역이다. 예를 들어, 조성이 상이한 두 가지 개별 아입자(sub-particles)는 함께 응집되어, 본원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한 영역을 갖는 단일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세제용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유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에 따라 세제 조성물 중의전해질로부터 분리되는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와, 또 다른 입자로 제형화될 수 있는 나머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나뉜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 알킬 설페이트는 알킬 설페이트, 알킬 알콕시 설페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 알콕시 카복실레이트, 알킬 알콕시화 설페이트로서 한정되며, 나머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 파라핀 설포네이트, 알킬 에스테르 설포네이트, 사르코시네이트, 타우리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존재한다면, 전형적으로 전체 세제 조성물 속에 유효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당해 조성물의 약 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당해 조성물의 약 9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중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중량% 이하 함유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탁월한 세정능을 단독으로 제공하며, 특히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와의 배합물로서 사용되는 경우(아래 참조), 광범위한 온도, 세척 농도 및 세척 횟수에 따른 양호한 그리스(grease)/오일 세정을 포함하여, 알킬 설페이트의 용해를 제공하는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가 수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상 세제 제형의 증대된 제형화능은 화학식 ROSO3M의 수용성 염 또는 산[여기서, R은 바람직하게는 C10-C24하이드로카빌이고, 바람직하게는 C10-C20알킬 구성요소를 갖는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보다 바람직하게는 C12-C18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이고, M은 H 또는 양이온, 예를 들어, 알칼리(IA족) 금속 양이온(예: 나트륨, 칼륨, 리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암모늄 양이온(예: 메틸 암모늄, 디메틸 암모늄 및 트리메틸 암모늄), 4급 암모늄 양이온(예: 테트라메틸-암모늄 및 디메틸 피페르디늄) 및 알칸올아민(예: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양이온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의 등이다. 전형적으로, 탄소수 12 내지 16의 알킬 쇄가 보다 낮은 세척 온도(예: 약 50℃ 미만)에 바람직하고, 탄소수 16 내지 18의 알킬 쇄가 보다 높은 세척 온도(예: 약 50℃ 이상)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의 또 다른 적합한 유형은 2급 (2,3) 알킬 설페이트이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또는 화학식의 화합물[여기서, x와 (y+1)은 약 7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 이상의 정수이다]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계면활성제의 탄소수는 10 내지 18이다. 이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적합한 예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는 다음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1966년 2월 8일자로 모리스(Morris)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234,258호, 1991년 12월 24일자로 루츠(Lutz)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075,041호, 1994년 9월 20일자로 루츠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349,101호 및 1995년 2월 14일자로 프리에토(Prieto)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389,277호.
본 발명에 따른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의 또 다른 적합한 유형은 알킬 알콕시화 설페이트이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전형적으로 화학식 RO(A)mSO3M의 수용성 염 또는 산[여기서, R은 C10-C24알킬 구성요소를 갖는 치환되지 않은 C10-C2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12-C20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보다 바람직하게는 C12-C18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이고, A는 에톡시 또는 프로폭시 단위이고, m은 0 이상, 전형적으로는 약 0.5 내지 약 6,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3이고, M은 H이거나, 예를 들어, 금속 양이온(예: 나트륨, 칼륨, 리튬 등)일 수 있는 양이온, 암모늄 또는 치환된 암모늄 양이온이다]이다. 알킬 프로폭시화 설페이트 뿐만 아니라 알킬 에톡시화 설페이트가 본원에서 고려된다. 치환된 암모늄 양이온의 특정한 예는 메틸암모늄, 디메틸암모늄, 트리메틸암모늄 및 4급 암모늄 양이온,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암모늄, 디메틸 피페리디늄 및 알칸올아민(예: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으로부터 유도된 양이온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예증적인 계면활성제는 C12-C18알킬 폴리에톡실레이트(1.0) 설페이트, C12-C18알킬 폴리에톡실레이트(2.25) 설페이트, C12-C18알킬 폴리에톡실레이트(3.0) 설페이트 및 C12-C18알킬 폴리에톡실레이트(4.0) 설페이트(이때, M은 편의상 나트륨 및 칼륨으로부터 선택된다)이다. 