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338B1 - 흡음 패널 - Google Patents

흡음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338B1
KR100459338B1 KR10-2001-0014372A KR20010014372A KR100459338B1 KR 100459338 B1 KR100459338 B1 KR 100459338B1 KR 20010014372 A KR20010014372 A KR 20010014372A KR 100459338 B1 KR100459338 B1 KR 100459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absorbing
plate
pane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0448A (ko
Inventor
나카무라모토하루
하라다유타카
Original Assignee
닛테쓰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테쓰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테쓰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0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2001/8245Machines for manufacturing, shaping, piercing or filling sound insulat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공판과 차음판의 사이에 흡음재를 배치하여 이루어진 흡음 패널에 있어서, 흡음재에서 결로 발생 방지기능을 가지는 흡음 패널을 제공한다.
유공판(a)과 차음판(b)의 사이에 흡음재(65)를 배치한다. 이 흡음재(65)의 차음판(b)측에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단열층(66)을 형성한다.
단열층은, 발포수지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흡음재는 무기질섬유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흡음 패널은, 차음판이 실외측에, 유공판이 실내측으로 되도록 배치되고, 외벽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는, 양호한 흡음특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실외의 기온이 실내의 기온 보다도 낮게 되는 경우에도, 실내의 공기중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흡음재내에 있어서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음 패널 {ACOUSTIC ABSORPTION PANEL}
본 발명은, 공장 등의 소음이 발생하는 시설의 외벽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흡음 패널에 관한 것이다.
공장 등과 같이 소음이 발생하는 시설에는, 시설 내에서의 소음의 저감이나, 시설 밖에서의 소음의 방지를 위해, 외벽에 흡음 패널을 채용하고 있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흡음 패널(B)로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후프(hoop)재로 이루어지는 유공판(有孔板)(a)과, 금속 후프재로 이루어지는 차음판(遮音板)(b)의 사이에 암면이나 유리섬유 등의 무기질섬유재로 이루어지는 흡음재(吸音材)(65)를 배치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 흡음 패널(B)은, 차음판(b)이 시설의 외측에,유공판(a)이 시설의 내측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외벽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흡음 패널(B)을 외벽으로서 사용하면, 공장 등의 시설내의 소음은, 유공판(a)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c)에서 흡음재(65)에 전달되고, 흡음재(65)로서 소음이 흡수된다. 그 결과, 흡음 패널(b)에서 소리가 반사되고, 흡음 패널(B)을 통하여 시설 외부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이 억제되어, 시설내에서 소음의 저감 및 실외로의 소음의 누설 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겨울철에는, 공장 등의 시설내부의 온도가 실외의 온도보다도 높게 되므로, 흡음 패널(B)의 흡음재(65)의 차음판(b)측에 결로가 발생하기 쉬웠다. 즉, 시설내의 공기가 유공판(a)의 구멍(c)에서 흡음재(65)내에 침입하여 차음판(b)의 표면에 도달하고, 이 공기중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외기에 의하여 냉각된 차음판(b)에 접촉하여 결로가 발생한다. 이러한 결로의 발생은 부식의 원인이 되고, 이 부식에 의하여 차음판(b)과 흡음재(65)가 박리하여 흡음 패널(B)의 내구성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유공판과 차음판의 사이에 흡음재를 배치하여 형성되는 흡음 패널에 있어서, 흡음재에 있어서의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흡음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음 패널은, 유공판(a)과 차음판(b)의 사이에 흡음재(65)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흡음재(65)의 차음판(b) 측에,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열층(66)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층(66)을 구성하는 재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흡음재(65)에 함침시켜, 상기 단열층(66)을 상기 흡음재(65)와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제1 실시예의 흡음 패널에 있어서, 단열층(66)을 발포수지로써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흡음 패널에 있어서, 흡음재(65)를 무기질섬유재로써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흡음 패널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음 패널의 제조라인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4는 흡음 패널의 일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금속 외피에 형성된 천공구멍을 나타내는 파단 사시도이다.
도 6은 금속 외피에 형성된 천공구멍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파단 사시도이다.
도 7(a) 및 (b)는, 금속외피의 폭방향의 양단부 및 절곡가공 형상을 나타내는 파단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흡음 패널의 제조라인을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9(a)~(c)는 제1접착제도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a)~(c)는 성형재료도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a)~(c)는 흡음 패널의 제조라인 및 다공질재장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흡수재에 의한 접착제의 제거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a)~(d)는 흡음 패널의 제조라인에 있어서의 절단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a)~(f)는 흡음 패널의 제조라인에 있어서의 절단/단부 절곡 가공을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15는 제1접착제도포장치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흡음 패널을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흡음 패널, 1: 단부유지부, 1a: 접속편
a: 유공판, b: 차음판 c: 구멍
d: 다공질재 e: 무기질심재
65: 흡음재 66 단열층 91a: 공진막 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술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흡음 패널(A)에 있어서, 차음판(b)과 유공판(a)은, 금속 후프재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되고, 유공판(a)에는, 표면과 이면에 개공하는(뚫린) 구멍(c)이 전면에 걸쳐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이 유공판(a)은 경사 입사음(入射音)의 고 흡음성능을 얻기 위해서, 판 두께가 0.5∼1.0 mm에서, 구멍 직경이 3∼10 mm, 개공율(開孔率)이 30∼6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음판(b)과 유공판(a)의 양측부에는, 굴곡 성형에 의해, 패널 접속용의 접속편(1a)이 형성된다. 이 차음판(b)과 유공판(a)의 사이에는, 흡음재(65)와 무기질심재(無機質芯材)(e)가 배치되어 있다.
