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866B1 -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866B1
KR100457866B1 KR10-2002-0054911A KR20020054911A KR100457866B1 KR 100457866 B1 KR100457866 B1 KR 100457866B1 KR 20020054911 A KR20020054911 A KR 20020054911A KR 100457866 B1 KR100457866 B1 KR 100457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fastening device
support
support member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3230A (ko
Inventor
배성진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866B1/ko
Publication of KR20040023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9Reducing the workload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어 타이어를 차체에 보관하기 위한 차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에 설치된 체결장치는 부품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체(200)의 일측에 설치된 연결브라켓(111)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지지부재(112)의 일단이 연결되며 제1지지부재(112)의 타단에는 제2지지부재(113)가 연결되고 제1지지부재(112)와 제2지지부재(113)의 연결부위에는 크로스바(114)가 설치되어 있는 고정구(110)와; 차체(200)의 타측에는 저면에 체결공 (121a)이 구비된 고정브라켓(121)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21)의 저면에는 고리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구멍(122a)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122)가 고정볼트(123)에 의해 결합되며, 지지핀(400)의 상측 양단은 고정브라켓(121)의 양측면에 편심된 상태로 핀설되고 그 하측 지지부(410)는 상기 고정볼트(123)의 머리부(123a) 저면을 지지해주도록 구성한 체결장치로 캐리어(100)를 구성함에 따라 체결장치의 구성을 저렴하고 단순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체결장치의 사용을 효과적이며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체결장치{Locking device for carrier of spare ti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장치의 구성을 단순화 시켜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캐리어의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캐리어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기본적인 4개의 타이어와 함께 주행이나 그 밖에 이유로 타이어가 파손되었을 때 교환하기 위한 스페어 타이어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페어 타이어는 세단과 같은 스타일의 차량의 경우 트렁크 내부에 보관되어 있으며, SUV와 같은 레저용 차량이나 트럭과 같은 승합차량의 경우 트렁크의 공간이 부족함에 따라 차체 외부 바닥면에 캐리어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 는 상기와 같이 차체 바닥면에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캐리어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로서, 차체(20)의 일측에는 제1브라켓(11)이 고정되고 상기 제1브라켓(11)에는 제1지지바(15)의 일단이 제1힌지축(12)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제1지지바(15)의 타단은 후크부재(3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차체(20)의 타측에는 제2브라켓(13)이 고정되며 상기 제2브라켓(13)에는 제2지지바(16)의 일단이 제2힌지축(14)에 의해 역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바(15)와 제2지지바(16)에는 크로스바(18)와 제3지지바 (17)가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지지바(17)는 차체(20)와 연결된 홀더부재(40)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제3지지바(17)에는 홀더플레이트(43)가 설치되어 있고 볼트(42)가 상기 홀더플레이트(43)와 홀더부재(40)의 몸체(41)에 함께 체결되어 있으며, 후크부재(30)의 몸체(31)에 연결된 후크(32)에는 제1지지바(15)의 타단이 걸린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캐리어(10)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장치의 작용을 도 3 을 통해 살펴보면 캐리어(10)로부터 스페어 타이어(50)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홀더부재(40)의 몸체(41)에 체결되어 있던 볼트(42)를 풀어 제거시키게 되면 홀더플레이트(43)가 볼트(42)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게 되고 이 후 캐리어(10) 전체를 상측으로 약간 들어올리게 되면 제1지지바(15)의 타단이 후크부재(30)의 후크(32)에서 이격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후크(32)를 일측으로 회전시킨 다음 들어올렸던 캐리어(10)를 내려 놓게 되면 캐리어(10)의 제1지지바(15)가 상기 후크(32)로부터 벗어나게 되면서캐리어(10) 전체가 하측으로 완전히 회전될 수 있으므로 스페어 타이어(50)를 캐리어(10)로부터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스페어 타이어(50)의 캐리어(10)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캐리어(10)의 체결장치가 후크(32)와 몸체(31)로 이루어진 후크부재(30)와, 볼트(42)와 홀더플레이트(43)와 몸체(41)로 이루어진 홀더부재(40)로 구성됨에 따라 체결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성이 용이하지 못하고, 캐리어(10)를 사용할 때 홀더부재(40)의 볼트(42)를 제거한 상태에서 후크부재(30)의 후크(32)를 회전시킨 다음 캐리어(10)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스페어 타이어(50)를 분리시켜야 함에 따라 캐리어(10)의 사용이 복잡하고 간편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결장치가 구비된 스페어 타이어 보관용 캐리어에 있어서, 체결장치의 구성을 단순화 시켜 체결장치를 포함한 캐리어의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캐리어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일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브라켓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지지부재의 일단이 연결되며, 제1지지부재의 타단에는 제2지지부재가 연결되고,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연결부위에는 크로스바를 설치하고, 차체의 타측에는 저면에 체결공이 구비된 고정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저면으로는 하단은 고리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단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가 고정볼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며, 상부 양단이 편심된 상태로 고정브라켓에 핀설된 지지핀의 지지부는 상기 고정볼트의 머리부 저면을 지지토록 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측이 회전되는 고정구의 타단을 차체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체결장치가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구의 타단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를 고정브라켓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볼트와 상기 볼트의 자연적인 풀림을 방지해주는 지지핀으로 구성됨에 따라 체결장치의 제작 및 설치작업성이 용이해질 수 있는 것이며, 체결장치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 체결장치를 포함한 캐리어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고정브라켓에 양단에 편심된 상태로 핀설되어 있는 지지핀의 하측 지지부가 상기 연결구를 고정브라켓에 체결하고 있는 고정볼트의 머리부 저면에 지지하면서 고정볼트가 자연적으로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 는 종래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를 도시한 측면도.
