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764B1 -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57764B1 KR100457764B1 KR10-1999-0003384A KR19990003384A KR100457764B1 KR 100457764 B1 KR100457764 B1 KR 100457764B1 KR 19990003384 A KR19990003384 A KR 19990003384A KR 100457764 B1 KR100457764 B1 KR 1004577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ester film
- weight
- film
- polyester
- zinc sulfid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8—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63/692—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containing phosphorus
- C08G63/6924—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containing phosphoru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92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09—Sulfides
- C08K2003/3036—Sulfides of zinc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색, 불투명의 광학적 특성을 갖으며,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개시한다. 주쇄중에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2관능성 인화합물 성분을 3 ~ 30몰% 함유하고 극한점도가 0.4 ~ 0.9㎗/g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중에,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평균입경 0.1 ~ 3㎛의 황화아연을 1 ~ 30중량%, 및 형광안료를 0.01 ~ 0.1중량% 분산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벽지, 가구용 의장재 등 각종 의장재와 전력 케이블 피복용, 인쇄회로기판 등의 전기전자분야에 적합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백색, 불투명의 광학적 특성을 갖으며, 난연성이 우수하여 벽지, 가구용 의장재 등 각종 의장재와 전력 케이블 피복용, 인쇄회로기판 등의 전기전자분야에서 이용가능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물리화학적으로 안정하며 기계적 강도가 높으며, 내열성, 내구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 등이 우수하여, 콘덴서용, 의료용, 포장용, 사진필름용, 라벨용, 전선피복용, 자기기록매체용, 의류용, 및 각종 성형품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연소시 불꽃을 전파하는 능력이 커서 특수용도, 예를 들면 전력케이블 피복용, 인쇄회로기판 등의 전기 전자용도 또는 벽지, 가구의장재 긍 실내장식용도 등 난연성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난연성을 부여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하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극한점도를 증가시키거나 할로겐 화합물 또는 인화합물의 난연제를 도포하거나 첨가제로 투입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극한점도를 증가시키면 백색안료의 분산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할로겐 화합물은 연소기구상 유독가스를 많이 발생시킨다. 한편, 난연제 도포법의 경우 어느 정도의 난연성은 부여할 수 있으나 고도의 난연성을 부여하기 어렵다. 또한, 첨가제 투입법은 도포법에 비하여 다소 높은 난연성을 얻을 수 있으나 역시 고농도로 첨가하는 경우 강도저하, 분자량 저하 등 필름의 물성이 불량해지고 제막공정중 파단이 발생하기 쉬워 생산성이 많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백색, 불투명의 광학적 특성을 갖으며, 난연성이 우수하여 벽지, 가구용 의장재 등 각종 의장재와 전력 케이블 피복용, 인쇄회로기판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주쇄중에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2관능성 인화합물 성분을 3 ~ 30몰% 함유하고 극한점도가 0.4 ~ 0.9㎗/g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중에,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평균입경 0.1 ~ 3㎛의 황화아연을 1 ~ 30중량%, 및 형광안료를 0.01 ~ 0.1중량% 분산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2관능성 인화합물 성분은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단,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1 ~ 10인 포화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 R1은 탄소수 1 ~ 5인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황화아연의 비표면적은 8 ~ 1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페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의 은폐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평균입경 0.5 ~ 2.5㎛의 이산화규소 0.5 ~ 5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이산화규소는 폴리올레핀 수지로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형광안료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400 ~ 500nm 파장의 가시광선으로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백색도는 100 ~ 110이고, 광투과율이 0.5 ~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백색, 불투명의 광학적 특성을 갖으며, 충격강도, 유연성. 및 난연성이 우수하여 벽지, 가구용 의장재 등 각종 의장재와 전력 케이블 피복용, 인쇄회로기판 등의 전기전자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한편,본 발명에서 말하는 중량%는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베이스 필름에 난연성을 부여하는데 사용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주쇄중에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2관능성 인화합물 성분을 3 ~ 30몰%, 바람직하게는 5 ~ 20몰% 함유하고 극한점도가 0.4 ~ 0.9㎗/g, 바람직하게는 0.6 ~ 0.8㎗/g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극한점도가 0.4㎗/g 미만이면 필름의 만족할 만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없으며, 필름제조 도중 파단이 빈발하여 생산성이 극히 저하되는 등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극한점도가 0.9㎗/g를 초과하면 황화아연의 분산성이 저하되며 용융점도가 너무 높아 압출공정이 불안정해지는 등 제조공정이 곤란하게 되어 후공정에서의 생산성이 크게 저하된다.