본원에서 사용하기 위한 계면활성제는 천연 또는 합성 알콜 피드스톡(feedstock)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쇄 길이는 측쇄를 포함하여, 평균 탄화수소 분포를 나타낸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구성요소는 통상적인 알콜 공급원, 예를 들어, 천연 알콜, 합성 알콜[예: 상표명 네오돌(NEODOLTM), 알폴(ALFOLTM), 리알(LIALTM), 루텐솔(LUTENSOLTM) 등으로 시판되는 것들]로부터 유도되는 알킬 설페이트 및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는 알킬 폴리에톡실레이트 설페이트로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의 또 다른 유형은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둘 이상들의 혼합물)의 중간 길이의 측쇄 계면활성제, 바람직하게는 화학식의 중간 길이의 측쇄 알킬 알콕시 알콜, 화학식의 중간 길이의 측쇄 알킬 설페이트 및 화학식의 중간 길이의 측쇄 알킬 알콕시 설페이트[여기서, 이들 화학식에서의 측쇄 1급 알킬 잔기의 총 탄소수(R, R1및 R2측쇄를 포함하나, 임의의 EO/PO 알콕시 잔기를 포함하는 탄소원자는 포함하지 않는다)는 14 내지 20이고, 당해 계면활성제 혼합물에 대해 추가로 상기 화학식의 측쇄 1급 알킬 잔기의 평균 총 탄소수 범위는 14.5 내지 약 17.5(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17)이고, R,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3알킬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메틸이며, 단 R, R1및R2는 모두 수소가 아니고, z가 1인 경우, 적어도 R 또는 R1은 수소가 아니다]이다. M은 수용성 양이온이고, 하나 이상의 양이온 유형, 예를 들어, 나트륨과 칼륨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w는 0 내지 13의 정수이고, x는 0 내지 13의 정수이고, y는 0 내지 13의 정수이고, z는 1 이상의 정수이며, 단 w+x+y+z는 8 내지 14이다. EP와 PO는 각각 화학식또는 화학식의 에틸렌옥시 단위 및 프로필렌옥시 단위를 나타내나, 기타의 알콕시 단위, 특히 1,3-프로필렌옥시, 부톡시 및 이들의 혼합물이 중간 길이의 측쇄 알킬 잔기에 부착되어 있는 알콕시 단위로서 적합하다.
중간 길이의 측쇄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따라서, 계면활성제 시스템이 알콕시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m은 계면활성화제 혼합물들 사이의 평균 알콕시화도를 가리킨다. 이와 같이, m은 약 0.01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이상 약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 이하이다. 알콕시화 계면활성제만을 포함하는 중간 길이의 측쇄 계면활성제 시스템으로 간주되는 경우, m값은 m에 상응하는 평균 알콕시화도의 분포를 나타내거나, 정확하게 m에 상응하는 단위의 수가 알콕시화(예: 에톡시화 및/또는 프로폭시화)된 특정한 단일 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시스템용으로 적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중간 길이의 측쇄 계면활성제는 화학식또는 화학식의 화합물[여기서, a, b, d 및 e는, (a+b)가 10 내지 16이고 (d+e)가 8 내지 14이도록 하는 정수이고, M은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암모늄, 치환된 암모늄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이다.
중간 길이의 측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두 가지 양태로 제형화된다. 첫 번째 바람직한 양태는, 중간 길이의 측쇄 알킬 단위를 25% 이하 포함하는 피드스톡으로부터 형성된 중간 길이의 측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기타의 계면활성제와 혼합되기 전에 중간 길이의 측쇄 계면활성제 구성요소는 직쇄가 아닌 계면활성제인 계면활성제 분자를 25% 이하 포함할 수 있다.
두 번째 바람직한 양태는, 중간 길이의 측쇄 알킬 단위를 약 25 내지 약 70% 포함하는 피드스톡으로부터 형성된 중간 길이의 측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기타의 계면활성제와 혼합되기 전에 중간 길이의 측쇄 계면활성제 구성요소는 직쇄가 아닌 계면활성제인 계면활성제 분자를 약 25 내지 약 70%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다음 문헌에 추가로 기재되어 있다: 1997년 10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60/061,971호(대리인 문서 번호 6881P번), 1997년 10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60/061,975호(대리인 문서 번호 6882P번), 1997년10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60/062,086호(대리인 문서 번호 6883P번), 1997년 10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60/061,916호(대리인 문서 번호 6884P번), 1997년 10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60/061,970호(대리인 문서 번호 6885P번) 및 1997년 10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60/062,407호(대리인 문서 번호 6886P번). 기타의 적합한 중간 길이의 측쇄 계면활성제를 다음 문헌에서 발견할 수 있다: 미국 특허원 제60/032,035호(문서 번호 6401P번), 미국 특허원 제60/031,845호(문서 번호 6402P번), 미국 특허원 제60/031,916호(문서 번호 6403P번), 미국 특허원 제60/031,917호(문서 번호 6404P번), 미국 특허원 제60/031,761호(문서 번호 6405P번), 미국 특허원 제60/031,762호(문서 번호 6406P번) 및 미국 특허원 제60/031,844호(문서 번호 6409P번). 또한, 이들 측쇄 계면활성제와 통상의 직쇄 계면활성제와의 혼합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용으로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알킬 설페이트에 포함되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사용 가능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한 가지 유형은 알킬 에스테르 설포네이트이다. 이들은 재생 가능한 비석유 자원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알킬 에스테르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 구성요소의 제조는 기술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C8-C20카복실산의 직쇄 에스테르는 문헌[참조: "The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52 (1975), pp. 323-329]에 따라 기체 SO3와 설폰화될 수 있다. 적합한 출발 물질은 탈로우, 야자 및 코코넛 오일로부터 유도된 천연 지방 물질을 포함할수 있다.
