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983B1 -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 - Google Patents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983B1
KR100459983B1 KR10-2001-0079183A KR20010079183A KR100459983B1 KR 100459983 B1 KR100459983 B1 KR 100459983B1 KR 20010079183 A KR20010079183 A KR 20010079183A KR 100459983 B1 KR100459983 B1 KR 100459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up
cylinder
folded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081A (ko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박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범 filed Critical 박기범
Priority to KR10-2001-0079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983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ylindric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본인의 선출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36531호의 개량발명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판기용이나 기타 커피용으로 사용되는 소용량 종이컵은 6.5 oz로서 뚜껑이 사용되지 않으나 패스트 푸드점 또는 휴게소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음료용 종이컵은 9 oz 이상의 대용량 종이컵으로서 통상 플라스틱으로 된 뚜껑을 씌워 음료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 환경 호르몬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 되면서 플라스틱 용기는 법적으로 제제를 받게되어 향후 식품 용기에 합성수지 제품의 사용이 금지됨에 따라 플라스틱 뚜껑의 개선 문제가 시급한 해결과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컵통체 상단 일측을 원판형으로 하여 뚜껑을 돌출 형성하는 한편, 뚜껑을 닫았을때 걸려질 수 있도록 통체의 상단 외측으로 말려 형성되는 말림테를 통체의 안쪽으로 말려지게 형성하여 뚜껑을 접었을 때 말림테 안쪽 밑에 뚜껑 둘레가 걸려 끼워져 접혀 질 수 있도록 하며, 뚜껑의 상부측에는 "+" 자형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빨대를 꽂아 빨아 마시기 용이하도록 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Paper cup having a cap of itself}
본 발명은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인의 선출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3651호의 개량발명으로서, 패스트 푸드점이나 휴게소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플라스틱 뚜껑을 갖는 종이컵을 플라스틱 뚜껑이 필요없이 컵통체 자체에 뚜껑을 형성하여 개폐가 가능토록 한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판기용이나 기타 커피용으로 사용되는 소용량 종이컵은 6.5 oz로서 뚜껑이 사용되지 않으나 패스트 푸드점 또는 휴게소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음료용 종이컵은 9 oz 이상의 대용량 종이컵으로서 통상 플라스틱으로 된 뚜껑을 씌워 음료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 환경 호르몬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 되면서 플라스틱 용기는 법적으로 제제를 받게되어 향후 식품 용기에 합성수지 제품의 사용이 금지됨에 따라 플라스틱 뚜껑의 개선 문제가 시급한 해결과제가 되었다.
위생상 또는 컵을 들고 이동하는 경우 등에 있어 뚜껑은 필요한 것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선행하여 시도된바 있다.