상기 2관능성 인화합물 성분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화합물 성분을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관능성 인화합물 또는 그의 무수물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합시 다른 이염기산(또는 그 에스테르)와 디올의 혼합물에 혼합한다. 상기 2관능성 인화합물은 3 ~ 30몰%, 바람직하게는 5 ~ 20몰% 혼합한다.
단,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1 ~ 10인 포화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 R1은 탄소수 1 ~ 5인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상기 2관능성 인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2-카르복시메틸에틸포스핀산, 카르복시메틸페닐포스핀산, 2-메틸-2,5-디옥소-1-옥사-2-포스포란, 카르복시페닐에틸포스핀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인화합물 성분의 도입에 의해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난연성을 띠게 되는데 난연필름으로서 사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한계산소지수(Limiting Oxigen Index)가 40 이상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중에, 평균입경 0.1 ~ 3㎛의 황화아연을 1 ~ 30중량%, 평균입경 0.5 ~ 2.5㎛의 이산화규소 0.5 ~ 5중량%, 및 형광안료 0.01 ~ 0.1중량%를 분산함유시켜서 제조된다.
황화아연 입자는 백색안료로서 필름에 은폐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데, 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광투과율을 낯춰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황화아연의 평균입경과 간격을 조절하여 빛을 최대한 산란시킬 수 있어야 한다. 황화아연의 평균입경이 너무 크거나 간격이 너무 좁으면 빛의 회절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황화아연의 평균입경이 너무 작거나 간격이 너무 넓으면 빛이 황화아연 입자를 인식하지 못하고 그냥 통과하여 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황화아연입자의 평균입경은 산란시킬 빛의 파장의 1/2 보다 약간 작아야 하는데 0.1 ~ 3㎛의 것이 적당하다. 이때, 황화아연의 비표면적은 8 ~ 10 ㎡/g정도가 된다. 한편, 상기 황화아연 입자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그 에너지를 열의 형태로 변환시켜 방출함으로써 자외선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필름의 백색도는 100 ~ 110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광투과율은 0.5 ~ 5% 정도가 바람직하며, 1 ~ 3%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필름의 광투과율이 5% 보다 크면 필름의 은폐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필름의 뒷면이 보여 바람직하지 않고, 0.5% 보다 작게 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미세기포를 함유해야 하기 때문에 필름의 기계적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황화아연의 함유량은 필름의 두께 및 용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나, 상기 사항을 감안하여 1 ~ 3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중량%를 초과하면 함유량이 증가해도 백색도, 광투과율, 광택의 변화가 거의 없는 반면, 필름의 강도, 유연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다량투입의 이점이 없다. 한편, 상기 황화아연은 폴리에스테르수지와의 혼련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실란커플링제 또는 알루미나로 표면처리된 후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산화규소는 필름의 은폐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평균입경이 0.5 ~ 2.5㎛인 것을 0.5 ~ 5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이산화규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혼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폴리올레핀 수지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형광안료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한 후 에너지를 전위시켜 가시광선의 단파장 영역의 빛으로 방출함으로써 무기물입자만을 첨가할 때 가시광선의 단파장 반사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형광안료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400 ~ 500nm의 단파장의 가시광선으로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440nm에서의 반사율이 7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스벤조아졸 계통의 형광안료가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데, 함유량은 0.01 ~ 0.1중량%가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440nm 파장에서의 반사율증가가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첨가량이 0.1중량%를 초과하면 440nm 파장에서의 반사율이 너무 높아 필름이 푸른색을 띤 백색으로 보이기 되어 역효과를 초래하며, 또한 필름형성을 위한 압출공정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점도를 저하시켜 결과적으로 필름의 성형성 및 기계적특성을 저하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첨가제 이외에 필요에 따라, 광택도 및 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황산바륨 입자, 정방정계의 이산화티타늄 입자, 폴리올레핀 수지입자중에서 최소한 하나 이상을 더 분산함유할 수 있다.