특히 세탁용으로 바람직한 알킬 에스테르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는 화학식의 알킬 에스테르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여기서, R3은 C8-C20하이드로카빌, 바람직하게는 알킬, 또는 이들의 배합물이고, R4는 C1-C6하이드로카빌, 바람직하게는 알킬, 또는 이들의 배합물이고, M은 가용성 염 형성 양이온이다]를 포함한다. 적합한 염은 금속염(예: 나트륨 염, 칼륨 염 및 리튬 염),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암모늄 염[예: 메틸 암모늄, 디메틸 암모늄, 트리메틸 암모늄 및 4급 암모늄 양이온(예: 테트라메틸-암모늄 및 디메틸 피페르디늄)] 및 알칸올아민(예: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으로부터 유도된 양이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R3은 C10-C16알킬이고, R4는 메틸, 에틸 또는 이소프로필이다. 메틸 에스테르 설포네이트(여기서, R3은 C14-C16알킬이다)가 특히 바람직하다.
사용 가능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또 다른 유형은 알킬벤젠설포네이트를 포함한다. 이들은, LAS로도 알려져 있고 각종 HF 또는 고체 HF 등의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DETALR(UOP) 방법으로 제조되거나 기타의 루이스산 촉매(예: AlCl3)을 사용하여 제조되거나 산성 실리카/알루미나 또는 염소화 탄화수소, 예를 들어, C9-C20직쇄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특히 나트륨 직쇄 알킬 C10-C15벤젠 설포네이트로부터 제조된 경질(ABS, TPBS) 직쇄형을 포함한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전형적으로 화학식 RASO3M의 수용성 염 또는 산[여기서, R은 측쇄 또는 직쇄 C10-C24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10-C20알킬, 보다 바람직하게는 C10-C18알킬이고, A는 아릴 그룹, 바람직하게는 벤젠 또는 톨루엔,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젠 단위이고, M은 H 또는, 예를 들어, 금속 양이온(예: 나트륨, 칼륨, 리튬 등), 암모늄 양이온 또는 치환된 암모늄 양이온일 수 있는 양이온이다]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용 세제 조성물의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둘 이상들의 혼합물)의 개질된 알킬 아릴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 또는, 바람직하게는 MLAS 계면활성제[이때, 아릴 단위는 화학식의 벤젠 환(여기서, L은 탄소수 6 내지 18의 비사이클릭 하이드로카빌 잔기이고, R1, R2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알킬이며, 단 R1과 R2는 L 단위의 말단에 부착되어 있지 않고, M은 전하 q의 수용성 양이온이며, 이때 a와 b는 함께 전하 중성도를 만족시킨다)이다]를 당해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약 0.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상 약 10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6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이들 MLAS 계면활성제와 기타의 적합한 MLAS 계면활성제는 다음 문헌에 추가로 기재되어 있다: 1997년 7월 21일자로 출원되어 공계류 중인 미국 특허원 제60/053,319호(대리인 문서 번호 6766P번), 1997년 7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60/053,318호(대리인 문서 번호 6767P번), 1997년 7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60/053,321호(대리인 문서 번호 6768P번), 1997년 7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60/053,209호(대리인 문서 번호 6769P번), 1997년 7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60/053,328호(대리인 문서 번호 6770P번), 1997년 7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60/053,186호(대리인 문서 번호 6771P번), 1998년 10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60/105,017호(대리인 문서 번호 7303P번), 1998년 10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60/104,962호(대리인 문서 번호 7304P번) 및 1999년 7월 19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60/144,519호(대리인 문서 번호 7663P번). 또한, 이들 개질된 계면활성제와 통상적인 계면활성제 및/또는 측쇄 계면활성제(예: 본원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와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용으로 적합하다.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문헌[참조: "Surface Active Agents and Detergents"(Vol. I and II by Schwartz, Perry and Berch)]에 제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각종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1975년 12월 30일자로 래플린(Laughli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929,678호의 칼럼 23, 58행에서 칼럼 29, 23행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세제용으로 유용한 기타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당해 조성물에 포함될 수도 있다. 