도 3 은 종래 캐리어에 설치된 체결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에 설치된 체결장치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에 설치된 체결장치를 예시한 결합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에 설치된 체결장치를 예시한 요부 정면도.
도 8a 와 도 8b 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체결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캐리어 110 : 고정구
111 : 연결브라켓 112 : 제1지지부재
113 : 제2지지부재 114 : 크로스바
121 : 고정브라켓 121a : 체결공
122 : 연결구 122a : 구멍
123 : 고정볼트 200 : 차체
400 : 지지핀 410 : 지지부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에 체결장치가 설치된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캐리어에 설치된 체결장치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라 캐리어에 설치된 체결장치를 예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라 캐리어에 설치된 체결장치를 예시한 요부 정면도이고, 도 7a 와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장치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에 스페어 타이어를 보관하기 위하여 차체 바닥면에 설치되며, 고정구와 체결장치로 이루어진 스페어 타이어용 캐리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체(200)의 일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111)이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브라켓(111)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지지부재(112)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112)의 타단 양측은 제2지지부재(113)의 일단 양측과 서로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112)와 제2지지부재(113)의 연결부위에는 크로스바(114)가 횡방향으로 설치된 고정구(110)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차체(200)의 타측에는 저면에 체결공(121a)이 구비되고 양측면에는 서로 편심된 상태로 핀공(121b)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21)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라켓(121)의 저면으로는 상단에 구멍(122a)이 형성되고 하단은 고리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연결구(122)가 고정볼트(123)에 의해 체결되며, 지지핀(400)의 상측 양단은 각각 상기 핀공(121b)에 핀설되어 편심된 상태를 유지하고, 지지핀(400)의 하측 지지부(410)는 상기 고정볼트(123)의 머리부(123a) 저면을 지지토록 한 체결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300)은 스페어 타이어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체(200)의 바닥면에 캐리어(100)를 이용하여 스페어 타이어(300)를 보관함에 있어서, 고정브라켓(121)과 연결구(122)와 고정볼트(123)와 지지핀(400)으로서 이루어진 체결장치에 의해 고정구(110)의 타측을 차체(200)에 견고하면서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캐리어(100)의 제작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캐리어(100)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용 캐리어를 구성하는 고정구와 체결장치를 예시한 것으로서, 고정구(110)는 연결브라켓(111)과 제1지지부재(112)와 제2지지부재(113)와 크로스바(114)로 구성되는데, 제1지지부재(112)는 차체 (200)에 종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일측 양단은 연결브라켓(111)에 의해 차체(200) 일측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 양단은 "ㄷ" 자의 형상을 가지는 제2지지부재(113)의 일측 양단과 서로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112)와 제2지지부재(113)의 연결부위에는 크로스바(114)가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크로스바 (114)에 의해 제1지지부재(112)와 제2지지부재(113)가 횡방향으로 함께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5 와 도 6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체(200)의 타측에는 상기 제2지지부재(113)의 타측 중앙부위를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체결장치가 설치되는데, 상기 체결장치는 차체(200)의 타측에 고정되며 저면에 체결공(121a)이 구비된 고정브라켓(121)과, 하단은 고리형상으로 구부러져 상기 제2지지부재(113)의 타측 중앙부위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단에는 구멍(122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21)의 체결공(121a)과 일치될 수 있도록 하며, 고정볼트(123)를 상기 구멍(122a)을 통해 체결공(121a)에 체결시키므로서, 제2지지부재(113)를 차체(200)의 타측에 고정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121)의 양측면에는 각각 핀공(121b)이 대향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핀공(121b)은 서로 일치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편심된 상태로 형성됨에 따라 지지핀(400)의 상측 양단이 상기 핀공(121b)에 핀설되면 지지핀(400)의 상측 양단 또한 서로 편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핀(400)의 하부는 고정브라켓(121)의 측면에서 저면을 따라 절곡되면서 그 중앙부위에 지지부(4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410)는 연결구(122)를 고정브라켓(121)에 체결시키고 있는 고정볼트(123)의 머리부(123a) 저면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지지핀(400)의 지지부(410)가 고정볼트(123)의 머리부 (123a) 저면을 지지하고 있어 차체의 진동 등에 의해 고정볼트(123)가 자연적으로 풀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핀(400)의 상부 양단이 고정브라켓(121)에 편심된 상태로 핀설되어 있어 지지핀(400)의 쉽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차체의 진동 등에 의해 지지핀(400)이 회전되면서 지지핀(400)의 지지부(410)가 고정볼트(123)의 머리부 (123a) 저면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고정볼트(123)를 고정브라켓(121)으로부터 풀어주어야할 경우 지지핀(400)의 상부 양단을 중심으로 지지핀(400) 하부를 회전시키면 지지핀(400) 자체의 탄성에 의해 어느정도 회전이 가능해지므로 고정볼트(123)의 머리부(123a)에서 지지핀(400)의 지지부(410)를 벗어나게 한 다음 고정볼트(123)를 고정브라켓(121)으로부터 풀어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고정구(110)와 