종래 발명의 경우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컵을 제조하기 위한 종이 원단의 재단시 통체(21)의 상부 일측에 뚜껑(22)을 돌출되게 재단 형성하되, 원판형의 중심보다 좀더 높게하여 돌출시켜 형성하고, 그로부터 원판의 하부측은 통체에서 경사로 접혀 지도록 절첩라인(23)을 눌러 형성하여 원판의 하부측은 컵통체 하부로 부터 접혀지고 돌출된 상부측이 컵의 상부측 안쪽으로 접혀져 커버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컵통체 상단 둘레의 뚜껑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플라스틱 테(24)를 둘러 끼워 부착 시키고, 테의 안쪽에 걸림턱(25)을 형성하여 뚜껑(22)을 접어 눌렀을 때 걸림턱(25)에 의하여 뚜껑이 되빠지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 발명은 별도의 뚜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잇점은있으나 플라스틱 테(24)를 이용하게 됨으로서, 종이컵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부재를 삭제하고자 하는 노력은 미비하였다. 따라서, 사용후의 재활용시 플라스틱을 분리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재활용이 어렵고, 매립시 썩지않는 문제점과 소각시 유독가스 발생으로 대기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본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36531호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종이컵과 같이 컵통체(11) 상단을 외측으로 컬링하여 컬링테(14)를 형성 하되, 뚜껑(12)을 형성할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절반이 좀 넘는 부분만을 컬링하여 컬링테(14)를 형성하고, 컬링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을 원판형으로 하여 상부로 돌출시켜 컵통체에 형성되는 절첩라인(13)을 따라 절첩이 가능한 컵원지 자체적인 뚜껑(12)이 형성 되도록 하는 한편, 컵의 뚜껑(12)을 닫았을때 컵통체(11)의 상부 안쪽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통체의 안쪽으로 2줄의 돌출테(15)를 형성하고, 뚜껑의 양측에는 절첩라인(17)에 의하여 절첩되는 손잡이(16)를 돌출형성 하므로써 용이하게 뚜껑(12)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2줄의 돌출테(15) 사이에 뚜껑(12)이 끼워짐에 있어 견고히 끼워지는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뚜껑(12)이 닫힌 상태 그대로 빨대를 이용하여 음용하기 용이하도록 뚜껑의 상부측에는 "+" 자형 절개부(18)를 형성하여 빨대를 꽂아 빨아 마시기 용이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 발명은 사용에 있어서는 큰 문제점은 없으나, 구조상 뚜껑을 접었을 때 걸려질 수 있도록 통체의 안쪽으로 2줄의 돌출테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기계적인 가공 공정이 추가되어 기계가 복잡하여 지게되고 결국 제조비용 상승이 따르게되는 구조적인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과 더불어 선행발명이 갖는 미흡함을 감안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컵통체 상단 둘레를 통체 상단을 안쪽으로 인컬링(in Curling)하여 테를 형성하되, 뚜껑을 형성할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절반이 좀 넘는 부분만을 인컬링하여 테를 형성하므로서, 뚜껑을 접어 눌렀을 때, 컬링테가 걸림턱 역할을 하게되어 그 하부측에 뚜껑의 둘레가 끼워져 절첩될 수 있도록 하고, 뚜껑이 닫힌 상태 그대로 빨대를 이용하여 음용하기 용이하도록 뚜껑의 상부측에는 "+" 자형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빨대를 꽂아 빨아 마시기 용이하도록 하여 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뚜껑 전개상태 부분절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뚜껑 절첩상태 부분절개 측단면도
도 4는 선행 발명의 뚜껑 전개상태 부분절개 측단면도
도 5는 선행 발명의 뚜껑 절첩상태 부분절개 측단면도
도 6은 종래 발명의 사시도
도 7은 종래 발명의 뚜껑 절첩상태 부분절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컵통체 2 - 뚜껑
3 - 절첩라인 4 - 컬링테
5 - "+" 자형 절개부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종이컵의 제조 과정을 개략 설명하면, 종이컵은 누수가 방지될 수 있도록 롤 상태의 원단 외면에 얇게 비닐 코팅 처리하고 외면에는 컵 원통 전개도에 맞게 배열하여 그라비아 인쇄(소량 로고 주문 생산의 경우에는 옵셋트 인쇄)로써 무늬 도안을 형성한 다음 펀칭기에서 컵 원통 전개 상태의 컵 원지를 타발하여 종이컵 성형기에서 컵으로 제조하게 되는 바, 종이컵 성형기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재단된 컵 원지를 적층시켜 한 장씩 자동 공급하여 원통형으로 접착시키는 1차적인 통체 성형 공정과, 밑받침을 테이프 형 롤로 권취된 비닐 코팅된 밑지를 종이컵 성형기 측면에 장착하여 연속적으로 풀어 공급하면서 펀칭으로 타발 형성함과 동시에 둘레를 꺽어 상기 1차 통체 성형 공정에서 성형 되어 온 컵 통체 내에 끼워 넣는 공정을 거쳐 밑받침 가열 접착 공정에 이르게 된다.