그 예로서는, 비누, C8-C221급 또는 2급 알칸설포네이트, C8-C24올레핀설포네이트, 예를 들면, 문헌[참조: 영국 특허 명세서 제1,082,179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알칼리 토금속 시트레이트의 피롤화 생성물을 설폰화시켜 제조한 설폰화 폴리카복실산, 알킬 글리세롤 설포네이트, 지방 아실 글리세롤 설포네이트, 지방 올레일 글리세롤 설페이트, 알킬 페놀 에틸렌 옥사이드 에테르 설페이트, 파라핀 설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이소티오네이트(예: 아실 이소티오네이트), N-아실 타우레이트, 메틸 타우라이드의 지방산 아미드, 알킬 숙시나메이트, 설포숙시네이트, 설포숙시네이트의 모노에스테르(특히, 포화 및 불포화 C12-C18모노에스테르), 설포숙시네이트의 디에스테르(특히, 포화 및 불포화 C6-C14디에스테르), N-아실 사르코시네이트, 알킬폴리사카라이드의 설페이트, 예를 들어,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의 설페이트(비이온성 비설폰화 화합물은 아래에 기재되어 있다), 측쇄 1급 알킬 설페이트, 알킬 폴리에톡시 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화학식 RO(CH2CH2O)kCH2COO-M+의 화합물(여기서, R은 C8-C22알킬이고, k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M은 가용성 염 형성 양이온이다), 및 이세티온산으로 에스테르화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된 지방산의 염[예를 들어, 나트륨 염, 칼륨 염, 암모늄 염 및 치환된 암모늄 염(예: 모노에탄올아민 염, 디에탄올아민 염 및 트리에탄올아민 염) 포함]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 산과 수소화 수지 산은 로진, 수소화 로진, 및탈유 속에 존재하거나 탈유로부터 유도된 수지 산과 수소화 수지로서 적합하다. 추가의 예가 문헌[참조: "Surface Active Agents and Detergents"(Vol. I and II by Schwartz, Perry and Berch)]에 제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각종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1975년 12월 30일자로 래플린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929,678호의 칼럼 23, 58행에서 칼럼 29, 23행에 기재되어 있다.
유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또 다른 유형은, 소위, 2가 음이온 계면활성제이다. 이는 계면활성제 분자상에 존재하는 음이온성 그룹을 2개 이상 갖는 계면활성제이다. 일부 적합한 2가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는 다음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1996년 6월 28일자로 모두 출원되어 공계류 중인, 미국 특허원 제60/020,503호(문서 번호 6160P번), 제60/020,772호(문서 번호 6161P번), 제60/020,928호(문서 번호 6158P번), 제60/020,832호(문서 번호 6159P번) 및 제60/020,773호(문서 번호 6162P번)와, 1996년 8월 8일자로 출원된 제60/023,539호(문서 번호 6129P번), 제60/023,493호(문서 번호 6194P번), 제60/023,540호(문서 번호 6193P번) 및 제60/023,527호(문서 번호 6195P번).
세제 성분
당해 세제 조성물은 세제 증강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그러하다. 증강제는 통상적으로 각종 수용성 알칼리 금속 암모늄 또는 치환된 암모늄 포스페이트, 폴리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폴리포스포네이트, 카보네이트, 실리케이트, 보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 설포네이트, 폴리아세테이트, 카복실레이트 및 폴리카복실레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위에서 기재한 물질들의 알칼리 금속염, 특히 나트륨 염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는 포스페이트, 카보네이트, 실리케이트, C10-18지방산, 폴리카복실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테트라나트륨 피로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모노숙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디숙시네이트, 규산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아래 참조).
무기 포스페이트 증강제의 특정한 예로서는,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칼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중합도 약 6 내지 21의 중합체성 메타포스페이트 및 오르토포스페이트가 있다. 폴리포스페이트 증강제의 예로서는, 에틸렌 디포스폰산의 나트륨 염과 칼륨 염, 에탄-1-하이드록시-1,1-디포스폰산의 나트륨 염과 칼륨 염 및 에탄-1,1,2-트리포스폰산의 나트륨 염과 칼륨 염이 있다. 기타의 인 증강제 화합물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는 문헌[참조: 미국 특허 제3,159,581호, 미국 특허 제3,213,030호, 미국 특허 제3,422,021호, 미국 특허 제3,422,137호, 미국 특허 제3,400,176호 및 미국 특허 제3,400,148호]에 기재되어 있다.