무기질심재(e)는 흡음 패널(A)의 양측단부에 있어서의 차음판(b)과 유공판(a)의 사이 영역에 배치된다. 여기서 무기질심재(e)는 접속편(1a)의 내측에서 유지되어 있고, 접속편(1a)는 무기질심재(e)를 유지하는 심재유지용 단부유지편(1)으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흡음재(65)는, 차음판(b)과 유공판(a)의 사이에서, 양측단부에 배치된 무기질심재(e)의 사이 영역에 충전되고, 암면이나 유리섬유 등의 무기질섬유재등으로 형성되는 다공질재(d)로서 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흡음재(65)의 차음판(b) 측에, 수분(수증기)을 통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열층(6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단열층(66)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는, 단열층(66)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재료를 흡음재(65)의 차음판(b) 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이 성형재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흡음재(65)에 함침시키고, 이 상태에서 성형재료를 성형하여 단열층(66)을 형성함으로써, 단열층(66)을 흡음재(65)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음재(65)와 단열층(66)의 층 사이의 경계면이 형성되지 않고, 층 사이의 박리를 방지하여 흡음 패널(A)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단열층(66)은 흡음재(65)와 차음판(b)의 접착을 확보하는 접착제의 기능도 겸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흡음 패널(A)은, 차음판(b)이 실외(屋外)측에, 유공판(a)이 실내(屋內)측으로 되도록 배치되고, 공장 등의 시설의 외벽으로서 사용된다. 이 때, 시설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흡음 패널(A)의 유공판(a)의 구멍(c)을 통하여 흡음재(65)내에 전달되고, 흡음재(65)가 이 소음을 흡음하므로서,소음이 흡음 패널(A)에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의 소음을 저감함과 동시에, 소음이 흡음 패널(A)를 통하여 실외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실외로의 소음 누출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겨울철 등과 같이, 실외의 기온이 실내의 실온 보다도 낮아지는 경우에는, 구멍(c)을 통하여 흡음재(65)내에 도달한 공기중의 수증기는,단열층(66)에 의하여 단열층(66)보다도 차음판(b) 측으로 침입하는 것이 저지되므로, 실내 측의 공기중의 수증기는, 외기에 의해서 냉각된 차음판(b)의 표면까지 도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단열층(66)의 존재에 의하여 단열층(66)보다도 실내측에 있는 유공판(a) 측에서의 흡음재(65)의 온도 저하가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음 패널에 따르면, 실외와 실내의 사이에 있어서 양호한 단열특성을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내의 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흡음 패널의 흡음재(65) 내에 있어서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단열층(66)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는, 특히 발포폴리우레탄, 발포 이소시아누레이트(isocyanurate), 발포페놀 등과 같은 발포수지(플라스틱 폼)와 같이, 독립 기포를 가지는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립 기포를 가지는 발포수지와 같은 재료는, 수증기의 통과를 저지함과 동시에 높은 단열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물질을 흡음재(65)에 함침(含浸)시켜 단열층(66)을 형성하면, 높은 방수성과 단열성을 가지는 단열층(66)을 형성할 수가 있어, 결과로서 흡음재(66) 중에 있어서 결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데 특히 바람직하다.