이때, 황산바륨 입자는 평균입경이 0.01 ~ 0.2㎛인 것이 바람직한데, 함유량은 아래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수학식 1에서 Z는 황화아연의 함유량(단위;중량%), t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단위;㎛), B는 황산바륨의 함유량(단위; 중량%)을 나타낸다.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공지의 첨가제,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 제전제, 열안정제, 정전인가제, 결정화촉진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첨가제의 투입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두가지 방법이 다 가능하다. 첫째, 각각의 첨가제를 최종 필름에서의 필요농도 만큼 에틸렌글리콜로 슬러리화하여 에스테르화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또는 중축합반응중에 직접 투입하는 방법으로서 대량생산에 유리한 방법이다. 둘째, 전체 또는 일부의 첨가제가 고농도로 투입된 폴리에스테르 중축합물과 혼합하는 마스터 배치칩 제조방식으로 중합반응기의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마스터 배치칩의 희석정도에 따라 용이하게 첨가제의 첨가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필름의 소량 다품종화에 적합한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첨가제들의 분산효과를 최대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선된 컴파운딩 기술에 의해서 60 ~ 80중량부의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마스터 칩을 1차 컴파운딩한 후, 기존의 일반 칩과 2차로 혼합ㆍ희석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며, 보다 나은 분산효과를 얻고 황변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컴파운딩 공정조건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출발원료로하여 2축으로 배향시킨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지칭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축으로만 연신할 수도 있으며, 그 제조법으로서는 공지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쇄중에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2관능성 인화합물 성분을 3~ 30몰% 함유하고 극한점도가 0.4 ~ 0.9㎗/g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여기에 평균입경 0.1 ~ 3㎛의 황화아연을 1 ~ 30중량%, 및 형광안료 0.01 ~ 0.1중량% 포함하는 용융물을 티다이법, 또는 인플레이션법 등에 의해서 용융압출하여 용융쉬트를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용융쉬트를 회전하는 냉각드럼에 고착시킴으로써 냉각 및 고화시켜 미연신쉬트를 제조한다. 계속하여, 상기 미연신쉬트를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에 따라 적어도 1축으로 배향되게 연신하고 열처리함으로써 기계적 강도 및 수치안정성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한다.
종 및 횡방향으로 연신할 때, 일단으로 연신해도 좋고, 필요에 따라 다단으로 연신하거나 다단연신의 중간에 배향완화를 위한 열처리구간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2축연신후 다음의 열처리공정으로 보내기 전에 재차 연신하여도 좋다. 상기 재차연신은 종 또는 횡의 어느 방향으로 행하여도 좋고, 양방향으로 모두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필름은 용도에 따라 적절한 두께로 설계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필름표면에 코로나 방전처리, 다른 수지의 코팅, 라미네이션 및 공압출 등 모든 종류의표면처리를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제조된 필름의 각종 성능평가는 다음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1) 극한점도
3점법에 따라 ο-클로로페놀 25㎖에 중합체를 0.5g, 1.0g, 5g 씩 달리 용해하여 35℃에서 상대점도를 측정한 후 이를 무한희박농도(제로농도)로 외삽하여 구하였다.
(2) 한계산소지수(L.O.I)
일본 도요세이키사의 한계산소지수측정기(모델명 : 606D)를 사용하여 ASTM D2863의 방법에 따라 한계산소지수를 측정하였다. 한계산소지수란 산소와 질소를 여러가지 다른 비율로 섞은 혼합가스를 시료를 통해 흐르게 하고 가스버너로 시료에 점화시켰을 때 불꽃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산소농도를 혼합기체에 대한 부피분율로 나타낸 값을 말한다. 한계산소지수가 클수록 난연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3) 광투과율
일본정밀광학사의 헤이즈미터(모델명;SEP-H)와 C-광원을 사용하여 ASTM D1003(직경 : 25mm, 산란각도 : 2.5°)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4) 백색도
JIS L-1015의 방법에 따라서 파장 450nm의 반사율(B%)과 550nm의 반사율(G%)를 측정한 후, 백색도 = 4B - 3G의 식에 의하여 구했다.