체결장치로 구성된 캐리어(100)로부터 스페어 타이어(300)를 꺼내고자 할 경우 도 6a 와 도 6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 (122)를 고정브라켓(121)에 고정시키고 있던 고정볼트(123)를 어느정도 풀어주게 되면 고정볼트(123)와 함께 연결구(122)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2지지부재(113)의 타측이 연결구(122)의 하단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연결구(122)의 하단으로부터 제2지지부재(113)의 타측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연결구(122)를 일측으로 회전시킨 다음 상기 들어올린 제2지지부재(113)를 내려놓게 되면 고정구(110)의 제2지지부재(113)가 연결구(122)의 하단에 걸리지 않고 하측으로 완전히 회전될 수 있어 고정구(110)로부터 스페어 타이어(300)를 꺼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페어 타이어(300)를 고정구(110)로부터 꺼내고 교체된 타이어를 다시 캐리어(100)에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측으로 타측이 완전히 회전된 고정구 (110)에 상기 교체된 타이어를 올려놓은 다음 하측으로 회전되어 있던 고정구(110)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고 이전에 회전시켜 놓았던 연결구(122)를 고정구(110)쪽으로 회전시켜 연결구(122)의 하단에 제2지지부재(113)의 타측 중앙부위가 올려지도록 한 후 고정볼트(123)를 고정브라켓(121)에 완전히 체결시키게 되면 교체된 타이어를 캐리어(100)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의 바닥면에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시켜주는 캐리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고정구를 차체에 고정시켜 주는 체결장치를 간단한 부품으로 용이하게 제작 및 설치할 수 있어 제작성 및 설치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체결장치를 간단하고 신속히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체결장치를 포함한 캐리어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스페어 타이어(300)가 상면에 얹히고, 차체(200)의 바닥면에 지지부재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이 위/아래로 회전되는 캐리어(100)의 체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체(200)의 타측으로 설치되며 저면에 체결공(121a)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핀공(121b)이 서로 편심된 상태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121);
    하단은 고리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단에는 구멍(122a)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122);
    상기 연결구(122)의 상단을 고정브라켓(121)의 저면에 체결시켜 주는 고정볼트(123);
    양단은 상기 고정브라켓(121)의 핀공(121b)에 편심된 상태로 핀설되며 그 하부는 고정브라켓(121)의 측면에서 저면을 따라 절곡된 상태에서 그 중앙의 지지부 (410)가 상기 고정볼트(123)의 머리부(123a) 저면을 지지토록 한 지지핀(40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체결장치.
KR10-2002-0054911A 2002-09-11 2002-09-11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체결장치 KR100457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911A KR100457866B1 (ko) 2002-09-11 2002-09-11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911A KR100457866B1 (ko) 2002-09-11 2002-09-11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230A KR20040023230A (ko) 2004-03-18
KR100457866B1 true KR100457866B1 (ko) 2004-11-18

Family

ID=3732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911A KR100457866B1 (ko) 2002-09-11 2002-09-11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113B1 (ko) * 2008-06-30 2010-11-2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예비 타이어 캐리어 고정용 후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113B1 (ko) * 2008-06-30 2010-11-2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예비 타이어 캐리어 고정용 후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230A (ko)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50334U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крепления домкрата и запасного колеса к транспортному средству
US6923351B2 (en) Tire carrier assembly
KR100457866B1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체결장치
KR20040023229A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체결장치
JP4085879B2 (ja) スペアタイヤキャリア
JP2002019532A (ja) 自動車用ルーフレール兼キャリア
JP6722139B2 (ja) 自動車用ルーフキャリヤ
KR20110016265A (ko) 스페어 타이어용 클램프
KR20070049443A (ko) 스페어 타이어 지지장치
US1223786A (en) Spare-tire holder.
JP2005306328A (ja) スペアタイヤ支持構造
KR100263945B1 (ko) 왜건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 구조
KR100380479B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
KR200200111Y1 (ko) 자동차의 스패어타이어 고정구조
KR100512866B1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KR100376432B1 (ko)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구조
KR0142599B1 (ko) 차량용 잭취부장치
JPH08175270A (ja) 自動車用ハシゴ
KR200171193Y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탈거장치
KR100528517B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수납 구조
KR0114528Y1 (ko) 소형버스용 예비 타이어의 보관함 잠금장치
KR19980027083U (ko) 상용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용 클램프의 구조
KR20030045503A (ko)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록킹장치
KR200196857Y1 (ko)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 거치대
KR0114533Y1 (ko)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