인이 아닌 무기 증강제의 예로서는,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중탄산염, 세스퀴카보네이트, 테트라보레이트 데카하이드레이트, 및 알칼리 금속 산화물에 대한 SiO2의 중량비가 약 0.5 내지 약 4.0,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4인 실리케이트가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인이 아닌 수용성 유기 증강제로서는, 각종 알칼리금속, 암모늄, 치환된 암모늄 폴리아세테이트, 카복실레이트, 폴리카복실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 설포네이트가 있다. 폴리아세테이트 및 폴리카복실레이트 증강제의 예로서는,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옥시디숙신산, 멜리트산, 벤젠 폴리카복실산 및 시트르산의 나트륨, 칼륨, 리튬, 암모늄 및 치환된 암모늄 염이 있다.
중합체성 폴리카복실레이트 증강제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3,308,067호[1967년 3월 7일자로 디일(Diehl)에게 허여됨]에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물질로서는, 말레산, 이타콘산, 메사콘산, 푸마르산, 아코니트산, 시트라콘산 및 메틸렌말론산 등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수용성 염이 있다. 이들 물질 중의 일부는 다음에 기재되어 있는 수용성의 음이온성 중합체로서 유용하나, 비누가 아닌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의 초기 혼합물인 경우에만 그러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기타의 폴리카복실레이트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4,144,226호[1979년 3월 13일자로 크러치필드(Crutchfield) 등에게 허여됨]와 미국 특허 제4,246,495호[1979년 3월 27일자로 크러치필드 등에게 허여됨]에 기재되어 있는 폴리아세탈 카복실레이트이다. 이들 폴리아세탈 카복실레이트는 중합 조건하에 글리옥실산의 에스테르와 중합 개시제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생성된 폴리아세탈 카복실레이트 에스테르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말단 그룹에 부착되어 알칼리 용액에서의 신속한 탈중합에 대해 폴리아세탈 카복실레이트를 안정화시키고, 상응하는 염으로 전환되어, 세제 조성물에 첨가된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카복실레이트 증강제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4,663,071호[1987년 5월 5일자로 부시(Bush) 등에게 허여됨]에 기재되어 있는 타르트레이트 모노숙시네이트와 타르트레이트 디숙시네이트와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에테르 카복실레이트 증강제 조성물이다.
화학식 SiO2·M2O의 수용성 실리케이트 고체(여기서, M은 알칼리 금속이고, M2O에 대한 SiO2의 중량비는 약 0.5 내지 약 4.0이다)는,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2 내지 약 1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8중량%의 농도로 본 발명의 세제 과립에 유용한 염이다. 또한, 특정한 미립상 실리케이트 또는 수화 미립상 실리케이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추가 성분이 입상 세제 조성물의 구성요소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그 예로서는, 기타의 세제 증강제, 표백제, 표백 활성화제, 거품 촉진제, 거품 억제제, 변색방지제, 부식방지제, 소일(soil) 현탁제, 소일 방출제, 살균제, pH 조정제, 비증강 알칼리도 공급원, 킬레이트제, 스멕타이트(smectite) 점토, 효소, 효소 안정화제 및 방향제가 있다[참조: 1976년 2월 3일자로 바스커빌(Baskerville) 2세 등에게 허여되었으며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3,936,537호].
표백제와 활성화제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4,412,934호[1983년 11월 1일자로 쳉(Chung) 등에게 허여됨]와 미국 특허 제4,483,781호[1984년 11월 20일자로 하트만(Hartman)에게 허여됨]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킬레이트제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는 문헌[참조: 미국 특허 제4,663,071호(부시 등), 칼럼 17, 54행에서 칼럼 18, 68행]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거품 개질제가 임의의 성분이며, 이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3,933,672호[1976년 1월 20일자로 바르톨레타(Bartoletta) 등에게 허여됨]와 미국 특허 제4,136,045호[1979년 1월 23일자로 가울트(Gault) 등에게 허여됨]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스멕타이트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4,762,645호[1988년 8월 9일자로 턱커(Tucker) 등에게 허여됨], 칼럼 6, 3행에서 칼럼 7, 24행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추가의 세제 증강제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는 문헌[참조: 바스커빌 특허, 칼럼 13, 54행에서 칼럼 16, 16행 및 미국 특허 제4,663,071호(1987년 5월 5일자로 부시 등에게 허여됨)]에 열거되어 있다.
다음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함이지, 청구 범위의 범주를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에 사용되는 약어
세제 조성물에서, 약칭된 구성요소는 다음에 정의한 바와 같이 확인된다.