단열층(65)을 발포수지로써 형성하는 경우는, 단열층(66)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재료로서, 발포폴리우레탄, 발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페놀 등의 발포수지를 성형하기 위한 발포성 성형재료(플라스틱 폼 믹서)를 이용하여, 이 발포성 성형재료를 흡음재(65)의 차음판(b) 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발포성 성형재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흡음재(65)에 함침시키고, 이 상태에서 발포성 성형재료를 가열함으로써 발포 성형하여 단열층(66)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단열층(66)이 흡음재(65)에강력하게 결합한 일체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흡음 패널(A)에 사용되는 흡음재(65)는 암면이나 유리섬유 등의 무기질섬유재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흡음재(65)에 높은 흡음성능을 부여할 수가 있다. 더구나, 흡음재(65)에 대하여 단열층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재료를 함침시켜, 흡음재(65)와 단열층(66)을 일체로 형성하는 데 있어, 섬유의 간극에 성형재료를 용이하게 함침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열층(66)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흡음 패널(A)을 제작하는 데 있어서는 흡음재(65)나 단열층(66)의 두께가 적당히 설정되지만, 예를 들면 흡음재(65)의 두께를 5 cm로 형성하는 동시에, 단열층(66)의 두께를 5∼10 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흡음 패널(A)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흡음 패널(A)의 연속 생산라인의 설명도이다. 생산라인의 시작부에는, 송출장치(送出裝置)(2)로서 상하로 언코일러(2a, 2b)가 설치되고, 상부의 언코일러(2a)에서 공급되는 후프재의 금속 외피는, 표면과 이면에 뚫린 구멍(c)을 전체면에 걸쳐 다수개 설치하여 형성되는 유공판(a)이다. 유공판(a)의 폭방향의 양측단부에는 후술하는 절곡장치(折曲裝置)(3)에 의하여 롤성형이 실시된다. 예를 들면, 유공판(a)의 일측단부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롤 설형할 수 있다.
또한, 하부의 언코일러(2b)에서 공급되는 후프재의 금속외피는, 차음성(遮音性)을 가지는 차음판(b)이다. 차음판(b)의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전송 시작부에 설치된 천공장치(9)에 의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천공 구멍(8a, 8b)이 형성된다. 도 5에서, 화살표 Y는, 차음판(b)의 전송 방향이다. 천공 구멍(8a, 8b)은, 선행의 패널체부분(A)과 후속의 패널체부분(A')의 절단 분리에 이용된다. 더구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 구멍(8a, 8b)은, 그 1변을 대략 계단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대략 산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차음판(b)의 반송도중에도 상기와 동일하게 절곡장치(3)가 배치된다. 이 절곡장치(3)로써 후술하는 무기질심재(e)를 유지하기 위한 심재유지편(1)이 롤 성형된다. 이 심재유지편(1)은, 인접하는 패널끼리를 연결하기 위한 접속편(1a)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 성형형상의 일예를 도 7(a)(b)에 나타낸다.
절곡장치(3)의 하류측에는, 제1접착제도포장치(10)가 배치된다. 이 제1접착제도포장치(10)로써 차음판(b)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접착제(51)가 도포된다. 제1접착제도포장치(10)의 하류측에는, 패널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규산칼슘 등의 경질의 무기질심재(e)를 공급하기 위한 심재삽입부(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접착제도포장치(10)에서 접착제가 차음판(b)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도포된 후, 그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에 차음판(b)의 전송 방향으로 길고 가느다란 종이형의 무기질심재(e)가 장전되어, 접착된다.
심재삽입부(21)의 하류측에는, 글라스크로스나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는 충전재(60)를 유공판(a)의 하면(도 3에서, 유공판a의 하측 표면)에 공급하기 위한 충전재공급장치(도시생략)가 설치된다. 충전재(60)는, 후술하는 암면 등의 무기질섬유재 등으로 형성되는 다공질재(d)에서 섬유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유공판(a)의 구멍(c)에서 후술하는 제2접착제도포장치(24)에 의하여 유공판(a)의 하면에 도포되는 접착제(51)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보호시트(50)가 제1보호시트공급장치(52)에 의하여 유공판(a)의 상면에 공급된다. 즉, 제1보호시트공급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공판(a)의 상방에 설치되고, 합성수지필름이나 크래프트지(kraft paper)등으로 형성되는 보호시트(50)를 감아서 유지하는 보호시트롤(53)과, 보호시트롤(53)에서 인출된 보호시트(50)와 유공판(a)을 끼워넣어 보호시트(50)을 유공판의 상면에 가압하여 붙이는 상하 1쌍의 가압롤(73)로 구성된다.
보호시트(50)는, 진행하는 유공판(a)의 장력에 의해서 보호시트롤(53)로부터 인출되고, 순차적으로, 유공판(a)의 상면에 붙여지며, 이 유공판(a)의 상면에 배치된 보호시트(50)에 의해서 유공판(a) 구멍(c)의 상측 개공이 막힐 수 있다. 그리고 보호시트(50)로 구멍(c)을 막은 상태로 유공판(a)의 하면에, 다음 공정에서 제2접착제도포장치(24)에 의하여 접착제(51)를 도포함으로써, 유공판(a)의 하면에 도포한 접착제(51)가 구멍(c)을 통하여 유공판(a)의 상면측에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어, 접착제(51)에 의해서 유공판(a)의 상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충전재(60)의 공급장치 및 제1보호시트공급장치(52)의 하류측에서, 또한 다공질재(d)의 차음판(b)위로의 공급부분(후술하는 반송 컨베이어(17)의 경사부(19)의 하단)의 상류측에는, 제2접착제도포장치(24a) 및 발포성성형재료(67)를 도포하기 위한 성형재료도포장치(24b)가 설치된다. 제2접착제도포장치(24a)는, 접착제(51)를 유공판(a)의 하면측에 도포한다. 한편, 성형재료도포장치(24b)는, 차음판(b)의 상방으로 배치되어 있고, 차음판(b)의 상면에 발포성성형재료(67)를 도포한다.