실시예1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을 1:2 당량비로 혼합한 뒤, 이 혼합물에 트리부틸렌티타네이트를 0.05중량%를 투입하여 비스-2-하이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BHET) 및 BHET의 저분자량의 축합물를 형성하였다. 여기에, 2-카르복시에틸메틸포스핀산을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기준으로 0.2당량비로 투입하고, 열안정제로서 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0.05중량%, 중합촉매로서 안티모니트리아세테이트를 0.1중량% 투입하고 중축합을 완결시켜 극한점도가 0.640㎗/g인 폴리에스테르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펠렛 100중량부에 대하여 평균입경 0.4㎛의 황화아연 44중량부, 평균입경이 1.8㎛인 이산화규소 입자를 0.6중량부, 4,4'-비스(2-벤조옥사졸릴)스틸벤 형광안료 0.04중량부를 첨가하여 컴파운더의 스크루 회전수 300rpm, 온도 285℃에서 고농도 마스터칩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상기 고농도 마스터칩에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칩 100중량부를 혼합하여 마스터칩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마스터칩을 건조한 후, 티이-다이법에 의하여 용융압출시켜 통상의 방법으로 미연신 쉬트를 제조하였다. 계속하여, 상기 미연신쉬트를 75℃에서 종방향으로 3.5, 135℃에서 횡방향으로 3.5배씩 연신항 후 200℃에서 열처리함으로써 필름두께 50㎛의 2축배향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필름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색도 107% 로서 백색도가 우수하고 한계산소지수 50으로서 난연성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2 ~ 3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두께를 50㎛으로 고정한 채, 2-카르복시에틸메틸포스핀산의 투입량을 각각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비 0.1 당량비 또는 0.3 당량비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렇게 얻은 필름은 난연성, 및 백색도가 우수하였다.
실시예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두께를 50㎛으로 고정한 채, 황화아연의 투입량을 15중량%로 하고, 이산화규소의 투입량을 0.5중량%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렇게 얻은 필름은 난연성, 및 백색도가 우수하였다.
비교예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전체 두께를 50㎛으로 고정한채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제조할 때 2-카르복시에틸메틸포스핀산을 공중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3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인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한계산소지수가 22밖에 되지 않으므로 난연성이 매우 불량함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두께를 50㎛으로 고정한 채, 2-카르복시에틸메틸포스핀산의 투입량을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비 0.4 당량비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렇게 얻은 필름은 인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어 있으므로 한계산소지수가 53으로서 난연성이 매우 높고 백색도도 비교적 양호함을 알 수 있으나, 고가의 2-카르복시에틸메틸포스핀산의 사용량을 증가시키는데 따르는 비용증가에 비하여 백색도나 난연성에 있어서 커다란 이점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3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전체 두께를 50㎛으로 고정한채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제조할 때 2-카르복시에틸메틸포스핀산을 공중합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극한점도 0.800으로 증가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3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인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한계산소지수가 36으로서 충분한 난연성을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전체 두께를 50㎛으로 고정한채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제조할 때 2-카르복시에틸메틸포스핀산을 공중합하지 않았으며, 황화아연, 이산화규소, 및 형광안료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인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한계산소지수가 37로서 충분한 난연성을 얻을 수 없었으며, 백색도가 85로서 백색도가 불량하였다.
공중합폴리에스테르 | 첨가제 | 필름물성 | |||||||||||
극한점도 | 인화합물함량 | 백색안료 | 이산화규소 | 형광안료 | LOI | 백색도 | 광투과율 | ||||||
종류 | 평균입경 | 첨가량 | 평균입경 | 첨가량 | 종류 | 첨가량 | |||||||
단위 | ㎗/g | 몰% | - | ㎛ | wt% | ㎛ | wt% | - | wt% | - | % | % | |
실시예 | 1 | 0.640 | 20 | 황화아연 | 0.4 | 22 | 1.8 | 0.3 | BBOS1) | 0.02 | 50 | 107 | 2.2 |
2 | 0.640 | 10 | 황화아연 | 0.4 | 22 | 1.8 | 0.3 | " | 0.02 | 45 | 107 | 2.2 | |
3 | 0.640 | 30 | 황화아연 | 0.4 | 22 | 1.8 | 0.3 | " | 0.02 | 53 | 104 | 2.2 | |
4 | 0.640 | 10 | 황화아연 | 0.4 | 15 | 1.8 | 0.5 | " | 0.02 | 48 | 106 | 2.3 | |
비교예 | 1 | 0.640 | 0 | 황화아연 | 0.4 | 22 | 1.8 | 0.3 | " | 0.02 | 22 | 109 | 2.2 |
2 | 0.640 | 40 | 황화아연 | 0.4 | 22 | 1.8 | 0.3 | " | 0.02 | 53 | 97 | 2.2 | |
3 | 0.800 | 0 | 황화아연 | 0.4 | 22 | 1.8 | 0.3 | " | 0.02 | 36 | 109 | 1.2 | |
4 | 0.640 | 0 | 무 | - | - | - | - | - | - | 37 | 85 | 95 |
1) : BBOS = 4,4'-비스(2-옥사졸릴)스틸벤 형광안료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백색, 불투명의 광학적 특성을 갖으며 난연성이 우수하므로 벽지, 가구용 의장재 등 각종 의장재와 전력 케이블 피복용, 인쇄회로기판 등의 전기전자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7)