LAS : 나트륨 직쇄 C11-13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TAS : 나트륨 탈로우 알킬 설페이트
C45AS : 나트륨 C14-C15알킬 설페이트
C45E3S : 에틸렌 옥사이드 3mol로 축합시킨 나트륨 C14-C15알킬 설페이트
QAS : R2.N+(CH3)2(C2H4OH)(여기서, R2는 C12-C14이다)
비누 : 탈로우와 코코넛 지방산과의 80/20 혼합물로부터 유도된 나트륨 직쇄 알킬 카복실레이트
제올라이트(Zeolite) A : 1급 입자 크기 범위가 0.1 내지 10㎛(무수물을 기준으로 하여 표현한 중량)인, 화학식 Na12(AlO2SiO2)12.27H20의 수화 나트륨 알루미노실리케이트
NaSKS-6 : 화학식 δ-Na2Si2O5의 결정질 적층 실리케이트
시트르산 : 무수 시트르산
탄산염 : 입자 크기가 200 내지 900㎛인 무수 탄산나트륨
중탄산염 : 입자 크기 분포가 400 내지 1200㎛인 무수 중탄산나트륨
규산염 : 무정형 규산나트륨(SiO2:Na2O=2.0:1)
황산염 : 무수 황산나트륨
Mg 황산염 : 무수 황산마그네슘
시트레이트 : 입자 크기 분포가 425 내지 850㎛인 활성 86.4%의 시트르산삼나트륨 2수화물
MA/AA : 평균 분자량이 약 70,000인 1:4 말레산/아크릴산의 공중합체
AA : 평균 분자량이 4,500인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중합체
CMC :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프로테아제 : WO 제95/1059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활성 효소가 4중량%인 단백질분해 효소[판매원: 제넨코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Genencor Int. Inc.)]
셀룰라제 : 활성 효소가 0.23중량%인 세포분해 효소[상표명: 케어자임(Carezyme), 판매원: 노보 인더스트리즈 에이/에스(NOVO Industries A/S)]
아밀라제 : 활성 효소가 1.6중량%인 아밀로이드분해 효소[상표명: 터마밀(Termamyl) 120T, 판매원: 노보 인더스트리즈 에이/에스]
리파제 : 활성 효소가 2.0중량%인 지질분해 효소[상표명: 리폴라제(Lipolase), 판매원: 노보 인더스트리즈 에이/에스]
과붕산염 : 과붕산나트륨
과탄산염 : 과탄산나트륨
NOBS : 나트륨 염 형태의 노나노일옥시벤젠 설포네이트
NAC-OBS : (6-논아미도카프로일) 옥시벤젠 설포네이트
TAED :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
DTPA :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EDDS : 에틸렌디아민-N,N'-디숙신산, 이의 나트륨 염 형태의 (S,S) 이성체
광활성화 : 표백제(1) 덱스트린 가용성 중합체 속에 캡슐화되어 있는 설폰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증백제 : 이나트륨 4,4'-비스(4-아닐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스틸벤-2,2'-디설포네이트
HEDP : 1,1-하이드록시에탄 디포스폰산
PEGx : 분자량 x(전형적으로, 4,0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QEA : 비스((C2H5O)(C2H4O)n)(CH3)-N+-C6H12-N+-(CH3)비스((C2H50)-(C2H40))n(여기서, n은 20 내지 30이다)
SRP : 디에톡시화 폴리(1,2-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쇄 블록 중합체
실리콘 소포제 : 발포 조절제:분산제 비가 10:1 내지 100:1인, 분산제로서 실록산-옥시알킬렌 공중합체를 함유한 폴리디메틸실록산 발포 조절제
다음 실시예에서, 모든 농도는 조성물의 중량%로서 언급된다.
실시예 1
다음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다.