제2접착제도포장치(24a)는, 도 9(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노즐(25)을 반송되는 유공판(a)에 접촉시킨 경우에, 노즐공(26)에서 소정압력으로 분사되는 접착제(51)의 분출압을 받아 도포노즐(25)을 유공판(a)의 하면에서 약간 후퇴(하강)시켜 유공판(a)에 대하여 약간의 간격(E)을 형성하는 도포노즐유지수단(27)과, 도포노즐(25)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간격(E)에서 접착제(51)를 유공판(a)의 하면에 면상으로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한 롤상의 고르개부(28)를 구비한다. 도 9에서, 29는 실린더, 30은, 스프링, 31은 받침롤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접착제도포장치(24a)에 따르면, 도포노즐(25)을 상측의 유공판(a)의 하면에 접촉시키고, 노즐공(26)에서 분출되는 접착제(51)가 유공판(a) 및 받침롤(31)에서 받아들이는 압력에 의하여, 도포노즐(25)이 유공판(a)에서 후퇴하고, 유공판(a)과의 사이에 분출압에 기인하는 소정의 간격(E)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간격(E)에 있어서 노즐공(26)에서 분출된 접착제(51)를 도포노즐(25)에 형성된 롤형의 고르개부(28)에서 면모양으로 또한 간격(E)에 상당하는 두께로 균일하게 유공판(a)의 하면에 도포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반송된 유공판(a)의 하면으로의 접착제(51)의 도포를 균일 또한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노즐공(26)에서 접착제(51)를 분출하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서, 도포노즐(15)이 유공판(a)에서 분리되는 간격(E)을 억제하고, 접착제(51)의 도포 두께의 설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10(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재료도포장치(24b)는, 도포노즐(25)을 반송시키는 차음판(b)에 접촉시킨 경우에, 노즐공(26)에서 소정압력으로 분출되는 발포성성형재로(67)의 분출압을 받아서 도포노즐(25)을 차음판(b)의 상면에서 약간 후퇴(상승)시켜 차음판(b)에 대하여 약간의 간격(E)을 형성하는 도포노즐유지수단(27)과, 도포노즐(25)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간격(E)에 대한 발포성성형재료(67)를 균일하게 차음판(b)에 면형으로 도포하는 롤형의 고르개부(28)를 구비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9는 실린더, 참조부호 30은 스프링, 참조부호 31은 받침롤이다.
이와 같은 발포성성형재료(67)의 도포장치(24b)에 따르면, 도포노즐(25)을 하측의 차음판(b)의 상면에 접촉시키고, 노즐공(26)에서 분출되는 발포성성형재료(67)가 차음판(b) 및 받침롤(31)에서 받아 들이는 수압력으로서, 도포노즐(25)이 차음판(b)에서 후퇴하고, 차음판(b)과의 사이에 분출압에 기인하는 소정의 간격(E)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간격(E)에서 노즐공(26)으로부터 분출된 발포성성형재료(67)를 도포노즐(25)에 형성된 롤형의 고르개부(28)에 있어서 면형으로 또한 간격(E)에 상당하는 두께로 고르게 차음판(b)의 상면에 도포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반송되는 차음판(b)의 상면으로의 발포성 성형재료(67)의 도포를 고르게 또한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도포노즐(25)에서 발포성 성형재료를 분출하는 압력을 조절하므로, 도포노즐(25)이 차음판(b)에서 분리되는 간격(E)을 제어하고, 발포성 성형재료(67)의 도포 두께의 설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패널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접착된 무기질심재(e)의 사이에유공판(a)와 차음판(b)의 사이 공간에 암면 등의 무기질심재 등으로 형성되는 다공질재(d)를 장전한다. 다공질재(d)의 장전은, 반송 컨베이어(17)의 경사부(19)의 하단에서 행해진다. 다공질재(d)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접착된 무기질심재(e) 사이에 장전함에 있어서는, 다공질재(d)의 섬유의 축방향이 완성한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향하도록 유공판(a)과 차음판(b)의 사이에 장전된다.
다공질(d)을 장전함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11(a)~(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공질재 장전장치(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a)는, 장전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1(b)~11(d)는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본 장전장치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이 장전장치(4)의 시작부(도 11(a)의 좌상부)에는 수납용의 롤러 컨베이어(11)가 배치되고, 여러겹으로 쌓아서 대기시킨 판형의 무기질섬유판(D)이 한장씩 롤러 컨베이어(11)에 의하여 이재기(移載機)에 이송된다.