- 주쇄중에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2관능성 인화합물 성분을 3 ~ 30몰% 함유하고 극한점도가 0.4 ~ 0.9㎗/g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중에,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평균입경 0.1 ~ 3㎛의 황화아연을 1 ~30중량%, 및 형광안료를 0.01 ~ 0.1중량% 분산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관능성 인화합물 성분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화학식 1〉단,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1 ~ 10인 포화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 R1은 탄소수 1 ~ 5인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화아연의 비표면적은 8 ~ 1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평균입경 0.5 ~ 2.5㎛의 이산화규소 0.5 ~ 5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규소는 폴리올레핀 수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안료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400 ~ 500nm 파장의 가시광선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백색도는 100 ~ 110이고, 광투과율이 0.5 ~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3384A KR100457764B1 (ko) | 1999-02-02 | 1999-02-02 | 폴리에스테르 필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3384A KR100457764B1 (ko) | 1999-02-02 | 1999-02-02 | 폴리에스테르 필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54987A KR20000054987A (ko) | 2000-09-05 |
KR100457764B1 true KR100457764B1 (ko) | 2004-11-17 |
Family
ID=1957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03384A KR100457764B1 (ko) | 1999-02-02 | 1999-02-02 | 폴리에스테르 필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5776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78959A (ja) * | 1987-05-12 | 1988-11-16 | Kuraray Co Ltd | ポリエステル樹脂 |
KR970061977A (ko) * | 1996-02-23 | 1997-09-12 | 박홍기 | 섬유강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
JPH10279676A (ja) * | 1997-04-04 | 1998-10-20 | Mitsubishi Rayon Co Ltd | 難燃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KR19990081266A (ko) * | 1998-04-28 | 1999-11-15 | 장용균 |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1999
- 1999-02-02 KR KR10-1999-0003384A patent/KR10045776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78959A (ja) * | 1987-05-12 | 1988-11-16 | Kuraray Co Ltd | ポリエステル樹脂 |
KR970061977A (ko) * | 1996-02-23 | 1997-09-12 | 박홍기 | 섬유강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
JPH10279676A (ja) * | 1997-04-04 | 1998-10-20 | Mitsubishi Rayon Co Ltd | 難燃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KR19990081266A (ko) * | 1998-04-28 | 1999-11-15 | 장용균 |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54987A (ko) | 2000-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58285B2 (en) | Optically clear UV and hydrolysis resistant polyester film | |
KR100885389B1 (ko) |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및 반사판 | |
EP1699845B1 (en) | Flame retardant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 |
WO2017038580A1 (ja) |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反射体 | |
US5403879A (en) | Polyester film and articles made therefrom | |
JP4750405B2 (ja) |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 |
JPH09291157A (ja) |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
JP2012057021A (ja) |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太陽電池 | |
KR100457764B1 (ko) | 폴리에스테르 필름 | |
KR100263920B1 (ko) | 난연성폴리에스테르필름및그제조방법 | |
JP2004359938A (ja) |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
KR102616009B1 (ko) | 내가수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
KR100580005B1 (ko) | 난연성 폴리에스터 필름 | |
US20050107508A1 (en) | Mono or biaxially oriented, flame-retardant polyester film | |
KR100299423B1 (ko) | 축광성폴리에스테르필름 | |
KR19990055064A (ko) |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 |
US7144973B2 (en) | Biaxially oriented, white flame-retardant polyester film | |
KR0151808B1 (ko) | 고분자 필름 | |
KR20000001344A (ko) | 난연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 |
KR970011713B1 (ko) |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 |
KR0130660B1 (ko) | 폴리에스테르 필름 | |
JP6606964B2 (ja) |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反射体 | |
JP2016153471A (ja) | 赤外光透過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 |
JP6113969B2 (ja) | 難燃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
KR100299422B1 (ko) | 축광성폴리에스테르필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