A B C D E F G H I
분무 건조 과립
LAS 10.0 10.0 15.0 5.0 5.0 10.0 - - -
QAS 1.0 1.0 - - -
DTPA, HEDP 및/또는 EDDS 0.3 0.3 0.5 0.3 - - -
MgSO4 0.5 0.5 0.1 - - - -
시트르산나트륨 - - - 3.0 5.0 - - -
탄산나트륨 10.0 10 15 10 7 10 - - -
황산나트륨 5.0 5.0 - - 5.0 3.0 - - -
규산나트륨 1.6R - - - - 2.0 - - -
제올라이트 A 16.0 18.0 20.0 20.0 - - - - -
SKS-6 - - - 3.0 5.0 - - - -
MA/AA 또는 AA 1.0 2.0 11.0 - - 2.0 - - -
PEG 4000 - 2.0 - 1.0 - 1.0 - - -
QEA 1.0 - - - 1.0 - - - -
증백제 0.05 0.05 0.05 - 0.05 - - - -
실리콘 오일 0.01 0.01 0.01 - - 0.01 - - -
응집물
LAS - - - - 0.2 0.2 0.01
C45AS - - - - 2.0 - 1.0
AE3 - - - - - 1.0 0.5
탄산염 - - 4.0 1.0 1.0 1.0 -
시트르산나트륨 - - - - - - 5.0
CFAA - - - - -
시트르산 - - - 4.0 - 1.0 1.0
QEA - - - 2.0 2.0 1.0 -
SRP - - - 0.1 1.0 0.2 -
제올라이트 A - - - 15.0 26.0 15.0 16.0
규산나트륨 - - - - - - -
PEG - - - - - - 4.0 - -
증강제 응집물
SKS-6 6.0 - - - 6.0 3.0 - 7.0 10.0
LAS 4.0 5.0 - - 5.0 3.0 - 10.0 12.0
무수 첨가된 과립상 구성요소
말산/탄산염/중탄산염(40:20:40) 8.0 - 10.0 4.0 - 8.0 - - 4.0
QEA - - - 0.2 0.5 - - - -
NACAOBS 3.0 - - 1.5 - - - 2.5 -
NOBS - 3.0 3.0 - - - - - 5.0
TAED 2.5 - - 1.5 2.5 6.5 - 1.5 -
LAS(플레이크) 10.0 10.0 - - - - - 8.0 -
분무제
증백제 0.2 0.2 0.3 0.1 0.2 0.1 - 0.6 -
염료 - - - 0.3 0.05 0.1 - - -
AE7 - - - - - 0.5 - 0.7 -
방향제 - - - 0.8 - 0.5 - 0.5 -
무수 첨가물
시트레이트 - - 20.0 4.0 - 5.0 15.0 - 5.0
과탄산염 15.0 3.0 6.0 10.0 - - - 18.0 5.0
과붕산염 - - - - 6.0 18.0 - - -
광표백제 0.02 0.02 0.02 0.1 0.05 - 0.3 - 0.03
효소(셀룰라제, 아밀라제, 프로테아제, 리파제) 1.3 0.3 0.5 0.5 0.8 2.0 0.5 0.16 0.2
탄산염 0.0 10.0 - - - 5.0 8.0 10.0 5.0
방향제(캡슐화) 0.6 0.5 0.5 - 0.3 0.5 0.2 0.1 0.6
거품 억제제 1.0 0.6 0.3 - 0.10 0.5 1.0 0.3 1.2
비누 0.5 0.2 0.3 3.0 0.5 - - 0.3 -
시트르산 - - - 6.0 6.0 - - - 5.0
염색된 탄산염(청, 녹) 0.5 0.5 1.0 2.0 - 0.5 0.5 0.5 1.0
SKS-6 - - - 4.0 - - - 6.0 -
충전제를 첨가하여 100%로 만듬
위에서 예시한 조성물은, 기하 평균 입자 직경이 약 850㎛이고 기하 표준 편차가 약 1.2인 입자를 90중량% 이상 함유한다. 예상치 않게도, 당해 조성물의 에스테틱, 유동능 및 용해능이 증대되었다.
이렇게 본 발명을 상세히 기재함으로써,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며, 본 발명은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6)

  1. 입자의 2중량% 이상이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이고 입자의 20중량% 이상이 전해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건조된 계면활성제 입자(i)와
    입자의 2중량% 이상이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이고 전해질을 포함하지 않는, 응집된 계면활성제 입자(ii)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평균 벌크 밀도가 450g/L 이상인 입상 세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건조된 계면활성제 입자와 응집된 계면활성제 입자가 세제 입자들 사이에서 분리된 영역인 세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건조된 계면활성제 입자와 응집된 계면활성제 입자가 세제 조성물들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분리된 입자인 세제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건조된 계면활성제 입자의 전해질이 당해 입자의 35중량%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가 C14-C15알킬 설페이트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세제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가 C11-C13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세제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이 알칼리 금속염인 세제 조성물.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이 알칼리 금속 탄산염인 세제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2-7001751A 1999-08-10 2000-08-07 전해질 농도가 저하된 계면활성제 입자를 함유하는 입상세제 조성물 KR100462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04999P 1999-08-10 1999-08-10
US60/148,049 1999-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004A KR20020016004A (ko) 2002-03-02
KR100462265B1 true KR100462265B1 (ko) 2004-12-17

Family

ID=2252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751A KR100462265B1 (ko) 1999-08-10 2000-08-07 전해질 농도가 저하된 계면활성제 입자를 함유하는 입상세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1204736A1 (ko)