각각의 무기질섬유판(D)의 표면에는 막 부재(91)가 전체면에 걸쳐서 붙어있다. 막 부재(91)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불화비닐,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필름 또는 플라스틱시트, 고밀도의 글라스크로스, 부직포 등의 얇은 시트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막 부재(91)는, 무기질섬유판(D)의 표면에 접착제(51)를 점형으로 도포하여 부분적으로 접착되고,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다공질재(d)의 사이에 공진막 부재(91)로서 끼워넣어 공진막으로 기능한다.
롤러 컨베이어(11)에 의한 무기질섬유판(D)의 이송방향은, 무기질섬유판(D)내의 무기질섬유의 축방향에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송기(12)에 이송된 한장의 무기질섬유판(D)은, 롤러 컨베이어(11)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되고,복수의 슬리터(slitter)(13)을 갖는 절단기(6)로 보내어져 여기서 종이형으로 절단된다. 이때, 슬리터(13)에 의한 절단방향은, 무기질섬유판(D)내의 섬유의 축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이다. 이와 같이하여, 한장의 무기질섬유판(D)에서 수매의 종이상의 다공질재(d)를 얻을 수 있다.
슬리터(13)의 하류부에는, 스토퍼(stopper)(14)를 구비한 컨베이어(61)가 배치되고, 절단기(6)에서 공급된 종이형의 다공질재(d)가 스토퍼(14)에 의하여 수취되고, 도 11(b)중의 화살표(E)에 도시된 방향으로 수평 이송된다. 이때, 컨베이어(61)에 의하여 이송방향은, 종이형의 다공질재(d)의 무기질섬유의 축방향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수평이송된 종이형의 다공질재(d)의 각각은, 컨베이어(61)의 종단부에 설치된 반전바(15)를 가지는 반전수단(7)에 의하여 90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하여, 종이형의 다공질재(d)의 무기질섬유의 축방향은 컨베이어(61)에 의하여 이송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방향으로 된다. 90도 회전시킨 종이형의 다공질재(d)는, 반전수단(7)에 인접하여 배치된 이송 컨베이어(16)에 이송된다. 이송 컨베이어(16)에 이송된 종이형의 다공질재(d)는, 사이드 가이드(22) 및 승강 스토퍼(23)에 의하여 예를 들면 10매로 정렬되고, 반송 컨베이어(17)에 종이형의 다공질재의 집합체로서 통합하면서 이송된다. 이때, 인접하는 다공질재(d)의 사이에는 상기한 공진막 부재(91a)가 배치된다.
반송 컨베이어(17)는, 수평부(18)와 경사부(19)로 구성되고, 통합된 다공질재(d)의 집합체(예를 들면, 10매)를 수평부에서 경사부를 따라서 하류측에 5매씩 어긋나도록 이송하고, 연속적으로 차음판(b)의 위에서, 이미 접착제(51)로써 접착되고 있는 무기질심재(e) 사이에 장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무기질심재(e)의 선단은 선행하는 무기질심재(e)에 접촉시켜 채워 넣을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채워 넣음으로써, 다공질재(d) 끼리의 맞대는 선(20)이 일직선형으로 일치하는 것을 회피하고, 맞대는 선(20)을 어긋나게 함으로써, 패널 제품에 있어서 굽힘 강도가 약한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게 한다.
다공질재(d)가 유공판(a)와 차음판(b)의 사이에 공급되는 부근에서는, 제1보호시트공급장치(52)에 의하여 유공판(a)의 상면에 밀착시켜 붙이는 보호시트(50)가 제1보호시트박리장치(54)에 의하여 제거된다(도 8참조). 제1보호시트박리장치(54)는, 보호시트(50)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롤을 가지고, 누름롤(55)의 하류측에서 유공판(a)의 상방으로 설치된다. 누름롤(55)은, 보호시트(50)를 통하여 상방으로부터 유공판(a)을 다공질재(d)의 상면으로 누름에 의하여, 유공판(a)의 하면에 도포된 접착제(51)를 다공질재(d)에 침투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제1보호시트박리장치(54)는, 접착제(51)의 도포공정의 후 바로 유공판(a)에서 보호시트(50)를 권취 제거하기 때문에, 유공판(a)의 구멍(c)에 침입한 접착제(51)에 의하여 유공판(a)과 보호시트(50)가 완전히 접착되는 것이 아니고, 유공판(a)에서의 보호시트(50)의 박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더구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보호시트박리장치(54)의 하류측에서 유공판(a)의 상측에는 흡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흡수재(56)가 흡수재공급롤(57)에 롤형으로 감겨 배치되고, 흡수재(56)는 롤형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풀리게 되고, 유공판(a)의 상면에 배치된다. 유공판(a)의 상면에 배치된 흡수재(56)는 연질롤(58)로서 유공판(a)의 상면에 가압된다. 이와 같은 연질롤(58)로서 흡수재(56)를 유공판(a)의 상면으로 가압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재(56)가 구멍(c)의 상면 개공에서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이 구멍(c)내에 들어가게 된 흡수재(56)에 의하여 구멍(c)내에 충전된 접착제(51)가 흡수되어 제거되는 것이다. 이 접착제(51)를 흡수한 흡수재(56)는 권취롤(59)에 의하여 다시 권취되고, 유공판(a)의 상면에서 제거된다.
