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533Y1 -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 - Google Patents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533Y1
KR0114533Y1 KR2019940032869U KR19940032869U KR0114533Y1 KR 0114533 Y1 KR0114533 Y1 KR 0114533Y1 KR 2019940032869 U KR2019940032869 U KR 2019940032869U KR 19940032869 U KR19940032869 U KR 19940032869U KR 0114533 Y1 KR0114533 Y1 KR 0114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support
bracket
fixed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342U (ko
Inventor
권영훈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2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533Y1/ko
Publication of KR960022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3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5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일러의 자체 프레임에 고정지지대와 이동지지대를 서로 십자형으로 설치하고, 이때의 이동지지대 일선만을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가능 하도록 하므로써, 사용자가 보조타이어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보관하거나 꺼낼 수 있는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간구조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종래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 차체 프레임 2, 12 : 브라켓
3 : 고정지지대 4 : 연결부재
5 : 회전지지대 6 : 잠금장치
7 : 힌지 8 : 힌지관
9 : 보강부재 10, 20 : 보조타이어
13 : 보울트 및 너트 14 : 캐리어
본 고안은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체 프레임에 고정지지대와 회전지지대를 서로 십자형으로 설치시키고, 상기 회전지지대의 일단을 차체프레임으로부터 이발 가능하게 하여 보조타이어를 편리하게 보관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한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차량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보조타이어를 탑재하고 있는 바, 이러한 보조타이어의 보관방법과 위치는 차량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르다.
먼저, 첨부도면 제2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를 설명한다.
차체 프레임(11)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12)과, 이 브라켓(12)에 통상의 체결요소인 보울트와 너트(13)로 체결되어 있는 캐리어(14)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상기 보관구조에 보조타이어를 보관하는 방법은, 보조타이어(20)의 휠(20a)을 캐리어(14)에 끼워 넣어서 보조타이어(20)를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타이어의 보관은 무게가 상당히 무거운 보조타이어(2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보조타이어(20)의 휠(20a)에 캐리어(14)를 끼워 넣어서 보울트와 너트(13)로 체결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보조타이어(20)의 탈, 장착에 많은 불편을 겪었다.
특히, 이러한 탈, 장착적업은 차체 프레임(11) 하부의 형성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불편은 더욱 가중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체 프레임의 일측부에 고정되어서 연장된 브라켓과, 차체 프레임 하단에 양끝단이 융착 고정되어 있는 고정지지대와, 상기 브라켓의 일끝단에 연결부재를 매개체로 일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회전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트레일러의 차체 프레임에 고정지지대와 회전지지대를 서로 십자형으로 설치하고, 이때의 회전지지대 일선단을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가능 하였기 때문에, 사용조타아이어를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하향지지대 일측을 하향시키기만 하면 간단하고 편리하게 보조타이어가 보관상태로부터 해제되는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부호1은 차체 프레임이다. 이 차체프레임(1)의 일측부에 고정브라켓(2)과, 차체 프레임(1) 하단에 양끝단이 융착 고정되어 있는 고정지지대(3)와, 상기 브라켓(2)의 일끝단에 연결부재(4)를 매개체로 일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회전지지대(5)로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2)과 연결부재(4) 사이에는 잠금장치(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4)의 한쪽 끝단과 회전지지대(5)의 한쪽 끝단은 힌지(7)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대(5)의 중앙에는 고정지지대(3)가 끼워지게 되는 힌지관(8)이 융착 고정되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 제1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브라켓(2)은 트레일러의 차체 프레임(1) 측부에 고정되어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고정지지대(3)는 차체 프레임(1)의 하단에 양끝단이 고정되어서 이 차체 프레임(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대(5)는 고정지지대(3)와 수직을 이루면서 일끝단이 연결부재(4)를 매개체로 브라켓(2)의 일끝단에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브라켓(2)과 연결부재(4) 사이에는 잠급장치(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4)는 브라켓(2)의 양끝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되고, 상기 회전지지대(5)와 연결부재(4)는 서로 힌지운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회전지지대(5)의 중앙부에는 힌지관(8)이 융착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힌지관(8)으로 고정지지대(3)가 끼워져서 관통되므로 상기 회전지지대(5)는 고정지지대(3)를 축으로 회전유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차체 프레임(1)에 융착 고정되는 브라켓(2)의 일끝단에는 보강부재(9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2)을 차체 프레임(1)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고, 차체 프레임(1)의 하단에 융착 고정되는 고정지지대(3)의 양끝단부에도 보강부재(9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고정지지대(3)를 차체프레임(1)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대(3)와 회전지지대(5)는 서로 십자형을 이루고 있고, 상기 고정지지대(3)는 전체 형성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대(5)도 연결부재(4)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때의 회전지지대(5) 일끝단은 차체 프레임(1)의 하단과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지지대(3)와 회전지지대(5)는 일정공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의 일정공간은 트레일러의 보조타이어(10)가 내장될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이다.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의 보조타이어 보관구조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차체 프레임(1)의 하부에 보관되어 있는 보조타이어(10)를 꺼내고자 할 때에는, 브라켓(2)의 일끝단과 연결부재(4)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6)를 해제시킨다.