JP (1) JP2003506564A (ko)
KR (1) KR100462265B1 (ko)
CN (1) CN1230520C (ko)
AR (1) AR025083A1 (ko)
AU (1) AU777235B2 (ko)
BR (1) BR0013082A (ko)
CA (1) CA2380327A1 (ko)
CZ (1) CZ2002451A3 (ko)
EG (1) EG22449A (ko)
HU (1) HUP0202875A3 (ko)
MA (1) MA25541A1 (ko)
MX (1) MXPA02001515A (ko)
TR (1) TR200200329T2 (ko)
WO (1) WO20010110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54779B1 (en) * 2005-08-19 2012-10-1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 sol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nionic detersive surfactant and a highly porous carrier material
JP6407682B2 (ja) * 2014-11-27 2018-10-17 花王株式会社 衣料用粉末洗剤組成物の製造方法
EP3697884A1 (en) * 2017-10-19 2020-08-2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s containing fatty acid blend
US11499124B2 (en) * 2020-03-13 2022-11-15 YFY Consumer Products, Co. Solid granules used for cleaning agen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9594A3 (en) * 1991-07-15 1994-06-15 Procter & Gamble Process for preparing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alkyl sulfate particles and base granules
DE19519139A1 (de) * 1995-05-30 1996-12-05 Henkel Kgaa Granulares Wasch- oder Reinigungsmittel mit hoher Schüttdichte
BR9814589A (pt) * 1998-01-13 2000-10-24 Procter & Gamble Composições granulares tendo aperfeiçoada dissoluçã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A25541A1 (fr) 2002-10-01
KR20020016004A (ko) 2002-03-02
CN1370223A (zh) 2002-09-18
EP1204736A1 (en) 2002-05-15
MXPA02001515A (es) 2002-07-02
CA2380327A1 (en) 2001-02-15
BR0013082A (pt) 2002-04-23
JP2003506564A (ja) 2003-02-18
AU6623600A (en) 2001-03-05
TR200200329T2 (tr) 2002-07-22
CZ2002451A3 (cs) 2002-09-11
CN1230520C (zh) 2005-12-07
HUP0202875A3 (en) 2005-01-28
AR025083A1 (es) 2002-11-06
WO2001011005A1 (en) 2001-02-15
HUP0202875A2 (hu) 2002-12-28
AU777235B2 (en) 2004-10-07
EG22449A (en) 200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5116B2 (en) Highly water-soluble sol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that forms a clear wash liquor upon dissolution in water
US5977053A (en) Detergents and cleaners containing iminodisuccinates
ES2280806T3 (es) Composiciones detergentes porosas solidas.
AU693445B2 (en) Structuring liquid nonionic surfactants prior to granulation process
JP3810854B2 (ja) 高密度粉末洗剤組成物
KR100404818B1 (ko) 쇄 중간이 분지된 계면활성제와 전해질을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오염된 직물의 세탁방법
KR20020083186A (ko) 칼슘 봉쇄 능력이 개선된 세제 조성물
WO1995027038A1 (en) Laundry detergent bars with improved whitening and dye transfer inhibition
JPH08509013A (ja) 混合界面活性剤粒子中の第二級(2,3)アルキルサルフェート界面活性剤
JPH11514033A (ja) 洗剤組成物を製造する方法
KR20010075342A (ko) 외형과 용해도가 개선된 입상 세제 조성물
KR100462265B1 (ko) 전해질 농도가 저하된 계면활성제 입자를 함유하는 입상세제 조성물
CN1046954C (zh) 在稳定的含酶洗涤剂组合物中的仲(2,3)烷基硫酸盐表面活性剂
US5610131A (en) Structuring liquid nonionic surfactants prior to granulation process
CN1261398A (zh) 含有一种最佳表面活性剂体系的用于冷温洗涤的颗粒洗涤剂组合物
WO1997033960A1 (fr) Composition detergente granulee et d'une densite elevee
MX2007010128A (es) Una composicion detergente para lavanderia particulada que comprende un surfactante detergente, carbonato y un componente de aclarado fluorescente.
JP3290373B2 (ja) 高密度粒状洗剤組成物
WO1997044434A1 (en) Low moisture laundry detergent bar with improved bleach stability
JPH11514031A (ja) 漂白剤前駆体組成物
JPH08511042A (ja) 洗剤組成物
WO2001004250A1 (en) Polyhydroxyl/phosphate copolymer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JPH1112593A (ja) 洗浄剤組成物
JPH08509015A (ja) 高密度粒状洗剤組成物中の第二級(2,3)アルキルサルフェート界面活性剤
JPH08509014A (ja) 自由流動性粒状洗剤組成物を被覆するための第二級(2,3)アルキルサルフェート界面活性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