이와 같이 흡수재(56)에 의하여 구멍(c)내에 충전된 여분의 접착제(51)를 흡수하여 제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제(51)가 구멍(c)내에서 굳어져 구멍(c)을 막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구멍(c)이 막히는 것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음 패널의 흡음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권취롤(59)의 하류측에는,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공판(a)의 상방으로 제2보호시트를 공급하기 위한 제2보호시트공급장치(70)가 설치된다. 이 제2보호시트공급장치(70)는, 상기한 제1보호시트공급장치(52)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보호시트(50)를 감아서 유지하는 보호시트롤(71)을 가진다. 보호시트(50)는 진행하는 유공판(a)의 장력에 의하여 보호시트롤(71)에서 인출되고, 순차적으로, 유공판(a)의 상면에 붙여지고, 이 유공판(a)의 상면에 배치된 보호시트(50)에 의하여 유공판(a)의 구멍(c)의 상측 개공이 막히게 된다. 그리고 유공판(a)은 보호시트(50)로서 구멍(c)이 막힌 상태에서 다음 공정의 성형장치로 이송된다.
성형장치(5)는, 상부 성형몰드(34)와 하부 성형몰드(35)를 컨베이어형으로회전 가능하게 형성한 더블 컨베이어와, 상부 성형몰드(34)와 하부 성형몰드(35)를 가열하는 히터(도시생략)로서 구성된다. 유공판(a)과 차음판(b)의 사이에 충전재(60), 다공질재(d) 및 무기질심재(e)가 장전된 패널적층체가, 상부 성형몰드(34)와 하부 성형몰드(35)의 사이에 인입하여 끼워지고, 상부 성형몰드(34)와 하부 성형몰드(35)로 가압함과 동시에, 가열되어 일체로 접착된다.
이 가열가압공정에 있어서, 무기질심재(e)가 유공판(a) 및 차음판(b)과 접착제(51)로 접착되고, 또한 유공판(a)과 다공질재(d)가 접착제(51)에 의하여 접착된다. 또한, 다공질재(d)와 차음판(b)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는 발포성성형재료(67)는 다공질재(d)에 함침됨과 동시에 가열에 의해 발포성형되고, 발포수지로 이루어지는 단열층(66)이, 흡음재(65)내의 간격에 함침한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다공질재(d)와 차음판(b)은, 단열층(66)을 구성하는 발포수지로서 접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성형장치(5)를 사용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성형장치(5)에 의한 성형(가압)으로서, 유공판(a)과 다공질재(d)를 접착하므로 접착제(51)가 구멍(c)으로 밀리게 되어, 이 접착제(51)가 구멍(c)으로부터 유공판(a)의 상면측으로 누출되어 성형장치(5)의 상부 성형몰드(34)나 그 주변을 오염할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에 따르면, 유공판(a)의 상면에 보호시트(50)를 배치하여 구멍(c)을 막은 상태에서 성형장치(5)로 성형하기 때문에, 보호시트(50)에 의하여 상기 접착제(51)가 구멍(c)으로부터 유공판(a)의 상면측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될 수 있고, 접착제(51)에 의하여 성형장치나그 주변의 오염을 보호시트(50)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다.
성형장치(5)의 하류측에는, 제2보호시트박리장치(72)가 설치된다. 제2보호시트박리장치(72)는, 제2보호시트공급장치(70)으로부터 공급되어 유공판(a)의 상면에 밀착시켜 붙이는 보호시트(50)를 유공판(a)에서 박리하고 회전하여 권취되는 권취롤(79)를 가진다. 상기 성형공정에 있어서 접착제(51)로 오염된 보호시트(50)를 이 보호시트박리장치(72)로서 유공판(a)으로부터 박리하여 권취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호시트(50)는 필요에 따라서 사용하는 것이고, 구멍(c)으로부터 접착제(51)가 누출되지 않게 되면 보호시트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보호시트(50)를 무한루프형(엔드리스)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제2보호시트박리장치(72)의 하류측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절단장치(43)로서, 톱 절단기(36) 등의 절단기가 배치된다. 도 7(a) 및 도 14(a) 및 (b)에 도시되는 절단선(L)으로, 상하의 톱(39, 40)으로 상측의 유공판(a)과 하측의 차음판(b)과 충전재(60) 및 무기질심재(e)와 다공질재(d)의 절단을 행한다. 또한, 도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제거수단(44)으로서 설치된 한쌍의 톱(41, 41)에 의하고, 상기 절단위치(L)보다 전후로 들어간 위치(R)에서, 상측의 유공판(a)과 충전재(60) 및 무기질심재(e)와 다공질재(d)를 하측의 차음판(b)에 도달하지 않도록 절단하고, 제거한다(도 14 (d)참조). 이러한 무기질심재(e)와 다공질재(d)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할 때에는, 미리 이형제의 도포가 천공구멍(8a, 8b) 사이(도 5 및 도 6 참조)의 전역(Q)에서 행해져, 불필요 부분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이형제에 대신에 이형지를 붙여도 좋다.