밑받침 가열 접착 공정에서는 통상 밑받침이 끼워진 컵 통체의 하부를 히터에 의하여 1차, 예열을 실시하고, 2차, 컬링(Curling) 공정에서 컵 상단을 외측(본 발명에서는 안쪽)으로 가늘게 말리게 함과 동시에 하단부를 안쪽으로 꺽어 주는 정도로 굵게 말려 들어가게 하여 끼워진 밑받침의 아래 쪽 꺽여진 부분을 감싸는 상태로 꺽여 말리게하는 공정이 상, 하에서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하부 측을 안쪽으로 말리게 하는 몰드 하부 내측에는 본열 히터가 내장되어 있어 컵 원통체 하단부를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게 하면서 가열하여 비닐 코팅층을 반 용융 상태로 만들어 다음의 로렛트 접착 공정에서 원활히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부측이 안쪽으로 말려 충분히 예열되어 온 컵 원통체는 로렛트 접착공정에 이르게되어 컵 원통체 하부 외측 즉, 밑받침이 끼워진 아래측에 끼워지는 상태에서 자전과 공전 운동을 하는 로렛트 볼에 의하여 하부 둘레가 압착되어 종이컵이 완성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제조공정에 의하여 제조되고, 컵원지를 성형할 컵의 전개 상태로 재단하여 타발 성형시, 중앙 상단부를 원판형으로 돌출 형성하되, 돌출되는 높이를 전체 원판의 3/5 높이가 돌출되게 하고, 하부측 2/5는 컵통체(1) 자체가 되도록 원판을 따라 절첩라인(3)을 눌러 형성하여 뚜껑(2)을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컵통체(1)의 상단 둘레의 뚜껑(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안쪽으로 인컬링하여 컬링테(4)를 형성하므로서, 입술에 부드럽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본래의 작용과 더불어 뚜껑(2)을 접었을 때 걸려져 되빠지지 않는 걸림턱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뚜껑의 상부측에는 "+" 자형 절개부(5)를 형성하여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도 빨대를 꽂아 음용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패스트푸드점이나 고속도로 휴게소 등에서 손님에게 음료를 제공시 별도의 뚜껑을 여닫는 불편없이 음료를 담은 후 간단히 세워져 있는 뚜껑(2)을 눌러 주기만 하면 절첩라인(3)을 따라 뚜껑이 접혀 지면서 컵통체(1) 상부측 둘레에 내측으로 인컬링하여 형성된 컬링테(4) 밑에 끼워져 뚜껑(2)이 닫혀지게 된다.
또한, 뚜껑에 형성된 "+" 자형 절개부(8)에 의하여 뚜껑(2)의 닫힘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빨대를 꽂아 음료를 마실 수 있으며, 취향에 따라 뚜껑(2)을 개방 시킨 상태에서 마시게 되더라도 컵통체 상단 둘레가 종이재인 컵통체를 말아 형성한 컬링테(4)에 의하여 입술에 닿는 촉감이 부드러워 종래 플라스틱 테에 의한 거친 느낌을 받지 않고 사용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플라스틱제로 된 뚜껑 또는 플라스틱 테가 없이도 자체적으로 절첩되는 뚜껑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환경 호르몬 문제로 사용이 금지되는 식품 용기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사용문제를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재활용에 있어서도 종이컵 전체를 그대로 재활용하여 펄프를 재생 사용할 수 있게되며, 매립 또는 소각하게 되더라도 환경오염을 극소화 시킬 수 있게되는 등 환경산업에도 크게 이바지 할 수 있게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선행발명에서와 같이 뚜껑을 접어 끼울 수 있는 걸림테를 별도로 형성하는 불편없이 입술에 부드럽게 접촉되게 하기 위하여 기왕에 형성되는 컵상단 둘레의 컬링테를 외측 대신 안쪽으로 컬링하므로서, 걸림턱의 기능을 겸하게 되어 구조적으로 간편하게 되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종이컵 제조공정에 의하여 제조되고, 컵원지를 성형할 컵의 전개 상태로 재단하여 타발 성형시, 중앙 상단부를 원판형으로 돌출 형성하되, 돌출되는 높이를 전체 원판의 3/5 높이가 돌출되게 하고, 하부측 2/5는 컵통체(1) 자체가 되도록 원판을 따라 절첩라인(3)을 눌러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부측에 "+" 자형 절개부(5)를 갖는 뚜껑(2)이 절첩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컵통체(1)의 상단 둘레의 뚜껑(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안쪽으로 인컬링하여 컬링테(4)를 형성하므로서, 뚜껑(2)을 닫았을 때 걸림턱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