그러면, 상기 연결부재(4)와 회전지지대(5)는 타이어의 무게 및 자중에 의해 힌지관(8)을 중심으로 약간 하향 회전한다. 그러면 연결부재(4)의 전부위와 회전지지대(5)의 일끝단은 지면에 접촉하게 됨과 동시에, 보조타이어(10)는 자중에 의하여 회전지지대(5)의 상면을 미끄러져 내려와 지면에 그 일측이 닿게 된다.
결국, 주행중에 펑크 등이 발생하여 신속하게 타이어를 교환하고자 할때에 보조타이어(10)를 교환자의 인력에 의하지 아니하고 타이어 자중에 의하여 차체로부터 분해함수가 있는 것이다.
더구나, 분해시에도 아무런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그 구조도 간단하여 제작단가도 저가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관구조는 연결부재(4)를 브라켓(2)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연결부재(4)와 회전지지대(5)가 자체 하중 또는 보조타이어(10)의 무게에 의해 자동적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반대로, 보조타이어(10)를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보조타이어(10)를 고정지지대(3)와 회전지지대(5)의 상측으로 밀어 넣어 안치시킨 후, 회전지지대(3)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4)를 들어 올려서 이 연결부재(4)의 일끝단을 잠금장치(6)를 이용하여 브라켓(2)의 일끝단에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보조타이어(10)의 보관작업은 쉽게 이루어진다.
예컨대, 본 고안에 따른 보관구조은 보조타이어(10)를 꺼내고자 할 때에는 연결부재(4)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6)를 해제 시켜서 보조타이어(10)를 꺼내면 되는 것이고, 이와 반대로 보조타이어(10)를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보조타이어(10)를 회전지지대(5)와 고정지지대(3)에 안치시킨 후, 연결부재(4)의 일끝단을 브라켓(2)의 일끝단에 잠금장치(6)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지지대와 회전지지대 및 브라켓을 설치시키고,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지지대를 브라켓으로부터, 쉽게 개방되고 장착되게 하므로써, 무게가 무거운 트레일러의 보조타이어를 손쉽게 보관하거나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차체 프레임(1)의 일측부에 고정되어서 연장된 브라켓(2)과, 차체 프레임(1) 하단에 양끝단이 융착 고정되어 있는 고정지지대(3)와, 상기 브라켓(2)의 일끝단에 연결부재(4)를 매개체로 일끝단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지지대(3)의 중단부를 교차하면서 힌지관(8)을 통해 연결되어 시이소 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회전지지대(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
  2. 제1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의 상하단은 잠금장치(6)와 힌지(7)를 이용하여 상기 브라켓(2)과 회전지지대(5)에 각각 연결되어서, 잠금장치(6)의 해제와 동시에 힌지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
KR2019940032869U 1994-12-05 1994-12-05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 KR0114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869U KR0114533Y1 (ko) 1994-12-05 1994-12-05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869U KR0114533Y1 (ko) 1994-12-05 1994-12-05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342U KR960022342U (ko) 1996-07-20
KR0114533Y1 true KR0114533Y1 (ko) 1998-04-20

Family

ID=19400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869U KR0114533Y1 (ko) 1994-12-05 1994-12-05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5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342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1196A (en) Wheel for a motor vehicle or towed vehicle and a vehicle fitted with such a wheel
US4744590A (en) Removably attachable suspended trailer apparatus and method
US4548540A (en) Spare tire securing apparatus
US3753520A (en) Two-position spare tire mounting assembly
US5407255A (en) Automobile tires accessory
JPS61135869A (ja) 電気自動車用車体
CN210680274U (zh) 一种车辆脱困用轮毂辅助装置
CA1221678A (en) Vehicle lifting device
KR0114533Y1 (ko)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
JP4416454B2 (ja) 小型スペア・タイヤおよびフルサイズタイヤを固定するブラケット・アセンブリ
CN216508287U (zh) 一种用于全地域目标探测车支撑的调平机构
JP4085879B2 (ja) スペアタイヤキャリア
CN213354635U (zh) 尾箱架和汽车
JPS6324037Y2 (ko)
CN212220172U (zh) 一种汽车爆胎应急装置
KR0126283Y1 (ko) 자동차용 잭
CN220391391U (zh) 一种老年代步车转向锁止机构
KR900011225Y1 (ko) 차량용 예비타이어 고정장치
US2981427A (en) Spare tire carriers
CN112109812A (zh) 尾箱架和汽车
SU1614837A1 (ru)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полуприцепа
KR0182672B1 (ko) 화물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EP0994011A1 (en) A motor vehicle wheel carrier
CN206337521U (zh) 一种搭扣接合三角形手动车位锁
JPH012335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