불필요부분의 무기질심재(e)와 다공질재(d)가 제거되어 남겨진 차음판(b)의 단부부분을 라인에 조립된 단면절곡기(도시생략)로써 도 5의 X 치수로 그 폭을 나타낸 접속편(42)을 무기질심재(e)와 다공질재(d)가 제거된 위치(M)에서 절곡하여, 흡음 패널(A)를 얻는다(도 14(e)참조). 완성한 흡음 패널(A)은, 송출 롤러 컨베이어(roller conveyer)로써 송출된다. 도 5중 S,P로 도시한 영역은, 톱(41,41)에 의한 절단 제거부분을 도시한다. 또한 도 14(f)중 62은, 인접하는 흡음 패널(A)끼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쇠장식을 나타내고 있다. 63은 코킹제, 64는 세라믹화이버와 같은 단열재이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유공판(a)과 차음판(b)의 송출장치(2)의 송출속도, 상하의 유공판(a)과 차음판(b) 사이에 무기질심재(e)나 다공질재(d)를 성형하는 더블 컨베이어의 성형장치(5)에 있어서 반송속도를 포함하는 절단장치(43)까지의 라인(line)속도는 약 3 m/min 정도이고, 절단수단(43)으로 절단되고, 절단위치(L)의 무기질심재(e)나 다공질재(d)가 제거된 흡음 패널은, 송출 컨베이어로서 약 40 m/min 정도의 고속으로 절곡수단까지 반입하고, 이 절곡수단에 의하여 완만한 속도로 절곡 가공이 실시된다.
다음에, 접착제(51)의 도포장치(24a)의 변경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변경예에 따른 도포장치(24a)는, 접착제(51)가 모이는 용기(80)와, 용기(80)내에 설치되어 회전 구동되는 도포롤(81)과, 도포롤(81)의 상방으로 도포롤(81)과 대향시켜 설치되는 받침롤(82)로 구성된다. 상기 도포롤(81)의 하부는 용기(80)내의 접착제(51)에 침지(浸漬)되어 있다. 그리고 도포롤(81)로유공판(a)에 접착제(51)를 도포하는 데 있어서는, 용기(80)내에서 도포롤(81)의 하부의 표면에 부착된 접착제(51)를 도포롤(81)의 회전에 의해서 상방으로 끌어 올리고, 받침롤(82)을 유공판(a)의 상면에 보호시트(50)를 통하여 접촉시키는 동시에 유공판(a)의 하면에 도포롤(81)을 접촉시키고, 도포롤(81)의 표면의 접착제(51)를 유공판(a)의 하면에 전사함에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유공판(a)을 반송하면서 도포롤(81)로부터 유공판(a)의 하면에 접착제(51)를 전사함으로써, 유공판(a)의 하면에 순차적으로 접착제(51)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흡음 패널의 제조공정은, 연속식으로 흡음 패널을 제조하는 경우의 것이지만, 각 공정별로 배치(batch)식으로 흡음 패널을 제조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음 패널은, 유공판과 차음판의 사이에 흡음재를 배치함과 동시에, 이 흡음재의 차음판측에,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열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음판이 실외측에, 유공판이 실내측으로 되도록 배치하여 공장등의 시설의 외벽으로서 설치하는 경우, 시설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흡음 패널의 유공판의 구멍을 통하여 흡음재내에 전달되고, 거기에서 흡음되기 때문에,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의 누출도 이 흡음 패널에 의하여 유효하게 방지될 수 있다. 더구나, 겨울철 등 실외의 기온이 실내의 실온보다도 낮아지는 경우에는, 유공판의 구멍을 통하여 흡음재내에 도달한 공기중의 수증기는, 단열층에 의해서 단열층보다도 차음판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기 때문에, 실내 측의 공기중의 수증기가, 외기에 의해서 냉각된 차음판의 표면에 도달하는 것이 발생하는 흡음재내에서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열층의 존재에 의하여 단열층 보다도 실내측에 있는 유공판측의 흡음재의 온도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단열층을 발포수지로써 형성한 경우에는, 독립기포를 가지는 발포수지가, 수증기의 통과를 효과적으로 저지함과 동시에 높은 단열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높은 방수성과 단열성을 가지는 단열층을 형성할 수가 있고, 흡음재에 있어서의 결로 발생의 방지에 특히 효과적이다.