KR10-2001-0079183A 2001-12-14 2001-12-14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 KR100459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183A KR100459983B1 (ko) 2001-12-14 2001-12-14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183A KR100459983B1 (ko) 2001-12-14 2001-12-14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587U Division KR200267945Y1 (ko) 2001-12-14 2001-12-14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081A KR20030049081A (ko) 2003-06-25
KR100459983B1 true KR100459983B1 (ko) 2004-12-08

Family

ID=2957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183A KR100459983B1 (ko) 2001-12-14 2001-12-14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9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068B1 (ko) * 2019-11-28 2020-03-06 황상우 내측으로 형성된 컬링부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뚜껑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4937A (en) * 1979-10-22 1981-06-02 Nippon Dekishi Kk Cup with cover
JPS59179687U (ja) * 1983-05-18 1984-11-30 小田 明宏 液体の飛び散り防止コツプ
US4620665A (en) * 1983-08-18 1986-11-04 Nathaniel H. Garfield Container with integral toggle closure
US6176420B1 (en) * 1999-06-07 2001-01-23 George E. Sarson Disposable cup with spill resistant lid
JP2001139016A (ja) * 1999-11-16 2001-05-22 Toppan Printing Co Ltd 蓋一体型の紙カップ容器
KR100354144B1 (ko) * 2000-05-19 2002-09-28 철 양 덮개가 달린 종이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4937A (en) * 1979-10-22 1981-06-02 Nippon Dekishi Kk Cup with cover
JPS59179687U (ja) * 1983-05-18 1984-11-30 小田 明宏 液体の飛び散り防止コツプ
US4620665A (en) * 1983-08-18 1986-11-04 Nathaniel H. Garfield Container with integral toggle closure
US6176420B1 (en) * 1999-06-07 2001-01-23 George E. Sarson Disposable cup with spill resistant lid
JP2001139016A (ja) * 1999-11-16 2001-05-22 Toppan Printing Co Ltd 蓋一体型の紙カップ容器
KR100354144B1 (ko) * 2000-05-19 2002-09-28 철 양 덮개가 달린 종이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068B1 (ko) * 2019-11-28 2020-03-06 황상우 내측으로 형성된 컬링부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081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1961A (en) Cup lid
US20050040218A1 (en) Unitary double walled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USD469691S1 (en) Paper cup with fold top lid
NO325712B1 (no) Varmeisolerende beholder
KR20020073366A (ko) 안전컵 및 안전컵의 제조방법
WO1999059883A1 (fr) Recipient isolant
JP3908384B2 (ja) 断熱容器
WO2006095730A1 (ja) 断熱容器
KR100459983B1 (ko)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
KR200267945Y1 (ko)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
CA2031703C (en) Cup lid
JP4043815B2 (ja) 隠し絵付き断熱容器
JP3953583B2 (ja) 電子レンジ加熱調理容器の外装体
KR200226918Y1 (ko)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
KR20020054070A (ko)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
JP3953992B2 (ja) 断熱性紙製容器
KR100475360B1 (ko)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
JP2003231517A (ja) 蓋一体型紙コップ
JP3967129B2 (ja) 断熱紙容器
KR200280955Y1 (ko)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
JP2000118520A (ja) 断熱性容器
JP3773366B2 (ja) 断熱性容器
JPH11342982A (ja) 取手付き断熱容器
KR19980059445U (ko) 절첩되는 일회용 종이컵
US9884707B2 (en) Pop-out constructible utens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