더구나, 흡음재를 무기질섬유재로써 형성한 경우는, 흡음재에 높은 흡음성능을 부여할 수가 있고, 게다가, 단열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단열층을 무기질섬유재의 섬유의 간극을 용이하게 함침시켜, 단열층을 흡음재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패널 강도가 말할 것도 없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4)

  1. 흡음 패널로서,
    금속제의 유공판 및 차음판,
    상기 유공판의 내측면에 접착되고, 발포성 성형재료로 형성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의 발포성 성형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함침시킴으로써 상기 단열층과 일체로 형성되는 다공질 흡음재, 및
    상기 흡음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뻗어 있는는 동시에,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다공질 흡음재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공진막 부재
    를 포함하는 흡음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흡음재는 무기질섬유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기질섬유재의 축방향의 두께가 흡음 패널의 두께 방향을 향하도록 차음판의 내측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이 발포수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패널은 그 양단부에서 상기 유공판과 차음판 사이에 무기질심재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인접 패널의 연결용 접속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패널.
KR10-2001-0014372A 2000-07-28 2001-03-20 흡음 패널 KR100459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29812A JP2002038623A (ja) 2000-07-28 2000-07-28 吸音パネル
JP2000-229812 2000-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448A KR20020010448A (ko) 2002-02-04
KR100459338B1 true KR100459338B1 (ko) 2004-12-03

Family

ID=1872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372A KR100459338B1 (ko) 2000-07-28 2001-03-20 흡음 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038623A (ko)
KR (1) KR100459338B1 (ko)
TW (1) TW51219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29B1 (ko) * 2009-07-30 2012-03-13 장성준 단열과 차음이 가능한 막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3068B2 (ja) * 2003-05-09 2008-04-30 名古屋油化株式会社 難燃性吸音材
JP4567513B2 (ja) * 2004-04-30 2010-10-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多孔質吸音構造体
WO2005106840A1 (ja) * 2004-04-30 2005-11-10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多孔質吸音構造体
KR101410045B1 (ko) * 2013-12-26 2014-07-02 (주) 환경음향연구소 마이크로 유공판을 이용한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JP2017007097A (ja) * 2015-06-16 2017-01-12 シーシーアイ株式会社 断熱吸音材
BR112021026577A2 (pt) * 2019-07-01 2022-02-15 Armstrong World Ind Inc Placa acústica resistente à cedênci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8631U (ko) * 1972-07-29 1974-04-27
JPH08300534A (ja) * 1995-04-28 1996-11-19 Nippon Shokubai Co Ltd 多層シート材と樹脂含浸多層シート材およびそれらの製法、並びに該樹脂含浸シート材からなるコンクリートパネル
KR19990002131U (ko) * 1997-06-25 1999-01-15 이봉주 건축용 단열 및 흡음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8631U (ko) * 1972-07-29 1974-04-27
JPH08300534A (ja) * 1995-04-28 1996-11-19 Nippon Shokubai Co Ltd 多層シート材と樹脂含浸多層シート材およびそれらの製法、並びに該樹脂含浸シート材からなるコンクリートパネル
KR19990002131U (ko) * 1997-06-25 1999-01-15 이봉주 건축용 단열 및 흡음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29B1 (ko) * 2009-07-30 2012-03-13 장성준 단열과 차음이 가능한 막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448A (ko) 2002-02-04
JP2002038623A (ja) 2002-02-06
TW512193B (en) 200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91327B1 (en) Hollow structure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CA2218462C (en) Peel and stick insulation having a common carrier sheet
US9938109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sealing tape roll
KR100459338B1 (ko) 흡음 패널
US20020160673A1 (en) Reflective insulation
JPH11314297A (ja) 強靭なポリマ―フィルムまたはその複合体で表面張りされた発泡体絶縁ボ―ド
JP5182749B2 (ja) 真空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KR0140440B1 (ko) 단열 내화 판넬의 제조 방법과 장치
KR102098490B1 (ko) 불연성 건축 패널 및 그 제조장치
JP3229552B2 (ja) 吸音パネルの製造方法
JP3500133B2 (ja) 吸音パネルの製造装置
KR101792697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열반사 단열재 제조방법
JPH1190941A (ja) 断熱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断熱サンドイッチパネル
JPH10231580A (ja) 積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58064B1 (ko) 유리섬유망과 모르타르의 복합시트 및 복합단열패널의 제조방법
JP2003181852A (ja) ハニカム芯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3098960B2 (ja) 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H1026291A (ja) 断熱保温チューブ
JPS5948147A (ja) 積層材と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CA2551966A1 (en) Peel and stick insulation having a common carrier sheet
JP2014098413A (ja) 断熱パネル
KR20110059084A (ko) 우레탄패널의 마감재
JP2000008509A (ja) 断熱材の製造方法
JP2007331197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ボードの製造方法と硬質ポリウレタンボードの製造用面材
JPH031881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